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486B1 - Apparatus to notify life of fil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to notify life of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9486B1 KR102579486B1 KR1020180120627A KR20180120627A KR102579486B1 KR 102579486 B1 KR102579486 B1 KR 102579486B1 KR 1020180120627 A KR1020180120627 A KR 1020180120627A KR 20180120627 A KR20180120627 A KR 20180120627A KR 102579486 B1 KR102579486 B1 KR 102579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unit
- filter
- stopper
- notifica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386 air fresh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83—Filtering the quality of the filter or the air being chec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용 수명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 설치되고,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압력차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연동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life reminder device, which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air, a moving part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and moved in respons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filter unit, and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smell.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터용 수명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필터의 수명을 알려주기 위한 필터용 수명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pan notification device for a fil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fespan information device for a filter to inform the user of the lifespan of a filter.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 또는 실내 공기를 송풍기를 사용하여 유입, 재순환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 중에는 먼지,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승차자의 불쾌감, 호흡기 질환, 실내 오염 등을 유발하므로,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가 구비된다.In general,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s introduce and recirculate outdoor or indoor air using a blower, and this air contain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ust. Since these foreign substances cause discomfort to passengers, respiratory diseases, indoor pollution, etc., in order to keep the air inside the vehicle clea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s are equipped with a filter devi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56195호(2014.01.20 등록, 발명의 명칭: 탈취필터 수명 안내용 인디케이터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356195 (registered on January 20, 2014, title of the invention: Indicator device for guiding the life of a deodorizing filter).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냄새로써 필터의 수명을 알려줄 수 있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inform the user of the life of the filter through smell.
본 발명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압력차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연동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that filters air; A moving part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and moved in respons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filter unit; and an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smell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상기 필터부는, 상기 이동부가 설치되는 프레임; 및 공기를 여과가능한 매쉬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unit includes a frame on which the moving unit is installed; and a filtering member coupled to the frame and having a mesh structure capable of filtering air.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마개; 및 상기 연동알림부를 가압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이동마개와 연결되는 가압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art includes a ca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communicating between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filter part; A moving stopper movably installed on the casing; and a pressurizing port connected to the casing or the moving stopper and having a shape capable of pressurizing the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을 향하는 일측부에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하류측을 향하는 타측부에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연통관부; 상기 제1개방부 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마개의 이동을 구속하는 이탈방지스토퍼부; 및 상기 제2개방부에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ing includes a communication pipe portion i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upstream of the filter unit and a second opening is formed on the other side facing downstream of the filter unit; a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ward on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stopper; and a casing stopper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and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air can pass.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마개 또는 상기 케이싱마개부 중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연동알림부가 수용되는 표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able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stopper or the casing stopper, and further includes a sign receiving part in which the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is accommodated.
상기 이동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마개를 설정압력으로 지지하는 신뢰도확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able part may further include a reliability assurance member that supports the movable stopper at a set pressure within the casing.
상기 신뢰도확보부재는, 상기 이동마개를 상기 설정압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liability secur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movable stopper to the set pressure.
상기 연동알림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설정거리만큼 이동 시 제1냄새를 발생시키는 제1단알림부; 및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설정거리보다 연장된 제2설정거리만큼 이동 시 상기 제1냄새와 다른 제2냄새를 발생시키는 제2단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ed notification unit includes a first stage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first smell when the moving unit moves by a first set distance; and a second stage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second odor different from the first odor when the moving unit moves a second set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set distance.
상기 연동알림부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제; 및 상기 방향제를 커버링하며, 상기 이동부와 접촉 시 천공되는 방향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includes an air freshener containing a component that generates an odor; and an air freshener cover that covers the air freshener and is perforated when in contact with the moving part.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연동알림부가 수용되는 연통수용부;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탄성 또는 연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수용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이동막; 및 상기 연통수용부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막과 연결되는 이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ing part has an internal space part that communicates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ter part, and a communication receiving part in which the linking notification part is accommodated; A moving membrane compris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ductility deformable by pressure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receiving portion; and a moving pin connected to the moving membrane inside the communication receiving portion.
상기 연동알림부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수용부에 수용되는 방향제; 및 상기 방향제를 커버링하며 상기 연통수용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핀에 의해 천공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includes a scent-generating ingredient and an air freshener accommodated in th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and a protective film that covers the air freshen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receiver, and is perforated by the moving pin.
