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79520B1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520B1
KR102279520B1 KR1020140142580A KR20140142580A KR102279520B1 KR 102279520 B1 KR102279520 B1 KR 102279520B1 KR 1020140142580 A KR1020140142580 A KR 1020140142580A KR 20140142580 A KR20140142580 A KR 20140142580A KR 102279520 B1 KR102279520 B1 KR 10227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electrodes
preliminary
ins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6539A (en
Inventor
김창연
박주용
손성수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520B1/en
Priority to US15/514,492 priority patent/US10283685B2/en
Priority to PCT/KR2015/009614 priority patent/WO2016047950A1/en
Priority to CN201580051056.2A priority patent/CN107078199B/en
Priority to TW104131055A priority patent/TWI591853B/en
Publication of KR2016004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39A/en
Priority to US15/854,631 priority patent/US107002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52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1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32Manufacture or treatment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3Electrodes
    • H10H20/83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발광 소자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발광 구조체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오믹 컨택하는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 발광 구조체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며,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제1 및 제2 전극의 측면 및 발광 구조체의 제1 면을 덮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간격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연부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작다.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 first contact electrode and a second contact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s, respectively. The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respectively,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first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 insulating portion covering a surfac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ing metal particles, and a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one side of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less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o the outer side of the insulation.

Description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 소자의 열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ode capable of improving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소형 고출력 발광 소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방열 효율이 우수한 대면적 플립칩형 발광 소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플립칩형 발광 소자의 전극은 직접 2차 기판에 접합되며, 또한 플립칩형 발광 소자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수평형 발광 소자에 비해 열 방출 효율이 매우 높다. 따라서 고밀도 전류를 인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열을 2차 기판 측으로 전도시킬 수 있어서, 플립칩형 발광 소자는 고출력 발광원으로 적합하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a small high-power light emitting device increases, the demand for a large-area flip-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efficiency is increasing. The electrode of the flip chip light emitting device is directly bonded to the secondary substrate, and since a wire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flip chip light emitting device is not used, heat dissipation efficiency is very high compared to that of the horizontal light emitting device. Therefore, even when a high-density current is applied, heat can be effectively conducted to the secondary substrate side, and thus the flip-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is suitable as a high output light emitting source.

또한, 발광 소자의 소형화를 위하여, 발광 소자를 별도의 하우징 등에 패키징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발광 소자 자체를 패키지로서 이용하는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플립칩형 발광 소자의 전극은 패키지의 리드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어서, 이러한 칩 스케일 패키지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플립칩형 발광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 process of packag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a separate housing is omitted, and the demand for a chip scale package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itself as a package is increasing. Since the electrode of the flip-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can function similarly to the lead of the package, the flip 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usefully applied also in such a chip scale package.

플립칩형 발광 소자가 칩 스케일 패키지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n형 전극과 p형 전극이 수십 내지 수백 ㎛의 두께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전자선 증착과 같은 증착 방법을 이용하면 금속의 성장 속도가 매우 느려 발광 소자의 생산성이 매우 저하된다. 따라서, 상술한 두께의 전극을 구현하기 위하여, n형 전극과 p형 전극은 도금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In order for the flip-chip light emitting device to be applied to a chip scale package, it is required that the n-type electrode and the p-type electrode have a thickness of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 μm. When a deposition method such as electron beam deposition is used, the growth rate of the metal is very slow, so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electrode having the above-described thickness, the n-type electrode and the p-type electrode are formed using a plating method.

그러나, 도금법을 이용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 도금 과정에서의 금속에 의한 반도체층에 스트레스가 인가되어 반도체층에 보잉(bowing)과 같은 변형, 크랙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금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별도의 시드층을 먼저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금법을 이용하는 전극 형성 방법은 그 과정이 복잡하여, 발광 소자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However, when an electrode is formed using a plating method, stress is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layer by metal during the plating process, and deformation, cracks, or damage such as bowing may occur in the semiconductor layer.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plating method, a separate seed layer must be formed first before forming the electrode. Therefore, the electrode forming method using the plating method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reduced.

나아가, 플립칩형 발광 소자를 칩 스케일 패지키에 적용하기 위해서 n형 및 p형 전극의 측면을 덮는 절연체를 형성한다. 도금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전극과 상기 절연체 간의 계면 각도에 의해, 이들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이격에 의해 발광 소자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발광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된다.Further, in order to apply the flip-chip type light emitting device to the chip scale package key, an insulator covering the side surfaces of the n-type and p-type electrodes is formed. Due to the interface angl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insulator formed by using the plat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a gap occurs between them. Due to the separation, defect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occur, thereby reducing relia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excellent reliability and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고,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하여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오믹 컨택하는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측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을 덮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간격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절연부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작다.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position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first contact electrode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and an insulating part covering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a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es metal particles, and a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one side of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outer side of the insulating part.

이에 따라, 낮은 순방향 전압을 갖고, 열 방출 효율 및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발광 소자가 제공된다.Accordingly,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ow forward voltage and excellent heat dissipation efficiency and mechanical stability is provided.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의 최단 거리는 10 내지 80㎛일 수 있다.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10 μm to 80 μm.

나아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include an inclined side surface in which a tangential slop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changes.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측면과 상기 발광 구조체의 상면이 이루는 각은 30°이상 90°미만일 수 있다.An angle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be 30° or more and less than 90°.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의 측면은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Also, in some embodiments, a side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절연부의 일 면 상에 위치하며, 각각 제1 및 제2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1 패드 전극 및 제2 패드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ad electrode and a second pad electrod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and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금속 입자들 및 상기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된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include the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l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80 내지 98 wt%의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include 80 to 98 wt% of metal particles.

상기 금속 입자는 Cu, Au, Ag, 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u, Au, Ag, and Pt.

또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부분적으로 노출된 영역;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을 서로 절연시키는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각각 제1 컨택 전극과 제2 컨택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컨택 전극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에 오믹 컨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re partially removed to partially expos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insulating layer insul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partially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openings expos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contact electrode may be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rough a region wher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is exposed,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form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respectively. It may directl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through the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directl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오믹 컨택하는 제1 컨택 전극과 제2 컨택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 영역을 포함하는 웨이퍼를 준비하고; 및 상기 웨이퍼 상에,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측면을 덮는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소자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간격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소자 영역을 정의하는 부분의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작다.In a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re provided. preparing a wafer includ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at least one device region including a first contact electrode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respectively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s; and form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on the wafer, and forming an insulating part covering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es metal particles, and a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ositioned in the device region is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to the side of the portion defining the device region.

또한, 상기 소자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의 최단 거리는 10 내지 8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ositioned in the device region may be 10 to 80㎛.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절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부들의 이격 영역들을 채우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여 각각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may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insulating portions; The method may include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여 각각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may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mas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mask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removing the masks; The method may include forming an insulating portion filling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소결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보다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발광 구조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ormed by sintering may have a smaller volume than that of the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electrodes,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es an inclined side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second electrodes may decreas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이 소결되어 형성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절연부 사이의 이격 영역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절연부 사이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절연부를 추가적으로 더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orming of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art may include a spaced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art formed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electrodes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ly forming an insulating part that fills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art.

상기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 각각이 상기 웨이퍼와 접촉하는 면적은 각각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이 상기 웨이퍼와 접촉하는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An area in which each of the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preliminary electrode contacts the wafer may be the same as an area in which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ontacts the wafer.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절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부들의 이격 영역들을 채우며 상기 절연부들의 상면까지 덮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고; 상기 소결된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절연부들의 상면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may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insulating parts and covering up to upper surfaces of the insulating parts;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preliminary second electrodes; The method may include partially removing upper portions of the sintered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electrodes to expose top surfaces of the insulating portions, an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의 이격 영역들을 채우며 상기 마스크들의 상면까지 덮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고; 상기 소결된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마스크들의 상면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을 제거하고;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may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mas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masks and covering up to upper surfaces of the masks;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preliminary second electrodes; partially removing upper portions of the sintered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expose top surfaces of the masks an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moving the masks; and forming an insulating part filling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나아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측면은 상기 웨이퍼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룰 수 있다.Furthermor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상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 상에 제1 패드 전극 및 제2 패드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first pad electrode and a second pad electrode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상기 웨이퍼는 복수의 소자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소자 영역의 각각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waf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ice reg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 regions.

또한, 상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은,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절연부의 일부를 상기 복수의 소자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by dividing a portion of the wafer and the insulating portion into the plurality of device regions.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극을 갖는 발광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전극의 기계적 안정성, 및 반도체층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발광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결 방법을 통해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마스크 또는 절연부를 전극을 형성하는 일종의 틀로 이용함으로써, 전극들 간의 간격의 최단거리를 줄일 수 있어,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electrode including metal partic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electrode and the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layers,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n addition, by providing a method of forming an electrode through a sinte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stable and can simplify the process.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using the mask or the insulating part as a kind of frame for forming the electrod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to 3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각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상부"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In addition, when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on” or “on” another component, each component is different from each component, as well as when each component is “immediately above” or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It includes the case where an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them.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들의 도면들에 있어서, 도 1 및 도 2a의 제조 방법에 따라 도 3a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b의 제조 방법에 따라 도 3b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1 to 3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s,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3A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S. 1 and 2A ,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3B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S. 1 and 2B . .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170)를 형성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 at least one insulating part 170 is formed on the wafer 100 .

구체적으로, 도 1의 (a)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11)를 포함하는 마스크(210)를 형성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A , a mask 210 including at least one opening 211 is formed on the wafer 100 .

웨이퍼(100)는 성장 기판 및 상기 성장 기판 상에 성장되어 형성된 반도체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웨이퍼(100)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구조체는 성장 기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웨이퍼(100)는 발광 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대면적의 성장 기판 상에 발광 구조체가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성장 기판은 발광 구조체를 성장시킬 수 있는 기판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성장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 실리콘 기판, 질화갈륨 기판, 질화알루미늄 기판 등일 수 있다. The wafer 100 may include a growth substrate and semiconductor layers grown and formed on the growth substrate. In particular, the wafer 1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be positioned on a growth substrate. That is, the wafer 100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ing structure is formed on a large-area growth substrate in order to manufacture a light emitting device. Therefore, the growth substrat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substrate capable of growing a light emitting structure. For example, the growth substrate may be a sapphire substrate, a silicon carbide substrate, a silicon substrate, a gallium nitride substrate, an aluminum nitride substrate, or the like.

웨이퍼(100)는 하나 이상의 소자 영역(DR)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소자 영역(DR)은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은 각각 제1 도전형 반도체층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1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으며, 웨이퍼(100)가 복수의 소자 영역(DR)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개별 소자로 분할하는 공정을 통해 복수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wafer 100 may include one or more device regions DR, and each device region DR may include a first contact electrode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Accordingly,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provided from the wafer 100 , and when the waf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 regions D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provided through a process of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devices. there is.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마스크(210)는 성장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11)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211)를 통해 웨이퍼(100)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The mask 210 is formed on the growth substrate and may have at least one opening 211 .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is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11 .

마스크(210)는 개구부(211)를 정의하여 웨이퍼(100)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210)가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웨이퍼(100)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개구부(211)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2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sk 21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partially exposing the wafer 100 by defining the opening 211 , and may include, for example, photoresist. When the mask 210 includes a photoresist, the mask 210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photoresist on the wafer 100 and then patterning the photoresist to form the opening 211 .

