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989B1 - Drive-thru-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Google Patents
Drive-thru-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6989B1 KR102666989B1 KR1020230117916A KR20230117916A KR102666989B1 KR 102666989 B1 KR102666989 B1 KR 102666989B1 KR 1020230117916 A KR1020230117916 A KR 1020230117916A KR 20230117916 A KR20230117916 A KR 20230117916A KR 102666989 B1 KR102666989 B1 KR 1026669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unit
- unmanned
- vehicle
- dr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45—Manipulators used in the food indust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by configuring or customising goods or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Managing shopping lists, e.g. compiling or processing purchase lis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음료를 주문하면 무인 로봇이 음료를 제조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and relates to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in which when a driver in a vehicle orders a beverage, an unmanned robot produces a beverage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in the vehicle. will be.
최근 고객이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음료를 주문하고, 카페 등의 매장에서 주문에 따라 제조된 음료를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전달받는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drive-thru method, where a customer orders a drink while in the vehicle and receives the drink prepared according to the order at a store such as a cafe, while in the vehicle, is increasing.
일반적인 드라이브 스루는 종업원이 음성을 통해 메뉴를 주문받고, 차량이 픽업 장소로 이동하는 동안 음료가 제조되고, 픽업 장소에서 종업원으로부터 음료를 직접 전달받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In a typical drive-thru, an employee receives menu orders through voice, drinks are prepared while the vehicle moves to the pickup location, and drinks are delivered directly from the employee at the pickup location.
카페에서 제조되는 음료의 맛은 이는 비숙련 바리스타와 전문 바리스타의 숙련도에 따라 맛이 결정되고 매장의 매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카페에서 직원을 고용할 경우, 음료 제조 교육을 받아야 하며, 음료 제조 교육을 받은 직원이 일을 하다가 그만둘 경우에는 새로운 직원을 고용해 처음부터 교육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을 관리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해 운영 수익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taste of drinks made in a cafe is determined by the skill level of the unskilled and professional baristas, and has a direct impact on the store's sales. When hiring employees at a cafe, they must receive beverage production training. If an employee who has received beverage production training quits while working, a new employee must be hired and trained from the beginn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the workforce. . Addi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operating profits decrease due to increased labor costs.
또한,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카페일 경우에는 음료를 주문받는 인력과 음료를 제조하는 인력, 음료를 전달하는 인력이 필요하며, 직원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팔을 뻗어 음료를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rive-thru-based cafe, it requires personnel to take drink orders, prepare drinks, and deliver drinks, and since employees extend their arms to deliver drinks to the driver in the vehicle, it is a labor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requires a lot of .
따라서, 본 발명은 로봇이 음료를 제조하는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이 적용된 드라이브-스루 카페를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rive-through cafe using an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in which a robot produces beverag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드라이브 스루 형태로 이용하는 카페를 로봇이 음료를 제조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로 적용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일정한 맛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labor costs by applying an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in which a robot produces beverages to a cafe that customers use in a drive-through format, and to reduce labor costs at a constant rate. The goal is to provide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can provide flavored beverages.
또한, 고객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의 차량 종류(세단, SUV, 트럭 등)에 따라 음료를 제공하는 높이를 조절하여 고객 맞춤형으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we provide a drive-thru-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collects customer vehicle information and adjusts the height at which beverages are serv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vehicle type (sedan, SUV, truck, etc.) to provide customized drinks. It is in
본 발명의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드라이브 스루 입구에 설치되며, 차량에 탑승한 이용자로부터 주문 정보가 입력되는 주문 입력부(100); 상기 드라이브 스루의 입구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200);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주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가 로봇에 의해 제조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및 상기 주문 입력부(100),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주문 정보와 차량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는, 다관절 링크 구조로 설치되되, 끝단이 컵이나 스팀 피처를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로봇(310);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외면에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홀에 대해 복수개 설치되되,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상기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완성된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하는 음료 제공부(320); 및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이나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43)의 펌프(344)를 가압하여 액체 용기(343) 내의 시럽이나 소스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소스 공급부(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공급부(340)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내 작업 테이블 상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341); 상기 액체 용기(34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액체 용기(343)의 펌프(344)를 가압하는 펌프 가압부(345); 및 상기 회전판(341)에 설치되되, 액체 용기(343)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가이드하면서 상기 액체 용기(343) 하부를 고정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 또는 상기 관리 서버(400)로부터 송신된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완성된 음료가 수용된 컵을 음료 제조 로봇(310)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복수의 음료 제공부(320) 중 선택된 하나의 음료 제공부(320)에 올려 놓으면 음료가 수용된 컵이 올려 놓여진 음료 제공부(320)의 커버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drive-through entrance and includes an order input unit 100 where order information is input from a user riding in the vehicle;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drive-thru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 which the user rides; A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tha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internal space, and in which a beverage according to ord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is manufactured by a robot; And a management server 400 that receives order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Including,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is installed in a multi-joint link structure, the end of which is formed to be capable of holding a cup or steam feature, and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A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that manufactures; A plurality of holes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a cover is form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les, and is completed. A beverage provision unit 320 that allows the beverage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And a sauce supply unit 340 that pressurizes the pump 344 of the liquid container 343 containing the syrup or sauce used in beverage production to supply the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to the outside, The source supply unit 340 includes a rotary plate 341 that can be rotated on a work table i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 pump pressurizing unit 345 that pressurizes the pump 344 of the liquid container 34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liquid container 343; And a guide means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341 and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liquid container 343 while guiding the liquid container 343 to be placed in an accurate position,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or the management Based on the vehicle typ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400,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places the cup containing the completed beverage in one beverage serving portion 320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beverage serving portions 320 formed at different heights. When placed, only the cover of the beverage providing unit 320 on which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s placed is opened.
또한, 상기 주문 입력부(100)는, 이용자로부터 주문하고자 하는 음료가 선택되고, 음료의 커스텀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10),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음료의 종류 및 음료 주문 진행 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120),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또는 상기 관리 서버(400)에 송신하는 제1통신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rder input unit 100 is an input unit 110 where the beverage to be ordered is selected by the user an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custom options for the beverage is input, and the beverage provided by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output unit 120 that outputs the type and beverage order progress screen,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hat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
또한,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는,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번호를 수집하는 차량 번호 수집부(210),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차종 정보를 수집하는 차종 인식부(220) 및 차량의 번호와 차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300) 또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400)에 송신하는 제2통신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includes a vehicle number collection unit 210 that collects the numb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user rides, a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user rides, and a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that collects the numb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user ride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that transmits the number and vehicle model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400.
