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8078B1 - A exercise strap - Google Patents

A exercise s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078B1
KR102518078B1 KR1020220001977A KR20220001977A KR102518078B1 KR 102518078 B1 KR102518078 B1 KR 102518078B1 KR 1020220001977 A KR1020220001977 A KR 1020220001977A KR 20220001977 A KR20220001977 A KR 20220001977A KR 102518078 B1 KR102518078 B1 KR 10251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exercise
unit
wrist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2022000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0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07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63B21/401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운동기구를 감싸기 위한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의 다른 일측 일면 또는 다른 일측 양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부; 및 상기 손목 보호부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strap for safe and efficient exercise, and includes a strap part for enclosing an exercise device on one side; a wrist protector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or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to protect the user's wris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chable portio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rist protection unit.

Description

운동용 스트랩{A exercise strap}Exercise strap {A exercise strap}

본 발명은 운동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st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ercise strap capable of safely and efficiently exercising.

최근 건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헬스장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and accordingly, more and more people are looking for a gym.

헬스장에서는 주로 턱걸이 또는 덤벨이나 바벨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잡아당기거나 미는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운동을 할 때 맨손으로 운동기구를 잡는 경우 손이 아프고 무리가 발생한다. 특히 운동 경험이 없거나 체중이 무거운 사람 또는 고하중 운동을 하는 사람의 손에 무리가 발생되어 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In gyms, pulling or pushing exercises are performed using exercise equipment such as pull-ups or dumbbells or barbell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exercise because of strain on the hands of people who have no experience with exercise, heavy weight, or people who exercise with high load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094호(2013.07.16 등록)는 헬스 장갑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헬스용 장갑에 있어서, 전면부는 가죽부, 쿠션 원단부 및 테두리 원단부로 구성되되, 가죽부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고 쿠션 원단부의 전면에 배치되어 쿠션 원단부와 교대로 앞면에 대하여 노출되게 배치하며, 쿠션 원단부는 손바닥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기 위한 쿠션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가죽부의 뒷면에 배치되어 가죽부와 교대로 앞면에 대하여 노출되게 배치하며, 쿠션 원단부의 외곽선으로 테두리 원단부가 위치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후면부는 집게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2개의 손가락 끼움부를 형성하되 손가락 끼움부는 후면부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제1 결합부에 전면부 양쪽 끝에 위치한 제2 결합부를 구부려서 연결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8094 (registered on July 16, 2013) is described in relation to gym gloves, and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n the gym gloves, the front part is composed of a leather part, a cushion fabric part and an edge fabric part, The leather part is made of leather material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fabric part to be exposed to the front side alternately with the cushion fabric part. It is disposed on the leather portion and alternately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fabric portion is positioned as the outer line of the cushion fabric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forms two finger fittings so that the index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can be inserted. However, the finger fit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ron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by bending it.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9145호(2015.10.01 공개)는 밴드형 리프팅 스트랩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손목 둘레에 감겨지는 스트랩에 있어서, 스트랩의 일단에 손가락에 걸 수 있게 결합된 손가락 걸이와, 스트랩의 양단에 결합되는 수분흡수재를 포함하고, 스트랩의 일단에는 스트랩의 타측을 교차시켜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9145 (published on October 1, 2015) describes a band-type lifting strap.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strap wound around a wrist includes a finger hook coupled to one end of the strap so as to be able to hang on a finger, and a moisture absorben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trap, and one end of the strap crosses the other side of the strap. It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an insertion port that can be inserted by doing.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손을 보호하기 위해 헬스 장갑 또는 운동용 스트랩을 이용하여 운동기구를 잡고 운동하고 있으나, 손목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여전히 부상의 위험이 있으며, 사용함에 따라 마찰에 의해 헤지거나 망가져서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otect hands, exercise equipment is held and exercised using health gloves or exercise straps, but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wrist, so there is still a risk of injury, and as used, hedging by friction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protect the user's hand due to damage, it is unsuitable for long-term us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094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8094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914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914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스트랩을 제공한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exercise strap capable of safely and efficiently exercising.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운동기구를 감싸기 위한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의 다른 일측 일면 또는 다른 일측 양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부; 및 상기 손목 보호부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운동용 스트랩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for wrapping the exercise equipment; a wrist protector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or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to protect the user's wrist; And it provides an exercise strap including a detachable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rist protection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을 관통시키기 위한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ok portion for penetrating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일면 또는 일측 양면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tra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n-slip portion for preventing slipping from the exercise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꺾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ra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ending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the user's wrist bend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운동기구를 감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트랩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to be deform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p holding portion for maintaining a state wrapped around the exercise equipmen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를 보조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보조 잡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p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gripping unit for assistively holding the exercis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운동 보조부; 상기 운동 보조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되는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부; 및 상기 손목 보호부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운동용 스트랩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exercise assistant for assisting the user's exercise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strap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ercise assisting unit and mounted on a user's wrist; a wrist protection unit formed in the strap unit to protect a user's wrist; And it provides an exercise strap including a detachable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rist protection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랩부는, 일측이 상기 운동 보조부의 일측 하단에 연결 형성되는 제1 스트랩부재; 상기 제1 스트랩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재; 및 일측이 상기 운동 보조부의 다른 일측 하단에 연결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리부재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기 위한 제2 스트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unit may include a first strap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exercise assisting unit; a ring memb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and a second strap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exercise assisting unit and having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ring member to wrap around a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운동기구를 잡아주기 위한 잡음부재; 및 상기 잡음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땀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xercise auxiliary unit, a noise member for holding the exercise equipment; and an absorbent member formed on one side of the noise member to absorb swea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잡음부재와 상기 흡수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otion assi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noise member and the absorbing member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스트랩부재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꺾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on the second strap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ending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the user's wrist bend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잡음부재에 형성되어 변형 가능하며, 운동기구를 잡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in the noise member and is deform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olding part for maintaining a holding state of the exercise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잡음부재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를 보조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보조 잡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noise unit formed on the noise member to assistly hold the exercise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에 스트랩부가 직접 닿는 것이 아니라 손목 보호부가 감싸지도록 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손목에 직접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손목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손목 보호부가 헤지거나 망가지는 경우 손목 보호부만 새것으로 교체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bsorb an external impact by wrapping the wrist protector instead of directly contacting the user's wrist with the strap, thereby protecting the user's wrist without direct pressure being applied to the user's wrist. When the wrist protector is worn out or damaged due to long-term use, only the wrist protector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and used efficiently.