한편, 마스크(210)의 개구부(211)는 후술하는 공정에서 절연부(170)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211)의 폭(D1, D2)은 절연부(170)의 폭에 대응할 수 있고, 형성하고자 하는 절연부(170)의 폭에 따라 개구부(211)의 폭(D1, D2)이 결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pening 211 of the mask 210 may correspond to a region in which the insulating part 170 is formed in a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widths D1 and D2 of the opening 211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 and the widths D1 and D2 of the opening 211 may var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to be formed. can be decided.

개구부(211)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1)들 중 일부는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나머지 개구부(211)들은 서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하는 개구부(211)의 폭은 서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된 개구부(211)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opening 211 may be formed to have at least two different widths. Some of the openings 211 may be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and the remaining openings 211 may be formed across adjacent device regions DR.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opening 211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may be different from the width of the opening 211 formed across the device regions DR adjacent to each other.

예를 들어, 하나의 소자 영역(DR)상에 위치하는 개구부(211)의 폭은 D1으로 정의되고, 서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 상에 걸쳐 위치하는 개구부(211)의 폭은 D2로 정의된다. 이때, D1과 D2는 서로 다를 수 있고, 또한, D2는 D1보다 클 수 있고, 나아가, D2의 절반 값은 D1의 절반 값보다 클 수 있다. 후술하는 개별 소자 분할 공정에서, D2의 폭을 갖는 개구부(211)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절연부(170)는 소자 분할 라인(L)을 따라 분리된다. 이때, 각각의 개별 소자에 대해서, D2의 절반 값에 대응하는 만큼의 폭을 갖는 절연부(170)가 발광 소자의 외곽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opening 211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is defined as D1,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211 positioned on the device regions DR adjacent to each other is defined as D2. Defined. In this case, D1 and D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D2 may be greater than D1, and further, a half value of D2 may be greater than a half value of D1. In an individual device divis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ulating portion 170 form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211 having a width of D2 is separated along the device division line L.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for each individual device, the insulating portion 170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a half value of D2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하는 개구부(211)의 폭(D1)은 100㎛ 이하일 수 있고, 특히, 약 10 내지 80㎛ 범위 내일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width D1 of the opening 211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may be 100 μm or less, and in particular,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0 to 80 μm.

이어서, 도 1의 (b)를 참조하면, 마스크(210)의 개구부(211)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절연부(170)를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FIG. 1B , an insulating portion 170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211 of the mask 210 is formed.

절연부(17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MC(Epoxy Molding Compound), Si 수지와 같은 물질을 웨이퍼(100) 상에 마스크(210)를 덮도록 도포한 후, 이를 경화시켜 절연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화된 절연부(170)가 마스크(2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마스크(210)가 완전이 덮이는 경우, 경화된 절연부(170)의 상부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연부(170)는 증착 및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insulating part 17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an EMC (Epoxy Molding Compound) or Si resin may be coated on the wafer 100 to cover the mask 210 , and then cured to form the insulating part 170 . When the cured insulating part 17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ask 210 so that the mask 210 is completely covered, the upper part of the cured insulating part 170 is removed to form the insulating part as shown in the figure. (170) can b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be formed using a deposition and patterning process.

또한, 절연부(170)는 TiO2입자와 같은 광 반사성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절연부(170)가 반사성을 가짐으로써, 발광 구조체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부로 반사되어 발광 소자의 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include light reflective and light scattering particles such as TiO 2 particles. Since the insulating part 170 has reflectivity,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be reflected upward, and the light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mproved.

개구부(211)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도록 형성된 절연부(170)는 개구부(211)의 폭(D)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170)는 약 10 내지 8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연부(170)는 마스크(2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50 내지 80㎛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insulating portion 170 formed to fill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211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D of the opening 211 . Accordingly,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have a width of about 10 to 80 μm. 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mask 210 , for example,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to 80 μm or more.

한편, 절연부(170)를 형성하기 전에, 웨이퍼(100)의 각각의 소자 영역(DR)의 발광 구조체들을 소자 단위로 분할하는 아이솔레이션 공정을 수행한 후에, 절연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경우 성장 기판 상의 발광 구조체는 소자 단위로 분할되어 각각의 소자 단위의 발광 구조체들 사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170)는 상기 홈을 더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부(170)는 발광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된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절연부(170)가 발광 구조체의 측면을 더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before forming the insulating part 170 ,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after performing an isolation process of dividing the light emitting structures of each device region DR of the wafer 100 into device units. . Although not show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on the growth substrate may be divided into device units to form a groove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s of each device unit.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to further fill the groove, and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to cover at least some side surfaces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ccordingly, in the manufactured light emitting device,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be formed to further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다음, 도 1의 (c)를 참조하면, 마스크(210)를 제거하여 웨이퍼(100) 상에 서로 이격된 절연부(170)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절연부(170)들 사이에는 웨이퍼(100)의 상면이 노출된다.Next, referring to FIG. 1C , the insulating portions 17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wafer 100 by removing the mask 210 .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is exposed between the insulating portions 170 .

마스크(210)는 식각 공정 등의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마스크(210)가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포토레지스트가 반응하는 화학 용액 등을 이용하여 마스크(210)를 제거할 수 있다.The mask 210 may be removed through various well-known methods, such as an etching process. When the mask 210 includes a photoresist, the mask 210 may be removed using a chemical solution to which the photoresist reacts.

이에 따라, 상부에 이격된 절연부(170)들이 형성된 웨이퍼(100)가 제공된다.Accordingly, the wafer 100 on which the insulating portions 17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is provided.

이어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전극(160 또는 260)들을 형성하고, 웨이퍼(100)를 개별 소자 단위로 분할한다. 도 2a 및 도 2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2a의 방법에 따라 도 3a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고, 도 2b의 방법에 따라 도 3b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S. 2A and 2B , electrodes 160 or 260 are formed on the wafer 100 , and the wafer 100 is divided into individual device units.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3A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2A,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3B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2B A device may be provided.

먼저,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Firs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3A .

도 2a의 (a)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예비 전극(160a)을 형성한다.Referring to (a) of FIG. 2A , a preliminary electrode 160a is formed on the wafer 100 .

예비 전극(160a)은 금속 입자들과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된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성체를 웨이퍼(100) 상에 절연부(170)들 사이에 노출된 웨이퍼(100) 상면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17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적어도 2 이상의 예비 전극(160a)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may include metal particles and a viscous material including a non-metall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In this case, the viscous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wafer 10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exposed between the insulating portions 170 . Accordingly, at least two preliminary electrodes 160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insulating part 170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formed.

상기 점성체에 포함된 금속 입자들은 열전도성 및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Cu, Au, Ag, 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입자는 Ag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금속성 물질은, 예를 들어, C를 포함하는 폴리머 물질일 수 있다.The metal particles included in the viscous material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are materials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u, Au, Ag, and Pt.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metal particles may include Ag particles. The non-metallic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polymeric material comprising C.

상기 점성체는, 예를 들어, 디스펜서(220)를 이용하여 웨이퍼(100)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 프린팅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예비 전극(160a)을 웨이퍼(100)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예비 전극(160a)은 그 상면이 대체로 절연부(170)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비 전극(160a)들 사이에 절연부(17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The viscous material may be applied on the wafer 100 using, for example, the dispenser 2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may be formed on the wafer 100 using a method such as screen printing. A top surfac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and accordingly,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at least partially exposed between the preliminary electrodes 160a.

이어서, 도 2a의 (b)를 참조하면, 예비 전극(160a)으로부터 전극(160)을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b) of FIG. 2A , the electrode 160 is formed from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전극(160)은 예비 전극(160a)을 소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300℃ 이하의 온도로 예비 전극(160a)을 가열하여 전극(160)을 형성할 수 있다. 소결 과정에서 예비 전극(160a)의 금속 입자들은 소결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일부 비금속성 물질은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16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극(160) 내에서, 금속 입자들은 소결되어 복수의 그레인(grain)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 입자들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비금속성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비금속성 물질은 전극(160)에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60)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되어, 전극(160)으로부터 웨이퍼(100)에 인가될 수 있는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The electrode 160 may be formed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For example, the electrode 160 may be formed by heat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to a temperature of about 300° C. or less.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metal particles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may be deformed into a sintered form. In this case, some non-metallic material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and included in the electrode 160 . In the electrode 160 , metal particles may be sintered to form a plurality of grains disposed therein, and a non-metallic material may be interposed in at least some regions between the metal particles. Such a non-metallic material may serve as a buffer for alleviating stress that may occur in the electrode 160 . Accordingly, mechanical stability of the electrode 160 may be improved, and stress that may be applied to the wafer 100 from the electrode 160 may be reduced.

전극(160)의 금속 입자들은 전극(160)의 전체 질량 대비 80 내지 98wt%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전극(160)이 상술한 비율의 금속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열전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고, 전극(160)에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전극(160)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metal particles of the electrode 160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80 to 98 wt%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electrode 160 . Since the electrode 160 includes the metal particles in the above-mentioned ratio, it can have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ffectively buffer stress that may occur in the electrode 160 , thereby improving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electrode 160 . there is.

한편, 전극(160)은 예비 전극(160a)보다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소결 과정에서 예비 전극(160a) 내에 포함된 비금속성 물질의 고화 및/또는 증발 등에 의해 예비 전극(160a)의 부피가 감소하게 되어, 전극(160)의 부피가 예비 전극(160a)의 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소결 과정에서, 예비 전극(160a)과 웨이퍼(100)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예비 전극(160a)과 웨이퍼(100)가 접착되어 소결과정에서도 이 부분의 예비 전극(160a)은 거의 그대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비 전극(160a)과 웨이퍼(100)의 계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예비 전극(160a)의 부분에서 부피 감소가 발생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60)의 측면(160s)은 경사질 수 있다. 특히, 전극(160)의 측면(160s)과 웨이퍼(100)가 이루는 각은 90°미만의 각, 예를 들어, 30°이상 90°미만의 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전극(160)은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측면(160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소결 과정의 특성상, 전극(160)들 각각의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다가, 소정의 변곡점을 지나 다시 기울기가 감소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de 160 may have a smaller volume than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volum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is reduced due to solidification and/or evaporation of the non-metallic material included in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so that the volume of the electrode 160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can In addition,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wafer 100 are adhered to the portion where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wafer 100 are in contact, so that even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is almost intact. state can be maintained. Accordingly, a volume reduction may occur in the portion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positioned above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wafer 100 , and as shown, the side surface 160s of the electrode 160 is can be inclined In particular,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160s of the electrode 160 and the wafer 100 may have an angle of less than 90°, for example, an angle of 30° or more and less than 90°.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electrode 160 may include a side surface 160s in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changes. Due to the nature of the sintering process,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electrodes 160 in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n passes a predetermined inflection point and decreases again.

소결 과정을 거쳐 전극(160)이 형성되면, 예비 전극(160a)에 비해 그 부피가 감소되므로, 전극(160)과 절연부(170) 사이에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160 is formed through the sintering process, since the volume thereof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 spaced reg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160 and the insulating part 17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폭을 갖는 절연부(170)들 사이의 이격 영역을 예비 전극(160a)으로 채우고, 예비 전극(160a)으로부터 전극(160)을 형성함으로써, 전극(160)들 간의 간격을 절연부(170)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발광 소자에 대해서 용이하게 전극(160)들 간의 간격을 100㎛이하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10 내지 80㎛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광 소자(200a)의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의 간의 간격을 10 내지 80㎛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들 간의 간격이 멀어져 발광 소자(200a)의 순방향 전압(Vf)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극들 간의 간격을 줄인 만큼 전극의 수평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발광 소자(200a)의 열 방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ed area between the insulating portions 17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illed with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electrode 160 is formed from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so that a space between the electrodes 160 is formed. The interval may be fre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erefore, for a single light emitting devic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160 can be easily formed to be 100 μm or less, and further, 10 to 80 μm can be formed. Therefor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10 to 80 μ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forward voltage (V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and also,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odes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 200a),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어서, 도 2a의 (c)를 참조하면, 전극(160)과 절연부(170) 사이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절연부(170)를 더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c) of FIG. 2A , an insulating part 170 is further formed to fill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electrode 160 and the insulating part 170 .

