[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44883B1 -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 Google Patents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44883B1
KR102844883B1 KR1020240151608A KR20240151608A KR102844883B1 KR 102844883 B1 KR102844883 B1 KR 102844883B1 KR 1020240151608 A KR1020240151608 A KR 1020240151608A KR 20240151608 A KR20240151608 A KR 20240151608A KR 102844883 B1 KR102844883 B1 KR 10284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ooth
whitening
teeth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5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준
차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차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차원
Priority to KR102024015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44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4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448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백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치아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린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COMPOSITIONS FOR WHITENING TEETH AND KITS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는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백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치아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린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 미백은 치과 미용 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행해지는 시술이다. 치아가 황색을 띠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포르피린과 같은 착색물질의 침착, 치아 외벽(법랑질)의 두께 감소, 그리고 착색물질이 침착될 수 있는 표면적의 증가를 들 수 있다. 현재 시판되는 치아 미백제의 주요 유효성분으로는 박피제나 산소계 세제와 유사한 원리로 작용하여 탈색 효과가 높으나 부작용이 큰 과산화수소와, 착색물질이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마모제로 작용하여 착색물질을 제거하는 메타인산나트륨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치아 미백제들은 심각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치아 미백 과정에서 발생하는 탈회 현상으로 인해 치아의 미네랄이 빠져나가면서 미세 구멍이 생성되고, 법랑질 표면이 거칠어지며 산성 환경에 취약해진다. 이는 치아의 자연 방어막 상실로 이어져 충치 위험을 증가시키고 치아의 구조적 약화를 초래한다. 둘째로, 미백 과정에서 발생하는 치아 구조 변화로 인해 치아의 자연 광택이 소실되고, 치아색의 4가지 요소(명도, 채도, 색상, 투명도) 중 특히 투명도가 현저히 감소하며, 치아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하여 새로운 착색이 더 쉽게 발생하게 된다. 셋째로, 기존 미백제는 치아 시린증, 잇몸 등 구강 점막 자극, 고농도 사용시 점막 화상 위험, 그리고 마우스피스형 미백제의 경우 턱관절 장애 위험 등 다양한 자극과 통증을 유발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치아 미백제는 이러한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법정 허용 한도(과산화수소 3.0%) 내에서 효과적인 미백 작용을 달성하면서도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기존의 미백제들은 미백 처리 후 발생하는 치아의 구조적 약화와 시린증에 대한 효과적인 후처리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치아 미백과 보호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식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치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아미백용 조성물과, 미백 처리 후 발생할 수 있는 시린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치아보호용 조성물,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법정 허용 한도인 과산화수소 3.0% 이내에서 최적의 미백 효과를 달성하면서도 치아 구조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아미백용 조성물과, 치아 미백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탈회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미 발생한 탈회 부위를 즉각적으로 재광화할 수 있는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단순히 시린증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시린증의 원인이 되는 상아세관의 노출을 막고 신경 자극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며, 치아의 4가지 광학적 특성인 명도, 채도, 색상, 투명도를 종합적으로 개선하면서도 치아의 자연적인 광택과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개시는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가정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단순히 일시적인 미백 효과가 아닌 치아의 재착색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미백 효과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과산화수소 2.0 내지 3.0중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5 내지 2.0중량%, 메타인산나트륨 0.5 내지 2.0중량%,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0.1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치아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인산수소칼슘 30.0 내지 40.0중량%, 일불소인산나트륨 0.05 내지 3.0중량%, 질산칼륨 0.3 내지 8.0중량%,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5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치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제4 측면은 제1항의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을 치아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에 제2항의 상기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미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는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개시의 치아미백용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의 강력한 미백 작용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보호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어, 법정 허용 한도 내에서 최적의 미백 효과를 달성하면서도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과산화수소에 의한 착색물질의 물리적 제거, 화학적 분해, 탈색 작용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발생 가능한 미세공극을 즉시 충진함으로써 치아의 구조적 안정성이 유지된다.
