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16705B1 - Needle set for biopsy - Google Patents
Needle set for biops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16705B1 KR102816705B1 KR1020220121722A KR20220121722A KR102816705B1 KR 102816705 B1 KR102816705 B1 KR 102816705B1 KR 1020220121722 A KR1020220121722 A KR 1020220121722A KR 20220121722 A KR20220121722 A KR 20220121722A KR 102816705 B1 KR102816705 B1 KR 1028167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biopsy
- support wall
- tissue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08—Biopsy devices with actuators, e.g. with triggered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속침부 및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속침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과, 상기 겉침부와 결합되고 상기 겉침부를 생검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와,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와,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와 상기 겉침부의 상대적 이동에 따른 중첩 영역에 마찰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ting biopsy instrument, comprising: a needle set including a blunt end and an outer end through which the blunt end penetrates and is configured to move relatively to the blunt end; and a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end and configured to move the outer end along a biopsy direction, wherein the blunt end is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end and includes a needle body, a collecting groov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needle body, and a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needle body and inclined toward an area for biopsy, and further comprising a friction reducing portion in an overlapping reg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lunt end and the outer en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절단 생검 기구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utting biopsy device.
일반적으로 생체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조직 내에 생체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Generally, to examine a living tissue, a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a living tissue sample is injected into the living tissue, and the tissue to be sampled is collected from the living tissue.
예를 들면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For example, a method is being utilized in which the tissue to be collected is cut by the shape of a needle and the histological form is maintained intact.
그러나 이러한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기수를 삽입 시 검사를 위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관통 시 제대로 침투하지 못하거나 휘어질 수도 있고, 이러한 침투 시 검사 대상에 대한 통증으로 인하여 생체 조직에 대한 조직 채취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inserting a probe to collect such living tissue, it may not penetrate properly or may bend when penetrating the tissue for examination such as the membrane tissue or hard calcified tissue,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issue collection for living tissue due to the pain felt by the subject of examination during such penetration.
본 발명은 복수 회 절단 시에도 니들 셋이 손상되지 않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utting biopsy device in which a needle set is not damaged even when cutting multiple tim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속침부 및 상기 속침부가 관통하고 상기 속침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겉침부를 포함하는 니들셋과, 상기 겉침부와 결합되고 상기 겉침부를 생검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와,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와,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와 상기 겉침부의 상대적 이동에 따른 중첩 영역에 마찰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tting biopsy device including a needle set including an inner needle part and an outer needle part through which the inner needle part penetrates and is configured to move relatively to the inner needle part, and a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needle part and configured to move the outer needle part along a biopsy direction, wherein the inner needle part is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needle part, and includes a needle body, a collection groove formed in one area of the needle body, and a head part connected to the needle body and inclined so as to face an area for biopsy, and further including a friction reducing part in an overlapping area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ner needle part and the outer needle pa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 저감부는 상기 속침부의 채취 그루브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be located in the extraction groove of the insert member.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취 그루브는, 속침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채취 면과, 상기 채취 면의 일단에 위치하는 지지 벽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ampling groove may include a sampling surface that is drawn inward from a surface of the needle body, and a support wall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ampling surface.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 저감부는 상기 지지 벽에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be located on the support wall.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겉침부는 인체의 표피에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 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는, 상기 겉침부가 상기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시 상기 팁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sthesis includes a tip region at an 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sthesis is inserted into the human skin, and the friction reduction region can be position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tip region when the prosthesis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벽은 상기 채취 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wa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sampling surface.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 저감부는 상기 겉침부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may be located at an end of the outer shell.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단 생검 기구는 복수 회 시술 시에도 니들 셋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술자에게 더욱 안정감 있는 시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utting biops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needle set even during multiple procedures, and enable the operator to perform the procedure with greater stability.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단 생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겉침부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겉침부와 이동 블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겉침부와 이동 블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iopsy needle s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iopsy needle set of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part A of Figure 2.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utting biopsy instrument including a biopsy needle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biopsy device of Figure 5.
FIG. 7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n outer sh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8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of coupling of a surface part and a moving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of coupling of a surface part and a moving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examples below,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not used in a limiting sense bu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examples below,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xamples below,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examples below,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unit, region, or component is located above or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unit, region, or component is interposed in between.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In the examples below, terms such as connect or combine do not necessarily imply a direct and/or fixed connection or combination of two member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s and thicknesse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iopsy needle s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iopsy needle set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100)는 속침부(110) 및 겉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biopsy needle se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ner needle part (110) and an outer needle part (120).
생검용 니들셋(100, 이하 "니들셋"이라고도 언급)은 생체, 예를 들면 인체에 대한 생검을 위하여, 생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A biopsy needle set (100, also referred to as “needle set” hereinafter) can accommodate at least one area of tissue from a living body, for example, a human body, for biopsy.