또한, 상기 차종 인식부(220)는, 지면으로부터 앞유리 또는 옆유리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이 경차, 세단, SUV, 트럭, 버스 중 어떤 차종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measures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windshield or side glass to determine which type of vehicle the user is riding in is a compact car, sedan, SUV, truck, or bus.
또한,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는, 상기 주문 입력부(100) 또는 상기 관리 서버(400)로부터 송신되는 음료를 제조하고, 제조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제3통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produces a beverage transmitted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providing the manufactured beverage ( 330).
또한, 상기 음료 제공부(320)는, 상기 음료 제공부(320)의 판에 완성된 음료가 놓이면 홀에 대해 세로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완성된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verage providing unit 320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inished beverage is placed on the plate of the beverage providing unit 320, it rotates about the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hole to discharge the finished beverag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상기 관리 서버(400)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410);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회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420); 및 상기 주문 입력부(100),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 및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와 통신하는 제4통신부(430);를 포함하되, 제4통신부(430)는 상기 재고 관리부(410)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일정량 미만이라고 판단될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재료를 보충해야 한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400 includes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that manages inventory of ingredient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in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A database 420 in which member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is stored; And a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order input unit 100,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but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is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 In 4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gredient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are less than a certain amount,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manager terminal that the ingredients must be replenished.
또한, 상기 제4통신부(430)는, 상기 재고 관리부(410)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일정량 미만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주문 입력부(100)에 해당 재료가 첨가되는 음료를 주문할 수 없도록 상기 출력부(120)의 출력 화면을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prevents the order input unit 100 from ordering a drink to which the corresponding ingredients are added when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determines that the ingredients for manufacturing a drink are less than a certain amount.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hat changes the output screen of the output unit 1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고객이 드라이브 스루 형태로 이용하는 카페를 로봇이 음료를 제조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로 적용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일정한 맛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의 차량 종류(세단, SUV, 트럭 등)에 따라 음료를 제공하는 높이를 조절하여 고객 맞춤형으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can reduce labor costs by applying a cafe used by customers in a drive-through format as an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in which a robot produces drinks, and can provide a consistent taste. Drinks can be provided. In addition, by collecting the customer's vehicle information, the height at which the drink is serv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ustomer's vehicle type (sedan, SUV, truck, etc.) to provide customized drin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주문 입력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차량 정보 수집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음료 제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소스 공급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소스 공급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소스 공급부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관리 서버 블록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order input unit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of 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llustration of beverage provision by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urce supply unit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source supply part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rce supply part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management server block diagram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차량(C)이 입구를 통해 들어와 음료를 주문한 후 차량(C)이 도로를 이동하는 동안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서 이용자가 주문한 음료가 제조되고, 완성된 음료를 픽업하여 출구를 통해 나가는 것이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 enters through the entrance and orders a beverage, and then the beverage ordered by the user is manufactured in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while the vehicle (C) moves on the road. , Pick up the finished drink and leave through the ex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차량(C)이 들어오는 입구에는 이용자로부터 주문 정보를 입력받는 주문 입력부(100), 일시 정지 라인에 멈춘 차량(C)의 차종(버스, 트럭, SUV, 세단(소형, 준중형, 대형 등))과 차량(C)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200), 이용자가 주문한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및 주문 입력부(100), 차량 정보 수집부(200),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input unit 100 that receives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t the entrance where the vehicle (C) enters, and an order input unit (100) for receiving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an order input unit (100) for receiving order information from the user at the entrance where the vehicle (C) enters.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that recognizes the vehicle type (bus, truck, SUV, sedan (small, medium-sized, large, etc.)) and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C), and a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that produces beverage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rdered by the user.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400 that communicates with 300 and an order input unit 100,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a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음료를 구매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차량(C)에 탑승한 상태로 드라이브 스루 입구로 먼저 들어오고, 입구에 형성된 일시 정지 라인에 맞춰 일시 정지하며, 입구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일시 정지하라는 문구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일시 정지 라인일 수도 있고, 차량(C)의 이동을 통제하는 바가 설치될 수도 있다.Users wishing to purchase a beverage first enter the drive-thru entrance while riding in a vehicle (C), pause at the pause line formed at the entrance, and a separat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with a message telling them to pause. It may also be printed. At this time, it may be a temporary stop line, or a bar may be install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vehicle (C).
차량(C)이 일시 정지 라인에 맞춰 정지한 후, 주문 입력부(100)에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차량 정보 수집부(200)는 정지한 차량(C)의 차종과 번호를 수집한다. 음료 주문 정보와 차량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관리 서버(400)에 송신되어 관리 서버(400)가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와 통신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가 음료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도록 하거나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 송신될 수도 있다.After the vehicle (C) stops at the temporary stop line, order information is entered into the order input unit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collects the model and number of the stopped vehicle (C). The beverage order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r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so that the management server 400 communicates with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and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orders a beverage. A beverage may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음료 주문이 끝나고, 차량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입구에 설치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이동해도 된다는 문구가 출력될 수 있으며, 차량(C)의 이동을 통제하는 바일 경우, 바가 위로 올라가 차량(C)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Once the drink order is completed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is completed, a message indicating that it is okay to move may be displayed from a separate display device installed at the entrance. In the case of a ba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C), the bar rises to allow the vehicle (C) to move. Allow it to pass.
차량(C)이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면 이용자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 의해 제조된 음료를 픽업한다. 이때, 제조된 음료를 외부로 반출하는 구성은 복수개 형성되며,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는 차종마다 운전석의 높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차량 정보 수집부(200)에서 수집된 차종을 기반으로 운전석의 높이에 맞게 음료를 제공해 이용자가 음료를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C) moves to where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is located, the user picks up the beverage prepared by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tructures for transporting the manufactured beverage to the outside are formed, and the heigh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ince the height of the driver's seat is different for each vehicle type, the user can easily pick up the beverage by providing a beverag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river's seat based on the vehicle type collect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주문 입력부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문 입력부(100)는 드라이브 스루 입구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일 수도 있고, 이용자의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 PC 형태의 단말기일 수 있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order input unit of 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order input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kiosk installed at the drive-thru entrance, or may be a terminal in the form of a user's mobile phone or tablet PC.