또한, 덤벨이나 바벨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잡아당기거나 미는 운동시 사용자의 손목을 받쳐주어 힘이 더 잘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들이나 일반 사람들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user's wrist during pulling or pushing exercise using exercise equipment such as dumbbells or barbells so that force can be entered better, beginners or ordinary people can exercise safely and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의 일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의 다른 일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7 내지 도 8에 있는 손목 보호부와 탈부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7 내지 도 8에 있는 운동 보조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7 내지 도 8에 있는 운동 보조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use state diagram of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explaining one side of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side of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use state diagrams of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the wrist protection unit and the detachable unit in FIGS. 7 and 8 as another example.
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xercise assisting unit in FIGS. 7 and 8 as a first example.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ercise assisting unit in FIGS. 7 and 8 as a second example.
14 is a view explain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explain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explain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exercise strap 10 includes a strap part 100, a wrist protection part 200, and a detachable part 300.

스트랩부(100)는, 일측이 운동기구를 감싸도록 하며, 다른 일측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준다.The strap part 100 has one side wrapped around the exercise equipment, and the other side wraps around the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부(100)는, ‘ㅡ’자 형태의 스트랩으로써, 면,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라미드(케블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unit 100 is a 'ㅡ' shaped strap,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tton, polyester, nylon, aramid (Kevlar), or the like.

손목 보호부(200)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일면에 형성되거나,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양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한다.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o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to protect the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손목 보호부(200)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전면, 후면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may be attached to one or bot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

일 실시 예에서, 손목 보호부(200)는, 고밀도 스펀지, 네오프렌 등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rist protector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high-density sponge or neoprene, and can absorb external impact.

탈부착부(300)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일면 또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양면 및 손목 보호부(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손목 보호부(200)를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일면 또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양면에 탈부착 시킨다.The detachable part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or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and one side of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so that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is attached to the strap unit 100. )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trap part 100.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300)는, 암벨크로와 수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암벨크로가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일면 또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양면에 설치되고, 수벨크로가 손목 보호부(20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portion 300 may be formed of female Velcro and male Velcro, and the female Velcro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or on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and Velcro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고리부(400)를 더 포함한다.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 hook portion 400 .

고리부(400)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스트랩부(100)의 일측을 관통시킨다.The ring part 40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part 100 and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

일 실시 예에서, 고리부(400)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단을 접은 다음 재봉으로 고정시켜 고리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금속 고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portion 400 is preferably formed by folding the other end of the strap portion 100 and fixing it by sewing to form a ring, and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tal ring.

즉, 탈부착부(300)를 이용하여 손목 보호부(200)를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일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손목 보호부(200)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주도록 스트랩부(100)의 일측을 고리부(400)로 관통시킨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부(100)의 일측을 운동기구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using the detachable unit 300,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surrounds the user's wrist of the strap unit 100. After penetrating one side through the ring part 400, as shown in FIG. 2,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can be wound around an exercise device and us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사용자의 손목에 스트랩부(100)가 직접 닿는 것이 아니라 손목 보호부(200)가 감싸지도록 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동시 사용자의 손목에 직접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손목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손목 보호부(200)가 헤지거나 망가지는 경우 손목 보호부(200)만 새것으로 교체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absorb external shock by wrapping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rather than directly contacting the user's wrist with the strap unit 100, and thereby During exercise, direct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user's wrist, so the wrist can be protected, and if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is worn or damaged due to long-term use, only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to efficiently can be used

또한, 덤벨이나 바벨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잡아당기거나 미는 운동시 사용자의 손목을 받쳐주어 힘이 더 잘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들이나 일반 사람들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user's wrist during pulling or pushing exercise using exercise equipment such as dumbbells or barbells so that force can be entered better, beginners or ordinary people can exercise safely and efficiently.