이에 따라, 절연부(170)는 1차로 형성되는 1차 절연부(171) 및 2차로 형성되는 2차 절연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절연부(171)와 2차 절연부(173)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2차 절연부(173)는 EMC(Epoxy Molding Compound), Si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절연부(173)는 도포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전극(160) 및 1차 절연부(171)를 덮도록 형성한 후, 그 상부의 일부를 제거하여 전극(16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insulating part 170 may include a primary insulating part 171 formed primarily and a secondary insulating part 173 formed secondary. The primary insulating part 171 and the secondary insulating part 173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but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The secondary insulating part 173 may include an epoxy molding compound (EMC), a Si resin, or the like. The secondary insulating part 173 is formed to cover the electrode 160 and the primary insulating part 171 using a method such as coating, and then a part of the upper part is removed to ex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160 . can be formed in this w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2차 절연부(173)를 형성함으로써, 웨이퍼(100)의 상면 및 전극(160)의 측면을 덮는 절연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By forming the secondary insulating part 173 , the insulating part 17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160 may be formed.

전극(160)이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여, 전극(160)과 전극(160)의 측면을 덮는 절연부(170)의 계면에서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Mechanical stability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de 160 and the insulating part 170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160, including the inclined side where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to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160 changes can be improved

이어서, 도 2a의 (d)를 참조하면, 전극(160)들 상에 위치하는 패드 전극(180)들을 형성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2A (d) , pad electrodes 180 positioned on the electrodes 160 may be formed.

패드 전극(180)들은 각각의 전극(160)들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드 전극(180)들은, 예를 들어, Ni, Pt, Pd, Rh, W, Ti, Al, Ag, Sn, Cu, Ag, Bi, In, Zn, Sb, Mg, Pb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을 증착 또는 도금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 전극(180)들 각각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d electrodes 180 may be positioned on each of the electrodes 160 and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d electrodes 180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al such as Ni, Pt, Pd, Rh, W, Ti, Al, Ag, Sn, Cu, Ag, Bi, In, Zn, Sb, Mg, or Pb. The material may be formed using a process such as deposition or plating. In addition, each of the pad electrodes 180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패드 전극(180)들은 그 면적이 전극(160)들 각각의 상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전극(180)의 일부는 절연부(17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패드 전극(180)은 전극(160)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ad electrodes 180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top surface area of each of the electrodes 160 .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pad electrode 180 may contact the insulating portion 170 . Also, the pad electrode 18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s 160 .

패드 전극(180)을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발광 소자를 모듈 등에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기판 등에 더욱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극(160)이 Cu 또는 Ag 입자 소결체를 포함하는 경우, 전극(160)은 솔더 등에 대한 퍼짐성(wettabillity)이 좋지 않다. 패드 전극(180)을 절연부(170) 상에 형성함으로써, 발광 소자가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By forming the pad electrode 180 ,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 module or the like, it can be more stably mounted on a separate additional substrate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electrode 160 includes a sintered body of Cu or Ag particles, the electrode 160 has poor wettability with respect to solder or the like. By forming the pad electrode 180 on the insulating part 170 ,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stably mounted.

다음, 도 2a의 (e)를 참조하면, 웨이퍼(100)를 소자 분할 라인(L)을 따라 분할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발광 소자(200a)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FIG. 2A (e), the wafer 100 is divided along the device division line L to form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200a as shown in FIG. 3A .

소자 분할 라인(L)은 웨이퍼(100)의 소자 영역(DR)들의 사이 부분에 대응하며, 웨이퍼(100)를 복수의 개별 소자로 분할하는 것은 식각, 스크라이빙 및 브레이킹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절연부(170)들은 소자 분할 라인(L) 상에 위치하며, 웨이퍼(100)를 분할하는 과정에서 웨이퍼(100)와 함께 다이싱될 수 있다.The device division line L corresponds to a portion between the device regions DR of the wafer 100 , and dividing the wafer 100 into a plurality of individual devices uses physical methods such as etching, scribing, and breaking. may include using Some insulating portions 170 are positioned on the device division line L, and may be diced together with the wafer 100 in the process of dividing the wafer 10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된 절연부(170)의 폭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된 절연부(170)의 폭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개별 소자 분할 과정에서 레이저나 다이싱 도구 등에 의한 전극(1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formed over the adjacent device regions DR may be freely determine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formed over the adjacent device regions DR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electrode 160 by a laser or a dicing tool in the process of dividing individual devices.

즉, 전극(160)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부(170)들의 폭을 자유롭게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하는 전극(160) 사이의 폭(D1에 대응)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위치하는 전극(160) 사이의 폭(D2에 대응)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발광 소자의 열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순방향 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별 소자 분할 과정에서 발광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freely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s 170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160 , the width (corresponding to D1 ) between the electrodes 160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is relatively small. may be formed, and the width (corresponding to D2) between the electrodes 160 positioned across the adjacent device regions DR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Accordingly,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manufactured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the forward voltag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the individual device division process.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은, 웨이퍼(100)를 개별 소자 단위로 분할하기 전에, 웨이퍼(100)의 성장 기판을 발광 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성장 기판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 화학적 리프트 오프, 스트레스 리프트 오프, 열적 리프트 오프, 래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발광 구조체로부터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성장 기판이 분리되어 노출된 발광 구조체의 일 면에는, 추가적인 표면 처리 공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발광 구조체의 일면의 거칠기가 증가될 수 있고, 상기 거칠기가 증가된 발광 구조체의 일면으로 통해 방출되는 광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separating the growth substrate of the wafer 100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before dividing the wafer 100 into individual device units. The growth substrate may be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using methods such as laser lift-off, chemical lift-off, stress lift-off, thermal lift-off, and lapping. In addition, an additional surface treatment process may be further per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from which the growth substrate is separated and exposed. Through this surface treatment process, the roughness of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be increased,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having the increased roughness may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웨이퍼(100)를 개별 소자 단위로 분할하기 전 및/또는 후에, 웨이퍼(100)의 하면 상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파장변환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efore and/or after dividing the wafer 100 into individual device units, a wavelength converter including a phospho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fer 100 .

도 3a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200a)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A ,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발광 소자(200a)는 발광부(100L), 전극(160)을 포함하고, 나아가, 절연부(170),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art 100L and an electrode 160 , and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art 170 , and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

발광부(100L)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 각각에 오믹 컨택하는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발광부(100L)는 웨이퍼(100)로부터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00L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s, It may include a first contact electrode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in ohmic contact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the light emitting unit 100L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fer 100 .

발광부(100L) 및 발광 구조체의 구조는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이 발광부(100L)의 일 면(도면 상에서 발광부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0L and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0L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in the drawing). may be in the form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전극(160)은 발광부(100L)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은 각각 제1 및 제2 컨택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은 발광 구조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The electrode 160 may be positioned on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and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61 and a second electrode 163 .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can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각각은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60)들의 측면과 발광부(100L)의 상면이 이루는 각(θ)은 90°미만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각(θ)은 30°≤θ<90°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lude an inclined side surface. The angle θ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s 1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may be less than 90°, for example, the angle θ may be 30°≤θ<90°.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각각은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각각의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다가, 소정의 변곡점을 지나 다시 기울기가 감소할 수 있다. Also, as illustrated,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lude an inclined side surface in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changes. Furthermore, the slope of the tangent to the side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rease in a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n pass a predetermined inflection point and decrease again.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이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전극(161, 163)과 절연부(170)의 계면에서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and the insulating portion 170 include inclined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in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to the sid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changes. ), the mechanical stability at the interface can be improved.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은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된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입자들과 비금속성 물질은 소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입자들은 제1 및 제2 전극(161, 163) 각각의 질량 대비 80 내지 98wt%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금속 입자들은 열전도성 및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Cu, Au, Ag, P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금속성 물질은 전극(160)을 형성하기 위한 소결 대상이 되는 물질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C를 포함하는 폴리머 물질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lude metal particles, and further, may include a non-metall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In addition, the metal particles and the non-metallic material may be formed in a sintered form. The metal particles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80 to 98 wt% based on the mas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 The metal particles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are materials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u, Au, Ag, Pt, and the like. The non-metallic material may be derived from a material to be sintered for forming the electrode 160 , and may be, for example, a polymer material containing C.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간의 간격(160D1)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연부(170)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160D2)보다 작을 수 있고, 나아가,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간의 간격(160D1)의 최단 거리는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연부(170)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160D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전극(160)들은 상대적으로 발광 소자(200a)의 중심부에 쏠려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00L)에 있어서, 발광부(100L)의 측면에는 절연층 또는 컨택 전극 등이 위치할 수 있어, 발광 영역(활성층)은 주로 발광부(100L)의 중심부에 쏠려 위치할 수 있다. 발광 소자(200a)의 발광 시 발생하는 열은 대부분 발광 영역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160)이 상대적으로 발광 소자(200a)의 중심부에 쏠려 있어 발광 소자(200a)가 구동될 때 발생하는 열을 전극(160)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A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distance 1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is the value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It may be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160D2 to the outer side, and further, the shortest distance 1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is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It may be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160D2 from one side of one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at is, the electrodes 16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In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an insulating layer or a contact electrode may be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and the light emitting region (active layer) may be main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Most of the heat generate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emits light may originate from the light emitting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lectrode 160 is relative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heat generate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is driven can be more effectively radiated through the electrode 160 .

또한,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간의 간격(160D1)의 최단 거리는 100㎛이하일 수 있고, 나아가, 10 내지 80㎛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간격(160D1)의 최단 거리가 상술한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60)들 간의 간격(160D1)이 멀어져 발광 소자(200a)의 순방향 전압(Vf)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극들 간의 간격(160D1)을 줄인 만큼 전극의 수평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발광 소자(200a)의 열 방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distance 1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100 μm or less, and further,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80 μ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interval 160D1 may be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ran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forward voltage V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due to the distance 160D1 between the electrodes 160 being farther away. Also, by reducing the distance 160D1 between the electrodes, the horizontality of the electrodes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increased,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may be improved.

또한,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은 약 50 내지 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가 상술한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전극(160)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 소자는 그 자체로 칩 스케일 패키지로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전극(160)이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여, 전극(160)을 상술한 범위의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00L)에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감소하여, 발광 소자의 기계적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전극(160)의 두께가 상술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to 80 μm. Si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electrode 160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light emitting device itself may be used as a chip scale package. Furthermore, even when the electrode 160 includes metal particles and the electrode 16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stress generated may be sufficiently alleviated. Accordingly, the stres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100L may be reduced, and thus the mechanical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mproved.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16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range.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은 각각 제1 및 제2 컨택 전극 상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도금법을 이용하는 경우 필요한 시드층(seed layer) 또는 솔더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한 웨팅층(wetting)과 같은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formed to directl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so that a seed layer or solder required when using a plating method is required. A separate additional configuration such as a wetting layer may be omitted.