주문 입력부(100)에는 입력부(110)와 출력부(120)가 형성된다. 입력부(110)는 주문 정보를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출력부(120) 또한 주문 가능한 복수의 음료와 디저트의 이름 및 샘플 사진이 시각적으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문 입력부(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피커 또한 출력부(120)로 이용할 수 있다.The order input unit 100 is formed with an input unit 110 and an output unit 120. The input unit 110 is preferably a display that displays order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and the output unit 120 is also preferably a display that visually outputs the names and sample photos of a plurality of drinks and desserts that can be ordered. At this time, a speak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order input unit 100 can also be used as the output unit 120.
먼저, 주문 입력부(100)가 키오스크일 경우, 입구의 일시 정지 라인에 맞춰 차량(C)을 멈춘 후, 출력부(120)에 출력된 복수의 음료 및 디저트의 이름과 샘플 사진을 터치하여 음료 주문 정보를 입력한다.First, if the order input unit 100 is a kiosk, stop the vehicle (C) according to the pause line at the entrance, and then order a drink by touching the names and sample photos of a plurality of drinks and desserts printed on the output unit 120. Enter information.
주문 정보를 입력한 후, 키오스크와 일체로 형성된 결제부(130)에 신용카드(체크카드)를 삽입하거나 이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되는 모바일 상품권의 바코드 또는 결제 큐알 코드 등을 스캔하여 결제를 완료하면 제1통신부(140)가 주문 정보를 관리 서버(400) 또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 송신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가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도록 한다.After entering order information, complete payment by inserting a credit card (check card) into the payment unit 130 integrated with the kiosk or by scanning the barcode or payment QR code of the mobile gift certificate printed on the user's terminal. 1. The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ord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or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so that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produces a beverage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다음으로, 주문 입력부(100)가 이용자의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 pc일 경우, 입구의 일시 정지 라인에 맞춰 차량(C)을 멈춘 후,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출력부(120)에 출력된 복수의 음료 및 디저트의 이름과 샘플 사진을 터치하여 음료 주문 정보를 입력한다.Next, if the order input unit 100 is the user's mobile phone or tablet PC, stop the vehicle (C) according to the pause line at the entrance, and then access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phone or tablet PC, Enter beverage order information by touching the names and sample photos of a plurality of beverages and desserts printed on the output unit 120.
주문 정보를 입력한 후, 이용자의 회원 정보로 충전된 금액을 소진하여 결제하거나, 금융 서버(카드사 서버, 은행 서버 등)와 통신하여 결제를 완료하면 제1통신부(140)가 주문 정보를 관리 서버(400) 또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 송신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가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도록 한다.After entering the order information, the user uses up the amount charged with his or her membership information to make a payment or completes the payment by communicating with a financial server (card company server, bank server, etc.),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nages the order information. (400) or transmits it to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so that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produces a beverage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이때, 이용자가 관리 서버(400)에 등록된 회원일 경우, 결제한 금액에 대해 일부 금액을 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다. 주문 입력부(100)가 키오스크일 경우에는 결제 후 회원 번호를 입력하거나 이용자의 단말기에 출력된 회원 코드를 스캔하여 적립할 수 있으며, 주문 입력부(100)가 이용자의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 pc일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내 전자 지갑에 자동으로 적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user is a member register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400, a portion of the amount paid can be accumulated as points. If the order input unit 100 is a kiosk, points can be earned by entering the membership number after payment or scanning the membership code printed on the user's terminal. If the order input unit 100 is the user's mobile phone or tablet PC, points can be accumulated through an application. It is desirable for the money to be automatically credited to my electronic wallet.
적립된 포인트는 결제 금액에 대해 차감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사이즈 업 쿠폰 구매, 디저트 쿠폰 구매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포인트 사용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Accumulated points can be used to deduct the payment amount, purchase size-up coupons, purchase dessert coupons, etc. The method of using points can be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차량 정보 수집부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정보 수집부(200)는 비전 카메라 형태로 형성되며, 차량 번호 수집부(210)와 차종 인식부(220) 및 제2통신부(230)를 포함한다.Figure 3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of 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vision camera and includes a vehicle number collection unit 210, a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차량 번호 수집부(210)와 차종 인식부(220)가 각각의 비전 카메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비전 카메라가 차량(C)을 촬영하여 차량(C)의 번호와 차량(C)의 차종을 수집할 수도 있다. 상술한 일시 정지하라는 문구와 이동해도 된다는 문구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는 차량 정보 수집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vehicle number collection unit 210 and the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may be formed by separate vision cameras, and one vision camera photographs the vehicle C, identifies the number of the vehicle C, and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C. can also be collected. The display on which the above-mentioned phrase to pause and the phrase to move may be outp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차량 번호 수집부(210)는 차량의 번호를 수집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서 음료를 픽업할 때 차량 번호도 출력되도록 해 이용자가 주문한 음료 또는 디저트를 정확하게 픽업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 번호 수집부(210)로부터 수집된 차량의 번호로 회원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vehicle number collection unit 210 collects the vehicle number and outputs the vehicle number when picking up a drink from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llowing the user to accurately pick up the ordered drink or dessert, and collects the vehicle number. Member status can also be determined based on the vehicle number collected from unit 210.
차종 인식부(220)는 차량(C)의 지면으로부터 차량(C)의 앞유리까지의 높이 또는 지면으로부터 운전석 문의 유리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차량(C)의 차종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운전석의 높이는 차종마다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차종에 따라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높이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is used to detect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C by measuring the height from the ground of the vehicle C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C or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glass of the driver's door. Since the height of the driver's seat varie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the height at which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provides drinks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차량 번호 수집부(210)와 차종 인식부(220)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제2통신부(230)에 의해 관리 서버(400) 또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로 송신된다.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ehicle number collection unit 210 and the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or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음료 결제와 차량 번호, 차종 인식이 모두 끝나면 차량(C)이 이동해도 된다는 문구가 출력되고, 이용자는 차량(C)을 운행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측으로 이동한다.When the beverage payment, vehicle number, and vehicle model recognition are all complete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ehicle (C) may move is displayed, and the user drives the vehicle (C) and moves toward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음료 제조 로봇(310)이 설치되고,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전면에는 복수의 음료 제공부(320)가 설치된다.Figure 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enclosure with an internal space, and a beverage production robot 310 is installed inside, and on the front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 plurality of beverage provision units 320 are installed.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내부에는 에스프레소 추출 머신, 제빙기, 스팀 장치, 컵 수납부, 세척부, 시럽 또는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 공급부 등 음료 제조에 필요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Inside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components necessary for beverage production are installed, such as an espresso extraction machine, an ice maker, a steam device, a cup storage unit, a cleaning unit, and a sauce supply unit for supplying syrup or sauce.