예를 들면 생검용 니들셋(100)은 전진 방향인 제1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인 제2 방향(D2)의 생검 방향(D)를 기준으로 검사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검용 니들셋(100)을 전진 방향(D1)으로 생체, 예를 들면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운동하여 표피의 일 영역을 뚫고 표피 내로 삽입되고 생검을 원하는 생체의 내부 영역에까지 이르고, 원하는 조직을 떼어내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여 표피의 외부로 나와서 생검용 니들셋(100)이 떼어낸 조직에 대한 생검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iopsy needle set (100) can define the examination direction based on the biopsy direction (D) of the first direction (D1) which is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D2) which is the backward direction. Specifically, the biopsy needle set (10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D1) against a living body, for example, the epidermis of a human body, so as to penetrate an area of the epidermis, be inserted into the epidermis, and reach an internal area of the living body where a biopsy is desired, and then the desired tissue is removed, and then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so as to come out of the epidermis, so that a biopsy can be easily performed on the tissue removed by the biopsy needle set (100).
겉침부(120)는 겉침 본체(122) 및 삽입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shell (120) may include an outer shell body (122) and an insertion part (121).
겉침 본체(122)는 속이 빈 형태의 파이프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속침부(110)가 겉침부(120)에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outer body (122) may have a long, extended shape similar to a hollow pipe. Through this, the inner body (110)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outer body (120).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 본체(122)의 적어도 일 영역은 속이 빈 파이프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least one area of the outer body (122) may have a hollow pipe-like shape.
삽입부(121)는 겉침 본체(12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121)는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12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body (122) and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area for biopsy. For example, the insertion portion (121) may include an area that begins to penetrate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삽입부(121)는 속이 빈 형태로서, 예를 들면 겉침 본체(122)과 같이 일체로 연장된 파이프와 같은 형태를 갖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121) is hollow and may have a shape like a pipe that is integrally extended with the outer body (122) and has an open end.
삽입부(12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삽입부(121)의 단부를 포함한 영역에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가기 시작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121) includes an inclined region, and may have an inclined shape in an area including, for example,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through which it can easily begin to penetrate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121)의 경사진 영역은 3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구체적 예로서 20도 이하의 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뚫을 때 고통을 감소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clined reg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may have an inclined shape with an angle of 30 degrees or less, and, as a specific example, may have an angle of 20 degrees or less. Through this, pain can be reduced when piercing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121)의 일 단부의 영역은 예각을 갖는 팁 영역(1211)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인체의 표피를 가장 먼저 뚫기 시작하는 영역에 예각으로 날카롭게 팁 영역(12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삽입부(121)의 경사진 영역의 상부에 팁 영역(1211)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n area of on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may have a tip area (1211) having an acute angle, for example, the tip area (1211) may be formed sharply at an acute angle in an area that first begins to pierce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As a specific example, the tip area (12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area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이를 통하여 삽입부(121)로부터 인체의 표피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생검용 니들셋(100)이 용이하게 원하는 생체의 조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iopsy needle set (1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human epidermis from the insertion portion (121) and easily moved toward the desired tissue direction of the living body.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121)의 외면, 즉 속침부(110)를 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에는 커팅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an optional embodiment, a cutting area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i.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insertion portion (110).
삽입부(121)의 경사진 형태 및 이에 대응하는 영역의 외면에서의 커팅 영역을 통하여 겉침부(120)가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더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The inclined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and the cutting are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area enable the outer needle portion (120) to be inserted more naturally and easily when penetrating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thereby facilitating tissue collection.
또한, 삽입부(121)와 팁 영역(1211)의 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생검 대상자에 대한 고통을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deforma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and the tip region (1211) can be reduced, and pain to the biopsy subject can be reduc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0)는 속침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겉침부(120)는 겉침 본체(122)로부터 삽입부(121)까지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속침부(110)가 이러한 겉침부(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겉침부(120)의 내부의 최소 직경은 적어도 속침부(110)의 최대 직경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outer needle part (120) may be formed to be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inner needle part (110). For example, the outer needle part (120) may have an inner space in a hollow form from the outer needle body (122) to the insertion part (121), and the inner needle part (110) may be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As a specific example, the minimum diameter of the inside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may be at least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inner needle part (110).
겉침부(120) 내부의 최소 직경과 속침부(110) 외부의 최대 직경의 차이는 최소화할수록 좋다. 다만, 제조 공차 등을 고려할 때, 이 차이는 0.05mm 이하로 할 수 있다(0 초과로 한다). 겉침부(120) 내부의 최소 직경과 속침부(110) 외부의 최대 직경의 차이를 최소화할수록 생검용 니들셋(100)을 인체에 삽입할 때에 인체의 조직으로부터 전달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부드럽게 니들셋(100)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특히 위 차이가 0.05mm보다 클 경우 시술자가 니들셋(100)의 삽입 시 저항감을 크게 느낄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diameter inside the outer needle part (120) and the maximum diameter outside the inner needle part (110) should be minimized, which is better. However, considering manufacturing tolerances, etc., this difference can be set to 0.05 mm or less (greater than 0). The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diameter inside the outer needle part (120) and the maximum diameter outside the inner needle part (110) is minimized, the more the resistance transmitted from the tissue of the human body can be minimized when inserting the biopsy needle set (100) into the human body, and the smoothest possible insertion of the needle set (100) is possible. In particular,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0.05 mm, the operator may feel a great sense of resistance when inserting the needle set (100).
속침부(110)는 속침 본체(112), 채취 그루브(113) 및 헤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edle part (110) may include a needle body (112), a collection groove (113), and a head part (111).
속침 본체(112)는 겉침부(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body (112) can b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body (120).
