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4123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4123B1
KR102704123B1 KR1020190138790A KR20190138790A KR102704123B1 KR 102704123 B1 KR102704123 B1 KR 102704123B1 KR 1020190138790 A KR1020190138790 A KR 1020190138790A KR 20190138790 A KR20190138790 A KR 20190138790A KR 102704123 B1 KR102704123 B1 KR 10270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ens
unit
light
incid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024A (ko
Inventor
고동현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4123B1/ko
Priority to CN202010736255.XA priority patent/CN112781004B/zh
Priority to US17/030,591 priority patent/US10962191B1/en
Priority to DE102020213531.2A priority patent/DE102020213531B4/de
Publication of KR2021005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41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0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 G02B19/001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at least one surface having opti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G02B27/0961Lens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88Diaphragms, spatial filters, masks for removing or filtering a part of the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60Q1/0047Signalling unit mounted on a headlamp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Thick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parallel laminae or strips, e.g. of Venetian-blin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crossed laminae or strips, e.g. grid-shaped louvers; using lattices or honeyco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21V11/1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of slo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21V11/14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with many small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pr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8Combination of two or more successive refractors along an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21W2102/15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having inclined and horizontal cutoff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8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overhead sig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빔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광로 조정부; 및 상기 광로 조정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켜 제1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복수의 입사 렌즈를 포함하는 입사 렌즈부; 복수의 출사 렌즈를 포함하는 출사 렌즈부; 상기 입사 렌즈부 및 상기 출사 렌즈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빔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차량용 램프가 보다 컴팩트하고 슬림해지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며, 각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 소형화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배광 성능을 만족시키고, 둘 이상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2522호 (2013.01.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의 광원 위치 조정을 통해 빔 패턴의 배광 성능이 만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거리 조절을 통해 빔 패턴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로부터 복수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어 출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출사 렌즈 중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렌즈 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출사 렌즈를 통해 출사되는 광에 의해 둘 이상의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광로 조정부; 및 상기 광로 조정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켜 제1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복수의 입사 렌즈를 포함하는 입사 렌즈부; 복수의 출사 렌즈를 포함하는 출사 렌즈부; 상기 입사 렌즈부 및 상기 출사 렌즈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로 조정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원의 광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광로 조정부는, 비구면 렌즈, 프레넬 렌즈, TIR(Total Internal Reflector)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로 조정부는, 입사면이 평면 형상이고, 출사면이 비구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입사면에 상기 입사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1 광학부; 및 상기 제1 광학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출사면에 상기 출사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2 광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부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일부가 다른 일부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일부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은,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에 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은, 상기 제1 광학부 및 상기 제2 광학부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은, 상기 제1 광학부의 두께가 상기 제2 광학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길이는,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곡률은,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광학부 및 상기 제2 광학부 중 어느 하나의 입사면과 출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쉴드 및 복수의 제2 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출사 렌즈부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열 중 적어도 하나의 열에 의해 상기 제1 빔 패턴과 서로 다른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사 렌즈부는, 하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에 의해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은, 제1 쉴드 및 상기 제1 쉴드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 쉴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일부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이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의 위치 조정을 통해 빔 패턴의 배광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광 성능 만족을 위한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거리 조절을 통해 빔 패턴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로부터 복수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어 출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빔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복수의 출사 렌즈 중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렌즈 특성을 가지도록 하여 둘 이상의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둘 이상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도시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도시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사 