음료 제조 로봇(310)은 다관절 링크 구조로 설치되며, 끝단은 컵 또는 스팀 피처를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컵과 스팀 피처를 파지하여 컵 내에 음료가 담기도록 할 수 있다.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is installed in a multi-joint link structure, and the e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grip a cup or a steam feature, so that the beverage can be contained in the cup by gripping the cup and the steam feature.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는 제3통신부(330)에 수신되는 주문 정보를 기반으로 음료가 제조되며, 음료가 완성되면 제3통신부(330)에 수신된 차종 정보에 따라 높이에 맞는 음료 제공부(320)에 음료를 놓고, 음료 제공부(320)가 세로축에 대해 회전하여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manufactures a beverage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received in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0, and when the drink is completed, a drink provis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0 A beverage is placed in 320, and the beverage providing unit 320 rotates about the vertical axis to discharge the beverage to the outside.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음료 제공부(320)가 설치된다.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홀이 형성되고, 홀에 대해 설치되는 음료 제공부(320)가 세로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음료가 놓이는 판이 외부로 반출되도록 하거나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Beverage provision units 320 of different heights are install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Holes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front or sid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the beverage provision unit 320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hole rotates about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plate on which the beverage is placed is carried out or the unmanned beverage It is located inside the manufacturing device 300.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종이 트럭이나 버스일 때, 음료 제조 로봇(310)은 완성된 음료가 담긴 컵을 제1음료 제공부(320a) 상에 놓고, 제1음료 제공부(320a)가 회전하여 제1음료 제공부(320a) 상에 놓인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vehicle type is a truck or bus, as shown in (a) of FIG. 5,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places a cup containing the finished beverage on the first beverage serving unit 320a. Then, the first beverage provision unit 320a rotates so that the beverage placed on the first beverage provision unit 320a is taken out.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종이 SUV일 때, 음료 제조 로봇(310)은 완성된 음료가 담긴 컵을 제1음료 제공부(320a) 아래에 위치하는 제2음료 제공부(320b) 상에 놓고, 제2음료 제공부(320b)가 회전하여 제2음료 제공부(320b) 상에 놓인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As shown in (b) of FIG. 5, when the vehicle type is an SUV,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places a cup containing the finished beverage into the second beverage serving portion 320b located below the first beverage serving portion 320a. ), and the second beverage provision unit 320b rotates so that the beverage placed on the second beverage provision unit 320b is taken out.
도 5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종이 세단일 때, 음료 제조 로봇(310)은 완성된 음료가 담긴 컵을 제2음료 제공부(320b) 아래에 위치하는 제3음료 제공부(320c) 상에 놓고, 제3음료 제공부(320c)가 회전하여 제3음료 제공부(320c) 상에 놓인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As shown in (c) of FIG. 5, when the vehicle type is a sedan,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places the cup containing the finished beverage into the third beverage serving portion 320c located below the second beverage serving portion 320b. ), and the third beverage provision unit 320c rotates so that the beverage placed on the third beverage provision unit 320c is taken out.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어 차량 번호가 출력되도록 해 이용자 본인이 주문한 음료를 정확하게 픽업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에서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가 복수개 설치될 경우, 안내판에 차량 번호를 출력하여 해당 차량(C)의 이용자가 주문한 음료가 제조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가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to display the vehicle number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pick up the beverage he or she ordered. Alternatively, when a plurality of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s 300 are installed in the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in which the beverage ordered by the user of the vehicle (C) is manufactured by printing the vehicle number on the information board. It may also be guided to move to where the device 300 is loc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음료 제공부(320)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완성된 음료가 놓인 후, 커버가 열리면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외측으로 전진하는 음료 이송부를 포함한다.Figure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beverage provision unit 320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over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a finished beverage. After being placed, it includes a beverage transfer unit that advances to the outsid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when the cover is opened.
즉, 음료 이송부에 완성된 음료가 놓이면 커버가 좌측 또는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 형성된 음료 제공부(320) 중 해당 홀이 개방되고, 개방된 홀을 통해 음료 이송부가 전진하여 사용자 측으로 이동해 사용자가 음료를 픽업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nished beverage is placed on the beverage transfer unit, the cover moves left or up and down, thereby opening the corresponding hole among the beverage provision units 320 formed i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the beverage transfer unit advances through the open hole. This allows the user to move to the user's side and pick up the drink.
사용자가 음료를 픽업하면 음료 이송부가 후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 커버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 형성된 홀을 폐쇄한다. 도 6에서는 커버가 좌우로 이동하는 형태이지만 상하로 이동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user picks up the beverage, the beverage transport unit moves backward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when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cover moves to the right to close the hole formed i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In Figure 6, the cover is movable left and right, but it can also be movable up and dow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내에 설치되는 소스 공급부(34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the source supply unit 340 installed i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소스 공급부 사시도 본 발명의 소스 공급부(340)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내 작업 테이블 상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판(341)에 복수의 액체 용기(343)가 배치된다. 액체 용기(343) 내에는 헤이즐넛 시럽, 바닐라 시럽, 초코 소스, 캬라멜 소스, 과일청 등 음료 제조에 필요한 시럽과 소스가 수용되어 있다. 액체 용기(34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액체 용기(343)의 펌프(344)를 가압하는 펌프 가압부(345)가 설치되며, 펌프 가압부(345)는 지그(342)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된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urce supply unit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uce supply unit 3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ork table i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includes a rotary plate ( A plurality of liquid containers 343 are disposed in 341). The liquid container 343 contains syrups and sauces necessary for beverage production, such as hazelnut syrup, vanilla syrup, chocolate sauce, caramel sauce, and fruit syrup. A pump pressurizing part 345 that pressurizes the pump 344 of the liquid container 343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liquid container 343, and the pump pressurizing part 345 is stably maintained by the jig 342. It is installed.