둘째, 본 개시의 치아보호용 조성물은 칼슘, 인산, 불소 이온의 공급을 통한 재광화 촉진과 질산칼륨의 신경 진정 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미백 처리 후 발생할 수 있는 시린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한다. 특히 불소에 의한 법랑질 강화와 산성 환경에 대한 보호 작용은 치아의 장기적인 건강 유지에 기여한다.
셋째, 본 개시의 키트는 미백과 보호라는 두 가지 목적을 순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기존 미백제의 한계였던 부작용 발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치아미백용 조성물의 미백 작용과 치아보호용 조성물의 보호 작용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치아의 미백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치아의 건강은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본 개시의 조성물들은 모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고 있어 치아의 광학적 특성 개선에도 기여한다. 특히 치아의 투명도 회복과 표면 거칠기 감소를 통해 자연스러운 치아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재착색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다섯째, 본 개시의 키트는 일반적인 치약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가정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조성물에 적합한 향료 시스템을 적용하여 사용감이 우수하며,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우수한 및/또는 유용한 효과는 상기한 본 개시의 효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개시를 바탕으로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본 개시의 우수한 및/또는 유용한 효과를 또한 자명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본 명세서가 의도적으로 개시하는 것으로서, 본 개시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경우, 특정한 단계 내지 공정은 상온에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온은 섭씨 15 내지 30도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섭씨 20 내지 25의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용되는 사전적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용어 또는 단어를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가 자명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관념을 표현하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가 의미하는 바를 전달하기 위한 범위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개시의 측면, 실시 양태,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를 이해하고 또 본 개시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로 제시된 바람직한 것에 불과하고, 본 개시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각의 구성에 관한 설명 및 구체적인 실시예는 각각의 다른 구성의 설명 및 구체적인 실시예에도 자명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구성 및 구체적인 실시예의 모든 가능한 조합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인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예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개시의 범주에 속하고, 일 실시예에서 생략된 기재는 다른 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개시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과산화수소 2.0 내지 3.0중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5 내지 2.0중량%, 메타인산나트륨 0.5 내지 2.0중량%,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0.1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치아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치아미백용 조성물은 다단계 미백 작용과 동시적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조성물의 주요 활성 성분인 과산화수소는 35% 과산화수소수를 7.0 내지 10.0중량% 첨가하여 과산화수소로서 2.0 내지 3.0%(20,000 내지 30,000ppm)의 농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수소는 세 가지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치아 미백 작용을 수행한다. 첫째,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활성산소, OH2-, OH- 이온들은 버블을 형성하여 착색물질을 물리적으로 탈락시킨다. 둘째, 이러한 활성 이온들은 큰 분자량의 착색물질을 보다 작은 분자로 분해한다. 셋째, 과산화수소는 치아를 황색으로 만드는 주요 원인인 포르피린과 같은 착색물질과 반응하여 산화 과정을 통해 분자로부터 전자를 제거함으로써 황색 물질을 무색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과산화수소의 작용은 치아의 외벽에서 시작하여 얕은 내벽까지 점진적으로 확산되어 심층적인 미백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는 0.5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치아 외벽과 동일한 성분으로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HAP는 그 자체로 투명성, 백색도, 발광성을 가지고 있어 시각적인 미백 효과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과산화수소의 미백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미세공극(pore)을 효과적으로 충진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HAP가 미백 과정과 동시에 작용한다는 것이다. 과산화수소가 착색물질을 제거하면서 발생시키는 미세공극에 HAP가 즉각적으로 침착됨으로써, 치아의 구조적 약화를 예방하고 동시에 투명 발광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메타인산나트륨은 0.5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다음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착색물질이 치아 표면에 재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둘째, 적절한 수준의 마모도를 제공하여 표면에 잔존하는 착색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한다. 셋째, 구강 내 무기질의 안정화를 보조하여 전반적인 치아 건강에 기여한다.