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사 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쉴드의 배치 방향에 따른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쉴드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쉴드 및 제2 쉴드가 도시된 개략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단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의 광원이 도시된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와 차량의 외표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의 광원이 도시된 개략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램프 모듈의 광원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단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평면도로서, 도 4는 도 3의 베젤(32, 42)이 생략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빔 패턴의 서로 다른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차량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턴 시그널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기준으로 하측에 광이 조사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용도에 따른 복수의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중 서로 다른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차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을 각각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이 제1 램프 모듈(100)로부터 제6 램프 모듈(600)로 갈수록 후방에 위치되는 우측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좌측 헤드 램프는 우측 헤드 램프와 좌우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이 제1 램프 모듈(100)로부터 제6 램프 모듈(600)로 갈수록 후방에 위치되는 것은 차량의 외표면 형상, 예를 들어, 차량 외부로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커버 렌즈 외표면 형상이 차량 전방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평면 형상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곡률을 가지도록 때문으로서, 차량의 외표면 형상에 따라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은 제2 램프 유닛(20)에 비하여 내측에 위치하며, 제1 램프 유닛(10)은 빔 패턴의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고, 제2 램프 유닛(20)은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도 5와 같이 소정의 컷 오프 라인(CL)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P)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램프 유닛(10)이 로우 빔 패턴(P)의 스프레드 영역(P1)을 형성하고, 제2 램프 유닛(20)이 로우 빔 패턴(P)의 고조도 영역(P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스프레드 영역(P2)은 차량 전방의 시야 거리 확보를 위한 고조도 영역(P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밝기가 낮으며, 고조도 영역(P2)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확장시켜 보다 넓은 시야 범위가 확보되도록 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스프레드 영역(P1)이 고조도 영역(P2)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확장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프레드 영역(P1)은 도 6과 같이 고조도 영역(P2)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고조도 영역(P2)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도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전술한 도 5의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위치와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하여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 중 어느 하나가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가 고조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은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중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을 포함하고, 제2 램프 유닛(20)은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중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이 6개로 구성되고,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 각각이 3개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에 따라 복수의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의 개수나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 각각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 각각은 배광 성능, 예를 들어 좌우 방향으로의 광 조사각이 만족될 수 있도록 2 이상의 램프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4 이상의 램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은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이 제1 방열 유닛(31)의 전면에 장착되고,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제1 방열 유닛(3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베젤(32)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홀(32a)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방으로 안내되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열 유닛(31)에는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이 장착되는 공간과 더불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과 서로 다른 용도의 빔 패턴, 예를 들어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등의 용도에 따른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램프 모듈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유닛(20)은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이 제2 방열 유닛(41)의 전면에 장착되고,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제2 방열 유닛(4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베젤(42)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홀(42a)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방으로 안내되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열 유닛(41)에는 전술한 제1 방열 유닛(31)과 유사하게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이 장착되는 공간과 더불어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과 서로 다른 용도의 빔 패턴, 예를 들어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등의 용도에 따른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램프 모듈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을 위한 방열 유닛(31, 41)과 베젤(32, 42)이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방열 유닛(31)과 제2 방열 유닛(41), 제1 베젤(32)과 제2 베젤(4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도시된 단면도로서,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방열 유닛(31)이 생략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중 제1 램프 모듈(100)의 일 예로서, 나머지 램프 모듈(200, 300, 400, 500, 600)도 일부 구성 요소의 위치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모듈(100)은 광원부(110), 광로 조정부(120) 및 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기판(111) 및 기판(111)에 설치되는 광원(1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에는 광원(112)을 포함하여 광원(112)의 제어나 광원(112)으로의 전원 공급 등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으며, 광원(112)으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열로 인한 발광 성능 저하 방지를 위하여 신속한 열 방출이 가능하도록 제1 방열 유닛(31)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112)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광원부(110)는 기판(111)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부(113)는 기판(111)의 