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1814B1 -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 Google Patents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14B1
KR102271814B1 KR1020180002599A KR20180002599A KR102271814B1 KR 102271814 B1 KR102271814 B1 KR 102271814B1 KR 1020180002599 A KR1020180002599 A KR 1020180002599A KR 20180002599 A KR20180002599 A KR 20180002599A KR 102271814 B1 KR102271814 B1 KR 10227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elete delete
specific gravity
centrifug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625A (ko
Inventor
신현순
Original Assignee
신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순 filed Critical 신현순
Priority to KR102018000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2Inserts, e.g. armouring plate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분리시 비중에 따라 원심분리용기 내에서 농축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을 경계하여 재혼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원심분리용기 내부에 더 구비되되, 상단이 개구된 바스켓 형태로써,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공정시, 상기 원심분리용의 용기본체 내 챔버에서 성분별로 농축 분리되는 시료 각 성분의 비중차에 의거 분리된 성분을 경계하도록 위치이동을 이루는 바닥단; 및, 상기 바닥단의 테두리부위로부터 상측으로 연이어져, 상기 용기본체 내벽면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바닥단의 위치이동을 안내하는 둘레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DECOMPOSITION FLOAT FOR CENTRIFUGE-CONTAINER}
본 발명은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분리시 비중에 따라 원심분리용기 내에서 농축 분리된 시료의 각 성분을 경계하여 재혼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관한 것이다.
부유물이 있는 현탁액(縣濁滅)을 가만히 두면 비중이 높은 물질은 중력의 영향으로 서서히 바닥으로 가라앉고 비중이 낮은 물질은 서서히 상층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을 침전(沈澱, sediment)이라 한다. 이렇듯, 비중차가 나는 물질이 섞이면 침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 혼합물을 비중차에 따라 분리해 낼 수 있다.
즉, 혼합물끼리의 비중차는 중력이 강해질수록 커지므로 인위적으로 중력을 높이면 침전현상을 가속할 수 있다. 따라서, 중력 대신 원심력을 이용하면 쉽게 침전현상을 가속시킬 수 있는데 이런 과정을 원심분리(遠心分離, centrifugation)라 한다.
전술한 원심분리의 원리를 이용해, 비중(밀도)가 다른 물질을 분리, 정제, 농축하는데 쓰이는 기기인 원심분리기(遠心分離機, centrifugal separator)는 사용목적에 따라 의료용, 폐수처리용, 우라늄농축용, 생산용, 실험용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의료용 원심분리기는 혈액, 뇨, 타액 등의 분석을 위한 구성성분 분리의 목적도 있지만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rich plasma; PRP) 추출 등의 목적으로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한 혈소판풍부혈장은 골수나 혈액과 같은 복합유체(이하 "시료"라 함)의 원심분리로 얻을 수 있으며, 일반 골수나 혈액보다 혈소판이 풍부한 고농축 혈장 성분을 의미하는바, 여러 성장인자들을 함유하고 있어 상처치유와 손상부위를 재생 재건하는 작용을 한다. 가령, 인대(靭帶)·연골 등의 손상부위에 주사하여 손상된 부분을 재건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자신의 골수 또는 혈액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부작용이 없고 치료효과도 매우 빠르다.
한편, 앞서 설명한 원심분리기는, 원심분리의 대상이 되는 시료의 양, 회전 속도, 로터(rotor)의 유형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되며, 상기 로터의 회전 원심력으로 시료의 구성성분들을 성분별로 분리 회수하기 위한 원심분리용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6316호를 통해, 유체성 생물학적 물질을 원심분리 및 처리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가 개시된바 있긴 하나, 용기 내에 원심분리된 성분들 중 특정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함에 있어서, 덮개로부터 이어져 용기 내 바닥까지 이르도록 단순 구비된 제3캐놀라(호스)에 주삿바늘을 꽂아 성분을 흡입추출하는 과정에 의거 원심분리된 성분들이 상기 용기 내부의 한 공간(chamber)에 다층을 이루는 관계상, 주사기를 이용한 흡입추출(흡입) 도중의 용기 내 시료 함량변화(시료 담수위 저하)로 인해 원심분리되어 있던 성분들이 다시 혼합되는 현상이 유발되는 상태로 추출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특정성분만 완벽히 추출하는데 한계가 뒤따랐다.
