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04125B1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04125B1 KR102804125B1 KR1020220099983A KR20220099983A KR102804125B1 KR 102804125 B1 KR102804125 B1 KR 102804125B1 KR 1020220099983 A KR1020220099983 A KR 1020220099983A KR 20220099983 A KR20220099983 A KR 20220099983A KR 102804125 B1 KR102804125 B1 KR 102804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it
- dehumidifying
- treatment device
- air
- in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부에 수용된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공간에 대한 건조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캐비닛 내에 설치되고,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와 전방면이 대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면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덕트; 상기 흡입덕트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여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는 유입덕트;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투입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분리시키는 제습키트; 및 상기 제습키트의 설치 여부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capable of drying clothing or bedding accommodated therein as well as having a drying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is provided.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um installed in a cabinet, the front surface of which faces an inlet of the cabinet; a suction duc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rum and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a circulation path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and guiding the flow of air; an inlet duct connecting the circulation path and the drum to reintroduce air into the drum; a circulation fan forming a flow of air between the suction duct and the inlet duct; a heat exchange unit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ath and exchanging heat with air; a dehumidifying kit installed on the inlet and separating the movement paths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through the inle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through the inle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um and the circulation fan depending on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공간에 대한 건조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apable of drying clothing or bedding accommodated therein as well as having a drying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에서 또는 세탁소 등과 같은 곳에서 의류 내지 침구 등을 세탁하거나, 건조시키거나, 구김을 제거하는 등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는 모든 장치들을 가리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세탁기 겸 건조기 등을 포함한다.A garment handling device refers to any device that manages or processes clothing, such as washing, drying, 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or bedding, in a home or at a laundromat. A garment handling device includes a washing machine, a dryer, or a washer-dryer combination.
이들 중 특히 건조기는 드럼(또는 터브)으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 등과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Among these, dryers in particular supply hot air to objects to be treated, such as clothing or bedding, placed in a drum (or tub) to evaporat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objects to be treated.
드럼에서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머금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건조기에 구비되는 순환유로 상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가열된 후 드럼으로 재유입된다.The moistur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is evaporated in the drum, and the air leaving the drum contains the moistur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becoming hot and humid. This hot and humid air is heated and has its moisture removed through a circulation path provided in the dryer, and then is reintroduced into the drum.
상기와 같은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9-0128464호(이하, ‘선행문헌’이라고 함)는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relation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rying clothing or bedding as described abov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2846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disclos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구체적으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개시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rum for accommodating clothing, a circulation path forming a path for allowing air discharged from a front opening of the drum to enter a rear opening of the drum through heat exchange, and a base cabinet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drum to provide a space in which various parts are mounted.
그러나, 선행문헌의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 내에 수용된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가 설치된 외부 공간에 대한 건조 기능을 특별히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of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configuration for drying garments or bedding contained in a drum,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function for the external space in which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is not specifically considered.
특히, 의류 처리 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습기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의류 처리 장치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공간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 다기능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류 처리 장치에서 외부 공간을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밖에 없다.In particular, since the multifunctionality of conveniently creating a comfortable space by removing moisture in the space wher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through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without a separate device is emerg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drying the external space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inevitably required.
이상과 같이, 내부에 수용된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는 외부 공간에 대한 건조 기능까지도 적절하게 구현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나,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dries clothing or bedding accommodated inside has the task of properly implementing a drying function for external spaces as well, but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have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properly solve this task.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가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가 필요에 따라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까지도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dries clothing or bedding accommodated therein and, if necessary, can also implement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또한,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보다 효율적으로 제습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able a more efficient dehumidification function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us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필요한 경우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의류 처리 장치가 항상 최적의 제어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asily determine whether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is necessary so tha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an always operate under optimal control.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필요에 따라 제습키트를 설치하여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투입구 상에 설치되는 제습키트를 통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제습된 후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purpos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can be implemented by installing a dehumidifying kit as needed. Specifically, the dehumidifying kit installed on the inlet is configured so that air from an external space is introduced into a circulation path, dehumidified,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external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여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습키트에 의하여 투입구를 통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를 통해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timize the movement path of air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thereby improving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Specifically, the movement paths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through the inlet by the dehumidification ki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through the inlet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필요한 경우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제어가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습키트의 설치 여부를 반영하여 제어부가 드럼과 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n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is necessary and to perform optimal control accordingly.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um and the circulation fan by reflecting whether a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에 형성된 접촉단자와 캐비닛에 설치된 전극센서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제습키트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a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through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a contact terminal formed on a dehumidifying kit is in contact with an electrode sensor installed in a cabine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가 드럼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control unit stop the operation of the drum when a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가 순환팬의 부하를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load of the circulation fan when a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control unit unlock the door when a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투입구와 흡입덕트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부의 상면에 제습키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humidifying k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filter section installed between an inlet and a suction duc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가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humidifying kit including a first body part and a second body par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의 홀더부를 통해 도어를 열린 상태로 홀딩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ld the door in an open state through the holder part of the dehumidifying ki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자력을 통해 홀더부와 도어가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holder and a door attached through magnetic forc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의 접촉단자가 캐비닛의 복수의 지점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nable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dehumidifying ki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cabine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제습키트의 접촉단자가 탄성변형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tact terminal of the dehumidifying kit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접촉단자의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촉단자의 중앙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while both ends of the contact terminal are fixe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ans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투입구 상에 설치되는 제습키트를 통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제습된 후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필요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가 설치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from an external space is introduced into a circulation path through a dehumidifying kit installed on an inlet, dehumidified,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external space, so that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wher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can be implemented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에 의하여 투입구를 통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를 통해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가 분리되므로, 제습 전후의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아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ement paths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through the inle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through the inlet are separated by the dehumidification kit, the air before and after dehumidification does not mix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for the external spa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의 설치 여부를 반영하여 제어부가 드럼과 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의류 처리 장치가 항상 최적의 제어로 작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and the circulation fan by reflecting whether or not the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can always be operated with optimal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에 형성된 접촉단자와 캐비닛에 설치된 전극센서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제습키트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므로, 제습키트의 설치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through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act terminal formed on the dehumidification kit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sensor installed in the cabine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가 드럼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불필요한 드럼의 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um, so that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drum can be prevented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가 순환팬의 부하를 낮추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순환팬의 작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lowers the load of the circulation fan, so that nois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도어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unlocks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be kept open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투입구와 흡입덕트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부의 상면에 제습키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필요에 따라 제습키트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humidifying ki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filter section installed between an inlet and a suction duct, so that the dehumidifying kit can be installed and us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가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투입구의 전방면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한 후 투입구의 후방면에서 유입된 공기를 흡입덕트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humidifying kit comprises a first body part and a second body part,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side of the inlet to the suction duct after introducing external air from the front side of the inle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의 홀더부를 통해 도어를 열린 상태로 홀딩 시키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도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원활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held in an open state through the holder part of the dehumidification kit, the door is stably supported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so that a smooth dehumidification function can be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자력을 통해 홀더부와 도어가 부착되므로, 홀더부와 도어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lder and the door are attached through magnetic forc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older and the door can be made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의 접촉단자가 캐비닛의 복수의 지점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제습키트의 설치위치가 일정부분 어긋나더라도 접촉단자를 통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terminal of the dehumidifying k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cabinet, contact can be made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ehumidifying kit is misaligned to a certain ext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습키트의 접촉단자가 탄성변형 가능하므로, 제습키트의 착탈 시 접촉단자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접촉단자를 통한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terminal of the dehumidifying kit is elastically deformable, contact can be made smoothly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while minimizing damage and breakage of the contact terminal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dehumidifying k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접촉단자의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촉단자의 중앙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장기간의 사용시에도 접촉단자의 변형이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both ends of the contact terminal are fixed and the central portion thereof protrudes,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contact terminal can be minimized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순환부 및 열교환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열교환부의 냉매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수행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습키트가 설치되는 부분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에서 제습키트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에서 도어의 홀딩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7에서 제습키트와 필터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7에서 제습키트의 접촉단자와 캐비닛의 전극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착상에 대한 시험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착상 여부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schematic drawings showing the circulation of air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in more detail an air circulation unit and a heat exchange unit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refrigerant circulation of a heat exchange unit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is performed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portion where the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in Figure 7.
Figure 9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circulation of air in Figure 7.
Figures 10 to 12 are drawings showing the dehumidification kit in Figure 7 in more detail.
Fig. 13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the holding state of the door in Fig. 7.
Figures 14 and 15 are drawings showing in more detail the portion where the dehumidifying kit and the filter unit are combined in Figure 7.
Figures 16 and 17 are drawings showing the contact terminals of the dehumidifying kit and the electrode sensors of the cabinet in Figure 7.