상기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는 0.1 내지 10.0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치약제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정 수준의 마모도를 제공하여 표면 착색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조성물의 물성을 안정화하고 유효성분들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는 0.5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치약제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정 수준의 마모도를 제공하여 표면 착색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조성물의 물성을 안정화하고 유효성분들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주요 성분들의 복합적인 작용을 통해, 본 개시의 치아미백용 조성물은 우수한 치아미백 효과, 치태제거(안티프라그) 효과, 구강 내 청결 유지, 구취 제거, 충치 예방, 그리고 전반적인 심미효과 증진의 효능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특히 본 조성물은 과산화수소의 미백 작용이 일어나는 동안 HAP에 의한 보호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치아의 건강한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효과적인 미백이 가능하다.
일 예로, 본 조성물은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사과향, 아쿠아민트향, 애플민트향을 포함하는 향료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조성물은 치약제형으로 제조되어 일상적인 치아 관리 과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다양한 보조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D-소르비톨액은 25.0 내지 35.0중량%로 포함되어 습윤제 및 감미제로서 작용하며, 농글리세린은 5.0 내지 25.0중량%로 포함되어 습윤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산화티탄은 0.01 내지 0.5중량%로 포함되어 착색방지 및 차광제로서 작용하고, 자일리톨은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어 감미제 및 충치예방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효소처리스테비아는 0.1 내지 0.3중량%로 포함되어 천연감미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증점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증점제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이 0.05 내지 0.5중량%, 잔탄검이 0.3 내지 0.7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이 0.1 내지 2.0중량%,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용액이 0.8 내지 1.2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문으로서 방부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방부제로서는 자몽종자추출물이 0.001 내지 0.1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향료 시스템으로서 사과향이 0.3 내지 3.0중량%, 민트향이 0.01 내지 0.4중량%, 아쿠아민트향이 0.01 내지 0.4중량%, 애플민트향이 0.01 내지 0.4중량% 포함되어 있으며, 치약제형으로 제조되어 일상적인 치아 관리 과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푸룬 추출물을 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룬 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치아 착색을 예방하고, 폴리페놀 성분이 치아 표면의 단백질 변성 억제할 수 있으며, 구연산, 사과산 등 자연 유래 산성 성분이 치아 표면 세정을 보조할 수 있고, 비타민 K가 치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푸룬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착색 유발 물질과 결합하여 치아 표면 흡착을 방지하고, 천연 산성 성분이 치아 표면의 단백질막을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착색물질 제거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패션프루트씨 오일을 0.05 내지 0.3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션프루트씨 오일은 특유의 리놀렌산이 치아 표면의 생체막 형성을 억제하고, 비타민 F 성분이 구강점막을 보호할 수 있으며, 피토스테롤 성분의 항염 작용으로 잇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천연 계면활성 작용으로 세정력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패션프루트씨 오일은 오일 성분이 치아 표면에 얇은 보호막을 형성하여 착색을 예방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치아 표면의 단백질 변성을 억제하여 착색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흰목이버섯 추출물을 0.1 내지 0.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다당체 성분이 치아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특유의 보습 작용으로 구강 건조를 예방할 수 있으며, 콜라겐 생성 촉진으로 치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미네랄 흡수 촉진으로 재광화를 보조할 수 있다. 