또한, 손목 보호부(200)가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양면에 탈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 또는 운동 형태에 따라 스트랩부(100)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both sides of the strap unit 100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or exercise typ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 미끄럼방지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 strap part 100, a wrist protection part 200, a detachable part 300, a ring part 400, and a non-slip part 500. Here, since the strap part 100, the wrist protection part 200, the detachable part 300, and the ring part 4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미끄럼방지부(500)는, 스트랩부(100)의 일측 일면 또는 스트랩부(100)의 일측 양면에 형성되어, 스트랩부(100)의 일측이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한다.The non-slip portion 500 is formed on one side of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100 or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100 to prevent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100 from slipping from the exercise device.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50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트랩부(100)의 일측 일면 또는 일측 양면에 재봉 또는 접착제로 고정 설치되어, 스트랩부(100)의 일측을 운동기구에 감았을 때 스트랩부(100)가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n-slip portion 5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trap portion 100 by sewing or adhesive, so that the strap portion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ap unit 100 from unwinding when one side is wound around the exercise device.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부(500)는, 손목 보호부(200)가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부(100)의 일측 다른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손목 보호부(200)가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양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부(100)의 일측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n-slip portion 500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rap portion 100 when the wrist protection portion 200 is detach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portion 100. And, when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is detach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strap unit 100,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스트랩부(100)의 일측이 운동기구를 감싼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동시 운동기구가 미끄러지거나 사용자가 놓치면서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prevents slipping while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wraps around the exercise machine,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occurring when the exercise machine slips or the user misses during exercise. .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 꺾임 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 strap portion 100, a wrist protection portion 200, a detachable portion 300, a ring portion 400, and a bending prevention portion 600. Here, since the strap part 100, the wrist protection part 200, the detachable part 300, and the ring part 4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꺾임 방지부(600)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꺾임을 방지한다.The bending prevention unit 6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to prevent bending of the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꺾임 방지부(600)는,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prevention part 600 may be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strap part 100 .

일 실시 예에서, 꺾임 방지부(600)는,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가죽 등)로 이루어지며, 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뒤로 꺾이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prevention unit 600 is made of a hard material (eg, plastic, metal, leather, etc.)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protect the user's wrist from bending backward.

일 실시 예에서, 꺾임 방지부(600)는, 손목 보호부(200)가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다른 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손목 보호부(200)가 스트랩부(100)의 다른 일측 양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스트랩부(100)와 탈부착부(300)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prevention unit 600, when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is detach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It may be, and when the wrist protection unit 200 is detachab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100, it may be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strap unit 100 and the detachable unit 3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운동시 사용자의 손목이 과도하게 꺾여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상의 위험을 줄이고 안정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user's wrist from being excessively bent and bent back during exercis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jury and enabling stable exercise.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 스트랩 유지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 strap part 100, a wrist protection part 200, a detachable part 300, a ring part 400, and a strap holding part 700. Here, since the strap part 100, the wrist protection part 200, the detachable part 300, and the ring part 4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스트랩 유지부(700)는, 스트랩부(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스트랩부(100)의 일측이 운동기구를 감싼 상태를 유지한다.The strap holding part 7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and is formed to be deformable, and maintains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surrounds the exercise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 유지부(700)는, 직경 0.4 ~ 0.5mm 크기의 철심일 수 있으며, 스트랩부(100)의 일측이 운동기구에 감싸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holding part 700 may be an iron core having a diameter of 0.4 to 0.5 mm, and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may be wrapped around the exercise device to maintain close contact.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 유지부(700)는, 스트랩부(100)의 일측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고, 긁힘에 의한 상처를 예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holding unit 700 is located inside one side of the strap unit 100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foreign body and to prevent injury due to scratch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스트랩부(100)의 일측이 운동기구를 감싼 상태에서 쉽게 풀리지 않도록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운동시 스트랩부(100)의 풀어짐에 따른 거슬림을 해결할 수 있으며, 운동을 시작할 때 스트랩부(100)의 일측을 운동기구에 쉽게 감을 수 있게 된다.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intains a shape so that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100 is not easily released while wrapping the exercise equipment, thereby reducing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loosening of the strap portion 100 during exercise. It can be solved, and when starting an exercise,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can be easily wound around the exercise equip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 보조 잡음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트랩부(100), 손목 보호부(200), 탈부착부(300), 고리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 strap part 100, a wrist protection part 200, a detachable part 300, a ring part 400, and an auxiliary noise part 800. Here, since the strap part 100, the wrist protection part 200, the detachable part 300, and the ring part 4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보조 잡음부(800)는, 스트랩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를 보조적으로 잡아준다.The auxiliary noise unit 8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p unit 100 to assistly hold the exercise equipment.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잡음부(8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등)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C’자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noise unit 8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eg, plastic, metal, etc.) and may have a 'C' shape in cross section.

