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827836B1 -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827836B1
KR102827836B1 KR1020240191385A KR20240191385A KR102827836B1 KR 102827836 B1 KR102827836 B1 KR 102827836B1 KR 1020240191385 A KR1020240191385 A KR 1020240191385A KR 20240191385 A KR20240191385 A KR 20240191385A KR 102827836 B1 KR102827836 B1 KR 102827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ffic
person
vulnerable
disadvanta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9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아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4019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7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78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7Override of traffic control, e.g. by signal transmitted by an emergency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연장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신호등의 보행 신호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TRAFFIC SIGNAL CONTROL FOR PEDESTRIANS WITH LIMITED MOBILITY}
본 발명은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통약자의 위치 및 특성을 기반으로 신호등의 보행 신호 시간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신호등은 보행자와 차량 간의 교통 흐름을 조정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관리를 목적으로 발전해왔다. 특히 보행 신호등은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신호 시간을 제공하며, 보행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신체적 제약을 가진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경우, 기존의 고정된 보행 신호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교통 신호 시스템은 특정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고정된 보행 신호 시간을 제공하여 일반 보행자에게는 적합할 수 있으나, 보행 속도가 느리거나 보행 중 외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교통약자의 경우, 신호를 다 건너지 못하거나 중간에 멈추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문제는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로 이어질 위험을 높이며, 특히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기존 기술들은 교통약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을 시도해 왔다. 일부 기술에서는 횡단보도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 신호를 연장하거나, 교통약자가 직접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보행자의 개별적인 특성, 즉 보행 속도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특정 상황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보행 중인 교통약자를 운전자나 다른 보행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리는 경고 시스템이 미흡하여 횡단보도에서의 사고 예방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의 안전한 횡단을 보장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이고 사용자 중심적인 신호등 제어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통약자의 위치, 보행 속도, 환경적 요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신호등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당업계에서 중요한 연구 과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0932호는 교통 약자를 위한 횡단 보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연장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신호등의 보행 신호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단위 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한 이후,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 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교통약자의 이동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교통약자가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교통약자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약자의 등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연장 시간을 상기 신호 연장 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교통약자가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교통약자 등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교통약자의 보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약자의 등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연장 시간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장 시간에 상기 보행 속도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신호등에 구비된 보행 신호 연장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횡단보도에 구비된 바닥 신호등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바닥 신호등의 색상을 기반으로, 상기 바닥 신호등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횡단보도의 출발지점에 설치된 제1 신호등에 구비된 제1 수신기로부터 제1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횡단보도의 도착지점에 설치된 제2 신호등에 구비된 제2 수신기로부터 제2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 및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 및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의 정상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등 및 상기 제2 신호등이 보행 신호로 변경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된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고,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횡단을 시작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약자가 횡단을 시작한 것으로 인식한 이후,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의 최대 값이 인식된 시점 이후,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횡단을 완료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보행 신호를 정상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신호등에 적용된 상기 신호 연장 시간의 누적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누적 시간에 대응하여 차량 통행 신호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통약자의 위치 및 특성을 기반으로 보행 신호 시간을 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교통약자의 보행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약자의 보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신호 연장 시간을 조정하여 횡단 중 사고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발명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각 단계의 주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 단계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팅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외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에 따라 보행 신호 시간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 연장 시간을 기반으로 신호등의 보행 신호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보행 안전을 보장하고, 신호등의 동적 제어를 통해 효율적인 교통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컴퓨팅 장치(100)가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본 발명의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신호등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등 제어 시스템은 교통약자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신호등의 상태를 제어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등 제어 시스템은 수신기 모듈, 분석 모듈, 제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 모듈은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 모듈은 감지된 신호의 강도 및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약자의 상태를 평가하며, 제어 모듈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신호등의 보행 신호 시간을 조정하거나 경고 시스템을 