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273B1 - Receptacle connector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9273B1 KR102519273B1 KR1020180063754A KR20180063754A KR102519273B1 KR 102519273 B1 KR102519273 B1 KR 102519273B1 KR 1020180063754 A KR1020180063754 A KR 1020180063754A KR 20180063754 A KR20180063754 A KR 20180063754A KR 102519273 B1 KR102519273 B1 KR 102519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shell
- receptacle
- receptacle connector
- right direct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며, 전방으로 상기 결합구를 노출시키는 리셉터클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측 양단이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분할 단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relates to a housing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connection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is mounted on a bo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terminal, a receptacle shell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exposes the coupler to the front, and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shell and a part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both left and right ends are coupled to the substrate. A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a frame, wherein divided ends divid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therebetween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and the divided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ghtening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gap.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극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의 분할 단부를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이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by coupling the divided ends of the lower shell divided on the basis of a gap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in a spaced state, the lower shell applies a clamp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gap, thereby providing a strong bonding for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capable of being maintained and thereby preventing a receptacle shell from being moved by an external force.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된 상태에서 전단의 결합 부위가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general, when a receptacle connector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coupling portion of a front en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lug connector.
이러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미들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배열되는 다수의 접속 단자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와 접속 단자들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몰딩되며, 전방측 결합구를 통해 접속 단자들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후방측 하면을 통해 접속 단자들의 후단을 노출시키는 절연 하우징 등으로 구성된다.Such a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is molded in a state of surrounding a middle plat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rranged o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middle plate, and a portion of the middle plate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from the outside, and the front side coupler In addition to exposing the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the rear side, it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housing that exposes the rear end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the lower surface.
또한, 하우징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용되는 통 형상의 리셉터클 쉘과, 상기 리셉터클 쉘의 일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리셉터클 쉘을 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한 통 형상의 고정부재 등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tubular receptacle shell in which a portion of the housing is accommodated inside, and a tubular fixing member for coupling the receptacle shell to a substrate by being coupled in a state of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from the outside.
그런데,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조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거나, 조립시 통 형상의 리셉터클 쉘과 고정부재의 사이에 공차가 발생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리셉터클 쉘이 유동될 염려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 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ceptacle connecto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receptacle shell may move due to external force 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when a tolerance occurs between the tubular receptacle shell and the fixing member during assembly, and thus the receptacle connector There was a concern that a coupling defect between the and the plug connector may occur.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공개특허 10-2017-0002206호(2017년 01월 0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안테나 기능을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As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2206 (January 06, 2017),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n antenna func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간극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의 분할 단부를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이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uple the divided ends of the lower shell divided on the basis of the gap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in a spaced apart state, so that the lower shell applies a clamp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gap, thereby maintaining a strong coupling force, through which the recepta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a shell from being mov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쉘과 일체로 절곡된 전방측 상부 결합단과 후방측 상부 결합단을 전후 방향에 2중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가 많지 않아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상부 쉘과 하부 쉘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double structure to the front-side upper coupling end and the rear-side upper coupling end bent integrally with the upper shell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ecause the number of parts is not large, and the upper shell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a lower shell from moving in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기판에 실장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며, 전방으로 상기 결합구를 노출시키는 리셉터클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측 양단이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분할 단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coupl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connection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is mounted on a bo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receptacle shell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and exposes the coupler forwardly, and a fixed frame coupled to the receptacle shell and a part of the housing while surrounding it from the outside, and having both left and right ends coupled to the substrate A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a, wherein divided ends divid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therebetween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and the divided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ing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gap.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의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제1전방 몸체 및, 상기 접속 단자의 후단이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제1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기 제1전방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first front body in which a coupl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respectively, and a first rear body whose rea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expo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And, the receptacle shell is coupl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front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protrudes forward of the fixed frame.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 방향측 양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상부 쉘과 결합되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 쉘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frame is coupled in a state of en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and the upper shell having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first rear body. 1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lower shell coupled to the upper shell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rear body,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in a spaced state with divided ends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therebetween.
또한, 상기 상부 쉘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후방 몸체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쉘들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을 좌우 방향에서 각각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기판의 전단에는 상기 제3전방 몸체의 하방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후방으로 오목한 절개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shell is divided into a second front body coupled to cover the top of the receptacle shell and a second rear body coupled to cover the top of the first rear body, and the lower shells are the receptacle It is divided into a third front body coupl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lower side of the she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third rear body coupl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ear body, and the front end of the substrate is the third front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 formed concave backward so that the lower part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top and bottom.