FIG. 18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the test results for implantation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garment is implanted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the circulation of air 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의류 처리 장치의 일례로써 건조기를 예로 드나,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 등의 세탁물(또는, 건조물)을 처리하는 기기로써, 건조기에 한하지 않고 세탁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Hereinafter, a dryer is used as an exampl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but it is stated tha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processes laundry (or dry items) such as clothing placed in a drum, and is not limited to a dryer, but may also be a washing machine or a washing machine with a drye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포)이 수용되어 회전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06)와, 드럼(30)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200)와, 드럼(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110)과, 드럼(30)으로부터 순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120),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순환유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a drum (30) that is placed inside the cabinet (10) and rotates while containing laundry (fabric) therein, a driving unit (106) that rotates the drum (30), a heat exchange unit (200) that heats air circulated in the drum (30) to dry laundry and heats the circulated air, a circulation fan (110) that circulates air in the drum (30), a suction duct (120) through which air circulated from the drum (30) is sucked in, and a circulation path (130) that guides the flow of air.
캐비닛(10)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드럼(30)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비닛(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binet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drum (30) and other components are placed. The cabinet (10) may be formed in an overall rectangular solid shape.
캐비닛(10)은 전면에 도어(20)가 배치되고, 도어(20)는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어 캐비닛(10) 내부를 개폐한다. 캐비닛(10)은 프론트커버(11), 탑플레이트(16), 사이드커버(12, 13), 리어커버(15) 및 베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A cabinet (10) has a door (20) arranged on the front, and the door (20) rotates on a hinge around one end to open and close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 The cabinet (10) may include a front cover (11), a top plate (16), side covers (12, 13), a rear cover (15), and a base (14).
프론트커버(11)에는 투입구(18)가 형성되고, 투입구(18)를 여닫는 도어(20)가 구비된다. 투입구(18)는 드럼(30)과 연통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11) is formed with an inlet (18) and is provided with a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8). The inlet (18) can be communicated with a drum (30).
프론트커버(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7)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7)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장치(1000)에 대한 작동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800)(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 동작상태에 대한 음성안내 또는 효과음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는 출력부(175)가 포함될 수 있다.A control panel (17)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over (11). The control panel (17) may include a display (e.g., LCD, LED panel, etc.) that display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n input unit (800) (e.g., button, dial, touch screen, etc.) that receives an operating command for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from a user, and an output unit (175) that outputs voice guidance, sound effects, or warning sounds for the operating status.
입력부(800)는 컨트롤 패널(17)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800)는 전원입력, 동작모드, 세탁물의 종류 설정을 포함한, 운전설정을 입력한다. 입력부(800)는 세탁물의 종류가 선택되고, 전원키가 입력되면,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600)로 입력한다.The input unit (80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switch, or touchpad,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17). The input unit (800) inputs operation settings, including power input, operation mode, and laundry type settings. When the laundry type is selected and the power key is input, the input unit (800) inputs data on the operation settings to the control unit (600).
출력부(175)는 입력부(800)에 의해 입력된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음성안내,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버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운전설정 및 동작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에 대하여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75) includes a display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ettings input by the input unit (800) and output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nd includes a speaker or buzzer that outputs voice guidance,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or a warning sound. The display may include a menu screen for operating settings and operation control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nd may output a guidance message or warning composed of at least one combination of letters, numbers, and images for the operating settings or operating status.
메모리(104)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력되는 운전설정 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에러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04)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 동작 중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 통신부(1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04)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기기 일 수 있다.The memory (104) stores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input operation setting data, data on the operation mode, and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errors in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In addition, the memory (104) stores data detected or measu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n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he memory (104) may be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etc. in terms of hardware.
통신부(19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90)는 건물 또는 소정 거리 내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등의 외부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기능이 구비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9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red or wirelessly. The communication unit (190)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formed within a building or a certain distance, such as a home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can als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such as the Internet and communicate with a terminal equipped with a control function.
통신부(19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상태 또는 건조진행상태를 전송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에 대한 명령을 수신한다. 통신부(190)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90) transmits the operating status or drying progress status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nd receives commands for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he communication unit (190) include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Wi-Fi and WiBro as well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Bluetooth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전원부(105)는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변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05)는 과전류를 차단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 크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05) converts the supplied commercial power and supplies operating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05) blocks overcurrent, rectifies and smoothes the supplied power, and supplies operating power of a predetermined size.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투입구(18)와 연통된다. 또한, 드럼(30)의 배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공기 순환을 위한 유입덕트(1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덕트(140)는 순환유로(130)와 연결된다.The drum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ront and back are open, and the front is connected to the inlet (18). In addition, an inlet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drum (30)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and the inlet is connected to an inlet duct (140) for air circulation. In addition, this inlet duct (140) is connected to a circulation path (130).
구동부(106)는 캐비닛(10)의 베이스(14)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또한, 순환팬(110)과 연결되어 순환팬(11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순환팬(110)의 회전에 의해, 드럼(30) 내의 공기가 흡입덕트(12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덕트(120)는 순환유로(130)와 연결된다.The driving unit (106) includes a motor fixed to the base (14) of the cabinet (10). The motor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drum (30)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fan (110) to rotate the circulation fan (110). By the rotation of the circulation fan (110), air inside the drum (30)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In addition, the suction duct (120)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ath (130).
순환팬(110)의 회전 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입덕트(120)로 안내되어 순환유로(130)를 통해 열교환기를 거쳐 다시 유입덕트(140)를 통해 드럼(30)으로 재유입되도록 하여 공기를 순환시킨다.When the circulation fan (110) rotat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is guided to the intake duct (120),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via the circulation path (130), and is then re-introduced into the drum (30) via the inlet duct (140), thereby circulating the air.
드럼(30)을 경유하는 순환유로(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130)는 드럼(30)과 연결되어 공기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일부 공기는 배기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irculation path (130) passing through the drum (30)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The circulation path (130) can be connected to the drum (30) to form a closed loop for air circulation. In this case, some of the air can be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150) as nee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순환부 및 열교환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열교환부의 냉매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air circulation section and a heat exchange section in more detail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refrigerant circulation in a heat exchange section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순환부(100)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키는 부분으로, 상술한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및 순환팬(110)을 포함한다.The air circulation unit (100) is a unit that guides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and reintroduces it into the drum (30), and includes the above-described suction duct (120), circulation path (130), inflow duct (140), and circulation fan (110).
열교환부(200)는 공기순환부(100)의 순환유로(130) 상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부분으로, 냉매를 순환 시켜 히트펌프 사이클로 작동시킨다.The heat exchange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ath (130) of the air circulation unit (100) and exchanges heat with the air, and operates as a heat pump cycle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은 드럼(30)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드럼(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습하여 순환유로(130)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00)를 통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30)으로 공급된다.Laundry accommodated inside the drum (30) is dried by heated air supplied to the drum (30).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absorbs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laundry during the drying process, flows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is heat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200), and is then supplied back to the drum (30).
구체적으로, 열교환부(200)는 압축기(230), 증발기(210), 응축기(220), 팽창밸브(24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200)는 압축기(230), 증발기(210), 응축기(220)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된다. 특히, 응축기(220)와 증발기(210)에서의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열교환부(200)는 냉매 이외의 다른 매체를 통해 열교환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 unit (200) includes a compressor (230), an evaporator (210), a condenser (220), and an expansion valve (240). The heat exchange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230), the evaporator (210), and the condenser (220) by a refrigerant pipe so that the refrigerant circulates. In particular, the air heated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air in the condenser (220) and the evaporator (210) is supplied to the drum (30). In this case, the heat exchange unit (200) may exchange heat through a medium other than the refrigerant, if necessary.
증발기(210)는 드럼(30)으로부터 흡입덕트(120)를 통해 순환유로(130)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량을 회수한다. 또한, 증발기(210)는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습된 수분을 응축시킨다.The evaporator (210) recovers the hea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130) by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through the suction duct (120) from the drum (30). In addition, the evaporator (210) condenses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130).
응축기(220)는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를 유입덕트(140)를 통해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킨다. 증발기(210)를 통관한 저온 저습의 공기는 응축기(220)로 유입되어 냉매와 열교환 함으로써 고온 저습의 상태로 변화된다.The condenser (220) exchanges heat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and the refrigerant, and re-introduces the heated air into the drum (30) through the inlet duct (140). The low-temperature, low-humidity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220) and changes into a high-temperature, low-humidity state by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응축기(2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증발기(210)를 통과하여 압축기(230)로 회수되고, 압축기(230)는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20)로 토출하고, 팽창밸브(240)는 응축기(220)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210)에서 팽창시킨다.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22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10) and is recovered by the compressor (230). The compressor (230) compresses the evaporated refrigerant and discharges it to the condenser (220), and the expansion valve (240) expands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220) in the evaporator (210).
드럼(3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210)의 냉매보다 온도가 높으므로, 증발기(210)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열량이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되어 냉각된다. 그에 따라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되고 냉각된다. 공기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별도의 응축수하우징에 수집되어 배수될 수 있다.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has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210), so as i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10), the heat of the air is condensed and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Accordingly,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 air is dehumidified and cooled by the evaporator (210). The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condensing the air can be collected in a separate condensate housing and drained.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순환과 냉매순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6, air circulation and refrigerant circulation are explained as follows.