절연부(170)는 발광부(100L) 상에 전극(16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170)의 상면에는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이 노출될 수 있다. 절연부(170)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며,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의 측면을 덮어, 효과적으로 이들을 서로 절연시킨다. 동시에, 절연부(170)는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절연부(170)의 하면은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의 하면들과 대체로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160 .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e insulating part 170 has electrical insulation and covers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to effectively insulate them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insulating part 170 may serve to support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A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in parallel to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lower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절연부(170)는 절연성 폴리머 및/또는 절연성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EMC(Epoxy Molding Compound), Si 수지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170)는 TiO2입자와 같은 광 반사성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절연부(170)가 반사성을 가짐으로써, 발광부(100L)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부로 반사되어 발광 소자의 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insulating part 170 may include an insulating polymer and/or an insulating ceramic,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EMC (Epoxy Molding Compound) or a Si resin. 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include light reflective and light scattering particles such as TiO 2 particles. Since the insulating part 170 has reflectivit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is reflected upwardly, so that the light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mproved.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절연부(170)는 발광부(100L)의 측면을 더 덮을 수도 있고, 발광부(100L)에서 방출된 광의 발광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부(170)가 발광부(100L)의 측면을 더 덮는 경우, 발광부(100L)의 측면으로 방출된 광 중 일부가 상부로 반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부(170)가 배치되는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발광 소자(200a)의 발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illustration, the insulating part 170 may further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and the light emission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may vary. For example, when the insulating part 170 further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some of the light emit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may be reflected upward. In this way, by adjusting the region in which the insulating part 170 is disposed, the light emission angl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can be adjusted.

제1 패드 전극(181) 및 제2 패드 전극(183)은 절연부(17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 전극(181) 및 제2 패드 전극(183) 각각은 절연부(170)의 상면에서 제1 및 제2 전극(161, 163) 각각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은 각각 제1 및 제2 전극(161, 1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pad electrode 181 and the second pad electrode 183 may be positioned on the insulating part 170 . In particular, as illustrated, each of the first pad electrode 181 and the second pad electrode 183 may be formed to contac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ere is.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respectively.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은 발광 소자(200a)를 모듈 등에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기판 등에 더욱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이 Cu 또는 Ag 입자 소결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의 하면은 솔더 등에 대한 퍼짐성(wettability)이 좋지 않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을 절연부(170)의 하면 상에 더 배치함으로써, 발광 소자가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allow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to be more stably mounted on a separate additional substrate or the like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is applied to a module.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include a sintered body of Cu or Ag particles,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have poor wettability with respect to solder or the like. . Accordingly, by further disposing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stably mounted.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 각각의 수평 면적은 절연부(170)의 하면에 노출된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의 수평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이 노출된 영역은 각각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이 형성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부(170)의 하면에 노출된 제1 및 제2 전극(161, 163) 각각의 영역의 면적보다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 각각의 면적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발광 소자가 별도의 추가적인 기판 등에 더욱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A horizontal area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may be greater than a horizontal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Accordingly, the exposed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may be located in reg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are formed, respectively. By forming the area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each of the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more stably mounted on a separate additional substrate or the like.

제1 전극 패드(181) 및 제2 전극 패드(183)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Ni, Pt, Pd, Rh, W, Ti, Al, Ag, Sn, Cu, Ag, Bi, In, Zn, Sb, Mg, P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드(181, 183) 각각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ad 181 and the second electrode pad 183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for example, Ni, Pt, Pd, Rh, W, Ti, Al, Ag, Sn, Cu. , Ag, Bi, In, Zn, Sb, Mg, Pb, and the like.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181 and 183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한편, 발광 소자(200a)는 발광부(100L)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파장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변환부는 발광부(100L)에서 방출된 광을 파장변환 시켜, 다양한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200a)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may further include a wavelength conversion unit (not shown)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0L. The wavelength conversion unit converts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0L to realize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emitting light in various wavelength bands.

다음,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은,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나, 예비 전극(260a) 및 전극(260)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2a 및 도 3a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 구성 및 한정은 모두 본 실시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3B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3A ,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and the electrode 260 .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nd all of the technical features, configurations, and limitations described in FIGS. 2A and 3A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2b의 (a)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예비 전극(260a)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2B (a) , a preliminary electrode 260a is formed on the wafer 100 .

예비 전극(260a)은 웨이퍼(100) 상에 절연부(170)들 사이에 노출된 웨이퍼(100) 상면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절연부(170)들까지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비 전극(260a)은 금속 입자들 및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점성체를 웨이퍼(100) 상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예비 전극(260a)은 절연부(170)들까지 완전히 덮도록, 절연부(170)들의 높이보다 큰 두께로 웨이퍼(100) 상에 도포될 수 있다.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formed on the wafer 10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exposed between the insulating parts 170 , and in particular, may be formed to completely cover the insulating parts 170 . there is.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formed by coating a viscous material including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lic material on the wafer 100 . In this case,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applied on the wafer 100 to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insulating parts 170 to completely cover the insulating parts 170 .

이어서, 도 2b의 (b)를 참조하면, 예비 전극(260a)으로부터 전극(260)을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b) of FIG. 2B , an electrode 260 is formed from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전극(260)은 예비 전극(260a)을 소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300℃ 이하의 온도로 예비 전극(260a)을 가열하여 전극(260)을 형성할 수 있다. 소결 과정에서 예비 전극(260a)의 금속 입자들은 소결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극(260)을 소결을 통해 형성하는 과정에서, 예비 전극(260a)의 부피가 감소되어 전극(2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260)은 예비 전극(260a)보다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예비 전극(260a)이 소결되어 부피가 감소된 이후에도, 전극(260)은 절연부(170)들을 덮고 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260)의 측면(260s)은 웨이퍼(100)의 상면과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For example,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by heat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to a temperature of about 300° C. or less.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metal particles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deformed into a sintered form.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de 260 through sintering, the volum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reduced to form the electrode 260 . Accordingly, as illustrated, the electrode 260 may have a smaller volume than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after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is sintered to reduce the volume,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to cover the insulating portions 170 .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260s of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

예비 전극(260a)과 전극(260)은 도 2a의 예비 전극(160a) 및 전극(160)과 비교하여, 그 제조 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Compared with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electrode 160 of FIG. 2A ,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and the electrode 260 have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but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material.

이어서, 도 2b의 (c)를 참조하면, 전극(26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절연부(170)를 노출시킨다.Next, referring to (c) of FIG. 2B , the electrode 260 is partially removed to expose the insulating portion 170 .

전극(260)은 그 상부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가상선(F-F)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260)의 일부를 제거하여 절연부(17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극(260)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은, 예를 들어, 래핑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260 may be removed, for example,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electrode 260 positioned above the predetermined virtual line FF as shown in the figure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can be exposed. Removing a portion of the electrode 260 may use, for example, a lapping process.

이에 따라, 절연부(170)들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극들(2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전극(260)들 각각은 절연부(170)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전극(260)의 측면은 웨이퍼(100)의 상면과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electrodes 260 positioned in the region between the insulating portions 170 may be formed. In addition, each of the formed electrodes 260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

도 2b의 (d)를 참조하면, 전극(260)들 상에 위치하는 패드 전극(180)들을 형성할 수 있고, 다음, 도 2b의 (e)를 참조하면, 웨이퍼(100)를 소자 분할 라인(L)을 따라 분할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발광 소자(200b)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다.Referring to (d) of FIG. 2B , pad electrodes 180 positioned on the electrodes 260 may be formed, and then, referring to FIG. 2B (e), the wafer 100 is divided into device division lines. By dividing along (L),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200b as shown in FIG. 3B is formed.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들(261, 263)의 측면(260s)이 발광부(100L)의 상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발광 소자(200b)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B,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b in which the side surfaces 260s of the electrodes 261 and 263 are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will be provided. can

제1 전극(261)과 제2 전극(263) 간의 간격(260D1)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제1 전극(261) 및 제2 전극(263)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연부(170)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260D2)보다 작을 수 있고, 나아가, 제1 전극(261)과 제2 전극(263) 간의 간격(260D1)의 최단 거리는 제1 전극(261) 및 제2 전극(263)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연부(170)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260D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전극(260)들은 상대적으로 발광 소자(200b)의 중심부에 쏠려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00L)에 있어서, 발광부(100L)의 측면에는 절연층 또는 컨택 전극 등이 위치할 수 있어, 발광 영역(활성층)은 주로 발광부(100L)의 중심부에 쏠려 위치할 수 있다. 발광 소자(200b)의 발광 시 발생하는 열은 대부분 발광 영역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160)이 상대적으로 발광 소자(200b)의 중심부에 쏠려 있어 발광 소자(200b)가 구동될 때 발생하는 열을 전극(160)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61)과 제2 전극(263) 간의 간격(260D1)은 100㎛이하일 수 있고, 나아가, 10 내지 80㎛ 범위 내일 수 있다.The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distance 2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61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is the value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61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 It may be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260D2 to the outer side, and further, the shortest distance 2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61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is the first electrode 261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 It may be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260D2 from one side of the insulator 170 to the outer sid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at is, the electrodes 26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b. In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an insulating layer or a contact electrode may be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and the light emitting region (active layer) may be main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Most of the heat generate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b emits light may originate from the light emitting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lectrode 160 is relative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b, heat generated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b is driven can be more effectively radiated through the electrode 160 . In addition, the distance 2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61 and the second electrode 263 may be 100 μm or less, and further,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80 μm.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260)의 측면(260s)이 발광부(100L)와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전극(260)에 의한 열 방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ide surface 260s of the electrode 260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ght emitting part 100L, heat dissipation efficiency by the electrode 260 may be further improved.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들의 도면들에 있어서, 도 4 및 도 5a의 제조 방법에 따라 도 6a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b의 제조 방법에 따라 도 6b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 도 1 내지 도 3b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된다.
4 to 6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embodiments,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6A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S. 4 and 5A ,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6B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S. 4 and 5B .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3B will be omitt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pply to the same component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적어도 둘 이상의 개구부(213)를 포함하는 마스크(210)를 형성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 a mask 210 including at least two openings 213 is formed on the wafer 100 .

마스크(210)는 포토레지스트를 웨이퍼 상에 도포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개구부(213)를 형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개구부(213)는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The mask 210 may be provided by coating a photoresist on the wafer and then patterning it to form the opening 213 . In this case, at least two adjacent openings 213 may be located on one device region DR.

마스크(210)의 마스킹 영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스킹 영역들 중 일부는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나머지 마스킹 영역들은 서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하는 마스크(210)의 마스킹 영역의 폭(D1')은 서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된 마스킹 영역(D2')의 폭과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masking region of the mask 210 may be formed to have at least two different widths. Some of the masking regions may be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and the remaining masking regions may be formed across the device regions DR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width D1 ′ of the masking region of the mask 210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is different from the width D2 ′ of the masking region D2 ′ formed across the device regions DR adjacent to each other. can

예를 들어, 하나의 소자 영역(DR)상에 위치하는 마스킹 영역의 폭은 D1'으로 정의되고, 서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 상에 걸쳐 위치하는 마스킹 영역의 폭은 D2'으로 정의된다. 이때, D1'과 D2'는 서로 다를 수 있고, 또한, D2'는 D1'보다 클 수 있고, 나아가, D2'의 절반 값은 D1'의 절반 값보다 클 수 있다. 후술하는 개별 소자 분할 공정에서, D2'의 폭을 갖는 마스킹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절연부(170)는 소자 분할 라인(L)을 따라 분리된다. 이때, 각각의 개별 소자에 대해서, D2'의 절반 값에 대응하는 만큼의 폭을 갖는 절연부(170)가 발광 소자의 외곽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masking region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is defined as D1′, and the width of the masking region positioned on the device regions DR adjacent to each other is defined as D2′. . In this case, D1' and D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D2' may be greater than D1', and further, a half value of D2' may be greater than a half value of D1'. In an individual device divis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ulating portion 170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sking region having a width of D2 ′ is separated along the device division line L . In this case, for each individual device, the insulating portion 170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a half value of D2'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또한,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하는 마스크(210)의 마스킹 영역의 폭(D1')은 100㎛ 이하일 수 있고, 특히, 10 내지 80㎛ 범위 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dth D1 ′ of the masking region of the mask 210 positioned on one device region DR may be 100 μm or less, and in particular,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80 μm.