채취 그루브(113)는 속침 본체(112)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생검용 니들셋(100)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이 수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on groove (113)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needle body (112) and may include an area where tissue for biopsy is received using a biopsy needle set (100).
채취 그루브(113)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예를 들면 속침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extraction groove (113) has an elongated shape and may have, for example, an appropriat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 (110).
채취 그루브(113)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113)의 폭은 속침 본체(112)의 최대 폭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The sampling groove (113) may have a wid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width of the sampling groove (113) may hav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width of the needle body (112).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113)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보다 중심에서의 깊이가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채취 그루브(113)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채취 그루브(113)에 효과적으로 많은 조직이 수용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epth of the sampling groove (113) may be greater at the center than at the edge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the sampling groove (113) may become deeper from the edge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center, thereby effectively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tissue in the sampling groove (113).
채취 그루브(113)는 헤드부(11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The extraction groove (113) can be placed close to the head portion (111).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채취 그루브(113)는 채취 면(1131)과 지지 벽(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채취 면(1131)은 채취 그루브(113)에 채취된 조직이 안착되는 영역에 대응되며, 속침 본체(112)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취 면(1131)은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부가 내측으로 보다 인입된 원호 형일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harvesting groove (113) may include a harvesting surface (1131) and a supporting wall (1132). The harvesting surface (1131)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tissue harvested in the harvesting groove (113) is settled, and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that is drawn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needle body (112). The harvesting surface (1131) may be formed to form a flat surfac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arc shape in which the center is drawn inward more.
채취 면(1131)의 일단에 지지 벽(1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벽(1132)은 채취 면(1131)의 제1 방향(D1)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벽(1132)은 조직 채취 시 채취 면(1131)에 안착된 조직을 겉침부(120)가 절단할 때에 겉침부(120)에 의해 채취 면(1131)에 안착된 조직이 밀려나 채취 면(1131)을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 support wall (113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harvesting surface (113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pport wall (1132) may b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harvesting surface (1131)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support wall (1132)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to prevent the tissue settled on the harvesting surface (1131) from being pushed out by the surface (120) and leaving the harvesting surface (1131) when the surface (120) cuts the tissue settled on the harvesting surface (1131) during tissue harvesting.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113)는 겉침부(120)의 삽입부(121)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삽입부(121)의 경사진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생검용 니들셋(100)의 표피로 삽입하여 조직 채취 시 삽입되는 깊이를 감소하여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ollection groove (113) may be formed to overlap with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of the outer portion (120), and for example,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with an incline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21). Through this, the depth of insertion when inserting the biopsy needle set (100) into the epidermis to collect tissue can be reduced, making it easy to collect tissue.
헤드부(111)는 속침 본체(1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부(111)는 삽입부(121)와 함께 인체의 표피를 통하여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11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2) of the needle and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area for biopsy. For example, the head portion (111) may include an area that begins to enter through the epidermis of the human body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ortion (121).
헤드부(11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삽입부(121)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영역을 가질 수 있다.The head portion (111) includes an inclined region, and may have an inclined reg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shape of the insert portion (121), for example.
이를 통하여 겉침부(120)는 속침부(110)를 수용한 채로 인체의 표피를 뚫고 채취할 조직에 근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uter needle (120) can be inserted so as to penetrate the human epidermis while containing the inner needle (110) and approach the tissue to be harvested.
선택적 실시예로서 헤드부(111)의 경사진 영역은 3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구체적 예로서 20도 이하의 각을 가질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clined region of the head portion (111) may have an inclined shape with an angle of 30 degrees or less, and, as a specific example, may have an angle of 20 degrees or less.
실시예에 따른 니들 셋(100)은 속침부(110)의 커팅 영역의 커팅 각도와 겉침부(120)의 커팅 영역의 커팅 각도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겉침부(120)에 의해 속침부(110)의 채취 그루브(113)를 완전히 덮은 상태에서 겉침부(120)의 팁 영역(1211)이 속침부(110)의 컷팅 영역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needle s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have the cutting angle of the cutting area of the inner needle (110) and the cutting angle of the cutting area of the outer needle (120) be opposite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ip area (1211) of the outer needle (120)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outside the cutting area of the inner needle (110) while the collecting groove (113) of the inner needle (110)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outer needle (120).
도 1의 생검용 니들셋(100)을 제1 방향(D1)으로 조직을 채취할 영역, 예를 들면 인체의 조직을 향하여 표피를 뚫고 삽입된 후, 도 2에 도시한 대로 겉침부(120)가 덮고 있는 속침부(110)의 채취 그루브(113)가 노출되도록 한다.The biopsy needle set (100) of Fig. 1 is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oward an area from which tissue is to be collected, for example, human tissue, by penetrating the epidermis, and then the collection groove (113) of the inner needle part (110) covered by the outer needle part (120) is exposed as shown in Fig. 2.
이러한 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속침부(110)의 외면은 겉침부(120)의 내면과 가능하면 가깝게 또는 틈이 적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속침부(110)와 겉침부(120)가 일체로 표피를 뚫고 진입할 수 있고, 시술자가 니들셋(100)을 조직에 삽입 시 저항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o facilitate this move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needle (110) can be form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needle (120) or with a small gap therebetween, thereby allowing the inner needle (110) and the outer needle (120) to penetrate the epidermis as one unit, and minimizing the resistance felt by the operator when inserting the needle set (100) into the tissue.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속침부(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겉침부(120)가 제2 방향(D2)로 운동하여 채취 그루브(113)가 노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outer needle part (120)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D2) while the inner needle part (110) is fixed so that the extraction groove (113) may be exposed.