공기는 순환팬(110)에 의해 순환된다. 이러한 공기는 순환팬(110)에 의해 드럼(30)을 통과해 증발기(210)로 유입되고, 증발기(210)에서 응축되어 저온저습의 상태로 응축기(220)로 유입된다. 공기는 응축기(220)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드럼(30)으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공기는 드럼(30), 증발기(210), 응축기(220)의 순서로 이동한다.The air is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fan (110). The air passes through the drum (30) by the circulation fan (110) and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210), condenses in the evaporator (210),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220) in a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state. The air is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of the condenser (220), and then is introduced back into the drum (30). In this way, the air moves in the order of the drum (30), the evaporator (210), and the condenser (220).
냉매는 압축기(230)에 의해 고온고압의 상태로 응축기(220)로 토출되고, 응축기(220)에서 공기와 열교환 된 후, 증발기(210)로 유입되어 증발된다. 응축기(220)와 증발기(210) 사이에는 팽창밸브(240)가 설치된다. 팽찰밸브(240)는 저온고압의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210)로 전달한다.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210)에서 증발되고, 저온저압의 상태로 압축기(230)로 유입된 후, 고온고압의 상태로 응축기(220)로 토출된다.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condenser (220)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by the compressor (230), and after exchanging heat with air in the condenser (220), it flows into the evaporator (210) and evaporates. An expansion valve (24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denser (220) and the evaporator (210). The expansion valve (240) expands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a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and delivers it to the evaporator (210). The expanded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210), flows into the compressor (230) in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state,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condenser (220)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ate.
이 경우, 팽창밸브(240)는 전자식팽창밸브(EEV)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pansion valve (240) may be formed a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제어부(600)는 입력부(80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통신부(1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운전설정 및 동작상태가 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와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stores the operation settings input from the input unit (800) in the memory (140), processes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and controls the operation settings and operation status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75). If there is a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nd wirelessly connected to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90) so that data of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제어부(600)는 입력부(80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구동부(160)를 통해 드럼(30) 및 순환팬(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특정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동작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동작 중 열교환부(200)를 제어하여 순환되는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고, 드럼(3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30) and the circulation fan (110) through the driv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tings input from the input unit (800), and can variably control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a specific sensor.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heat exchange unit (200) during operation so that the circulated air is heated, and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drum (30).
즉, 제어부(600)는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작동이란 공기순환부(100)와 열교환부(200)의 온/오프 여부, 작동시간, 작동상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unit (100) and the heat exchange unit (200).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air circulation unit (100) and the heat exchange unit (200) can include whether the air circulation unit (100) and the heat exchange unit (200) are on/off, the operating time, the operating status, etc.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킬 수 있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having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can dry clothing or bedding contained inside using high-temperature dry air.
한편,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설치된 공간의 습기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의류 처리 장치(1000)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공간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는 다기능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외부 공간을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multifunctionality is emerging that can conveniently create a comfortable space by removing moisture in a space wher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installed through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without a separate device, a configuration for drying an external space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이하에서는, 상술한 의류 처리 장치(1000)를 통해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수행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습키트가 설치되는 부분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7에서 제습키트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에서 도어의 홀딩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7에서 제습키트와 필터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7에서 제습키트의 접촉단자와 캐비닛의 전극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is performed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a portion in which a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in FIG. 7. FIG. 9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circulation of air in FIG. 7. FIGS. 10 to 12 are drawings showing in more detail the dehumidification kit in FIG. 7. FIG. 13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a holding state of a door in FIG. 7. FIGS. 14 and 15 are drawings showing in more detail a portion in which the dehumidification kit and the filter unit are combined in FIG. 7. FIGS. 16 and 17 are drawings showing a contact terminal of the dehumidification kit and an electrode sensor of the cabinet in FIG. 7.
도 7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30),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순환팬(110), 열교환부(200), 도어(20) 및 제습키트(90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7 to 17,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um (30), a suction duct (120), a circulation path (130), an inlet duct (140), a circulation fan (110), a heat exchange unit (200), a door (20), and a dehumidifying kit (900).
드럼(30)은 캐비닛(10) 내에 설치되고, 캐비닛(10)의 투입구(18)와 전방면이 대향되는 부분으로, 드럼(30)에 수용된 공기는 투입구(1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drum (30)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and is a part whose front surface faces the inlet (18) of the cabinet (10), and air contained in the drum (3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pace through the inlet (18).
흡입덕트(120)는 드럼(30)의 전방면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외부 공간의 공기는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suction duct (120) is located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drum (30) and is a part where air is introduced, and air from the external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순환유로(130)는 흡입덕트(120)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흡입덕트(120)로 유입된 공기는 순환유로(130)를 따라 이동하며 제습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ath (130) is a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duct (120) and guides the flow of air, and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can be dehumidified while moving along the circulation path (130).
순환팬(110)은 흡입덕트(120)와 유입덕트(140)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키는 부분으로, 순환유로(130)를 따라 공기가 이동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fan (110) is a part that forms a flow of air between the suction duct (120) and the inflow duct (140), and can apply pressure so that the air moves along the circulation path (130).
열교환부(200)는 순환유로(130) 상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부분으로, 열교환부(20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되며 제습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200) is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path (130) and exchanges heat with air.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200) can be heat exchanged and dehumidified.
도어(20)는 투입구(18)를 개폐하도록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door (20) is a part installed in the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8), and when the door (20) is open,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제습키트(900)는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투입구(18) 상에 설치되어, 투입구(18)를 통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분리시키는 부분이다.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on the inlet (18) with the door (20) open, and is a part that separates the movement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through the inlet (18) and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간의 습한 공기는 투입구(18)에 설치되는 제습키트(900)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에서 순환유로(130)를 따라 이동되며 제습된 공기는 제습키트(900)에 의해 다시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9, moist air in the external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dehumidifying kit (900) installed in the inlet (18). Then, the dehumidified air moving along the circulation path (130) with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can be blocked from being introduced back into the suction duct (120) by the dehumidifying kit (900).
따라서, 제습된 공기는 투입구(18)를 통해 즉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 공간의 습한 공기는 계속적으로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humidified air can be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pace through the inlet (18), and the moist air in the outside space can be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이상과 같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 공간의 습한 공기는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고, 순환유로(130)를 따라 순환팬(110)에 의해 압송되며 열교환부(200)에 의해 제습된 후 드럼(30)을 거쳐 투입구(1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moist air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and can be pressurized by the circulation fan (110) along the circulation path (130), dehumidified by the heat exchanger (200),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external space through the inlet (18) through the drum (30).
따라서, 외부 공간의 습한 공기가 의류 처리 장치(1000)를 통과하며 제습될 수 있으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설치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moist air in the external space can pass through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nd be dehumidified, a dehumidification function can be implemented for the external space wher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install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투입구(18) 상에 설치되는 제습키트(900)를 통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순환유로(130)로 유입되어 제습된 후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필요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설치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air from an external space to be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through the dehumidifying kit (900) installed on the inlet (18), dehumidified,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external space, so that a dehumidify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for the external space wher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installed as need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에 의하여 투입구(18)를 통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가 분리되므로, 제습 전후의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아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ement paths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through the inlet (18) and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are separated by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so that the air before and after dehumidification does not mix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for the external spa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투입구(18)와 흡입덕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30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18) and the suction duct (120) to captur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이 경우, 제습키트(900)는 필터부(300)의 상면을 커버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detachably installed b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구체적으로, 드럼(30)으로부터 다량의 린트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순환유로(13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열교환부(200)에 부착되어 열교환부(20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130)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오염된 다습한 환경이라는 점에서 곰팡이나 세균 등이 증식될 우려가 있다.Specifically,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from the drum (30), and such foreign substances may attach to the heat exchange unit (200) and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In addition, contamination may occur due to the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concern that mold or bacteria may grow in a polluted and humid environment.
따라서, 투입구(18)와 흡입덕트(120) 사이에 필터부(300)를 설치하여 린트 등의 이물질이 순환유로(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filter unit (300) between the inlet (18) and the suction duct (12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from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이 경우, 필터부(300)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0)는 아우터 필터(301) 내에 이너 필터(302)가 삽입되고, 아우터 필터(3011)가 필터 가이드(1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filter unit (300)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inner filter (302) is inserted into the outer filter (301), and the outer filter (301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lter guide (121) and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그리고, 덕트 커넥터(122)는 프론트커버(11)에 장착되고, 필터 가이드(121)와 연결된다. 덕트 커넥터(122)는 프론트커버(1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가이드(121)의 하단부는 덕트 커넥터(1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And, the duct connector (122) is mounted on the front cover (11) and connected to the filter guide (121). The duct connector (122) can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11).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guide (121)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duct connector (122).
이상과 같이 필터부(300)가 설치되는 경우, 제습키트(900)를 필터부(300)의 상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습키트(9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부(300)의 상면에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filter unit (30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ccordingly,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installed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nd the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can be separated.
특히, 제습키트(900)가 필터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드럼(30)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거나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300), it is easier for the user to perform drying of clothes accommodated inside the drum (30) or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투입구(18)와 흡입덕트(120)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부(300)의 상면에 제습키트(9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필요에 따라 제습키트(900)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dehumidifying kit (90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18) and the suction duct (120), so that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installed and us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as nee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의 전방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바디부(910) 및 투입구(18)의 후방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필터부(3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2 바디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humidifying kit (900)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910) that protrude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inlet (18) and a second body part (920) that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inlet (18)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300).
