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0699B1 - Prefab greenhouse structure - Google Patents
Prefab greenhous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0699B1 KR102720699B1 KR1020220011458A KR20220011458A KR102720699B1 KR 102720699 B1 KR102720699 B1 KR 102720699B1 KR 1020220011458 A KR1020220011458 A KR 1020220011458A KR 20220011458 A KR20220011458 A KR 20220011458A KR 102720699 B1 KR102720699 B1 KR 1027206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d steel
- column
- connecting plate
- steel members
- colum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75 treated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 A01G13/04—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6—Clo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6—Cloches
- A01G13/264—Cloches foldabl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A01G2013/046—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기둥들, 기둥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기둥들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는 중방, 각각의 제 1 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어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들이 기둥 및 중방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2 연결판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상단 부분이 제 2 연결판에 의해 서까래들에 연결되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3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는 중방 기둥을 각각 포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몸체부; 몸체부들의 제 1 연결판들, 제 2 연결판들 및 제 3 연결판들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몸체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조립부;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기둥, 중방, 서까래 및 중방 기둥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조립부는 각각 하나의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house structure comprises a pair of columns positioned so as to b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iddle section positioned between the columns and having both end portions connected to upper portions of the columns by first connecting plates, a pair of rafters each having a firs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middle section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second end portions opposite the first end portions and spaced apart from the columns and the middle section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a middle column having an upp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rafters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a lower end opposite the upp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middle section by a third connecting plate, the greenhouse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dy section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assembly sections positioned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connecting plates, the second connecting plates,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s of the body sections and connecting the body sections to each other; And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heet, and includes a cover part which is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and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the remaining part is positioned along the middle and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wherein the column, middle, rafters and middle columns are each formed of a pair of C-shaped steel members, and the assembly parts are each formed of a single C-shaped steel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가능하고, 최소한의 재료 및 공정으로도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조립형 온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ssembled greenhous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has high strength and rigidity with a minimum of materials and processes.
온실은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작물을 자유롭게 재배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이러한 온실은 단층의 골조 외면을 비닐, 에어버블 비닐('뽁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등으로 둘러싸서 태양광 및 태양열을 투과시키고,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에 설정된 대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온실의 내부에서 작물은 일 년 내내 재배될 수 있고, 작물의 수확기도 조절될 수 있다.A greenhouse is a building that allows crops to be grown freely by controlling light, temperature, humidity, etc. These greenhouses have a single-layer frame exterior that is wrapped with vinyl, air bubble vinyl (also called 'bubble wrap'), polycarbonate, glass, etc., allowing sunlight and solar heat to pass through, and preventing outside air from entering, so the indoor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as set. Crops can be grown all year round inside the greenhouse, and the harvest season can also be controlled.
또한, 온실은 주로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아치 모양을 갖는 재배 공간을 형성하도록 시공되고, 비닐, 에어버블 비닐 등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하지만, 비닐의 처짐으로 인해, 온실에서 기둥들 사이의 간격은 제한적이다. 또한, 원형 파이프는 상호 간에 점 접촉되기도 하고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되기 어렵기에, 온실 구조물은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기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greenhouses are constructed to form arch-shaped cultivation spaces mainly using circular pipes, and can be closed with vinyl, air bubble vinyl, etc. However, due to the sagging of vinyl, the spacing between pillars in the greenhouse is limited. In addition, circular pipes are often in poin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difficult to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so it is difficult for the greenhouse structure to have high strength and rigidit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조립되어 시공될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해체가능한 온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hous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and can be easily dismantled in a construct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공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면서도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하는 온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house structure having high strength and rigidity while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tim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house structure that enables standardization of parts and processe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s to be accomplish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기둥들, 기둥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기둥들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는 중방, 각각의 제 1 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어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들이 기둥 및 중방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2 연결판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상단 부분이 제 2 연결판에 의해 서까래들에 연결되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3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는 중방 기둥을 각각 포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몸체부; 몸체부들의 제 1 연결판들, 제 2 연결판들 및 제 3 연결판들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몸체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조립부;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기둥, 중방, 서까래 및 중방 기둥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조립부는 각각 하나의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house structure comprises a pair of column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a middle section positioned between the columns and having both end portions connected to upper portions of the columns by first connecting plates, a pair of rafters each having a firs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middle section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second end portions opposite the first end portion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lumns and the middle section, and a middle column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rafters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a lower portion opposite the upper portions connected to the middle section by a third connecting plate, the greenhouse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dy section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assembly sections positioned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connecting plates, the second connecting plates,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s of the body sections and connecting the body sections to each other; And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heet, and includes a cover part which is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and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the remaining part is positioned along the middle and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wherein the column, middle, rafters and middle columns are each formed of a pair of C-shaped steel members, and the assembly parts are each formed of a single C-shaped steel member.
또한, 제 1 연결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 및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1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1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1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기둥에 체결되고, 제 1 중방 연결홀들을 통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며,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어, 기둥, 중방 및 서까래는 제 1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2 연결판은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을 따라 위치된 제 2 서까래 연결홀이 형성되고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2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들에 체결되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어,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중방 기둥은 제 2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3 연결판은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고, 제 3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중방 기둥 및 중방은 제 3 연결판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plate is formed as a pair,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between the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beam, and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and first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positioned along the colum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first central connecting holes are formed positioned along the middle beam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beam, and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are formed positioned along the rafter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and the connec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umn connecting holes, and are connected to the rafter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beam through the first central connecting holes, and are connected to the rafter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to correspond to the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so as to connect the column, the middle beam, and The rafters are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a pair of adjacent rafters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the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pair of rafter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and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e connec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afters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and are connected to the middl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pair of rafters and the middle column are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column (114)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are positione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e connecting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middl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nd are connected to the middl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middle column and the middle column can be fixed to the third connecting plate.
