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6291B1 - Rotating electric machine - Google Patents

Rotating electric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6291B1
KR102696291B1 KR1020190174373A KR20190174373A KR102696291B1 KR 102696291 B1 KR102696291 B1 KR 102696291B1 KR 1020190174373 A KR1020190174373 A KR 1020190174373A KR 20190174373 A KR20190174373 A KR 20190174373A KR 102696291 B1 KR102696291 B1 KR 10269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luid
housing
supply unit
air gap
st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1937A (en
Inventor
김종수
곽태희
최정일
김기하
최윤영
Original Assignee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6291B1/en
Publication of KR2021008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29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02K9/193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with provision for replenishing the cooling medium;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5Devices for sensing temperature,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3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specially adapted for liquids, e.g. cooling j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H02K9/2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wherein the cooling medium vaporises within the machin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3Machines characterised by aspects of the air-gap between rotor and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전기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을 구비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미리 설정된 에어갭을 두고 배치되는 로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주입되는 냉각유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냉각수가 열교환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냉각수순환유로;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냉각유체순환부; 및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터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갭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및 로터 사이의 에어갭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stator having a stator co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stator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a rotor disposed with a preset air gap from the stator; a cooling fluid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he cooling water can exchange heat;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an air gap supply unit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and supplying the cooling fluid to the air gap by passing through the stator. As a result, the air gap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can be quickly cooled.

Description

회전전기기계{ROTATING ELECTRIC MACHINE}Rotating electric machine {ROTATING ELECTRIC MACHINE}

본 발명은, 회전전기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터 및 로터의 에어갭의 냉각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한 회전전기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apable of promoting cooling of an air gap between a stator and a rotor.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및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As noted above, it includes a device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and a device for converting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구체적으로, 이러한 회전전기기계는, 전동기, 발전기 및 발전기 겸용 전동기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se rotating electric machines include electric moto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generators.

상기 회전전기기계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above rotating electric machine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ator and a rotor that is arrang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tator.

상기 회전전기기계 중 일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하우징본체의 개방영역을 차단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를 구비한다.Some of the above rotating electric machines have a housing that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housing has a housing body that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with at least one side open inside, and a housing cover that is coupled to block the open area of the housing body.

상기 회전전기기계는 구동 시 상기 스테이터 및 로터의 발열작용에 기인하여 내부의 온도가 상승된다. 상기 회전전기기계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면 전기저항의 증가로 회전전기기계의 출력 저하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구성 부품의 강제 열화가 촉진되어 회전전기기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bove-mentioned rotating electric machine increases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stator and rotor when the above-mentioned rotating electric machine is dri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above-mentioned rotating electric machine increases excessively, the output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may decrease due to an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lifespan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is shortened due to the accelerated forced deterioration of the component parts.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회전전기기계의 일부에는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냉각하는 공냉식 냉각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냉식 냉각수단은 공기의 비열 특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상기 회전전기기계를 냉각하는 데 한계가 있다.Considering these problems, some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 equipped with air-cooling means that cool by forcibly blowing air. Such air-cooling means have limitations in cooling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because the specific heat characteristic of air is relatively low.

또한, 회전전기기계의 다른 일부에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수냉식 냉각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냉식 냉각수단은 주로 하우징의 둘레에 냉각수의 수용공간 및/또는 이동 경로가 구비된 냉각수 자켓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회전전기기계의 크기 및 무게를 증가시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수냉식 냉각수단을 구비한 회전전기기계는 전기 코일과 냉각수의 직접 접촉이 곤란하므로 전기코일의 냉각에 한계가 있다. 또한, 냉각수와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된 영역의 발열원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상승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other parts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are equipped with a water-cooling cooling means that cools using cooling water. Since such a water-cooling cooling means must be equipped with a cooling water jacket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cooling water and/or a movement path mainly around the hous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ncreases the size and weight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In addition, a rotating electric machine equipped with such a water-cooling cooling means has a limitation in cooling the electric coil because direct contact between the electric coil and the cooling water is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in an area relatively far away from the cooling water locally increases excessively.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회전전기기계의 또 다른 일부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냉각 유체를 주입하여 냉각시키는 냉각유체 냉각방식이 이용되고 있다.Considering these problems, another part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uses a cooling fluid cooling method that cools by injecting a cooling flui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각유체를 이용한 냉각방식의 회전전기기계에 있어서는,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유체공급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 및 로터에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국부 온도 상승 영역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otating electric machine using a cooling method using a cooling flui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cal temperature rise area occurs in the stator and roto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oling fluid supply section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또한, 냉각유체의 접근이 곤란한 영역,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 영역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an area where the cooling fluid has difficulty accessing, for example, an air gap area form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increases.

또한, 로터의 열교환이 미흡하게 되어 상기 로터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고, 이에 기인하여 영구자석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heat exchange of the rotor is insufficient, causing the temperature of the permanent magnets provided in the rotor to rise excessively, which may shorten the lifespan of the permanent magnets.

또한,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상부 중앙에 냉각유체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좌우 양 단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tator coil's end turn rises because the cooling fluid is suppli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또한, 일부 회전전기기계에 있어서는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에 냉각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스테이터와 로터의 에어갭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출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some rotating electric machines, a cooling fluid path is form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which increases the air gap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which may result in a decrease in output.

JPJP 2004-2608982004-260898 AA KRKR 10201400385981020140038598 AA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갭을 증대시키지 아니하고 에어갭을 냉각할 수 있는 회전전기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apable of cooling an air gap without increasing the air gap.

또한, 본 발명은, 로터의 중앙영역을 냉각할 수 있는 회전전기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apable of cooling the central region of the rotor.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국부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a local temperature rise at the end turn of a stator coil.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전기기계는, 냉각유체가 에어갭에 직접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oling fluid can be directly supplied to an air gap.

구체적으로, 스테이터와 로터가 에어갭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갭에 직접 공급됨으로써, 상기 에어갭이 상기 냉각유체에 의해 직접 냉각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respectively arranged with an air gap between them, and the cooling fluid penetrates the stator and is directly supplied to the air gap, so that the air gap can be directly cooled by the cooling fluid.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 및 상기 로터의 외부가 상기 냉각유체에 의해 직접 냉각되어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Thereby, the inside of the stator and the outside of the rotor can be directly cooled by the cooling fluid, so that temperature rise can be suppressed.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냉각수가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순환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된다. A housing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above stator, and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is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heat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cooling water while circulat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유체가 주입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냉각유체가 순환될 수 있게 냉각유체순환부가 형성된다. The cooling fluid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a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is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circulat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유체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를 따라 이동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By this, the cooling fluid, whose temperature has increased through heat exchange inside the housing, can be cool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moving along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을 구비한다. The above stator has a stator co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stator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상기 스테이터에는 일 단이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갭에 연결되는 에어갭공급부가 구비된다.The above stator is provided with an air gap supply uni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which penetrates the stator and is connected to the air gap.

상기 회전전기기계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을 구비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미리 설정된 에어갭을 두고 배치되는 로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주입되는 냉각유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냉각수가 열교환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냉각수순환유로;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냉각유체순환부; 및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터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갭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rotating electric machin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stator having a stator co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stator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a rotor disposed with a preset air gap from the stator; a cooling fluid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form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the cooling water can exchange heat;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form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cooling fluid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an air gap supply unit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and supplying the cooling fluid to the air gap by passing through the st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갭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gap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upply nozz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stator to the air gap.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각유체가 상기 에어갭으로 직접 공급됨으로써, 상기 에어갭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By this, the air gap can be cooled more quickly by supplying a cooling fluid of relatively low temperature directly into the air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노즐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갭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nozzle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air gap along the axial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로터의 중앙영역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By this, the central area of the rotor can be cool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노즐은 상기 스테이터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에어갭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nozzle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or into the air gap.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각유체가 상기 로터와 직접 접촉될 수 있어 상기 로터를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By thi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oling fluid can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rotor, thereby cooling the rotor more quickly.

또한, 상기 로터가 더욱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otor can be maintained at a lower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수하우징; 및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체순환부가 형성되는 냉각유체하우징;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oling water housing in whic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is formed; and a cooling fluid housing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and in whic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is formed.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주입되는 냉각유체에 의해 냉각될 수 있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스테이터 및 로터가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Thereby, the interior of the housing can be cooled by the cooling water mov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also by the cooling fluid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so that the stator and rotor inside the housing can be cool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하우징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유체하우징은 반원 단면 형상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ant housing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oolant fluid housing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하우징에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가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the coolant housing so that the coolant fluid circulation part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oolant housing.

상기 냉각유체하우징에는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냉각유체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A cooling fluid inlet may be formed in 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penetra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유체순환부는 상기 냉각유체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냉각유체펌프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may be configured with a cooling fluid pump that promotes circulation of the cooling fluid.

여기서, 상기 냉각유체펌프에는 상기 냉각유체가 각각 이동될 수 있게 제1냉각유체유로 및 제2냉각유체유로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oling fluid pump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first cooling fluid path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move, respectively.

이에 의해, 상기 냉각유체와 상기 냉각수의 열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상기 냉각유체가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Thereby, 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fluid and the cooling water is rapidly achieved,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be cooled more quickly.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는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호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path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form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이에 의해,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냉각유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reby,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fluid moving along each of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can be maintained uniform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유체순환부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가 서로 합류되는 합류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합류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has a confluence section where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join each other, and the air gap supply unit can be formed in the confluence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 및 상기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gap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ir gap supply uni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stator and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으로 더욱 많은 냉각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Thereby, more cooling fluid can be supplied to the air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gap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ir gap supply unit that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에 더욱 많은 냉각유체가 더욱 넓은 영역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어 상기 에어갭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By this, more cooling fluid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a wider area in the air gap, so that the air gap can be cooled more quick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의 대향 측에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gap supply unit may further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air gap supply unit position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with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의 상단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갭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이 더욱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다. Thereby, the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air gap can be cooled more uniformly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center of the air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end-turn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end-turn of the stator coil.

이에 의해,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By this, the temperature rise at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상부 중앙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제1엔드턴공급부 및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엔드턴공급부를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turn suppl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end turn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and a second end turn supply uni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By this,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can be cooled more quick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제3엔드턴공급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turn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nd turn supply uni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By this, the temperature of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can be further low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엔드턴의 좌우방향을 따라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의 상측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may be arranged to supply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side of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end turn.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좌측단부 또는 우측 단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By this, the temperature of the left or right end of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which has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an be effectively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은, 상기 냉각유체순환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외측에 서로 대면되게 결합되는 제1냉각유체하우징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luid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oling fluid housing and a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each of which has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and which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각유체의 열교환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By this,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cooling fluid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 또는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상부 중앙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게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 및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타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gap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ir gap supply unit formed in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r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and arranged to supply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center of the stator,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to one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hird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to the oth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의 상단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갭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상기 냉각유체의 공급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By this, the cooling fluid can be supplied evenly to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air gap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center of the air g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냉각유체순환부 또는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냉각유체순환부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r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nd-turn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end-turn of the stator coil.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각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By this, a cooling flui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an be supplied to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상부 중앙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배치되는 제1엔드턴공급부,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 일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엔드턴공급부 및 상기 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 타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3엔드턴공급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turn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end turn supply unit arranged to supply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a second end turn supply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in on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hird end turn supply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end turn supply unit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고, 더욱 낮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By this,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can be cooled more quickly and maintained at a lower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유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oling fluid pump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ing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관리)할 수 있다. By this,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can be controlled (managed) more effectively.