결국, 지금까지 설명한 원심분리 과정으로 시료의 구성성분들을 성분별로 완벽히 분리해 내는 것도 매우 중요하기는 하나, 그 이후 분리된 성분들 중에서 특정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때의 (원심분리)용기 내 시료 담수위 저하의 영향으로 인하여 각 성분들이 재혼합되는 문제를 해결해줄 수단과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6316호(공개일자 : 2007. 03. 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심분리용기 내부에 플로터를 구비하고, 그 플로터가 원심분리시 성분별 비중차에 의거 챔버(chamber)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후 각 성분의 경계에 위치됨으로써, 시료의 성분별 농축분리 상태가 온전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원심분리용기 내부에 더 구비되되, 상단이 개구된 바스켓 형태의 플로터로써,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공정시, 상기 원심분리용의 용기본체 내 챔버에서 성분별로 농축 분리되는 시료 각 성분의 비중차에 의거 분리된 성분을 경계하도록 위치이동을 이루며,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이 통과하여 침전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바닥단; 및, 상기 바닥단의 테두리부위로부터 상측으로 연이어져, 상기 용기본체 내벽면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바닥단의 위치이동을 안내하는 둘레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 바닥면과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의 침전이 용이토록 한 복수의 발판이 저면의 미리 정한 부위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원심분리용기 내부에 더 구비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플로터로써,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공정시, 상기 원심분리용기의 용기본체 내 챔버에서 성분별로 농축 분리되는 시료 각 성분의 비중차에 의거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분리된 성분을 경계하며,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이 통과하여 침전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플로터의 외주면인 테두리단이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 바닥면과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의 침전이 용이토록 한 복수의 발판이 저면의 미리 정한 부위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둘레단은, 용기본체 내벽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단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테두리단은, 원심분리용기 내벽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단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통공의 상단부에는, 비중이 높은 성분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한 확관면이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둘레단에는, 용기본체 내벽면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이동마찰 감소로 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돌기부가 상끝단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자체하중을 최소화하여 부력이 추가로 더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커팅면이 상끝단 내면에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테두리단에는, 용기본체 내벽면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이동마찰 감소로 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돌기부가 상끝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통공의 말단을 내측으로 함몰시켜 침전성분의 분포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언더컷부가 내향형성되되, 상기 언더컷부는, 내향 경사면을 갖는 직선형 또는 내향 만곡면을 갖는 곡선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된다.
삭제
삭제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는, 원심분리시 성분별로 다층 분리되는 시료 구성성분들의 비중차에 의거 각 성분의 경계로 이동배치되는 플로터에 의해, 성분분리의 정밀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와 더불어 특정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의 다른 성분의 혼합이 방지됨으로써 성분추출의 과정이 보다 수월하면서도 더욱 완벽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성분 추출의 정밀도 향상으로, 자가혈치료술 및 자가골수치료술 등에 사용되는 혈소판풍부혈장과 같은 혈액 또는 골수 내 특정성분의 분리 및 이렇게 분리된 특정성분을 이용한 치료효과를 높이는 등의 의학적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관련한 의료산업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다른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2실시 예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2실시 예의 다른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b) 및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1,2실시 예의 플로터와 원심분리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가 채용되는 통상의 원심분리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원심분리기 로터의 동작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다른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2실시 예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2실시 예의 다른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b) 및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1,2실시 예의 플로터와 원심분리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가 채용되는 통상의 원심분리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원심분리기 로터의 동작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A)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원심분리용기 내부에 더 구비되되 상단이 개구된 바스켓(basket) 형태로써,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공정시 상기 원심분리용기 내부공간에서 성분별로 농축 분리되는 시료 각 성분의 비중차에 의거 분리된 성분을 경계하도록 위치이동을 이루는 바닥단(1)과, 상기 바닥단(1)의 테두리부위로부터 상측으로 연이어져 원심분리용기 내벽면과 밀착되고 상기 바닥단(1)의 위치이동시 그 이동을 원활히 안내하는 둘레단(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원심분리용기(800)는, 원심분리의 대상이 되는 각종 시료의 저장 및 그 시료의 성분별 농축분리에 필요한 용기로써, 도 5(a)(b) 및 도 6(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분분리를 위한 적당량의 시료 저장 및 그렇게 저장된 시료가 성분별로 분리되는 공간인 챔버(811)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본체(810)와, 상기 용기본체(810)의 개구상단을 밀폐하도록 대응조립되는 한편 상기 챔버(811)로의 시료 주입은 물론 상기 챔버(811)에서 원심분리된 시료의 구성성분 중 특정성분(혈소판풍부혈장 등)의 선택적 추출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덮개(8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원심분리기(900)는, 혈액으로부터 혈구와 혈장을 분리하거나 또는 골수로부터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등 복합유체로부터 특정성분만을 분리 및 회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기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구동시 