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710B1 - 인공지능 기반의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3710B1 KR102673710B1 KR1020240019940A KR20240019940A KR102673710B1 KR 102673710 B1 KR102673710 B1 KR 102673710B1 KR 1020240019940 A KR1020240019940 A KR 1020240019940A KR 20240019940 A KR20240019940 A KR 20240019940A KR 102673710 B1 KR102673710 B1 KR 102673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ulation
- data
- extracting
- property
- mod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30—Prediction of properties of chemical compounds, compositions or mix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1—Schema design and management
- G06F16/212—Schema design and management with details for data modelling suppor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9—Phrasal analysis, e.g. finite state techniques or chunking
- G06F40/295—Named entity recogn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6—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simulated virtual individual or collective life forms, e.g. social simulations or particle swarm optimisation [PSO]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64—Convolutional networks [CNN, ConvNe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7—Probabilistic or stochastic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75—Generative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92—Reinforcement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96—Transfer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985—Hyperparameter optimisation; Meta-learning; Learning-to-lear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7/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mathematical models
- G06N7/01—Probabilistic graphical models, e.g. probabilistic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70—Machine learning, data mining or chemometric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90—Programming languages; Computing architectures; Database systems; Data ware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추출하는 프로세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구조를 인식하는 모델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파서(Parser)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추출 형태를 비교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조성 및 물성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특허 문서가 포함하는 표 형태의 종류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성 테이블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성 테이블을 변환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델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모델에 의해 생성된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의 분포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포뮬레이션 물성 예측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포뮬레이션 물성 예측 모델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포뮬레이션 최적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전자 장치
130: 네트워크
Claims (10)
-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문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포뮬레이션의 조성에 따른 물성 변화를 추론하는 포뮬레이션 물성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기초로 컴파운드의 포뮬레이션 정보로부터 컴파운드의 물성을 예측하는 단계; 및
컴파운드 포뮬레이션에서 목표 물성에 적합한 신규 컴파운드 포뮬레이션을 생성하는 포뮬레이션 최적화 모델을 이용하여 포뮬레이션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에 포함된 텍스트로부터 포뮬레이션과 관련된 문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서에 포함된 테이블로부터 상기 포뮬레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뮬레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HTML 문서 및 XML 문서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테이블 중 조성 정보 또는 물성 정보가 있는 행(row)을 확인하는 단계;
테이블 헤드 내에 실험례를 분류하기 위해 부여된 예시 번호와 조성 정보 및 상기 물성 정보 각각을 정렬하여, 조성 데이터셋 및 물성 데이터셋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성 데이터셋과 상기 물성 데이터셋 중에 상기 예시 번호가 일치하는 조성 정보 및 물성 정보 쌍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조성 정보 및 상기 물성 정보 쌍으로부터 원재료의 이름, 단위 및 양을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조성 정보 및 상기 물성 정보 쌍으로부터 물성의 이름, 값, 단위, 물성 실험 방법 및 물성 실험 조건을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원재료의 이름, 단위 및 양을 포함하는 정보와 상기 물성의 이름, 값, 단위, 물성 실험 방법 및 물성 실험 조건을 포함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뮬레이션과 관련된 문단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문서 내의 텍스트들을 추출하는 단계;
객체명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텍스트들에 대하여 상기 포뮬레이션과 관련된 클래스를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포뮬레이션의 조성 및 물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문장을 포함하는 문단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뮬레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미리 훈련된 테이블 트랜스포머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문서에서 테이블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테이블들의 위치에 미리 설정된 크기의 윈도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내에 포함된 테이블의 내용을 추출하는 단계;
테서랙트 OCR(Tesseract OCR)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내용들 중에서 상기 포뮬레이션 관련 키워드를 포함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테이블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뮬레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테이블 구조 인식 모델을 이용해, 선별된 표 이미지들을 HTML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HTML 파서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형태에 맞게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테뷸러 데이터 생성기(Tabular data Generator)를 이용하여 원본 데이터로부터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디스크리미네이터(Discriminator)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와 상기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 간의 조건부 분포(conditional distribution)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를 기초로 합성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의 물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원본 데이터와 상기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지식 전이를 통해 학습이 완료된 물성 별 모델의 가중치를 저장하고, 학습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성능 평가를 진행하는 단계; 및