종래에는 액체 용기가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작업 테이블 하부에 구비되고, 모터가 동작하면 액체가 이동 가능한 호스를 통해 이동하여 음료 제조에 필요한 시럽과 소스가 공급되었다. 이때, 시럽과 소스가 통과하는 호스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아서 위생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호스 내에 시럽과 소스가 굳음에 따라 시럽과 소스 공급에 용이하지 않게 되고, 시럽과 소스 공급에 압력이 많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시럽과 소스 공급하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모터의 고장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a liquid contain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ork tabl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when the motor operates, the liquid moves through a movable hose to supply syrup and sauce necessary for beverage production.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hygiene management is difficult because the hose through which the syrup and sauce passes is not easy to clean. As the syrup and sauce hardens in the hose, it becomes difficult to supply the syrup and sauce, and a lot of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pply of the syrup and sauce. As the need ari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tor that supplies the syrup and sauce is overloaded, causing the motor to malfunction.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스 공급부(340)를 작업 테이블 상으로 올려놓고, 회전 가능한 회전판(341) 상에 액체 용기(343)가 위치되도록 하고, 음료 주문 정보에 따라 회전판(341)이 회전하여 음료 제조에 적합한 시럽이나 소스가 담긴 용기가 펌프 가압부(345)가 설치된 위치와 일직선이 되도록 위치하게 한다. 이때, 회전판(341)에는 액체 용기(343)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가이드하고 액체 용기(343)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auce supply unit 340 is placed on a work table, the liquid container 343 is placed on the rotatable rotating plate 341, and the rotating plate 341 is rotated according to the beverage order information. By rotating, the container containing syrup or sauce suitable for beverage production is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position where the pump pressure part 345 is installed. At this time, a guide means may be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341 to guide the liquid container 343 to an accurate position and to fix the lower part of the liquid container 343.
예를 들어, 음료 주문 정보가 핫초코일 경우, 초코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43)가 펌프 가압부(345) 아래에 위치하도록 회전판(341)이 회전하고, 음료 주문 정보가 바닐라라떼일 경우, 바닐라 시럽이 수용된 액체 용기(343)가 펌프 가압부(345) 아래에 위치하도록 회전판(341)이 회전한다. For example, if the drink order information is hot chocolate, the rotating plate 341 rotates so that the liquid container 343 containing the chocolate sauce is located below the pump pressurizing part 345, and if the drink order information is vanilla latte, the vanilla latte The rotating plate 341 rotates so that the liquid container 343 containing the syrup is located below the pump pressurizing part 345.
음료 주문 정보에 맞는 액체 용기(343)가 펌프 가압부(345) 아래에 위치하면 펌프 가압부(345)가 펌프를 직접 가압하여 액체 용기(343) 내 시럽 또는 소스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소스 공급부(340)는 음료 주문 정보에 맞는 액체 용기(343)가 펌프 가압부(345) 아래에 위치했는지 판단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음료 제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When the liquid container 343 matching the beverage order information is located below the pump pressurizing part 345, the pump pressurizing part 345 directly pressurizes the pump so that the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is supplied. At this time, the sauce supply unit 3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liquid container 343 matching the beverage order information is located below the pump pressurizing unit 345,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beverage production.
액체 용기(343)에 담긴 시럽이나 소스를 사용함에 따라 액체 용기(343) 내에 담긴 시럽이나 소스가 설정된 양보다 적어서 액체 용기(343)를 교체하거나 액체 용기(343) 내에 시럽이나 소스를 보충하기 위해 액체 용기(343)에 남은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확인하여야 하는데, 액체 용기(343)에 남은 시럽이나 소스의 양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As the syrup or sauce contained in the liquid container 343 is used, the syrup or sauce contained in the liquid container 343 becomes less than the set amount, so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liquid container 343 or replenish the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The amount of syrup or sauce remaining in the liquid container 343 must be checked. There are two main ways to check the amount of syrup or sauce remaining in the liquid container 343.
액체 용기(343)가 놓인 회전판(341)에 각각의 무게 측정 센서가 구비되어 액체 용기(343)의 무게가 일정 값 이하면 액체 용기(343) 내 시럽이나 소스가 기준보다 미달이라고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을 송신해 액체 용기(343)를 교체하거나 액체 용기(343) 내에 시럽이나 소스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Each weight measurement sensor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341 on which the liquid container 343 is placed, so that if the weight of the liquid container 343 is below a certain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is below the standard, and the manager is notified. A notification can be sent to replace the liquid container 343 or replenish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또는, 펌프(344)가 가압된 횟수를 측정하여 액체 용기(343) 내에 남은 시럽 또는 소스의 양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액체 용기(344) 내 시럽 또는 소스가 500ml가 담기고, 펌프 가압부(345)가 액체 용기(343)의 펌프(344)를 1회 가압할 때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이 10ml이 배출되며, 액체 용기(343) 내의 시럽 또는 소스가 50ml 이하가 되면 관리자에게 알림이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액체 용기(343)의 펌프(344)를 45번 가압하면 액체 용기(343) 내에는 시럽 또는 소스가 50ml가 남아 있는 것으로 산출되어 관리자에게 알림이 송신되어 액체 용기(343)를 교체하거나 액체 용기(343) 내에 시럽이나 소스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method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syrup or sauce remaining in the liquid container 343 by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pump 344 is pressurized may be used. The liquid container 344 contains 500 ml of syrup or sauce, and when the pump pressure unit 345 pressurizes the pump 344 of the liquid container 343 once, 10 ml of the supplied syrup or sauce is discharged. , assuming that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manager when the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becomes 50 ml or less, when the pump 344 of the liquid container 343 is pressed 45 times,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It is calculated that 50ml of sauce remains, and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manager so that the liquid container 343 can be replaced or syrup or sauce can be replenished in the liquid container 343.
이때, 본 발명에서는 펌프(344)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거나, 펌프 가압부(345)가 하강하는 길이를 변경하여 펌프(344)가 가압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펌프(344)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시럽이나 소스의 양이 10ml가 아닌 5ml, 7ml, 15ml 등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pump 344 is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the length at which the pump 344 is pressed is adjusted by changing the descending length of the pump pressurizing part 345, so that the pump 34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mount of syrup or sauce can be easily changed to 5ml, 7ml, or 15ml instead of 10ml.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소스 공급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액체 용기(343)가 회전판(341) 상에 배치되지 않고 일자로 배열될 수도 있다.Figure 8 shows a front view of the source supply unit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plurality of liquid containers 343 may not be arranged on the rotating plate 341 but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펌프 가압부(345)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레일(348)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348)을 따라 음료 제조에 필요한 시럽이나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43)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액체 용기(343)의 상부에 펌프 가압부(345)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The pump pressure unit 345 is installed on a guide rail 348 that can move left and right and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 348 toward the liquid container 343 containing the syrup or sauce required for beverage production. Alternatively, the pump pressurizing unit 345 may be installed on top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quid containers 343.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음료 제조 장치의 소스 공급부 정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소스 공급부(340)는 작업 테이블 상에 설치되며, 컵 안에 든 내용물이 섞이도록 회전시키는 믹스부(34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Figure 9 show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rce supply unit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uce supply unit 3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ork t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 mix unit 347 that rotates the contents in the cup to mix them.
