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930B1 - Vacuum Suction Golf Ball Feeder - Google Patents
Vacuum Suction Golf Ball Fee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4930B1 KR102284930B1 KR1020200018482A KR20200018482A KR102284930B1 KR 102284930 B1 KR102284930 B1 KR 102284930B1 KR 1020200018482 A KR1020200018482 A KR 1020200018482A KR 20200018482 A KR20200018482 A KR 20200018482A KR 102284930 B1 KR102284930 B1 KR 102284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e
- cylinder
- golf ball
- vacuum
- su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suction c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공이 티업실린더에 진공 흡착된 상태로 티업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티업실린더 지름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골프공과 티업실린더 간에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면서 타격저항이 감소되고, 스핀을 줄여 주어 비거리향상을 도모하며, 특히 골프공이 상향 이동 중 이탈이 방지되어 급속이송모드에 의한 티업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golf ball is teeed up in a vacuum adsorbed state to the tee-up cylinder, so that the diameter of the tee-up cylinder can be miniaturized, and thereb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tee-up cylinder As this is minimized, the striking resistance is reduced, the spin is reduced to improve the flying distance, and in particular, the golf ball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ring upward movement, thereby reducing the tee-up cycle time by the rapid transfer mode. will be.
골프란, 작고 둥근 골프공을 골프체로 타격하여 작은 홀 안에 집어넣되, 적은 횟수의 타격으로 집어넣어 승부를 가리는 스포츠로서, 폭 넓은 층의 인기를 얻고 있는 종목이다.Golf is a sport in which a small round golf ball is hit with a golf body and put into a small hole, and the game is decided by inserting it with a small number of hits.
최근에는 골프가 대중에 많이 보급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골프를 즐기고 있으며, 점점 그 인구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s golf is widely spread to the public, many people enjoy golf, and the population is also increasing.
이러한 골프를 즐기기 위하여 골프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쳐서 원하는 거리에 안착시키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기술은 골프장에 나가기 전 보통 실내외 골프연습장에서 많은 연습을 한다.In order to enjoy golf, it is very important to learn the technique of hitting a golf ball in a desired direction and landing it at a desired distance, and these skills are usually practiced at indoor and outdoor golf driving ranges before going out to the golf course.
이러한 골프 연습장에서 골퍼들에게 골프공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장치가 소위 티업장치라고 불리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이다.A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golf balls to golfers in such a golf driving range is an automatic golf ball supply device called a so-called tee-up device.
이러한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국내 등록특허 10-623159호의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와, 국내 등록실용신안 20-431940호의 골프공 티업장치와, 국내 공개특허 10-2008-65570호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국내 등록특허 10-835344호의 홀 이송밸트 타입 골프공 이송장치 등과, 본 출원인에 의하여 국내 등록특허 10-807658호의 골프연습기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와 같이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Such an automatic golf ball supply device includes the automatic golf ball tee-up device of Korean Patent No. 10-623159, the golf ball tee-up device of the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431940, the automatic golf ball supply device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65570,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the hole transfer belt type golf ball transfer device of Korean Patent No. 10-835344, and the golf ball automatic supply device of the golf practice machine of Korean Patent No. 10-807658 by the present applicant.