여기서, 상기 냉각유체펌프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스테이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스테이터온도감지부 및 상기 로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로터온도감지부를 구비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테이터온도감지부 및 상기 로터온도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냉각이 더욱 필요한 영역으로 냉각유체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냉각유체펌프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cooling fluid pump is configured to b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units,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stator and a ro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rotor, and the control un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ooling fluid pump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be supplied to an area that requires more cooling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the ro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이에 의해, 더욱 냉각이 필요한 영역으로 냉각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스테이터 및 로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By this,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e stator and the rotor can be effectively cooled by supplying cooling fluid to areas requiring further cool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갭에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를 마련함으로써, 스테이터 및 로터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ir gap supply unit that supplies cooling fluid to the air gap, the temperature rise of the air gap form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can be suppressed.

또한, 에어갭공급부는 스테이터를 관통하여 에어갭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에어갭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각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갭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gap supply unit has a supply nozzle extending through the stator into the air gap, thereby supplying a cooling fluid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o the air gap, thereby cooling the air gap more effectively.

또한, 상기 공급노즐은 상기 에어갭으로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로터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ly nozzle is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air gap, thereby allowing the rotor to be cooled more effectively.

또한, 냉각유체순환부는 냉각유체가 각각 이동되는 제1냉각유체유로 및 제2냉각유체유로를 구비함으로써, 냉각유체가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cooling fluid path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moves, respectively,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be cooled more quickly.

또한, 에어갭공급부는 에어갭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에어갭을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gap supply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gap supply unit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ap, thereby enabling the air gap to be cooled more quickly.

또한, 에어갭공급부는 에어갭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에어갭공급부, 상기 에어갭의 원주방향 일 측으로 이격된 제2에어갭공급부 및 상기 에어갭의 원주방향 타 측으로 이격되는 제3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에어갭의 상다을 통과하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갭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이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gap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air gap supply unit provided at the top of the air gap,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spaced apart to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air gap, and a third air gap supply unit spaced apart to the other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air gap, so that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air gap can be uniformly cooled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top of the air gap.

또한, 냉각유체하우징은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외측에 서로 대면되게 결합되는 제1냉각유체하우징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냉각유체를 더욱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fluid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cooling fluid housing and a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that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thereby enabling the cooling fluid to be cooled more quickly.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온도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유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temperature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oling fluid pump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mana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하우징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냉각유체하우징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에어갭공급부 및 엔드턴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에어갭공급부 및 엔드턴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의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4의 회전전기기계의 제어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1의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20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변형례,
도 25는 도 24의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4의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I-II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Ⅲ-Ⅲ of Figure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housing of Fig. 2;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along line V-V of Figure 4.
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gap supply unit and end turn supply unit of Figure 1.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7.
Figure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gap supply unit and end turn supply unit of Figure 7.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fluid housing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Fig. 10.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fluid housing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Fig. 12.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15.
Figure 17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f Figure 16.
Figure 18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of Figure 16.
Fig. 1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of Fig. 14.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0.
Figure 22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f Figure 21.
Figure 23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of Figure 21.
Fig. 2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0.
Figure 25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f Figure 24.
Figure 26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of Figure 2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ir descriptions are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at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100)는, 하우징(110), 스테이터(250), 로터(280), 냉각수순환유로(133), 냉각유체순환부(183) 및 에어갭공급부(350)를 구비한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 stator (250), a rotor (280),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and an air gap supply unit (350).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본체(120) 및 상기 하우징본체(120)의 개구영역을 차단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150)를 구비한다. The housing (110) above has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housing (110) has, for example, a housing body (12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with at least one side open, and a housing cover (150) coupled to block the opening area of the housing body (120).

상기 하우징본체(120)는, 예를 들면, 양 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1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본체(120)의 일 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커버(151) 및 타 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커버(153)를 구비한다. The housing body (120) may be formed, for example, so that both sides are open. The housing cover (150) includes, for example, a first housing cover (151)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body (120) and a second housing cover (153) coupled to the other end.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20) 및 상기 하우징커버(150)의 상호 접촉면에는 틈새를 기밀적으로 차단하는 실링부재(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20) 및 상기 하우징커버(150)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156)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함몰된 실링부재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커버(151) 및 제2하우징커버(153)에는 상기 실링부재(156)가 각각 수용될 수 있게 실링부재홈(154)이 각각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A sealed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A sealing member (156) may be provided on the mutual contact surfaces of the housing body (120) and the housing cover (150) to hermetically block the gap. A sunken sealing member groove (154) may be formed on one of the mutual contact surfaces of the housing body (120) and the housing cover (150) so that the sealing member (156) can be partially received. The first housing cover (151) and the second housing cover (153) may each have a sunken sealing member groove (154) formed so that the sealing member (156) can be received.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스테이터(250)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50)의 내부에는 미리 설정된 에어갭(G)을 두고 로터(28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는 상기 스테이터(250)에 전원 인가 시 상기 로터(280)가 회전되는 전동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는 상기 로터(280)가 외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스테이터(250)에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는 발전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는 상기 로터(280)가 외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될 경우 상기 스테이터(250)에 전기에너지가 발생되고, 상기 스테이터(250)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기 로터(280)가 회전되는 발전기 겸용 전동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는 외부 전원 인가 시 상기 로터(280)가 회전되는 전동기로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A stator (25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 rotor (280) is rotatably arranged inside the stator (250) with a preset air gap (G).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motor in which the rotor (280) rotate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50).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tor in which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in the stator (250) when the rotor (280) is rotated by an external driving source. In addition,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tor-electric motor in which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in the stator (250) when the rotor (280) is rotated by an external driving source, and the rotor (280) rotate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50). 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stator (250) and rotor (280) are implemented as an electric motor in which the rotor (280) rotates 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상기 스테이터(2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코어(26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7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중앙에는 상기 로터(280)가 미리 설정된 에어갭(air gap: G)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로터수용공(26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6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기강판(262)을 절연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전기강판(262)은 중앙에 상기 로터수용공(26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로터수용공(264)의 둘레에는 복수의 슬롯(266) 및 티스(268)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슬롯(266) 및 티스(268)는 상기 로터수용공(264)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은 상기 복수의 슬롯(266)을 경유하여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은,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슬롯(266)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부, 상기 한 쌍의 삽입부의 각 일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복수의 헤어핀(hairpin)이라고 하는 복수의 도체 세그먼트(conductor segments)를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은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양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엔드턴(272)을 구비한다. The stator (250) may be press-fitted into, for exampl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e stator (2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stator core (26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a stator coil (270)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260). A rotor receiving hole (264)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tator core (260) so that the rotor (280) may be rotatably received with a preset air gap (air gap: G). The stator core (260)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insulating and lamina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teel plates (262). The electrical steel plates (262) of the stator core (260) have the rotor receiving hole (264) form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plurality of slots (266) and teeth (268) are provided around the rotor receiving hole (264). The plurality of slots (266) and teeth (268) are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receiving hole (264). The stator coil (270) can be formed in a preset pattern via the plurality of slots (266). The stator coil (270) can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ductor segments, called a plurality of hairpins, which have, for example, a pair of insertion portions inserted into different slots (266)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each end of the pair of insertion portions, in a preset pattern. The stator coil (270) has end turns (272) that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from each of the two ends of the stator core (260).

상기 로터(280)는, 예를 들면, 회전축(281) 및 상기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영구자석(30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280)는,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로터코어(29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81)은 상기 로터코어(290)의 양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81)은 양 측이 베어링(28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85)은,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커버(150)에 구비된 베어링결합부(1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81)은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코어(290)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81)이 삽입 결합될 수 있게 회전축공(29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코어(29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기강판(292)을 절연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코어(29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00)이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영구자석삽입부(29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300)이 상기 로터코어(290)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영구자석(300)은 상기 로터코어(290)의 외주면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rotor (280) may be configured with, for example, a rotational axis (281) and a permanent magnet (300) that rotates around the rotational axis (281). The rotor (280) may be configured with, for example, a rotor core (290) that rotates around the rotational axis (281). The rotational axis (28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rotor core (290). The rotational axis (281)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by bearings (285). The bearings (285)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for example, a bearing coupling part (155) provided in the housing cover (150). The rotational axis (281)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 rotational shaft hole (294)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or core (290) so that the rotational shaft (281)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he rotor core (290)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insulating and lamina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teel plates (292).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 insertion portions (296) may be formed through the rotor core (290)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permanent magnets (300) can be inserted,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permanent magnets (300) are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rotor core (290) is exemplified, but the permanent magnets (300)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core (29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냉각유체(105)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105)는, 예를 들면, 전기 절연 특성을 가지는 오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105)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오일로 구현될 수 있다. A cooling fluid (105) may be injected into the internal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110). The cooling fluid (105)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oil having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The cooling fluid (105)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transmission oil of an automobile.