예측된 물성 별로 예측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뮬레이션을 최적화하는 단계는,
액터 네트워크에서, 목표 물성에 대한 제1 데이터와 기존의 컴파운드 포뮬레이션에 대한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신규 컴파운드 포뮬레이션에 대한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 데이터의 상기 신규 컴파운드 포뮬레이션의 물성 값과 상기 목표 물성 간 유사도 기반의 보상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크리틱 네트워크에서, 상기 보상 점수를 기반으로 기존 포뮬레이션 대비 변경된 신규 포뮬레이션이 얼마나 목표 물성에 가깝게 개선되었는지에 대한 기댓값을 상기 액터 네트워크에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청구항 1, 3 내지 5 및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072968A KR102799924B1 (ko) | 2023-08-23 | 2024-06-04 |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화된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전자 장치 및 프로그램 |
| US18/812,439 US20250068603A1 (en) | 2023-08-23 | 2024-08-22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building formulation databa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30110403 | 2023-08-23 | ||
| KR1020230110403 | 2023-08-23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72968A Division KR102799924B1 (ko) | 2023-08-23 | 2024-06-04 |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화된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전자 장치 및 프로그램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73710B1 true KR102673710B1 (ko) | 2024-06-10 |
Family
ID=91482899
Family Applications (8)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19940A Active KR102673710B1 (ko) | 2023-08-23 | 2024-02-08 | 인공지능 기반의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240025396A Active KR102741365B1 (ko) | 2023-08-23 | 2024-02-21 |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복합체의 조성물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240037302A Active KR102741366B1 (ko) | 2023-08-23 | 2024-03-18 |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조성물 비율에 따른 복합체의 물성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240061597A Active KR102741367B1 (ko) | 2023-08-23 | 2024-05-10 | 액터-크리틱 모델을 이용하여 목표 물성에 부합하는 복합체를 생성하는 조성물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240072968A Active KR102799924B1 (ko) | 2023-08-23 | 2024-06-04 |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화된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전자 장치 및 프로그램 |
| KR1020240180211A Active KR102851868B1 (ko) | 2023-08-23 | 2024-12-06 | 인공지능 기반의 조성물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1020240180212A Active KR102784194B1 (ko) | 2023-08-23 | 2024-12-06 | 인공지능 기반의 복합체의 물성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1020240180213A Active KR102823155B1 (ko) | 2023-08-23 | 2024-12-06 | 인공지능 기반의 목표 물성에 부합하는 복합체 생성을 위한 조성물 포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7)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25396A Active KR102741365B1 (ko) | 2023-08-23 | 2024-02-21 |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복합체의 조성물 합성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240037302A Active KR102741366B1 (ko) | 2023-08-23 | 2024-03-18 |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조성물 비율에 따른 복합체의 물성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240061597A Active KR102741367B1 (ko) | 2023-08-23 | 2024-05-10 | 액터-크리틱 모델을 이용하여 목표 물성에 부합하는 복합체를 생성하는 조성물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240072968A Active KR102799924B1 (ko) | 2023-08-23 | 2024-06-04 |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동화된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전자 장치 및 프로그램 |
| KR1020240180211A Active KR102851868B1 (ko) | 2023-08-23 | 2024-12-06 | 인공지능 기반의 조성물 포뮬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1020240180212A Active KR102784194B1 (ko) | 2023-08-23 | 2024-12-06 | 인공지능 기반의 복합체의 물성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1020240180213A Active KR102823155B1 (ko) | 2023-08-23 | 2024-12-06 | 인공지능 기반의 목표 물성에 부합하는 복합체 생성을 위한 조성물 포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50068603A1 (ko) |
| KR (8) | KR102673710B1 (ko) |
| WO (1) | WO2025042099A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29764A (ko) | 2023-08-23 | 2025-03-05 | 희래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반의 복합체의 물성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05764A (ko) | 2020-02-19 | 2021-08-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전자문서 내의 텍스트 추출 방법 및 관련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658429B2 (en) * | 2001-01-05 | 2003-12-02 | Symyx Technologies, Inc. | Laboratory database system and methods for combinatorial materials research |
| BRPI1000577B1 (pt) * | 2010-02-19 | 2020-10-13 | Alexandre Jonatan Bertoli Martins | método e sistema para extração e gerenciamento de informações contidas em documentos eletrônicos |
| KR20160038183A (ko) * | 2014-09-29 | 2016-04-07 | (주) 인하씨엔티 | 빅 데이터를 이용한 복합소재 추천시스템 및 방법 |
| KR102214634B1 (ko) * | 2018-10-22 | 2021-02-10 | 한국화학연구원 | 인공지능 기반 물성예측 시스템 |
| KR102288059B1 (ko) | 2018-10-31 | 2021-08-10 | 주식회사 인실리코 |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재 조성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재 조성 추천 장치 |
| US11062133B2 (en) * | 2019-06-24 | 2021-07-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ata structure generation for tabular information in scanned images |