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골프공이 티업핀에 받쳐진 상태로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므로, 골프공이 티업핀 상단에 안착되어 이동되어야 하는 구조적 특성상 골프공이 이동되는 중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티업핀 직경을 확장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 티업핀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골프공을 타격시 타격감이 저하됨과 더불어 스윙연습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폐단이 따랐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golf ball is moved upward while supported on the tee-up pin, the tee-up pin diameter must be adjusted to prevent the golf ball from being separated while the golf ball is being moved due to the structural nature of the golf ball being seated on the top of the tee-up pin and moving. The tee-up pin's flexibility was lowered due to this, and the feeling of hitting the golf ball was lowered, and the negative effect was acting as a hindrance to swing practic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골프공이 티업실린더에 진공 흡착된 상태로 티업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티업실린더 지름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골프공과 티업실린더 간에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면서 타격저항이 감소되고, 스핀을 줄여 주어 비거리향상을 도모하며, 특히 골프공이 상향 이동 중 이탈이 방지되어 급속이송모드에 의한 티업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 golf ball is teeed up in a vacuum adsorbed state to the tee-up cylinder, so that the diameter of the tee-up cylinder can be miniaturized. To provide a vacuum adsorp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that can reduce hitting resistance while minimizing, reduce spin, improve flying distance, and reduce tee-up cycle time by rapid traverse mode by preventing the golf ball from breaking out during upward movement that has its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피더(12)를 타고 개별 공급되는 골프공(1)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14)이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가이드레일(14)을 타고 공급되는 골프공(1)을 안착 지지하고, 바닥면에 티업홀(22)이 형성되는 경사 스테이지(20); 상기 경사 스테이지(20)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빈 중공관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흡착구(32)가 형성되며, 구동부(34)에 의해 티업홀(22)을 통하여 상향 이동되면서 골프공(1)을 스윙타점으로 이송하는 티업실린더(30); 및 상기 티업실린더(30)가 상향 이동시, 티업실린더(3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구(32)에 골프공(1)을 흡착시키도록 구비되는 공기흡입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상기 공기흡입부(40)는, 티업실린더(30)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하단부가 본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로드봉(42)과, 로드봉(42) 상단부에 설치되어 티업실린더(30)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피스톤(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34)에 의해 티업실린더(30)가 상향 이동시, 피스톤(44)과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티업실린더(30) 내부 공기가 흡입되면서 흡착구(32)에 골프공(1)이 진공 흡착된 상태로 상향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티업실린더(30) 하부에는 외기유입구(33)가 형성되고, 외기유입구(33)는 티업실린더(30)가 상사점까지 이동된 시점에 외부공기를 티업실린더(30) 내부로 유입시켜 골프공(1)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또한, 상기 티업실린더(30) 흡착구(32)에 복수의 흡기공(32a)이 분산 배치되고, 흡기공(32a)에 의해 복수개소에서 진공 흡착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take holes (32a) are dispersedly disposed in the suction port (32) of the tee-up cylinder (30),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that a vacuum suction force is generated at a plurality of places by the intake holes (32a).
또한, 상기 티업실린더(30)는, 구동부(34)에 연결되는 경질의 하부관체(30a)와, 하부관부(30a) 상부에 연결되는 연질의 상부관체(3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e-up cylinder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ard lower tube body (30a)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4), and a soft upper tube body (30b)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ube portion (30a).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골프공이 티업실린더에 진공 흡착된 상태로 티업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티업실린더 지름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골프공과 티업실린더 간에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면서 타격저항이 감소되고, 스핀을 줄여 주어 비거리향상을 도모하며, 특히 골프공이 상향 이동 중 이탈이 방지되어 급속이송모드에 의한 티업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ac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the structure so that the golf ball is teeed up in a vacuum adsorbed state to the tee-up cylinder, so that the diameter of the tee-up cylinder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the spin is reduced to improve the flying distance, and in particular, the golf ball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during upward movement, thereby shortening the tee-up cycle time by the rapid traverse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의 티업실린더가 상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의 티업실린더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의 흡기공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vacuum suc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e-up cylinder of the vacuum suc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upward.