양측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후술할 광로 조정부(120)의 조립 시 광로 조정부(120)의 양측에 힘을 가하여 광로 조정부(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고정부(113)는 기판(111)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113a)의 일측과 연결되는 일단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고정부(113)는 일단이 기판(11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고정부(113) 각각은 양단 사이의 일 지점이 일단에 비하여 광원(112)의 광축(Ax)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광로 조정부(120)의 조립 시 복수의 고정부(113)가 일단을 기준으로 광원(112)의 광축(A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복수의 고정부(113)로부터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광로 조정부(1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광원(112)의 광축(Ax)은 전후 방향으로 광원(11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로 조정부(120)는 광원(112)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광로 조정부(120)에 입사되도록 광 투과홀(141)이 형성되는 지지 브라켓(1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40)은 광 투과홀(141)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부(142) 각각은 복수의 고정부(113) 각각에 의해 광원(112)의 광축(A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광로 조정부(120)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1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리브(143)는 일측단부가 지지부(142)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지부(142)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113)에 의해 힘을 받는 경우 지지부(142)에 연결되는 지지 리브(143)의 일측단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광로 조정부(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리브(143)는 광로 조정부(120)를 마주보는 면에 광로 조정부(12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4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143a)는 광 투과홀(141)의 테두리에 후면이 접하도록 위치하는 광로 조정부(120)의 외측 테두리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로 조정부(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광로 조정부(120)는 광원(112)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광원(112)의 광축(Ax)에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하여 후술할 렌즈부(13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광이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로 조정부(120)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120a)이 평면 형상이고,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120b)이 비구면 형상인 비구면 렌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로 조정부(120)는 비구면 렌즈 뿐만 아니라, 프레넬 렌즈나 TIR(Total Internal Reflector) 렌즈 등과 같이 광원(112)으로부터 광축(Ax)을 기준으로 소정의 광 조사각을 가지며 발생되는 광이 광축(Ax)에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부(130)는 광로 조정부(12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용도에 따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렌즈부(130)는 광로 조정부(120)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개구부(151)가 형성되는 렌즈 홀더(15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렌즈 홀더(150)는 개구부(151)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고정 리브(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 홀더(150)는 지지 브라켓(140)과 결합되어 렌즈부(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렌즈부(130)는 복수의 고정 리브(152) 중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고정 리브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 리브(152) 각각은 복수의 지지부(142) 각각에 광원(112)의 광축(A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이 경우 복수의 지지부(142) 각각으로부터 복원력이 발생되어 지지 브라켓(140) 및 렌즈 홀더(150)가 서로 간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지지부(142)는 렌즈부(130)에 가까운 일단부가 광 투과홀(141)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타단부에 비하여 광원(112)의 광축(Ax)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고정 리브(152)에 의해 복수의 지지부(142)의 일단부가 광원(112)의 광축(Ax)에 가까워지도록 힘을 받는 경우, 복수의 지지부(142)로부터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렌즈부(1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렌즈부(130)는 입사 렌즈부(131), 제1 광학부(132), 출사 렌즈부(133), 제2 광학부(134) 및 쉴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입사 렌즈부(13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을 형성하고, 좌우 방향의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입사 렌즈(13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입사 렌즈(131a)는 광로 조정부(12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131a)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입사 렌즈부(131)는 글래스 등과 같이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광학부(132)에서 광로 조정부(120)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사 렌즈부(131)가 제1 광학부(132)의 표면 가공에 의해 제1 광학부(1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사 렌즈부(131)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광학부(132)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입사 렌즈(131a)는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2와 같이 좌우 방향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각 입사 렌즈들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의 열을 형성하는 각 입사 렌즈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V1)이 수평선(S)과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출사 렌즈부(13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을 형성하고, 좌우 방향의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출사 렌즈(13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출사 렌즈(133a)는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출사 렌즈(133a)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출사 렌즈부(133)는 글래스 등과 같이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광학부(134)에서 전방으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사 렌즈부(133)가 제2 광학부(134)의 표면 가공에 의해 제2 광학부(13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사 렌즈부(133)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광학부(134)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출사 렌즈(133a)는 복수의 입사 렌즈(131a)와 유사하게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3과 같이 좌우 방향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각 출사 렌즈들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V2)이 수평선(S)과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사 렌즈(131a)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반원통 형상의 렌즈이고, 복수의 입사 렌즈(131a)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복수의 입사 렌즈(131a)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여러 개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일 예로 복수의 입사 렌즈(131a)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복수의 출사 렌즈(133a) 중 2 이상의 출사 렌즈로 입사될 수 있다.