상기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고분자 다당체가 치아 표면에 흡착하여 보호막을 형성하고, 수분 보유능력이 뛰어난 다당체가 구강 내 보습환경을 유지하며, 산성 환경에서 완충작용을 통해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인산수소칼슘 30.0 내지 40.0중량%, 일불소인산나트륨 0.05 내지 3.0중량%, 질산칼륨 0.3 내지 8.0중량%,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5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치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치아보호용 조성물은 치아의 재광화, 시린증 완화, 산성 환경 중화, 그리고 치아 구조 강화라는 복합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일불소인산나트륨은 0.5 내지 1.0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불소로서 800 내지 1,200ppm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불소는 일불소인산나트륨의 형태로 1,000ppm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다단계의 보호 작용을 수행한다. 불소 이온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격자에서 하이드록실 이온을 대체하여 더욱 안정적인 플루오르아파타이트를 형성한다. 이는 불소 이온의 이온 반경이 수소 이온과 유사하다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형성된 플루오르아파타이트는 기존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보다 산에 대한 저항성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불소는 칼슘과 인산 이온의 흡수를 위한 촉매 역할을 수행하여 재광화 효율을 높이며, pH가 낮아질 경우 불화칼슘(CaF2) 결정을 형성하여 치아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한다. 이후 pH가 상승하면 이 CaF2 결정은 불소와 칼슘의 저장소 역할을 하여, 재광화 단계에서 불소인회석 형태로 치아 구조에 재침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는 항균 작용 메커니즘으로서 해당과정의 중간 효소인 에놀라제를 억제하여 포도당이 피루브산으로 분해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는 피루브산과 ATP 합성의 감소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젖산 합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포스포에노피루브산 인산전달효소 시스템을 통한 당 수송도 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불소는 ATP-ase 활성 양성자 수송 시스템을 방해하여 세포 내 양성자 이온을 축적시키고 포도당 수입을 감소시킴으로써, 구강 내 유해균의 대사 활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질산칼륨은 시린증 완화를 위한 핵심 성분으로서 4.0 내지 6.0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칼륨으로서 4,000 내지 6,000ppm을 제공할 수 있고, 예컨대 질산칼륨은 5.0중량%(칼륨으로서 50,000ppm) 함유되어 있으며, 치아 시린증은 노출된 상아질 세관을 통해 외부 자극이 치수 신경에 전달되어 발생하는데, 질산칼륨의 칼륨 이온은 이 세관을 통해 이동하여 신경 섬유에 도달한다. 초기에는 세포 바깥쪽의 칼륨 농도가 낮아 칼륨이 세포 내에서 세포 밖으로 쉽게 확산되지만, 질산칼륨 사용 시에는 세포 바깥쪽의 칼륨 농도가 높아져 이러한 농도 기울기가 역전된다. 이로 인해 칼륨은 세포 내에서 세포 밖으로 확산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의 생성이 차단되어 시린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치아보호용 조성물에 포함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치아미백용 조성물에서와 마찬가지로 치아의 구조적 보강과 광학적 특성 개선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인산수소칼슘은 34.0 내지 38.0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칼슘과 인산 이온의 주요 공급원으로서 작용한다. 예컨대, 인산수소칼슘은 36.0중량% 함유될 수 있다. 구강 내 침에 용해된 인산수소칼슘은 칼슘과 인산 이온을 방출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의 생성을 촉진한다. 이는 10Ca(OH)2 + 6H3PO4 + 18H2O의 반응을 통해 이루어지며, 생성된 HAP는 치아의 재광화를 촉진하고 구조를 강화한다.
본 조성물에 포함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1.0중량%)는 치아 외벽의 주성분과 동일한 물질로, 투명한 발광체로서의 특성을 가진다. 이는 미세공극을 직접적으로 충진할 뿐만 아니라, 치아의 투명도를 회복시키고 빛의 반사도를 개선하여 시각적인 미백 효과에도 기여한다. 특히 HAP의 침착으로 인한 표면 거칠기 감소는 이후의 착색물질 침착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일 예로, 본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다양한 보조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D-소르비톨액은 25.0 내지 35.0중량%로 포함되어 습윤제 및 감미제로서 작용하며, 자일리톨은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어 감미제 및 충치예방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효소처리스테비아는 0.1 내지 0.3중량%로 포함되어 천연감미제로서 작용하며, 농글리세린은 5.0 내지 25.0중량%로 포함되어 습윤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증점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이 0.05 내지 0.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이 0.1 내지 2.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청량감 부여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청량감 부여제로서 L-멘톨이 0.01 내지 0.4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성분으로서 방부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방부제로서 자몽종자추출물이 0.001 내지 0.1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의 향료 시스템으로는 루이보스향이 0.1 내지 0.7중량%, 복숭아향이 0.2 내지 0.4중량%, 진저향이 0.2 내지 0.4중량% 포함되어 있어 사용감을 개선한다.