| WO2021044365A1 (en) * | 2019-09-05 | 2021-03-11 | 10736406 Canada Inc.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ynthetically accessible molecules with chemical reaction trajectorie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 EP4205065A1 (en) * | 2021-02-18 | 2023-07-05 | Colgate-Palmolive Company |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product |
| US11886815B2 (en) * | 2021-05-28 | 2024-01-30 | Adobe Inc. | Self-supervised document representation learning |
| KR20220164246A (ko) * | 2021-06-04 | 2022-12-13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물질의 제형 자동화 장치 및 그 방법 |
| US20240378355A1 (en) * | 2021-08-31 | 2024-11-14 | Resonac Corporation | Property prediction device, property prediction method, and program |
| KR102581404B1 (ko) * | 2021-09-15 | 2023-09-20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계산과학과 베이지안 추론 기반의 소재 역설계를 통한 화합물의 조성 예측 방법 |
| KR102482465B1 (ko) * | 2021-12-01 | 2022-12-28 |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반의 복합 소재의 조성-공정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소재의 조성-공정 추천 방법 |
| KR102673710B1 (ko) | 2023-08-23 | 2024-06-10 | 희래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반의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2024
- 2024-02-08 KR KR1020240019940A patent/KR102673710B1/ko active Active
- 2024-02-21 KR KR1020240025396A patent/KR102741365B1/ko active Active
- 2024-03-18 KR KR1020240037302A patent/KR102741366B1/ko active Active
- 2024-05-10 KR KR1020240061597A patent/KR102741367B1/ko active Active
- 2024-06-04 KR KR1020240072968A patent/KR102799924B1/ko active Active
- 2024-08-08 WO PCT/KR2024/011753 patent/WO2025042099A1/ko active Pending
- 2024-08-22 US US18/812,439 patent/US20250068603A1/en active Pending
- 2024-12-06 KR KR1020240180211A patent/KR102851868B1/ko active Active
- 2024-12-06 KR KR1020240180212A patent/KR102784194B1/ko active Active
- 2024-12-06 KR KR1020240180213A patent/KR1028231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05764A (ko) | 2020-02-19 | 2021-08-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전자문서 내의 텍스트 추출 방법 및 관련 장치 |
Non-Patent Citations (5)
| Title |
|---|
| A. Denger et al., Data Harvesting and Cleaning, Institute for Information Systems and Computer Media, Graz University of Technology(2013.05.22.) * |
| K. Sattari et al., Data-driven algorithms for inverse design of polymers, Soft Matter Vol.17, pp7607-7622(2021) * |
| P. Shetty et al., A general-purpose material property data extraction pipeline from large polymer corpora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pj Comput. Mater. Vol.9, 52(2023.04.05.) * |
| R. Yu et al., Dataset Distillation: A Comprehensive Review, arXiv:2301.07014v1(2023.01.17.) * |
| W. Lin et al., TSRFormer: Table Structure Recognition with Transformers, arXiv:2208.04921v1(2022.08.09.) *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29764A (ko) | 2023-08-23 | 2025-03-05 | 희래 주식회사 | 인공지능 기반의 복합체의 물성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99924B1 (ko) | 2025-04-29 |
| KR20250031130A (ko) | 2025-03-06 |
| KR20250029763A (ko) | 2025-03-05 |
| KR20250029765A (ko) | 2025-03-05 |
| KR102851868B1 (ko) | 2025-08-28 |
| KR20250029764A (ko) | 2025-03-05 |
| KR102741367B1 (ko) | 2024-12-12 |
| US20250068603A1 (en) | 2025-02-27 |
| KR102784194B1 (ko) | 2025-03-21 |
| WO2025042099A1 (ko) | 2025-02-27 |
| KR102741365B1 (ko) | 2024-12-12 |
| KR102823155B1 (ko) | 2025-06-20 |
| KR102741366B1 (ko) | 2024-12-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Varma et al. | Snuba: Automating weak supervision to label training data | |
| US2021027202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Specific Data from Documents Using Machine Learning | |
| WO2020214317A1 (en) | Architectures for modeling comment and edit relations | |
| CN113836891B (zh) | 基于多元标注策略的结构化信息抽取方法和装置 | |
| Qin et al. | Multi-instance attention network for few-shot learning | |
| CN117115564B (zh) | 基于跨模态概念发现与推理的图像分类方法及智能终端 | |
| KR102673710B1 (ko) | 인공지능 기반의 포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 CN116956228A (zh) | 一种技术交易平台的文本挖掘方法 | |
| Zhang et al. | Visual relationship detection with region topology structure | |
| Dahl et al. | Ap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 in document digitisation | |
| Orosoo et al. | Performance analysis of a novel hybrid deep learning approach in classification of quality-related English text | |
| CN111581469B (zh) | 基于多子空间表示的偏多标记学习方法 | |
| Rabaev et al. | Automated gender classification from handwriting: a systematic survey | |
| Senthil et al. | An efficient CNN model with squirrel optimizer for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 |
| KR102186371B1 (ko) | 다중 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반려동물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 Mokhtari et al. | ROPAC: rule optimized aggregation classifier | |
| Das et al. | A comparison study of recurrent neural networks in recognition of handwritten Odia numerals | |
| Xiao et al. | Learnable visual words for interpretable image recognition | |
| CN120104873B (zh) | 一种人岗精准匹配智能推荐的方法及系统 | |
| Lafabrègue et al. | I-SAMARAH, an incremental constrained clustering applied to remote sensing images | |
| CN114329102B (zh) |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 CN118964627B (zh) | 一种语篇级事件时间线生成方法 | |
| KR102699539B1 (ko) | 심층 의미 유사성 모델 기반 건설공사 계약서 조항 출처 식별 기술 | |
| Revathi et al. | Hybrid Support Vector Machine with Grey Wolf Optimization for Classifying Multivariate Data | |
| Balakrishnan | Challenges and Solutions in Develop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for Industry Problem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3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