상기 하우징(110)에는 냉각수가 내부와 열교환되게 형성되는 냉각수순환유로(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되는 냉각유체순환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formed to allow cooling water to exchange heat with the interior.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fluid circulation part (183) in which the cooling fluid (105) is circulat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하우징본체(120))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가 형성되는 냉각수하우징(130) 및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를 구성하는 냉각유체하우징(18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housing (110) (housing body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cooling water housing (130) in whic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is formed, and a cooling fluid housing (180) that is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constitutes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183).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양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벽의 내부)에는 냉각수순환유로(13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coolant housing (1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open. A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may be formed inside (inside the wall) of the above-mentioned coolant housing (130).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하우징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냉각유체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에어갭공급부 및 엔드턴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housing of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taken along line V-V of FIG. 4, and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ir gap supply unit and the end-turn supply unit of FIG.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예를 들면, 내부하우징(130a), 상기 내부하우징(130a)의 외측에 이격되어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외부하우징(130b) 및 상기 내부하우징(130a)과 상기 외부하우징(130b)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135)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coolant housing (130) includes, for example, an inner housing (130a), an outer housing (130b)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 (130a) and arranged concentrically,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35) that are arranged axi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inner housing (130a) and the outer housing (130b)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양 단부는 측벽(도면상 좌측벽(130c) 및 우측벽(130d))에 의해 각각 차단된다(도 1 참조).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길이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구비하고,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측벽(130c, 130d)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구획벽(135)과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측벽(130c, 130d) 사이에는 연결통로(137)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구획벽(135)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냉각수하우징(130)의 측벽(130c, 130d)에 연결되게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의 냉각수순환유로(133)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어 단일의 냉각수순환유로(133)를 형성한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면(내부하우징((130a))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250)의 외면과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는 상기 스테이터(2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50)의 외면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과 직접 접촉 및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The two ends of the coolant housing (130) are each blocked by side walls (left wall (130c) and right wall (130d) in the drawing) (see FIG. 1). The partition wall (135) has a reduced length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coolant housing (130), and one of the two ends is connected to one of the side walls (130c, 130d) of the coolant housing (130). Accordingly, a connecting passage (137)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135) and the side walls (130c, 130d) of the coolant housing (130).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35)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so as to be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side walls (130c, 130d) of the coolant housing (13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olant housing (130). Accordingly, the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inside the coolant housing (130) is connected in a zigzag shape to form a single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The inner surface (inner housing (130a)) of the coolant housing (130)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stator (250). The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may be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tator (250). 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stator (250) may be cooled by directly contacting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coolant housing (130).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예를 들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순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단에는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부(133a)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33a)로부터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냉각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33b)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oolant circulates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olant housing (130). An inlet (133a)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coolant housing (130) so that coolant may be introduced, and an outlet (133b) may be formed so that the coolant may be discharg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133a)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부(320)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수순환부(320)는, 예를 들면, 냉각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냉각수관(321) 및 상기 냉각수관(321)에 연결되어 냉각수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냉각수펌프(32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관(321)은 양 단부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의 일 측(유입부(133a)) 및 타 측(유출부(133b))에 각각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coolant housing (130) is connected to a coolant circulation unit (320) so that the coolant can be circulated via the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Referring to FIG. 1, the coolant circulation unit (3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coolant pipe (321) forming a coolant movement path and a coolant pump (323) connected to the coolant pipe (321) to promote the movement of the coolant. The coolant pipe (321) may be connected at both ends to one side (inlet (133a)) and the other side (outlet (133b)) of the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respectively, so as to be mutually connected.

상기 냉각수순환부(320)는,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관(321)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가 방열되어 열교환되는 냉각수열교환기(32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열교환기(325)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전원 인가 시 상기 냉각수열교환기(325)와 접촉되는 공기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냉각팬(3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330)은, 예를 들면,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한 팬부(330a) 및 전원인가 시 상기 팬부(330a)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330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water circulation unit (320) may be configured by, for example, having a cooling water heat exchanger (325) tha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pipe (321) and in which the cooling water is radiated and heat exchanged. A cooling fan (330) that promotes the movement of ai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oling water heat exchanger (325) when power is suppli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oling water heat exchanger (325), for example, when power is supplied. The cooling fan (330) may be configured by, for example, having a fan unit (330a)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and a driving motor (330b) that rotates and drives the fan unit (330a) when power is supplied.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은, 예를 들면, 대략 반원 단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 중앙 영역 및 상부 중앙영역을 감싸게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은 실제로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도면상 좌측영역으로 호형상으로 각각 연장되므로, 실제로는 반원 보다 다소 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o surround, for example, the lower central region and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Sinc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actually extend in an arc shape toward the left region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arc-shaped cross-section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a semicircle.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예를 들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 및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냉각유체펌프(21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with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and the cooling fluid pump (210)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은, 내부하우징(181a), 상기 내부하우징(181a)의 외측에 이격되어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외부하우징(181b) 및 상기 외부하우징(181b)과 내부하우징(181a)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18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181b)과 상기 내부하우징(181a)의 양 단부는 양 측벽(도면상 좌측벽(181c) 및 우측벽(181d))에 의해 각각 차단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복수의 구획벽(185)은 축방향을 따라 단축된 길이를 구비하여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양 측벽(181c, 181d) 중 어느 하나에 일 측이 연결되고, 타 측은 측벽(181c, 181d)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연결통로(187)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연결되는 냉각유체유로(195)가 형성된다. The above-described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housing (181a), an outer housing (181b)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 (181a) and arranged concentrically,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that are provided between the outer housing (181b) and the inner housing (181a)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The two ends of the outer housing (181b) and the inner housing (181a) may be configured to be blocked by two side walls (left wall (181c) and right wall (181d)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of the above-described cooling fluid housing (180) have a shortened length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one of the two side walls (181c, 181d) of the above-described cooling fluid housing (180),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from the side walls (181c, 181d), so that a connecting passage (187) is formed therebetween. As a result, a cooling fluid path (195) connected in a zigzag shape is formed inside the above-described cooling fluid housing (180).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예를 들면, 상기 냉각유체(105)가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저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예를 들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냉각유체(105)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하부(상류)로 냉각유체(105)가 유입되고, 상기 냉각유체(105)의 상부(하류)에서 상기 냉각유체(105)가 유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path (195)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can mov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cooling fluid (105)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flows into the lower portion (upstream)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oling fluid (105), and the cooling fluid (105) flows out from the upper portion (downstream) of the cooling fluid (105).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하우징(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에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의 냉각유체(105)가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으로 이동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에는 상기 냉각유체(105)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냉각유체펌프(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펌프(210)는, 펌프하우징(210a), 상기 펌프하우징(210a)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임펠러(210b) 및 전원 인가 시 상기 임펠러(210b)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부(210c)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coolant housing (130)). A through-hole (14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30)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30) may move to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fluid pump (210) that promotes the movement of the cooling fluid (105). The cooling fluid pump (210) may include a pump housing (210a), an impeller (210b)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pump housing (210a), and a driving motor unit (210c) that rotates the impeller (210b) when power is applied.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에는 흡입챔버(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챔버(190)는 상기 관통부(14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흡입구(19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의 냉각유체(105)가 상기 관통부(141) 및 흡입구(192)를 통해 상기 흡입챔버(19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챔버(190)는 상기 냉각유체펌프(210)와 흡입관(212)에 의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펌프(210)는 토출관(214)에 의해 상기 냉각유체유로(195)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에는 상기 에어갭(G)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chamber (190). The suction chamber (19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192) that is connected to the through-hole (141). Accordingly,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may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suction chamber (190) through the through-hole (141) and the suction port (192). The suction chamber (190) may be mutually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pump (210) by a suction pipe (212). The cooling fluid pump (210) may be mutually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path (195) by a discharge pipe (214). 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equipped with an air gap supply unit (350)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단에는 유입부(133a)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33a)로부터 반시계방향을 따라 이격된 지점에 상기 냉각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유입부(133a)측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유출부(133b)측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상기 냉각유체(105)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체(105)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이동하면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과 열교환되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으로부터 유출되는 냉각유체(105)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유체(105)가 상기 냉각수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nlet (133a)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coolant housing (130), and an outlet (133b)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out may be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inlet (133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olant has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n the inlet (133a) side of the coolant housing (130) and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n the outlet (133b) side that absorbs heat energy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coolant (105) absorbs heat energy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105)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coolant housing (180) is relatively high, and as it moves, heat is exchanged with the coolant housing (13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105) flowing out of the coolant housing (180) is relatively low. By this, the cooling fluid (105) can be effectively cooled by the cooling water.

상기 에어갭공급부(350)는, 예를 들면, 일 단은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에어갭(G)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355)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각유체(105)가 상기 에어갭(G)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노즐(355)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25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에어갭(G)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로터(280)의 외면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공급노즐(355)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서로 인접한 슬롯(266)들 사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공급노즐(355)과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간섭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The air gap supply unit (350) has, for example, a supply nozzle (355) which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and extends to the air gap (G) at the other end. Accordingly, a cooling fluid (105)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air gap (G). The supply nozzle (355) can be formed to protrude from, for example,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or (250) to the air gap (G). 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rotor (280) can be cooled more effectively. The supply nozzle (355)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for example, adjacent slots (266) of the stator core (260). Accordingly, interference between the supply nozzle (355) and the stator coil (270) can be suppressed.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내부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에는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로부터 유출된 냉각유체(105)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엔드턴공급부(360)에 대응되게 관통 또는 절취된 상부관통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provided with an end turn supply unit (360)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As a result, the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may be cooled.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inner housing).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may be formed with an upper penetration unit (143) that is penetrated or cut off corresponding to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flowing out from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may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이동될 수 있게 냉각유체유로(1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예를 들면,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 일 측(도면상 좌측)에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 타 측(도면상 우측)에는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벽(1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 복수의 구획벽(185)은,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구획벽(185a) 및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구획벽(185b) 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로구획벽(185b)은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중앙영역에 구비된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에는 복수의 가로구획벽(185a)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복수의 가로구획벽(185a)은 일 측에 연결통로(187)가 형성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단축된 길이를 구비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각각 배치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a cooling fluid path (195) may be forme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can move. The cooling fluid path (195)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may be formed on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inside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inside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may be forme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The plurality of internal partition walls (185)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include horizontal partition walls (185a) arranged axially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and vertical partition walls (185b)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vertical partition walls (185b) are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partition walls (185a).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partition walls (185a) has a shortened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a connecting passage (187) can be formed on one side, and are each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저부에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로 상기 냉각유체(105)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구(195a1,195b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95a1,195b1)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95a1,195b1)에는 상기 냉각유체펌프(210)의 토출관(214)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에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가 합류되는 합류구간(19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은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상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전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에어갭공급부(350)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기 엔드턴공급부(360)가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inlets (195a1, 195b1) may be formed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may flow into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respectively. The inlets (195a1, 195b1)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discharge pipe (214) of the cooling fluid pump (210)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s (195a1, 195b1) so as to be mutually connected. A junction section (195c) in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join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above-mentioned junction section (195c) may be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above-mentioned junction section (195c) may be formed, for example, to correspond to the entire length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air gap supply unit (350)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above-mentioned junction section (195c). The end-turn supply unit (36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each of the two end regions of the above-mentioned junction section (195c).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 저부면(내부하우징(181a))을 관통하여 홀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고,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에어갭공급부(350)와 마찬가지로, 일 단부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에어갭(G)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미도시)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end-turn supply unit (360)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hole shape by penetrating the inner bottom surface (inner housing (181a))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end-turn supply unit (360), like the air gap supply unit (35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upply nozzle (not shown)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air gap (G).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스테이터(25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로터(280)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에 의해 형성된 자계와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하우징(110)(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는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의 발열작용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driving is initiated, power is applied to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281) while interacting with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stator coil (270).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cooling water housing (130)) rises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또한,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냉각수펌프(323)가 구동되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을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흡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가 냉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riving is initiated, the coolant pump (323) is driven and the coolant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coolant housing (130). As a result, heat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110) (coolant housing (130)) can be absorbed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can be cooled.

한편,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냉각유체펌프(210)가 구동되고, 상기 냉각유체(105)는 상기 냉각유체유로(195)(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과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operation is initiated, the cooling fluid pump (210) is driven, and the cooling fluid (105) can b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while moving along the cooling fluid path (195)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 저부의 냉각유체(105)는 상기 관통부(14) 및 흡입구(192)를 통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흡입챔버(19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챔버(190)의 내부의 냉각유체(105)는 상기 흡입관(212)을 따라 상기 냉각유체펌프(21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펌프(210)로 흡입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임펠러(210b)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토출관(214)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관(214)을 따라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로 유입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oling fluid (105) in the inner bottom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can move to the suction chamber (190)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rough the through-hole (14) and the suction port (192).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the suction chamber (190) can be sucked into the cooling fluid pump (210) along the suction pipe (212). The cooling fluid (105) sucked into the cooling fluid pump (210) can be pressurized by the impeller (210b)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214). The cooling fluid (105) moved along the discharge pipe (214)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oling fluid path (195).