본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달팽이점액여과물을 0.01 내지 0.1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점액여과물은 뮤신과 콘드로이틴 황산염이 치아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알란토인 성분이 구강점막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글리코단백질이 치아 법랑질의 재광화를 도울 수 있고, 천연 보습인자가 구강 내 수분 유지를 보조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점액여과물은 고분자 단백질이 치아 표면에서 미세구조를 보호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 성분이 치은 조직의 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항산화 성분이 치은의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홍조류 추출물을 0.5 내지 2.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홍조류 추출물은 칼슘과 마그네슘이 치아의 재광화를 촉진하고, 카라기난 성분이 치아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플로로탄닌 성분이 항균작용을 통해 구강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요오드 성분이 구강 내 pH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홍조류 추출물은 다당류가 치아 표면의 미네랄 흡수를 촉진하고, 아미노산 복합체가 치아의 재광화 과정을 안정화시키며, 천연 미네랄이 치아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여과물을 0.1 내지 0.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여과물은 베타글루칸이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코디세핀 성분이 구강 내 염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아데노신 성분이 치은의 혈액순환을 개선할 수 있고, 다당체 복합체가 구강 점막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여과물은 생리활성 물질이 치은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고, 항산화 성분이 치주 조직을 보호하며, 면역 조절 물질이 구강 내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키트는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치아미백용 조성물을 치아에 도포하여 미백 작용을 수행하고, 이어서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치아 보호 및 시린증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치아미백용 조성물은 사과향, 아쿠아민트향, 애플민트향 등의 향료를 포함하고, 치아보호용 조성물은 루이보스, 복숭아, 진저 등의 향료를 포함하여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키트는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각각의 조성물은 80-120ml 용량의 튜브형 용기에 충진되어 제공된다. 각 용기에는 조성물의 특성과 사용순서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1제-미백제" 및 "2제-인텐스제"가 표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4 측면은 제1항의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을 치아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에 제2항의 상기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미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본 개시의 치아미백 방법은: 먼저 치아미백용 조성물을 칫솔에 1-2cm 정도 짜서 치아를 부드럽게 닦되, 이때 치아의 법랑질 부위 혹은 착색이 심한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으면서, 잇몸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할 수 있고, 이후 2 내지 3분간 칫솔질을 한 후 물로 충분히 헹군 다음,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하며, 마찬가지로 1분 이상 칫솔질 후 헹구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키트의 권장 사용 빈도는 1일 2회 이상일 수 있고, 예컨대 아침과 저녁 양치 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본 키트는 특히 커피, 차, 담배 등 착색유발 물질을 섭취한 후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본 키트에 포함되는 치아보호용 조성물은 시린 증상이 심할 경우 단독으로 추가 사용이 가능하다.
일 예로, 본 키트는 4주를 1회 치료 주기로 할 수 있고, 이 기간 동안 꾸준히 사용시 평균 2 내지 3단계의 치아 색조 개선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필요에 따라 1 내지 2주의 휴식기를 가진 후 치료 주기를 반복할 수 있으나, 연속 사용은 3회 주기(12주)를 넘지 않도록 권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키트에 포함되는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상기 치아보호용 조성물은 각각 향료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고, 각 조성물에 적용되는 향료 시스템은 상이한 향의 향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은 사과향, 아쿠아민트향, 애플민트향, 민트향을 포함하는 향료 시스템이 적용되어 상쾌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치아보호용 조성물은 루이보스향, 복숭아향, 진저향을 포함하는 향료 시스템이 적용되어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차별화된 향료 시스템은 사용 단계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며, 지속적인 사용에도 거부감이 없도록 설계되었다.