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tee-up cylinder of the vacuum suc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ake hole of a vacuum suc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골프공이 티업실린더에 진공 흡착된 상태로 티업 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티업실린더 지름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골프공과 티업실린더 간에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면서 타격저항이 감소되고, 스핀을 줄여 주어 비거리향상을 도모하며, 특히 골프공이 상향 이동 중 이탈이 방지되어 급속이송모드에 의한 티업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기 위해 본체(10), 경사 스테이지(20), 티업실린더(30), 공기흡입부(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which has a structure improved so that the golf ball is teeed up in a vacuum-adsorbed state to the tee-up cylinder, so that the diameter of the tee-up cylinder can be miniaturized, there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tee-up cylinder.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피더(12)를 타고 개별 공급되는 골프공(1)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14)이 구비된다. 본체(10)는 피더(12)는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원형플레이트의 회전력에 의해 골프공이 1개씩 개별 공급되거나, 복수의 칸막이가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골프공이 개별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골프공 피더 장치는 통상의 피더장치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스테이지(20)는 상기 가이드레일(14)을 타고 공급되는 골프공(1)을 안착 지지하고, 바닥면에 티업홀(22)이 형성된다. 경사 스테이지(20)는 높은 측 일단이 가이드레일(14)과 대응하게 배치되고, 낮은 측 단부에는 골프공이 안착 대기 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며, 수용홈과 대응하는 바닥면에 티업홀(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티업실린더(30)의 상하이동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티업실린더(30)는 상기 경사 스테이지(20)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빈 중공관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흡착구(32)가 형성되며, 구동부(34)에 의해 티업홀(22)을 통하여 상향 이동되면서 골프공(1)을 스윙타점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tee-up cylind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 the
이때, 상기 티업실린더(30)는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상, 하방향 이동이 안내되고, 이때 구동부(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운동되는 벨트에 티업실린더(30) 하단부가 연결되어, 모터의 정, 역 구동방향에 따라 티업실린더(30)의 상, 하 이동이 제어되거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캠과 캠휠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티업실린더(30)를 이송하는 구성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ee-up cylinder 30 is supported by the guide rail to guide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nd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티업실린더(30)는 고무를 포함하는 연질의 관체로 형성되거나, 도 3처럼 티업실린더(30)는, 구동부(34)에 연결되는 금속관, 플라스틱 관을 포함하는 경질의 하부관체(30a)와, 하부관부(30a) 상부에 연결되는 고무 관을 포함하는 연질의 상부관체(30b)로 이루어진다. 이에 티업실린더(30)를 5~15mm 지름의 소형 관체로 형성하더라도 경질의 하부관체(30a)에 의한 구동부(34)에 의한 동력전달이 용이함과 더불어 연질의 상부관체(30b)에 의한 스윙시 간섭이 방지된다.And, the tee-up cylinder 30 is formed of a soft tube containing rubber, or as shown in FIG. 3 , the t-up cylinder 30 is a h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흡입부(40)는 상기 티업실린더(30)가 상향 이동시, 티업실린더(3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구(32)에 골프공(1)을 흡착시키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공기흡입부(40)는, 티업실린더(30)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하단부가 본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로드봉(42)과, 로드봉(42) 상단부에 설치되어 티업실린더(30)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피스톤(44)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구동부(34)에 의해 티업실린더(30)가 상향 이동시, 피스톤(44)과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티업실린더(30) 내부 공기가 흡입되면서 흡착구(32)에 골프공(1)이 진공 흡착된 상태로 상향 이송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티업실린더(30)를 5~15mm 지름의 소형 관체로 형성하더라도 골프공이 스윙타점으로 상향 이동되는 중에 이탈이 방지된다.And when the tee-up cylinder 30 is moved upward by the
