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13665B1 -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665B1
KR102313665B1 KR1020210032421A KR20210032421A KR102313665B1 KR 102313665 B1 KR102313665 B1 KR 102313665B1 KR 1020210032421 A KR1020210032421 A KR 1020210032421A KR 20210032421 A KR20210032421 A KR 20210032421A KR 102313665 B1 KR102313665 B1 KR 10231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radio
based radio
image information
control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성
Original Assignee
최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성 filed Critical 최동성
Priority to KR102021003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6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현장 영상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되고, 상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앱 기반 무전기;를 포함하는,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 FOR CONNNECTING RADIO MODULE AND RADIO MODULE BASED ON APPLICATION}
본 발명은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전기 또는 앱 기반 무전기를 이용한 재난무전망 구축에 사용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화재장소에 투입되는 현장대원은 여러명의 현장대원이 화재장소 내외로 투입되어 서로 무전기를 통해 교신하며 화재진압을 수행한다.
하지만, 화재장소 외부에서 화재장소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자 해도, 화재진압에 전문적으로 훈련된 현장대원을 제외하고는 화재장소에 진입할 수 없어 화재장소를 모니터링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7300, 영상 화재 감지장치에서는 화재를 감지하고 카메라에서 현장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현장의 상황을 촬영하는 카메라 독립형 화재 감지부 또는 기존에 설치된 감시용 CCTV를 사용하므로, 건물 내부 또는 외부의 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재난현장을 촬영함에 있어서 사각지대가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3977, 재난구조요원 위치/상황 추적/관리 시스템에서는 재난 처에 투입되는 재난구조요원의 소지용품 일부에 설치되어 위치신호와 재난구조요원으로부터 센싱된 상태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재난 처의 상황을 영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지 않아, 재난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량 내 영상 획득부와 라우터부를 포함하여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하는 현장의 영상을 앱 기반 무전기를 통해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와 앱 기반 무전기를 유선 연결하여 웨어러블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현장의 영상을 앱 기반 무전기를 통해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무전기를 네트워크망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부를 포함하여 무전기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앱 기반 무전기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딥러닝 신경망을 통해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중앙 관제 센터로의 영상 정보의 전송 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알람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현장 영상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되고, 상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앱 기반 무전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영상 획득부는, 차량의 지붕 전방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와이파이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 PTZ 카메라; 및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USIM 카드를 꽂을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USIM 카드의 삽입에 의해 발생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차량 내 와이파이 환경을 구축하고,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PTZ 카메라 및 상기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라우터부; 및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 및 상기 앱 기반 무전기를 유선 연결하는 케이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HDMI 케이블; 및 상기 앱 기반 무전기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UVC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현장을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중앙 관제 센터에 구비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중앙 관제 센터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는, 상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PTZ 카메라 또는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영상 획득부를 선택 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PTZ 카메라가 선택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PTZ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부를 통해 유선 연결된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단방향 휴대용 무선통신기로 구비되는 무전기; 및 상기 무전기 및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고유 주파수 채널을 구비하여 상기 무전기와의 통신 채널을 유지하고, 상기 고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무전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전기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전송하는 RoIP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를 상기 고유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무전기로 송신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수신하는 평가 결과 텍스트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학습 데이터로 추출하고, Word2Vec 알고리즘으로 학습 데이터를 학습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하고,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벡터 값의 구간 별로 평점을 부여한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신경망에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현재 수신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입력하여 평가 결과 벡터 값을 추출하고,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평가 결과 벡터 값에 대응하는 평점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점을 상기 앱 기반 무전기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PTZ 카메라로부터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의 상기 영상정보의 전송 여부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 발생 모듈은, 전면 및 후면 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수납공간에 배터리 및 소정 제어 모듈을 수납하고, 일측에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앱 기반 무전기가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상기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발생시키는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소정 설치면에 설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점등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LED 모듈로 구비되며, 소정 주기로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LED 설치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점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수정 