상기 냉각유체(105)는 분기되어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지그재그형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과 열교환이 증대되어 상기 냉각유체(105)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105) can be branched and mov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respectively. As a result,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can be increased, thereby promoting cooling of the cooling fluid (105).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합류구간(195c)으로 각각 유입되어 합류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으로 유입된 냉각유체(105) 중 일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를 통해 각각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으로 유입된 냉각유체(105)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에어갭공급부(35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The cooling fluids (105) that have moved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flow into the merging section (195c) and merge. Some of the cooling fluids (105) that have flowed into the merging section (195c) may flow out through the end-turn supply unit (360), as shown in Fig. 6. Others of the cooling fluids (105) that have flowed into the merging section (195c) may flow out through the air gap supply unit (350).

상기 각 엔드턴공급부(360)를 통해 각각 유출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각 엔드턴(272)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도체가 밀집되어 있고 공기와 접촉되기 때문에 냉각작용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엔드턴(272)이 상기 냉각유체(105)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105) flowing out through each of the above end-turn supply units (360) can be moved to each end-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As a result, the end-turn (272) whose cooling effect is relatively insufficient and whose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because the conductors are relatively dense and in contact with the air can be cooled by the cooling fluid (105).

한편, 상기 에어갭공급부(350)를 통해 유출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로터(280)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스테이터(250)의 로터수용공(264)의 내면 및 상기 로터(280)의 외면과 각각 접촉되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내면 및 상기 로터(280)의 외면을 각각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에어갭공급부(35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중앙 및 상기 로터(28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양 단부 및 상기 로터(280)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가장 멀리 이격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기 쉬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중앙영역 및 상기 로터(280)의 중앙영역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내부 중앙 영역 및 상기 로터(280)의 중앙 영역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oling fluid (105) flowing out through the air gap supply unit (350) rotates along the rotor (28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otor receiving hole (264) of the stator (25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or (280), thereby cool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or core (26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or (280),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ir gap supply unit (350) i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stator core (260) and the center of the rotor (280)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reby cooling the central region of the stator core (260)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rotor (280), which are spaced farthest from the two ends of the stator core (260) and the two ends of the rotor (280), respectively, and are relatively prone to temperature increases. By this, the temperature rise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stator core (260)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rotor (280) can be suppressed.

상기 스테이터코일(270), 상기 스테이터코어(260) 및 상기 로터(280)와 각각 접촉되어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로 낙하(이동)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로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관통부(141) 및 흡입구(192)를 통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흡입챔버(19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으로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냉각유체펌프(210)에 의해 펌핑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고, 다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스테이터코일(270), 스테이터코어(260) 및 로터(280))를 냉각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스테이터코일(270), 스테이터코어(260) 및 로터(280))가 지속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105) that absorbs heat energy and has a temperature increas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tator coil (270), the stator core (260), and the rotor (280), respectively, can drop (move) to the bottom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cooling fluid (105) that has moved to the bottom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can flow into the suction chamber (190)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rough the through-hole (141) and the suction port (192). The cooling fluid (105) moved to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is pumped by the cooling fluid pump (210) and moves while exchanging heat with the cooling water, cooled,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o cool the inside (stator coil (270), stator core (260), and rotor (280))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reby repeatedly performing the process. As a result, the inside (stator coil (270), stator core (260), and rotor (280)) of the housing (cooling water housing (130)) can be continuously cool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에어갭공급부 및 엔드턴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7, and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air gap supply unit and an end-turn supply unit of FIG. 7.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100a)는, 하우징(110), 스테이터(250), 로터(280) 및 에어갭공급부(35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7,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a)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ousing (110), a stator (250), a rotor (280), and an air gap supply unit (350).

상기 하우징(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수환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수하우징(130) 및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 배치되고 냉각유체순환부(183)가 형성되는 냉각유체하우징(18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oling water housing (130) in which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is formed, and a cooling fluid housing (18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in which a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183) is formed.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유로(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내부에 양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 단부에는 전술한 제1하우징커버(151) 및 제2하우징커버(153)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coolant housing (13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sealed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inside. A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olant housing (130) so that coolant may be circulated. The coolant housing (130)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with both sides open, and the first housing cover (151) and the second housing cover (153) described above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A sealed receiving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coolant housing (130).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은, 예를 들면, 반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 및 상단부를 감싸게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냉각유체(105)가 순환될 수 있게 냉각유체순환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에는 내부의 냉각유체(105)가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으로 이동될 수 있게 관통부(141)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의 냉각수가 흡입되는 흡입챔버(19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챔버(190)는 상기 관통부(141)와 연통되게 관통 형성되는 흡입구(1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이동될 수 있게 냉각유체유로(1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예를 들면,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semicircular shap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o surround, for example, the bottom and top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may be circulated.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may be circula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cooling fluid housing (130)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141)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can move to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An intake chamber (190) is forme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30) is sucked. The intake chamber (190) may have an intake port (192) formed through which it is communicated with the through-hole (141). A cooling fluid path (195) may be forme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105) can move. The cooling fluid path (195)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에는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의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G)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곱급하는 에어갭공급부(3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는 상기 에어갭(G)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에 복수 개의 에어갭공급부(350)를 통해 더 많은 냉각유체(105)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개소에 상기 냉각유체(105)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에어갭(G)의 더욱 넓은 영역에 냉각유체(105)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connected to an air gap supply unit (350)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formed between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The air gap supply unit (350)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air gap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ap (G). Accordingly, more cooling fluid (105) may be supplied to the air gap (G)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gap supply units (350). In addition, by supplying the cooling fluid (105) to a plurality of location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oling fluid (105) may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a wider area of the air gap (G).

상기 에어갭공급부(350)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갭(G)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351)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는, 예를 들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3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3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에어갭공급부(351,352)는 일 단은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에어갭(G)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355)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공급노즐(355)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로터수용공(264)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ir gap supply unit (35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and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2)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ir gap supply unit (350) may include, for example, a third air gap supply unit (353)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of the air gap supply units (351, 352) may include a supply nozzle (35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air gap (G). Each of the above supply nozzles (355)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tor receiving hole (264) of the stator core (260), for examp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서로 구획된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획벽(185)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거의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가 합류되는 합류구간(195c)이 구비된다. 상기 합류구간(195c)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각각 공급할 수 있게 엔드턴공급부(36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에어갭공급부(350)는 상기 합류구간(195c)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8,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each hav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formed almost symmetrically. A junction section (195c) in which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join is provide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above junction sections (195c) is provided with an end-turn supply unit (360) capable of supplying the cooling fluid (105) to each of the end-turns (272) of the stator coil (270). Each of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s (35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above junction sections (195c).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로터(280)는 상기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는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의 발열작용에 의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냉각수펌프(323) 및 상기 냉각유체펌프(210)가 각각 구동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when operation is initiated, the rotor (28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281),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can rise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In addition, when operation is initiated, the cooling water pump (323) and the cooling fluid pump (210) can each be driven.

상기 냉각수펌프(323)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열교환기(325)에서 방열되어 냉각되고,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을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되고, 상기 냉각수열교환기(325)로 이동되어 방열됨으로써,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가 냉각될 수 있다. When the cooling water pump (323) is driven, the cooling water is cooled by dissipating heat in the cooling water heat exchanger (325), and the cooled cooling water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s a result, the cooling water moves along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and absorbs heat energy inside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reby increasing its temperature, and moves to the cooling water heat exchanger (325) and dissipates heat, thereby decreasing its temperature. As a result, the in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can be cooled.

상기 냉각유체펌프(210)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의 흡입챔버(190)의 내부의 냉각유체(105)가 흡입되고,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의 냉각유체(105)는 상기 흡입챔버(19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펌프(210)에서 토출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이동하면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과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된 냉각유체(105) 중 일부는 상기 각 엔드턴공급부(360)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이 각각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된 냉각유체(105)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 제2에어갭공급부(352) 및 제3에어갭공급부(353)를 통해 상기 에어갭(G)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When the above cooling fluid pump (210) is driven,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the suction chamber (190)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 is sucked in, and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can be sucked into the suction chamber (190). The cooling fluid (105) discharged from the cooling fluid pump (210) can be cooled by heat-exchanging wit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Some of the cooling fluid (105) cooled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can be supplied to each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through each end turn supply unit (360). Accordingly, each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can be cooled. Other parts of the cooling fluid (105) cooled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can be supplied to the air gap (G) through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2), and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3). Accordingly, the air gap (G) can be cooled more quickly.

상기 엔드턴(272) 및 상기 에어갭(G)과 각각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 저부의 냉각유체(105)는 상기 관통부(141), 상기 흡입구(192), 상기 흡입챔버(190) 및 상기 냉각유체펌프(210)를 경유하여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로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향 이동되면서 냉각되고, 다시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와 접촉되어 냉각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105) whose temperature has increas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end turn (272) and the air gap (G) can move to the bottom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cooling fluid (105) in the inner bottom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can move to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via the through-hole (141), the suction port (192), the suction chamber (190), and the cooling fluid pump (210). The cooling fluid (105) moved to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is cooled as it moves upward, and is supplied again to the interior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to repeat the cooling process.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100)는, 하우징(110), 스테이터(250), 로터(280) 및 에어갭공급부(350a)를 구비한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fluid housing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FIG. 10. As shown in FIG. 10,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ousing (110), a stator (250), a rotor (280), and an air gap supply unit (350a).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120) 및 상기 하우징본체(120)의 개구영역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커버(151) 및 제2하우징커버(153)를 구비한다.The above housing (110) has a housing body (120)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and a first housing cover (151) and a second housing cover (153) coupled to an opening area of the housing body (120).

상기 하우징(110)(하우징본체(120))의 내부에는 스테이터(250)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50)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코어(26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70)을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은,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양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엔드턴(272)을 구비한다. A stator (25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housing body (120)). The stator (250) has, for example, a stator core (260) and a stator coil (270)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260). The stator coil (270) has end turns (272) that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from each end of the stator core (260).

상기 로터(280)는, 회전축(281), 상기 회전축(281)에 결합되는 로터코어(290) 및 상기 로터코어(290)에 결합되는 영구자석(300)을 구비한다. 상기 로터코어(290)에는,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00)이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영구자석삽입부(29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rotor (280) has a rotation shaft (281), a rotor core (290)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81), and a permanent magnet (300) coupled to the rotor core (290). The rotor core (290) may be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insertion portion (296) that penetrates axially so that the permanent magnet (300) can be inserted, for example.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냉각유체(105)가 주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기 스테이터(250) 및 상기 로터(280)가 상기 냉각유체(105)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A cooling fluid (105) can be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Accordingly,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can be cooled by the cooling fluid (105).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와 냉각수가 열교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유로(13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to enable heat exchange between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cooling water.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냉각유체순환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터(250)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갭(G)에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350a)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gap supply unit (350a) tha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and supplies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through the stator (250).