또한,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과 상하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bent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utout to be hoo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re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ront body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후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후방 몸체의 상면을 감싸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부 결합단과 상기 제1후방 몸체 및 상기 제3후방 몸체를 통해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rear body, a pair of lower coupling ends are further formed that are bent vertically and then horizontally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rear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rear side upper coupling ends are further formed that are bent vertically to the lower portion and penetrate-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lower coupling ends, the first rear body, and the third rear body.
또한,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2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단들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3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irst through-holes are vertic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rear body so that the upper coupling ends of the rear side are coupled, and the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rear body. Second through-holes are vertically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hole to be formed, and the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to the lower coupling ends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It is preferable that three through-holes are formed vertically.
또한,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전방측 상부 결합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은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ront body, upper front side coupling ends are bent and extended downward, and the front upper coupling ends wrap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at the lower en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wrap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referable to be through-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지지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upport ends are bent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front body, and the support ends are spaced apart in front of the upper coupling end of the front side,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tate of wrapp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걸림단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은 후단이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단과 전후 방향에서 걸림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hooking ends are protru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both ends of the third front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rear end of the hooking end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of the front upper coupling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상기 제3후방 몸체에는 상기 접속 단자들의 후단이 하부로 돌출 되도록 단자 통과홈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erminal passage grooves are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third rear body so that rear end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protrude downward.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미들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더 결합되며,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하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하부 터미널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상부 터미널의 후단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상부 터미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middle plate is further horizont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connection terminal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lower terminal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middle plate,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than the rear end of the upper terminal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an upper terminal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s provided.
본 발명은 간극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의 분할 단부를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이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divided ends of the lower shell divided on the basis of the gap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in a spaced apart state, the lower shell applies a clamp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gap, so that a strong bonding force can be maintained, and through this, the receptacle shel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ovement due to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쉘과 일체화된 전방측 상부 결합단과 후방측 상부 결합단을 전후 방향에 2중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가 많지 않아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상부 쉘과 하부 쉘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double structure to the front-side upper coupling end and the rear-side upper coupling end integrated with the upper shell in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number of parts is not large, s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upper shell and the lower shell are resistant to external force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low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은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구성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board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board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board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substrate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substrate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board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board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front view to show the assembled stat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board according to.