즉, 스트랩부(100)의 일측을 운동기구에 감을 때, 보조 잡음부(800)의 개방된 부분으로 운동기구를 밀어 넣으면 보조 잡음부(800)의 개방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끼움되고, 그 후에 보조 잡음부(800)가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면서 운동기구를 압박하여 보조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is wound around the exercise device, if the exercise device is pushed into the open part of the auxiliary gripper 800, the opened part of the auxiliary gripper 800 is spread out and inserted, and then As the auxiliary gripper 800 is retracted by elasticity, it can press and hold the exercise device auxiliar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보조 잡음부(800)에 의해 스트랩부(100)의 일측이 운동기구를 더욱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되고, 운동의 정확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strap part 100 can hold the exercise equipment more firmly by the auxiliary gripper 800, and the accuracy and safety of exercise are improved. can make it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의 일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의 다른 일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one side of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ide of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동용 스트랩(10)은, 운동 보조부(1000), 스트랩부(1100), 손목 보호부(1200), 탈부착부(1300)를 포함한다.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n exercise auxiliary unit 1000, a strap unit 1100, a wrist protection unit 1200, and a detachable unit 1300.

운동 보조부(1000)는, 덤벨이나 바벨과 같은 운동기구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한다.The exercise assistant 1000 assists the user's exercise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by holding an exercise device such as a dumbbell or a barbell.

스트랩부(1100)는, 운동 보조부(10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된다.The strap unit 11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ercise assistant unit 1000 and is mounted on the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부(1100)는, ‘ㅡ’자 형태의 스트랩으로써, 면,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라미드(케블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unit 1100 is a 'ㅡ' shaped strap,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tton, polyester, nylon, aramid (Kevlar), or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부(1100)는, 제1 스트랩부재(1110), 고리부재(1120), 제2 스트랩부재(1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unit 1100 may include a first strap member 1110, a ring member 1120, and a second strap member 1130.

제1 스트랩부재(1110)는, 일측이 운동 보조부(1000)의 일측 하단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고리부재(1120)가 구비된다.The first strap member 111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exercise assisting unit 1000, and a ring member 11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고리부재(1120)는, 제1 스트랩부재(11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제2 스트랩부재(1130)를 관통시킨다.The ring member 11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and penetrates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

일 실시 예에서, 고리부재(1120)는, 금속 고리로써, 금속 고리에 제1 스트랩부재(1110)의 다른 일측을 감은 후 재봉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 member 1120 is a metal ring, and may be fixed by sewing after wind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around the metal ring, or may be fixed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제2 스트랩부재(1130)는, 일측이 운동 보조부(1000)의 다른 일측 하단에 연결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고리부재(1120)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준다.The second strap member 113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exercise assistant 1000,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the ring member 1120 to wrap around the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제2 스트랩부재(1130)는, 제1 스트랩부재(111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strap member 1110, so as to wrap the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부(1100)는, 스트랩 탈부착부재(1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unit 1100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strap member 1140 .

스트랩 탈부착부재(1140)는, 제2 스트랩부재(113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고리부재(1120)를 관통한 제2 스트랩부재(1130)의 다른 일측을 고정시킨다.The detachable strap member 11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and fixe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passing through the ring member 1120 .

일 실시 예에서, 스트랩 탈부착부재(1140)는, 제2 스트랩부재(1130)의 다른 일측 양면에 형성되며, 탈부착부(1300)에 탈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strap member 11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and may be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portion 1300.

손목 보호부(1200)는, 스트랩부(110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한다.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is formed on the strap unit 1100 to protect the user's wrist.

일 실시 예에서, 손목 보호부(1200)는, 고밀도 스펀지, 네오프렌 등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rist protector 1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high-density sponge or neoprene, and can absorb external impact.

일 실시 예에서, 손목 보호부(1200)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스트랩부재(1110)의 일면과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일면에 부착되거나, 제1 스트랩부재(1110)의 다른 일면과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다른 일면에 부착되거나,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wo wrist protectors 1200 may be formed as a pair, attached to on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or the first strap member It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1110 and th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or to both.

여기서, 제1 스트랩부재(1110)의 일면 또는 다른 일면에 부착되는 손목 보호부(1200)는, 고리부재(1120)까지 덮어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rist protector 1200 attach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may be formed in a size capable of covering up to the ring member 1120 .