두께의 판 형태로 구비되는 설치 플레이트; 및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밑면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 플레이트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각 변이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각 변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며, 밑면에 접착 스티커를 구비하여 상기 설치면에 상기 몸체부를 부착 설치하는 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발생 모듈은, 사면체로 구비되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설치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소정 탄성력을 갖는 고무 소재로 구비되고, 수직 바아 및 수평 바아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로 구비되는 설치 바아; 및 접착 테이프로 구비되고, 상기 설치 바아에 설치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바아는, 상기 수직 바아의 측면이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측면에 닿게 맞춰지고, 상기 수평 바아의 상면이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밑면에 닿게 맞춰진 후 소정 접착 수단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수평 바아는, 밑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두께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며, 후단에 합아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일단이 상기 돌기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에 맞추어 설치되어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설치면에 부착되는 부착면; 및 상기 부착면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부착면의 타면을 절개한 복수의 절개편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설치면에 부착되는 절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관제 센터에서는 무전기 뿐만 아니라 앱 기반 무전기를 통해 수신하는 현장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은 통상의 무전기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동일하게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익숙한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딥러닝 신경망을 통한 서비스 평가 결과 산출 및 공유를 통해 서비스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성능 향상 효과를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알람 발생 모듈을 포함하여 앱 기반 무전기가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현장의 영상이 송출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도 탄성력을 갖는 설치 바아 및 경사지게 마련되는 부착면에 의해 설치면을 가압하여 부착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절개편을 개별적으로 부착하여 설치면의 형태의 구애받지 않고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앱 기반 무전기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앱 기반 무전기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은 영상 획득부(100), 라우터부(200) 및 앱 기반 무전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은 영상 획득부(100)에서 획득하는 현장의 영상을 앱 기반 무전기(300)를 통해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중앙 관제 센터에서는 앱 기반 무전기(300)를 통해 수신하는 현장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획득부(100)는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하면서 현장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PTZ 카메라(110) 및 스위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PTZ 카메라(110)는 전동 줌 렌즈가 장착된 카메라로서, 팬(Pan)/틸트(Tilt)/줌(Zoom) 구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현장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정보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TZ 카메라(110)는 스피드 돔(Speed Dome), 팬틸터(Pan-Tilter), 미니 PT 돔, 슬로우 돔 등 어느 하나의 PTZ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PTZ 카메라(110)는 차량의 지붕 전방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TZ 카메라(110)는 와이파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와이파이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PTZ 카메라(110)는 와이파이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앱 기반 무전기(300)로 영상정보를 전송하거나, 앱 기반 무전기(300)로부터 구동장치의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위치(120)는 PTZ 카메라(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PTZ 카메라(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차량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라우터부(200)는 USIM 카드를 꽂을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하여, USIM 카드의 삽입에 의해 발생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통하여 차량 내 와이파이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즉, 라우터부(200)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영상 획득부(100)와 앱 기반 무전기(300)를 연결할 수 있다.
앱 기반 무전기(300)는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일예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앱 기반 무전기(300)는 라우터부(200)에 의해 구축되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영상 획득부(100)와 연결되어 영상 획득부(100)에서 획득하는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영상정정보를 외부 중앙 관제 센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앱 기반 무전기(3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 중앙 관제 센터 서버로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앱 기반 무전기(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획득부(100)로부터의 영상정보 수신, 영상 획득부(100)의 구동장치 제어, 중앙 관제 센터 서버로 영상정보 전송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은 통상의 무전기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동일하게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함으로써 익숙한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앱 기반 무전기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앱 기반 무전기(300)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앱 기반 무전기(300)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할 수 있다. 