상기 하우징(하우징본체(120))은, 냉각수하우징(130) 및 냉각유체하우징(180a)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housing (housing body (120)) can be configured with a coolant housing (130) and a coolant fluid housing (180a).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양 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양 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예를 들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유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단에는 유입부(133a)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33a)로부터 반시계방향을 따라 이격된 지점에 상기 냉각수가 유출되는 유출부(133b)가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lant housing (130)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with both sides open inside. The coolant housing (13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sides open. The coolant housing (130) may have the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inside. The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coolant flows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olant housing (130).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n inlet (133a)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coolant housing (130), and an outlet (133b)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out may be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133a)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은, 예를 들면, 대략 반원 단면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은 내부에 상기 냉각유체(105)가 순환되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은 일 단부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단에 배치되고 타 단부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에 배치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may be configured to have, for example,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may have a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183) formed therein in which the cooling fluid (105) is circulated.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may be coupled to, for example,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More specifically,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may be coupled such that one end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상기 냉각유체유로(195)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벽(185)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합류구간에서 서로 합류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configured by each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that are arranged axially inside the cooling fluid path (195)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 zigzag manner. The abov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can be configured to merge with each other at the merge section.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에 상기 냉각유체를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합류구간의 양 단부영역에 상기 엔드턴(272)에 각각 대응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may be provided with an end turn supply unit (360)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end turns (272) at both end areas of the junction section, respectively.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에는 상기 스테이터(250)와 로터(280)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G)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350a)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일 단은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에어갭(G)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35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노즐(355)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An air gap supply unit (350a)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formed between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may be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have a supply nozzle (355) that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and extends to the air gap (G) at the other end. The supply nozzle (355)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or core (260), for example.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의 복수 개소에 상기 냉각유체(105)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에어갭(G)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units, for example. Accordingly, the cooling fluid (105) is supplied to multiple locations of the air gap (G), thereby promoting cooling of the air gap (G).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예를 들면, 상기 냉각유체유로(195)의 합류구간(195c)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formed, for example, at the confluence section (195c) of the cooling fluid path (195).

한편,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상기 에어갭(G)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351a),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351b) 및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351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의 상단 및 중심을 통과하는 연장선(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갭(G)의 양 측 영역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Meanwhile,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in one direc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a result, areas on both sides of the air gap (G) can be effectively cooled based on an extension lin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and center of the air gap (G).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351b) 및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는, 예를 들면, 상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의 양 측 영역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and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line, for example. As a result, the areas on both sides of the air gap (G) can be cooled more effectively.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의 중앙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연장부(180a1)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provided with a central extension unit (180a1)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entral area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상기 중앙연장부(180a1)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a)의 상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합류구간(195c)과 연통되게 연장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는 상기 중앙연장부(180a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연장부(180a1)의 내측하우징(181a)에는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의 공급노즐(355)이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central extension (180a1) may extend circumferentially from the top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a) and may have an extension path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junction section (195c).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extension (180a1). The supply nozzle (355) of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housing (181a) of the central extension (180a1).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고 상기 냉각유체펌프(210)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의 냉각유체(105)가 순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챔버(190)의 내부의 냉각유체(105)는 상기 냉각유체펌프(21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로 각각 토출된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로 각각 유입된 냉각유체(105)는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상향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합류구간(195c)으로 각각 이동되고,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각 엔드턴(272)에 각각 공급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이 각각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으로 이동된 냉각유체(105) 중 다른 일부는 상기 합류구간(195c)의 중앙영역으로 각각 이동되어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를 통해 에어갭(G)으로 유출되고, 상기 에어갭(G)의 원주방향을 따라 양 방향(도면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and the cooling fluid pump (210) is driven, the cooling fluid (105)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is circulated. More specifically,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the suction chamber (190) is sucked by the cooling fluid pump (210) and discharged into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respectively. The cooling fluid (105) introduced into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respectively can b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while moving upward. The cooling fluid (105) that has moved upward is respectively moved to the junction section (195c) and supplied to each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via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By this, the end turns (272) of the stator coil (270) can be cooled, respectively. Another portion of the cooling fluid (105) moved to the junction section (195c) is mov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junction section (195c), flows out to the air gap (G) through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and can move in both direction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ap (G), respectively.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100)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100)는, 하우징(110), 스테이터(250), 로터(280), 에어갭공급부(350a) 및 엔드턴공급부(360)를 구비한다.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fluid housing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FIG. 12.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 stator (250), a rotor (280), an air gap supply unit (350a), and an end-turn supply unit (36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가 구비된다.The stator (250) and rotor (280)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은, 냉각수하우징(130) 및 냉각유체하우징(180b)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은, 내부에 양 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양 측에는 제1하우징커버(151) 및 제2하우징커버(153)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유로(133)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이 구비된다.The 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with a coolant housing (130) and a coolant fluid housing (180b). The coolant housing (130) has a cylindrical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with both sides open. A first housing cover (151) and a second housing cover (153)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olant housing (130). As a result, a sealed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olant housing (130). A coolant circulation path (133) is provided inside the coolant housing (130) so that coolant can circulate. The coolant fluid housing (180b)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olant housing (130).

한편,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은 반원보다 큰 원호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과 축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is configured to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12. More specifically,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larger than a semicircl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may be configured to have, for example, an axial length that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의 하단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하단에 대응되게 도면상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우측부를 감싸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은 반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의 중심과 상단을 연결하는 연장선(수직중심선)으로부터 도면상 좌측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되게 상부연장부(180b1)가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art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right side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30) in the draw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part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may have an upper extension (180b1) formed in an arc shap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micircle to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from an extension line (vertical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 and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순환되는 냉각유체순환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챔버(19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입챔버(190)는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의 하단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냉각유체(105)를 펌핑하는 냉각유체펌프(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펌프(210)는 흡입관(212)에 의해 상기 흡입챔버(190)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in which the cooling fluid (105) circulates may be formed inside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have a suction chamber (190)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suction chamber (190)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have a cooling fluid pump (210) that pumps the cooling fluid (105). The cooling fluid pump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190) by a suction pipe (212).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이동되는 냉각유체유로(19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상기 냉각유체펌프(210)와 토출관(214)에 의해 연통되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fluid path (195)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105) moves.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cooling fluid path (195)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pump (210) and the discharge pipe (214), respectively.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되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벽(185)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합류되는 합류구간(19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부 내부 공간 및 상기 상부연장부(180b1)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each hav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arrang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arranged in a zigzag shape. A merging section (195c) in which the cooling fluid (105) merges may be formed in the inner upper region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The merging section (195c) may be formed including the upper inner spac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extension (180b1).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에어갭(G)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35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이동된 냉각유체(105)가 합류되는 합류구간(195c)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equipped with an air gap supply unit (350a)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formed in a junction section (195c) where the cooling fluid (105) moved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respectively merge.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갭(G)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351a),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351b) 및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351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의 상단을 통과하는 수직중심선을 중심으로 상기 에어갭(G)의 원통영역의 좌측반원 영역 및 우측 반원 영역이 골고루 냉각될 수 있다.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arranged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nd a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arranged spaced apart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s a result, the left semicircular region and the right semicircular region of the cylindrical region of the air gap (G) can be evenly cooled with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as the center.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351b) 및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는, 예를 들면, 상기 수직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의 좌측 반원 영역 및 우측 반원 영역이 더욱 균일하게 냉각되어 온도 편차 발생을 더욱 줄일 수 있다.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and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for example, with the vertical center line as the center. As a result, the left semicircular region and the right semicircular region of the air gap (G) can be cooled more evenly,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occurrence of temperature deviation.

한편,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에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의 합류구간(195c)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be equipped with an end-turn supply unit (360) that supplies cooling fluid (105) to the end-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The end-turn supply unit (360) may be formed at the junction section (195c) of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예를 들면, 상기 각 엔드턴(272)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엔드턴공급부(361),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3엔드턴공급부(36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엔드턴(272)에 더욱 많은 냉각유체(105)가 공급될 수 있어 상기 엔드턴(272)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턴(272)의 표면의 더욱 많은 개소(지점)에 냉각유체(105)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엔드턴(272)의 표면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The above end turn supply unit (3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irst end turn supply unit (36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each end turn (272), a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361) in one direc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361)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a result, more cooling fluid (105) can be supplied to the end turn (272), so that the end turn (272) can be cooled more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fluid (105) is supplied to more locations (points) on the surface of the end turn (272), the surface of the end turn (272) can be cooled more quickly.

여기서,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는 상기 엔드턴(272)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도면상 우측 단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상기 엔드턴(272)의 양 단부 중 다른 일 단부(도면상 좌측 단부)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엔드턴(272)의 표면 중 상대적으로 냉각유체(105)의 접근이 곤란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영역이 형성되는 상기 엔드턴(272)의 양 단부 영역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엔드턴(272)의 표면 중 국부적으로 온도가 상승되는 영역을 해소할 수 있어 상기 엔드턴(272)의 표면 온도를 전반적으로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는 상기 합류구간(195c)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또는 제2냉각유체유로(195b)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는 상기 냉각유체(105)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에 비해 더 상류측에 배치된다. 이에 기인하여,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를 통해 유출되는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을 수 있으므로, 상기 엔드턴(272)의 균일한 냉각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냉각유체(105)가 공급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공급노즐)는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공급노즐)에 비해 상기 냉각유체(105)의 유동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one end (the right end in the drawing) among the two ends of the end turn (272), and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end (the left end in the drawing) among the two ends of the end turn (272). Accordingly, the areas of the two ends of the end turn (272), where the cooling fluid (105) is relatively difficult to access among the surfaces of the end turn (272) and thus the areas with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are formed, can be quickly cooled. Accordingly, the areas where the temperature rises locally among the surfaces of each end turn (272)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end turn (272) can be maintained generally low.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may be arranged at the junction section (195c), or may be formed at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or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In addition,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is arranged further upstream than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oling fluid (105). Due to this, the cooling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may have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because the amount of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is relatively small, and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oling fluid (105) may be supplied for uniform cooling of the end-turn (272). That is,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supply nozzle) can be formed to have a larger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ing fluid (105) than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supply nozzle).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일 단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b)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엔드턴(272)의 좌측 단부 영역 및 우측 단부 영역으로 각각 연장되는 공급노즐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upply nozzle that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b) and extends into the interior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by penetrating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extends to the left end area and the right end area of the end turn (272),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고 상기 냉각유체펌프(210)가 구동되면 상기 흡입챔버(190)의 냉각유체(105)가 흡입되어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로 각각 유입되어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상향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and the cooling fluid pump (210) is driven, the cooling fluid (105) of the suction chamber (190) can be sucked and discharged into the cooling fluid path (195). The cooling fluid (105) pumped by the cooling fluid pump (210) can flow into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and move upward. The cooling fluid (105) that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can b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를 통해 상기 엔드턴(272)의 상단(중앙),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제3엔드턴공급부(363)에 의해 상기 엔드턴(27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된 영역에 동시에 냉각유체(105)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엔드턴(272)의 표면이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엔드턴(272)의 상부 중앙 영역, 우측 단부 상부 영역 및 좌측 단부 상부 영역과 접촉되어 상기 엔드턴(272)을 냉각시킨 냉각유체(105)는 하향 이동되고, 상기 엔드턴(272)의 하부 중앙 영역, 우측 단부 하부 영역 및 좌측 단부 하부영역을 냉각시킨 후, 상기 엔드턴(272)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엔드턴(272)의 전체 둘레면이 골고루 냉각될 수 있고, 상기 엔드턴(272)의 국부 온도 상승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The cooling fluid (105)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upper end (center), right end, and left end of the end turn (272) through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can be cooled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fluid (105)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area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nd turn (272) by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361),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the surface of the end turn (272) can be cooled more quickly. The cooling fluid (105)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central region, the upper right end region, and the upper left end region of the end turn (272) to cool the end turn (272) may move downward, cool the lower central region, the lower right end region, and the lower left end region of the end turn (272), and then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end turn (272). As a result,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end turn (272) may be evenly cooled, and a local temperature rise of the end turn (272) may be suppressed.