탈부착부(1300)는, 제1 스트랩부재(1110)의 양면,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양면, 손목 보호부(1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손목 보호부(1200)를 스트랩부(1100)에 탈부착 시킨다.The detachable portion 13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and one side of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and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is formed on the strap unit ( 1100) to attach and detach.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1300)는, 암, 수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 다른 탈부착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portion 1300 is preferably made of male and female Velcro, and may be formed of other detachable means, of course.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1300)는, 제1 탈부착부재(1310), 제2 탈부착부재(1320), 제3 탈부착부재(1330), 제4 탈부착부재(1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unit 1300 may include a first detachable member 1310, a second detachable member 1320, a third detachable member 1330, and a fourth detachable member 1340.

제1 탈부착부재(1310)는, 2개로 구성되며, 제1 스트랩부재(111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detachable member 1310 is composed of two, an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respectively.

제2 탈부착부재(1320)는, 2개로 구성되며,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The second detachable member 1320 is composed of two, and i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respectively.

제3 탈부착부재(1330)는, 하나의 손목 보호부(1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1 탈부착부재(1310) 중 하나에 탈부착 된다.The third detachable member 1330 is formed on one side of one wrist protection unit 1200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of the first detachable members 1310 .

제4 탈부착부재(1340)는, 다른 하나의 손목 보호부(12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2 탈부착부재(1320) 중 하나에 탈부착 된다.The fourth detachable member 134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ther wrist protection unit 1200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of the second detachable members 132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2개의 손목 보호부(1200)를 제1 스트랩부재(1110)의 일면과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일면에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손목 보호부(1200)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주도록 제2 스트랩부재(1130)의 다른 일측을 고리부재(1120)에 관통시킨 후, 스트랩 탈부착부재(114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장착한다. 그 다음 도 9 (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보조부(1000)를 운동기구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감아 사용자가 손으로 운동 보조부(1000)와 운동기구를 함께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운동기구가 운동 보조부(1000)와 손바닥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턱걸이 등의 당기는 운동시 운동 보조부(1000)가 운동기구를 지지하여 손에 힘이 더 잘 들어가도록 보조할 수 있다.In 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two wrist protection units 1200 ar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respectively. After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through the ring member 1120 so that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covers the user's wrist, it is fixed and mounted using the detachable strap member 1140. Then, as shown in FIG. 9 (a) and (b), the exercise assistant 1000 is wound from the outside of the exercise device to the inside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exercise assistant 1000 and the exercise device together with their hands. That is, the exercise device can be exercised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exercise assistant 1000 and the palm, and in particular, during a pulling exercise such as a chin-up, the exercise assistant 1000 supports the exercise device so that more power enters the hand. can assist

또한, 도 10 (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보조부(1000)를 사용자의 손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운동 보조부(1000)를 운동기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감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운동 보조부(1000)가 운동기구와 손바닥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특히 벤치프레스 등의 미는 운동시 운동 보조부(1000)가 운동기구를 감싸 잡아주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힘이 덜 들어가게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and (b), the exercise assistant 1000 can be wrapped around the exercise equipmen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exercise assistant 10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nd. That is, the exercise assisting unit 1000 allows the user to exercise whil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exercise equipment and the palm, especially during a pushing exercise such as a bench press. You can help with less power.

따라서 초보자들이나 일반 사람들도 쉽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assists beginners and ordinary people to exercise easily and safely, and can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또한, 운동용 스트랩(10)을 사용자의 편의 또는 운동 형태에 따라 양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exercise strap 10 may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or exercise type.

도 11은 도 7 내지 도 8에 있는 손목 보호부와 탈부착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11 is a view illustrating the wrist protection unit and the detachable unit in FIGS. 7 and 8 as another example.

도 11을 참조하면, 손목 보호부(1200)는, 제1 스트랩부재(1110), 고리부재(1120),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을 한번에 덮어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cover one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the ring member 1120, and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at once, so that the user's You can protect your wrist.

이에 따라, 손목 보호부(1200)의 일면은, 제1 스트랩부재(1110)의 일면과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일면에 부착되거나, 제1 스트랩부재(1110)의 다른 일면과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다른 일면에 부착되거나, 둘 다에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side of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is attached to one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or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and the second side. One side of the strap member 1130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r attached to both.

또한, 탈부착부(1300)는, 제1 스트랩부재(1110)의 양면,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 양면, 손목 보호부(1200)의 일면 일부 또는 일면 전체에 형성되어, 손목 보호부(1200)를 스트랩부(1100)에 탈부착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portion 13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trap member 1110,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and a part or all of one side of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the wrist protection unit ( 120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strap part 1100.

도 12는 도 7 내지 도 8에 있는 운동 보조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측면도이다.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xercise assisting unit in FIGS. 7 and 8 as a first example.