앱 기반 무전기(300)는 사용자의 로그인이 승인되는 경우, 구동장치 제어, 중앙 관제 센터 서버로 영상정보 전송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앱 기반 무전기(300)는 통상의 무전기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동일하게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앱 기반 무전기(300)는 영상정보 수신 버튼(④)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앱 기반 무전기(300)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정보 수신 버튼(④)이 입력되는 경우, 영상 획득부(100)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100)는 3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에 탑재되어 앱 기반 무전기(300)와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유형(Wifi Camera), 앱 기반 무전기(300)에 자체 탑재된 유형(Phone Camera) 및 앱 기반 무전기(300)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유형(USB Camera)으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영상 획득부(100) 선택 화면에서 Wifi Camera 선택 버튼(⑤)을 입력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앱 기반 무전기(300)와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영상 획득부(100)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앱 기반 무전기(300)는 영상 획득부(1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앱 기반 무전기(300)는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영상 획득부(10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2000)은 영상 획득부(150), 케이블부(151, 301) 및 앱 기반 무전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시스템(2000)은 영상 획득부(150)에서 획득하는 현장의 영상을 앱 기반 무전기(300)를 통해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중앙 관제 센터에서는 앱 기반 무전기(300)를 통해 수신하는 현장 영상에 기반하여 재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시스템(2000)은 도 1에 도시된 게이트웨이 시스템(1000)과 비교하였을 때, 영상 획득부(150)가 앱 기반 무전기(300)와 와이파이 통신망이 아닌 케이블부(151, 301)를 통해 유선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영상 획득부(150)는 웨어러블 카메라(150)로 구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150)는 사용자의 몸이나 옷, 모자 또는 가방에 부착 또는 소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현장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앱 기반 무전기(300)는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일예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앱 기반 무전기(3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150) 및 앱 기반 무전기(300)는 케이블부(151, 301)를 통해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부(151, 301)는 웨어러블 카메라(150)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HDMI 케이블(151) 및 앱 기반 무전기(300)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UVC 케이블(301)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카메라(150) 및 앱 기반 무전기(300)는 각각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HDMI 케이블(151) 및 UVC 케이블(301) 간의 연결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앱 기반 무전기(300)는 이처럼 케이블부(151, 301)를 통해 웨어러블 카메라(150)와 연결되어 웨어러블 카메라(150)에서 획득하는 영상정보를 외부 중앙 관제 센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앱 기반 무전기(3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 중앙 관제 센터 서버로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앱 기반 무전기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앱 기반 무전기(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할 수 있으며, 영상정보 수신 버튼(④)이 입력되는 경우, 영상 획득부(100) 선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영상 획득부(100) 선택 화면에서 USB Camera 선택 버튼(⑤)을 입력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앱 기반 무전기(300)와 케이블부(151, 301)를 통해 연결되는 웨어러블 카메라(150)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3000)은 무전기(10), 게이트웨이부(20) 및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전기(10)는 통상의 단방향 휴대용 무선통신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전기(10)는 안테나, 듀플렉서, 무선 수신부, 무선 송신부, 마이크, 스피커, 채널 선택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전기(10)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내에 구비되거나,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카메라(150)를 부착 또는 사용자가 부착 또는 소지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부(20)는 무전기(10) 및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을 연결할 수 있으며, RoIP 모듈(21) 및 마이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RoIP 모듈(21)은 고유 주파수 채널을 구비하여 무전기(10)와의 통신 채널을 유지할 수 있다. 즉, RoIP 모듈(21)은 고유 주파수 채널을 통해 무전기(10)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oIP 모듈(21)은 무전기(10)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의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RoIP 모듈(21)은 무전기(10)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신호를 컴퓨터용 신호 및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RoIP 모듈(21)은 인터넷 망을 통해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로부터 수신하는 무전기(10)를 고유 주파수 채널을 통해 무전기(1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부(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부(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고유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무전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RoIP 모듈(21)은 마이크부(2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전기(10)로 송신하거나,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신호를 무전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은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일예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은 현장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중앙 관제 센터에 마련되는 단말일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부(20)를 통해 무전기(10)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게이트웨이부(20)를 통해 무전기(1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앱 기반 무전기(300)로부터 현장의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은 무전기(10)를 통해 현장에 있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거나, 앱 기반 무전기(300)를 통해 현장의 영상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원격으로 현장의 재난상황을 관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에 구비되어 영상정보의 전송 여부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 모듈(600)은 몸체부(610), 지지부(620) 및 점등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10)는 전면 및 후면 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부 수납공간에 배터리 및 소정 제어 모듈을 수납하고, 일측에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610)는 앱 기반 무전기(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앱 기반 무전기(3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610)는 앱 기반 무전기(300)가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로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앱 기반 무전기(300)로부터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지지부(620)는 몸체부(6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620)는 설치 플레이트(621) 및 부착 플레이트(622)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621)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부착 플레이트(622)는 설치 플레이트(621)의 밑면에 설치되되, 설치 플레이트(621)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각 변이 설치 플레이트(621)의 각 변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부착 플레이트(622)의 밑면은 접착 스티커가 구비되어 소정 위치에 알람 발생 모듈(600)을 부착 설치할 수 있다.