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은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oard are assembled,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board are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board are a perspective view to show a separated stat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기판을 조립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구성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oard are assembled,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1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접속 단자(200)와, 리셉터클 쉘(300) 및, 고정 프레임(400)(500)을 포함한다.1 to 8,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절연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00)의 전단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구(11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First, the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전단에 결합구(11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전방 몸체(110) 및, 상기 제1전방 몸체(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후방 몸체(120)로 구분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후술 될 접속 단자(200)들과 미들 플레이트(20)가 수평하게 결합되며, 상기 미들 플레이트(20)의 상방과 하방에 후술 될 접속 단자(200)가 배열된다.Here,
그리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20)는 도전성 소재를 이용해 일정 넓이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미들 플레이트(20)는 전방 영역측 좌우 방향에는 한 쌍의 체결돌기가 결합구(111)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미들 플레이트(20)의 후단은 하우징(100)의 후방측 하면을 통해 돌출되어 기판(10)의 삽입홀(11)에 대응되게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이와 같은 하우징(100)은, 미들 플레이트(20)와 후술 될 접속 단자(200)들의 외부에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전술한 결합구(111)는, 전자기기(미도시)와 연결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에 결합시키기 위한 부위로, 상기 결합구(111)의 좌우 방향으로 미들 플레이트(20)의 좌우측 양단이 노출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예를 들어, 결합구(110)를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미들 플레이트(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걸림 구조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그리고, 결합구(110)의 하면을 통해 후술 될 하부 터미널(210)들의 전단이 하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결합구(110)의 상면을 통해 상부 터미널(220)들의 전단이 상방으로 노출된다.And, the front ends of the
또한, 제1후방 몸체(120)의 하부에는 후술 될 하부 터미널(210)들의 후단을 하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전방측 수직 관통홀(부호 미도시)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ront-side vertical through-holes (not shown) may be vertical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아울러, 상기 전방측 수직 관통홀의 후방에는 후술 될 상부 터미널(220)들의 후단을 하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후방측 수직 관통홀(부호 미도시)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ar side vertical through holes (not shown) may be vertically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side vertical through holes to protrude the rear ends of the
즉, 상기 전방측 수직 관통홀과 후방측 수직 관통홀을 통해 돌출된 하부 터미널(210)들과 상부 터미널(220)들의 후단이 하우징(100)의 하방을 통해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ends of the
특히, 제1후방 몸체(1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도 8에서처럼 후술 될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들이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1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In particular, first through-
접속 단자(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접속 단자(200)의 전단이 결합구(111)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고, 접속 단자(200)의 후단이 하우징(100)의 하면을 통해 기판(10)에 실장된다.The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속 단자(200)는 도전성 소재를 이용해 제작하며, 상기 접속 단자(200)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하부 터미널(210) 및, 다수의 상부 터미널(220)로 구분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먼저, 상기 하부 터미널(210)은 미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터미널(210)은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12개 등)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First, the
여기서, 상기 하부 터미널(210)의 전단이 결합구(111)의 하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하부 터미널(210)의 후단이 하우징(100)의 하면을 통해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된다.Here, the front end of the
상부 터미널(220)은, 미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터미널(220)은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12개 등)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The
여기서, 상기 상부 터미널(220)의 전단이 결합구(111)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상부 터미널(220)의 후단이 하부 터미널(210)의 후단보다 후방측에서 하우징(100)의 하면을 통해 기판(10)의 상면에 실장된다.Here, the front end of the
리셉터클 쉘(300)은, 하우징(100)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전방으로 결합구(111)를 노출시키며, 상기 리셉터클 쉘(300)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공간(310)이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전도성 소재(금속 등)를 이용해 텅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수용공간(310)에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구(111)의 외부에 일정 넓이의 삽입 간격을 형성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하우징(100)의 전방에 형성된 제1전방 몸체(11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쉘(300)의 전방으로 결합구(111)의 전단이 돌출될 수 있다.And, the
한편,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통 형상의 일체형 구조로 도시 하였으나, 상기 리셉터클 쉘(300)은 하나의 소재를 통 형상으로 벤딩 성형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예를 들어, 상기 리셉터클 쉘(300)을 하나의 소재로 벤딩 성형하는 경우, 상기 리셉터클 쉘(300)의 일부분에 이음매(미도시)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음매 부분을 암수로 결합시켜 통 형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고정 프레임(400)(500)은, 리셉터클 쉘(300)과 하우징(100)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400)의 좌우측 양단이 기판(10)에 결합된다.The fixing frames 400 and 5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고정 프레임(400)은 전도성 소재(금속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400)의 하부에는 도 2와 7에서처럼 간극(G)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511)가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Here, the fixed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 프레임은 도 8에서처럼 상부 쉘(400) 및, 상기 상부 쉘(4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쉘(500)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xed frame may be composed of an
상기 상부 쉘(400)은, 리셉터클 쉘(300)의 상방과 제1후방 몸체(12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 쉘(400)은 좌우 방향측 양단이 기판(10)의 상면에 결합된다.The
여기서, 상기 상부 쉘(400)은 리셉터클 쉘(30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전방 몸체(410) 및, 제1후방 몸체(12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후방 몸체(420)로 구분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제2전방 몸체(4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기판(10)의 삽입홀(11)에 삽입되도록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이 하부로 절곡 연장된다.An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하단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기판(10)의 삽입홀(11)에 수직하게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front-side