도 12를 참조하면, 운동 보조부(1000)는, 잡음부재(1010), 흡수부재(10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 the exercise assisting unit 1000 includes a noise member 1010 and an absorbing member 1020 .

잡음부재(1010)는, 운동기구를 감싸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 고마찰력의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이 코팅되어,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noise member 1010 is intended to wrap around and hold the exercise device, and is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high frictional force (eg, silicon, rubber, etc.) on the surface thereof, thereby minimizing slipping from the exercise device.

흡수부재(1020)는, 잡음부재(10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어 땀을 흡수한다.The absorbent member 10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ise member 10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hand to absorb sweat.

일 실시 예에서, 흡수부재(1020)는, 잡음부재(101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수력과 밀착력을 가지는 소가죽, 염소가죽,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absorbent member 10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noise member 1010, and is preferably made of cowhide, goatskin, fabric, etc. having absorbency and adhesion.

일 실시 예에서, 흡수부재(1020)는, 당기는 운동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촉되고, 미는 운동시 사용자의 손바닥 전체와 손가락 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손에 발생되는 땀을 흡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bsorbent member 10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s during a pulling exercise,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entire palm and a part of the user's fingers during a pushing exercise, thereby absorbing sweat generated in the user's hand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운동 보조부(1000)가 잡음부재(1010)와 흡수부재(1020)로 구성되어, 운동기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가 운동하면서 손에서 발생되는 땀을 흡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exercise assistant 1000 is composed of the noise member 1010 and the absorbent member 1020, improving adhesion to the exercise equipment and removing the user from the hand while exercising. It absorbs the generated sweat to prevent slipping and allows you to use it comfortably.

도 13은 도 7 내지 도 8에 있는 운동 보조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ercise assisting unit in FIGS. 7 and 8 as a second example.

도 13을 참조하면, 운동 보조부(1000)는, 잡음부재(1010), 흡수부재(1020), 쿠션부재(10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잡음부재(1010), 흡수부재(1020)는 도 12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exercise assisting unit 1000 includes a noise member 1010, an absorbing member 1020, and a cushion member 1030. Here, since the noise member 1010 and the absorbing member 102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 12,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and only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쿠션부재(1030)는, 잡음부재(1010)와 흡수부재(1020) 사이에 형성되어, 쿠션감을 제공한다.The cushion member 1030 is formed between the noise member 1010 and the absorbing member 1020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일 실시 예에서, 쿠션부재(1030)는, 손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패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ushion member 103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hand shape or various pattern shapes as shown in the drawing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쿠션부재(103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운동기구를 더욱 효과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며,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mitigat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user's fingers through the cushion member 1030, enable the user to hold the exercise equipment more effectively, and improve the grip. .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4 is a view explain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운동 보조부(1000), 스트랩부(1100), 손목 보호부(1200), 탈부착부(1300), 꺾임 방지부(1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동 보조부(1000), 스트랩부(1100), 손목 보호부(1200), 탈부착부(1300)는 도 7 내지 도 8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4 , 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n exercise auxiliary unit 1000, a strap unit 1100, a wrist protection unit 1200, a detachable unit 1300, and a bending prevention unit 1400. Here, since the motion auxiliary unit 1000, the strap unit 1100,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and the detachable unit 13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S. 7 to 8,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do.

꺾임 방지부(1400)는, 제2 스트랩부재(113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꺾임을 방지한다.The bending prevention unit 1400 is formed on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to prevent the user's wrist from bending.

일 실시 예에서, 꺾임 방지부(1400)는, 제2 스트랩부재(1130)의 일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prevention unit 1400 may be form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in an upward direction.

일 실시 예에서, 꺾임 방지부(1400)는,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가죽 등)로 이루어지며, 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이 뒤로 꺾이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prevention unit 1400 is made of a hard material (eg, plastic, metal, leather, etc.)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protect the user's wrist from bending backward.

일 실시 예에서, 꺾임 방지부(1400)는, 제2 스트랩부재(1130)와 탈부착부(1300)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nding prevention unit 1400 may be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trap member 1130 and the detachable unit 130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운동시 사용자의 손목이 과도하게 꺾여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상의 위험을 줄이고 안정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user's wrist from being excessively bent and bent back during exercis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jury and enabling stable exercise.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5 is a view explain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운동 보조부(1000), 스트랩부(1100), 손목 보호부(1200), 탈부착부(1300), 유지부(1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동 보조부(1000), 스트랩부(1100), 손목 보호부(1200), 탈부착부(1300)는 도 7 내지 도 8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5 , 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n exercise auxiliary unit 1000, a strap unit 1100, a wrist protection unit 1200, a detachable unit 1300, and a holding unit 1500. Here, since the motion auxiliary unit 1000, the strap unit 1100,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and the detachable unit 13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S. 7 to 8,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do.