수평회전하는 로터(rotor, 910)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910)에는 원심분리용기(800)의 수용장착 및 그 상태로의 로터(910) 회전시 더불어 선회운동(a rotating movement, 旋回運動)을 하는 버킷(bucket, 911)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바닥단(1)은, 원심분리시 상기 원심분리용기 내부공간에서 분리된 성분의 재혼합 방지를 위해 원심분리용기의 내부공간을 횡으로 구획하는 것으로, 원심분리시 비중이 높은 성분이 통과하여 상기 원심분리용기(800)의 용기본체(810) 내 챔버(811)의 하측으로 침전될 수 있도록 한 통공(11)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810) 내부 바닥면과의 충분한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811)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의 침전이 용이토록 한 복수의 발판(12)이 외면(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둘레단(2)은, 상기 원심분리용기(800) 내벽면과의 밀착으로 상기 바닥단(1)에 의해 분리된 성분들의 재혼합이 방지되도록 함에 더해 원심분리시의 성분별 비중차에 의거 용기본체(8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바닥단(1)의 원활한 이동안내를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단(1)의 테두리부위 전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한편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단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심분리용기(800) 내벽면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여주기 위함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다른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플로터(A)는, 앞서 설명한 바닥단(1)과 둘레단(2), 그리고 상기 바닥단(1) 중앙에 관통된 통공(11)을 포함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1)이 형성된 바닥단(1)의 상면으로부터는, 상기 통공(11)을 통한 성분의 침전은 용이한 반면 침전성분의 역류는 차단하는 둔턱부(13)가 더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둔턱부(13)에 의해 상측으로 연장된 상기 통공(11)의 상단부에는 비중이 높은 성분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한 확관면(131)이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둘레단(2)에는, 원심분리용기(800)의 상기 용기본체(810) 내벽면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이동마찰 감소로 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돌기부(21)가 상끝단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고, 자체하중을 최소화하여 부력이 추가로 더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커팅면(22)이 상끝단 내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c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1)의 말단이 되는 상기 바닥단(1)의 외면(저면) 중앙부를 함몰시켜 침전성분의 분포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언더컷부(111)가 내향형성될 수 있는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경사면을 갖도록 직선형으로 커팅된 형태이거나, 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만곡면을 갖도록 곡선형으로 커팅된 형태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공(11)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시 상기 용기본체(810)의 챔버(811) 하측으로 침전되려는 비중이 높은 성분의 통과효율 증대를 위해, 둘 이상 복수개가 상기 바닥단(1)의 미리 정한 부위마다 각각 관통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2실시 예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B)는, 상기 원심분리기(900)를 이용한 원심분리공정시 원심분리용기(800)의 상기 용기본체(810) 내 챔버(811)에서 성분별로 농축 분리되는 시료 각 성분의 비중차에 의거 상기 챔버(8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분리된 성분을 경계하도록 상기 용기본체(810)의 내부공간을 횡으로 구획하는 플레이트(plate) 형태를 이룬다.
또한, 원심분리시 비중이 높은 성분이 통과하여 상기 용기본체(810) 내 챔버(811)의 하측으로 침전될 수 있도록 한 통공(11')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용기본체(810) 내부 바닥면과의 충분한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811)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의 침전이 용이토록 한 복수의 발판(12')이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810)의 내벽면과 접촉하게 된 테두리단(3)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단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심분리용기(800) 내벽면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함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에 있어서 제2실시 예의 다른 구성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플로터(B)는, 앞서 설명한 통공(11')을 포함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1')이 형성된 상면으로부터는, 상기 통공(11')을 통한 성분의 침전은 용이한 반면 침전성분의 역류는 차단하는 둔턱부(13')가 더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둔턱부(13')에 의해 상측으로 연장된 상기 통공(11')의 상단부에는 비중이 높은 성분의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한 확관면(131')이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단(3)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810) 내벽면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이동마찰 감소로 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돌기부(31)가 상끝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c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11')의 말단이 되는 저면 중앙부를 함몰시켜 침전성분의 분포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언더컷부(111')가 내향형성될 수 있는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경사면을 갖도록 직선형으로 커팅된 형태이거나, 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만곡면을 갖도록 곡선형으로 커팅된 형태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공(11')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분리시 상기 용기본체(810)의 챔버(811) 하측으로 침전되려는 비중이 높은 성분의 통과효율 증대를 위해, 둘 이상 복수개가 미리 정한 부위마다 각각 관통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되, 제1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사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또는 골수와 같은 시료의 성분별 분리를 위해 상기 주사기에 담긴 시료를 원심분리용기(800)에 옮겨 담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용 성분분리 플로터(A)가 상기 용기본체(810) 내 챔버(811)에 수용{도 5(a)(b)를 참조}된 원심분리용기(800)를,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분리기(900)의 로터(910)에 힌지결합된 각각의 버킷(911)에 수용장착한 상태로 상기 원심분리기(900)를 구동시켜 상기 로터(910)가 수평회전되도록 함을 통해, 상기 챔버(811)에 담긴 시료의 구성성분들이 성분별로 분리되는 원심분리공정을 이룰 수 있다.