마스크(210)의 마스킹 영역의 폭에 따라, 후술하는 공정에서 전극(160)들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masking region of the mask 210 , the spacing between the electrodes 160 may be determined in a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전극(160 또는 260) 및 절연부(170)들을 형성하고, 웨이퍼(100)를 개별 소자 단위로 분할한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5a의 방법에 따라 도 6a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고, 도 5b의 방법에 따라 도 6b의 발광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S. 5A and 5B , electrodes 160 or 260 and insulating portions 170 are formed on the wafer 100 , and the wafer 100 is divided into individual device units.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6A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5A,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FIG. 6B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G. 5B A device may be provided.

먼저,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Firs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6A .

도 5a의 (a)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예비 전극(160a)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5A (a) , a preliminary electrode 160a is formed on the wafer 100 .

예비 전극(160a)은 금속 입자들과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된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점성체를 웨이퍼(100) 상에 절연부(170)들 사이에 노출된 웨이퍼(100) 상면을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17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적어도 2 이상의 예비 전극(160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비 전극(160a)은 그 상면이 대체로 절연부(170)의 상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비 전극(160a)들 사이에 절연부(17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exposed between the insulating parts 170 on the wafer 100 with the metal particles and a viscous material including a non-metall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It can be formed by forming. Accordingly, at least two preliminary electrodes 160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insulating part 170 interposed therebetween may be formed. A top surfac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and accordingly,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at least partially exposed between the preliminary electrodes 160a.

이어서, 도 5a의 (b)를 참조하면, 예비 전극(160a)으로부터 전극(160)을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b) of FIG. 5A , the electrode 160 is formed from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전극(160)은 예비 전극(160a)을 소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300℃ 이하의 온도로 예비 전극(160a)을 가열하여 전극(1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210)의 개구부(213)들을 채우는 복수의 전극(160)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160 may be formed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For example, the electrode 160 may be formed by heat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to a temperature of about 300° C. or less. Accordingly, a plurality of electrodes 160 filling the openings 213 of the mask 210 may be formed.

소결 과정에서 예비 전극(160a)의 금속 입자들은 소결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비금속성 물질은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160)은 금속 입자 및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된 비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160)의 금속 입자들은 전극(160)의 전체 질량 대비 80 내지 98wt%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metal particles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may be deformed into a sintered form, and a non-metallic materia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Accordingly, the electrode 160 may include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The metal particles of the electrode 160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80 to 98 wt%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electrode 160 .

또한, 소결 과정에서 예비 전극(160a) 내에 포함된 비금속성 물질의 고화 및/또는 증발 등에 의해 예비 전극(160a)의 부피가 감소하게 되어, 전극(160)의 부피가 예비 전극(160a)의 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예비 전극(160a)과 웨이퍼(100)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예비 전극(160a)과 웨이퍼(100)가 접착되어 소결과정에서도 이 부분의 예비 전극(160a)은 거의 그대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비 전극(160a)과 웨이퍼(100)의 계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예비 전극(160a)의 부분에서 부피 감소가 발생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60)의 측면(160s)은 경사질 수 있다. 특히, 전극(160)의 측면(160s)과 웨이퍼(100)가 이루는 각은 90°이하의 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때 전극(160)은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측면(160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소결 과정의 특성상, 전극(160)들 각각의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다가, 소정의 변곡점을 지나 다시 기울기가 감소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volum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is reduced due to solidification and/or evaporation of the non-metallic material included in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so that the volume of the electrode 160 is the volum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may be smaller than However, in the portion where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wafer 100 are in contact,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wafer 100 are adhered, so that even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of this portion can maintain the adhesive state almost as it is. there is. Accordingly, a volume reduction may occur in the portion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positioned above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wafer 100 , and as shown, the side surface 160s of the electrode 160 is can be inclined In particular, the angle between the side surface 160s of the electrode 160 and the wafer 100 may have an angle of 90° or less.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electrode 160 may include a side surface 160s in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changes. Due to the nature of the sintering process,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electrodes 160 increases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n passes a predetermined inflection point and decreases again.

도 5a의 (c)를 참조하면, 마스크(210)를 제거하여 웨이퍼(100) 상에 서로 이격된 전극(160)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극(160)들 사이에는 웨이퍼(100)의 상면이 노출된다.Referring to FIG. 5A (c) , the electrodes 16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wafer 100 by removing the mask 210 .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is exposed between the electrodes 160 .

마스크(210)는 식각 공정 등의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마스크(210)가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포토레지스트가 반응하는 화학 용액 등을 이용하여 마스크(210)를 제거할 수 있다.The mask 210 may be removed through various well-known methods, such as an etching process. When the mask 210 includes a photoresist, the mask 210 may be removed using a chemical solution to which the photoresist reacts.

본 실시예에서, 전극(160)을 형성하고 마스크(210)를 제거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순서는 반대일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electrode 160 is formed and the mask 210 is remov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der may be reversed.

다음, 도 5a의 (d)를 참조하면, 전극(160)들 사이의 이격 영역에 절연부(170)를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FIG. 5A ( d ), the insulating part 170 is formed in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electrodes 160 .

절연부(17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EMC(Epoxy Molding Compound), Si 수지와 같은 물질을 웨이퍼(100) 상에 전극(160)들을 덮도록 도포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170)는 전극(160)들 사이 영역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160)들의 측면은 절연부(17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60)들이 서로 절연된다. 또한, 절연부(170)는 TiO2입자와 같은 광 반사성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material such as an epoxy molding compound (EMC) or a Si resin having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to cover the electrodes 160 on the wafer 100 and then curing it.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to fill the area between the electrodes 160 , and side surfaces of the electrodes 1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art 170 . Accordingly, the electrodes 160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include light reflective and light scattering particles such as TiO 2 particles.

도 5a의 (e)를 참조하면, 전극(160)들 상에 위치하는 패드 전극(180)들을 형성할 수 있고, 다음, 도 5a의 (f)를 참조하면, 웨이퍼(100)를 소자 분할 라인(L)을 따라 분할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발광 소자(200a)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다.Referring to (e) of FIG. 5A , pad electrodes 180 positioned on the electrodes 160 may be formed, and then, referring to FIG. 5A (f), the wafer 100 is divided into device division lines. By dividing along (L),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200a as shown in FIG. 6A is formed.

상기 발광 소자(200a)는 도 3a의 발광 소자(2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of FIG. 3A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2a의 실시예와 달리 전극(160)이 절연부(170)보다 먼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160)을 형성한 후 절연부(170)를 형성하므로, 전극(160)의 형성과정에서 예비 전극(160a)의 부피가 감소하여 형성되는 전극(160)과 절연부(170)의 이격 영역을 채우기 위한 2차 절연부(173)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발광 소자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embodiment of FIGS. 1 to 2A , the electrode 160 may be formed before the insulating part 17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sulating part 170 is formed after the electrode 160 is formed, the electrode 160 and the insulating part forme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de 160 .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form the secondary insulating portion 173 for filling the spaced region 170 .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simplified.

다음,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은,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나, 예비 전극(260a) 및 전극(260)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5a 및 도 6a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 구성 및 한정은 모두 본 실시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B and 6B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6A ,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and the electrode 260 .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nd all of the technical features, configurations, and limitations described in FIGS. 5A and 6A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5b의 (a)를 참조하면, 웨이퍼(100) 상에 예비 전극(260a)을 형성한다.Referring to (a) of FIG. 5B , a preliminary electrode 260a is formed on the wafer 100 .

예비 전극(260a)은 웨이퍼(100) 상에 개구부(213)에 노출된 웨이퍼(100) 상면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마스크(210)까지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비 전극(260a)은 금속 입자들 및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점성체를 웨이퍼(100) 상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예비 전극(260a)은 마스크(210)까지 완전히 덮도록, 마스크(210)의 높이보다 큰 두께로 웨이퍼(100) 상에 도포될 수 있다.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form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exposed to the opening 213 on the wafer 100 , and in particular, may be formed to completely cover the mask 210 .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formed by coating a viscous material including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lic material on the wafer 100 . In this case,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applied on the wafer 100 to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mask 210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mask 210 .

이어서, 도 5b의 (b)를 참조하면, 예비 전극(260a)으로부터 전극(260)을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b) of FIG. 5B , an electrode 260 is formed from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전극(260)은 예비 전극(260a)을 소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300℃ 이하의 온도로 예비 전극(260a)을 가열하여 전극(260)을 형성할 수 있다. 소결 과정에서 예비 전극(260a)의 금속 입자들은 소결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극(260)을 소결을 통해 형성하는 과정에서, 예비 전극(260a)의 부피가 감소되어 전극(26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260)은 예비 전극(260a)보다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예비 전극(260a)이 소결되어 부피가 감소된 이후에도, 전극(260)은 마스크(210)를 덮고 있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260)의 측면(260s)은 웨이퍼(100)의 상면과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For example,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by heating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to a temperature of about 300° C. or less.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metal particles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deformed into a sintered form.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de 260 through sintering, the volume of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may be reduced to form the electrode 260 . Accordingly, as illustrated, the electrode 260 may have a smaller volume than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after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is sintered to reduce the volume,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to cover the mask 210 .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260s of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

예비 전극(260a)과 전극(260)은 도 5a의 예비 전극(160a) 및 전극(160)과 비교하여, 그 제조 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Compared with the preliminary electrode 160a and the electrode 160 of FIG. 5A , the preliminary electrode 260a and the electrode 260 have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but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material.

이어서, 도 5b의 (c) 및 (d)를 참조하면, 전극(260)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마스크(210)를 노출시킨다.Next, referring to (c) and (d) of FIG. 5B , the electrode 260 is partially removed to expose the mask 210 .

전극(260)은 그 상부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가상선(F-F) 상부에 위치하는 전극(260)의 일부를 제거하여 마스크(21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전극(260)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은, 예를 들어, 래핑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electrode 260 may be removed, for example,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electrode 260 positioned above the predetermined virtual line FF as shown, the upper surface of the mask 210 is can be exposed. Removing a portion of the electrode 260 may use, for example, a lapping process.

이에 따라, 절연부(170)들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극들(2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전극(260)들 각각은 절연부(170)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전극(260)의 측면(260s)은 웨이퍼(100)의 상면과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electrodes 260 positioned in the region between the insulating portions 170 may be formed. In addition, each of the formed electrodes 260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and the side surface 260s of the electrode 26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of the wafer 100 .

도 5b의 (e)를 참조하면, 전극(260)들 사이의 마스크(210)를 제거하여 웨이퍼(100)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전극(260)들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e) of FIG. 5B ,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100 is partially exposed by removing the mask 210 between the electrodes 260 . Accordingly, a plurality of electrodes 26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마스크(210)는 식각 공정 등의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마스크(210)가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포토레지스트가 반응하는 화학 용액 등을 이용하여 마스크(210)를 제거할 수 있다.The mask 210 may be removed through various well-known methods, such as an etching process. When the mask 210 includes a photoresist, the mask 210 may be removed using a chemical solution to which the photoresist reacts.

다음, 도 5b의 (f)를 참조하면, 전극(260)들 사이의 이격 영역에 절연부(170)를 형성한다.Next, referring to (f) of FIG. 5B , an insulating portion 170 is formed in a spaced region between the electrodes 260 .