상기 합류구간(195c)의 냉각유체(105) 중 일부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 제2에어갭공급부(351b) 및 제3에어갭공급부(351c)를 통해 상기 에어갭(G)의 상부 중앙 영역, 상부 우측 영역 및 상부 좌측 영역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의 상부영역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G)의 상부영역을 냉각시킨 냉각유체(105)는 상기 에어갭(G)을 따라 상기 에어갭(G)의 하부영역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에어갭(G)의 전 둘레 영역을 골고루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유체(105)의 접근이 곤란하여 열에너지의 배출이 미흡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영역이 형성되는 상기 에어갭(G)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냉각유체(105)의 접근이 곤란하여 열에너지의 배출이 미흡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영역이 형성되는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내부 중앙영역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어 상기 스테이터코어(260)의 국부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각유체(105)의 접근이 곤란하여 상대적으로 표면 온도가 높은 영역이 형성되는 상기 로터(280)의 축방향 중앙영역이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과도한 온도 상승에 기인한 상기 영구자석(300)의 수명 단축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Some of the cooling fluid (105) of the above-mentioned junction section (195c) can be supplied to the upper central region, the upper right region, and the upper left region of the air gap (G) through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and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upper region of the air gap (G) can be quickly cooled. The cooling fluid (105) that has cooled the upper region of the air gap (G) can evenly cool the entire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air gap (G) while moving along the air gap (G) to the lower region of the air gap (G). As a result, the air gap (G), where the access of the cooling fluid (105) is difficult and the discharge of heat energy is insufficient, and thus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s formed, can be quickly cooled. In addition, the central region inside the stator core (260) where the cooling fluid (105) is difficult to access and thus the heat energy discharge is insufficient, thereby forming a region with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an be quickly cooled, thereby suppressing a local temperature rise in the stator core (260). In addition, the central reg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280) where the cooling fluid (105) is difficult to access and thus forming a region with a relatively high surface temperature, can be quickly cooled. As a result, the shortening of the lifespan of the permanent magnet (300) due to excessive temperature rise can be suppressed.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100b)는, 하우징(110), 스테이터(250), 로터(280) 및 에어갭공급부(350a)를 포함한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4. As shown in FIG. 14,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b)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 stator (250), a rotor (280), and an air gap supply unit (350a).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A sealed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abov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가 미리 설정된 에어갭(G)을 사이에 두고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10),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can be arranged to enable relative movement with a preset air gap (G) between them.

상기 스테이터(25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 접촉되게 고정되고, 상기 로터(280)는 상기 스테이터(250)의 내부에 상기 에어갭(G)을 형성하게 수용될 수 있다. The above stator (250) is fix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rotor (280) can be accommodated to form the air gap (G) inside the stator (25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냉각유체(105)가 주입될 수 있다. Cooling fluid (105) can be injec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벽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유로(133)가 형성될 수 있다.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inside the wall) to allow cooling water to circulate.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에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부(320)가 연결된다. 상기 냉각수순환부(320)는, 냉각수관(321), 상기 냉각수관(321)에 연결되는 냉각수펌프(323) 및 상기 냉각수가 열교환되는 냉각수열교환기(3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순환부(320)는, 전원 인가시 회전되어 공기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냉각팬(330)을 구비할 수 있다. A cooling water circulation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so that the cooling water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unit (320) may be equipped with a cooling water pipe (321), a cooling water pump (323)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pipe (321), and a cooling water heat exchanger (325) in which the cooling water is heat-exchanged.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unit (320) may be equipped with a cooling fan (330) that rotates when power is supplied to promote air movement.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순환되는 냉각유체순환부(1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가 형성되는 냉각수하우징(130) 및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가 형성되는 냉각유체하우징(180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에어갭(G)으로 상기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35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일 단은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에어갭(G)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35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급노즐(355)은 상기 스테이터(25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로터(28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in which the cooling fluid (105) circulates.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water housing (130) in whic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is formed and a cooling fluid housing (180c) in whic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is formed.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gap supply unit (350a)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nozzle (35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the air gap (G). The supply nozzle (355)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or (250) toward the rotor (280).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c)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 서로 대면되게 결합되는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은 냉각유체(105)가 각각 순환될 수 있게 냉각유체순환부(183)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c)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a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that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may be configured to each have a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183)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105) may be circulated.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은, 예를 들면, 반원 단면 형상을 각각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은, 하단부는 각각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하단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may be configured to have, for example,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respectively.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may have their lower portion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their upper portion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하부 내부에는 흡입챔버(19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흡입챔버(190)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에는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각 흡입챔버(190)와 연통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14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흡입챔버(190)에는 상기 관통부(141)와 각각 연통되는 흡입구(192)가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A suction chamber (190) may be formed in the lower interior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respectively. Each of the suction chambers (19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interior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respectively. A penetrating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so as to be communicated with each of the suction chambers (190)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respectively. A suction port (192) may be formed penetrating each of the suction chambers (190), respectively, so as to be communicated with the penetrating portion (141).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에는 냉각유체펌프(21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펌프(210)는,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에 구비되는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에 구비되는 제2냉각유체펌프(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는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의 흡입챔버(190)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는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흡입챔버(190)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may each be equipped with a cooling fluid pump (210). The cooling fluid pump (210) may include a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equipped in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a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equipped in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190)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190)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한편,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에는 상기 에어갭(G)으로 냉각유체(105)를 공급할 수 있게 에어갭공급부(35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상기 에어갭(G)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n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to supply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에 냉각유체(105)를 공급할 수 있게 엔드턴공급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엔드턴(272)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엔드턴공급부(361), 상기 엔드턴(272)의 수평방향을 따라 일 단부(도면상 우측 단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상기 엔드턴(272)의 수평방향을 따라 타 단부(도면상 좌측 단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3엔드턴공급부(36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일 단은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c)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급노즐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 end turn supply unit (36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to supply cooling fluid (105) to the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end turn supply unit (36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end turn (272), a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arranged to correspond to one end (the right end in the draw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nd turn (272), and a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other end (the left end in the draw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nd turn (272).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 the drawing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may each be configured to have a supply nozzle that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c) at one end and extends throug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t the other end.

도 16은 도 15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6의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15, FIG. 17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16, and FIG. 18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16.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에는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상단부의 양 측영역에 원주방향을 따라 호형상으로 연장된 단부연장부(180c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may have an end extension portion (180c21)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에는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의 상단부 중앙을 제외하고 양 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절취된 단부절취부(180c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절취부(180c11)는 상기 단부연장부(180c21)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is,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may have a cut-off portion (180c1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each end except for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The cut-off portion (180c1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end extension portions (180c21).

이에 의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은 상호 결합시 상호 협조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can cooperatively form a cylindrical shape when coupled together.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이동되는 냉각유체유로(195)가 형성된다.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예를 들면,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복수의 구획벽(18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획벽(185)은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원주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지그재그형상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의 내부의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냉각유체(105)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7, a cooling fluid path (195)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105) moves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The cooling fluid path (195) includes, for example,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cooling fluid (105) can move in a zigzag shape through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inside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서로 합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의 상부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서로 합류되는 합류구간(19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에는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에는 상기 공급노즐(355)의 일 단부가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configured to merge with each other. A merging section (195c)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where the cooling fluids (105) merge with each other. The air gap supply section (350a) may be formed penetrating the merging section (195c). One end of the supply nozzle (355) may be connected to the air gap supply section (350a).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이동되는 냉각유체유로(19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복수의 구획벽(18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획벽(185)은 축방향으로 단축된 길이를 구비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되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냉각유체(105)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8, a cooling fluid path (195)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105) moves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The cooling fluid path (195) may include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may have a shortened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this, the cooling fluid (105) can be mov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에는 상기 엔드턴(272)에 냉각유체(105)를 각각 공급할 수 있게 엔드턴공급부(36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예를 들면,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의 말단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an end-turn supply part (360) may be formed to supply cooling fluid (105) to each of the end turns (272). The end-turn supply part (36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end regions of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예를 들면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엔드턴공급부(361),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3엔드턴공급부(36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end-turn supply unit (3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end-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a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in one direc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S. 16 and 18, and a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는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단부연장부(180c21)의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may be provided inside the end extension unit (180c21)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예를 들면, 해당 엔드턴공급부를 통해 유출되는 냉각유체(105)의 온도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유동단면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flow cross-sectional areas,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fluid (105) flowing out through the corresponding end-turn supply unit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유체(105)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엔드턴공급부(362)는 상대적으로 냉각이 미흡하여 온도가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를 통해 유출되는 냉각유체(105)의 온도에 비해 높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엔드턴(272)의 표면 온도가 거의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의 유동단면적은, 예를 들면,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의 유동단면적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positioned relatively upstream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oling fluid (105) may have relatively insufficient cooling, and thus its temperature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oling fluid (105) flowing out through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Considering thi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for example,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end-turn (272) may be made almost uniform.

여기서,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상기 엔드턴(272)의 온도 분포에 따른 냉각량 및 상기 각 엔드턴공급부를 통해 유출되는 냉각유체(105)의 온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유동단면적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size of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can be set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cooling amou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end-turn (272)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fluid (105) flowing out through each end-turn supply unit.

도 19는 도 14의 회전전기기계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100b)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4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냉각유체(105)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Fig. 1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of Fig. 14. As shown in Fig. 19,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b)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with a control unit (450)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and having a control program. Th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for example,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and control the movement speed of the cooling fluid (105)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상기 제어부(450)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46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46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250)의 온도를 감지하는 스테이터온도감지부(46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온도감지부(460a)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온도감지부(460a)는, 예를 들면, 상기 엔드턴(272)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5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10).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 may include, for example, a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a)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stator (250). The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a) may be configured to detect,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stator coil (270). The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a) may be configured to detect,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end turn (272).