복수의 입사 렌즈(131a)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출사 렌즈의 개수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입사 렌즈(131a) 및 복수의 출사 렌즈(133a)의 형상에 따라 서로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 등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입사 렌즈(131a) 각각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복수의 출사 렌즈(133a) 중 2 이상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전술한 도 12는 렌즈부(130)의 후방에서 입사 렌즈부(131)를 바라볼 때 복수의 입사 렌즈(131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나타내고, 전술한 도 13은 렌즈부(130)의 전방에서 출사 렌즈부(133)를 바라볼 때 복수의 출사 렌즈(133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입사 렌즈(131a) 및 복수의 출사 렌즈(133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수평선(S)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제2 광학부(134)는 제1 광학부(132)의 전방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면이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광학부(132) 및 제2 광학부(134)는 광의 확산 등을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쉴드부(135)는 입사 렌즈부(131) 및 출사 렌즈부(133)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출사 렌즈(133a) 각각으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시켜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쉴드부(135)는 제1 광학부(132) 및 제2 광학부(134) 중 어느 하나의 입사면 및 출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쉴드(135a) 및 복수의 제2 쉴드(13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쉴드(135a)는 제2 광학부(134)의 입사면, 즉 제1 광학부(132)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쉴드(135b)는 제2 광학부(134)의 출사면, 즉 전방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제1 쉴드(135a) 각각은 복수의 입사 렌즈(131a) 및 복수의 출사 렌즈(133a) 중 서로 대응되는 입사 렌즈 및 출사 렌즈의 초점에 상단 중심부가 위치하여 복수의 출사 렌즈(133a)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전술한 도 5의 컷 오프 라인(CL)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쉴드(135a) 각각의 상단에는 전술한 도 5와 같이 경사 라인(CL1)을 형성하는 경사 에지부(136a), 상측 라인(CL2)을 형성하는 제1 에지부(136b), 하측 라인(CL3)을 형성하는 제2 에지부(136c) 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에지부(136b) 및 제2 에지부(136c)의 위치와 상측 라인(CL2) 및 하측 라인(CL3)의 위치가 반대로 나타나는 것은 복수의 출사 렌즈(133a)로서 비구면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출사 렌즈(133a)로 입사되어 출사되는 광은 역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복수의 제1 쉴드(135a)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4와 같이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4는 제2 광학부(134)의 후방에서 복수의 제1 쉴드(135a)를 바라볼 때의 형상이 도시된 경우의 일 예이며, 복수의 제1 쉴드(135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복수의 제1 쉴드(135a) 각각의 특정 지점, 예를 들어 경사 에지부(136a)의 상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V3)이 수평선(S)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쉴드(135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은 복수의 제1 쉴드(135a) 중 어느 하나의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와 양측으로 각각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 쉴드의 제2 에지부 및 제1 에지부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복수의 제1 쉴드(135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도 15와 같이 복수의 제1 쉴드(135a) 중 어느 하나의 제1 에지부 및 제2 에지부와 양측으로 각각 인접한 제1 쉴드의 제2 에지부 및 제1 에지부 사이에는 단차(T)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단차(T)로 인하여 컷 오프 라인(CL)의 양측 부분에서 상측 라인(CL2)보다 낮아지게 되는 부분(A1)과 하측 라인(CL3)보다 높아지게 되는 부분(A2)이 형성되어 운전자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거나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쉴드(135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로록 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제1 쉴드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복수의 제1 쉴드(135a)가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쉴드(135a)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초점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복수의 입사 렌즈(131a) 및 복수의 출사 렌즈(133a)도 좌우 방향의 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쉴드(135a)가 좌우 방향의 열이 경사지되도록 배치될 때 제1 에지부(136b)에서 제2 에지부(136c)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제1 에지부(136b)가 컷 오프 라인(CL) 중 주행 차선에 대응되는 라인(CL2)을 형성하고, 제2 에지부(136c)가 컷 오프 라인(CL) 중 대향 차선에 대응되는 라인(CL3)을 형성한다는 것으로부터 복수의 제1 쉴드(135a)는 좌우 방향의 열이 대향 차선으로부터 주행 차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쉴드(135b)는 컷 오프 라인(CL)의 상측 라인(CL2) 및 하측 라인(CL3)이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컷 오프 라인(CL)의 상측 라인(CL2) 및 하측 라인(CL3)은 주로 복수의 출사 렌즈(133a)의 하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도 16과 같이 복수의 제2 쉴드(135b)가 생략되는 경우의 빔 패턴(점선)에 비하여 컷 오프 라인(CL)의 상측 라인(CL2)과 하측 라인(CL3)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쉴드(135b) 각각의 상단은 도 17 및 도 18과 같이 복수의 제1 쉴드(135a) 중 대응되는 제1 쉴드의 상단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출사 렌즈(133a) 각각의 후측 초점(F) 또는 후측 초점(F) 부근에 상단 중심부가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쉴드(135a)의 