상기와 같은 차별화된 향료 시스템은 사용 단계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며, 지속적인 사용에도 거부감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키트는 치과에서 시행하는 전문가 미백 시술의 보조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며, 이 경우 치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사용방법 및 사용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전문가 미백 시술 후의 유지 관리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때는 치아보호용 조성물의 사용 비중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를 다음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에 명시되지 않은 공정 조건 및 준비 단계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공정 조건 또는 준비 단계일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를 바탕으로 이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본 개시의 과제해결원리를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달리 명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는 상온(섭씨 25도)에서 진행되며, 각 단계는 통상의 기술자가 별다른 어려움 없이 도출할 수 있는 수단 및 도구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치아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치아미백용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35% 과산화수소수 8.57중량부를 혼합하여 과산화수소 농도 3.0%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1.0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이어서 메타인산나트륨 1.0중량부를 첨가하고,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6.0중량부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사과향, 아쿠아민트향, 애플민트향을 포함하는 향료 시스템과 기타 보조성분을 첨가하고 균질화하여 치약상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2: 치아보호용 조성물의 제조
치아보호용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기제에 인산수소칼슘 36.0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여기에 일불소인산나트륨 0.76중량부(불소로서 1,000ppm)를 첨가하고, 질산칼륨 5.0중량부(칼륨으로서 50,000ppm)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1.0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루이보스, 복숭아, 진저를 포함하는 향료 시스템과 기타 보조성분을 첨가하고 균질화하여 치약상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3: 추가 성분이 포함된 치아미백용 조성물의 제조
치아미백용 조성물의 기본 조성에 푸룬 추출물, 패션프루트씨 오일, 및 흰목이버섯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기본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푸룬 추출물 0.5중량부, 패션프루트씨 오일 0.1중량부, 및 흰목이버섯 추출물 0.3중량부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균일한 점도와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기본 조성물과 유사한 사용감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4: 추가 성분이 포함된 치아보호용 조성물의 제조
치아보호용 조성물의 기본 조성에 달팽이점액여과물, 홍조류 추출물, 및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여과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기본 조성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달팽이점액여과물 0.05중량부, 홍조류 추출물 1.0중량부, 및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여과물 0.3중량부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기본 조성물 대비 향상된 점막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치아미백용 조성물의 미백효과 평가
본 개시의 치아미백용 조성물의 미백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일반치약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본 개시의 치아미백용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당 3개의 측정점을 설정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고, 착색 전 초기값을 측정한 다음, 와인으로 착색 후 측정하였다. 이후 치약 적용(양치질) 후 측정하였고, 측정은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및 W*(미백지수)에 대해 수행하였다. 미백지수 W는 다음 수식: W = 100-[(a*)^2+(b*)^2+(L*-100)^2]^1/2에 따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2]
[표 3]
[표 4]
그 결과, 명도/밝기 변화(△L)의 경우, 실험군에서는 최대 19.2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대조군에서는 최소 -0.7의 개선 효과가 나타나, 본 개시가 적용된 경우 약 20단계의 명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적색도 변화(△a)의 경우, 실험군에서는 최대 -8.1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대조군은 최소 -3.4의 개선 효과가 나타나, 본 개시가 적용된 경우 약 5단계의 적색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황색도 변화(△b)의 경우, 실험군에서는 최대 -2.4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대조군은 최대 4.1의 개선 효과가 나타나, 본 개시가 적용된 경우 약 6단계의 황색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미백지수 변화(△W)의 경우, 실험군에서는 최대 17.8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고, 대조군은 최소 -1.8의 개선 효과가 나타나, 본 개시가 적용된 경우 약 20단계의 미백지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실험군의 경우 미백지수(W*) 개선이 최대 17.8까지 나타난 반면, 대조군은 -1.8까지 저하되는 경우도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본 개시의 치아미백용 조성물이 일반치약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짐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결과이다.