상기 온도감지부(460)는, 예를 들면, 상기 로터(280)의 온도를 감지하는 로터온도감지부(46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터온도감지부(460b)는, 예를 들면, 상기 로터코어(290)의 외면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온도감지부(460b)는,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00)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60) may include, for example, a rotor temperature sensing unit (460b)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rotor (280). The rotor temperature sensing unit (460b) may be configured to sense,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tor core (290). The rotor temperature sensing unit (460b) may also be configured to sense,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permanent magnet (300).

상기 제어부(45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온도감지부(460a)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냉각유체(105)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의 회전속도가 증가될 수 있게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for example, to increase the movement speed of the cooling fluid (105)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can be increased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상기 제어부(450)는, 예를 들면, 상기 로터온도감지부(460b)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의 냉각유체(105)의 이동속도가 증가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감지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의 회전속도가 증가되게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for example, the movement speed of the cooling fluid (105)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to increase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the ro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b)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to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로터(280)는 상기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하우징(110)(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는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의 발열작용으로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driving is initiated, the rotor (28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281).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cooling water housing (130)) may rise due to the heat generation of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제2냉각유체펌프(210b)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유체(105)가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c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c2)의 냉각유체유로(195)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c)의 각 냉각유체유로(195)를 따라 이동된 냉각유체(105)는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 및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를 통해 상기 에어갭(G) 및 엔드턴(272)으로 각각 공급되어 상기 에어갭(G) 및 엔드턴(272)을 각각 냉각시킬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to allow the cooling fluid (105) to be cooled while moving along the cooling fluid paths (195)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c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c2). The cooling fluid (105) moved along each cooling fluid path (195)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c) can be supplied to the air gap (G) and the end turn (272) through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and the end turn supply unit (360), respectively, to cool the air gap (G) and the end turn (272).

한편,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온도감지부(460)의 온도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갭(G) 및 상기 엔드턴(272)에 공급되는 냉각유체(105)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movement speed of the cooling fluid (105) supplied to the air gap (G) and the end turn (272)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로터온도감지부(460b)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의 회전속도가 증가될 수 있게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유체(105)의 이동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터(280)와 접촉되는 냉각유체(105)의 유량이 증가되어 상기 로터(280)의 냉각이 촉진됨으로써, 상기 로터(280)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can increas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ro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b)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movement speed of the cooling fluid (105) supplied through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can increase. Accordingly,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fluid (105) in contact with the rotor (280) increases, thereby promoting cooling of the rotor (280), and thus suppressing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rotor (280).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스테이터온도감지부(460a)의 감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의 회전속도가 증가되게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유체(105)의 이동속도가 증가되고, 상기 엔드턴(272)은 상대적으로 많은 냉각유체(105)와 접촉됨으로써 더욱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드턴(272)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고, 상기 엔드턴(272)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to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a)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movement speed of the cooling fluid (105) supplied through the end-turn supply unit (360) increases, and the end-turn (272) can be cooled more quickly by coming into contact wit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ooling fluid (105). Accordingly, the temperature increase of the end-turn (272) can be suppressed, and the end-turn (272) can be maintain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전기기계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회전전기기계(100c)는, 하우징(110), 스테이터(250), 로터(280), 에어갭공급부(350a) 및 엔드턴공급부(360)를 구비한다.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electric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0. 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rotating electric machine (100c)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housing (110), a stator (250), a rotor (280), an air gap supply unit (350a), and an end-turn supply unit (360).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미리 설정된 에어갭(G)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스테이터(250) 및 로터(280)가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housing (110) forms a sealed receiving space inside. Inside the housing (110), the stator (250) and the rotor (280) are arranged to enable relative movement with a preset air gap (G) between them.

상기 하우징(110)에는 내부와 냉각수가 열교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유로(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냉각수순환부(320)가 연결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so that the inside and the cooling water can exchange heat. A cooling water circulation unit (32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so that the cooling water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냉각유체(105)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냉각유체(105)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냉각유체순환부(183)가 구비된다. A cooling fluid (105) can be injec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so that the cooling fluid (105) can circulat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133)가 형성되는 냉각수하우징(130) 및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가 각각 구비되는 냉각유체하우징(180d)을 구비할 수 있다. The above housing (110) may be equipped with a cooling water housing (130) in whic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133) is formed and a cooling fluid housing (180d) in whic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part (183) is respectively equipped.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d)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180d) can be, for exampl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상기 냉각유체하우징(180d)은, 예를 들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접촉 결합되는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을 구비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180d)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nd a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that are coupled in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은 대략 반원 단면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은 각 하단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하단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각 상단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may be arranged so that their lower ends correspond to the lower ends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their upper ends correspond to the upper ends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의 내부 저부에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냉각유체(105)가 흡입되는 흡입챔버(19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냉각유체하우징(180d1, 180d2)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저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141)와 각각 연통되는 흡입구(19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may each be provided with an intake chamber (190)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into which the cooling fluid (105) is sucked. The interior of each cooling fluid housing (180d1, 180d2) may each be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192) that communicates with a penetration portion (141) form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상기 각 흡입챔버(190)에는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제2냉각유체펌프(210b)가 각각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can be connected to each of the above suction chambers (190).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의 내부에는 냉각유체(105)가 각각 수환될 수 있게 냉각유체순환부(183)가 각각 구비된다.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is provided inside each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so that cooling fluid (105) can be circulated.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에는 상기 에어갭(G)에 냉각유체(105)를 공급할 수 있게 에어갭공급부(350a)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1, an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to supply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에 냉각유체(105)를 공급할 수 있게 엔드턴공급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An end turn supply unit (36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to supply cooling fluid (105) to the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갭(G)의 중앙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central area of the air gap (G) along the axial direction.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갭(G)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351a),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에어갭공급부(351b) 및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에어갭공급부(351c)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spaced apart in one direc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nd a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spaced apart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의 중앙영역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되는 중앙연장부(180d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의 양 단부에는 상기 에어갭(G)의 상단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호형상으로 각각 절취된 단부절취부(180d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 central extension portion (180d1a) extending in an arc shap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t both ends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end cut portions (180d1b) cut in an arc shape in a clockwi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from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may be formed, respectively.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의 축방향을 따라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end-turn supply unit (360) can be formed at each 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상기 각 엔드턴공급부(360)는, 예를 들면, 상기 각 엔드턴(272)의 상부 중앙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엔드턴공급부(361),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엔드턴공급부(36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end-turn supply units (3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central region of each of the above end-turns (272), a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in one direction (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은, 예를 들면, 중앙영역에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의 연장구간에 대응되게 절취된 중앙절취부(180d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의 양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단부연장부(180d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may have, for example, a central cut-off portion (180d2a)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section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End extension portions (180d2b) extending clockwi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each end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 및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을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은 상호 결합시 원통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long the radial direction wit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can form a cylindrical shape when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도 22는 도 21의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3은 도 21의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22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1, and FIG. 23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1.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d1)의 내부에는 냉각유체순환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냉각유체(105)가 이동되면서 열교환되는 냉각유체유로(195)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한다. As illustrated in Fig. 22, a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183)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d1).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183) has a cooling fluid path (195) through which heat is exchanged as the cooling fluid (105) moves. The cooling fluid path (195) has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냉각유체순환부(183)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이동된 냉각유체(105)가 합류하는 합류구간(195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연장부(180d1a)는 상기 합류구간(195c)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류구간(195c)의 내부 및 중앙연장부(180d1a)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 제2에어갭공급부(351b) 및 제3에어갭공급부(351c)가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류구간(195c)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 및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351b)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연장부(180d1a)의 내부에는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183) may have a merging section (195c) in which cooling fluids (105) moving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join. The central extension section (180d1a) may be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merging section (195c). The first air gap supply section (351a), the second air gap supply section (351b), and the third air gap supply section (351c) are formed inside the merging section (195c) and inside the central extension section (180d1a),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nd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may b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junction section (195c), and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entral extension unit (180d1a).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d2)의 내부에는 냉각유체(105)가 이동되면서 열교환되는 냉각유체유로(195)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유체유로(195)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의 말단영역에는 상기 단부연장부(180d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3,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d2) has a cooling fluid path (195) through which the cooling fluid (105) moves and heat is exchanged. The cooling fluid path (195) has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end extension portion (180d2b) may be formed at each end region of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195b)의 말단에는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상기 각 단부연장부(180d2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361),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respectively. Each of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s (363) may be arranged at each of the end extension units (180d2b).

여기서,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서로 다른 유동단면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the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flow cross-sectional areas.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로터(280)는 상기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제2냉각유체펌프(210b)가 각각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 및 상기 각 엔드턴(272)에 냉각된 냉각유체(105)가 각각 공급되고, 상기 에어갭(G) 및 상기 엔드턴(272)이 각각 냉각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operation is initiated, the rotor (28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281), and th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to be driven,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ooled cooling fluid (105) is supplied to the air gap (G) and each of the end turns (272), and the air gap (G) and the end turns (272) can be cooled,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스테이터온도감지부(460a) 및 상기 로터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의 각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rotation speeds of each of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stat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a) and the rotor detection unit.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50) 또는 상기 로터(280)의 온도가 상승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테이터(250) 또는 상기 로터(280)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신속하게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tator (250) or the rotor (280) rises, this can be detec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ator (250) or the rotor (280) can be quickly suppressed from rising excessively.

도 24는 도 20의 냉각유체하우징의 변형례이고, 도 25는 도 24의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6은 도 24의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0, Fig. 25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4, and Fig. 26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of Fig. 24.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각유체하우징(180e)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외측에서 서로 대면결합되는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을 구비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4, the cooling fluid housing (180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and a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with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은 각각 반원 단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의 각 하단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하단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의 각 상단은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상단에 대응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은 결합 시 상호 협조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may each be implemented with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ends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s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Accordingly,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may cooperatively form a cylindrical shape when combined.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의 내부에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가 구비된다.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는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구획벽(185)을 각각 구비한다. As illustrated in Fig. 25,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is provided with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each hav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85) arranged in a zigzag shape.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은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이동된 냉각유체(105)가 합류되는 합류구간(195c)을 구비한다. 상기 합류구간(195c)은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has a merging section (195c) in which the cooling fluid (105) moving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erge. The merging section (195c)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의 내부 중앙영역에는 상기 에어갭(G)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35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공급부(350a)는, 상기 에어갭(G)의 상단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351a) 및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351b)를 구비할 수 있다.An air gap supply unit (350a) for supplying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may be forme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The air gap supply unit (350a) may include a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and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in one direction (lower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의 내부 양 단부 영역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엔드턴(272)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각각 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36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n end-turn supply unit (360) for supplying the cooling fluid (105) to each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internal end regions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상기 엔드턴공급부(360)는, 상기 엔드턴(272)의 상부 중앙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엔드턴공급부(361) 및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엔드턴공급부(36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bove end-turn supply unit (360) may be equipped with a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central area of the end-turn (272) and a second end-turn supply unit (362)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in one direction (lower in the draw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의 내부에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의 내부에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이동된 냉각유체(105)가 합류되는 합류구간(195c)이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6, a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A merging section (195c)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in which cooling fluids (105) moving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merge.