상단과 비교하여 복수의 제2 쉴드(135b) 각각의 상단이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 차단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광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의 제2 쉴드(135b)는 전술한 복수의 입사 렌즈(131a), 복수의 출사 렌즈(133a) 및 복수의 제1 쉴드(135a)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의 열이 제1 쉴드(135a)의 제1 에지부(136b)에서 제2 에지부(136c)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쉴드(135b) 각각의 상단 중 일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7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137a)는 글레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중 제1 램프 유닛(10)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100, 200, 300)과 제2 램프 유닛(20)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400, 500, 600)은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 램프 유닛(10, 20)에 의해 빔 패턴에서 형성되는 영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램프 유닛(10)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100, 200, 300)의 복수의 입사 렌즈는 제1 램프 유닛(10)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100, 200, 300)의 복수의 출사 렌즈보다 긴 초점 거리를 가지며, 제2 램프 유닛(10)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400, 500, 600)은 복수의 입사 렌즈 및 복수의 출사 렌즈가 동일한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의 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에 포함되는 램프 모듈의 렌즈부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19는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모듈(100)이 도시된 일 예이고, 도 20은 제2 램프 유닛의 제4 램프 모듈(400)이 도시된 일 예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램프 모듈(100)의 렌즈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입사 렌즈(131a)를 포함하는 입사 렌즈부(131), 입사 렌즈부(131)가 입사면에 형성되는 제1 광학부(132), 복수의 출사 렌즈(133a)를 포함하는 출사 렌즈부(133), 출사 렌즈부(133)가 출사면에 형성되고 제1 광학부(132)와 서로 마주보는 면이 접하도록 위치하는 제2 광학부(134), 및 제2 광학부(134)의 입사면과 출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쉴드(135a)와 복수의 제2 쉴드(135b)를 포함하는 쉴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4 램프 모듈(400)의 렌즈부(430)는 제1 램프 모듈(100)과 유사하게 복수의 입사 렌즈(431a)를 포함하는 입사 렌즈부(431), 입사 렌즈부(431)가 입사면에 형성되는 제1 광학부(432), 복수의 출사 렌즈(433a)를 포함하는 출사 렌즈부(433), 출사 렌즈부(433)가 출사면에 형성되고 제1 광학부(432)와 서로 마주보는 면이 접하도록 위치하는 제2 광학부(434,) 및 제2 광학부(434)의 입사면과 출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쉴드(435a)와 복수의 제2 쉴드(435b)를 포함하는 쉴드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램프 모듈(100)의 제1 광학부(132)의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d11)는 제2 광학부(134)의 두께(d12)보다 두껍고, 제4 램프 모듈(400)의 제1 광학부(432)의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d21)는 제2 광학부(434)의 두께(d22)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램프 유닛(10)은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광도를 가지되 넓은 조사 범위를 가지도록 하고, 제2 램프 유닛(20)는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광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 램프 모듈(100)은 제1 광학부(132)의 두께(d11)가 제2 광학부(134)의 두께(d12)보다 크기 때문에 복수의 입사 렌즈(131a)의 초점 거리가 증가하도록 복수의 입사 렌즈(131a)가 복수의 출사 렌즈(133a)보다 더 완만하도록 복수의 입사 렌즈(131a)의 곡률이 복수의 출사 렌즈(133a)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제4 램프 모듈(400)은 제1 광학부(432)의 두께(d21)와 제2 광학부(434)의 두께(d22)가 동일하기 때문에 복수의 입사 렌즈(431a)와 복수의 출사 렌즈(433a)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거리 조절을 통해 빔 패턴에서 복수의 출사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각각의 광원은 광로 조정부의 좌우 방향으로 후측 초점을 지나는 연장선 또는 그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프레드 영역(P1)을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의 광원은 고조도 영역(P2)을 형성하는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의 광원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의 광원이 광로 조정부의 좌우 방향으로 후측 초점을 지나는 연장선 또는 그 하측 부근에 위치하고,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의 광원은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의 광원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은 광이 집중도를 향상시켜 고조도 영역(P2)이 충분한 밝기를 가지도록 하고,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은 광이 상대적으로 더 퍼지도록 하여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제1 램프 유닛(10)은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각각의 광원이 광로 조정부의 후측 초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과 같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램프 모듈(100)의 광원(112)은 광로 조정부의 후측 초점(BF)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는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제2 및 제3 램프 모듈(200, 300) 각각의 광원(212, 312)은 제1 램프 모듈(100)의 광원(112)의 양측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각각의 광원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및 제3 램프 모듈(200, 300) 각각의 광원(212, 312)이 제1 램프 모듈(100)의 광원(112)의 측방에 위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좌우 방향으로의 광 조사각이 요구되는 배광 