또한,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는 조립부의 종단면에 대응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개구가 형성되고, 조립부는 조립 개구에 삽입되어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 결합되어 몸체부들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assembly open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 of the assembly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and the assembl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opening and joined to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to connect the body portions.
또한, 조립부는 원형 막대 형상의 용마루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연결판의 상단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을 갖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U자 형상의 장착 부재가 위치되며, 용마루 부재는 장착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includes a ridge member in the shape of a circular rod, and a U-shaped mounting member having a partially open portion and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ridge member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member.
또한, 온실 구조물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부와 평행하도록 몸체부의 기둥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기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며, 커버부의 일부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보조 판재;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용마루 부재와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를 연결하고 서까래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붕 보조재; 및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보조 판재들을 연결하도록 기둥들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보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plate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positioned to intersect the columns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ssembly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olumns, and contacting a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at least one roof auxiliary member formed in a bar shape, which connects the ridge member and the auxiliary plate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among the auxiliary plates between the body portions and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afters; and at least one column auxiliary member formed in a bar shape, which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columns so as to connect the auxiliary plates between the body portions.
또한, 온실 구조물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방 기둥에 대응하도록 몸체부들의 중방들을 연결하도록 중방들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eenhous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formed in a rod shape and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members to connect the central members of the body parts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pillar.
또한, 온실 구조물은, 몸체부들이 지지 부재와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지면 상에 위치될 때 지면 상에 위치되어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eenhous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post position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when positioned on the ground, such that the body parts ar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member.
또한,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의 일면에는 한 쌍의 외부 패드들이 설치되고, 외부 패드들은 보조 판재를 따라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되며, 지지 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내부 패드가 지지 부재를 따라 위치되고, 커버부는,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들을 따라 서까래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외부 커버;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에 대응되면서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기둥들을 따라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2 외부 커버; 및 제 1 외부 커버 및 제 2 외부 커버에 대응되어 위치되되,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들 및 기둥들을 따라 중방들 및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되,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 부분은 상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고, 제 2 외부 커버의 상단 부분은 하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며, 내부 커버가 내부 패드들 사이를 따라 한 쌍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커버는 내부 패드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outer pad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an uppermost auxiliary plate among the auxiliary plates, the outer pads are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auxiliary plate, and inner pads are positioned along the support member on each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ver part includes a first outer cover positioned to contact the rafters along the rafte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 second outer cov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ver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while contacting the columns along the columns; and an inner cov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over and the second outer cover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while contacting the middle rooms and the columns along the middle rooms and the columns,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ver is coupled to the outer pad positioned upp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over is coupled to the outer pad positioned lower, and in a state where the inner covers are separated into a pair along the inner pads, each inner cover can be coupled to an inner pad.
또한, 몸체부의 각각은, 각각 서까래와 중방을 연결하면서 중방 기둥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대칭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부분이 제 4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2 연결판 사이의 서까래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5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에 연결되는 한 쌍의 사선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body parts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diagonal columns positioned to form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middle column while connecting the rafters and the middle beam, respectively, and wherein an upp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afters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by a fourth connecting plate, and a lower portion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middle beam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by a fifth connecting plate.
또한, 제 4 연결판은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 및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어, 서까래 및 사선 기둥은 제 4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5 연결판은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 및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의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며,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5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고, 제 5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사선 기둥 및 중방은 제 5 연결판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s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and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are formed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s, and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positioned along the diagonal column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and the connec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afters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s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and are connected to the diagonal columns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rafters and the diagonal columns are fixed at the fourth connecting plate,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and between the middle C-shaped steel members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a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51) positioned along the diagonal column so as to correspond are formed, fifth central connecting holes positioned along the central sectio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entral section, and the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iagonal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and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sectio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entral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fth central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diagonal column and the central section can be fixed to the fifth connecting plat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온실 구조물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온실 구조물이 용이하게 조립되어 시공될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1) The greenhouse structure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and can be easily dismantled once constructed.
(2) 온실 구조물이 절감된 비용 및 시간으로 시공될 수 있고,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시공될 수 있다.(2) Greenhouse structures can be constructed at reduced cost and time, and can be constructed with high strength and rigidity.
(3) 온실 구조물에 대한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가 구현될 수 있다.(3) Standardization of components and processes for greenhouse structures can be implemented.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1 연결판 내지 제 5 연결판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3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To facilitat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cited herei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first to fifth connecting plates in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ng member in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ng member in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connected by a third connecting member in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also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 component expressed as '~part'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two or more components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with more detailed functions. In addition, each component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performed by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its own main func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of the main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mponen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other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e by 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1 연결판(10) 내지 제 5 연결판(50)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1 연결부(1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2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3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ng plate (10) to a fifth connecting plate (50) in a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ng member (10) in a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ng member (20) in a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connected by a third connecting member (30) in a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몸체부(101), 조립부(102), 커버부(103), 보조 판재(104),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지지 부재(107) 및 보조 기둥(108)을 포함하고, 지면(1) 상에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5, a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1), an assembly portion (102), a cover portion (103), an auxiliary plate (104), a roof auxiliary member (105), a pillar auxiliary member (106), a support member (107), and an auxiliary pillar (108), and can be installed to form a cultivation space (100') on the ground (1).
몸체부(10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판 형상을 갖고 지면(1) 상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재배 공간(100')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part (10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each of which has a plate shape and is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ground (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corresponding to a cultivation space (100').