즉,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910)의 수평회전시 발생한 원심력의 영향으로 상기 버킷(911)에 수용장착된 본 발명의 상기 원심분리용기(800)가 수평에 가깝게 기운 상태로 버킷(911)과 더불어 선회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써 상기 원심분리용기(800)의 용기본체(810) 내 챔버(811)에 담긴 시료의 구성성분 중 비중이 높은 성분이 하층부에 침전되는 반면 비중이 낮은 성분은 상층부로 부유하게 된다.
예컨대, 혈액의 경우, 상기 원심분리용기(800)의 용기본체(810) 내 챔버(811)의 하부에는 비중이 높은 성분인 혈구가 농축 분리되고, 상부에는 비중이 낮은 혈장이 농축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시료가 성분별로 분리되는 도중, 각 성분의 비중차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터(A)가 상기 원심분리용기(800)의 용기본체(8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챔버(811)에서 이동(부양)하여 비중이 높은 성분과 낮은 성분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는바, 이는 상기 플로터(A)의 바닥단(1)에 관통형성된 통공(11)을 통해 비중이 높은 성분이 배출되어 상기 챔버(811)의 하부로 침전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력의 영향으로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바닥단(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발판(12)에 의해 플로터(A)의 저면이 상기 용기본체(810) 내 바닥면에 완전밀착되지 않은 상태임에 따라 비중이 높은 성분이 상기 통공(11)을 통해 배출되고 용기본체(810)의 바닥부 측으로 침전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바닥단(1)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둔턱부(13) 내측의 확관면(131)의 형성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이 통공(11)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고, 그렇게 배출되어 상기 챔버(811)의 하부로 침전되는 성분의 흐름이 언더컷부(111)에 의해 원활케 되며, 상기 돌기부(21)에 의해서는 상기한 원심분리용기(800)의 용기본체(810) 내벽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된 상태임에 따른 이동마찰의 감소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후, 정해진 시간 동안 원심분리의 공정으로 성분별로 분리된 시료의 구성성분들 중 특정성분을 미리 준비한 추출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추출하게 되는바, 이와 같이 특정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챔버(811)에 담긴 시료 담수량에 변화가 생기게 되면 그 작용에 의거 비중이 서로 다른 성분들이 혼합되는 문제는 분리된 성분들을 경계하는 본 발명의 플로터(A)에 의해 미연에 방지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A)(B)에 의하면, 시료의 성분별 농축(분리)상태의 유지와 더불어 차후 상기 챔버(811)로부터 특정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의 시료 함량변화에 따라 이미 분리된 성분들이 재혼합되려는 문제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되는 것으로 충분히 해소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효과에 의허 특정성분의 추출작업이 보다 용이케 되는 등의 원심분리 작업효율 증대의 효과와 더불어, 그렇게 추출된 혈소판풍부혈장을 환자의 환부(손상된 피부, 근육, 인대, 연골 등)에 바르거나 주입하는 것으로 손상된 부위가 재생 재건되는 자가골수치료술 또는 자가혈치료술의 치료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B : 플로터, 1 : 바닥단
2 : 둘레단, 3 : 테두리단
11, 11' : 통공, 12, 12' : 발판
13, 13' : 둔턱부, 21, 21', 31 : 돌기부
22 : 커팅면, 111, 111' : 언더컷부
131, 131' : 확관면

Claims (13)

  1. 삭제
  2.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원심분리용기 내부에 더 구비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플로터로써,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원심분리공정시, 상기 원심분리용기의 용기본체 내 챔버에서 성분별로 농축 분리되는 시료 각 성분의 비중차에 의거 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분리된 성분을 경계하며,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이 통과하여 침전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면과 상기 플로터의 외주면인 테두리단이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용기본체 내부 바닥면과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원심분리시 상기 챔버 하측으로 비중이 높은 성분의 침전이 용이토록 한 복수의 발판이 저면의 미리 정한 부위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통한 성분의 침전은 용이한 반면 침전성분의 역류는 차단하는 둔턱부가 상기 통공이 형성된 상면으로부터 더 돌출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단은, 상기 원심분리용기 내벽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단이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상기 테두리단에는, 상기 용기본체 내벽면과의 접촉면적 최소화를 통한 이동마찰 감소로 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돌기부가 외주면 상단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말단을 내측으로 함몰시켜 침전성분의 분포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언더컷부가 내향형성되되,