즉,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8)의 전방면을 향해 제1 바디부(910)가 돌출 형성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제1 바디부(91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9 to 12, the first body part (91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inlet (18) so that air from the external space can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art (910).
그리고, 투입구(18)의 후방면을 향해 제2 바디부(920)가 돌출 형성되어, 제1 바디부(91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바디부(920)에 의해 커버되는 필터부(300)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body part (92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inlet (18),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art (9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300) covered by the second body part (92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가 제1 바디부(910) 및 제2 바디부(9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투입구(18)의 전방면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한 후 투입구(18)의 후방면에서 유입된 공기를 흡입덕트(120)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ehumidifying kit (900) includes a first body part (910) and a second body part (920), and thus can smoothly mov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side of the inlet (18) to the suction duct (120) after introducing external air from the front side of the inlet (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1 바디부(910)는 제2 바디부(920)보다 상대적으로 돌출길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part (910)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protrusion length than the second body part (920).
즉,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910)는 상대적으로 더 많이 돌출 형성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제습키트(900)로 유입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9 to 12, the first body part (910)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more so that air from the external space can more easily flow into the dehumidifying kit (900).
반면, 제2 바디부(920)는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 형성되어 제습된 후 드럼(30)에 수용된 공기가 제2 바디부(92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제습키트(9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충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ody part (920)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less, so that the air contained in the drum (30) after dehumidification can be minimiz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body part (920). In other word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can be minimized from colliding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1 바디부(910)가 제2 바디부(920)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first body part (910) protrudes relatively more than the second body part (920), thereby facilitat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while minimizing collision with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제1 바디부(91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도어(20)를 열린 상태로 홀딩 가능한 홀더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kit (900)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part (930) that i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910) and is capable of holding the door (20) in an open state.
즉,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키트(900)의 외측면에 배치된 홀더부(930)에 의해 도어(20)가 열린 상태로 홀딩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0 to 13, the door (20) can be held in an open state by the holder part (930)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공간의 공기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투입구(18)를 통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순환유로(130)로 유입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도어(2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to be dehumidified,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must be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through the inlet (18), so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oor (20) open.
이 경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에 따른 유동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도어(20)가 닫히게 된다면, 외부 공간의 공기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없다.In this case, if the door (20) is closed due to movement or external impact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dehumidification of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cannot be achieved.
따라서, 외부 공간의 공기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도어(20)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도어(20)를 홀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stably hold the door (20) so that movement of the door (20) can be prevented while dehumidifying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홀더부(930)를 통해 도어(20)를 열린 상태로 홀딩 시키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도어(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원활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olds the door (20) in an open state through the holder part (930)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so that the door (20) is stably supported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thereby enabling a smooth dehumidifying function to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홀더부(930)는 도어(20)와 자력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즉, 홀더부(930)와 도어(2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자력에 의해 홀더부(930)와 도어(20)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part (930) may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door (20). That is, at least one of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includes a magnet or an electromagnet, so that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따라서, 자력 이하의 외력에 대해서는 도어(20)가 홀더부(93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홀딩될 수 있으며,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완료된 경우 자력 이상의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홀더부(930)와 도어(2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20) can be stably hel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er part (930) for an external force lower than the magnetic force, and when dehumidification of the external space is completed,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can be easily separat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ure higher than the magnetic for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자력을 통해 홀더부(930)와 도어(20)가 부착되므로, 홀더부(930)와 도어(20)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are attached through magnetic forc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can be made more easi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도어(20)는 홀더부(930)에 의한 홀딩 시 20°의 열림각을 유지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20) can maintain an opening angle of 20° when held by the holder part (930).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투입구(18)의 개방 면적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chieve dehumidification of the external space, it may be desirable to secure a large open area of the inlet (18).
그러나, 투입구(18)의 개방 면적을 크게 확보하기 위하여 도어(20)를 지나치게 큰 각도로 오픈하는 경우, 도어(20)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다른 구성들과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불편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However, if the door (20) is opened at an excessively large angle to secure a large opening area of the inlet (18), the door (20) may take up a lot of space, causing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and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따라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다른 구성과의 간섭이나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는 정도로만 도어(20)를 오픈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open the door (20) only to a degree that allows smooth dehumidification of the external space while not causing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or inconvenience to the us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도어(20)가 20°의 열림각을 유지하도록 홀딩되므로, 도어(20)의 열림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olds the door (20) to maintain an opening angle of 20°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so that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can be performed while minimiz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와 접촉되는 설치면이 투입구(1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kit (9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installation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let (18)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inlet (18).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8)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투입구(18)의 형상에 따라 필터부(300)의 상면 역시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inlet (18) is general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let (18),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300) is also generally formed in a shape that includes a curved surface.
따라서, 투입구(18)에 설치되고, 특히 필터부(3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습키트(900) 역시 이러한 투입구(18) 및 필터부(300)의 상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 dehumidifying kit (900) installed in the inlet (18), and particular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lso needs t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18) and the filter unit (300).
즉, 제습키트(900) 중 투입구(18)와 접촉되는 설치면 역시 투입구(18) 및 필터부(300)의 상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습키트(900)가 투입구(18)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at i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let (18) t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let (18) and the filter unit (300) so that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inlet (18).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설치면이 투입구(18)의 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제습키트(900)가 투입구(18) 상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corresponds to the curved shape of the inlet (18), so that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inlet (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와 접촉되는 설치면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내측리브(940)가 형성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rib (940) protruding inwardly may be form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of a dehumidifying kit (90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n inlet (18).
즉,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키트(900)의 내측면에는 내측리브(940)가 돌출 형성되어 제습키트(900)의 구조적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0 to 12, an inner rib (940) is formed protruding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so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reinforced.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키트(900)의 내측리브(940)는 투입구(18)의 일부분, 특히 필터부(300) 상면의 홈 구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구(18)에 제습키트(9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특히 제습키트(900)와 필터부(3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inner rib (940)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inserted into a part of the inlet (18), particularly a groove struct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300). Accordingly,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more stably coupled to the inlet (18), and particularly,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dehumidifying kit (900) and the filter portion (300) can be stably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설치면에 내측리브(940)가 돌출 형성되므로, 내측리브(940)가 투입구(18)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nner rib (940) protrudingly form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the inner rib (940) can be inserted into a part of the inlet (18) to maintain a more stable bonding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상면에 손잡이(9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키트(900)의 상면에는 형성된 손잡이(950)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제습키트(900)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9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dehumidifying kit (900). That is, as shown in FIG. 10, a user may hold the handle (9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to move the dehumidifying kit (900).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키트(900)는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설치하여 사용된다는 점에서, 파지 및 이동이 편리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and used only when there is a need for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and therefore, it needs to be easy to store and move.
특히, 제습키트(900)는 필터부(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습키트(900)의 상면을 파지하여 이동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일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in a manner that it is secu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it may be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to move the dehumidifying kit (900) by holding the upper surface thereof.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상면에 손잡이(950)가 형성되므로, 제습키트(900)의 착탈 시 보다 용이하게 제습키트(900)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andle (9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moved more easily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dehumidifying kit (9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캐비닛(10)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접촉단자(960)가 형성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terminal (960)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abinet (10) can be formed in a state where 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on an inlet (18).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키트(900)는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설치하여 사용된다는 점에서,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의류 처리 장치(1000)에 대한 제어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and used only when there is a need for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separate control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required when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의류 처리 장치(1000)가 항상 최적의 제어로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and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lways operates under optimal control.
이에 따라, 제습키트(900)에 접촉단자(960)를 형성하고, 이러한 접촉단자(960)가 캐비닛(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른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제습키트(900)의 설치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by forming a contact terminal (960) in the dehumidifying kit (900) and detecting a change due to the contact terminal (960)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inet (10),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이와 관련하여, 접촉단자(960)와 캐비닛(10)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regar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960) and the cabinet (10)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에 접촉단자(960)가 형성되어 제습키트(900)의 설치 시 캐비닛(10)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tact terminal (960) formed on the dehumidifying kit (900)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abinet (10) is possible when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so that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can be determin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접촉단자(960)가 캐비닛(10)의 복수의 지점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humidifying kit (900) may be formed so that a contact terminal (96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ints of a cabinet (10).
접촉단자(960)가 캐비닛(10)과 전기적 연결이 되기 위해서는, 항상 제습키트(900)가 최적의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습키트(900)가 일정부분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거나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해 당초 설치된 위치로부터 일정부분 이탈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contact terminal (96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inet (10), the dehumidifying kit (900) always needs to be installed in an optimal position. However, in some cases, the dehumidifying kit (900) may be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is somewhat misaligned or may be displaced from the originally installed position by an external force or vibration.
이 경우, 접촉단자(960)와 캐비닛(10) 간의 연결 지점이 어긋나게 되면,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상태임에도 그 설치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if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ontact terminal (960) and the cabinet (10) is misalig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even though it is installed.