또한, 몸체부(101)는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C형강 부재들은 각각 C형상의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개방된 부분의 반대편인 부분이 상호 간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art (101) may include a column (111), a middle beam (112), a rafter (113), a middle beam column (114), and a diagonal column (115). Here, the column (111), the middle beam (112), the rafter (113), the middle beam column (114), and the diagonal column (115) are each formed of a pair of C-shaped steel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air of C-shaped steel members may each have a C-shaped cross-sectional area, and may be positioned so that parts opposite to the open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기둥(11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지면(1) 상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columns (111) are formed in a pair, each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ground (1), and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arallel to each other.
중방(112)은 기둥(111)들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연결판(10)에 의해 기둥(111)들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중방(112)의 양종단면은 기둥(111)의 상단 측면 부분에 접촉될 수 있고, 중방(112)은 기둥(111)과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지면(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middle section (112) is positioned between the columns (111)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columns (111)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Here, the two longitudinal sections of the middle section (112)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portions of the columns (111), and the middle section (112) can b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columns (111) and can be positioned above the ground (1).
서까래(1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11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까래(113)의 제 1 종단 부분은 기둥(1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제 1 연결판(10)에 의해 기둥(111)에 연결될 수 있고, 서까래(113)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제 2 연결판(20)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서까래(113)들은 제 2 연결판(20)에서 상호 간에 연결될수 있다. 각각의 서까래(113)는 기둥(111)으로부터 점점 이격될수록 중방(112)의 상측에서 중방(112)으로부터 점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rafters (113) are formed as a pair,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lumn (111). Here,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rafter (113)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lumn (111) and can be connected to the column (111)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second end portion of the rafters (113) opposite to the first end portion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at is, the rafters (11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Each rafter (113) can be positioned so that it is increasingly spaced from the column (111)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beam (112).
중방 기둥(114)은 중방(112)과 직교하도록 위치되면서 서까래(113)들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중방 기둥(114)의 상단 부분은 제 2 연결판(20)에 의해 서까래(113)들, 특히 서까래(113)들의 연결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중방 기둥(114)의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은 제 3 연결판(30)에 의해 중방(112)에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middle column (114) can be connected to the rafters (113) while being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middle column (112). Here,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column (114) can be connected to the rafters (113), particularly to the connecting part of the rafters (113),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and the lower part opposite to the upper part of the middle column (114) can be connected perpendicular to the middle column (112) by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사선 기둥(115)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서까래(113)와 중방(112)을 연결하면서 중방 기둥(114)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대칭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선 기둥(115)의 상단 부분은 제 4 연결판(40)에 의해 제 1 연결판(10)과 제 2 연결판(20) 사이의 서까래(113)에 연결될 수 있고, 사선 기둥(115)의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은 제 5 연결판(50)에 의해 제 1 연결판(10)과 제 3 연결판(30) 사이의 중방(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선 기둥(115)은 서까래(113)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diagonal columns (115) are formed in a pair, and can be positioned to form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column (114) while connecting the rafter (113) and the middle beam (112), respectively. Here, the upper part of the diagonal column (115) can be connected to the rafter (113)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by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lower part opposite to the upper part of the diagonal column (115) can be connected to the middle beam (112)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by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In addition, the diagonal column (115) can be positioned to be orthogonal to the rafter (113).
상기와 같이,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되어 동일 평면을 형성하면서 하나의 몸체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llar (111), the middle beam (112), the rafter (113), the middle beam pillar (114) and the diagonal pillar (1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which are each formed in a plate shape, thereby forming a single body part (101) while forming the same plane.
제 1 연결판(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111)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 및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기둥(111), 중방(112) 및 서까래(113)를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도 3 참조).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is formed as a pair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111), between the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beam (112), and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113), thereby connecting the column (111), the middle beam (112), and the rafter (113) to each other (see FIG. 3).
또한, 제 1 연결판(10)에는 제 1 기둥 연결홀(11)들, 제 1 중방 연결홀(12)들 및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a) 참조).Additionally, first pillar connecting holes (11), first middle connecting holes (12), and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13) can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see Fig. 2(a)).
제 1 기둥 연결홀(11)들은 기둥(111)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기둥(111)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1 중방 연결홀(12)들은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112)을 따라 위치될 수 있으며,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은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113)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column connecting holes (11) can be positioned along the column (111)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111), the first middle connecting holes (12) can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112) to correspond between the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112), and the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13) can be positioned along the rafter (113) to correspond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113).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1 기둥 연결홀(11)들에 대응하도록 기둥(111)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기둥(111)에 체결되고, 제 1 중방 연결홀(12)들을 통해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112)에 체결되며,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1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둥(111), 중방(112) 및 서까래(113)는 제 1 연결판(1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can be fastened to the column (111)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umn connecting holes (11), can be fastened to the column (112)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112) through the first middle connecting holes (12), and can be fastened to the rafter (113)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113)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13). As a result, the column (111), the middle (112), and the rafter (113) can be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본 실시예의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볼트 또는 나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너트와 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s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each be formed in the form of a bolt or screw and may be combined with a nut.
또한, 제 1 연결판(1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립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조립 개구(10a)는 제 1 기둥 연결홀(11)들, 제 1 중방 연결홀(12)들 및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1 연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assembly opening (1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 of the assembly part (102)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so that an assembly part (102) to be specifically described later may pass therethrough. The first assembly opening (10a)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connecting holes (11), the first middle connecting holes (12), and the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13).
제 2 연결판(20)은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서까래(113)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한 쌍의 서까래(113)들 및 중방 기둥(114)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도 4 참조).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is formed as one piec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a pair of adjacent rafters (113)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so as to connect the pair of rafters (113) and the middle column (114) to each other (see FIG. 4).
또한, 제 2 연결판(20)에는 장착 부재(21),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 및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b) 참조).Additionall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may be formed with mounting members (21),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22), and second central column connecting holes (23) (see Fig. 2(b)).