실험예 2: 장기 사용 효과 평가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본 개시의 키트를 사용한 장기 사용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은 4주간 1일 2회 제1 치아미백용 조성물로 치아를 닦은 후 제2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평가는 치아 색조 개선도, 시린증 발생 여부, 치은 자극 여부 및 사용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시험 결과, 피험자의 90% 이상에서 뚜렷한 치아 미백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치아색조 개선도는 평균 2.5 단계로 나타났다. 특히 개선 효과는 사용 2주차부터 뚜렷하게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부작용 측면에서는 시린증 발생률이 5% 미만으로, 기존 미백제의 30-40% 발생률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은 자극이나 치아 구조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사용감에 있어서는 제1제의 경우 90% 이상의 피험자가 상쾌한 사용감에 만족을 표시하였고, 제2제는 85% 이상의 피험자가 부드러운 사용감에 만족을 표시하였다. 또한 향에 대한 만족도도 8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3: 시린증 개선 효과 평가
치아 시린증이 있는 1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본 개시의 치아보호용 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은 2주간 1일 2회 제2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사용하였으며, 주관적 통증 척도(VAS, Visual Analog Scale), 차가운 음료 섭취 시 통증, 치아 과민성을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피험자의 85% 이상에서 시린증상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평균 VAS 점수는 사용 전 6.8에서 사용 후 2.3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효과는 사용 3일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차가운 음료 섭취 시의 통증이 60% 이상 감소하여 온도 자극에 대한 내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 중단 후에도 1주일까지 개선 효과가 유지되었으며, 2주 사용 후 시린증 재발률은 15% 미만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치아미백용 조성물의 추가 성분 효과 평가
추가 성분이 포함된 치아미백용 조성물(실시예 3)과 기본 치아미백용 조성물(실시예 1)의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30명의 피험자를 각각 15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2주간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추가 성분이 포함된 조성물을 사용한 그룹에서는 착색 예방 효과가 기본 조성물 대비 40% 향상되었다. 특히 커피 착색 시험에서 푸룬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으로 인해 착색 저항성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패션프루트씨 오일의 보호막 형성으로 인해 착색 물질의 침착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었다. 또한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작용으로 치아 표면 거칠기가 기본 조성물 대비 25% 감소하였으며, 이는 장기적인 재착색 방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치아보호용 조성물의 추가 성분 효과 평가
추가 성분이 포함된 치아보호용 조성물(실시예 4)과 기본 치아보호용 조성물(실시예 2)의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시린증이 있는 40명의 피험자를 각각 20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3주간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추가 성분이 포함된 조성물을 사용한 그룹에서는 시린증 개선 효과가 더욱 빠르게 나타났다. 달팽이점액여과물이 포함된 조성물 사용 시 효과 발현 시간이 평균 2일로, 기본 조성물의 3일보다 단축되었다. 특히 홍조류 추출물의 미네랄 공급 작용으로 인해 재광화 속도가 35% 향상되었으며,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여과물의 항염 작용으로 인해 치은 건강 지수가 45% 개선되었다. 구강점막 보호 효과 또한 기본 조성물 대비 50% 이상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히 민감한 치은을 가진 피험자들에게서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다. 치아 표면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추가 성분이 포함된 조성물 사용 시 법랑질 표면의 미세구조가 더욱 조밀하게 형성되었으며, 이는 장기적인 치아 보호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과산화수소 2.0 내지 3.0중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5 내지 2.0중량%,
    메타인산나트륨 0.5 내지 2.0중량%,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0.1 내지 10.0중량%,
    푸룬 추출물 0.1 내지 1.0중량%,
    패션프루트씨 오일 0.05 내지 0.3중량%, 및
    흰목이버섯 추출물 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치아미백용 조성물.
  2. 인산수소칼슘 30.0 내지 40.0중량%,
    일불소인산나트륨 0.05 내지 3.0중량%,
    질산칼륨 0.3 내지 8.0중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5 내지 2.0중량%,
    달팽이점액여과물 0.01 내지 0.1중량%,
    홍조류 추출물 0.5 내지 2.0중량%, 및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여과물 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하는, 치아보호용 조성물.
  3. 제1항의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제2항의 상기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4. 치아미백 방법으로서: 제1항의 상기 치아미백용 조성물을 치아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에 제2항의 상기 치아보호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미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Ca10(PO4)6(OH)2 구조를 가지는 것인, 치아미백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불소인산나트륨은 불소로서 1,000ppm의 함량을 갖는 것인, 치아보호용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칼륨은 칼륨으로서 50,000ppm의 함량을 갖는 것인, 치아보호용 조성물.