노출된 채취 그루브(113)에 원하는 조직이 수용될 수 있고, 이 때 채취 그루브(113)에는 조직이 효과적으로 올려진 채 유지될 수 있다.A desired tissue can be accommodated in the exposed harvest groove (113), and at this time, the tissue can be effectively placed and maintained in the harvest groove (113).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조직을 채취한 후에 겉침부(120)는 다시 제1 방향(D1)으로 전진하여 도 1과 같은 상태로서 채취 그루브(113)는 겉침부(120) 로 덮임으로써 겉침부(120)에 의해 채취 그루브(113)에 안착된 조직이 절단될 수 있다. 이 후, 생검용 니들셋(100)은 표피로부터 나와서 채취 그루브(113)를 다시 개방시킨 후 채취 그루브(113)로부터 조직을 회수할 수 있다.After collecting tissue in a state as shown in Fig. 2, the outer needle (120) advances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D1) so that the collecting groove (113) is covered by the outer needle (120) in a state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tissue settled in the collecting groove (113) by the outer needle (120) can be cut. Thereafter, the biopsy needle set (100) comes out of the epidermis to open the collecting groove (113) again, and then the tissue can be recovered from the collecting groove (113).
이러한 생검 과정에서 겉침부(120)가 제1 방향(D1)으로 전진하여 채취 그루브(113)에 안착된 조직을 절단한 후 속침부(110)의 헤드부(111)를 지나게 되는 데, 이 때 겉침부(120)의 팁 영역(1211)이 속침부(110)의 지지 벽(1132)과 교차하면서 지나갈 수 있다. 이 경우 겉침부(120)의 팁 영역(1211)이 속침부(110)의 지지 벽(1132)과 부딪힘으로 인해 팁 영역(1211)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술자는 조직 채취 시에 저항감을 받을 수 있으며, 조직 채취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In this biopsy process, the outer needle (120) advances in the first direction (D1) to cut the tissue settled in the collection groove (113) and then passes the head (111) of the inner needle (110). At this time, the tip area (1211) of the outer needle (120) may pass while intersecting with the support wall (1132) of the inner needle (110). In this case, the tip area (1211) of the outer needle (120) may collide with the support wall (1132) of the inner needle (110), causing damage to the tip area (1211). As a result, the operator may experience resistance when collecting tissue,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tissue collection may not proceed smoothly.
한편 이러한 생검 과정은 시술의 종류에 따라 복수 회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인체의 일 부위에 니들셋(100)을 삽입하여 조직을 채취한 후, 인접 부위 및/또는 다른 부위에 니들셋(100)을 삽입하여 조직을 추가 채취할 수 있다. Meanwhile, this biopsy process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in success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rocedure. That is, the operator may insert a needle set (100) into one part of the human body to collect tissue, and then insert a needle set (100) into an adjacent part and/or another part to collect additional tissue.
이처럼 통상 생검 시술 시 단일의 니들셋(100)을 동작하여 복수 회 시술을 시행해야 하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겉침부(120)의 팁 영역(1211)이 속침부(110)의 지지 벽(1132)과 부딪힘으로 인해 팁 영역(1211)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시술자는 니들 셋(100)을 조직에 삽입할 때부터 많은 저항감을 받게 되고, 아울러 손상된 팁 영역(1211)이 타겟이 되는 조직의 인접 조직까지 손상을 입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performing a typical biopsy procedure, a single needle set (100) must be operated to perform multiple procedures. However, as described above, if the tip area (1211)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collides with the support wall (1132) of the inner needle part (110), causing damage to the tip area (1211), the operator will experience a lot of resistance when inserting the needle set (100) into the tissue, and the damaged tip area (1211) may also result in damaging adjacent tissues of the targeted tissu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셋(100)은, 상기 속침부와 상기 겉침부의 상대적 이동에 따른 중첩 영역에 마찰 저감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찰 저감부에 의해 겉침부(120)의 팁 영역(1211)이 속침부(110)를 지나쳐 이동할 때에 속침부(110)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 회 시술 시에도 무리 없이 생검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eedle se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riction reduction portion in an overlapping area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ner and outer needle portions. This friction reduction portion prevents the tip area (1211) of the outer needle portion (120)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with the inner needle portion (110) when it moves past the inner needle portion (110), and enables the biopsy device to be operated without difficulty even during multiple procedur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마찰 저감부(R1)는 속침부 채취 그루브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 저감부(R1)는 채취 그루브의 지지 벽(1132)에 위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R1) may be positioned in the subcutaneous sampling groove. More specifically, the friction reducing member (R1) may be positioned in the supporting wall (1132) of the sampling groove.