장착 부재(21)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연결판(20)의 상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부재(21)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을 갖고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21) is formed in a U shape and can b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Here, the mounting member (21) can have a partially open portion and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은 한 쌍의 서까래(113)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서까래(113)들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은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22) can be positioned along the pair of rafters (113)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113), and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23) can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column (114)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서까래(113)들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113)들에 체결되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114)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서까래(113)들 및 중방 기둥(114)은 제 2 연결판(2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can be fastened to the rafters (113)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a pair of rafters (113)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22), and can be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114)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23). As a result, the pair of rafters (113) and the middle column (114) can be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또한, 제 2 연결판(2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립 개구(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조립 개구(20a)는 장착 부재(21),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 및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2 연결판(2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assembly opening (2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ortion (10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so that the assembly portion (102), which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later, may pass through. The second assembly opening (20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member (21), the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22), and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23).
제 3 연결판(30)은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중방 기둥(114) 및 중방(112)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도 5 참조).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a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2), so as to connect the middle column (114) and the middle column (112) to each other (see FIG. 5).
또한, 제 3 연결판(30)에는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 및 제 3 중방 연결홀(33)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c) 참조).Additionally,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31) and third middle connecting holes (33) can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see Fig. 2(c)).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은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3 중방 연결홀(33)들은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112)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31) can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column (114)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and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33) can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column (112)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2).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114)에 체결되고, 제 3 중방 연결홀(33)들에 대응하도록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1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방 기둥(114) 및 중방(112)은 제 3 연결판(3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can be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114)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31), and can be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112)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2)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33). As a result, the middle column (114) and the middle column (112) can be fixed to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또한, 제 3 연결판(3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조립 개구(3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조립 개구(30a)는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 및 제 3 중방 연결홀(33)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3 연결판(3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third assembly opening (3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section (102)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so that the assembly section (102) to be specifically described later may pass through. The third assembly opening (30a)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31) and the third middle connecting holes (33).
한편, 중방(112)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 3 연결판(30)에서 18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연결판(30)에는 중방 연결홀(33)들이 중방(112)들에 의한 각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iddle chamber (112) may be formed in a pair and connected to form an angle less than 180° at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Here, the middle chamber connecting holes (33)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o correspond to the angle formed by the middle chambers (112).
제 4 연결판(40)은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 및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서까래(113) 및 사선 기둥(115)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연결판(40)은 제 1 연결판(10)과 제 2 연결판(20) 사이의 서까래(113)에 위치될 수 있다.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s (113)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115), so as to connect the rafters (113) and the diagonal columns (115) to each other. Here,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can be positioned on the rafters (113)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또한, 제 4 연결판(40)에는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 및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d) 참조).Additionally,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41) and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42) can be formed in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see Fig. 2(d)).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은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113)를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은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115)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41) can be positioned along the rafter (113)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113), and the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42) can be positioned along the diagonal column (115)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 (115).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113)에 체결되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11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까래(113) 및 사선 기둥(115)은 제 4 연결판(4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can be fastened to the rafter (113)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113)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41), and can be fastened to the diagonal column (115)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 (115)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42). As a result, the rafter (113) and the diagonal column (115) can be fixed to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또한, 제 4 연결판(4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조립 개구(4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4 조립 개구(40a)는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 및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4 연결판(4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ourth assembly opening (4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ortion (102) may be formed in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so that the assembly portion (102) to be specifically described later may pass through. The fourth assembly opening (40a) may be formed in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41) and the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42).
제 5 연결판(50)은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 및 제 1 연결판(10)과 제 3 연결판(30) 사이의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어, 사선 기둥(115) 및 중방(112)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연결판(50)은 제 1 연결판(10)과 제 3 연결판(30) 사이의 중방(112)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115) and between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section (112)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so as to connect the diagonal columns (115) and the middle section (112) to each other. Here,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can be positioned in the middle section (112)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또한, 제 5 연결판(50)에는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 및 제 5 중방 연결홀(52)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e) 참조).Additionally,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51) and fifth central connecting holes (52) can be formed in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see Fig. 2(e)).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은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115)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5 중방 연결홀(52)들은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112)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51) can be positioned along the diagonal column (115)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 (115), and the fifth middle connecting holes (52) can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section (112)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section (112).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115)에 체결되고, 제 5 중방 연결홀(52)들에 대응하도록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1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선 기둥(115) 및 중방(112)은 제 5 연결판(5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can be fastened to the diagonal column (115)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 (115)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51), and can be fastened to the middle section (112)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section (112)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fth middle section connecting holes (52). As a result, the diagonal column (115) and the middle section (112) can be fixed to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또한, 제 5 연결판(5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5 조립 개구(5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5 조립 개구(50a)는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 및 제 5 중방 연결홀(52)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5 연결판(5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fth assembly opening (5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ortion (102) may be formed in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so that the assembly portion (102) to be specifically described later may pass through. The fifth assembly opening (50a) may be formed in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51) and the fifth central connecting holes (52).
상기와 같은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은 각각 강(steel)로 이루어진 판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은 규격화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as described above can each be manufactured by cutting a plate made of steel with a laser.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can be standardized.
조립부(10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들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부(102)는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의 중방(112)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몸체부(101)들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고, 몸체부(101)들과 조합하여 온실 구조물(100)의 골조를 형성하고, 몸체부(101)들의 각각을 지면(1) 상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assembly part (10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nd can connect the body parts (101) to each other. Here, the assembly part (102) is composed of a C-shaped steel member, and is positione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enter (112) of the body parts (101) so as to connect the body parts (101) to each other, and forms a frame of a greenhouse structure (100) by combining with the body parts (101), and can maintain each of the body parts (101) in a state where it is positioned on the ground (1).