상기 연동알림부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제; 상기 방향제가 수용되는 방향제용기; 및 상기 방향제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에 연동하여 상기 방향제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includes an air freshener containing a component that generates an odor; A fragrance container in which the fragrance is accommodated; and a spraying means coupled to the air freshener container and interlocking with the moving unit to spray the air freshener.
본 발명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는,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압력차에 연동하여 이동부가 이동되고, 연동알림부가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냄새가 나면 필터부의 사용 수명이 어느 정도 경과하거나, 만료됐다고 인지할 수 있다.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n action in which the moving part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filter part, and the linked notification part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to generate an odor. Accordingly, when a specific smell occurs, the user may perceive that the useful life of the filter unit has passed or expir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냄새로써 필터부의 수명을 알려줄 수 있으므로, 차량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적용 시 육안으로 필터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불편한 점검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차량 운전 중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탑승한 누구라도 필터부의 수명을 인지할 수 있어, 점검자 또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던 경우와 비교해, 우수한 인지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명확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span of the filter unit can be informed to the user through smell, so when applied to a vehicle's air conditioning system,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the inconvenient inspection process of visually checking the condition of the filter unit, and the user can easily do so even while driving the vehicle. It can be perceived. In particular, anyone on board the vehicle can recognize the lifespan of the filter unit, enabling superior ease of recogni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an inspector or driver checks with the naked eye, and thus can respond clearly a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espan notification device for a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main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espan notification device for a fil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는 필터부(100), 이동부(200), 연동알림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필터부(100)는 공기를 여과하는 장치부로, 프레임(110)과 여과부재(12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공기의 유동 경로가 되는 차량의 덕트(미도시) 등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과부재(120)는 공기를 여과가능한 매쉬(mesh) 구조를 가지고, 프레임(110)의 내부에 결합된다. 공기는 여과부재(1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여과부재(120)를 기준으로 하여, 먼지,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을 상류측, 여과된 공기가 유동되는 타측을 하류측이라한다.The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부재(12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면서 여과부재(12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여과부재(1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여과부재(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원활성을 저해하게 된다. 여과부재(120)에 이물질이 많이 부착될수록 여과부재(120)의 상류측에는 공기의 정체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여과부재(120)의 상류측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과부재(120)의 상류측과, 대기압을 유지하는 하류측에는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do not pass through the filtering
그리고, 점차 이물질에 막히지 않은 부분에 공기의 유동이 편중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필터부(100)의 장착 초기에는 공기가 여과부재(120)의 중앙부를 주요하게 통과하다가, 여과부재(120)의 중앙부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중앙부를 점차 통과하기 어려워지면, 상대적으로 통과하기 쉬운 여과부재(120)의 가장자리부를 주요하게 통과하게 된다. 즉, 수명이 경과할수록 여과부재(120)의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에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하고, 가장자리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진다.And, the flow of air gradually becomes more concentrated in the parts that are not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f the installation of the
이동부(200)는 여과부재(120)의 가장자리부와 연결되는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이 여과부재(120)의 수명이 경과되거나 만료된 상태에서 여과부재(120)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연동하여 이동된다. 연동알림부(300)는 이동부(200)의 이동에 연동하여 특정 냄새를 발생시킨다. 연동알림부(300)는 방향제(310)를 포함하여 이동부(200)와 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동부(200)의 이동 시 이동부(200)와 접하게 되도록 이동부(200)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moving
연동알림부(300)에서 발산되는 냄새 입자는 하류측 공기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되며, 사용자는 연동알림부(300)에 포함된 방향제(310)에 해당되는 특정 냄새가 나면 여과부재(120)의 사용 수명이 어느 정도 경과했다고 인지하거나, 여과부재(120)의 수명이 만료됐다고 인지할 수 있다.The odor particles emitted from the
이에 따라 육안으로 필터부(100)의 상태를 확인하는 불편한 점검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차량 운전 중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승차한 승차자 중 누구라도 필터부(100)의 수명을 인지할 수 있어, 점검자 또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던 경우와 비교해, 우수한 인지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명확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condi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00)는 연통수용부(211), 이동막(212), 이동핀(213)을 포함한다. 또한, 연동알림부(300)는 방향제(310)와 보호막(3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ving
연통수용부(211)는 프레임(110)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진다. 연통수용부(211)는 프레임(110) 상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고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연동알림부(300)는 연통수용부(211)의 내부에 충진, 수용된다.The