성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각각의 광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도 5와 같이 컷 오프 라인(CL)이 경사 라인(CL1)을 포함하기 때문이며, 컷 오프 라인의 형상에 따라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각각의 광원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100, 200, 300)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램프 모듈(100)의 광원(112)이 광로 조정부의 후측 초점(BF)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는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커버 렌즈를 통해 차량 외부로 조사될 때 커버 렌즈와의 거리가 멀수록 커버 렌즈 주변의 차폐된 영역에 의해 차단되는 광이 늘어나 광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으로서 커버 렌즈와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램프 모듈(100)의 광원이 광로 조정부의 후측 초점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는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광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도 22와 같이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은 차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커버 렌즈의 외표면 등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의 외표면(R)과의 전후방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차량의 외표면(R)과의 전후방 거리가 가장 짧은 제1 램프 모듈(100)의 광원(112)이 광로 조정부의 후측 초점(BF)을 상하 방향으로 지나는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광 손실이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램프 유닛(20)도 제1 램프 유닛(10)과 유사한 이유로 도 23과 같이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4 램프 모듈(400)의 광원(412)이 광로 조정부의 후측 초점(BF)을 지나는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제5 및 제6 램프 모듈(500, 600)의 광원(512, 612)은 제4 램프 모듈(400)의 광원(412)을 기준으로 양측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 각각의 광원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 각각의 광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도 5와 같이 컷 오프 라인(CL)이 경사 라인(CL1)을 포함하기 때문이며, 컷 오프 라인의 형상에 따라 제4 내지 제6 램프 모듈(400, 500, 600) 각각의 광원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각각의 광원(112, 212, 312, 412, 512, 612)은 도 24와 같이 광로 조정부의 후측 초점(BF)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광원 대신에 광원의 광축을 표시한 경우의 일 예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단일의 빔 패턴, 즉 로우 빔 패턴(P)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둘 이상의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가 도시된 단면도로서, 도 25는 제1 내지 제 6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중 제1 램프 모듈(100)의 일 예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복수의 출사 렌즈(133a) 중 적어도 하나의 좌우 방향의 열(133b)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측이 서로 다른 길이나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우 빔 패턴과 더불어 운전자의 시야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도로 표지판 등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시그널 빔 패턴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선(C)을 기준으로 상하측의 길이나 곡률 등에 따라 시그널 빔 패턴 뿐만 아니라, 다양한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출사 렌즈(133a) 중 출사 렌즈부(13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열(133b)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가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하는 좌우 방향의 열은 다양하게 변경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출사 렌즈(133a) 중 출사 렌즈부(13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열(133b)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가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향하는 광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베젤(32) 등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열(133b) 중 하나는 제1 쉴드가 생략되고, 다른 하나는 제1 쉴드와 제2 쉴드가 모두 형성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도 25와 같이 출사 렌즈부(133)의 하단부에 위치한 2개의 열(133b)이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 도 26과 같이 기준선(C)을 기준으로 하측을 통해 출사되는 광(L2)은 다른 광(L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진행하게 되어 도 27과 같이 로우 빔 패턴(P)의 상측에 시그널 빔 패턴(SP)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우 빔 패턴과 더불어 로우 빔 패턴의 상측에 위치하는 시그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렌즈부(130)의 출사 렌즈부(13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가 기준선을 기준으로 하측이 상측에 비하여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광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램프 모듈(100, 200, 300, 400, 500, 600) 각각의 광원(112, 212, 312, 412, 512, 612)의 광원의 배치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배광 성능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게 되고, 출사 렌즈(133a)의 곡률 조정을 통해 서로 다른 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램프 유닛 20: 제2 램프 유닛
100, 200, 300, 400, 500, 600: 램프 모듈 110: 광원부
111: 기판 112: 광원
113: 고정부 120: 광로 조정부
130: 렌즈부 131: 입사 렌즈부
131a: 입사 렌즈 132: 제1 광학부
133: 출사 렌즈부 133a: 출사 렌즈
134: 제2 광학부 135: 쉴드부
135a: 제1 쉴드 135b: 제2 쉴드
140: 지지 브라켓 141: 광 투과홀
142: 지지부 143: 지지 리브
143a: 돌출부 150: 렌즈 홀더