특히, 조립부(102)는 각각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관통하여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과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특히, 각각 제 1 조립 개구(10a), 제 2 조립 개구(20a), 제 3 조립 개구(30a), 제 4 조립 개구(40a) 및 제 5 조립 개구(50a)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ssembly part (102)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connection plate (10), the second connection plate (20), the third connection plate (30), the fourth connection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on plate (50) by penetrating the first connection plate (10), the second connection plate (20), the third connection plate (30), the fourth connection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on plate (50), respectively, and in particular, can be position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assembly opening (10a), the second assembly opening (20a), the third assembly opening (30a), the fourth assembly opening (40a) and the fifth assembly opening (50a), respectively.
특히, 조립부(102)는 원형 막대 형상의 용마루 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마루 부재(121)는 장착 부재(21)에 삽입되어 제 2 연결판(20)의 상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마루 부재(121)의 직경은 장착 부재(21)에 의한 직경보다 클 수 있어, 용마루 부재(121)는 장착 부재(21)에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용마루 부재(121)는 온실 구조물(100)의 최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ssembly (102) may further include a ridge member (121) in the shape of a circular rod. This ridge member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member (21) and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Here, the diameter of the ridge member (12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member (21), so that the ridge member (121)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firm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member (21). In addition, the ridge member (121)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커버부(103)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비닐, 에어버블 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103)의 일부는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113) 및 기둥(111)을 따라 위치되고, 온실 구조물(100)의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마루 부재(121)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커버부(103)에 덮힌 상태로 직접 접촉되더라도 커버부(103)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따른 커버부(10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03) is formed in a sheet shape and can be manufactured from vinyl, air bubble vinyl, polycarbonate, glass, etc. Here, a part of the cover part (103) can be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113) and the pillars (111)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and can be positioned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Here, the ridge member (1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even if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over part (103) while being covered by it, damage to the cover part (103) due to direct contact with the cover part (103) can be prevented.
또한, 커버부(103)의 나머지 일부는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112) 및 기둥(111)을 따라 위치되고, 온실 구조물(100)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부(103)는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03) may be positioned along the center (112) and the pillar (111)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ortions (101) and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The cover portion (103) as described above may form a double structure.
또한, 커버부(103)는 제 1 외부 커버(131), 제 2 외부 커버(133) 및 내부 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ver portion (103) may include a first outer cover (131), a second outer cover (133), and an inner cover (135).
제 1 외부 커버(131)는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113)들을 따라 서까래(113)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외부 커버(131)는 용마루 부재(121)를 덮으면서 용마루 부재(121)에 접촉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over (131) can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rafters (113) along the rafters (113)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Here, the first outer cover (131) can contact the ridge member (121) while covering the ridge member (121).
제 2 외부 커버(133)는 제 1 외부 커버(131)의 하단에 대응되면서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기둥(111)들을 따라 기둥(111)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외부 커버(133)는 제 1 외부 커버(131)와 조합하고, 재배 공간(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outer cover (133) can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columns (111) along the columns (111)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whi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ver (131). The second outer cover (133)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positioned outside the cultivation space (100').
내부 커버(135)는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에 대응되면서 재배 공간(100')에 위치되되,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112)들 및 기둥(111)들을 따라 중방(112)들 및 기둥(111)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inner cover (135) may be positioned in the cultivation space (1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the second outer cover (133), but may be positioned so as to close between the body parts (101) and contact the middle rooms (112) and the columns (111) along the middle rooms (112) and the columns (111).
보조 판재(10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부(102)와 평행하도록 몸체부(101)의 기둥(111)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판재(104)는 커버부(103)의 일부, 즉,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에 접촉될 수 있다.The auxiliary plates (104) are formed in a plurality, each having a plate shape, and are positioned to intersect the pillars (111) of the body part (10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ssembly part (102),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the auxiliary plates (104) can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cover part (103), that is,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the second outer cover (133).
특히, 보조 판재(104)들 중에서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104)(이하, "최상측 보조 판재(104)"라 한다)은 서까래(113)에 인접하면서 기둥(111)의 상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최상측 보조 판재(104)의 일면에는 한 쌍의 외부 패드(141)들이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외부 패드(141)들은 비닐로 이루어지되, 최상측 보조 판재(104)을 따라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3)의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는 외부 패드(141)들 사이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제 1 외부 커버(131)의 하단 부분은 상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141)에 결합될 수 있고, 제 2 외부 커버(133)의 상단 부분은 하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1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는 분리된 상태로 시공되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고, 상태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교체될 수 있다.In particular, among the auxiliary boards (104), the auxiliary board (104)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ppermost auxiliary board (104)")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111) while being adjacent to the rafter (113). Here, a pair of external pads (141) may b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most auxiliary board (104) (see FIG. 4). The external pads (141) may be made of vinyl and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uppermost auxiliary board (104). In addition, the first external cover (131) and the second external cover (133) of the cover portion (103)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rnal pads (141).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uter cover (131) can be coupled to the outer pad (141)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outer cover (133) can be coupled to the outer pad (141) located on the lower side. As a result,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the second outer cover (133) can be constructed in a separated state, making it easy to construct, and can be replaced only for the necessary parts depending on the condition.
한편, 본 실시예의 보조 판재(104)는 방부목으로 제조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plate (104)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from treated wood.