점등부(630)는 몸체부(6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6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점등부(630)는 LED 설치 플레이트(621)를 통해 몸체부(610)에 설치될 수 있는데, LED 설치 플레이트(621)는 소정 주기로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ED 설치 플레이트(621)는 소정 주기로 진동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용자가 계속하여 LED가 점등되어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 모듈(600)은 앱 기반 무전기(300)가 중앙 관제 센터 단말(30)로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현장의 영상이 송출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 모듈(600)은 지지부(6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설치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640)는 사면체로 구비되는 설치 플레이트(621)의 측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바아(650) 및 접착부재(66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바아(650)는 수직 바아(651) 및 수평 바아(65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는 'ㄴ'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소정 탄성력을 갖는 고무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바아(650)는 수직 바아(651)의 측면이 설치 플레이트(621)의 측면에, 수평 바아(652)의 상면이 설치 플레이트(621)의 밑면에 닿게 맞춰진 후 소정 접착 수단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수평 바아(652)의 밑면은 경사면(654)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654)은 도면에서 보았을 때, 두께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얇게 되면서 형성된다. 경사면(654)은 후술하는 접착부재(66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부재(660)는 경사면(654)과 같은 경사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 바아(652)는 후단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65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653)는 후술하는 접착부재(660)의 경사면(654)에 대한 설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돌기(653)는 부착 플레이트(622)의 측면에 닿게 맞춰질 수 있다.
접착부재(660)는 접착 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부착면(661) 및 절개면(662)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면(661)은 수평 바아(652)의 밑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 바아(652)의 밑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즉, 부착면(661)은 일단이 돌기(653)에 맞닿은 상태에서 경사면(654)에 맞추어 설치됨으로써 부착 플레이트(622)의 측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절개면(662)은 부착면(661)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부착면(661)의 타면을 종방향으로 절개한 복수의 절개편(662a)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부(640)는 알람 발생 모듈(600)의 설치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도 탄성력을 갖는 설치 바아(650) 및 경사지게 마련되는 부착면(661)에 의해 설치면을 가압하여 부착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절개편(662a)을 개별적으로 부착하여 설치면의 형태의 구애받지 않고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영상정보 전송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서버는 앱 기반 무전기(300)로 서비스에 대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 텍스트를 분석하여 서비스의 평점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는 평가 결과 텍스트일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앱 기반 무전기(300)로부터 수신하는 평가 결과 텍스트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학습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Word2Vec 알고리즘으로 학습 데이터를 학습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신경망 언어 모델(NNLM :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망 언어 모델은 기본적으로 Input Layer, Projection Layer, Hidden Layer, Output Layer로 이루어진 Neural Network이다. 신경망 언어 모델은 단어를 벡터화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것이다. 신경망 언어 모델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Word2vec 알고리즘은,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것으로, 각 단어 간의 앞, 뒤 관계를 보고 근접도를 정하는 알고리즘이다. Word2vec 알고리즘은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이다. Word2vec 알고리즘은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어의 의미를 벡터형태로 표현하는 계량기법일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각 단어를 200차원 정도의 공간에서 백터로 표현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각 단어마다 단어에 해당하는 벡터를 구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종래의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비약적인 정밀도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Word2vec은 입력한 말뭉치의 문장에 있는 단어와 인접 단어의 관계를 이용해 단어의 의미를 학습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인공 신경망에 근거한 것으로, 같은 맥락을 지닌 단어는 가까운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Word2vec 알고리즘은 텍스트 문서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며, 한 단어에 대해 근처(전후 5 내지 10 단어 정도)에 출현하는 다른 단어들을 관련 단어로서 인공 신경망에 학습시킨다. 연관된 의미의 단어들은 문서상에서 가까운 곳에 출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학습을 반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두 단어는 점차 가까운 벡터를 지닐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의 학습 방법은 CBOW(Continuous Bag Of Words) 방식과 skip-gram 방식이 있다. CBOW 방식은 주변 단어가 만드는 맥락을 이용해 타겟 단어를 예측하는 것이다. skip-gram 방식은 한 단어를 기준으로 주변에 올 수 있는 단어를 예측하는 것이다.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는 skip-gram 방식이 더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skip-gram 방식을 이용한 Word2vec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예컨대, Word2vec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이 잘 완료되면, 고차원 공간에서 비슷한 단어는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Word2vec 알고리즘에 따르면 학습 문서 내 주위 단어의 분포가 가까운 단어일수록 산출되는 벡터 값은 유사해질 수 있으며, 산출된 벡터 값이 비슷한 단어는 유사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Word2vec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벡터 값 계산과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리 서버는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벡터 값의 구간 별로 평점을 부여한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신경망에 앱 기반 무전기(300)로부터 수신하는 평가 결과 텍스트를 입력하여 평가 결과 벡터 값을 추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벡터 값의 구간 별로 평점을 부여한 테이블에서 평가 결과 벡터 값에 대응하는 평점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점을 앱 기반 무전기(300)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100: 영상 획득부
110: PTZ 카메라
120: 스위치
200: 라우터부
300: 앱 기반 무전기

Claims (2)

  1.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 영상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실행되고, 상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앱 기반 무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차량의 지붕 전방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와이파이 무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 PTZ 카메라; 및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USIM 카드를 꽂을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하여 상기 USIM 카드의 삽입에 의해 발생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차량 내 와이파이 환경을 구축하고,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PTZ 카메라 및 상기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라우터부; 및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 및 상기 앱 기반 무전기를 유선 연결하는 케이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HDMI 케이블; 및