여기서,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하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front-side
이와 같은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은, 기판(10)의 삽입홀(11)에 수직하게 결합되므로, 상부 쉘(400)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Since the front-side
또한,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걸림 위치시키므로, 상부 쉘(400)과 하부 쉘(500)이 유동 없이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side
아울러, 제2전방 몸체(4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지지단(412)이 하부로 절곡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단(412)은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전방에 이격 위치된다.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여기서, 상기 지지단(412)의 하단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단(412)의 하단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기판(10)의 상면에 안착된다.Here, 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은 지지단(412)은, 기판(10)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되므로, 상기 지지단(412)의 지지력에 의해 제2전방 몸체(410)를 설정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지지단(412)은 후술 될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걸림 위치시키므로, 상부 쉘(400)과 하부 쉘(500)이 외력에 의해 유동 없이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아울러, 제2후방 몸체(4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도 8에서처럼 한 쌍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이 하부로 절곡 연장된다.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의 하단은, 후술 될 하부 결합단(521)과 제1후방 몸체(120) 및 제3후방 몸체(520)를 통해 기판(10)의 삽입홀(11)에 관통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여기서,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의 하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rear-side
하부 쉘(500)은, 리셉터클 쉘(300)의 하방과 제1후방 몸체(120)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상부 쉘(400)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 2와 7에서처럼 간극(G)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511)가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The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 쉘(500)은 리셉터클 쉘(30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전방 몸체(510) 및, 제1후방 몸체(120)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후방 몸체(520)로 구분된다.In more detail, the
상기 제3전방 몸체(510)는, 도 2와 7에서처럼 간극(G)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되는데, 상기 간극(G)을 기준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511)가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The third
여기서, 상기 분할 단부(511)들은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해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할 단부(511)들이 간극(G)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Here, the divided ends 51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즉, 제3전방 몸체(510)가 리셉터클 쉘(300)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리셉터클 쉘(300)이 제3전방 몸체(510)를 좌우 방향에서 가압하므로, 리셉터클 쉘(300)이 외력(플러그 커넥터 조립 등)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third
그리고, 상기 제3전방 몸체(510)는 기판(10)의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기판(10)의 전단에는 제3전방 몸체(510)의 하방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후방으로 오목한 절개부(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또한, 상기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절개부(12)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기판(10)의 상면에 걸림 위치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이때, 리셉터클 쉘(300)의 후단은 절개부(12)의 대응면에 걸림 위치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제2전방 몸체(4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또한, 제3후방 몸체(5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521)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 결합단(521)들은 수직하게 1차 절곡된 후 수평하게 2차 절곡되어, 제1후방 몸체(120)의 상면을 감싼다.In addition, a pair of lower coupling ends 521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상기 하부 결합단(521)들은, 수직하게 1차 절곡된 부위가 제1후방 몸체(120)의 측면에 수직하게 밀착되고, 수평하게 2차 절곡된 부위가 제1후방 몸체(120)의 상면에 수평하게 밀착된다.In the lower coupling ends 521, the first vertically ben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그리고, 제3후방 몸체(52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들이 결합되도록 전술한 제1관통홀(121)과 동일 선상에 제2관통홀(5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An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또한, 하부 결합단(521)들에는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들이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121)과 제2관통홀(522)과 동일 선상에 제3관통홀(52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coupling ends 521 have a third through
즉, 상부 쉘(400)의 후방에 형성된 제2후방 몸체(420)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이 제3관통홀(523)과 제1관통홀(121) 및 제2관통홀(522)을 통해 기판(10)의 삽입홀(11)에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side
이와 같은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은 상부 쉘(400)의 제2후방 몸체(420)와 하우징(100)의 제1후방 몸체(120) 및 하부 쉘(500)의 제3후방 몸체(520)를 하나의 몸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rear side
또한,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은 기판(10)의 삽입홀(11)에 수직하게 결합되므로, 상부 쉘(400)과 하우징(100) 및 하부 쉘(500)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아울러, 제3전방 몸체(5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걸림단(512)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512)은 후단이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의 전단과 전후 방향에서 걸림 위치된다.In addition, hooking ends 512 are formed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both ends of the third
뿐만 아니라, 제3후방 몸체(510) 상에는 전술한 하부 터미널(210)과 상부 터미널(220)의 후단이 기판(10)의 접속 부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단자 통과홈(5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third
상기 단자 통과홈(524)은, 하부 터미널(210)과 상부 터미널(220)의 후단이 하방으로 통과되도록 일정 넓이의 공간을 형성하므로, 하부 터미널(210)과 상부 터미널(220)을 기판(10)에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다.Since th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간극(G)을 기준으로 분할된 하부 쉘(500)의 분할 단부(511)를 리셉터클 쉘(300)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쉘(500)이 간극(G) 방향으로 조임력을 작용시키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셉터클 쉘(300)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ouples the di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쉘(400)과 일체로 절곡된 전방측 상부 결합단(411)과 후방측 상부 결합단(421)을 전후 방향에 2중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가 많지 않아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상부 쉘(400)과 하부 쉘(500)이 외력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double structure to the front-sid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vey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for patent registration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registration.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기판 11: 삽입홀