절연부(17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EMC(Epoxy Molding Compound), Si 수지와 같은 물질을 웨이퍼(100) 상에 전극(260)들을 덮도록 도포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170)는 전극(160)들 사이 영역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260)들의 측면(260s)은 절연부(17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160)들이 서로 절연된다. 또한, 절연부(170)는 TiO2입자와 같은 광 반사성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by applying a material such as an EMC (Epoxy Molding Compound) or Si resin having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ies to cover the electrodes 260 on the wafer 100 and then curing the same.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to fill the area between the electrodes 160 , and side surfaces 260s of the electrodes 26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art 170 . Accordingly, the electrodes 160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include light reflective and light scattering particles such as TiO 2 particles.

도 5b의 (g)를 참조하면, 전극(260)들 상에 위치하는 패드 전극(180)들을 형성할 수 있고, 다음, 도 5a의 (h)를 참조하면, 웨이퍼(100)를 소자 분할 라인(L)을 따라 분할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발광 소자(200b)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다.Referring to (g) of FIG. 5B , pad electrodes 180 positioned on the electrodes 260 may be formed, and then, referring to FIG. 5A (h), the wafer 100 is divided into device division lines. By dividing along (L),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200b as shown in FIG. 6B is formed.

상기 발광 소자(200b)는 도 3b의 발광 소자(200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0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b of FIG. 3B ,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 내지 도 6b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부(170)를 형성하기 전에 전극(160 또는 26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마스크(210)의 마스킹 영역의 폭에 따라 전극(160 또는 26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4 to 6B , the electrode 160 or 260 is formed before the insulating part 170 is formed.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160 or 26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masking region of the mask 210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210)의 마스킹 영역의 폭에 따라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된 절연부(170)의 폭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형성된 절연부(170)의 폭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개별 소자 분할 과정에서 레이저나 다이싱 도구 등에 의한 전극(16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formed over the adjacent device regions DR may be fre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masking region of the mask 210 .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formed over the adjacent device regions DR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electrode 160 by a laser or a dicing tool in the process of dividing individual devices.

즉, 마스크(210)의 형성 과정에서 전극(160)들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부(170)들의 폭을 자유롭게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소자 영역(DR) 상에 위치하는 전극(160) 사이의 폭(D1'에 대응)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고, 인접하는 소자 영역(DR)들에 걸쳐 위치하는 전극(160) 사이의 폭(D2'에 대응)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발광 소자의 열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순방향 전압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개별 소자 분할 과정에서 발광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by freely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insulating portions 170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16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mask 210 , the width ( The width (corresponding to D1')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and the width (corresponding to D2') between the electrodes 160 positioned across the adjacent device regions DR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Accordingly,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manufactured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the forward voltag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the individual device division process.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일반적인 플립칩형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b의 실시예들에서, 부가적으로 설명한 기술적 특징, 구성 및 한정은 본 실시예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7 and 8 relate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general flip-chip stru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B ,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6B , the technical features, configurations, and limitations additionally described may all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200c)는 발광 구조체(120), 전극(160), 및 컨택 전극들(130, 140), 및 절연부(170)를 포함하고, 나아가,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 절연층(150) 및 파장변환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7 ,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c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an electrode 160 , and contact electrodes 130 and 140 , and an insulating part 170 , and further, the first and It may further include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 an insulating layer 150 , and a wavelength converter 190 .

발광 구조체(120)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123), 및 활성층(123) 상에 위치하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활성층(123)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은 Ⅲ-Ⅴ 계열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l, Ga, In)N과 같은 질화물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은 n형 불순물 (예를 들어, Si)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은 p형 불순물 (예를 들어, M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활성층(123)은 다중양자우물 구조(MQW)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includes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an active layer 123 locat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 125) may be include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the active layer 123 ,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may include a III-V series compound semiconductor, for example, (Al, Ga, In)N and The same nitride-based semiconductor may be included.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1 may include an n-type impurity (eg, Si),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5 may include a p-type impurity (eg, Mg). there is. Also, vice versa. The active layer 123 may include a multiple quantum well structure (MQW).

또한, 발광 구조체(120)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 및 활성층(123)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이 부분적으로 노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and the active layer 123 are partially removed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is partially exposed.

컨택 전극들(130, 140)은 제1 컨택 전극(130) 및 제2 컨택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택 전극(130)과 제2 컨택 전극(140)은 각각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1, 125) 상에 위치하여 접촉할 수 있고, 또한 각각에 오믹 컨택할 수 있다.The contact electrodes 130 and 14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electrode 130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may be positioned on and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s 121 and 125 , respectively, and may be in ohmic contact with each other.

제1 컨택 전극(130) 및 제2 컨택 전극(140)은 질화물계 반도체와 오믹 컨택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도전성 산화물, 도전성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are a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n ohmic contact with the nitride-based semiconducto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al, a conductive oxide, or a conductive nitride. .

절연층(150)은 발광 구조체(120) 및 컨택 전극(130, 140)들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절연층(150)은 발광 구조체(120)의 상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과 활성층(123)을 포함하는 메사의 측면, 및 컨택 전극(130, 140)들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절연층(150)은 더욱 효과적으로 제1 컨택 전극(130)과 제2 컨택 전극(140)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발광 구조체(1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50 may partially cover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and the contact electrodes 130 and 140 . The insulating layer 150 may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a side surface of the mesa including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and the active layer 123 , and a portion of the contact electrodes 130 and 140 . The insulating layer 150 may more effectively insulat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and may also serve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전극(160)은 발광 구조체(12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은 각각 제1 컨택 전극(130) 및 제2 컨택 전극(140) 상에 위치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은 각각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160 may be position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and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61 and a second electrode 163 .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respectively,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1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5 , respectively.

또한,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은 컨택 전극들(130, 140)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Als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may directly contact the contact electrodes 130 and 140 .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각각은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각각은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각각의 경사진 측면은 상기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영역과 상기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lude an inclined side surface.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lude an inclined side surface in which the slope of a tangent line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changes. Furthermore, each inclined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increases and a region in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line decreases.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이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전극(161, 163)과 절연부(170)의 계면에서의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and the insulating portion 170 include inclined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in which the slope of the tangent to the sid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changes. ), the mechanical stability at the interface can be improved.

이와 달리,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각각의 측면은, 발광 구조체(120)의 상면과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에 의한 열 방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lternatively, each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In this cas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by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improved.

한편,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의 최단 거리에 있는 간격은 약 100㎛이하일 수 있고, 나아가, 약 10 내지 8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61)이 절연부(150)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제2 전극(163)이 절연부(150)와 접하는 부분까지의 최단 거지를 약 10 내지 80㎛일 수 있다.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사이의 간격 중 최단 거리가 상술한 범위로 제공됨으로써, 순방향 전압(Vf)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전극들(161, 163)의 수평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발광 소자(200c)의 열 방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at the shortest distance may be about 100 μm or less, and further, may be about 10 to 80 μm.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port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61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ortion 150 to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lectrode 163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on portion 150 may be about 10 to 80 μm. there is. Since the shortest distance among the interval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is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ward voltage Vf from increasing, and also, the electrodes 161 and 163 . Sinc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c can be increased,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c can be improved.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은 금속 입자들 및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된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161, 163) 각각은 상기 금속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입자들은 제1 및 제2 전극(161, 163) 각각의 질량 대비 80 내지 98wt%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금속 입자들은 열전도성 및 전기적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Cu, Au, Ag, P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금속성 물질은 전극(160)을 형성하기 위한 소결 대상이 되는 물질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C를 포함하는 폴리머 물질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include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l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may include the metal particles. The metal particles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80 to 98 wt% based on the mas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 The metal particles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are materials having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u, Au, Ag, Pt, and the like. The non-metallic material may be derived from a material to be sintered for forming the electrode 160 , and may be, for example, a polymer material containing C.

또한,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은 약 50 내지 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가 상술한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전극(160)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 소자는 그 자체로 칩 스케일 패키지로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to 80 μm. Si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electrode 160 having a thickness 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light emitting device itself may be used as a chip scale package.

절연부(170)는 발광 구조체(120) 상에 전극(160)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연부(170)의 상면에는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이 노출될 수 있다.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160 .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절연부(170)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며,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의 측면을 덮어, 효과적으로 이들을 서로 절연시킨다. 동시에, 절연부(170)는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절연부(170)의 하면은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의 하면들과 대체로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part 170 has electrical insulation and covers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to effectively insulate them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insulating part 170 may serve to support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A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in parallel to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lower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절연부(170)는 절연성 폴리머 및/또는 절연성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EMC(Epoxy Molding Compound), Si 수지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170)는 TiO2입자와 같은 광 반사성 및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sulating part 170 may include an insulating polymer and/or an insulating ceramic,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EMC (Epoxy Molding Compound) or a Si resin. 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170 may include light reflective and light scattering particles such as TiO 2 particles.

제1 패드 전극(181) 및 제2 패드 전극(183)은 절연부(170)의 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 전극(181) 및 제2 패드 전극(183)은 절연부(170)의 일 면들 중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이 노출된 절연부(170)의 하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 패드(181) 및 제2 전극 패드(183)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Ni, Pt, Pd, Rh, W, Ti, Al, Ag, Sn, Cu, Ag, Bi, In, Zn, Sb, Mg, P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 패드(181, 183) 각각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ad electrode 181 and the second pad electrode 183 may b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In particular, as illustrated, the first pad electrode 181 and the second pad electrode 183 have the insulating part 170 expos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among the surfaces of the insulating part 170 . )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e first electrode pad 181 and the second electrode pad 183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for example, Ni, Pt, Pd, Rh, W, Ti, Al, Ag, Sn, Cu. , Ag, Bi, In, Zn, Sb, Mg, Pb, and the like.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ds 181 and 183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파장변환부(190)는 발광 구조체(120)의 하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wavelength converter 19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파장변환부(190)는 발광 구조체(120)에서 방출된 광의 파장을 변환시켜, 발광 소자가 원하는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파장변환부(190)는 형광체 및 상기 형광체가 담지되는 담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형광체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가넷형 형광체, 알루미네이트 형광체, 황화물 형광체, 산질화물 형광체, 질화물 형광체, 불화물계 형광체, 규산염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지체 역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폴리머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장변환부(190)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velength converter 190 converts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emit light in a desired wavelength band. The wavelength conversion unit 190 may include a phosphor and a carrier on which the phosphor is supported. The phosphor may include various phosphor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arnet-type phosphor, an aluminate phosphor, a sulfide phosphor, an oxynitride phosphor, a nitride phosphor, a fluoride-based phosphor, and a silicate phosphor. The carrier may also use a material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polymer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or an acrylic resin, or a silicone resin. In addition, the wavelength converter 190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상기 발광 소자(200c)는 성장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성장 기판은 발광 구조체(120)와 파장변환부(19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절연부(170)는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까지 더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파장변환부(190)와 절연부(170)가 접촉될 수도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c may further include a growth substrate (not shown), wherein the growth substrat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and the wavelength converter 190 . In addition,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formed to further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and in this case, the wavelength converting part 190 and the insulating part 170 may be in contact.

한편, 발광 구조체(120)의 하면, 즉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의 하면은 성장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후, 그 거칠기가 증가되어 러프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광 소자(200d)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는 파장변환부(190)는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발광 소자(200d)는 파장변환부(1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after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is separated from the growth substrate, its roughness is increased to include roughness.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d as shown in FIG. 8 may be provided. Although the wavelength converter 190 is omitted in FIG. 8 ,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d may further include a wavelength converter 190 .