이러한 마찰 저감부(R1)는, 겉침부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 시 팁 영역(1211)에 인접한 채취 그루브의 지지 벽(1132)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This friction reduction portion (R1) can be positioned in the area of the support wall (1132) of the extraction groove adjacent to the tip area (1211) when the outer surface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 벽(1132)을 서로 경사 각도를 달리한 제1 지지 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의 구조에 의해 상기 마찰 저감부(R1)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벽(11321)은 채취 면(1131)에 보다 인접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벽(11322)은 헤드부(111) 외측 상면에 보다 가까이 위치한 영역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wall (1132) may be formed by a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a second support wall (11322)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The friction reduction portion (R1) may be implemented by the structure of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may be an area closer to the extraction surface (1131).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may be an area located closer to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1).
그리고 제1 지지 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 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의 사이에 다단의 연결 구조가 더 위치할 수 있다.And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multi-stag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furth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벽(11321)과 채취 면(1131)이 이루는 제1 각도(a1)는 제2 지지 벽(11322)과 채취 면(1131)이 이루는 제2 각도(a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 벽(11321)은 제2 지지 벽(11322)보다 채취 면(1131)에 대해 급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angle (a1) formed by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harvesting surface (113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a2) formed by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and the harvesting surface (1131).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may form a steeper slope with respect to the harvesting surface (1131) than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이처럼 제1 지지 벽(11321)이 제2 지지 벽(11322)보다 채취 면(1131)에 대해 급한 경사를 형성해, 제1 지지 벽(11321)이 조직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조직 절단 시 겉침부(120)에 의해 조직이 채취 면(1131)에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벽(11322)이 제1 지지 벽(11321)에 비해 채취 면(1131)에 대해 작은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조직 절단 과정에서 겉침부(120)의 팁 영역(12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forms a steeper slope with respect to the harvesting surface (1131) than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thereby allowing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to support the tissue, thereby preventing the tissue from being pushed away from the harvesting surface (1131) by the prosthesis (120) during tissue cutting.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forms a smaller slope with respect to the harvesting surface (1131) than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thereby preventing the tip region (1211) of the prosthesis (120)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tissue cutting process.
따라서 니들 셋(100)을 복수 회 사용하더라도 니들 셋(100)이 손상되거나 시술자가 조작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needle set (100) is used multiple times, the needle set (100) may not be damaged or the operator may not feel discomfort in operating 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지지 벽(11321)의 제1 길이(L1)가 제2 지지 벽(11322)의 제2 길이(L2)보다 길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can be seen in FIG. 3, the first length (L1) of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can be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L2) of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이렇게 제1 지지 벽(11321)의 제1 길이(L1)가 제2 지지 벽(11322)의 제2 길이(L2)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벽(11321)이 절단된 조직에 대한 지지체로서 더욱 높게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By forming the first length (L1) of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L2) of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can function higher as a support for the cut tissue,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로 나타낸다.Fig. 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part A of Fig. 2. The same elements as in Fig. 3 are denoted by the same terminology.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 셋(100)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 벽(1132)은 서로 경사 각도를 달리한 제1 지지 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벽(11321)은 채취 면(1131)에 보다 인접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벽(11322)은 헤드부(111) 외면에 보다 가까이 위치한 영역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needle set (1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a second support wall (11322)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s shown in FIG. 4.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may be an area closer to the harvesting surface (1131).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may be an area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1).
그리고 제1 지지 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 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의 사이에 다단의 연결 구조가 더 위치할 수 있다.And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multi-stag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furth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벽(11321)과 채취 면(1131)은 곡률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및/또는 제2 지지 벽(11322)과 헤드부(111) 외면이 곡률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및/또는 제1 지지 벽(11321)과 제2 지지 벽(11322)은 곡률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extraction surface (1131) may be connected to have a curvature. And/or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11) may be connected to have a curvature. And/or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may be connected to have a curvature.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벽(11321)과 채취 면(1131)이 이루는 제1 각도(a1)는 제2 지지 벽(11322)과 채취 면(1131)이 이루는 제2 각도(a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 벽(11321)은 제2 지지 벽(11322)보다 채취 면(1131)에 대해 급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ngle (a1) formed by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and the harvesting surface (1131)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a2) formed by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and the harvesting surface (1131).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may form a steeper slope with respect to the harvesting surface (1131) than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이처럼 제1 지지 벽(11321)이 제2 지지 벽(11322)보다 채취 면(1131)에 대해 급한 경사를 형성해, 제1 지지 벽(11321)이 조직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조직 절단 시 겉침부(120)에 의해 조직이 채취 면(1131)에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벽(11322)이 제1 지지 벽(11321)에 비해 채취 면(1131)에 대해 작은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조직 절단 과정에서 겉침부(120)의 팁 영역(12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forms a steeper slope with respect to the harvesting surface (1131) than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thereby allowing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to support the tissue, thereby preventing the tissue from being pushed away from the harvesting surface (1131) by the prosthesis (120) during tissue cutting.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forms a smaller slope with respect to the harvesting surface (1131) than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thereby preventing the tip region (1211) of the prosthesis (120)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tissue cutting process.
따라서 니들 셋(100)을 복수 회 사용하더라도 니들 셋(100)이 손상되거나 시술자가 조작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needle set (100) is used multiple times, the needle set (100) may not be damaged or the operator may not feel discomfort in operating it.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지지 벽(11321)의 제1 길이(L1)가 제2 지지 벽(11322)의 제2 길이(L2)보다 길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can be seen in FIG. 4, the first length (L1) of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can be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L2) of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이렇게 제1 지지 벽(11321)의 제1 길이(L1)가 제2 지지 벽(11322)의 제2 길이(L2)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벽(11321)이 절단된 조직에 대한 지지체로서 더욱 높게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By forming the first length (L1) of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L2) of the second support wall (11322), the first support wall (11321) can function higher as a support for the cut tissue, as described abov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단 생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utting biopsy instrument including a biopsy needle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biopsy instrument of FIG.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given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functions.