활성화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상호 협력하여 교통약자의 안전과 교통 흐름의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웹(Web)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팅 장치(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컴퓨팅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신호등 제어의 목적인 교통약자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교통약자인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이 소지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컴퓨팅 장치(100) 또는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된 수신기를 향해 교통약자 신호를 방출하는 신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기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또는 기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방출하며, 방출된 신호에는 교통약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정보는 교통약자의 사용자 등급(예: 어린이, 노인, 장애인), 보행 속도, 고유 식별자(ID), 또는 배터리 상태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컴퓨팅 장치(100) 또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며, 신호 강도와 메타 정보가 분석되어 신호등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신호기는 교통약자가 소지하기 편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웨어러블 장치, GPS 모듈과 연동되어 교통약자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단말의 적어도 일부분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확장 프로그램 기반의 서비스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가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고, 컴퓨팅 장치(100)가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정보/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에서 이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에 이용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컴퓨팅 장치,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은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및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 딥러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컴퓨터 프로그램(151)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컴퓨팅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컴퓨터 프로그램(151)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메모리(120)에 로드 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1)은 신경망 모델의 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여기서, 수신기는 비콘 시스템의 저전력 근거리 무선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하고 식별할 수 있는 소형 안테나 및 수신 모듈, UWB(Ultra-Wideband) 시스템의 고정밀 거리 산정과 위치 추정을 위한 전용 초광대역 수신기, 또는 이와 유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활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RF(Radio Frequency) 기반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장치는 신호 강도를 시간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외부 전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며, 필요에 따라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교통약자의 실제 접근 방향이나 상대적 위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비콘 방식의 경우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를 일정 주기로 방출하고 이를 수신기가 안정적으로 획득함으로써 식별 가능한 고유 ID와 신호 강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UWB 방식의 경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신호 전송 지연 및 강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교통약자가 횡단보도 인근 특정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황을 수신기가 더 높은 정확도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신호를 컴퓨팅 장치(100)에 전달하며, 컴퓨팅 장치(100)는 수신된 신호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자, 신호 강도 정보, 메타 정보 등을 해석하여 이후 신호등 제어에 필요한 기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121). 여기서, 신호 세기의 증가는 교통약자가 점차 횡단보도 방향으로 접근하거나 해당 영역 내에서 머물며 서서히 신호등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 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한 이후,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22). 즉, 컴퓨팅 장치(100)는 일시적으로 스쳐 지나가는 신호 변화가 아닌 명확한 위치 접근 패턴으로 판단되는 경우,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연속적으로 수집된 신호 강도 값을 기반으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 시간 축 상에서 신호 강도가 상승하는 구간과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구간을 식별함으로써 교통약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시간 단위(예: 수백 밀리초 단위)로 측정된 신호 강도가 이전 측정값보다 소정의 비율 이상 증가하는 상황이 여러 번 연속으로 포착되면, 이는 교통약자가 신호기 방향으로 실제 걸음을 옮기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증가 추이가 일정 기간 동안 큰 변동 없이 유지될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기 위해 해당 영역에 머무르거나 신호대기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신호등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 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기초로, 교통약자의 이동 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시간 축에 따른 신호 강도 변화를 상세히 분석하여 보행자 수준의 느리고 일정한 접근 패턴과 차량 탑승 시 나타나는 빠른 신호 강도 변화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 강도가 매우 짧은 시간 안에 급격히 증가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빠르게 수신 지점을 통과하는 신호 형태를 감지한다면, 이는 일반적인 보행 속도를 상회하는 이동 패턴으로 인식하고 교통약자가 실제로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해당 지점을 지나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교통약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횡단보도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걷는 속도의 상한 값을 사전에 정의해 두고, 해당 값을 넘는 신호 강도 변화율 및 주파 범위를 가지는 이동 패턴을 인식하면, 해당 이동 패턴을 차량 이동 패턴으로 규정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 연장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특정 시간동안 신호 강도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경우, 교통약자가 도보로 횡단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횡단보도 보행 신호를 연장하지 않는 방향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S130).
일 실시예에서,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는 교통약자가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교통약자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약자 등급은 예를 들어, 어린이 등급, 노인 등급 및 장애인 등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등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연장 시간을 신호 연장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약자의 등급이 어린이 등급인 경우 연장 시간이 10초로 설정되어 있고, 노인 등급인 경우 연장 시간이 15초로 설정되며, 장애인 등급인 경우 연장 시간이 20초로 사전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는 교통약자가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교통약자 등급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교통약자의 보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 속도는 교통약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신호기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등급과 보행 속도를 고려하여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등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연장 시간을 인식할 수 있다(S131).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연장 시간에 보행 속도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S132).