따라서, 전기적 연결과 관련된 오감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촉단자(960)는 캐비닛(10)의 복수의 지점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false detections related to electrical connection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contact terminal (960) to be in contact with multiple points on the cabinet (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접촉단자(960)가 캐비닛(10)의 복수의 지점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제습키트(900)의 설치위치가 일정부분 어긋나더라도 접촉단자(960)를 통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ontact terminal (960)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multiple points of the cabinet (10),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misaligned to a certain extent, contact can be made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9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접촉단자(960)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humidifying kit (900) may have a contact terminal (960)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접촉단자(960)가 캐비닛(10)과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접촉단자(960)의 돌출이 클수록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단자(960)가 지나치게 많이 돌출되는 경우, 제습키트(900)의 착탈 과정에서 손상 및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In order for the contact terminal (960) to make smooth contact with the cabinet (10), it may be advantageous if the contact terminal (960) protrudes more. However, if the contact terminal (960) protrudes too much, there is a risk of damage or breakage during the attachment/detachment process of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따라서, 접촉단자(960)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 되도록 구성하여, 착탈시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면서도, 캐비닛(1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contact terminal (960)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as to cushion the pressure applied dur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while ensuring smooth contact with the cabinet (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접촉단자(960)가 탄성변형 가능하므로, 제습키트(900)의 착탈 시 접촉단자(960)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접촉단자(960)를 통한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ontact terminal (960)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lastically deformable, damage and breakage of the contact terminal (960) can be minimized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dehumidifying kit (900), while allowing smooth contact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9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30),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순환팬(110), 열교환부(200), 제습키트(9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um (30), a suction duct (120), a circulation path (130), an inlet duct (140), a circulation fan (110), a heat exchange unit (200), a dehumidifying kit (900), and a control unit (600).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 상에 설치되어, 투입구(18)를 통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on the inlet (18) to separate the movement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through the inlet (18) and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이에 따라, 외부 공간의 습한 공기는 투입구(18)에 설치되는 제습키트(900)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고,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에서 순환유로(130)를 따라 이동되며 제습된 공기는 제습키트(900)에 의해 다시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Accordingly, moist air in the external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dehumidifying kit (900) installed in the inlet (18), and moved along the circulation path (130) with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nd the dehumidified ai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back into the suction duct (120) by the dehumidifying kit (900).
그리고, 제습된 공기는 투입구(18)를 통해 즉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고, 외부 공간의 습한 공기는 계속적으로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다.And, the dehumidified air can be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pace through the inlet (18), and the moist air of the outside space can be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투입구(18) 상에 설치되는 제습키트(900)를 통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순환유로(130)로 유입되어 제습된 후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필요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설치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air from an external space to be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path (130) through the dehumidifying kit (900) installed on the inlet (18), dehumidified,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external space, so that a dehumidify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for the external space wher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installed as need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에 의하여 투입구(18)를 통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가 분리되므로, 제습 전후의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아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ement paths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through the inlet (18) and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are separated by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so that the air before and after dehumidification does not mix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dehumidification efficiency for the external space can be improved.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에 따라 드럼(30)과 순환팬(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필요한 경우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제어가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30) and the circulation fan (110) depending on whether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It can determine when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is necessary and control accordingly to ensure that it is performed in an optimal state.
즉, 제습키트(9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대한 건조가 필요한 경우라는 점에서, 제어부(6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에서 공기가 순환되며 의류를 건조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cases where drying is required for clothes accommodated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1000) when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not installed,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air to circulate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1000) and dry the clothes.
그리고,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경우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필요한 경우라는 점에서, 제어부(6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 내외부 간의 공기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불필요한 작동은 최소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where a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since dehumidification is required for the space outsid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air flow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while minimizing unnecessary operations.
만약,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제어된다면, 사용자의 오사용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및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I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controlled without considering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a safety accident due to user misuse, etc. and malfunc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may occur.
따라서,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파악하여 그에 따라 적절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and control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ly.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반영하여 제어부(600)가 드럼(30)과 순환팬(110)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가 항상 최적의 제어로 작동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30) and the circulation fan (110) by the control unit (600) reflecting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so that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can always be operated with optimal contro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캐비닛(10)은 통전 시 발생되는 저항값을 감지 가능한 전극센서(710)가 설치되고,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극센서(710)와 접촉이 가능한 접촉단자(960)가 형성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sensor (710) capable of detecting a resistance value generated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nd a dehumidifying kit (90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960) that can make contact with the electrode sensor (710) while installed on an inlet (18).
이 경우, 제어부(600)는 전극센서(710)와 접촉단자(960)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0) can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rough the change in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ode sensor (710) and the contact terminal (960) are in contact.
구체적으로, 캐비닛(10)에는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극센서(7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센서(710)는 두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전극센서(710)는 소정 거리 이격된 양극과 음극으로서, 드럼(30)을 향해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n electrode sensor (710) that detects the state of laundry contained inside the cabinet (10) may be installed. Two electrode sensors (710) may be installed, and the two electrode sensors (710) may be installed as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posed toward the drum (30).
전극센서(710)는, 드럼(30)이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유동하는 동안 세탁물과 접촉됨에 따라, 세탁물의 상태, 특히 세탁물의 함습정도(함수율)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전극센서(710)에 의해 감지되는 세탁물의 함수율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electrode sensor (710) can detect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particularly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aundry,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aundry while the laundry flows due to the rotation of the drum (30). The control unit (600) can determine the drying condition of the laundry based 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aundry detected by the electrode sensor (710).
세탁물이 전극센서(710)에 접촉되면,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양극이 도통됨에 따라 폐쇄회로가 형성되고, 세탁물의 수분 정도에 따라 회로에 흐르는 전류값이 가변되므로, 전류값을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세탁물은 전극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하고, 세탁물의 수분 함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므로, 회로에 흐르는 전류 또한 가변될 수 있다.When laundr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sensor (710), a closed circuit is formed as the anode is conducted b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laundry, and the current value flowing in the circuit varies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aundry, so the dryness of the clothing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value. The laundry acts as resistance to the electrode, and since the resistance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laundry, the current flowing in the circuit can also vary.
이를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센서(710)를 통해 드럼(30) 내의 함수율을 추정할 수 있도록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 16,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can be configured to estimate the moisture content within a drum (30) through an electrode sensor (710).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전극센서(710)에 제습키트(900)에 형성된 접촉단자(960)가 접촉되는 경우, 세탁물에 의한 저항값과 차별화된 저항값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7, when the contact terminal (960) formed in the dehumidifying kit (9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sensor (710) as described above, a resistance value different from the resistance value caused by laundry may be generated. Accordingly, by detecting the change in this resistance valu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에 형성된 접촉단자(960)와 캐비닛(10)에 설치된 전극센서(710)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므로, 제습키트(900)의 설치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rough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act terminal (960) formed on the dehumidifying kit (900) and the electrode sensor (710) installed in the cabinet (10) are in contact, so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드럼(3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um (30) to be stopped.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 드럼(30)이 회전하며 수용된 의류를 균일하게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When drying clothes accommodated inside a clothes handling device (1000), it is necessary for the drum (30) to rotate and evenly dry the accommodated clothes.
반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드럼(30)이 회전할 필요가 없으며 불필요한 드럼(30)의 작동은 전력 손실 등을 일으켜 부적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he drum (30) does not need to rotate and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drum (30) may be inappropriate as it causes power loss, etc.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600)가 드럼(30)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불필요한 드럼(30)의 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6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um (30), so that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drum (30) can be prevented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순환팬(110)의 부하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load of the circulation fan (110) to be lowered.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 공기가 의류 처리 장치(1000) 내부에서만 순환되어 순환팬(110)의 작동 소음이 외부로는 상대적으로 적게 전달될 수 있다.When drying clothes accommodated inside a clothes treatment device (1000), air is circulated only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device (1000), so that the operating noise of the circulation fan (110) can be transmitted relatively less to the outside.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작동되므로, 순환팬(110)에 의한 작동 소음을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sinc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operated with the door (20) close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 need to greatly consider the operating noise caused by the circulation fan (110).
반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공기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내외부 사이로 이동된다는 점에서, 순환팬(110)의 작동 소음 역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the external spa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since air moves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he operating noise of the circulation fan (110)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특히,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작동되므로, 순환팬(110)에 의한 작동 소음이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since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operated with the door (20) open, the operating noise caused by the circulation fan (110)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600)가 순환팬(110)의 부하를 낮추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순환팬(110)의 작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inimize nois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110)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since the control unit (600) lowers the load of the circulation fan (110) when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투입구(18)를 개폐하도록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20) installed in a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an inlet (18).
이 경우,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도어(2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door (20) to be unlock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경우,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도어(20)의 잠금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When drying clothes accommodated inside a clothes handling device (1000), the door (20) must be kept closed, so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door (20) is kept locked.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20)의 잠금 상태가 아니라면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n such cases, it may be desirable to control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1000) so that it does not operate unless the door (20) is locked.