절단 생검 기구의 생검용 니들셋(100)은 생체, 예를 들면 인체에 대한 생검을 위하여, 생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A biopsy needle set (100) of a cutting biopsy device can accommodate at least one area of tissue from a living body, for example, a human body, for biopsy.
예를 들면 생검용 니들셋(100)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의 생검 방향(D)을 기준으로 검사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검용 니들셋(100)을 제1 방향(D1)으로 생체, 예를 들면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운동하여 표피의 일 영역을 뚫고 표피 내로 삽입되고 생검을 원하는 생체의 내부 영역에까지 이르고, 원하는 조직을 떼어내어 제2 방향(D2)으로 운동하여 표피의 외부로 나와서 생검용 니들셋(100)이 떼어낸 조직에 대한 생검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 biopsy needle set (100) can define an examination direction based on a biopsy direction (D) of a first direction (D1) or a second direction (D2). Specifically, the biopsy needle set (10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a living body, for example, the epidermis of a human body, so as to penetrate an area of the epidermis, be inserted into the epidermis, and reach an internal area of the living body where a biopsy is desired, remove a desired tissue,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D2) so as to come out of the epidermis, so that a biopsy can be easily performed on the tissue removed by the biopsy needle set (100).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100)는 속침부(110), 겉침부(120) 및 이동 블럭(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속침부(110), 겉침부(120) 및 이동 블록(200)은 하우징(미도시) 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biopsy needle se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ner needle part (110), an outer needle part (120), and a moving block (2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needle part (110), the outer needle part (120), and the moving block (200) may be accommodated in a housing (not shown).
겉침부(120)의 길이는 속침부(1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outer needle (120)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needle (110).
겉침부(120) 및 속침부(11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lining (120) and the inner lining (110)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5와 같이 겉침부(120)가 전진 방향인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최대 전진한 상태에서 니들셋(100)을 전진하여 채취를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난 후에 도 6과 같이 겉침부(120)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여 속침부(110)의 채취 그루브가 노출되어 조직을 수용하여 채취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0)의 내부와 속침부(110)간 음압 발생으로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outer needle part (120) is advanced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ch is the forward direction, the needle set (100) can be advanced to move to the area where the extraction is desired. Then, as shown in Fig. 6, the outer needle part (120) is moved in the backward direction (D2) so that the extraction groove of the inner needle part (110) is exposed to receive and extract tissue. At this time,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traction of tissue can be facilitated by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and the inner needle part (110).
조직을 채취하고 나서 다시 도 5와 같이 겉침부(120)가 이동하여 채취 그루브(113)를 덮은 후에 조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니들셋(100)을 이동한 후에 채취 그루브로부터 조직을 취득해 필요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After collecting the tissue, as shown in Fig. 5, the outer surface (120) is moved again to cover the collection groove (113), and then the needle set (100) is moved away from the tissue, and then the tissue is collected from the collection groove to perform the necessary examination.
이러한 겉침부(120)의 속침부(110)에 대한 이동은 이동 블럭(200)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속침부(110)는 겉침부(120) 및 이동 블록(20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속침부(110)에 의해 겉침부(120) 및 이동 블록(200)의 이동이 간섭 받지 않은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outer piercing part (120) relative to the inner piercing part (110) can be performed using the moving block (200). The inner piercing part (110) can be positioned to penetrate the outer piercing part (120) and the moving block (200), and the movement of the outer piercing part (120) and the moving block (200) can be made without interference by the inner piercing part (110).
이동 블럭(200)은 고정점(HST)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겉침부(120)가 제1 방향(D1)으로 최대 이동 시 속침부(110)를 지나치지 않고, 속침부(110)와 동일한 단부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조직 채취할 대상, 예를 들면 인체의 표피를 일체화되어 뚫을 수 있다.The moving block (200) can be fixed through a fixed point (HST), through which the outer needle part (120) can maintain the same end as the inner needle part (110) without passing the inner needle part (110) when moving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in this state, the target for tissue extraction, for example, the epidermis of a human body, can be integrally pierc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고정점(HST)은 니들셋(10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부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such a fixed point (HST) may be placed in an area inside a housing that accommodates at least an area of the needle set (100).
또한, 이동 블럭(200)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통하여 겉침부(120)를 용이하게 후진하여 속침부(110)의 채취 그루브를 노출할 수 있고, 조직을 채취한 후에는 다시 이동 블럭(20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겉침부(120)가 전진하도록 하여 채취 그루브(113)를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속침부(110)는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1) 및/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제한적일 수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he movable block (200)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outer needle part (120) can be easily moved backward to expose the collection groove of the inner needle part (110), and after the tissue is collected, the movable block (200)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again to allow the outer needle part (120) to move forward to cover the collection groove (11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ner needle part (110) can be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2) can be limited.