여기서, 보행 속도에 대응하는 가중치는 예를 들어 걷는 속도가 느릴수록 연장 시간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사전에 정의된 매핑 규칙을 통해 보행 속도가 일정 값 이하일 경우 기본 연장 시간에 추가로 몇 초를 가산하고, 반대로 일정 속도 이상이라면 기본 연장 시간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약간만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 분석용 메모리에 저장된 속도-시간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속도 범위에 해당하는 가중치 값을 찾아내고 이를 기본 연장 시간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등급인 교통약자의 경우 기본 연장 시간이 20초로 설정되어 있고 보행 속도가 매우 느린 편이라면, 가중치를 1.5배로 적용해 총 30초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반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노인 등급 교통약자에게는 미리 정의된 15초 연장 시간에 1.1배 정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약 16~17초 정도로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미세한 시간 단위를 고려하여 보행자에게 충분한 안전 확보 시간을 부여함과 동시에 차량 흐름에도 크게 지장을 주지 않는 균형 잡힌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기상 정보나 교통약자의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결정하고, 해당 가중치를 적용하여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 정보는 예를 들어, 비나 눈이 내리는지 여부, 노면의 결빙 상태, 기온, 풍향이나 풍속 등의 환경적 요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상 상태는 교통약자의 보행 속도와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건강 정보는 교통약자의 신체 상태를 반영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교통약자의 심박수 변동, 호흡 패턴, 운동 기능 저하 정도, 보조기구 사용 여부, 최근 낙상 이력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정보는 교통약자 신호의 메타 정보 내에 포함된 고유한 식별 정보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가 해당 신호를 보낸 교통약자의 프로필에 접근할 수 있을 때 활용될 수 있다. 즉, 교통약자가 사전에 관련 앱이나 등록 시스템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알리는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제공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해당 교통약자의 식별자에 매칭되는 건강 관련 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확보한 기상 정보와 결합하여 최종 신호 연장 시간에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기상 정보를 분석하여 보행 환경 난이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노면이 젖어 있거나 결빙되었다면 미끄러짐 위험이 높아지고 보행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강수량이 많거나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교통약자가 우산을 쓰거나 균형을 잡기 어려워 보행 속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이러한 환경적 요인을 반영하는 가중치를 사전에 정의된 기준값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상 정보 기반의 가중치는 기상 조건이 나쁠수록 커져, 기상 조건이 나쁠수록 신호 연장 시간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건강 정보를 분석하여 보행 안정성이나 신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심박수가 평상시보다 현저히 높거나 호흡 패턴이 불규칙한 경우, 교통약자가 현재 피로하거나 불안정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보행 보조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나 최근 낙상 이력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안전 확보 시간이 필요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이러한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에 따라 건강 정보 기반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신호 연장 시간을 늘림으로써 교통약자가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정상적인 기상 조건과 건강 상태를 기준점으로 삼아, 악천후나 건강 상태 악화가 감지될 때마다 일정 비율로 기본 연장 시간을 재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비나 눈이 내리고 노면이 미끄러운 상황에서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는 교통약자의 경우, 사전에 설정된 가중치 규칙에 따라 기존 연장 시간에 추가로 몇 초를 더 부여할 수 있으며, 이렇게 동적으로 결정된 신호 연장 시간은 실시간으로 신호 제어 모듈에 전달되어 신호등의 보행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기상 정보나 건강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메타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통약자 맞춤형 신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비정상적인 환경이나 건강 상태로 인해 보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교통약자의 안전한 횡단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는 상술한 과정들을 통해 결정된 신호 연장 시간을 기반으로 신호등의 보행 신호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 제어 모듈을 통해 현재 작동 중인 보행 신호 타이머를 수정하여 연장된 시간만큼 보행 신호를 유지시켜, 교통약자가 충분한 시간 내에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현재 보행 신호가 종료되기 직전 상황에서 교통약자 신호를 분석하여 추가로 10초를 연장하는 명령을 신호 제어 모듈에 전달하고, 신호 제어 모듈은 즉시 신호등 컨트롤러에 해당 정보를 반영하여 보행 신호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특성과 상황을 반영한 맞춤형 신호 제어를 구현하고, 궁극적으로 교통약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교통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단계(S130)에서,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신호등에 