지붕 보조재(105)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들 사이에서 용마루 부재(121)와 최상측 보조 판재(104)를 연결하고 서까래(113)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붕 보조재(105)는 서까래(113)를 따라 위치된 커버부(103), 즉, 제 1 외부 커버(131)를 지지하여, 서까래(113)들과 조합하여 서까래(113)들에 대응되는 커버부(103)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보조재(105)는 각목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roof auxiliary member (105)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can be positioned to connect the ridge member (121) and the uppermost auxiliary board (104) between the body parts (101) and correspond to the rafters (113). Here, the roof auxiliary member (105) can support the cover part (103)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113), that is,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prevent sagging of the cover part (103) corresponding to the rafters (113) by combining with the rafters (113). This roof auxiliary member (105) can be manufactured from lumber.
기둥 보조재(106)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들 사이에서 보조 판재(104)를 연결하도록 기둥(111)들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둥 보조재(106)는 기둥(111)을 따라 위치된 커버부(103), 즉, 제 2 외부 커버(133)를 지지하여, 기둥(111)들과 조합하여 기둥(111)들에 대응되는 커버부(103)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 보조재(106)는 각목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lumn auxiliary member (106)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can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columns (111) to connect the auxiliary board (104) between the body parts (101). Here, the column auxiliary member (106) can support the cover part (103) positioned along the column (111), that is, the second outer cover (133), and can maintain the cover part (103) corresponding to the column (111) in an unfolded state by combining with the column (111). This column auxiliary member (106) can be manufactured from a piece of lumber.
지지 부재(107)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방 기둥(114)에 대응하도록 몸체부(101)들의 중방(112)들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107)는 중방(112)들의 하측에 위치되어 중방(112)에 접촉되어, 중방(112)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07)는 각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07)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can be positioned to connect the middle members (112) of the body parts (101) to correspond to the middle pillars (114). Here, the support member (107)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members (112) and can contact the middle members (112) to support the middle members (112).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07) can be formed of a square piece of wood.
또한, 지지 부재(107)에는 한 쌍의 내부 패드(171)들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 패드(171)들은 지지 부재(107)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지지 부재(107)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3)의 내부 커버(135)는 내부 패드(171)들 사이를 따라 분리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 참조). 한 쌍의 내부 커버(135)들은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내부 패드(171)에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내부 커버(135)들의 사이는 지지 부재(107) 및 내부 패드(171)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 커버(135)는 한 쌍으로 분리된 상태로 시공되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고, 상태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교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inner pads (171)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07). The inner pads (171)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07) and may be positioned along the support member (107). In addition, the inner covers (135) of the cover part (103) may be separated along the inner pads (171) to form a pair (see FIG. 5). The pair of inner covers (135)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pads (171) in a separated state, and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inner covers (135) may be maintained in a sealed state by the support member (107) and the inner pads (171). Due to this, the inner covers (135) may be constructed in a separated state as a pair, so that they may be easily constructed, and may be replaced only for necessary parts depending on the condition.
지지 기둥(108)은 지면(1) 상에 위치되어 몸체부(101)들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조립부(102)에 의해 연결될 상태에서 지지 부재(107)의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 부재(107)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 기둥(108)은 지지 부재(107)와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지지 부재(107)와 조합하여 몸체부(101)의 중방(11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몸체부(101)의 기둥(111)들과 조합하여 몸체부(101)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column (108) is positioned on the ground (1) and can support the support member (107) by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7) while the body parts (101) are positioned vertically and connected by the assembly part (102). Accordingly, the support column (108)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member (107), and can prevent the center (112) of the body part (101) from sagging in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107), and can stably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body parts (101) in combination with the columns (111) of the body part (101).
또한, 지지 기둥(108)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거나, 설치된 상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강풍 등으로 인해 온실 구조물(100)에 하중이 작용할 때, 지지 기둥(108)은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고, 재배 공간(100')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 지지 기둥(108)은 제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columns (108) may be installed or removed from the installed state as needed. For exampl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due to snow, strong wind, etc., the support columns (108) may be installed to withstand the load, and when work is performed in the cultivation space (100'), the support columns (108) may be removed.
또한, 커버부(103)의 내부 커버(135)는 지지 부재(107)에 분리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기에, 지지 기둥(108)은 지지 부재(107)를 지지하더라도 커버부(103)의 내부 커버(135)와 접촉되지 않아 커버부(103)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ner cover (135) of the cover part (103) is formed as a pair by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member (107), the support pillar (108)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over (135) of the cover part (103) even if it supports the support member (107), and thus the cover part (103) may not be damaged.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몸체부(101), 조립부(102), 커버부(103), 보조 판재(104),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지지 부재(107) 및 보조 기둥(108)을 상호 간에 연결하여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을 포함하고,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판 형상의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 나사 등과 같은 형태를 갖는 체결 부재(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이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C형강 부재들 및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연결되어 몸체부(101)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부(102)는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관통하면서 몸체부(101)들을 연결하여, 온실 구조물(100)의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온실 구조물(100)은 삽입 및 체결 작업을 통해 조립될 수 있기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시공될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ssembled by mutually connecting a body part (101), an assembly part (102), a cover part (103), an auxiliary plate (104), a roof auxiliary part (105), a pillar auxiliary part (106), a support member (107), and an auxiliary pillar (108). Here, the body part (101) includes a column (111), a middle beam (112), a rafter (113), a middle beam column (114), and a diagonal column (115), and the column (111), the middle beam (112), the rafter (113), the middle beam column (114), and the diagonal column (115) are each made of a pair of C-shaped steel members, and can be fixed by a fastening member (110) having a shape such as a bolt or screw while positioning a first connecting plate (10), a second connecting plate (20), a third connecting plate (30), a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a fifth connecting plate (50) therebetween. In addition, while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are inserted between the C-shaped steel members, the fastening members (110) are fastened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respectively, so that the pillar (111), the middle beam (112), the rafter (113), the middle beam column (114), and the diagonal column (115) can be connected to form a body portion (101). In addition, the assembly part (102) is made of a C-shaped steel member, and connects the body parts (101) while penetrating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thereby forming the frame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Therefore,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ssembled through insertion and fastening operations, and thus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and can be easily dismantled even in a constructed stat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삽입 및 체결 작업을 통해 조립될 수 있기에, 몸체부(101) 및 조립부(102)의 길이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온실을 제조할 수 있고, 조립부(102)을 수평을 맞추어 몸체부(101)들에 연결되도록 하여 온실의 시공을 위한 마킹하기, 수평 맞추기, 직각 맞추기 등과 같은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시공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을 연결하는 데에 이용되는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에 조립부(102)를 삽입시켜 몸체부(101)들을 연결하여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고, 보조 판재(104),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지지 부재(107) 및 보조 기둥(108)와의 조합을 통해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ssembled through insertion and fastening operations as mentioned above, a greenhouse of a desired size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01) and the assembly part (102), and steps such as marking, leveling, and right-angle alignment for greenhouse construction can be omitted by aligning the assembly part (102) horizontally and connecting it to the body parts (101). Accordingly,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for construction, and