컵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태이며, 컵이 삽입되면 컵을 세로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n회 이상 회전되도록 해 컵에 담긴 내용물이 섞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t has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cup can be inserted inside, and once the cup is inserted, the cup can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more than n times about the vertical axis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up can be mixed.
믹스부(347)는 펌프(344)를 통해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를 컵에 직접 받기 위해 펌프(344) 아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음료 제조 로봇(310)이 컵을 파지하여 펌프(344)로부터 공급되는 시럽이나 소스를 컵 내부에 받은 후 음료 제조 로봇(310)이 믹스부(347)에 컵을 장착할 수도 있다.The mix unit 347 may be installed below the pump 344 to directly receive the syrup or sauce supplied through the pump 344 into the cup, and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may grab the cup and extract it from the pump 344. After receiving the supplied syrup or sauce inside the cup,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may mount the cup on the mix unit 347.
종래에는 음료를 제조할 때 다른 재료를 섞기 위해 음료 제조 로봇(310)이 스틱과 같은 믹스 수단으로 휘저어서 섞어야 했으나, 음료 제조 로봇(310)으로 휘젓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잘 섞이지 않고 음료 제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mix different ingredients when producing a beverage,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had to stir and mix using a mixing means such as a stick.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performing the stirring operation with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so it does not mix wel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make the drink.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스 공급부(340)는 믹스부(347)가 구비되어 복수의 재료를 용이하게 섞을 수 있다.However, the sauce supply unit 3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ix unit 347, so that a plurality of ingredients can be easily mixed.
도 9를 참조하여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를 통해 만들어지는 다수의 음료 중 캬라멜 마끼야또의 제조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9, the manufacturing example of caramel macchiato among a number of drinks made using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will be described.
음료 제조 로봇(310)이 캬라멜 마끼야또를 제조하기 위해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하고, 에스프레소 샷이 컵에 담긴다.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extracts an espresso shot from an espresso machine to produce a caramel macchiato, and the espresso shot is placed in a cup.
다음으로, 에스프레소 샷이 들어 있는 컵에 캬라멜 소스가 첨가된다. 캬라멜 마끼야또를 제조하기 위해 캬라멜 소스를 30ml 첨가해야 할 경우, 펌프 가압부(345)의 동작에 의해 펌프(344)가 가압되어 30ml의 캬라멜 소스가 컵 내부로 공급된다.Next, caramel sauce is added to the cup containing the espresso shot. When 30ml of caramel sauce needs to be added to manufacture caramel macchiato, the pump 344 is pressurized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pressurizing unit 345, and 30ml of caramel sauce is supplied into the cup.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에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담긴 컵이 믹스부(347)에 장착된다. 또는, 컵이 믹스부(347)에 장착된 상태로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공급되었을 수도 있다. 이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설정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9, a cup containing an espresso shot and caramel sauce is mounted on the mix unit 347. Alternatively, the espresso shot and caramel sauce may have been supplied with the cup mounted on the mix unit 347. This can be easily changed depending on the settings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처음에는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층을 이루고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믹스부(347)가 컵을 세로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회 이상 회전시키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섞이게 된다.At first, the espresso shot and caramel sauce are layered and separate. However, when the mix unit 347 rotates the cup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vertical axis at least once, the espresso shot and caramel sauce are mixed, as shown in (b) of FIG. 9.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섞인 후 스팀 우유가 컵에 공급되어 따뜻한 캬라멜 마끼야또가 음료 제공부(320)를 통해 반출되거나 에스프레소 샷과 캬라멜 소스가 섞인 후 차가운 우유와 얼음이 컵에 공급되어 아이스 캬라멜 마끼야또가 음료 제공부(320)를 통해 반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fter the espresso shot and caramel sauce are mixed, steamed milk is supplied to the cup and a warm caramel macchiato is taken out through the beverage serving unit 320, or after the espresso shot and caramel sauce are mixed, cold milk and ice are supplied to the cup to create an iced caramel macchiato. It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beverage provision unit 320 and provided to the user.
이때, 컵 내부 하면에는 십자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재료가 더 잘 섞이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cross-shap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cup so that different ingredients can be better mix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의 관리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서버(400)는 재고 관리부(410), 데이터베이스(420), 제4통신부(430)를 포함한다.Figure 10 shows a management server block diagram of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management serv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a database 420, and a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본 발명의 제4통신부(430)는 주문 입력부(100), 차량 정보 수집부(200),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와 통신한다. 주문 입력부(10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받고, 차량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차량(C)의 번호와 차량(C)의 차종을 수신받는다. 또한,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가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도록 동작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차종 정보에 따라 음료 제조 로봇(3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용자의 차종에 따라 적절한 높이에서 음료를 픽업할 수 있도록 한다.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order input unit 100,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Ord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and the number of the vehicle C and the model of the vehicle C are receiv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produce a beverage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robot 310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information to produce the beverage at an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vehicle type. Make it available for pickup.
재고 관리부(410)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원두, 소스, 시럽 등이 일정 값 미만이면 재고 관리부(410)에서 재고가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제4통신부(430)에서 관리자 단말기에 재고를 채우라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다.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is for managing inventory for manufacturing beverages in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If the coffee beans, sauce, syrup, etc. are below a certain value,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determines that the inventory is insufficient,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fill inventory to the manager terminal.
또한, 재고 관리부(410)에서 재료가 음료를 만들 수 없는 양만큼 남았다고 판단되면, 주문 입력부(100)에서 특정 재료가 첨가되는 음료가 주문 입력부(100)의 출력부(120)에 품절로 출력되도록 한다. 즉, 재고 관리부(410)에서 초코 소스가 음료를 제조할 수 없을 만큼 남아 있다고 판단되면, 초코 소스가 들어가는 카페모카, 핫초코, 아이스초코, 민트초코 등의 음료가 주문 입력부(100)에서 품절로 출력되고, 관리자에 의해 재고가 채워지면 주문 가능하도록 출력된다.In addition, if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determines that there are enough ingredients left to make a drink, the order input unit 100 outputs the beverage to which specific ingredients are added as out of stock on the output unit 120 of the order input unit 100. Make it possible. That is, if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determines that there is enough chocolate sauce left to make a drink, drinks such as cafe mocha, hot chocolate, ice chocolate, and mint chocolate containing chocolate sauce are output as sold out in the order input unit 100. And when inventory is filled by the manager, it is printed out so that it can be ordered.