151: 개구부 152: 고정 리브

Claims (18)

  1. 복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광로 조정부; 및
    상기 광로 조정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사시켜 제1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복수의 입사 렌즈를 포함하는 입사 렌즈부;
    복수의 출사 렌즈를 포함하는 출사 렌즈부; 및
    상기 입사 렌즈부 및 상기 출사 렌즈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사 렌즈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사 렌즈부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열 중 적어도 하나의 열에 의해 상기 제1 빔 패턴과 서로 다른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조정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상기 광원의 광축에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광의 경로를 조정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조정부는,
    비구면 렌즈, 프레넬 렌즈, TIR(Total Internal Reflector)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조정부는,
    입사면이 평면 형상이고, 출사면이 비구면 형상인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입사면에 상기 입사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1 광학부; 및
    상기 제1 광학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출사면에 상기 출사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2 광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부는,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일부가 다른 일부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일부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빔 패턴의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은,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에 비하여 상기 제1 광학부의 두께가 얇은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은,
    상기 제1 광학부 및 상기 제2 광학부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은,
    상기 제1 광학부의 두께가 상기 제2 광학부의 두께보다 큰 차량용 램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길이는,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초점 길이보다 짧은 차량용 램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도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곡률은,
    상기 스프레드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의 복수의 입사 렌즈의 곡률보다 큰 차량용 램프.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 광학부 및 상기 제2 광학부 중 어느 하나의 입사면과 출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쉴드 및 복수의 제2 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 렌즈부는,
    하단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에 의해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로 입사되는 광은,
    제1 쉴드 및 상기 제1 쉴드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 쉴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는 차량용 램프.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출사 렌즈는,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KR1020190138790A 2019-11-01 2019-11-01 차량용 램프 Active KR10270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90A KR102704123B1 (ko) 2019-11-01 2019-11-01 차량용 램프
CN202010736255.XA CN112781004B (zh) 2019-11-01 2020-07-28 车辆用灯具
US17/030,591 US10962191B1 (en) 2019-11-01 2020-09-24 Lamp for vehicle
DE102020213531.2A DE102020213531B4 (de) 2019-11-01 2020-10-28 Leuchte für ein Fahrzeug, die eine Eintrittslinseneinheit, eine Austrittslinseneinheit und eine zwischen diesen angeordnete Abschirmeinheit aufwe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90A KR102704123B1 (ko) 2019-11-01 2019-11-01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024A KR20210053024A (ko) 2021-05-11
KR102704123B1 true KR102704123B1 (ko) 2024-09-06

Family

ID=7516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790A Active KR102704123B1 (ko) 2019-11-01 2019-11-0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2191B1 (ko)
KR (1) KR102704123B1 (ko)
CN (1) CN112781004B (ko)
DE (1) DE10202021353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8333B (zh) * 2019-05-29 2024-09-17 浙江嘉利(丽水)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车灯及其灯光调节机构
USD936256S1 (en) * 2019-09-05 2021-11-16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FR3105345B1 (fr) * 2019-12-20 2022-10-14 Valeo Vision Belgique Dispositif d'éclairage automobile
USD951502S1 (en) * 2020-01-20 2022-05-10 Hyundai Motor Company Head lamp for an automobile
USD952916S1 (en) * 2020-01-30 2022-05-24 Kia Motors Corporatio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52917S1 (en) * 2020-03-05 2022-05-24 Kia Motors Corporatio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52915S1 (en) * 2020-03-05 2022-05-24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KR102390805B1 (ko) * 2020-06-09 202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USD957706S1 (en) * 2020-06-23 2022-07-12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utomobile
USD960414S1 (en) * 2020-06-23 2022-08-09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utomobile