이처럼 구동부(34)에 의해 티업실린더(30)가 상향 이동력에 의해 흡착구(32)를 통한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진공 발생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콤팩트화가 가능함과 더불어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As such, since the tee-up cylinder 30 generates suction force through the
또, 상기 티업실린더(30) 지름의 소형화로 인해 골프공(1)과 티업실린더(30) 간에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면서 타격저항이 감소되고, 스핀을 줄여 주어 비거리 향상을 도모하며, 특히 골프공(1)이 상향 이동 중 이탈이 방지되어 급속이송모드에 의한 티업 사이클 타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diameter of the tee-up cylinder 30,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또한, 상기 티업실린더(30) 하부에는 외기유입구(33)가 형성되고, 외기유입구(33)는 티업실린더(30)가 상사점까지 이동된 시점에 외부공기를 티업실린더(30) 내부로 유입시켜 골프공(1)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기유입구(33)는 티업실린더(30)가 상사점에 도달한 위치에서 피스톤(44) 대비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이에 골프공(1)이 티업실린더(30)에 흡착구(32)에 흡착 고정된 상태로 상사점(스윙타점)에 도달하는 시점에 외기유입구(33)를 통하여 티업실린더(30)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흡착구(32)를 통한 흡착력이 해제됨에 따라 골프공(1)을 타격시 흡착에 의한 저항이 해제된다.Accordingly, when the
도 4에서, 상기 티업실린더(30) 흡착구(32)에 복수의 흡기공(32a)이 분산 배치되고, 흡기공(32a)에 의해 복수개소에서 진공 흡착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골프공(1) 표면에 요철홈이 형성되는 특성상 복수의 흡기공(32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요철홈이 미형성된 위치에 흡착되어 골프공(1)이 흡착 고정된다.In FIG. 4 , a plurality of
10: 본체 20: 경사 스테이지
30: 티업실린더 40: 공기흡입부10: body 20: inclined stage
30: tee-up cylinder 40: air intake
Claims (5)
상기 가이드레일(14)을 타고 공급되는 골프공(1)을 안착 지지하고, 바닥면에 티업홀(22)이 형성되는 경사 스테이지(20);
상기 경사 스테이지(20)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빈 중공관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 흡착구(32)가 형성되며, 구동부(34)에 의해 티업홀(22)을 통하여 상향 이동되면서 골프공(1)을 스윙타점으로 이송하는 티업실린더(30); 및
상기 티업실린더(30)가 상향 이동시, 티업실린더(3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구(32)에 골프공(1)을 흡착시키도록 구비되는 공기흡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40)는, 티업실린더(30)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하단부가 본체(10) 바닥에 고정되는 로드봉(42)과, 로드봉(42) 상단부에 설치되어 티업실린더(30)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피스톤(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34)에 의해 티업실린더(30)가 상향 이동시, 피스톤(44)과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티업실린더(30) 내부 공기가 흡입되면서 흡착구(32)에 골프공(1)이 진공 흡착된 상태로 상향 이송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티업실린더(30) 하부에는 외기유입구(33)가 형성되고, 외기유입구(33)는 티업실린더(30)가 상사점까지 이동된 시점에 외부공기를 티업실린더(30) 내부로 유입시켜 골프공(1)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guide rail 14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golf balls 1 that are individually supplied on the feeder 12;
an inclined stage 20 for seating and supporting the golf ball 1 supplied on the guide rail 14 and having a tee-up hole 2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golf ball (1) is installed under the inclined stage 20, the inside is formed of an empty hollow tube, and the suction port 32 is formed at the upper part, and is moved upward through the tee-up hole 22 by the driving unit 34. ) a tee-up cylinder (30) for transferring the swing hit point; and
When the tee-up cylinder 30 moves upward, the air suction unit 40 is provided to suck the air inside the tee-up cylinder 30 and to adsorb the golf ball 1 to the suction port 32;
The air suction part 40 is installed in the tee-up cylinder 30,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dy 10, the rod rod 42, and the rod rod 42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tee-up cylinder 30 ) Consists of a piston 44 that sucks internal air, and when the tee-up cylinder 30 moves upward by the driving unit 34, the air inside the t-up cylinder 30 is sucked by sliding motion with the piston 44 It is provided so that the golf ball (1) is transferred upward in a vacuum adsorbed state in the suction port (32),
An outdoor air inlet 3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ee-up cylinder 30, and the outdoor air inlet 33 introduces external air into the tee-up cylinder 30 when the tee-up cylinder 30 is moved to top dead center to introduce a golf ball. (1) Vacuum adsorption type golf ball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so as to release the vacuum adsorption force.