이동막(212)은 고무재 등과 같이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탄성 또는 연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연통수용부(211)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된다. 이동핀(213)은 연통수용부(211)의 내부에서 이동막(212)과 연결된다. 이동핀(213)의 일단부는 이동막(212)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보호막(320)을 천공시킬 수 있는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The moving
방향제(310)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여 연통수용부(211)에 수용된다. 보호막(320)은 방향제(310)를 커버링하며 연통수용부(211)의 하류측 단부에 결합된다. 보호막(320)은 비닐재, 고무재 등과 같이 액상의 방향제(310)의 누설을 기밀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핀(213)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막형상의 부재를 포함한다.The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여과부재(120)에의 이물질 부착량이 점차 증가하다가 상류측 압력이 하류측 압력 보다 설정세기만큼 증가하게 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막(212)이 하류측을 향해 휘어지는 변형을 하게 된다. 이때 이동막(212)에 연결된 이동핀(213)이 보호막(320) 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보호막(320)을 관통, 천공시키게 된다.In the state shown in (a) of FIG. 2,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연통수용부(211)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방향제(310)는 보호막(320)의 뚫린 구멍을 통해 연통수용부(211)의 외부로 유출되고, 공기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특정 냄새를 인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구조와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life reminder device for a fil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main portion schematically showing the life reminder device for a fil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00)는 케이싱(221), 이동마개(226), 가압구(227), 표지수용부(228), 신뢰도확보부재(22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moving
케이싱(221)은 필터부(100)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고,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싱(221)은 연통관부(222), 이탈방지스토퍼부(223), 케이싱마개부(224)를 포함한다.The
연통관부(222)는 필터부(100)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진다. 연통관부(222) 중 필터부(100)의 상류측을 향하는 일단부에는 제1개방부(222a)가 형성되고, 필터부(100)의 하류측을 향하는 타측부에 제2개방부(222b)가 형성된다. 이탈방지스토퍼부(223)는 이동마개(226)가 연통관부(222)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구속하기 위한 장치부로, 제1개방부(222a) 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케이싱마개부(224)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225)을 구비하여, 제2개방부(222b)에 설치된다.The
이동마개(226)는 제1개방부(222a)를 차단시킬 수 있는 형상, 너비를 가지고, 케이싱(2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동마개(226)는 제1개방부(222a)측에서 제2개방부(222b)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마개(226)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방부(222a)를 차단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필터부(100)의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 설정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마개(226)가 이동하게 되고, 제1개방부(222a)가 개방되면서 공기가 연통관부(222)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2개방부(222b)를 통과하게 된다.The
가압구(227)는 연동알림부(300)를 가압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이동마개(226)와 연결된다. 이동마개(226)의 이동 시 함께 제2개방부(222b)측으로 이동되면서 연동알림부(300)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가압구(227)는 연동알림부(300)를 천공시킬 수 있는 핀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알림부(300)를 가압 시 연동알림부(300)의 방향제커버(330)를 천공시키게 된다.The
표지수용부(228)는 신뢰도확보부재(229)를 정위치에 구속함과 동시에 연동알림부(300)가 수용되는 장치부로, 케이싱마개부(224)에 마련된다. 표지수용부(228)는 신뢰도확보부재(229)의 하단부를 끼울 수 있는 너비를 가지고, 케이싱마개부(224)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동알림부(300)는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신뢰도확보부재(229)의 하단부 내부에 배치되어, 신뢰도확보부재(229)와의 간섭없이 그 정위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신뢰도확보부재(229)는 케이싱(221)의 내부에서 이동마개(226)를 설정압력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차량 진동 등에 의해 이동마개(226)가 임의로 유동, 이동되지 않고, 상류측과 압류측간의 압력차로 인해 이동마개(226)에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이동마개(226)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이동마개(226)의 이동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뢰도확보부재(229)는 이동마개(226)를 설정압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의,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신뢰도확보부재(229)의 스프링 상수값(spring constant)을 조정함으로써 이동마개(226)의 이동이 개시되는 압력인, 설정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The
표지수용부(228)는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신뢰도확보부재(229)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고, 가압구(227) 중 이동마개(226)와의 연결부는 코일스프링 구조를 가지는 신뢰도확보부재(229)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신뢰도확보부재(229)는 가압부(227)와 표지수용부(228)에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구속된 상태로 정위치 설치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동마개(226)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뢰도확보부재(229)는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신뢰도확보부재(229)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마개(226)를 지지하도록 케이싱(221)의 내부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동마개(226)에 설정압력이 작용 시 변형되거나 파단되는 돌기, 걸림턱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동알림부(300)는 방향제(310)와 방향제커버(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linked