USD974610S1 (en) * 2020-07-01 2023-01-03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s
KR20220011393A (ko) * 2020-07-21 2022-01-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843780B1 (ko) 2020-07-29 2025-08-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US11920755B2 (en) * 2020-09-29 2024-03-05 Hasco Vision Technology Co., Ltd. Automotive headlamp system and automotive lamp
USD964613S1 (en) * 2020-11-19 2022-09-20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s
USD971465S1 (en) * 2021-01-12 2022-11-29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80476S1 (en) * 2021-01-12 2023-03-07 Hyundai Motor Company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12352400B2 (en) 2021-08-30 2025-07-08 Koito Manufacturing Co., Ltd. Microlens array and vehicle lamp using microlens array
DE102021124222B4 (de) 2021-09-20 2025-02-20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CN116123475A (zh) * 2021-11-12 2023-05-16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车灯模组、车灯及车辆
TWI798123B (zh) * 2022-07-04 2023-04-01 康庭愷 車用燈具及其支架結構
KR102697982B1 (ko) * 2022-08-30 2024-08-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50009177A (ko) * 2023-07-10 2025-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광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590A (ja) * 2003-12-05 2005-06-2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258465B2 (ja) * 2004-12-01 2009-04-3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JP4397856B2 (ja) * 2005-06-06 2010-01-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US7580192B1 (en) 2008-12-23 2009-08-25 Smart Champ Enterprise Limited Collimation lens system for LED
KR101271886B1 (ko) 2011-06-29 2013-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제어방법
CN102518964A (zh) * 2011-12-11 2012-06-27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光源和照明装置
CN203258423U (zh) * 2013-04-11 2013-10-30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Led单元模组、发光装置以及光源系统
CN105556200B (zh) * 2013-09-17 2016-12-21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载用前照灯
AT514967B1 (de) * 2013-10-25 2015-08-15 Zizala Lichtsysteme Gmbh Mikro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DE102016101321A1 (de) * 2015-02-12 2016-08-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euchteinrichtung, Leuchtsystem und Bewegungsobjekt
AT517887B1 (de) * 2015-10-23 2018-06-15 Zkw Group Gmbh Mikroprojektions-Lichtmodul für Fahrzeugscheinwerfer
AT517885B1 (de) * 2015-10-23 2018-08-15 Zkw Group Gmbh Mikro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zur Erzeugung von abbildungsfehlerfreien Lichtverteilungen
JP6646842B2 (ja) * 2016-02-01 2020-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JP6690960B2 (ja) * 2016-02-18 2020-04-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02016119880A1 (de) * 2016-10-19 2018-04-19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EP3592736A1 (en) 2017-03-10 2020-01-15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Indole derivatives as efflux pump inhibitors
DE102017110886A1 (de) * 2017-05-18 2018-11-22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Mikroprojektoren aufweisenden Lichtmodul
DE102017112971A1 (de) * 2017-06-13 2018-12-1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wenigstens zwei Ausgangsteillinsen aufweisenden Mikroprojektionsmodulen
JP2019096381A (ja) * 2017-11-17 2019-06-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102036749B1 (ko) * 2017-12-14 2019-10-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463273B1 (ko) * 2017-12-29 2022-11-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13531B4 (de) 2022-09-22
DE102020213531A1 (de) 2021-05-06
KR20210053024A (ko) 2021-05-11
CN112781004B (zh) 2022-11-22
CN112781004A (zh) 2021-05-11
US10962191B1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4123B1 (ko) 차량용 램프
KR20250027691A (ko) 차량용 램프
US11644170B2 (en) Lamp for vehicle
KR102617541B1 (ko) 차량용 램프
KR20250085686A (ko) 차량용 램프
KR102843780B1 (ko) 차량용 램프
KR102864372B1 (ko) 차량용 램프
KR20230125567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KR102759424B1 (ko) 차량용 램프
KR102704143B1 (ko) 차량용 램프
KR20240155642A (ko) 차량용 램프
KR20240030336A (ko) 차량용 램프
KR102797344B1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797332B1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697990B1 (ko) 차량용 램프
KR102697982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064667A (ko) 차량용 램프
KR102742248B1 (ko) 차량용 램프
KR102805114B1 (ko) 차량용 램프
KR20250085081A (ko) 차량용 램프
KR20250035201A (ko) 차량용 램프
KR20250016818A (ko) 차량용 램프
KR20250089254A (ko) 차량용 램프
KR20240176138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