상기 러프니스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의 표면을 건식 식각, 습식 식각 및/또는 전기 화학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OH 및 Na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발광 구조체(120)의 일면을 습식 식각함으로써 러프니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PEC 식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건식 식각과 습식 식각을 조합하여 러프니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의 표면에 ㎛ 내지 nm 스케일의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러프니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러프니스를 형성하는 방법들은 예시들에 해당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발광 구조체(120) 표면에 러프니스를 형성할 수 있다. 발광 구조체(120)의 표면에 러프니스를 형성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oughness may be formed by dry etching, wet etching, and/or electrochemical etching th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For example, roughness may be formed by wet etching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using a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f KOH and NaOH, or PEC etching may be used. Also, roughness may be formed by combining dry etching and wet etching. Accordingly, roughness including protrusions and/or concavities in a μm to nm scal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The above-described methods of forming the roughness correspond to examples, and the roughnes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using various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forming roughnes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mprov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 및 단면도이다.9 and 10 are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발광 소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b의 실시예들에서, 부가적으로 설명한 기술적 특징, 구성 및 한정은 본 실시예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9 and 10 relate to the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B ,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6B , the technical features, configurations, and limitations additionally described may all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의 (a)는 발광 소자(200e)의 평면도이고, (b)는 홀(120h)의 위치 및 제3 개구부(153a)와 제4 개구부(153b)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와 (b)의 A-A선에 대응하는 영역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9 (a) is a plan view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b)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hole (120h) and the third opening (153a) and the fourth opening (153b),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line AA in FIGS. 9A and 9B.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200e)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활성층(123)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120), 제1 컨택 전극(130), 제2 컨택 전극(140), 제1 절연층(151), 제2 절연층(153),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 소자(200e)는 절연부(170),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 성장 기판(미도시) 및 파장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9 and 10 ,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includes a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an active layer 123 ,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 a first It may include a contact electrode 130 , a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a first insulating layer 151 , a second insulating layer 153 , a first electrode 161 , and a second electrode 163 . Furthermore,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art 170 ,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 a growth substrate (not shown), and a wavelength converter (not shown).

발광 구조체(120)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123), 및 활성층(123) 상에 위치하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 구조체(120)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 및 활성층(123)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이 부분적으로 노출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구조체(120)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 및 활성층(123)을 관통하여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홀(120h)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120h)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includes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an active layer 123 located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and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 125) may be included. Also,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and the active layer 123 are partially removed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is partially exposed. For example, as show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and the active layer 123 and exposes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through at least one hole 120h. ) may be inclu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rangement shape and number of the holes 120h may be variously modified.

또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이 노출된 형태는 홀(120h)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 노출되는 영역은 라인 형태, 홀 및 라인이 복합된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이 노출되는 영역이 복수의 라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발광 구조체(120)는 상기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활성층(123)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ape in whic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is expose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hole 120h. For example, the exposed region of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1 may be formed in a line shape, a combination of holes and lines, or the like. When the region to which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1 is expose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lines,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is formed along the line, and the active layer 123 and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5 are formed along the li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mesa comprising

발광 구조체(120)는 그 하면에 형성된 러프니스(120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러프니스(120R)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의 표면에 형성된 ㎛ 내지 nm 스케일의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구조체(120)의 표면에 러프니스를 형성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may further include a roughness 120R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roughness 120R may include protrusions and/or concave portions in a μm to nm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By forming roughnes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mproved.

제2 컨택 전극(140)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 상에 위치한다. 제2 컨택 전극(140)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의 상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오믹 컨택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택 전극(140)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의 상면을 전반적으로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구조체(120)의 전체에 대해 전류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전류 분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5 .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may at least partial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and may be in ohmic contact. Also,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may be disposed to complete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Accordingly, current may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entir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and current dispersion efficiency may be improved.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컨택 전극(140)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복수의 단위 반사 전극층들이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is not integrally formed, and a plurality of unit reflective electrode layer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

제2 컨택 전극(140)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에 오믹 컨택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물질 및/또는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may include a material capable of ohmic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nd/or a conductive oxide.

제2 컨택 전극(140)이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컨택 전극(140)은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을 덮는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컨택 전극(140)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과 오믹 컨택되는 것과 더불어,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은 높은 반사도를 가지면서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과 오믹 접촉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층은 Ni, Pt, Pd, Rh, W, Ti, Al, Mg, Ag 및 A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includes a metal material,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and a cover layer covering the reflective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may be in ohmic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5 and may function to reflect light. Accordingly, the refle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capable of forming an ohmic contact with the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5 while having high reflectivity. For example, the reflect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i, Pt, Pd, Rh, W, Ti, Al, Mg, Ag, and Au. In addition, the reflective layer may includ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상기 커버층은 상기 반사층과 다른 물질 간의 상호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다른 물질이 상기 반사층에 확산하여 상기 반사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층은 상기 반사층의 하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상기 반사층과 함께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상기 반사층과 함께 일종의 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예를 들어, Au, Ni, Ti, C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ver layer may prevent mutual diffusion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other materials, and may prevent other materials from diffusing into the reflective layer from damaging the reflective layer. Accordingly, the cover layer may be formed to cover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The cover lay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5 together with the reflective layer, and thus may serve as a kind of electrode together with the reflective layer. The cover layer may include, for example, Au, Ni, Ti, Cr,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한편, 제2 컨택 전극(140)이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도전성 산화물은 ITO, ZnO, AZO, IZO 등일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includes a conductive oxide, the conductive oxide may be ITO, ZnO, AZO, IZO, or the like.

제1 절연층(151)은 발광 구조체(120)의 상면 및 제2 컨택 전극(140)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151)은 복수의 홀(120h)들의 측면을 덮되, 홀(120h)의 상면을 노출시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절연층(151)은 발광 구조체(120)의 적어도 일부의 측면을 더 덮을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may partial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In additi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may cover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120h, and expose the top surface of the holes 120h to partially expos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Furthermor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may further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한편, 제1 절연층(151)이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을 덮는 정도는, 발광 소자의 제조 과정에서 칩 단위 개별화(isolation)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a chip unit is isol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제1 절연층(151)은 복수의 홀(120h)들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1 개구부와 제2 컨택 전극(14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 및 홀(120h)들을 통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제2 개구부를 통해 제2 컨택 전극(140)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position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120h and a second opening exposing a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1 may be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holes 120h , and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may be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제1 절연층(151)은 절연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iO2, SiNx, MgF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절연층(151)은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고, 굴절률이 다른 물질이 교대로 적층된 분포 브래그 반사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제2 컨택 전극(140)이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절연층(151)이 분포 브래그 반사기를 포함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SiO 2 , SiN x , MgF 2 , or the like. Furthermor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may include multiple layers, and may include a distributed Bragg reflector in which material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alternately stacked. 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includes a conductive oxid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includes a distributed Bragg reflector to improve luminous efficiency.

제1 컨택 전극(130)은 발광 구조체(120)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으며, 복수의 홀(120h) 및 제1 개구부들을 통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과 오믹 컨택할 수 있다. 이때, 제1 컨택 전극(130)은 상기 홀(120h)을 채울 수 있다. 제1 컨택 전극(130)은 제1 절연층(151) 하면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택 전극(130)은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까지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컨택 전극(130)이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에도 형성되는 경우, 활성층(123)으로부터 측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시켜 발광 소자(200e)의 상면으로 방출되는 광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컨택 전극(130)은 제1 절연층(151)의 제2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고, 제2 컨택 전극(140)과 이격되어 절연된다.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may partially cover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and may be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1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20h and the first openings.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may fill the hole 120h.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may be formed to entirely cover a portion other than a partial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 Also,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may be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When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is also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the light emitted from the side surface from the active layer 123 is reflected upward to increase the ratio of light em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can Meanwhil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is not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and insulated.

제1 컨택 전극(130)이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 발광 구조체(120)의 상면을 전반적으로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전류 분산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택 전극(140)에 의해 덮이지 않는 부분을 제1 컨택 전극(130)이 커버할 수 있으므로, 광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사시켜 발광 소자(200e)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is formed to entire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except for a partial region, current dissipation efficiency may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may cover a portion not covered by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light may be reflected more effectively to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제1 컨택 전극(13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과 오믹 컨택함과 아울러,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택 전극(130)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Al층과 같은 고반사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반사 금속층은 Ti, Cr 또는 Ni 등의 접착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may make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 121 and may serve to reflect light. Accordingly,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and may include a highly reflective metal layer such as an Al layer. The highly reflective metal layer may be formed on an adhesive layer such as Ti, Cr, or Ni.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컨택 전극(130)은 홀(120h)들을 통해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과 오믹 컨택되므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과 연결된 전극 등을 형성하기 위하여 활성층(123)이 제거되는 영역이 복수의 홀(120h)들에 대응하는 영역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1)과 금속층의 오믹 컨택을 위한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고, 전체 발광 구조체의 수평 면적에 대한 발광 영역의 면적 비율이 상대적으로 큰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is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through the holes 120h, the active layer 123 is formed to form an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 The area to be removed is the same a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holes 120h. Accordingly, an area for ohmic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21 and the metal layer may be minimized, and a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ratio of the light emitting area to the horizontal area of the entire light emitt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발광 소자(200e)는 제2 절연층(15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절연층(153)은 제1 컨택 전극(130)을 덮을 수 있다. 제2 절연층(153)은 제1 컨택 전극(13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3 개구부(153a), 및 제2 컨택 전극(14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4 개구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 개구부(153b)는 제2 개구부(151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sulating layer 153 ,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3 may cover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3 may include a third opening 153a partially exposing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and a fourth opening 153b partially exposing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there is. In this case, the fourth opening 153b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151b.

제3 및 제4 개구부(153a, 153b) 각각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개구부(153a)가 발광 소자(200e)의 일 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제4 개구부(153b)는 타 측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third and fourth openings 153a and 153b may be formed, respectively.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 when the third opening 153a is positioned adjacent to one ed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the fourth opening 153b is adjacent to the other edg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can be located

제2 절연층(153)은 절연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iO2, SiNx, MgF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절연층(153)은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고, 굴절률이 다른 물질이 교대로 적층된 분포 브래그 반사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3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SiO 2 , SiN x , or MgF 2 . Furthermor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3 may include multiple layers, and may include a distributed Bragg reflector in which material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alternately stacked.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S)은 제2 절연층(15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61)은 제3 개구부(153a) 상에 위치하여 제1 컨택 전극(130)과 접촉될 수 있고, 제2 전극(163)은 제4 개구부(153b) 상에 위치하여 제2 컨택 전극(140)과 접촉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S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3 . Also, the first electrode 161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opening 153a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be positioned on the fourth opening 153b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electrode 130 .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140 .

이와 같이,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각각은 제1 및 제2 컨택 전극(130, 140)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을 형성하기 전에, 추가적인 시드층 또는 웨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As such, each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may directl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130 and 140 . Accordingly, before forming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it may be omitted to form an additional seed layer or a wetting layer, an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simplified.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간의 간격(160D1)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연부(170)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160D2)보다 작을 수 있고, 나아가,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 간의 간격(160D1)의 최단 거리는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절연부(170)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160D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전극(160)들은 상대적으로 발광 소자(200a)의 중심부에 쏠려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 소자(200e)에 있어서,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 상에는 절연층(151, 153) 또는 컨택 전극들(130, 140) 등이 위치할 수 있어, 활성층(123)은 주로 발광 구조체(120)의 중심부에 쏠려 위치할 수 있다. 전극(160)이 상대적으로 발광 소자(200e)의 중심부에 쏠려 있어 발광 소자(200e)가 구동될 때 활성층(123)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극(160)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A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distance 1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is the value of the insulating portion 170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It may be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160D2 to the outer side, and further, the shortest distance 160D1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is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It may be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160D2 from one side of one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insulating part 170 . That is, the electrodes 16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of this embodiment, the insulating layers 151 and 153 or the contact electrodes 130 and 140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and the active layer 123 is mainly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t may be located focused on the center of (120). Since the electrode 160 is relatively focused on the cent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heat generated from the active layer 123 may be more effectively radiated through the electrode 160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is driven.