when forming a cultivation space (100'), the assembly part (10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used to connect the pillars (111), the middle beams (112), the rafters (113), the middle beam columns (114), and the diagonal columns (115), thereby connecting the body parts (101) to form a cultivation space (100'), and through combination with the auxiliary board (104), the roof auxiliary material (105), the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the support member (107), and the auxiliary column (108), can have high strength and rigidit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몸체부(101) 및 조립부(102)는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보조 판재(104)는 방부목으로 이루어지며,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및 지지 부재(107)는 각목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01) 및 조립부(102)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은 각각 구멍 및 개구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일정한 규격을 갖는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부품들의 조립을 통해 시공될 수 있어, C형강 부재들 및 판 형상 부재들을 이용하여 형성되기에,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01) and the assembly portion (102) are made of C-shaped steel members, the auxiliary board (104) is made of treated wood, the roof auxiliary member (105), the column auxiliary member (106) and the support member (107) are made of square lu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for connecting the body portion (101) and the assembly portion (102) may each be made of a plate shape having a hole and an opening. Accordingly,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parts having a certain standard, and can be constructed by assembling the parts, so that since it is formed us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and the plate-shaped members, standardization of parts and processes can be implemented.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온실 구조물
101: 몸체부
101: 기둥
102: 조립부
103: 커버부
104: 보조 판재
105: 지붕 보조재
106: 기둥 보조재
107: 지지 부재
108: 보조 기둥
111: 기둥
112: 중방
113: 서까래
114: 중방 기둥
115: 사선 기둥100: Greenhouse Structure
101: Body
101: Pillar
102: Assembly Section
103: Cover part
104: Auxiliary plate
105: Roofing Auxiliary Materials
106: Column support
107: Absence of support
108: Auxiliary pillar
111: Pillar
112: Central
113: Rafters
114: Middle pillar
115: diagonal column
Claims (10)
몸체부들의 제 1 연결판들, 제 2 연결판들 및 제 3 연결판들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몸체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조립부;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기둥, 중방, 서까래 및 중방 기둥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조립부는 각각 하나의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연결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 및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1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1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1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기둥에 체결되고, 제 1 중방 연결홀들을 통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며,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어, 기둥, 중방 및 서까래는 제 1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2 연결판은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을 따라 위치된 제 2 서까래 연결홀이 형성되고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2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들에 체결되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어,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중방 기둥은 제 2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3 연결판은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고, 제 3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중방 기둥 및 중방은 제 3 연결판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A plurality of body parts each including a pair of columns positioned so as to b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middle section positioned between the columns and having both end portions connected to upper portions of the columns by a first connecting plate, a pair of rafters each having a firs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middle section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second end portions opposite the first end portions and spaced apart from the columns and the middle section by a second connecting plate, and middle columns having upper portions connected to the rafters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lower portions opposite the upper portions connected to the middle section by a third connecting plate, the plurality of body part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assembly parts position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lates, the second connecting plates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s of the body parts and connecting the body parts to each other; and
A sheet-shaped cover portion, comprising a portion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and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a remaining portion positioned along the center and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The columns, middle beams, rafters and middle beam columns are each made of a pair of C-shaped steel members, and the assembly parts are each made of a single C-shaped steel member.
The first connecting plate is formed as a pair,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between the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beam, and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and first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colum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first middle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beam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beam, and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rafter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first longitudinal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The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 th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colum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astened to the middle member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member through the first middle member connecting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rafter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column, middle member, and rafter are fix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a pair of adjacent rafters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e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pair of rafter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and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The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 the rafters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a pair of rafter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after connecting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pair of rafters and the middle column are fixed to the second connecting plate.
The third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2), and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column (114)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middle column and the middle column are fixed to the third connecting plate.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는 조립부의 종단면에 대응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개구가 더 형성되고, 조립부는 조립 개구에 삽입되어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 결합되어 몸체부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the first paragraph,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further has at least one assembly open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 of the assembly portion, and the assembl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opening and joined to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to connect the body portions.
조립부는 원형 막대 형상의 용마루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연결판의 상단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을 갖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U자 형상의 장착 부재가 위치되며,
용마루 부재는 장착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the first paragraph,
The assembly includes a ridge member in the shape of a circular rod,
A U-shaped mounting member having a partially open portion and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dge membe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member.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부와 평행하도록 몸체부의 기둥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기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며, 커버부의 일부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보조 판재;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용마루 부재와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를 연결하고 서까래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붕 보조재; 및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보조 판재들을 연결하도록 기둥들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보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the first paragraph, the greenhouse structure,
A plurality of auxiliary plates, each formed in a plate shape, positioned to intersect the columns of the body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ssembly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olumns, and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cover part;
At least one roof auxiliary member formed in a rod shape, connecting the ridge member and the auxiliary board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among the auxiliary boards between the body parts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afters; and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rod-shaped member,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post auxiliary member positioned parallel to the posts to connect the auxiliary boards between the body parts.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방 기둥에 대응하도록 몸체부들의 중방들을 연결하도록 중방들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paragraph 5, the greenhouse structure,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member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members to connect the central members of the body parts so as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pillar.