상기 합류구간(195c)에는 상기 에어갭(G)에 상기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제3에어갭공급부(35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 방향(도 24의 반시계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갭(G)의 상단을 통과하는 연장선(수직중심선)에 대해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351b)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junction section (195c), a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formed to supply the cooling fluid (105) to the air gap (G).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FIG. 2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with respect to, for example, an extension lin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air gap (G).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의 내부 양 단부영역에는 상기 엔드턴(272)에 냉각유체(105)를 공급하는 제3엔드턴공급부(3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일 방향(도 24의 반시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A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for supplying cooling fluid (105) to the end-turn (272) may be formed in the internal end areas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363)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361) in another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FIG. 2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예를 들면, 상기 엔드턴(272)의 상단을 통과하는 연장선(수직중심선)에 대해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362) 및 제3엔드턴공급부(363)는, 예를 들면, 상기 엔드턴(272)의 좌측 단부 영역의 상측 및 우측 단부 영역의 상측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with respect to, for example, an extension lin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end turn (272).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and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 (363)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for example, the upper side of the left end reg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right end region of the end turn (272),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로터(280)는 상기 회전축(28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제2냉각유체펌프(210b)가 각각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operation is initiated, the rotor (28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281), and th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to be driven, respectively.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제2냉각유체펌프(210b)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하우징(130)의 내부의 냉각유체(105)는 상기 각 냉각유체하우징의 제1냉각유체유로(195a) 및 제2냉각유체유로(195b)를 따라 각각 이동되면서 냉각된다.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180e1)의 상부로 이동된 냉각된 냉각유체(105) 중 일부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351a) 및 제2에어갭공급부(351b)를 통해 상기 에어갭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상부로 이동된 냉각유체(105)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361) 및 제2엔드턴공급부(362)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70)의 각 엔드턴(272)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are driven, the cooling fluid (105) inside the cooling water housing (130) is cooled while moving along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195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195b) of each cooling fluid housing. Some of the cooled cooling fluid (105) that has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180e1) can be supplied to the air gap through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351a) and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351b), respectively. Another portion of the cooling fluid (105) moved upward can be supplied to each end turn (272) of the stator coil (270) through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361) and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362).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의 내부 상부로 이동된 냉각유체(105) 중 일부는 상기 제3에어갭공급부(351c)를 통해 상기 에어갭(G)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180e2)의 내부 상부로 이동된 냉각유체(105)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각 제3엔드턴공급부(363)를 통해 상기 엔드턴(272)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Some of the cooling fluid (105)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may be supplied to the air gap (G) through the third air gap supply unit (351c). Others of the cooling fluid (105)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180e2)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end turns (272) through each of the third end turn supply units (363).

이에 의해, 상기 에어갭(G) 및 엔드턴(272)이 각각 냉각될 수 있다. By this, the air gap (G) and end turn (272) can be cooled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온도감지부(46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제2냉각유체펌프(210b)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450)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by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460), and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can control either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or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to be selectively driven.

여기서, 상기 제어부(4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와 차가 미리 설정된 제1폭 이하이면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는 구동시키고,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for example, drive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stop the driving of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range from the set temperature.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와 차가 상기 제1폭보다 큰 제2폭 이하이면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and stop driving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width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and the difference from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또한, 상기 제어부(450)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와 차가 상기 제2폭보다 큰 제3폭 이하이면 상기 제1냉각유체펌프(210a) 및 상기 제2냉각유체펌프(210b)의 구동을 모두 중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50)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operation of both the first cooling fluid pump (210a)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ump (210b) if,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and the set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ird width that is greater than the second width.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the embodiments are not specifically lis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they should be broadly interpret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abov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encompass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을 구비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미리 설정된 에어갭을 두고 배치되는 로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주입되는 냉각유체;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냉각수가 열교환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냉각수순환유로;
상기 냉각유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냉각유체순환부; 및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스테이터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갭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에어갭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스테이터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갭으로 연장되는 공급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노즐은 상기 스테이터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에어갭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냉각수하우징; 및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체순환부가 형성되는 냉각유체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유체순환부는 상기 냉각유체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냉각유체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유체펌프에는 상기 냉각유체가 각각 이동될 수 있게 제1냉각유체유로 및 제2냉각유체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냉각유체순환부는 상기 제1냉각유체유로 및 상기 제2냉각유체유로가 서로 합류되는 합류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합류구간에 형성되는, 회전전기기계.
A housing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inside;
A stator having a stator co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stator coil wound around the stator core;
A rotor positioned with a preset air gap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Cooling fluid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above housing;
A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cooling water can exchange heat;
A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circulate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An air gap supply un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and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air gap through the stator;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and the other end has a supply nozzle extending through the stator to the air gap.
The above supply nozzle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or into the air gap,
The above housing comprises a cooling water housing in which the cooling water circulation path is formed; and a cooling fluid housing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and in which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is formed;
The abov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is equipped with a cooling fluid pump that promotes circulation of the cooling fluid,
The above cooling fluid pump is connected to a first cooling fluid path and a second cooling fluid path so that the cooling fluid can move respectively.
A rotating electric machine, wherein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has a junction section where the first cooling fluid path and the second cooling fluid path join each other, and the air gap supply section is formed in the junction 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하우징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유체하우징은 반원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회전전기기계.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olant housing has a cylindrical shape,
A rotating electric machine in which 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has a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하우징에는 상기 냉각유체순환부가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체하우징에는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게 냉각유체유입구가 형성되는 회전전기기계.
In paragraph 4,
The above coolant housing has a penetration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olant fluid circulation part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coolant housing.
A rotating electric machine in which a cooling fluid inlet is formed in 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bove penetration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의 온도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유체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전기기계.
In Article 6,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and
A rotating electric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oling fluid pump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 및 상기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전기기계.
In Article 7,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has a first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at the top of the stator and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A rotating electric machine, wherein the air gap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third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 및 상기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로부터 이격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에어갭공급부의 대향 측에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전기기계.
In Article 7,
The above air gap supply unit has a first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at the top of the stator and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ator.
A rotating electric machine, wherein the air gap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third air gap supply unit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ir gap supply unit with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interposed therebetwe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체순환부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상부 중앙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제1엔드턴공급부 및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엔드턴공급부를 구비하는 회전전기기계.
In Article 7,
The above cooling fluid circulation unit is provided with an end turn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A rotating electric machine having a first end turn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and a second end turn supply uni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turn supply un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제2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제3엔드턴공급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엔드턴의 좌우방향을 따라 좌측단부 또는 우측단부의 상측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배치되는 회전전기기계.
In Article 12,
The above end turn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third end turn supply uni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d turn supply un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otating electric machine in which the third end-turn supply unit is arranged so as to supply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side of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end-turn.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체하우징은, 상기 냉각유체순환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외측에 서로 대면되게 결합되는 제1냉각유체하우징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갭공급부는,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 또는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상부 중앙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게 배치되는 제1에어갭공급부,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에어갭공급부 및 상기 제1에어갭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타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3에어갭공급부를 구비하는 회전전기기계.
In Article 7,
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comprises a first cooling fluid housing and a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each of which has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and which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omprising: a first air gap supply unit formed in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r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and arranged to supply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center of the stator; a second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to one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hird air gap supply uni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gap supply unit to the other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체하우징은, 상기 냉각유체순환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하우징의 외측에 서로 대면되게 결합되는 제1냉각유체하우징 및 제2냉각유체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냉각유체하우징의 냉각유체순환부 또는 상기 제2냉각유체하우징의 냉각유체순환부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엔드턴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엔드턴공급부는,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엔드턴의 상부 중앙에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배치되는 제1엔드턴공급부,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 일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엔드턴공급부 및 상기 제1엔드턴공급부로부터 원주방향 타 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3엔드턴공급부를 구비하는 회전전기기계.
In Article 7,
The above cooling fluid housing comprises a first cooling fluid housing and a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each of which has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and which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cooling water housing.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of the first cooling fluid housing or the cooling fluid circulation section of the second cooling fluid housing is provided with an end turn supply section that supplies the cooling fluid to the end turn of the stator coil.
The above end-turn supply unit is a rotating electric machine comprising a first end-turn supply unit arranged so as to supply the cooling fluid to the upper center of the end-turn of the stator coil, a second end-turn supply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in on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third end-turn supply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turn supply unit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74373A 2019-12-24 2019-12-24 Rotating electric machine Active KR1026962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73A KR102696291B1 (en) 2019-12-24 2019-12-24 Rotating electric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373A KR102696291B1 (en) 2019-12-24 2019-12-24 Rotating electric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37A KR20210081937A (en) 2021-07-02
KR102696291B1 true KR102696291B1 (en) 2024-08-20

Family

ID=7689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373A Active KR102696291B1 (en) 2019-12-24 2019-12-24 Rotating electric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962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01090B2 (en) 2021-10-08 2025-05-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at exchanger system for electric motor
US12418215B2 (en) * 2022-05-16 2025-09-16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Liquid-cooled electric drive assembly
KR102705252B1 (en) * 2022-11-11 2024-09-11 (주)포톤 Spin motor for rotating spin chuck
CN117318396B (en) * 2023-09-07 2024-05-03 汉勒机电科技江苏有限公司 Motor heat abstra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358A (en) * 2006-05-30 2007-12-13 Toshiba Mach Co Ltd Mo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4392B2 (en) 2003-02-25 2006-07-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Electric vehicle drive unit
KR20140038598A (en) 2012-09-20 2014-03-31 한국전력공사 Cooling structure for generator or eletric motor
WO2018182117A1 (en) * 2017-03-28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358A (en) * 2006-05-30 2007-12-13 Toshiba Mach Co Ltd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37A (en)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6291B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CN114072994B (en) Cooling mechanism for stator of axial flux motor
EP3644480B1 (en) Electric motor including oil spraying part
US9680351B2 (en) Electrical machine having cooling features
KR101114713B1 (en) A electric motor and cooling unit thereof
US11973398B2 (en) Electric motor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said system
KR102081008B1 (en) Cooling system for electric machine
US20190280536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cooling structure
KR101697592B1 (en) Rotatiing electric machine
JP6942881B2 (en) Cooling structure of rotary electric machine
JP6791463B1 (en) Motors and motor devices
US11973407B2 (en) Thermal management techniques for electric motors
JP5962570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EP3716448A1 (en) Winding end turn cooling
JP5388961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2068665B2 (en) Motor coil cooling structure
JP5892091B2 (en) Multi-gap rotating electric machine
WO2024208111A1 (en) Motor and motor assembly
US10404138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gas coolers
KR100549821B1 (en) Totally enclosed air-cooled motor
KR20200116299A (en) Electric motor
KR101702023B1 (en) A Electric motor Cooling System
CN113972781B (en) Rotor shaft and motor
KR20120063285A (en) Electronic compressor
KR20200103455A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8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