유지부(1500)는, 잡음부재(1010)에 형성되어 변형 가능하며, 잡음부재(1010)가 운동기구를 잡은 상태를 유지한다.The holding portion 1500 is formed on the noise member 1010 and is deformable, and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noise member 1010 holds the exercise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유지부(1500)는, 직경 0.4 ~ 0.5mm 크기의 철심일 수 있으며, ‘l’자 형태로 설치되어, 잡음부재(1010)가 운동기구를 감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lding part 1500 may be an iron core having a diameter of 0.4 to 0.5 mm, and is installed in an 'L' shape, so that the noise member 1010 can wind the exercise equipment and maintain close contact with it. .

일 실시 예에서, 유지부(1500)는, 잡음부재(10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고, 긁힘에 의한 상처를 예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lding unit 1500 is located inside the noise member 1010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a foreign body and to prevent injury due to scratch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잡음부재(1010)가 운동기구를 감싼 상태에서 쉽게 풀리지 않도록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운동시 운동 보조부(1000)의 풀어짐에 따른 거슬림을 해결할 수 있으며, 운동을 시작할 때 보조 운동부(1000)가 운동기구에 쉽게 감아질 수 있게 된다.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maintains a shape so that the noise member 1010 does not easily unwind while covering the exercise equipment, thereby solving the discomfort due to the loosening of the exercise auxiliary unit 1000 during exercise. And, when starting the exercise, the auxiliary exercise unit 1000 can be easily wound around the exercise equipment.

도 1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운동용 스트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6 is a view explaining an exercise strap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운동용 스트랩(10)은, 운동 보조부(1000), 스트랩부(1100), 손목 보호부(1200), 탈부착부(1300), 보조 잡음부(1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동 보조부(1000), 스트랩부(1100), 손목 보호부(1200), 탈부착부(1300)는 도 7 내지 도 8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6 , the exercise strap 10 includes an exercise auxiliary unit 1000, a strap unit 1100, a wrist protection unit 1200, a detachable unit 1300, and an auxiliary noise unit 1600. Here, since the motion auxiliary unit 1000, the strap unit 1100, the wrist protection unit 1200, and the detachable unit 1300 ar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FIGS. 7 to 8,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only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below. do.

보조 잡음부(1600)는, 잡음부재(101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를 보조적으로 잡아준다.The auxiliary noise unit 16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noise member 1010 to assistly hold the exercise equipment.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잡음부(16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등)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C’자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uxiliary noise unit 16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eg, plastic, metal, etc.) and may have a 'C' shape in cross section.

즉, 보조 잡음부(1600)를 운동기구에 감을 때, 보조 잡음부(1600)의 개방된 부분으로 운동기구를 밀어 넣으면 보조 잡음부(1600)의 개방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끼움되고, 그 후에 보조 잡음부(1600)가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면서 운동기구를 압박하여 보조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auxiliary gripper 1600 is wound around an exercise device, if the exercise machine is pushed into the open part of the auxiliary gripper 1600, the open part of the auxiliary gripper 1600 is widened and inserted, and then the auxiliary gripper 1600 is inserted. As the gripping part 1600 is retracted by elasticity, it can press and hold the exercise device assistive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운동용 스트랩(10)은, 보조 잡음부(1600)에 의해 운동 보조부(1000)가 운동기구를 더욱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되고, 운동의 정확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exercise strap 1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exercise assistant 1000 can hold the exercise equipment more firmly by the auxiliary gripper 1600, and the accuracy and safety of the exercise can be improved. there is.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device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10 : 운동용 스트랩
100 : 스트랩부
200 : 손목 보호부
300 : 탈부착부
400 : 고리부
500 : 미끄럼방지부
600 : 꺾임 방지부
700 : 스트랩 유지부
800 : 보조 잡음부
1000 : 운동 보조부
1010 : 잡음부재
1020 : 흡수부재
1030 : 쿠션부재
1100 : 스트랩부
1110 : 제1 스트랩부재
1120 : 고리부재
1130 : 제2 스트랩부재
1140 : 스트랩 탈부착부재
1200 : 손목 보호부
1300 : 탈부착부
1310 : 제1 탈부착부재
1320 : 제2 탈부착부재
1400 : 꺾임 방지부
1500 : 유지부
1600 : 보조 잡음부
10: exercise strap
100: strap part
200: wrist protector
300: detachable part
400: ring part
500: anti-slip part
600: anti-bending unit
700: strap retainer
800: auxiliary noise unit
1000: exercise assistant
1010: noise member
1020: absorbent member
1030: cushion member
1100: strap part
1110: first strap member
1120: ring member
1130: second strap member
1140: strap detachable member
1200: wrist protector
1300: detachable part
1310: first detachable member
1320: second detachable member
1400: anti-bending unit
1500: maintenance part
1600: auxiliary noise unit

Claims (5)