12: 절개부 20: 미들 플레이트
100: 하우징 110: 제1전방 몸체
111: 결합구 120: 제1후방 몸체
121: 제1관통홀 200: 접속 단자
210: 하부 터미널 220: 상부 터미널
300: 리셉터클 쉘 310: 수용공간
400: 상부 쉘 410: 제2전방 몸체
411: 전방측 상부 결합단 412: 지지단
420: 제2후방 몸체 421: 후방측 상부 결합단
500: 하부 쉘 510: 제3전방 몸체
511: 분할 단부 512: 걸림단
520: 제3후방 몸체 521: 하부 결합단
522: 제2관통홀 523: 제3관통홀
524: 단자 통과홈 G: 간극10: substrate 11: insertion hole
12: incision 20: middle plate
100: housing 110: first front body
111: coupler 120: first rear body
121: first through hole 200: connection terminal
210: lower terminal 220: upper terminal
300: receptacle shell 310: accommodation space
400: upper shell 410: second front body
411: front side upper coupling end 412: support end
420: second rear body 421: rear side upper coupling end
500: lower shell 510: third front body
511: divided end 512: hanging end
520: third rear body 521: lower coupling end
522: second through hole 523: third through hole
524: terminal passage groove G: gap
Claims (12)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는,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분할 단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간극 방향으로 조임력(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A housing in which a coupl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 connection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mounted on a boar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receptacle connector including a receptacle shell wrapped around and exposing the coupler in the front, and a fixing frame coupled to the receptacle shell and a part of the housing in a state of surrounding from the outside, and having both left and right ends coupled to the substrate,
At the lower part of the fixed frame, divided ends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a gap therebetween are formed, and the divided ends a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each other to provide a tightening force (press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gap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acting.
상기 하우징은,
전단에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의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하면으로 각각 노출되는 제1전방 몸체 및, 상기 접속 단자의 후단이 하면을 통해 노출되는 제1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리셉터클 쉘은,
상기 제1전방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전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A coupler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is divided into a first front body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er, and a first rear body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is exposed through the lower surface,
The receptacle shell,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front body, the front end protrudes forward of the fixing frame.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며, 좌우 방향측 양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쉘 및,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과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상부 쉘과 결합되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단부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면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하부 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2,
The fixed frame,
An upper shell coupled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and having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shell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ear body, and the divided end di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a gap therebetween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in a spaced state.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ll is provided.
상기 상부 쉘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2후방 몸체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쉘들은,
상기 리셉터클 쉘의 하방을 좌우 방향에서 각각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전방 몸체 및, 상기 제1후방 몸체의 하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는 제3후방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기판의 전단에는,
상기 제3전방 몸체의 하방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후방으로 오목한 절개부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shell,
It is divided into a second front bod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and coupled to a second rear bod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The lower shells are
It is divided into a third front body coupl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ptacle she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third rear body coupled in a state of wrapp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ar body,
At the front end of the substrate,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ward concave cutout is form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ront body protrudes downward.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과 상하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4,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front body,
The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horizontally based on the cutout and is enga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후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상면을 감싸는 한 쌍의 하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하부 결합단과 상기 제1후방 몸체 및 상기 제3후방 몸체를 통해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후방측 상부 결합단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4,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rear body,
After being bent vertically and then bent horizontally, a pair of lower coupling ends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ar body ar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rear body,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rear side upper coupling ends are further formed that are bent perpendicular to the lower portion and through-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lower coupling end, the first rear body, and the third rear body.