반면,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도어(2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도어(2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the external spa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he door (20) must be kept open, so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door (20) is unlocked.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20)의 잠금 상태라면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도어(20)의 잠금 상태에 따른 에러 표기가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20)를 열린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n such cases, it may be desirable to control the clothing handling device (1000) so that it does not operate if the door (20) is locked. In particular, it may be desirable to display an error indication according to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2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at the door (20) is ope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경우에 제어부(600)가 도어(20)의 잠금을 해제시키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도어(2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keep the door (20) open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because the control unit (600) unlocks the door (20) when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투입구(18)와 흡입덕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30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18) and the suction duct (120) to captur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이 경우, 제습키트(900)는 필터부(300)의 상면을 커버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detachably installed b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이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습키트(9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터부(300)의 상면에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installed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nd the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can be separated.
특히, 제습키트(900)가 필터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드럼(30) 내부에 수용된 의류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거나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300), it is easier for the user to perform drying of clothes accommodated inside the drum (30) or dehumidification of an external spa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투입구(18)와 흡입덕트(120)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부(300)의 상면에 제습키트(9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필요에 따라 제습키트(900)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dehumidifying kit (90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18) and the suction duct (120), so that the dehumidifying kit (900) can be installed and us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as nee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의 전방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바디부(910) 및 투입구(18)의 후방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필터부(3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2 바디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humidifying kit (900)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910) that protrude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inlet (18) and a second body part (920) that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inlet (18)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300).
즉, 투입구(18)의 전방면을 향해 제1 바디부(910)가 돌출 형성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가 제1 바디부(91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고, 투입구(18)의 후방면을 향해 제2 바디부(920)가 돌출 형성되어 제1 바디부(91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바디부(920)에 의해 커버되는 필터부(300)의 상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body part (91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inlet (18), so that air from the external space can flow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art (910), and the second body part (92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inlet (18),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art (910) can flow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300) covered by the second body part (92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가 제1 바디부(910) 및 제2 바디부(9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투입구(18)의 전방면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한 후 투입구(18)의 후방면에서 유입된 공기를 흡입덕트(120)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ehumidifying kit (900) includes a first body part (910) and a second body part (920), and thus can smoothly mov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side of the inlet (18) to the suction duct (120) after introducing external air from the front side of the inlet (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제1 바디부(910)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도어(20)를 열린 상태로 홀딩 가능한 홀더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kit (900)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part (930) that i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910) and is capable of holding the door (20) in an open state.
즉, 외부 공간의 공기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도어(20)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홀더부(930)를 통해 안정적으로 도어(20)를 홀딩할 수 있다.That is, while dehumidification of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is performed, the door (20) can be stably held through the holder part (930) so that movement of the door (20)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홀더부(930)를 통해 도어(20)를 열린 상태로 홀딩 시키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도어(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원활한 제습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olds the door (20) in an open state through the holder part (930)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so that the door (20) is stably supported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thereby enabling a smooth dehumidifying function to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홀더부(930)는 도어(20)와 자력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즉, 홀더부(930)와 도어(2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자력에 의해 홀더부(930)와 도어(20)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part (930) may be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door (20). That is, at least one of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includes a magnet or an electromagnet, so that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자력을 통해 홀더부(930)와 도어(20)가 부착되므로, 홀더부(930)와 도어(20)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in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are attached through magnetic forc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older part (930) and the door (20) can be made more easi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캐비닛(10)은 전극센서(710)가 서로 이격된 복수로 설치되고, 제습키트(900)는 접촉단자(960)가 복수의 전극센서(710)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sensors (7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ehumidifying kit (900) may be formed so that a contact terminal (960)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 sensors (710).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과 관련된 오감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촉단자(960)는 캐비닛(10)의 복수의 지점과 접촉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7, the contact terminal (960) can be in contact with multiple points of the cabinet (10) to minimize false detection related to electrical connec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접촉단자(960)가 캐비닛(10)의 복수의 지점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제습키트(900)의 설치위치가 일정부분 어긋나더라도 접촉단자(960)를 통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ontact terminal (960)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multiple points of the cabinet (10),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misaligned to a certain extent, contact can be made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9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습키트(900)는 접촉단자(960)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humidifying kit (900) may have a contact terminal (960)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즉, 접촉단자(960)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 되도록 구성하여, 착탈시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면서도, 캐비닛(10)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act terminal (96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reby buffering the pressure applied dur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while allowing smooth contact with the cabinet (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의 접촉단자(960)가 탄성변형 가능하므로, 제습키트(900)의 착탈 시 접촉단자(960)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접촉단자(960)를 통한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ontact terminal (960)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lastically deformable, damage and breakage of the contact terminal (960) can be minimized when attaching or detaching the dehumidifying kit (900), while allowing smooth contact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9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접촉단자(960)는 제습키트(900)의 내측면에서 양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가 제습키트(900)의 내부로 돌출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terminal (960)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a dehumidifying kit (900) and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into the interior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960)는 중앙부분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단자(960)의 양단부는 제습키트(90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접촉단자(960)의 중앙부가 전극센서(710)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7, the contact terminal (960) may be formed by being bent into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Both ends of the contact terminal (96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kit (90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960) may be formed into a shape in which it protrudes toward the electrode sensor (710).
이에 따라, 접촉단자(960)가 전극센서(710)와 접촉되어 압력에 의해 눌려지더라도 접촉단자(960)의 양단부가 제습키트(900)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contact terminal (9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sensor (710) and is pressed by pressure,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because both ends of the contact terminal (960) are supported by the dehumidifying kit (90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접촉단자(960)의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촉단자(960)의 중앙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장기간의 사용시에도 접촉단자(960)의 변형이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ct terminal (960) protrudes while the two ends of the contact terminal (960) are fixed, so that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contact terminal (960) can be minimized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착상에 대한 시험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착상 여부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18 is a drawing exemplarily showing the test results for implantation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mplantation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30),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순환팬(110), 열교환부(200), 제습키트(9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um (30), a suction duct (120), a circulation path (130), an inlet duct (140), a circulation fan (110), a heat exchange unit (200), a dehumidifying kit (900), and a control unit (600).
제어부(6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 및 열교환부(2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 변화를 통해 착상 여부를 파악하여 순환팬(110)과 상기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착상 여부를 반영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기능이 항상 원활하게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is a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frost has formed through the superheating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2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110) and the heat exchange unit (200), thereby allowing the func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o always be performed smoothly by reflecting the presence of frost.
구체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히트펌프 사이클을 그대로 활용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dehumidifying the external spa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he heat pump cycl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is utilized as is to dry the clothing accommodated inside.
이 경우,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은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는 기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냉동 부하가 급격히 줄어든 상태로 운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humidification function for the external space can be operated with a relatively sharply reduced refrigeration load compared to the function of drying clothes accommodated inside.
이에 따라, 열교환부(200)(특히, 증발기(210))의 열교환량이 줄어 온도가 낮아지고, 그에 따른 습기의 동결이 열교환부(200)(특히, 증발기(210))의 표면에서 발생하고 성장하는 착상이 발생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amount of the heat exchanger (200) (particularly, the evaporator (210)) decreases, the temperature decreases, and accordingly, freezing of moisture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200) (particularly, the evaporator (210)) and growth of frost may occur.
이러한 착상이 발생되는 경우, 열교환을 방해하여 압축기(230)에 유입된 후 압축되지 않는 냉매로 인해 압축기(230)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f such an idea occurs,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compressor (230) may occur due to refrigerant that is not compressed after flowing into the compressor (230) by interfering with heat exchang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착상 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한 후, 착상된 성애를 제거하는 제상을 통하여 히트펌프 사이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 control is necessary to protect the heat pump cycle by effectively identifying whether or not implantation has occurred as described above and removing the implanted sex organ.
이와 관련하여, 도 18을 참조할 때, 과열도가 2℃ 이하로 2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과열도의 역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시험적으로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되지 않은 냉매가 압축기(230)로 유입되는 것이 의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착상이 열교환부(200)에 발생될 수 있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18, it can be experimentally found that when the superheat is maintained below 2℃ for 2 minutes or more, a phenomenon of superheat reversal occurs. Accordingly, it can be suspected that uncompressed refrigerant is flowing into the compressor (230), and frost formation due to this can occur in the heat exchanger (200).
이 경우, 과열도는 증발기(210)에서 냉동 작용을 한 냉매가 건조 포화 가스가 되어 그 가스가 더욱 과열된 상태의 온도와 증발기(210)의 온도의 차이를 일컫는다.In this case, the degree of superheat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efrigerant that has undergone a freezing action in the evaporator (210) becomes a dry saturated gas and the gas is further superhea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10).
그리고, 열교환부(200)(특히,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5℃ 이하로 2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착상이 발생되는 것을 시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nd, it can be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frost formation occurs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200) (particularly, the evaporator (210)) is maintained at -5°C or less for 2 minutes or more.
상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열교환부(200)의 과열도 및 열교환부(2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착상을 제거하기 위한 제상에 필요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by detecting the superheat of the heat exchanger (200)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200),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frost has formed, and it may be possible to set conditions necessary for defrosting to remove such fros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 및 열교환부(2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 변화를 통해 착상 여부를 파악하여 제어부(600)가 순환팬(110)과 열교환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기능이 항상 원활하게 발휘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frost has formed through the superheating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110) and the heat exchange unit (200), so that the func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can always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가 제1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1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착상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device by considering it as an implantation state when the superheating degree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is maintained at a first set value or lower for a first set time or longer.