방향제(310)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한다. 방향제커버(330)는 방향제(310)를 커버링하는 장치부로, 방향제(310)의 입자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압구(227)와 접촉 시 천공될 수 있는 막부재의 형상을 가진다.The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비교해, 가압구(227)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가압구(227)는 핀 형상을 가지는 하나가 구비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같이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ha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pressurizing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방향제커버(330)의 일측부 전반에 걸쳐 복수개의 개소에서 천공을 생성할 수 있고, 그 너비와 개수에 따라 방향제(310)의 휘발, 확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ations can be crea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roughout one sid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ilter life reminder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main portion schematically showing the filter life reminder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비교해, 연동알림부(3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연동알림부(300)는 특정 냄새를 발생시키는 하나가 구비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같이 서로 다른 냄새를 발생시키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h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동알림부(300)는 제1단알림부(300A)와 제2단알림부(300B)를 포함한다. 제1단알림부(300A)는 이동부(200)가 제1설정거리만큼 이동 시 제1냄새를 발생시킨다. 제2단알림부(300B)는 이동부(200)가 제1설정거리보다 연장된 제2설정거리만큼 이동 시 제1냄새와 다른 제2냄새를 발생시킨다.The linked
제1단알림부(300A)와 제2단알림부(300B) 각각은 제2실시예의 연동알림부(3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연속하여 연결,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동마개(226)의 이동 시 가압구(227)는 먼저 제1단알림부(300A)를 통과한 후 제2단알림부(300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Each of the first
제1단알림부(300A)를 필터부(100)의 수명이 중간 정도 경과했을 경우, 또는 수명 만료일이 얼마남지 않았을 경우 가압구(227)가 이동되는 동선 범위 이내에 배치하면, 사용자에게 제1냄새로써 필터부(100)의 수명 경과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다. 제2단알림부(300B)를 필터부(100)의 수명이 만료되었을 경우 가압구(227)가 이동되는 동선 범위 이내에 배치하면, 사용자에게 제2냄새로써 필터부(100)의 수명 만료를 인지시킬 수 있다.If the first stage notification unit (300A) is placed within the range of movement along which the pressurizing device (227) moves when the life of the filter unit (100) has passed halfway or when the life expiration date is not far away, the first odor is released to the user. As a result, the lifespan status of the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비교해, 가압구(227)와 연동알림부(300)의 배치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가압구(227)와 연동알림부(300)는 각각 상류측과 하류측에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같이 연동알림부(300)와 가압구(227)가 각각 상류측과 하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Compar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has the arrangement of the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표지수용부(228)가 이동마개(226)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연동알림부(300)가 표지수용부(228)에 수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가압구(227)는 케이싱마개부(224)와 연결되고, 상류측을 향해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이동마개(226)의 이동 시 표지수용부(228)가 이동마개(226)와 함께 이동되면서 하류측의 가압구(227)에 찔려 천공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마개(226)에 설정압력이 작용 시 특정 냄새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이 뚫린 상태의 연동알림부(300)가 송풍기의 세기 등에 따라 이동마개(226)와 함께 미세유동되면서 방향제(310)의 확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on of generating a specific odor when a set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ving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비교해, 연동알림부(3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연동알림부(300)는 방향제커버(330)에 의해 감싸진 하나의 덩어리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 같이 방향제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h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동알림부(300)는 방향제(310), 방향제용기(341), 분사수단(342)을 포함한다. 방향제(310)는 방향제용기(341)의 내부에 수용된다. 분사수단(342)은 방향제(310)를 분사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방향제용기(341)에 결합된다. 분사수단(342)은 이동마개(226)의 이동 시, 가압구(227)에 밀려 이동되면서 방향제(310)를 분사한다.The linked
분사수단(342)은 방향제용기(341) 내부의 방향제(310)를 분사할 수 있다면, 공지의 스프레이 구조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하면, 분사수단(342)에 의해 냄새의 확산이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long as the spray means 342 can spray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용 수명알림장치에 의하면, 필터부(100)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압력차에 연동하여 이동부(200)가 이동되고, 연동알림부(300)가 이동부(200)의 이동에 연동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냄새가 나면 필터부(100)의 수명이 어느 정도 경과하거나, 수명이 만료됐다고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ving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냄새로써 필터부(100)의 수명을 알려줄 수 있으므로, 차량의 공기조화시스템에 적용 시 육안으로 필터부(100)의 상태를 확인하는 불편한 점검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차량 운전 중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승한 누구라도 필터부(100)의 수명을 인지할 수 있어, 점검자 또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던 경우와 비교해, 우수한 인지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명확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span of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0 : 필터부 110 : 프레임
120 : 여과부재 200 : 이동부
211 : 연통수용부 212 : 이동막
213 : 이동핀 221 : 케이싱
222 : 연통관부 222a : 제1개방부
222b : 제2개방부 223 : 이탈방지스토퍼부
224 : 케이싱마개부 225 : 통공
226 : 이동마개 227 : 가압구
228 : 표지수용부 229 : 신뢰도확보부재
300 : 연동알림부 300A : 제1단알림부
300B : 제2단알림부 310 : 방향제
320 : 보호막 330 : 방향제커버
341 : 방향제용기 342 : 분사수단100: filter unit 110: frame
120: filtration member 200: moving part
211: flue receiver 212: moving membrane
213: moving pin 221: casing
222:
222b: Second opening part 223: Breakaway prevention stopper part
224: Casing stopper 225: Hole
226: Moving stopper 227: Pressure port
228: Sign receiving part 229: Member for securing reliability
300:
300B: 2nd stage notification unit 310: Air freshener
320: Protective film 330: Air freshener cover
341: Air freshener container 342: Spray means
Claims (12)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압력차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연동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마개; 및