몸체부들이 지지 부재와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지면 상에 위치될 때 지면 상에 위치되어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paragraph 6, the greenhouse structure,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arts are position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member, and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upport post that is positioned on the ground and supports the support member when positioned on the ground.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의 일면에는 한 쌍의 외부 패드들이 설치되고, 외부 패드들은 보조 판재를 따라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되며,
지지 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내부 패드가 지지 부재를 따라 위치되고,
커버부는,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들을 따라 서까래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외부 커버;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에 대응되면서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기둥들을 따라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2 외부 커버; 및
제 1 외부 커버 및 제 2 외부 커버에 대응되어 위치되되,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들 및 기둥들을 따라 중방들 및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되,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 부분은 상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고, 제 2 외부 커버의 상단 부분은 하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며,
내부 커버가 내부 패드들 사이를 따라 한 쌍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커버는 내부 패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Article 6,
A pair of external pad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plate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among the auxiliary plates, and the external pads ar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auxiliary plate.
On each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 inner pad is positioned along the support member,
The cover part is,
A first outer cover positioned to contact the rafters along the rafte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 second outer cover positioned so as to contact the columns along the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ver; and
An inner cov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over and the second outer cover, but positioned so as to contact the middle chambers and columns along the middle chambers and column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uter cover is joined to the outer pad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outer cover is joined to the outer pad located on the lower side.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overs are separated into a pair along the inner pads, each inner cover being joined to an inner pad.
각각 서까래와 중방을 연결하면서 중방 기둥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대칭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부분이 제 4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2 연결판 사이의 서까래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5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에 연결되는 한 쌍의 사선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the first paragraph, each of the body parts,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pair of diagonal columns, each of which connects a rafter and a middle room and is positioned to form symmetry with respect to a middle room column, an upper portion of which can be connected to a rafter between a first connecting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by a fourth connecting plate, and a lower portion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connected to a middle room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by a fifth connecting plate.
제 4 연결판은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 및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어, 서까래 및 사선 기둥은 제 4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5 연결판은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 및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의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며,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5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고, 제 5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사선 기둥 및 중방은 제 5 연결판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In Article 9,
The fourth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s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and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rafter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s, and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diagonal column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The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 the rafters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rafters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diagonal columns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ur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rafters and diagonal columns are fixed to the fourth connecting plate.
The fifth connecting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and between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s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and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51) are formed along the diagonal column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and fifth middle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section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section.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 the diagonal columns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diagonal colum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fth diagonal column connecting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beam by penetrating the C-shaped steel members of the middle beam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fth middle beam connecting holes, so that the diagonal columns and the middle beam are fixed to the fifth connecting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11458A KR102720699B1 (en) | 2022-01-26 | 2022-01-26 | Prefab greenhouse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11458A KR102720699B1 (en) | 2022-01-26 | 2022-01-26 | Prefab greenhouse struc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15007A KR20230115007A (en) | 2023-08-02 |
| KR102720699B1 true KR102720699B1 (en) | 2024-10-22 |
Family
ID=875666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11458A Active KR102720699B1 (en) | 2022-01-26 | 2022-01-26 | Prefab greenhouse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20699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16612B1 (en) * | 2014-04-07 | 2016-04-28 | 김지태 | Frame structure of a curved type cultivation house |
| KR102281046B1 (en) * | 2017-11-15 | 2021-07-22 | 김지태 | Frame structure of cultivation house |
| KR20200068280A (en) * | 2018-12-05 | 2020-06-15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fabricated greenhouse module |
-
2022
- 2022-01-26 KR KR1020220011458A patent/KR10272069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115007A (en) | 2023-08-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4342177A (en) | Prefabricated steel frame building construction components and methods | |
| US7802404B2 (en) | Connector for geodesic dome structures | |
| EP3574155B1 (en) | A supporting structure for a wall or roof partition | |
| JP6172589B2 (en) | Hard film greenhouse roof structure | |
| KR102720699B1 (en) | Prefab greenhouse structure | |
| EP3369869B1 (en) | Column and beam unit for hut construction and hut structure using same | |
| EP1293619B1 (en) | Truss system and truss connector | |
| JPWO2019229870A1 (en) |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20010110458A (en) | 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 |
| RU2651807C1 (en) | Greenhouse covered by glass (options) | |
| US4686802A (en) | Structural member | |
| KR102469686B1 (en) | System house structural hinge and system house using them | |
| US11319703B2 (en) | Roof frame structure | |
| JP2012172485A (en) | Column and beam unit for hut construction, and hut structure using the same | |
| KR102277778B1 (en) | System house structural hinge and system house using them | |
| JP7022636B2 (en) | Simple structure | |
| KR102430594B1 (en) | System house structural hinge and system house using them | |
| JP5750134B2 (en) | Building roof structure | |
| KR20250009694A (en) | Gutter for greenhouse and greenhouse construction method applying it | |
| JP4349213B2 (en) | Junction structure | |
| JP4507987B2 (en) | Stiffening structure of sloped roof construction surface | |
| JPH0318562Y2 (en) | ||
| KR200186455Y1 (en) | Structure of frame for glass house | |
| JPH10102636A (en) | Bracing wall panel,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evice thereof | |
| JP3022658B2 (en) | Handrai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