일측이 운동기구를 감싸기 위한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의 다른 일측 일면 또는 다른 일측 양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부;
상기 손목 보호부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
상기 스트랩부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을 관통시키기 위한 고리부;
상기 스트랩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꺾임 방지부;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 일면 또는 일측 양면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스트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를 보조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보조 잡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스트랩.
One side of the strap portion for enclosing the exercise equipment;
a wrist protector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trap or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to protect the user's wrist;
Detachable portio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rist protection unit;
a r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part and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strap part;
a bending prevention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rap unit to prevent bending of the user's wrist;
a non-slip unit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trap unit to prevent slipping from the exercise device; and
An exercise strap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p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gripper for holding the exercise equipment auxiliary.
삭제delete 삭제delete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운동 보조부;
상기 운동 보조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장착되는 스트랩부;
상기 스트랩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한 손목 보호부; 및
상기 손목 보호부를 탈부착 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부는,
일측이 상기 운동 보조부의 일측 하단에 연결 형성되는 제1 스트랩부재;
상기 제1 스트랩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부재; 및
일측이 상기 운동 보조부의 다른 일측 하단에 연결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상기 고리부재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기 위한 제2 스트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랩부재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꺾임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동 보조부는,
운동기구를 잡아주기 위한 잡음부재; 및
상기 잡음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땀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잡음부재에 형성되어, 운동기구를 보조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보조 잡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스트랩.
Exercise auxiliary unit for assisting the user's exercise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strap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ercise assisting unit and mounted on a user's wrist;
a wrist protection unit formed in the strap unit to protect a user's wrist; and
It includes a detachable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rist protection part,
The strap part,
a first strap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exercise assisting unit;
a ring memb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rap membe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exercise assisting uni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second strap member for passing through the ring member and wrapping the user's wrist,
It is formed on the second strap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break prevention part for preventing the user's wrist from bending,
The exercise assistant,
A noise member for holding the exercise equipment; and
an absorbent memb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ise member to absorb sweat;
The strap for exercis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gripping part formed on the gripping member to assistly hold the exercise equipment.
삭제delete
KR1020220001977A 2022-01-06 2022-01-06 A exercise strap Active KR102518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977A KR102518078B1 (en) 2022-01-06 2022-01-06 A exercise str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977A KR102518078B1 (en) 2022-01-06 2022-01-06 A exercise st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078B1 true KR102518078B1 (en) 2023-04-04

Family

ID=8592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977A Active KR102518078B1 (en) 2022-01-06 2022-01-06 A exercise str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07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695A (en) * 2006-06-07 2007-12-20 Read Eng Kk Wristband
KR200463738Y1 (en) * 2011-05-26 2012-11-21 김진욱 Strap for weight training
KR200468094Y1 (en) 2012-01-09 2013-07-22 이윤호 Fitness gloves
KR20150109145A (en) 2014-03-19 2015-10-01 민경준 Band type lifting strap
KR20210120973A (en) * 2018-08-02 2021-10-07 파워 그립스 유에스에이, 인크. Grip Aids with Inser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695A (en) * 2006-06-07 2007-12-20 Read Eng Kk Wristband
KR200463738Y1 (en) * 2011-05-26 2012-11-21 김진욱 Strap for weight training
KR200468094Y1 (en) 2012-01-09 2013-07-22 이윤호 Fitness gloves
KR20150109145A (en) 2014-03-19 2015-10-01 민경준 Band type lifting strap
KR20210120973A (en) * 2018-08-02 2021-10-07 파워 그립스 유에스에이, 인크. Grip Aids with Inser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0705A1 (en) Multi-use powerful guiding band
US9895594B2 (en) Weightlifting wrap
US4691387A (en) Glove apparatus
US20140274614A1 (en) Deformable grip pad with bistable spring bands and methods of use
US20150059043A1 (en) Disposable Fingerless Exercise Glove
US20220062740A1 (en) Flexible grips
KR102518078B1 (en) A exercise strap
US20070276304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tendinitis
US20160250511A1 (en) Hand Pad
CN113144571A (en) Functional glove for yoga exercise
AU2006100797A4 (en) Multi-use powerful guiding band
CN215585428U (en) A functional glove for yoga exercise
KR20110075579A (en) Fitness Gloves
KR200447163Y1 (en) Kendo Dalian protective gear with hand protection gloves and cuff protection
KR200468094Y1 (en) Fitness gloves
CN207187020U (en) A kind of duplicate protection formula bar for arm strength building
CN216149016U (en) Palm protective tool
CN222869918U (en) Anti-drop sports glove
CN207950443U (en) One kind drawing training aids
CN219396377U (en) A new type of strength training sports gloves
CN108786013A (en) A kind of safety-type chest-developer
CN208943380U (en) A kind of safety-type chest-developer
CN212141421U (en) Palm protector
CN214074970U (en) Novel force-fighting stick
CN221815251U (en) Handle for body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