상기 연동알림부를 가압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이동마개와 연결되는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 filter unit that filters air;
A moving part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and moved in respons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filter unit; and
It includes an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smell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The moving part,
A ca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communicating between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filter unit;
A moving stopper movably installed on the casing; and
A pressurizing port having a shape capable of pressurizing the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and connected to the casing or the moving stopper.
상기 필터부는,
상기 이동부가 설치되는 프레임; 및
공기를 여과가능한 매쉬 구조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lter unit,
A frame on which the moving part is installed; and
A filter life no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filter member having a mesh structure capable of filtering air and coupled to the frame.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을 향하는 일측부에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하류측을 향하는 타측부에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연통관부;
상기 제1개방부 상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마개의 이동을 구속하는 이탈방지스토퍼부; 및
상기 제2개방부에 설치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sing is,
a communication pipe portion i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upstream of the filter unit and a second opening is formed on the other side facing downstream of the filter unit;
a separation prevention stopper portion formed to protrude inward on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stopper; and
A casing stopper installed in the second opening and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air can pass.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마개 또는 상기 케이싱마개부 중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연동알림부가 수용되는 표지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moving part,
A label receiv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ing stopper or the casing stopper and receiving the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상기 이동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마개를 설정압력으로 지지하는 신뢰도확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ving part,
A reliability assurance member for supporting the moving stopper at a set pressure within the casing.
상기 신뢰도확보부재는,
상기 이동마개를 상기 설정압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reliability assurance member is,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moving stopper to the set pressure.
상기 연동알림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설정거리만큼 이동 시 제1냄새를 발생시키는 제1단알림부; 및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설정거리보다 연장된 제2설정거리만큼 이동 시 상기 제1냄새와 다른 제2냄새를 발생시키는 제2단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ked notification unit,
a first stage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first odor when the moving unit moves a first set distance; and
A second stage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second odor different from the first odor when the moving unit moves a second set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set distance.
상기 연동알림부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제; 및
상기 방향제를 커버링하며, 상기 이동부와 접촉 시 천공되는 방향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8,
The linked notification unit,
Air fresheners containing ingredients that generate odor; and
An air freshener cover that covers the air freshener and is perforated when in contact with the moving part.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압력차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연동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연통하는 내부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연동알림부가 수용되는 연통수용부;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한 탄성 또는 연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수용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이동막; 및
상기 연통수용부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막과 연결되는 이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 filter unit that filters air;
A moving part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and moved in respons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filter unit; and
It includes an interlocking notification unit that generates a smell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The moving part,
It has an internal space part that communicates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ter part, and a communication receiving part in which the linked notification part is accommodated;
A moving membrane comprising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ductility deformable by pressure and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receiving portion; and
A moving pin connected to the moving membrane inside the communication receiver.
상기 연동알림부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수용부에 수용되는 방향제; 및
상기 방향제를 커버링하며 상기 연통수용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핀에 의해 천공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linked notification unit,
An air freshener containing a component that generates an odor and accommodated in the communication receiving portion; and
A protective film covering the air freshen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receiver, and perforated by the moving pin.