    상기 언더컷부는, 내향 경사면을 갖는 직선형 또는 내향 만곡면을 갖는 곡선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02599A 2018-01-09 2018-01-09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Active KR10227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99A KR102271814B1 (ko) 2018-01-09 2018-01-09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599A KR102271814B1 (ko) 2018-01-09 2018-01-09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25A KR20190084625A (ko) 2019-07-17
KR102271814B1 true KR102271814B1 (ko) 2021-06-30

Family

ID=6751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599A Active KR102271814B1 (ko) 2018-01-09 2018-01-09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716B1 (ko) * 2020-06-12 2022-04-11 신흥정공(주) 오일 분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866A1 (en) * 2010-03-30 2011-10-1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Buffy coat separator float systems and methods
KR101197908B1 (ko) * 2011-10-31 2012-11-05 박현정 원심분리용 용기
KR101283548B1 (ko) * 2011-06-09 2013-07-08 최득수 혈소판 추출 채혈관
KR101609226B1 (ko) * 2008-12-04 2016-04-06 써모제너시스 코포레이션 생물학적 유체의 성분들을 분리 및 격리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30467A1 (it) 2003-10-10 2005-04-11 Advance Holdings Ltd Contenitore monouso per la centrifugazione ed il trattamento di un materiale biologico fluid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226B1 (ko) * 2008-12-04 2016-04-06 써모제너시스 코포레이션 생물학적 유체의 성분들을 분리 및 격리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1126866A1 (en) * 2010-03-30 2011-10-1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Buffy coat separator float systems and methods
KR101283548B1 (ko) * 2011-06-09 2013-07-08 최득수 혈소판 추출 채혈관
KR101197908B1 (ko) * 2011-10-31 2012-11-05 박현정 원심분리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25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394B2 (en) Centrifugation method and chamber for washing and continuous separation of blood constituents
CA2281649C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particles
KR102349673B1 (ko) 골수 지방 부분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1197974B1 (ko) 신속한 원심분리가 가능한 원심분리용 용기
JPH11503665A (ja) 単核細胞のような散在成分の溢式収集
JP2002136590A (ja) 血液成分を分離するため回転場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チャンバー
KR101197908B1 (ko) 원심분리용 용기
US106682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fat from salvaged blood
KR102001001B1 (ko) 원심분리기 및 원심분리방법
KR102100665B1 (ko) 원심분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1814B1 (ko) 원심분리용기용 성분분리 플로터
KR101897979B1 (ko)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원심분리용기
KR102323471B1 (ko)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디캔팅 키트
KR101874548B1 (ko)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디캔팅키트
KR20120103032A (ko) 혈액 분리 및 농축 용기
KR100680136B1 (ko) 원심분리기
EP3294364B1 (en) Cell washing plunger using centrifugal force
KR20190008584A (ko)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원심분리용기
KR101953868B1 (ko) 시료의 채취 및 성분별 분리가 용이한 원심분리키트
ES2833420T3 (es) Separación y transferencia de fases de un fluido por centrifugación
JP7597913B2 (ja) 成分別分離抽出が容易なデカンティングキット
JP7388621B2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20120140092A (ko) 원심분리용 주사기 및 원심분리방법
KR101911358B1 (ko)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원심분리용기
JP3172467U7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12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904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10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200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416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0101002837

Request date: 202011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8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123

Effective date: 2021052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105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01123

Decision date: 20210527

Appeal identifier: 2020101002837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6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8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