구비된 보행 신호 연장 버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횡단보도에 진입하기 전, 즉 출발지점에 인접한 신호등에 설치된 보행 신호 연장 버튼의 상태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평소에는 보행 신호 연장 버튼을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불필요한 신호 연장을 방지하고, 교통약자의 신호 접근 여부, 등급, 보행 속도, 그리고 날씨나 주변 교통 상황과 같은 환경적 변수들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신호 연장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을 때 해당 버튼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평소에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는 보행 신호 연장 버튼 내의 회로에 전원 공급을 허용하고, 버튼을 감싸는 LED나 발광 소자를 점등시켜 이용 가능한 상태임을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따라서, 교통약자는 횡단보도에 접근하는 시점에 연장 버튼이 점등된 것을 확인하고, 신호를 충분히 확보하고자 할 경우 직접 버튼을 눌러 연장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인식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의사를 적극 반영한 안전한 횡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단계(S130)에서,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횡단보도에 구비된 바닥 신호등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바닥 신호등의 색상을 기반으로, 바닥 신호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등급이나 건강 상태, 기상 조건을 반영하여 바닥 신호등의 LED 패널을 특정 색 또는 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 등급을 어린이 등급으로 인식한 경우 밝고 경쾌한 색상(예: 노랑색)을 사용하여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가 해당 구간에 교통약자가 있음을 즉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급인 경우 주의를 환기시키는 대비도 높은 색조(예: 주황색)를 사용하여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고 주변을 주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바닥 신호등에 신호등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선택된 색상과 점멸 패턴을 구현함으로써, 시각적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교통약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단계(S110)에서, 복수의 교통약자 각각이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복수의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교통약자 신호 각각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교통약자 신호를 통해 식별된 특정 조건(예: 장애 정도, 나이, 건강 상태)에 해당하는 교통약자에게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이에 따라 신호 연장 시간을 차등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인과 시각 장애인이 동시에 접근한 상황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시각 정보 인식에 어려움이 있어 더 주의가 필요한 시각 장애인을 우선순위 상위로 두고, 해당 사용자의 보행 속도나 안전 확보 필요성에 비례하여 보행 신호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더 위험하거나 보호가 필요한 사용자를 우선 지원함으로써 전체적인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 교통약자 신호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신호 연장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상황에 따른 맞춤형 안전 관리가 가능한 신호등 제어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단계(S110)에서,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횡단보도의 출발지점에 설치된 제1 신호등에 구비된 제1 수신기로부터 제1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보도의 도착지점에 설치된 제2 신호등에 구비된 제2 수신기로부터 제2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제1 교통약자 신호 및 제2 교통약자 신호를 기반으로 보행 신호의 종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신호등 및 제2 신호등이 보행 신호로 변경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된 제1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고,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 교통약자가 횡단을 시작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제1 신호등을 기점으로 한 신호 강도 하락과 제2 신호등을 향해 증가하는 신호 강도의 시계열 변화를 기반으로, 실제 보행 행위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수백 밀리초 단위로 축적되는 신호 강도 변화를 기반으로 교통약자의 이동 궤적을 추정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 최대값이 제2 신호등 방향으로 전달되는 시점을 식별함으로써 교통약자의 위치 이동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횡단을 시작한 것으로 인식한 이후,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의 최대 값이 인식된 시점 이후, 제1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교통약자가 횡단을 완료한 것으로 인식하고, 보행 신호를 정상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220).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 강도의 변화 곡선을 추적하여 교통약자가 횡단보도를 거의 다 건넌 뒤 반대편 인접 신호등을 지나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패턴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교통약자가 도착지점 방향으로 걷다가 제2 신호등 부근을 통과하면 제2 교통약자 신호 강도가 한동안 증가했다가 서서히 감소하고, 이때 제1 교통약자 신호는 증가하지 않는 형태를 보이는데, 이러한 시나리오는 교통약자가 이미 반대편에 다다른 상태를 나타낸다.