KR1020240151608A 2024-10-30 2024-10-30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ctive KR102844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51608A KR102844883B1 (ko) 2024-10-30 2024-10-30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51608A KR102844883B1 (ko) 2024-10-30 2024-10-30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44883B1 true KR102844883B1 (ko) 2025-08-11

Family

ID=9673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51608A Active KR102844883B1 (ko) 2024-10-30 2024-10-30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4488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6467A1 (en) * 2001-10-10 2004-05-06 Frederick Curro Dental compositions for hypersensitive teeth
KR20050060399A (ko) *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쓴맛 및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 구강 조성물
US20060008424A1 (en) * 2004-07-02 2006-01-12 Macdonald Jeff Dental compositions with sensitivity relief
JP2009532374A (ja) * 2006-03-31 2009-09-10 マクニール−ピーピーシ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成分系漂白組成物および容器
US20190216693A1 (en) * 2018-01-17 2019-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TO Increase The Hardness And Resistance of Enamel
KR20200065109A (ko) * 2010-08-07 2020-06-08 더 리서치 파운데이션 포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구강용 조성물
KR20210046628A (ko) * 2019-03-2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US20210236400A1 (en) * 2019-03-28 2021-08-0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paste Composition
JP2024116661A (ja) * 2023-02-16 2024-08-28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KR102706862B1 (ko) * 2024-05-17 2024-09-19 로다움(주) 미백 치약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6467A1 (en) * 2001-10-10 2004-05-06 Frederick Curro Dental compositions for hypersensitive teeth
KR20050060399A (ko) *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쓴맛 및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 구강 조성물
US20060008424A1 (en) * 2004-07-02 2006-01-12 Macdonald Jeff Dental compositions with sensitivity relief
JP2008505113A (ja) * 2004-07-02 2008-02-21 ディスカス デンタル インプレッ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感受性軽減効果を有する歯科用組成物
JP2009532374A (ja) * 2006-03-31 2009-09-10 マクニール−ピーピーシ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成分系漂白組成物および容器
KR20200065109A (ko) * 2010-08-07 2020-06-08 더 리서치 파운데이션 포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구강용 조성물
US20190216693A1 (en) * 2018-01-17 2019-07-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TO Increase The Hardness And Resistance of Enamel
KR20210046628A (ko) * 2019-03-2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US20210236400A1 (en) * 2019-03-28 2021-08-0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Toothpaste Composition
JP2024116661A (ja) * 2023-02-16 2024-08-28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KR102706862B1 (ko) * 2024-05-17 2024-09-19 로다움(주) 미백 치약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Stain removal and whitening by baking soda dentifrice: A review of literature
AU2013408262B2 (en)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TWI653986B (zh) 口腔保健組成物及方法
Figuero et al. Supra and subgingival application of antiseptics or antibiotics during periodontal therapy
US9241889B2 (en)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
US20240207157A1 (en) Oral care agent
KR101709986B1 (ko) 실리카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Burrows A review of the safety of tooth bleaching
KR102844883B1 (ko) 치아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RU2334522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0250920B1 (ko) 효소 함유 치약 조성물
Hattab Tooth Discolor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Part II
WO2011161238A2 (en) Tooth remineraliz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2798454B1 (ko) 하이드로 수소 치약
KR102810831B1 (ko) 치아 에나멜을 재광화하기 위한 조성물
Greenwall Tooth whitening materials
CA3050693A1 (en) Oral care composition and use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laque formation, bad breath, gingivitis, periodontal diseases and/or dental caries
Kumar et al. Advanced materials for prevention of calculus formation on enamel: A review
Abdel-Wahab et al. Chemical formulations for mouthwashes
Garewal Efficacy of a whitening toothpaste containing ImerCare® PearlWhite 19 and Bromelain: A Clinical Trial
RU2310436C2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зубная паста
WO2023059280A1 (en) Toothpaste composition with whitening feature
Figuero Ruiz et al. Supra and subgingival application of antiseptics or antibiotics during periodontal therapy
Yılmaz et al.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Mouthwashes in Caries Biofilm
CN104644476A (zh) 一种能形成牙齿保护膜的漱口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