    상기 앱 기반 무전기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UVC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현장을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중앙 관제 센터에 구비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중앙 관제 센터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는,
    상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PTZ 카메라 또는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영상 획득부를 선택 받기 위한 선택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PTZ 카메라가 선택되는 경우,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상기 PTZ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부를 통해 유선 연결된 상기 웨어러블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단방향 휴대용 무선통신기로 구비되는 무전기; 및
    상기 무전기 및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는,
    고유 주파수 채널을 구비하여 상기 무전기와의 통신 채널을 유지하고, 상기 고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상기 무전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전기로부터 수신하는 음성 신호를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전송하는 RoIP 모듈;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를 상기 고유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무전기로 송신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무전망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수신하는 평가 결과 텍스트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학습 데이터로 추출하고, Word2Vec 알고리즘으로 학습 데이터를 학습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문맥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을 구축하고, 문맥 정보를 나타내는 벡터 값의 구간 별로 평점을 부여한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신경망에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부터 현재 수신한 평가 결과 텍스트를 입력하여 평가 결과 벡터 값을 추출하고,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평가 결과 벡터 값에 대응하는 평점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점을 상기 앱 기반 무전기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앱 기반 무전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PTZ 카메라로부터 상기 앱 기반 무전기로의 상기 영상정보의 전송 여부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알람 발생 모듈은,
    전면 및 후면 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수납공간에 배터리 및 소정 제어 모듈을 수납하고, 일측에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앱 기반 무전기가 상기 중앙 관제 센터 단말로 상기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발생시키는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소정 설치면에 설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점등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LED 모듈로 구비되며, 소정 주기로 진동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LED 설치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점등부;를 포함하는,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32421A 2021-03-12 2021-03-12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Active KR10231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21A KR102313665B1 (ko) 2021-03-12 2021-03-12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21A KR102313665B1 (ko) 2021-03-12 2021-03-12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665B1 true KR102313665B1 (ko) 2021-10-18

Family

ID=7827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21A Active KR102313665B1 (ko) 2021-03-12 2021-03-12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6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914A (ko) * 2016-08-08 2018-02-20 (주)티아이스퀘어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성 및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2043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음성을 이용한 통신 연결 방법
KR20190121451A (ko) * 2018-04-18 2019-10-28 고은옥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90121458A (ko) * 2018-04-18 2019-10-28 고은옥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914A (ko) * 2016-08-08 2018-02-20 (주)티아이스퀘어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성 및 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2043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음성을 이용한 통신 연결 방법
KR20190121451A (ko) * 2018-04-18 2019-10-28 고은옥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190121458A (ko) * 2018-04-18 2019-10-28 고은옥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경호 거리 알림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9758B2 (en) Interactive personalized robot for home use
US7356473B2 (en) Management and assistance system for the deaf
CN112166350A (zh) 智能设备中的超声感测的系统和方法
KR20210010270A (ko) 로봇 및 그의 기동어 인식 방법
TW201828282A (zh) 語音控制裝置、系統及控制方法
CN108574515B (zh) 一种基于智能音箱设备的数据分享方法、装置和系统
CN204903983U (zh) 一种智能家居系统及其无人飞行器、智能中枢设备
CN104360599A (zh) 基于led照明装置的智能家庭控制方法、设备及系统
US12170014B2 (en) Vehicle state presentation system, vehicle, terminal device, and vehicle state presentation method
KR102342559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15231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home environment using led lighting device
JP5970232B2 (ja) 避難情報提供装置
KR1023995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0969B1 (ko)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몰래 카메라를 탐지한 결과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358591A1 (en) Security method using image fram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the method
CN114079838A (zh) 一种音频控制方法、设备及系统
US9996730B2 (en) Vision-assist systems adapted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session
KR20150090476A (ko) 이동단말기,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그리고 이들의 구동방법
KR201600394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313665B1 (ko) 무전기와 앱 기반 무전기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1496730B1 (ko) 이동 영상 실시간 전송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26732B1 (ko) 유괴 및 미아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시스템
KR20150089283A (ko) 웨어러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625615B1 (ko) 이벤트 알림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24184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