이 경우, 제1 설정값(예를 들어, 2℃) 및 제1 설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란 사전의 실험 또는 통계 데이터를 통해 적절히 선택되어지는 팩터로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설계 단계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et value (e.g., 2°C) and the first set time (e.g., 1 minute) are factors appropriately selected through prior experiments or statistical data, and can be variously set by the design stag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or the user's sel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과열도는 2℃ 이하로 2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착상이 발생된 것으로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열교환기의 과열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1 설정시간 이상 유지된다면 착상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superheat of the heat exchanger remains below 2℃ for more than 2 minutes, it is a situation in which frost formation can be suspected. Therefore, if the superheat of the heat exchanger remains below the first preset value for more than the first preset time, it is necessary to control it as a frost formation stat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부(200)의 과열도가 제1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1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착상 상태로 간주하므로,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열교환부(200)의 착상 여부를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siders the heat exchange unit (200) to be in a state of bein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열교환부(200)는,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210),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220) 및 응축기(220)로부터 토출되어 증발기(210)를 통과한 냉매를 회수하여 압축하는 압축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exchange unit (200) may include an evaporator (210) that removes moisture from air passing through a circulation path (130), a condenser (220) that heats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and a compressor (230) that recovers and compresse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220) and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의 제습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ectively perform the dehumidifying function of air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제2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2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착상 상태로 간주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device by considering it as an implantation stat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maintained at a second set value or lower for a second set time or longer.
이 경우, 제2 설정값(예를 들어, 0℃) 및 제2 설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란 사전의 실험 또는 통계 데이터를 통해 적절히 선택되어지는 팩터로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설계 단계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set value (e.g., 0°C) and the second set time (e.g., 1 minute) are factors appropriately selected through prior experiments or statistical data, and can be variously set by the design stag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or the user's sel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5℃ 이하로 2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착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강력하게 추정되는 상황이므로,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제2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2 설정시간 이상 유지된다면 착상 상태인 것으로 보다 확실하게 간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strongly assumed that frost formation occurs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remains at -5°C or lower for 2 minutes or longer, it can be more reliably considered that frost formation occurs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remains at a state lower than the second set value for a second set time or long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제2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2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착상 상태로 간주하므로, 열교환부(200)의 착상 여부가 보다 정확하게 검증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siders the frosting state to be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maintained at a second set value or lower for a second set time or longer, so whether the heat exchange unit (200) is frosted can be verified more accurat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압축기(23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230) to be stopped when it is considered to be in a landing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착상 상태에서는 압축기(230)에 유입된 후 압축되지 않는 냉매로 인해 압축기(23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착상 상태에서는 압축기(23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한 후 제상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plantation state, the compressor (230) may be damaged due to the refrigerant that is not compressed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230).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perform the defrosting 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230) is stopped in the implantation stat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에 제어부(600)가 압축기(230)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압축되지 않은 냉매로 인해 압축기(2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damage to the compressor (230) due to uncompressed refrigerant since the control unit (6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230) when it is considered to be in a landing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순환팬(110)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circulation fan (110) to operate when the garment is considered to be in a landing state.
즉, 착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주요 구성 중 순환팬(110)을 작동시켜 착상된 성애를 증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arment is in an implanted state,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garment to be evaporated, and it may be desirable to operate the circulation fan (110),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to evaporate the implanted garmen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에 제어부(600)가 순환팬(110)을 작동시키므로, 착상된 성애를 증발시켜 제거하는 제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defrosting to remove the implanted semen by evaporation sinc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circulation fan (110) when the semen is considered to be in an implante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제3 설정값 이상인 상태로 제3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까지 압축기(230)의 정지상태 및 순환팬(110)의 작동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0) can control the compressor (230) to be in a stopped state and the circulation fan (110) to be in an operating state until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maintained at a third set value or higher for a third set time or longer.
이 경우, 제3 설정값(예를 들어, 0℃) 및 제3 설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란 사전의 실험 또는 통계 데이터를 통해 적절히 선택되어지는 팩터로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설계 단계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ird set value (e.g., 0℃) and the third set time (e.g., 1 minute) are factors appropriately selected through prior experiments or statistical data, and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design stag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or the user's sel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제상을 위해 압축기(230)를 정지시키고 순환팬(110)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제상이 적절한 수준에 도달할 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ressor (230) may be stopped and the circulation fan (110) may be operated for defrosting, and it may be desirable to maintain this state until the defrosting reaches an appropriate level.
따라서,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를 통해 착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제상을 위한 압축기(230)와 순환팬(110)의 제어가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control of the compressor (230) and the circulation fan (110) for defrosting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not in a frost state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제3 설정값 이상인 상태로 제3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까지 제상을 위한 작동이 유지되므로, 원활한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상태까지 제상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intains the operation for defrosting until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maintained at a third set value or higher for a third set time or longer, so that defrosting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to a state where smooth function can be ex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의 설치 시에만 열교환부(200)의 과열도 및 열교환부(2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 변화를 통해 착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frost has formed only through the superheating degree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200) when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에 특히 착상에 의한 히트펌프 사이클의 기능 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습키트(900)를 설치하여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에 특히 착상 파악 및 이에 따른 제상 작동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heat pump cycle function due to frost formation may occur. Therefore, when a user installs a dehumidification kit (900) to operate the dehumidification function for an external space, it may be desirable to consider frost identification and corresponding defrosting oper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경우에만 열교환부(200)의 과열도 및 열교환부(2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 변화를 통해 착상를 여부 파악하므로,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열교환부(200)에 발생될 수 있는 착상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determine whether frost has formed through the degree of overheating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and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unit (200) only when the dehumidification kit (900) is installed, so it can effectively deal with the frost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the heat exchange unit (200)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캐비닛(10)은 통전 시 발생되는 저항값을 감지 가능한 전극센서(710)가 설치되고, 제습키트(900)는 투입구(18)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극센서(710)와 접촉이 가능한 접촉단자(960)가 형성될 수 있다.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sensor (710) capable of detecting a resistance value generated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nd a dehumidifying kit (90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960) that can make contact with the electrode sensor (710) while installed on an inlet (18).
이 경우, 제어부(600)는 전극센서(710)와 접촉단자(960)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0) can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rough the change in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ode sensor (710) and the contact terminal (960) are in contact.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제습키트(900)에 형성된 접촉단자(960)와 캐비닛(10)에 설치된 전극센서(710)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제습키트(900)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므로, 제습키트(900)의 설치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rough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act terminal (960) formed on the dehumidifying kit (900) and the electrode sensor (710) installed in the cabinet (10) are in contact, so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드럼(3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불필요한 드럼(30)의 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at 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e operation of the drum (30) is controlled to be stopped,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drum (30)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순환팬(110)의 부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순환팬(110)의 작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load of the circulation fan (110) to be lowered, thereby minimizing nois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fan (110)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제습키트(900)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도어(2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 시 도어(2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at a dehumidifying kit (900) is installed, the door (20) can be controlled to be unlocked, thereby maintaining the door (20) in an open state when dehumidifying an external space.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착상 여부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ntrolling whether or not a garment is implanted in a garment treatment device (10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우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습키트(900)를 설치(S100)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 공간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install a dehumidification kit (900) as needed (S100) to enable dehumidification of the external spa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다음으로, 제습키트(900)에 의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가 분리될 수 있다(S200). 그리고, 순환유로(130)에서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S300).Next, the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30) by the dehumidifying kit (900) and the path of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duct (120) can be separated (S200). Then, the air can be heat-exchanged in the circulation path (130) (S300).
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부 공간의 습한 공기는 투입구(18)를 통해 흡입덕트(120)로 유입될 수 있고, 순환유로(130)를 따라 순환팬(110)에 의해 압송되며 열교환부(200)에 의해 제습된 후 드럼(30)을 거쳐 투입구(1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moist air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duct (120) through the inlet (18), and can be pressurized by the circulation fan (110) along the circulation path (130), dehumidified by the heat exchanger (200),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external space through the inlet (18) through the drum (30).
다음으로, 열교환부(200)의 과열도를 통해 착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400). 즉, 열교환부(200)의 과열도가 제1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1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착상 상태로 간주하여,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열교환부(200)의 착상 여부를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다.Nex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ros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superheating of the heat exchanger (200) (S400). That is, if the superheating of the heat exchanger (200) is maintained at a state low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et value for a first set time or longer, it is considered to be a frosting stat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eat exchanger (200)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configuration.
다음으로,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를 통해 착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500). 즉,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제2 설정값 이하인 상태로 제2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착상 상태로 간주하여, 열교환부(200)의 착상 여부가 보다 정확하게 검증될 수 있다.Next, the presence or absence of frost forma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S500). That is,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maintained at a state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for a second set time or longer, it is considered to be a frost formation stat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frost formation of the heat exchange unit (200) can be verified more accurately.