자세히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기존에 수집된 신호 강도 변화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변화가 횡단 완료 패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만약 부합한다면 즉시 보행 신호를 정상적으로 종료하는 명령을 신호등 제어 모듈에 전달함으로써 다음 신호 사이클로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실제 횡단 진행 상황을 신호 강도 변화 패턴으로 모니터링하고, 횡단이 완료된 시점에 정확히 보행 신호를 종료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 시간 및 교통 흐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 완료 패턴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보행 신호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제1 교통약자 신호와 제2 교통약자 신호 모두에서 횡단 완료로 해석할 수 있는 강도 변화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아직 횡단을 완료하지 못했거나 도중에 멈춰서거나 망설이고 있다고 판단하여, 보행 신호를 곧바로 종료하지 않고 일정 기간 더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해당 기간 동안 신호 강도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며, 교통약자가 다시 움직이거나 반대편에 다다르는 신호 패턴을 포착할 때까지 보행 신호를 연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가 충분한 시간 내에 안전하게 횡단을 마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고, 보행 신호를 조기에 종료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실제 횡단 진행 상황을 신호 강도 변화 패턴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횡단 완료 시점에 정확히 보행 신호를 종료하며, 아직 횡단 완료로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신호를 유지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 시간과 교통 흐름 지연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보행자의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올바른 횡단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 강도나 방향 변화 같은 다양한 센서 정보를 종합하여 교통약자의 보행 경로가 정상적인 횡단보도 통과 경로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보행 경로를 기반으로 보행 적정성을 분석함으로써 교통약자가 적정한 경로를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등 기준으로 특정 영역(예: 오른쪽 영역)을 적정 보행 경로로 정의하고, 반대 영역(예: 왼쪽 영역)을 비적정 경로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이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의 이동 경로가 설정된 적정 영역에서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하고, 교육 영상을 제공하거나 보행 습관 개선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으로 전송하는 등의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적정 보행을 지속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보상 체계를 통해 긍정적인 행동 강화를 유도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교통약자 스스로가 안전하고 올바른 횡단 습관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단순히 보행 신호를 연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통약자의 안전한 이동 경로 선택과 올바른 행동 습관 형성까지 지원하여 전반적인 교통 안전 문화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 신호 연장에 따른 차량 통행 신호 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신호등에 적용된 신호 연장 시간의 누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310). 여기서, 누적 시간은 교통약자가 여러 차례 횡단할 때마다 부가적으로 추가된 총 연장 시간을 의미하며, 누적 시간이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 통행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누적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누적 시간에 대응하여 차량 통행 신호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이전 신호 사이클 동안 축적된 보행 신호 연장량을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보상 시간을 차량 신호에 할당함으로써 차량 통행을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사전에 정의된 보상 규칙에 따라 누적된 연장 시간이 특정 범위를 초과할 때 차량 신호를 몇 초 내지 몇십 초만큼 추가하는 방식으로 주기적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지난 10분 동안 누적된 보행 신호 연장 시간이 30초를 초과한 경우, 다음 차량 신호 사이클 중 특정 구간에서 차량 신호를 5초 연장하여 차량 통행 신호 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지난 10분 동안 누적된 보행 신호 연장 시간이 30초를 초과한 경우, 다음 차량 신호 사이클에서 차량 통과 신호를 누적 시간만큼 연장하여 차량 통행 신호 시간을 보상할 수 있다.
자세히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등 제어 모듈과 연계하여 보상 시간을 차량 신호에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이때 차량 통행량 분석, 시간대별 교통 혼잡도, 상위 교통 제어 시스템과의 협조 제어 알고리즘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 중심 신호 제어를 수행하면서도 전반적인 교통 흐름의 효율성을 잃지 않고 균형 잡힌 신호 운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자의 안전성과 차량 통행의 효율성을 조화롭게 달성하는 신호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신호기에 전송된 개인 식별 정보를 토대로 교통약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이를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안전 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요구조자(예: 치매 노인, 지적 장애인, 어린이)가 특정 횡단보도를 이용할 때 수신한 개인 식별 정보를 교통 약자 안전 관리 서버나 보호자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호자는 요구조자의 위치 변화나 이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즉각적인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치매 노인이 평소에 잘 이용하지 않던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이상 상황을 추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호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거나, 현장에서의 신속한 구조나 안내를 유도하는 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이동 중 비정상적인 정지나 예상치 못한 지역 진입 등 위험 상황을 감지하면, 즉시 보호자에게 통보하고, 관련 기관이나 지원 센터와 협력하여 현장 출동을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개인 식별 정보를 활용한 동선 파악 및 안전 관리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교통약자의 자율적 보행을 지원하는 동시에, 가족이나 보호자가 안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보호자는 요구조자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신속하게 개입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이동 환경을 보다 다각적으로 파악하여, 단순한 신호 시간 연장뿐만 아니라 횡단보도 사용 경험 전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교통약자의 신호 정보뿐 아니라, 인근 지형 정보(예: 횡단보도 경사도, 보도 블록 상태), 주변 빛 환경(가로등 밝기, 야간 시야 확보 정도), 그리고 교통약자 단말에서 수집된 청각 또는 시각 보조기기의 상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횡단보도의 노면 상태가 고르지 않거나 미끄러운 경우, 보행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 연장 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밤 시간대 밝기가 부족한 횡단보도 주변이라면 바닥 신호등의 발광 강도를 높이거나, 점멸 패턴을 운전자 시선에 더욱 확실히 포착되는 형태로 변경하여 보행자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는 전용 앱이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전달된 교통약자의 보행 보조기기 상태(예: 전동 휠체어 배터리 잔량, 지팡이 센서 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횡단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 예상되는 경우 신호 연장 시간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인접 교차로 상황까지 고려하여, 주변 교통 흐름이 비교적 원활한 시간대에는 교통약자에게 확장된 안전 구간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와 차량 모두에게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장치(100)는 보행 속도나 교통약자의 등급에 국한되지 않고, 주변 환경, 주간 및 야간 상황, 보조기기 상태 등의 다면적인 요소를 종합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교통약자에게 최적화된 횡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연장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신호등의 보행 신호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교통약자가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교통약자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약자의 