채취 그루브(113)의 노출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 블록(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속침부(11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함으로써 채취 그루브(113)가 겉침부(12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속침부(110)도 별도의 이동 블록과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방향(D1) 및/또는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도 결국 노출된 채취 그루브(113)를 겉침부(120)가 제1 방향(D1)으로 전진하여 덮음으로써 채취 그루브(113) 내에 안착된 조직을 절단한다.The exposure of the harvesting groove (113)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e harvesting groove (113) may be exposed from the outer needle part (120) by the inner needle part (110)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the moving block (200) is fixed. For this purpo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ner needle part (110) may also be connected to a separate moving block, and thus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2) by the user's manipulation. Even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needle part (120) eventually covers the exposed harvesting groove (113) by advanc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reby cutting the tissue settled in the harvesting groove (113).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은 속침부와 겉침부를 포함할 수 있고, 겉침부를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생검용 니들셋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겉침부(120)가 결합된 이동 블록(200)은 별도의 스프링과 결합될 수 있으며, 겉침부(120)의 제1 방향(D1)으로의 전진은 응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해제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The biopsy needle se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nner needle part and an outer needle part, and the outer needle part may be easily moved. Through this, tissue for biopsy may be easily collected using the biopsy needle se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ving block (200) to which the outer needle part (120) is coupled may be coupled with a separate spring, and the advancement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in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made possible by relea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ndensed spring by the user's manipulation.
이러한 구조에서도 전술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서 겉침부(120)의 구동에 따라 팁 영역(12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복수회 시술해도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Even in this structure, by applying 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p area (1211)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outer surface (120), and to ensure that no problems occur even if the procedure is performed multiple times.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겉침부(120)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마찰 저감부(R2)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니들 셋(100)은, 속침부와 겉침부의 상대적 이동에 따른 중첩 영역에 마찰 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는 데,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찰 저감부(R2)는 겉침부(120)의 제2 방향(D2) 단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겉침부(120)의 실시예는, 상기 마찰 저감부(R2)로서, 겉침 본체(122)의 일단에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3)는 겉침부(120)의 제2 방향 단부에 위치할 수 있는 데, 겉침 본체(122)의 제1 내경(d1)보다 긴 제2 내경(d2)을 가질 수 있다.FIG. 7 illustrates a part of an outer needle part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friction reduction part (R2).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needle s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friction reduction part in an overlapping area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ner needle part and the outer needle part,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riction reduction part (R2) may be positioned at an end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embodiment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may include a protrusion (123) protruding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outer needle body (122) as the friction reduction part (R2). The protrusion (123) may b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have a second inner diameter (d2) that is longer than the first inner diameter (d1) of the outer needle body (122).
따라서 겉침부(120)를 관통하는 속침부(110)는 돌출부(123)가 형성된 부분에서 겉침부(120)와 더욱 이격될 수 있다. 즉, 속침부(110)와 겉침 본체(122)와의 사이 간격보다 속침부(110)와 돌출부(123) 사이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ner needle (110) penetrating the outer needle (120) can be further separated from the outer needle (120) at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123)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gap between the inner needle (110) and the protrusion (123) can be formed wider than the gap between the inner needle (110) and the outer needle body (122).
이렇게 돌출부(123)를 겉침부(120)의 제2 방향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속침부(110)와 겉침부(120)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에 속침부(110)와 교차하게 되는 겉침부(120)의 제2 방향 단부가 속침부(110)와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속침부(110)와 겉침부(120)의 상호 슬라이딩 이동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속침부(110)와 겉침부(120)의 상호 슬라이딩 이동 시에 발생하는 마찰 느낌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드럽게 시술이 이루어지는 감을 받을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protrusion (123) in this way at the second direction end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when the inner needle part (110) and the outer needle part (12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e second direction end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that intersects the inner needle part (110) is minimized from contacting the inner needle part (110), and the mutual sliding movement of the inner needle part (110) and the outer needle part (120) can be made smoother. Accordingly, the user can minimize the feeling of friction that occurs when the inner needle part (110) and the outer needle part (120) slide relative to each other, and can feel that the procedure is being performed smoothly.
이러한 돌출부(123)는 겉침부(120)의 제2 방향(D2) 단부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개되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23)는 겉침 본체(122)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se protrusions (123)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expands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second direction (D2) end of the outer needle part (120).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s (123)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outer needle body (122).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23)는 겉침부(120)의 제2 방향 단부의 구경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123) can be formed in a manner that expands the diameter of the second end of the outer portion (120).
이러한 돌출부(123)를 갖는 겉침부(120)는 이동 블록(200)에 결합될 때에 도 8과 같이 이동 블록(200)의 제2 방향(D2) 단부(20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겉침부(120)가 삽입되는 이동 블록(200)의 구멍은 동일 직경을 갖는 관 형상이 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120) having such a protrusion (123) can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second direction (D2) from the second direction (D2) end (201) of the moving block (200) when combined with the moving block (200) 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hole of the moving block (200) into which the outer portion (120) is inserted can have a tubular shape with the same diameter.