다음으로,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S600), 압축기(23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610). 즉,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에 제어부(600)가 압축기(230)의 작동을 정지시켜, 압축되지 않은 냉매로 인해 압축기(2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if it is considered to be in an implantation state (S600),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230) can be stopped (S610). That is, if it is considered to be in an implantation state, the control unit (6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230), thereby preventing the compressor (230) from being damaged due to uncompressed refrigerant.
또한,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S600), 순환팬(110)을 작동시킬 수 있다(S620). 즉, 착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에 제어부(600)가 순환팬(110)을 작동시켜, 착상된 성애를 증발시켜 제거하는 제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considered to be in an implantation state (S600), the circulation fan (110) can be operated (S620). That is, when it is considered to be in an implantation state,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the circulation fan (110) so that the implanted spores can be evaporated and removed.
다음으로, S600 단계의 제상의 종료 시점은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S700). 즉, 증발기(210)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제3 설정값 이상인 상태로 제3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까지 제상을 위한 작동이 유지되어, 원활한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상태까지 제상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Next, the end point of the defrost in step S600 can be set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S700). That is, the operation for defrosting is maintained until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10) is maintained at a third set value or higher for a third set time or longer, so that the defrost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to a state where smooth function can be exert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캐비닛 18: 투입구
30: 드럼 100: 공기순환부
110: 순환팬 120: 흡입덕트
130: 순환유로 140: 유입덕트
150: 배기덕트 200: 열교환부
210: 증발기 220: 응축기
230: 압축기 240: 팽창밸브
300: 필터부 600: 제어부
700: 센서부 710: 전극센서
800: 입력부 900: 제습키트
910: 제1 바디부 920: 제2 바디부
930: 홀더부 940: 내측리브
950: 손잡이 960: 접촉단자
1000: 의류 처리 장치10: Cabinet 18: Inlet
30: Drum 100: Air circulation part
110: Circulation fan 120: Suction duct
130: Circulation path 140: Inlet duct
150: Exhaust duct 200: Heat exchanger
210: Evaporator 220: Condenser
230: Compressor 240: Expansion valve
300: Filter section 600: Control section
700: Sensor section 710: Electrode sensor
800: Input 900: Dehumidifying Kit
910: First body part 920: Second body part
930: Holder part 940: Inner rib
950: Handle 960: Contact Terminal
1000: Garment handling device
Claims (12)
상기 드럼의 전방면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덕트;
상기 흡입덕트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와 상기 드럼을 연결하여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는 유입덕트;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투입구 상에 상기 흡입덕트를 커버하며 설치되어 상기 흡입덕트가 배치된 측의 상기 투입구 부분을 나머지 부분과 차폐시킴으로써,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분리시키는 제습키트; 및
상기 제습키트의 설치 여부에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A drum installed inside a cabinet, the front surface of which faces the inlet of the cabinet;
An intake duct arranged at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drum to allow air to flow in;
A circulation path connected to the above suction duct to guide the flow of air;
An inlet duct that connects the above circulation path and the above drum to reintroduce air into the drum;
A circulation fan that forms a flow of air between the above suction duct and the above inflow duct;
A heat exchanger installed on the above circulation path and exchanging heat with air;
A dehumidifying kit installed on the inlet to cover the suction duct and shield the inlet portion on the side where the suction duct is arranged from the rest of the portion, thereby separating the movement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drum through the inlet and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duct through the inle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and the circulation fan depending on whether the dehumidification kit is installed;
A garment treatment device comprising:
상기 캐비닛은 통전 시 발생되는 저항값을 감지 가능한 전극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습키트는 상기 투입구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센서와 접촉이 가능한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센서와 상기 접촉단자의 접촉 여부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상기 제습키트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의류 처리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abinet is equipped with an electrode sensor that can detect the resistance value generated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he above dehumidifying kit is formed with a contact terminal that can make contact with the electrode sensor when installed on the above inle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through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ode sensor and the contact terminal are in contac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키트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드럼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um to sto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키트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순환팬의 부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oad of the circulation fan to be lowe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키트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In any one of the second to fourth paragraphs,
Further comprising a door install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oor to be unlock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humidifying kit is installed.
상기 투입구와 상기 흡입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습키트는 상기 필터부의 상면을 커버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In paragraph 5,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installed between the inlet and the suction duct to captur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above dehumidifying kit is detachably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filter section.
상기 제습키트는,
상기 투입구의 전방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바디부,
상기 투입구의 후방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In Article 6,
The above dehumidifying kit,
A first body part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above inlet,
A garment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second body part that protrudes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inlet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상기 제습키트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열린 상태로 홀딩 가능한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In Article 7,
The above dehumidifying kit,
A garment proces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older portion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capable of holding the door in an open state.
상기 홀더부는 상기 도어와 자력 부착 가능한, 의류 처리 장치.In Article 8,
A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 which the holder part is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door.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전극센서가 서로 이격된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제습키트는 상기 접촉단자가 복수의 상기 전극센서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In any one of the second to fourth paragraphs,
The above cabinet is installed with multiple electrode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bove dehumidifying kit i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s are formed so as to be connectable to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sensors.
상기 제습키트는 상기 접촉단자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의류 처리 장치.In any one of the second to fourth paragraphs,
The above dehumidifying kit i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 which the contact terminal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제습키트의 내측면에서 양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습키트의 내부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는, 의류 처리 장치.
In Article 11,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contact terminal is fixed at both ends on the inner side of the dehumidifying kit and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into the interior of the dehumidifying kit.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9983A KR102804125B1 (en) | 2022-08-10 | 2022-08-10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PCT/KR2023/010536 WO2024034910A1 (en) | 2022-08-10 | 2023-07-21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CN202380058482.3A CN119677908A (en) | 2022-08-10 | 2023-07-21 | Clothes treatment device |
| EP23852791.5A EP4556619A1 (en) | 2022-08-10 | 2023-07-21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9983A KR102804125B1 (en) | 2022-08-10 | 2022-08-10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21541A KR20240021541A (en) | 2024-02-19 |
| KR102804125B1 true KR102804125B1 (en) | 2025-05-07 |
Family
ID=900558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9983A Active KR102804125B1 (en) | 2022-08-10 | 2022-08-10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04125B1 (en)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113421A1 (en) | 2003-12-10 | 2007-05-24 | Hiroko Uhara | Washing and drying machine and clothes dryer |
| US20080276656A1 (en) | 2005-07-28 | 2008-11-13 | Sharp Kabushiki Kaisha | Drum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
| JP2011062220A (en) | 2009-09-15 | 2011-03-31 | Panasonic Corp | Drum washing machine |
| US20120227279A1 (en) | 2007-05-09 | 2012-09-13 | Protege Enterprises | Dryer having structure for enhanced drying efficiency and method of use |
| US20160083893A1 (en) | 2009-06-29 | 2016-03-24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 Top of an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Providing Drying Air Recirculation and Moisture Condensation |
| KR101610213B1 (en) * | 2014-12-15 | 2016-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dryer |
| US20200063329A1 (en) | 2017-02-27 | 2020-02-27 | Whirlpool Corporation | Self cleaning sump cover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69788A (en) * | 2020-11-20 | 2022-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2022
- 2022-08-10 KR KR1020220099983A patent/KR1028041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113421A1 (en) | 2003-12-10 | 2007-05-24 | Hiroko Uhara | Washing and drying machine and clothes dryer |
| US20080276656A1 (en) | 2005-07-28 | 2008-11-13 | Sharp Kabushiki Kaisha | Drum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
| US20120227279A1 (en) | 2007-05-09 | 2012-09-13 | Protege Enterprises | Dryer having structure for enhanced drying efficiency and method of use |
| US20160083893A1 (en) | 2009-06-29 | 2016-03-24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 Top of an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Providing Drying Air Recirculation and Moisture Condensation |
| JP2011062220A (en) | 2009-09-15 | 2011-03-31 | Panasonic Corp | Drum washing machine |
| KR101610213B1 (en) * | 2014-12-15 | 2016-04-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dryer |
| US20200063329A1 (en) | 2017-02-27 | 2020-02-27 | Whirlpool Corporation | Self cleaning sump cov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21541A (en) | 2024-02-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898299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 EP2949804B1 (en) |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 |
| US10494756B2 (en) | Dryer appliances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duct | |
| EP3015591B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220069790A (en) |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220069779A (en) | Dryer | |
| JP2010017270A (en) | Drying machine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 CN101713132B (en) | A dryer and a washing-and-drying device | |
| US10597815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 KR102650342B1 (en) | Apparatus for treatimg fabric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 |
| KR102820010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 KR102804125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 KR102791986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 KR102801772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 US20230235498A1 (en) | Clothes dryer | |
| KR102127386B1 (en) |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Machine | |
| EP4556619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 KR20220037762A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70068820A (en) |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 EP4166709A1 (en) |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 JP2015027397A (en) | Drum-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 KR101663523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 |
| KR101565405B1 (en) | Dr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2014018448A (en) | Clothes dryer | |
| JP2024089347A (en) | Heat pump dry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0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