이때, 재고 관리부(410)는 각 재료가 수용된 용기의 무게가 측정되어 재고가 관리될 수도 있고, 주문 정보에 따라 음료가 제조된 횟수를 기반으로 남은 양을 산출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may manage inventory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containing each ingredient, or may calculate the remaining amount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beverage has been manufactured according to order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420)에는 본 발명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회원 정보가 저장된다. 회원 정보에는 이용자의 주문 정보를 저장하여 자주 주문하는 음료(커스텀 옵션 포함)를 이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주문 입력부(100)에 입력되는 회원 번호 또는 차량(C)의 차량 번호와 회원 정보를 매칭하여 이용자가 결제한 금액에 대해 포인트를 적립하여 포인트를 누적시킬 수 있다. The database 420 stores member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mber information, the user's order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frequently ordered drinks (including custom options)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 and the member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member number entered in the order input unit 100 or the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C). Thus, users can accumulate points by accumulating points for the amount paid.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Not only is the scope of application diverse,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주문 입력부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결제부
140 제1통신부
200 차량 정보 수집부
210 차량 번호 수집부
220 차종 인식부
230 제2통신부
300 무인 음료 제조 장치
310 음료 제조 로봇
320 음료 제공부
330 제3통신부
340 소스 공급부
400 관리 서버
410 재고 관리부
420 데이터베이스
430 제4통신부100 order entry section
110 input unit
120 output unit
130 Payment Department
140 First Communications Department
200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Vehicle Number Collection Unit
220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30 Second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300 unmanned beverage making devices
310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20 Beverage Service Department
330 3rd Communications Department
340 Source Supply Department
400 management server
410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420 database
430 4th Communications Department
Claims (10)
상기 드라이브 스루의 입구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200);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주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가 로봇에 의해 제조되는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및
상기 주문 입력부(100),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로부터 주문 정보와 차량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는,
다관절 링크 구조로 설치되되, 끝단이 컵이나 스팀 피처를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주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주문 정보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로봇(310);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외면에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홀에 대해 복수개 설치되되,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상기 홀을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완성된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하는 음료 제공부(320); 및
음료 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이나 소스가 수용된 액체 용기(343)의 펌프(344)를 가압하여 액체 용기(343) 내의 시럽이나 소스가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소스 공급부(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공급부(340)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내 작업 테이블 상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판(341); 상기 액체 용기(34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액체 용기(343)의 펌프(344)를 가압하는 펌프 가압부(345); 및 상기 회전판(341)에 설치되되, 액체 용기(343)가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가이드하면서 상기 액체 용기(343) 하부를 고정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 또는 상기 관리 서버(400)로부터 송신된 차종 정보를 기반으로 완성된 음료가 수용된 컵을 음료 제조 로봇(310)이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복수의 음료 제공부(320) 중 선택된 하나의 음료 제공부(320)에 올려 놓으면 음료가 수용된 컵이 올려 놓여진 음료 제공부(320)의 커버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An order input unit 100 installed at the drive-thru entrance and into which order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riding the vehicle;
a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drive-thru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in which the user rides;
A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tha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internal space, and in which a beverage according to ord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is manufactured by a robot; and
A management server 400 that receives order information and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and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Including,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installed in a multi-joint link structure, the end of which is formed to be capable of holding a cup or a steam feature, and manufacturing a beverage accor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A plurality of holes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a cover is form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oles, and is completed. A beverage provision unit 320 that allows the beverage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and
It further includes a sauce supply unit 340 that pressurizes the pump 344 of the liquid container 343 containing the syrup or sauce used in beverage production to supply the syrup or sauce in the liquid container 343 to the outside,
The source supply unit 340 includes a rotary plate 341 that can be rotated on a work table in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 pump pressurizing unit 345 that pressurizes the pump 344 of the liquid container 34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liquid container 343; And a guide means installed on the rotating plate 341 and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liquid container 343 while guiding the liquid container 343 to be placed in an accurate position,
Based on the vehicle typ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beverage manufacturing robot 310 places the cup containing the completed beverage into a plurality of beverage serving units 320 formed at different heights.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placed on one of the selected beverage provision units 320, only the cover of the beverage provision unit 320 on which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s placed is opened.
상기 주문 입력부(100)는,
이용자로부터 주문하고자 하는 음료가 선택되고, 음료의 커스텀 옵션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10);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음료의 종류 및 음료 주문 진행 화면이 출력되는 출력부(120);
상기 주문 정보를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또는 상기 관리 서버(400)에 송신하는 제1통신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rder input unit 100,
An input unit 110 where the user selects a beverage to be ordered and order information including custom options for the beverage is input;
An output unit 120 that outputs the type of beverage provided by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nd a beverage order progress screen;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hat transmits the order information to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는,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번호를 수집하는 차량 번호 수집부(210);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의 차종 정보를 수집하는 차종 인식부(220); 및
차량의 번호와 차종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400) 또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에 송신하는 제2통신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 vehicle number collection unit 210 that collects the number of the vehicle in which the user rides;
A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type of vehicle the user rides;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that transmits vehicle number and vehicle model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or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a.
상기 차종 인식부(220)는,
지면으로부터 앞유리 또는 옆유리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이용자가 탑승한 차량이 경차, 세단, SUV, 트럭, 버스 중 어떤 차종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vehicle type recognition unit 220,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that measures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windshield or side glass to determine which type of vehicle the user is riding in: a compact car, sedan, SUV, truck, or bus.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는,
상기 주문 입력부(100) 또는 상기 관리 서버(400)로부터 송신되는 음료를 제조하고, 제조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 제3통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Drive-through-based, comprising a third communication unit 330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transmitted from the order input unit 1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providing the manufactured beverag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상기 음료 제공부(320)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홀에 형성되고,
상기 음료 제공부(320)의 판에 완성된 음료가 놓이면 홀에 대해 세로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완성된 음료가 외부로 반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everage provision unit 320,
Formed in hole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front or side of the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300,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nished beverage is placed on the plate of the beverage providing unit 320, it rotates about the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hole so that the finished beverage is taken out.