상기 연동알림부는,
냄새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제;
상기 방향제가 수용되는 방향제용기; 및
상기 방향제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에 연동하여 상기 방향제를 분사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용 수명알림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ked notification unit,
Air fresheners containing ingredients that generate odor;
A fragrance container in which the fragrance is accommodated; and
A spraying means coupled to the air freshener container and interlocking with the moving part to spray the air freshen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20627A KR102579486B1 (en) | 2018-10-10 | 2018-10-10 | Apparatus to notify life of fil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20627A KR102579486B1 (en) | 2018-10-10 | 2018-10-10 | Apparatus to notify life of filt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0558A KR20200040558A (en) | 2020-04-20 |
| KR102579486B1 true KR102579486B1 (en) | 2023-09-18 |
Family
ID=7046744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20627A Active KR102579486B1 (en) | 2018-10-10 | 2018-10-10 | Apparatus to notify life of filt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79486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56229B1 (en) | 2000-11-03 | 2002-10-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vice for notifying replacement time of air filter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
| JP2005219562A (en) * | 2004-02-04 | 2005-08-18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 Air conditioner, case containing air freshener and filter unit |
| US8021618B1 (en) | 2006-09-19 | 2011-09-20 | Cooper Nathan R | Filter with change indicator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75647A (en) * | 1995-09-14 | 1997-03-25 | Zexel Corp | Air conditioning filter |
| JPH10264648A (en) * | 1997-03-27 | 1998-10-06 | Sanden Corp | 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er |
| JPH10278573A (en) * | 1997-04-07 | 1998-10-20 | Sanden Corp | Air conditioner |
| KR20020063065A (en) * | 2001-01-26 | 2002-08-01 | 주식회사 비에스텍 | Car subsidiary side-mirror including aroma diffusion device |
| KR20090079289A (en) * | 2008-01-17 | 2009-07-22 | 임경순 | Scented blinds |
| KR20100086775A (en) * | 2009-01-23 | 2010-08-02 | 한라공조주식회사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
| KR20130058810A (en) * | 2011-11-28 | 2013-06-05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roma dispenser for automotive vehicles |
-
2018
- 2018-10-10 KR KR1020180120627A patent/KR1025794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56229B1 (en) | 2000-11-03 | 2002-10-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vice for notifying replacement time of air filter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
| JP2005219562A (en) * | 2004-02-04 | 2005-08-18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 Air conditioner, case containing air freshener and filter unit |
| US8021618B1 (en) | 2006-09-19 | 2011-09-20 | Cooper Nathan R | Filter with change indica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0558A (en) | 2020-04-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814693B2 (en) | Process of operat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b of a machine | |
| US20100117828A1 (en) | Alarm scheme with olfactory alerting component | |
| DE19620869B4 (en) | Even rescue respiratory protection equipment | |
| DE102011118120A1 (en) | Device for treatment of air, particularly breathing air, has unit for cleaning air, unit for controlling air pressure, unit for moistening air, unit for tempering air and control device | |
| DE102016121823A1 (en) | Portable individual air purification system | |
| DE102008032613A1 (en) | Fragrance agent storage device | |
| DE102012019332A1 (en) | System for introducing fragrances into the interior of a vehicle | |
| EP2670446B1 (en) | Functional head for a fragrance container | |
| KR102579486B1 (en) | Apparatus to notify life of filter | |
| JP2012137264A (en) | Method of cleaning air shower room and air shower device | |
| EP4142886A1 (en) | Respirator mask having a filter | |
| EP2489410A1 (en) | Protection device with a pressure container | |
| AU2017352670B2 (en) | Process of operat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cab of a vehicle | |
| WO2018087379A2 (en) | Portable individual air purification system | |
| WO2018087377A2 (en) | Portable individual air purification system | |
| DE10352390A1 (en) | Gas Detector | |
| DE102016121824A1 (en) | Portable individual air purification system | |
| KR102033430B1 (en) | Smart air diffuser with a built-in CO₂sensor and an alarm device | |
| WO2000054840A1 (en) | Method and sensor device for detecting gases or fumes in air | |
| DE102015204645B4 (en) | Respirator | |
| DE102016109136A1 (en) | Front cooking station | |
| DE2535716A1 (en) | HAND-OPERATED DEVICE FOR PNEUMATICALLY DUST OR LIQUID REMOVAL | |
| EP363811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measurement of analytes in exhaled air | |
| JP3978414B2 (en) | Exhaust air treatment device | |
| KR20160006847A (en) |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