제1 전극(161) 및 제2 전극(163)과 관련된 설명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대체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의 간격(160D1)의 최단 거리는 10 내지 80㎛ 범위 내로 제공될 수 있다.Since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particular,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intervals 160D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may be provided within a range of 10 to 80 μm.

절연부(170)는 제2 절연층(153) 및 제1 전극(161)과 제2 전극(163)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170)는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까지 더 덮을 수 있다. The insulating part 170 may cov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3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61 and the second electrode 163 . In particular, as shown, the insulating part 170 may further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한편, 절연부(170)가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을 덮는 정도는, 발광 소자의 제조 과정에서 칩 단위 개별화(isolation)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the degree to which the insulating part 170 covers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chip unit isolation is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절연부(170), 제1 패드 전극(181) 및 제2 패드 전극(183)과 관련된 설명은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대체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scriptions related to the insulating part 170 , the first pad electrode 181 , and the second pad electrode 183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파장변환부(미도시)는 발광 구조체(120)의 하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파장변환부의 일부는 제1 절연층(151)과 접할 수도 있다. 또한, 파장변환부는 발광 구조체(120)의 측면까지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절연부(170)의 측면까지 더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wavelength converter (not shown)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A portion of the wavelength convert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 In addition, the wavelength conversion unit may be formed to cover up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and further, may be formed to further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unit 170 .

파장변환부와 관련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대체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wavelength converter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발광 소자(200e)는 발광 구조체(120)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성장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 소자(200e)가 파장변환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성장 기판은 발광 구조체(120)와 파장변환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may further include a growth substrate (not shown)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e includes a wavelength converter, the growth substrat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20 and the wavelength convert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시 수평 방향으로 전류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에 소결된 형태의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전극이 채택된다. 따라서, 발광 소자 구동 시 발열로 인하여 제1 및 제2 전극에 스트레스가 인가되더라도, 전극에 포함된 비금속 물질에 의해 이러한 스트레스가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161, 163)의 간격의 최단 거리(160D1)가 10 내지 80㎛ 범위 내로 제공되므로, 낮은 순방향 전압을 구현할 수 있고, 구동 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ing sintered metal particles are employed in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current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ring driving. Accordingly, even if stress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stress may be relieved by the non-metallic material included in the electrode. Accordingly, the reliabilit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hortest distance 160D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1 and 163 is provided within a range of 10 to 80 μm, a low forward voltage can be implemented and heat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dissipated. .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및 기판(300)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 소자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기판(3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ubstrate 3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devic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may be applied, and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300 .

기판(300)은, 예를 들어, 제1 도전 패턴(311), 제2 도전 패턴(313) 및 이들을 절연시키는 절연막(320)을 포함하는 PCB일 수 있다. 특히, 상기 PCB는 제1 및 제2 도전 패턴(311, 313)이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 PCB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30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기판일 수 있다.The substrate 300 may be, for example, a PCB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pattern 311 , a second conductive pattern 313 , and an insulating layer 320 insulating them. In particular, the PCB may be a metal PCB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311 and 313 are formed of a met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bstrate 300 may be a substrate having various structur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발광 소자(200a)는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이 각각 제1 및 제2 도전 패턴(311, 313)에 접착됨으로써 발광 소자(200a)가 기판(3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은 솔더 또는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각각 제1 및 제2 도전 패턴(311, 313)에 접착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and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hav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311 and 313, respectively. ) by being attach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300 .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may be bond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311 and 313 through solder or a conductive adhesive,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 소자는 별도의 패키징 과정없이 바로 이용될 수 있는 칩 스케일 패키지로써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hip scale package that can be directly used without a separate packaging proces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을 포함하지 않고, 기판(300)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300 without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

도 12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200a)는 제1 및 제2 패드 전극(181, 183)을 포함하지 않으며, 별도의 본딩층(231, 233)에 의해 기판(300)과 접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does not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pad electrodes 181 and 183 , and may be adhered to the substrate 300 by separate bonding layers 231 and 233 .

상기 본딩층(231, 233)은 금속과 같은 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정 본딩(Eutectic bonding)을 통해 발광 소자(200a)와 기판(300)을 접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도전 패턴(311, 313)이 Au를 포함하는 경우, 공정 구조(Eutectic structure)를 갖는 Au/Sn 합금을 포함하는 본딩층(231, 233)을 통해 발광 소자(200a)를 기판(300) 상에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nding layers 231 and 233 may include a metallic material such as metal, and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a and the substrate 300 may be bonded through eutectic bonding.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patterns 311 and 313 include Au, the light emitting device ( 231 , 233 ) including the Au/Sn alloy having an eutectic structure is used through the bonding layer ( 231 , 233 ). 200a) can be effectively adhered to the substrate 3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들 및 특징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하는 기술적 특징들의 결합 및 치환을 통하여 변경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모두 포함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features. The invention changed through the combination and substitution of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고,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하여 위치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오믹 컨택하는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측면 및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을 덮는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간격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절연부의 외곽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각각 금속 입자들이 소결되어 형성된 복수의 그레인 및 상기 금속 입자들 사이에 배치된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e first surface an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surface positioned thereon;
a first contact electrode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semiconductor layer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electrodes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and
and an insulating part covering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omprises metal particles,
A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one side of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outer side of the insulating part,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grains formed by sintering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lic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의 최단 거리는 10 내지 80㎛인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10 to 80㎛ the light emit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그 수직 단면의 측면에 대한 접선 기울기가 변화하는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slanted side surface in which the slope of a tang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cross-section chang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측면과 상기 발광 구조체의 상면이 이루는 각은 30°이상 90°미만인 발광 소자.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 angle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s 30° or more and less than 9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의 측면은 상기 발광 구조체의 제1 면에 대해 수직인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ide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의 일 면 상에 위치하며, 각각 제1 및 제2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1 패드 전극 및 제2 패드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rst pad electrode and a second pad electrod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part and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금속 입자들 및 상기 금속 입자들 사이에 개재된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lic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particle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80 내지 98 wt%의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8.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80 to 98 wt% of metal partic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는 Cu, Au, Ag, 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particle i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Cu, Au, Ag, and P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부분적으로 노출된 영역;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을 서로 절연시키는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각각 제1 컨택 전극과 제2 컨택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 전극은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된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에 오믹 컨택하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gion in which the a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re partially removed to partially expos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insulating layer insula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partially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openings expos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the first contact electrode is in ohmic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through a region wher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is expose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directl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컨택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발광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에 각각 오믹 컨택하는 제1 컨택 전극과 제2 컨택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 영역을 포함하는 웨이퍼를 준비하고; 및
상기 웨이퍼 상에, 제1 컨택 전극 및 제2 컨택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측면을 덮는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금속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소자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간격의 최단 거리의 절반 값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하나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소자 영역을 정의하는 부분의 측면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금속 입자들 및 비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여 형성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act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s preparing a wafer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region including a first contact electrode and a second contact electrode respectively in ohmic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layer; and
On the wafer, form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ctrodes, respectively, and forming an insulating part covering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omprises metal particles,
A half value of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ositioned in the device region is the shortest distance from one side of on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the side of the portion defining the device region smaller tha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by sinter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including metal particles and a non-metallic materia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소자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의 최단 거리는 10 내지 80㎛인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positioned in the device region is 10 to 80㎛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절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부들의 이격 영역들을 채우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여 각각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form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insulating portions;
and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the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to form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여 각각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을 제거하고;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forming a plurality of mas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mask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removing the masks; and
and forming an insulating part filling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소결되어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보다 작은 부피를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경사진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 각각의 수평 단면적은, 상기 발광 구조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ormed by sintering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electrodes,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n inclined side surface, and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becomes small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이 소결되어 형성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절연부 사이의 이격 영역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절연부 사이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절연부를 추가적으로 더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further forming an insulating part to fill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art formed by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preliminary second electrodes and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ar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 각각이 상기 웨이퍼와 접촉하는 면적은 각각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이 상기 웨이퍼와 접촉하는 면적과 동일한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 area in which each of the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the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contacts the wafer is the same as an area in which each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ontacts the waf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절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부들의 이격 영역들을 채우며 상기 절연부들의 상면까지 덮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고;
상기 소결된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절연부들의 상면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form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insulating parts and covering up to upper surfaces of the insulating parts;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preliminary second electrodes;
and partially removing upper portions of the sintered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electrodes to expose upper surfaces of the insulating portions, an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웨이퍼 상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마스크를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의 이격 영역들을 채우며 상기 마스크들의 상면까지 덮는 예비 제1 전극 및 예비 제2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을 소결하고;
상기 소결된 예비 제1 및 예비 제2 전극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마스크들의 상면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들을 제거하고;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이격 영역을 채우는 절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orming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portion,
forming a plurality of mas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wafer;
forming a preliminary first electrode and a preliminary second electrode filling the spaced apart regions of the masks and covering up to upper surfaces of the masks;
sintering the preliminary first and preliminary second electrodes;
partially removing upper portions of the sintered preliminary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expose top surfaces of the masks an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moving the masks; and
and forming an insulating part filling the spaced reg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측면은 상기 웨이퍼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19 or 2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side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f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 상에 제1 패드 전극 및 제2 패드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first pad electrode and a second pad electrode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respectively.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복수의 소자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소자 영역의 각각 상에 형성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afer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 reg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 regions.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및 상기 절연부의 일부를 상기 복수의 소자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제조 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and dividing a portion of the wafer and the insulating portion into the plurality of device regions to form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KR1020140142580A 2014-09-26 2014-10-21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ctive KR102279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80A KR102279520B1 (en) 2014-10-21 2014-10-21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5/514,492 US10283685B2 (en) 2014-09-26 2015-09-14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CT/KR2015/009614 WO2016047950A1 (en) 2014-09-26 2015-09-14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580051056.2A CN107078199B (en) 2014-09-26 2015-09-14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104131055A TWI591853B (en) 2014-09-26 2015-09-21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5/854,631 US10700249B2 (en) 2014-09-26 2017-12-26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580A KR102279520B1 (en) 2014-10-21 2014-10-21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39A KR20160046539A (en) 2016-04-29
KR102279520B1 true KR102279520B1 (en) 2021-07-21

Family

ID=5591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580A Active KR102279520B1 (en) 2014-09-26 2014-10-21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52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8911A (en) * 2009-11-19 2011-06-02 Toshiba Corp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12248573A (en) * 2011-05-25 2012-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Light emi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739A (en) * 2010-10-28 2012-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lip chip typr-led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8911A (en) * 2009-11-19 2011-06-02 Toshiba Corp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12248573A (en) * 2011-05-25 2012-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39A (en)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249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6106120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323686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3222073B (en) Light-emitting diode chip, light-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above
US8026527B2 (en) LED structure
JP5603813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US9773950B2 (en)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US10361346B2 (en) Nitride semiconductor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629790B2 (en) Light-emitting device
TWI699011B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2015195332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85415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20240322103A1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61968B1 (en) Light emitting device
JP2015088524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63066B1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494723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279520B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5188039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34425A (en) Light-emtting device pack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217128B1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