상기 제1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후방측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제1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2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단들에는,
상기 상부 결합단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과 동일 선상에 제3관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6,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rear body,
First through-holes ar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so that the upper coupling ends of the rear side are coupl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rear body,
Second through-holes are vertically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holes so that the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In the lower coupling ends,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ird through-holes are vertically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so that the upper coupling ends are coupled.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전방측 상부 결합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은,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4,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The upper coupling end of the front side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The front side upper coupling end,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penetrate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in a state of surrounding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front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2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지지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방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은 좌우 방향에서 감싸는 상태로 하단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8,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econd front body,
The support end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The support is
The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in front of the front side upper coupling end, and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hird front body are wrapp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3전방 몸체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걸림단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은,
후단이 상기 전방측 상부 결합단의 전단과 전후 방향에서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8,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front body,
The hanging end protru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hanging stage is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of the front-side upper coupling en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제3후방 몸체에는,
상기 접속 단자들의 후단이 하부로 돌출 되도록 단자 통과홈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4,
In the third rear body,
A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passage grooves ar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so that the rear ends of the connection terminals protrude downward.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미들 플레이트가 수평하게 더 결합되며,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하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하부 터미널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전단이 상기 결합구의 상면으로 노출되며, 후단이 상기 하부 터미널의 후단보다 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통해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상부 터미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Inside the housing,
The middle plate is further combined horizontally,
The connection terminal,
A lower terminal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 upper terminal disposed on the upper side relative to the middle plate, the front end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er, and the rear e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t the rear side than the rear end of the lower terminal. Provided Recepta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63754A KR102519273B1 (en) | 2018-06-01 | 2018-06-01 | Receptacle connector |
| CN201821908525.5U CN209516073U (en) | 2018-06-01 | 2018-11-20 | Socket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63754A KR102519273B1 (en) | 2018-06-01 | 2018-06-01 | Receptacle connec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37503A KR20190137503A (en) | 2019-12-11 |
| KR102519273B1 true KR102519273B1 (en) | 2023-04-12 |
Family
ID=6818993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63754A Active KR102519273B1 (en) | 2018-06-01 | 2018-06-01 | Receptacle connecto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19273B1 (en) |
| CN (1) | CN209516073U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91267A (en) * | 2020-12-23 | 2022-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face terminal |
| US12126122B2 (en) | 2020-12-23 | 2024-10-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terface terminal having outer shell and bracket |
| KR102728077B1 (en) * | 2022-09-14 | 2024-11-08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Terminal for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for pcb having the sam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233630A1 (en) | 2015-02-09 | 2016-08-11 |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plate retained therein |
| CN205488767U (en) | 2016-02-04 | 2016-08-17 | 联想(北京)有限公司 | Type -C type USB interfa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2017135009A (en) | 2016-01-28 | 2017-08-0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connector |
| KR101776642B1 (en) | 2016-06-24 | 2017-09-12 |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 Socket connectors for electronic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91486B1 (en) * | 2016-04-28 | 2023-01-20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Receptac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eptacle Connector |
| KR102556308B1 (en) * | 2016-07-29 | 2023-07-1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Receptacle Connector |
-
2018
- 2018-06-01 KR KR1020180063754A patent/KR102519273B1/en active Active
- 2018-11-20 CN CN201821908525.5U patent/CN209516073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60233630A1 (en) | 2015-02-09 | 2016-08-11 |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plate retained therein |
| JP2017135009A (en) | 2016-01-28 | 2017-08-0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connector |
| CN205488767U (en) | 2016-02-04 | 2016-08-17 | 联想(北京)有限公司 | Type -C type USB interfa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1776642B1 (en) | 2016-06-24 | 2017-09-12 |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 Socket connectors for electronic devic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37503A (en) | 2019-12-11 |
| CN209516073U (en) | 2019-10-1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847604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 |
| US976856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hell | |
| JP5006618B2 (en) | connector | |
| US20170346232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shielding shell | |
| US8968005B2 (en) |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 |
| JP5647434B2 (en) | Connector with mating completion detection switch | |
| TWI630761B (en) | Connector assembly | |
| US20080064263A1 (en) | Cable connector | |
| JP2012521631A (en) | Female connector assembly | |
| US1126476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stopping member embedded in a plastic housing | |
| KR102519273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 US5957705A (en) |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dislocation of the conductive contacts and circuit board connectors | |
| US20240322463A1 (en) | Board connector and device | |
| US20180323548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metal shell | |
| US10804640B2 (en) | Electrical connector equipped with dual shells | |
| KR101018773B1 (en) | A set of circuit board connectors and how to mount the connectors to a circuit board | |
| JP3179006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O connector | |
| TWI787606B (en) | Electrical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s | |
| JP7236034B2 (en) | branch connector | |
| JP3086642B2 (en) | Joint connector | |
| KR101674450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JP7059921B2 (en) | Connector assembly | |
| KR102519274B1 (en) | Receptacle connector | |
| KR102587660B1 (en) | Receptacle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and receptacle connector using the same | |
| CN114843830B (en) |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