등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연장 시간을 기본 신호 연장 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기상 정보를 기초로 보행 환경 난이도를 평가하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의 건강 정보를 기초로 보행 안정성 및 신체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보행 환경 난이도, 상기 보행 안정성 및 상기 신체 능력을 기초로 상기 기본 신호 연장 시간을 재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단위 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한 이후,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약자 신호의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상기 교통약자의 횡단보도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 별로 획득된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교통약자의 이동 속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교통약자가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교통약자 등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교통약자의 보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약자의 등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연장 시간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장 시간에 상기 보행 속도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신호 연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신호등에 구비된 보행 신호 연장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교통약자 신호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횡단보도에 구비된 바닥 신호등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바닥 신호등의 색상을 기반으로, 상기 바닥 신호등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신호등에 구비된 수신기를 통해 교통약자가 소지한 신호기로부터 방출되는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횡단보도의 출발지점에 설치된 제1 신호등에 구비된 제1 수신기로부터 제1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횡단보도의 도착지점에 설치된 제2 신호등에 구비된 제2 수신기로부터 제2 교통약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 및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통약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 및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보행 신호의 정상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등 및 상기 제2 신호등이 보행 신호로 변경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수집된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고,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횡단을 시작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약자가 횡단을 시작한 것으로 인식한 이후,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의 최대 값이 인식된 시점 이후, 상기 제1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 교통약자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교통약자가 횡단을 완료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보행 신호를 정상 종료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신호등에 적용된 상기 신호 연장 시간의 누적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누적 시간에 대응하여 차량 통행 신호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40191385A 2024-12-19 2024-12-19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ctive KR10282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91385A KR102827836B1 (ko) 2024-12-19 2024-12-19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191385A KR102827836B1 (ko) 2024-12-19 2024-12-19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827836B1 true KR102827836B1 (ko) 2025-07-02

Family

ID=9639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91385A Active KR102827836B1 (ko) 2024-12-19 2024-12-19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8278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17A (ko) * 1999-10-28 2001-05-15 이우식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수집 시스템
KR101349543B1 (ko) * 2012-09-28 2014-01-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호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4783A (ko) * 2015-11-10 2017-05-18 도로교통공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JP2017182191A (ja) *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歩行者保護システム及び路側機
KR20180061951A (ko) * 2016-11-30 2018-06-08 김윤순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17A (ko) * 1999-10-28 2001-05-15 이우식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수집 시스템
KR101349543B1 (ko) * 2012-09-28 2014-01-0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신호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4783A (ko) * 2015-11-10 2017-05-18 도로교통공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JP2017182191A (ja) *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歩行者保護システム及び路側機
KR20180061951A (ko) * 2016-11-30 2018-06-08 김윤순 보행자 보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384B1 (en) Wearable system for detection of environmental hazards
KR101511514B1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서버
US10237950B2 (en) Adaptive outdoor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behavior
KR102215566B1 (ko) 스마트 안전 횡단보도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42419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operation assistance system
WO20171765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sensor assisted selection of route with respect to dynamic route conditions
US11507978B2 (en) Dynamic display of driver content
CN110998687B (zh) 控制系统以及控制方法
JP7350501B2 (ja) 歩行経路情報提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機、及び歩行経路情報提示方法
WO2022155301A1 (en) Distributed method and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between vulnerable road users and vehicles
JP2003157984A (ja) 位置情報端末連動街灯制御システム
US1238889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 on-board function for a vehicle
JP2010281722A (ja) 移動手段案内システム
CN114302341B (zh) 车辆的状态模式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19163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188867A1 (en) Dynamic display of route related content during transport by a vehicle
KR101349543B1 (ko) 신호등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70768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方法
KR20240084512A (ko) 딥러닝 영상분석을 통한 위험차량 인식 및 보행자 안전 관리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827836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신호등 신호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826041B1 (ko) 여행자용 지능형 안전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안전 네비 방법
US12367763B2 (en) Traffic facility control system, traffic facilit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8476576B (zh) 照明系统和照明方法
JP4899839B2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0052454A (ja) 歩行者装置、車載装置、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情報収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626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626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