돌출부(123)를 갖는 겉침부(120)는 도 9와 같이 이동 블록(200)의 제2 방향(D2) 단부(201)와 돌출부(123)가 동일 직선 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겉침부(120)가 삽입되는 이동 블록(200)의 구멍은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일부 확개되는 관 형상이 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120) having the protrusion (12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direction (D2) end (201) of the moving block (200) and the protrusion (123) are form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hole of the moving block (200) into which the outer portion (120) is inserted may have a tubular shape that is partially expanded as it goes in the second direction (D2).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은 독립되게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들이나, 각 실시예들의 구조가 다른 실시예에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ructure of each embodiment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to other embodim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xamples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xamples in any way.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component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s (especially in the claims) may be in both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unless otherwise stated),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Finally, unless the order is explicitly stated or otherwise stated in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described.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intend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otherwise stated by the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Claims (6)
상기 겉침부와 결합되고 상기 겉침부를 생검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 및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와 상기 겉침부의 상대적 이동에 따른 중첩 영역에 마찰 저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취 그루브는 상기 속침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상 조직이 안착되고, 상기 속침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는 채취 면; 및
상기 채취 면의 일단에 경사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지지 벽;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는 상기 채취 그루브의 상기 지지 벽에 위치하는 절단 생검 기구.A needle set comprising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through which the lower portion passes and which is adapted to move relatively to the lower portion;
A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above-mentioned outer portion and moving the above-mentioned outer portion along the biopsy direction;
The above inner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outer portion,
The main body of the needle;
A collection groove formed in one area of the above-mentioned needle body; and
Including a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and inclined toward the area for biopsy;
Further including a friction reduction part in the overlapping area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above inner and outer lining parts,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groove is formed in a groove shape that is drawn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needle body,
A harvesting surface including a surface on which the target tissue is settle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of the needle; and
Including a support wall provided to have a slope on one end of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surface;
The above friction reducing member is a cutting biopsy instrument located on the support wall of the above collection groove.
상기 지지 벽은 상기 채취 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절단 생검 기구.In the first paragraph,
A cutting biopsy device, wherein the support wall includes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angles with respect to the sampling surface.
상기 마찰 저감부는 상기 겉침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절단 생검 기구.
In the first paragraph,
A cutting biopsy device, wherein the friction reducing portion is located at an end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21722A KR102816705B1 (en) | 2022-09-26 | 2022-09-26 | Needle set for biops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21722A KR102816705B1 (en) | 2022-09-26 | 2022-09-26 | Needle set for biopsy |
Public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42891A KR20240042891A (en) | 2024-04-02 |
| KR102816705B1 true KR102816705B1 (en) | 2025-06-25 |
| KR102816705B9 KR102816705B9 (en) | 2025-07-14 |
Family
ID=9071481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21722A Active KR102816705B1 (en) | 2022-09-26 | 2022-09-26 | Needle set for biops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16705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6078118B2 (en) * | 2014-07-30 | 2017-02-08 |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 Replaceable core biopsy needle |
| CN107811656A (en) | 2012-08-13 | 2018-03-20 | 德威科医疗产品公司 | Biopsy system |
| JP2021514779A (en) * | 2018-03-05 | 2021-06-17 | パイパー・アクセス、エルエルシー | Bone biops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44503B1 (en) * | 2018-09-06 | 2021-04-27 |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 Needle set for biopsy |
-
2022
- 2022-09-26 KR KR1020220121722A patent/KR1028167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7811656A (en) | 2012-08-13 | 2018-03-20 | 德威科医疗产品公司 | Biopsy system |
| JP6078118B2 (en) * | 2014-07-30 | 2017-02-08 |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 Replaceable core biopsy needle |
| JP2021514779A (en) * | 2018-03-05 | 2021-06-17 | パイパー・アクセス、エルエルシー | Bone biops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16705B9 (en) | 2025-07-14 |
| KR20240042891A (en) | 2024-04-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040133124A1 (en) | Flexible biopsy needle | |
| JP5997297B2 (en) | Tissue collection device | |
| JP5686448B2 (en) | Hair follicle unit removal device having a rotation holding member | |
| US20080300507A1 (en) | Biopsy Needle | |
| EP2883503B1 (en) |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 |
| JP2004504094A (en) | Biopsy needle for taking another sample from human or animal organs | |
| CN101816577A (en) | Biopsy needle combination for bone puncture biopsy | |
| JP3661470B2 (en) | Tissue collection device | |
| EP2862520A1 (en) | Biopsy device | |
| CN107427293B (en) | Biopsy needle | |
| KR102816705B1 (en) | Needle set for biopsy | |
| KR102065068B1 (en) | Needle structure of core biopsy device | |
| KR102244503B1 (en) | Needle set for biopsy | |
| JP2001070307A (en) | Tissue collecting apparatus | |
| US11229423B2 (en) | Tissue collecting instrument | |
| KR102384813B1 (en) | Needle set for biopsy | |
| KR20160057564A (en) | Biopsy needle assembly | |
| JP7263055B2 (en) | biopsy needle | |
| JP2000014769A (en) | Indwelling tube device | |
| KR102738000B1 (en) | Core biopsy device | |
| KR101862482B1 (en) | Syringe with needle for picking cellular tissue | |
| CN217659964U (en) | Cutting sampling device | |
| JP2024151390A (en) | Biopsy needle | |
| JP5577000B1 (en) | Biopsy tool | |
| KR102416512B1 (en) | Needle structure of core biops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R15-X000 |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5-oth-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R16-X000 | Change to inventor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6-oth-X000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250714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Gazette number: 102816705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