상기 관리 서버(400)는,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 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재고를 관리하는 재고 관리부(410);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회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420); 및
상기 주문 입력부(100),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200) 및 상기 무인 음료 제조 장치(300)와 통신하는 제4통신부(430);를 포함하되,
제4통신부(430)는 상기 재고 관리부(410)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일정량 미만이라고 판단될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재료를 보충해야 한다는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management server 400,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that manages inventory of ingredients for manufacturing beverages in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A database 420 in which member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is stored; and
A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order input unit 100,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00, and the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300,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is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determines that the ingredients for manufacturing a drink are less than a certain amount, it transmits a notification that the ingredients must be replenished to the manager terminal. manufacturing system.
상기 제4통신부(430)는,
상기 재고 관리부(410)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일정량 미만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주문 입력부(100)에 해당 재료가 첨가되는 음료를 주문할 수 없도록 상기 출력부(120)의 출력 화면을 변경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스루 기반의 무인 음료 제조 시스템.
In clause 7,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0,
If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410 determines that the ingredient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are less than a certain amount,
A drive-through-based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hat changes the output screen of the output unit 120 so that a beverage to which the corresponding ingredient is added cannot be ordered through the order input unit 10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17916A KR102666989B1 (en) | 2023-01-03 | 2023-09-05 | Drive-thru-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00775 | 2023-01-03 | ||
| KR1020230117916A KR102666989B1 (en) | 2023-01-03 | 2023-09-05 | Drive-thru-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00775 Division | 2023-01-03 | 2023-01-03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66989B1 true KR102666989B1 (en) | 2024-05-20 |
Family
ID=9128254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17916A Active KR102666989B1 (en) | 2023-01-03 | 2023-09-05 | Drive-thru-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66989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40311937A1 (en) * | 2023-03-15 | 2024-09-19 | Xenial, Inc. | Drive through system including vision system and transaction system integration |
| KR102786580B1 (en) * | 2024-07-15 | 2025-03-24 | 천보영 | Drive through equipment |
| US20250182080A1 (en) * | 2023-12-05 | 2025-06-05 | Xenial, Inc. | Drive through system with traffic management |
| US12381673B1 (en) | 2023-07-31 | 2025-08-05 | Xenial, Inc. | Drive through au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lane support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70293983A1 (en) * | 2016-04-06 | 2017-10-12 | II Bruce Alexander Long | Intelligent beverage kiosk apparatus and system |
| KR20200101102A (en) * | 2019-02-19 | 2020-08-27 | 황성욱 | Meat sale system based on drive-thru |
| KR102187090B1 (en) * | 2020-05-07 | 2020-12-04 | 박노섭 | Unmanned drink manufacturing system |
| KR20210126897A (en) * | 2020-04-13 | 2021-10-21 | 하나시스 주식회사 | Door type kiosk |
| KR102335249B1 (en) * | 2021-09-08 | 2021-12-06 | (주)플레토로보틱스 | Beverage dispensing device of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 KR20210157652A (en) * | 2020-06-22 | 2021-12-29 | 주식회사 상화 | Aotomatic syrup supplying appalatus |
| KR102397655B1 (en) | 2020-03-26 | 2022-05-12 | 윤수정 | Beverage transport device for drive-thru and drive-thru system using same |
-
2023
- 2023-09-05 KR KR1020230117916A patent/KR1026669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70293983A1 (en) * | 2016-04-06 | 2017-10-12 | II Bruce Alexander Long | Intelligent beverage kiosk apparatus and system |
| KR20200101102A (en) * | 2019-02-19 | 2020-08-27 | 황성욱 | Meat sale system based on drive-thru |
| KR102397655B1 (en) | 2020-03-26 | 2022-05-12 | 윤수정 | Beverage transport device for drive-thru and drive-thru system using same |
| KR20210126897A (en) * | 2020-04-13 | 2021-10-21 | 하나시스 주식회사 | Door type kiosk |
| KR102187090B1 (en) * | 2020-05-07 | 2020-12-04 | 박노섭 | Unmanned drink manufacturing system |
| KR20210157652A (en) * | 2020-06-22 | 2021-12-29 | 주식회사 상화 | Aotomatic syrup supplying appalatus |
| KR102335249B1 (en) * | 2021-09-08 | 2021-12-06 | (주)플레토로보틱스 | Beverage dispensing device of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40311937A1 (en) * | 2023-03-15 | 2024-09-19 | Xenial, Inc. | Drive through system including vision system and transaction system integration |
| US12400279B2 (en) * | 2023-03-15 | 2025-08-26 | Xenial, Inc. | Drive through system including vision system and transaction system integration |
| US12381673B1 (en) | 2023-07-31 | 2025-08-05 | Xenial, Inc. | Drive through au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lane support |
| US20250182080A1 (en) * | 2023-12-05 | 2025-06-05 | Xenial, Inc. | Drive through system with traffic management |
| US12327230B1 (en) | 2023-12-05 | 2025-06-10 | Xenial, Inc. | Drive through system with traffic management |
| KR102786580B1 (en) * | 2024-07-15 | 2025-03-24 | 천보영 | Drive through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666989B1 (en) | Drive-thru-based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system | |
| US10905277B2 (en) | Coffe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 |
| US6478187B2 (en) | Compact vending machine | |
| US6401009B1 (en) | Sundry article vending apparatus | |
| US20030071806A1 (en) | Predetermined ordering system | |
| US2015037598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sale of bulk products | |
| US20170293983A1 (en) | Intelligent beverage kiosk apparatus and system | |
| US9533783B2 (en) | Custom-content beverage cartridge manufacturing and vending machine | |
| EP2048108A2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ulfilling beverage orders | |
| US2013008587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a product | |
| WO2012072711A1 (en) | Product ordering system for a product provisioning system | |
| US20220092907A1 (en) | Printing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 |
| KR101511293B1 (en) | Apparatus and method self service for beer | |
| US7850079B2 (en) | Multifunction card dispenser and customer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 |
| WO2017182481A1 (en) | Dispensing system | |
| JP2008507337A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sales | |
| KR102523539B1 (en) | Unmanned Beverage Production System | |
| KR101797922B1 (en) | Smart vending machine which allows serving of iced beverage | |
| KR102609791B1 (en) |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nd system | |
| US20250191435A1 (en) | Fully automated drive-through beverage shop | |
| JP7421005B1 (en) | Payment method for unmanned sales system | |
| WO2024236045A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drinks | |
| JP2025006668A (en) | Control method for unmanned sales system | |
| JP2025006667A (en) | Unmanned sales system and paper refilling method for unmanned sales system | |
| KR101879187B1 (en) | Smart vending machine which allows serving of iced beverag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9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3010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3000077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9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