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749B1 - 목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7749B1 KR102377749B1 KR1020220001936A KR20220001936A KR102377749B1 KR 102377749 B1 KR102377749 B1 KR 102377749B1 KR 1020220001936 A KR1020220001936 A KR 1020220001936A KR 20220001936 A KR20220001936 A KR 20220001936A KR 102377749 B1 KR102377749 B1 KR 102377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odegradable polymer
- wood flour
- weight
- acid
- polymer 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 1 | 2 | 3 | 4 | 5 | 1 | |
| 인장강도 (MPa) |
40.5 | 44.9 | 47.2 | 50.3 | 52.5 | 36.2 |
| 생분해도 (%) |
88.2 | 90.3 | 91.5 | 91.8 | 92.4 | 78.7 |
Claims (5)
- (a) 목분을 1차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1차 건조된 목분 및 스테아린산염을 혼합하여 목분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코팅된 목분 및 표면처리제를 혼합하여 상기 목분의 표면을 개질하는 단계;
(d) 상기 개질된 목분, 생분해성 고분자, 무기필러, 전분, 활제, 불포화 지방산, 유기산 및 과산화물을 혼합한 후 2차 건조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성물을 압출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제는 무수 말레산 및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동시에 사용하고,
상기 무수 말레산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60~90:10~40 이며,
상기 표면처리제는 코팅된 목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및 팔미트올레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01936A KR102377749B1 (ko) | 2022-01-06 | 2022-01-06 | 목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01936A KR102377749B1 (ko) | 2022-01-06 | 2022-01-06 | 목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77749B1 true KR102377749B1 (ko) | 2022-03-23 |
Family
ID=809634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01936A Active KR102377749B1 (ko) | 2022-01-06 | 2022-01-06 | 목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77749B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00571B1 (ko) * | 2022-07-08 | 2023-02-20 | 윤성필 |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68620A (ko) * | 2011-12-15 | 2013-06-26 | 주식회사 에이유 |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사출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
| KR20150073593A (ko) * | 2013-12-23 | 2015-07-01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맥피를 이용한 탄소중립형 고강도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89977A (ko) * | 2015-01-21 | 2016-07-29 | (주)바이오소재 | 셀룰로오스 가소화를 통한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이를 이용한 산화생분해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91777A (ko) | 2015-01-26 | 2016-08-03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이오매스 충전재를 포함하는 바이오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49973A (ko) * | 2015-10-29 | 2017-05-11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소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
| KR20170059175A (ko) * | 2015-11-20 | 2017-05-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목분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
-
2022
- 2022-01-06 KR KR1020220001936A patent/KR10237774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068620A (ko) * | 2011-12-15 | 2013-06-26 | 주식회사 에이유 |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사출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
| KR20150073593A (ko) * | 2013-12-23 | 2015-07-01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맥피를 이용한 탄소중립형 고강도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89977A (ko) * | 2015-01-21 | 2016-07-29 | (주)바이오소재 | 셀룰로오스 가소화를 통한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이를 이용한 산화생분해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91777A (ko) | 2015-01-26 | 2016-08-03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이오매스 충전재를 포함하는 바이오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49973A (ko) * | 2015-10-29 | 2017-05-11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소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
| KR20170059175A (ko) * | 2015-11-20 | 2017-05-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목분을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재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00571B1 (ko) * | 2022-07-08 | 2023-02-20 | 윤성필 |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가구 세이프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111355B2 (en) | Addition of biodegradability lending additives to plastic materials | |
| US10759911B2 (en) | Thermoplastic starch composition derivative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 |
| KR101436916B1 (ko) |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사출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 |
| KR20190021961A (ko) | 기계적물성이 향상된 탄소중립형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바이오매스 복합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 KR101214983B1 (ko) |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 |
| JP2021523957A (ja) | プラスチック材料に生分解性を付与する添加剤の添加 | |
| KR101217599B1 (ko) |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바이오 베이스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 KR101837493B1 (ko) | 셀룰로오스 가소화를 통한 열가소성 셀룰로오스, 이를 이용한 산화생분해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
| KR20090008110A (ko) | 전분을 이용한 자연 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 CN112063139A (zh) | 一种食品接触注塑制品用聚乳酸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 |
| KR102377749B1 (ko) | 목분을 사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 KR101287034B1 (ko) |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바이오 베이스 펠릿 및 그 제조방법 | |
| KR20160076127A (ko) |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친환경 복합고분자 원료 펠릿,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된 팔레트 | |
| KR20150073593A (ko) | 소맥피를 이용한 탄소중립형 고강도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
| CN109504042A (zh) | Pha改性的tps/pbat可生物降解树脂及其制备方法 | |
| KR100955024B1 (ko) | 개선된 공정에 의한 자연 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 KR20190067320A (ko) |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 |
| KR101507960B1 (ko) | 글라스비드를 포함하는 흐름 개선된 사출용 바이오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102351577B1 (ko) | 축산퇴비를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플라스틱의 제조방법 | |
| TW201309756A (zh) | 含有生物可分解樹脂之組合物、阻水板及其由該組合物所製成之心材 | |
| KR101327480B1 (ko) | 바이오 베이스 쓰레기 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101208107B1 (ko) | 바이오매스 펠렛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 |
| CN115991929A (zh) | 一种具有土壤保护效应的可生物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 |
| KR101750624B1 (ko) | 가소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 |
| KR20150111822A (ko) |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