상기 티업실린더(30) 흡착구(32)에 복수의 흡기공(32a)이 분산 배치되고, 흡기공(32a)에 의해 복수개소에서 진공 흡착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intake holes (32a) are dispersedly disposed in the suction port (32) of the tee-up cylinder (30), and vacuum suction type golf ball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generate a vacuum suction force at a plurality of places by the intake holes (32a) Device.
상기 티업실린더(30)는, 구동부(34)에 연결되는 경질의 하부관체(30a)와, 하부관부(30a) 상부에 연결되는 연질의 상부관체(3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식 골프공 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tee-up cylinder 30 is a vacuum suction golf b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ard lower tube body 30a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4, and a soft upper tube body 30b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ube portion 30a. suppl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18482A KR102284930B1 (en) | 2020-02-13 | 2020-02-13 | Vacuum Suction Golf Ball Fee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18482A KR102284930B1 (en) | 2020-02-13 | 2020-02-13 | Vacuum Suction Golf Ball Feed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84930B1 true KR102284930B1 (en) | 2021-08-02 |
Family
ID=7731557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18482A Active KR102284930B1 (en) | 2020-02-13 | 2020-02-13 | Vacuum Suction Golf Ball Feed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84930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71005A (en) * | 1992-07-07 | 1994-03-15 | Seijun Oi | Practicing device for golf |
| JP2000079188A (en) * | 1998-09-04 | 2000-03-21 | Katsutoshi Takae | Golf practicing machine |
| JP2007518434A (en) * | 2003-01-24 | 2007-07-12 | エアーティー リミテッド | Semi-automatic air tee |
-
2020
- 2020-02-13 KR KR1020200018482A patent/KR1022849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71005A (en) * | 1992-07-07 | 1994-03-15 | Seijun Oi | Practicing device for golf |
| JP2000079188A (en) * | 1998-09-04 | 2000-03-21 | Katsutoshi Takae | Golf practicing machine |
| JP2007518434A (en) * | 2003-01-24 | 2007-07-12 | エアーティー リミテッド | Semi-automatic air te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211635160U (en) | Football training apparatus | |
| CN114056937B (en) | Multi-station automatic sucking and processing production line for electronic chips | |
| CN108888937B (en) | Volleyball service robot capable of achieving ball killing through transmitting buckles | |
| US5133557A (en) | Golf practicing apparatus | |
| KR102284930B1 (en) | Vacuum Suction Golf Ball Feeder | |
| KR100974033B1 (en) | A feeder of golf ball | |
| US5016886A (en) | Automatic golf ball tee apparatus | |
| CN105963950A (en) | Tennis throwing device for tennis serving movement exercising | |
| CN112107843B (en) | A table tennis table with serving function | |
| EP1711235B1 (en) | Semi automatic air tee | |
| WO2015084020A1 (en) | Automatic baseball practice device | |
| CN206587380U (en) | A kind of table tennis ball serving trainer | |
| CN211585138U (en) | Training is with quick ball ware of getting of badminton | |
| WO2007116595A1 (en) | Ball game device | |
| CN207970431U (en) | A kind of stable type badminton net with automatically picking up balls function | |
| CN216456799U (en) | Structure of basketball shooting game machine | |
| JPH0924130A (en) | Automatic teeing up device of golf ball | |
| CN213667835U (en) | Continuous ball throwing device | |
| CN212214549U (en) | a tennis ball | |
| JP2719739B2 (en) | Ball supply device for ball launch game machine | |
| KR20130011605A (en) | Auto-tee up apparatus of golf ball | |
| CN111991785A (en) | Hitting type badminton pitching machine | |
| CN221358439U (en) | Shooting machine for basketball training | |
| CN112891880A (en) | Dribbling shooting training device for basketball teaching | |
| CN220530621U (en) | A magnetic wooden ba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