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057B1 -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4057B1 KR102224057B1 KR1020190049492A KR20190049492A KR102224057B1 KR 102224057 B1 KR102224057 B1 KR 102224057B1 KR 1020190049492 A KR1020190049492 A KR 1020190049492A KR 20190049492 A KR20190049492 A KR 20190049492A KR 102224057 B1 KR102224057 B1 KR 1022240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load state
- spectating
- load
- camera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01000003152 motion sicknes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5482 malai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776 visual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 H04N5/23206—
-
- H04N5/23299—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움직임을 이용한 부하감소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0 : 카메라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부하 상태 확인부
140 : 판단부
150 : 제어부
16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4)
- 영상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하는 관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관전 영상에서, 상기 관전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부하 상태 확인부;
상기 부하 상태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프레임수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수에 따라 상기 부하 상태를 차등적으로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제3 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의 폴리곤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1 부하 상태 및 상기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시키고,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시키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 틸팅하며,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부하 상태가 낮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고,
상기 판단부가 상기 관전 영상이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부하 상태인 경우에서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부의 후진 거리 및 상기 카메라부의 상승 거리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관전 영상의 초당 프레임수(fps)에 따라 상기 관전 영상의 품질 점수를 결정하고, 기 결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품질 점수의 점수 합계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전 영상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영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제공되도록 카메라부에서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수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수에 따라 상기 부하 상태를 차등적으로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제3 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의 폴리곤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1 부하 상태 및 상기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시키고,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시키며, 기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 틸팅하며,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부하 상태가 낮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고,
상기 관전 영상이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부하 상태인 경우에서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부의 후진 거리 및 상기 카메라부의 상승 거리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관전 영상이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 기 설정된 관심 지점으로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영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제공되도록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
상기 관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관전 영상에서, 상기 관전 영상의 프레임수 및 상기 관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오브젝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확인한 상기 관전 영상의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및
상기 관전 영상의 상기 부하 상태가 부하 감소를 위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프레임수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수에 따라 상기 부하 상태를 차등적으로 제1 부하 상태, 제2 부하 상태, 및 제3 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의 폴리곤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전 영상에서 파티클이 발생하는 경우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1 부하 상태 및 상기 제2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기 설정된 거리만큼 후진,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승, 기 설정된 각도만큼 하향 틸팅하고,
상기 부하 상태가 상기 제3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부하 상태가 낮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중심을 이동시키며,
상기 부하 상태가 폴리곤 병목 부하 상태 또는 파티클 병목 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부하 상태인 경우에서 이동시킨 상기 카메라부의 후진 거리 및 상기 카메라부의 상승 거리에 각각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33454 | 2019-03-25 | ||
| KR20190033454 | 2019-03-25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14921A KR20200114921A (ko) | 2020-10-07 |
| KR102224057B1 true KR102224057B1 (ko) | 2021-03-09 |
Family
ID=7288393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49492A Active KR102224057B1 (ko) | 2019-03-25 | 2019-04-29 |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24057B1 (ko)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16155A (ja) | 2001-01-12 | 2002-08-02 | Namco Ltd |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 JP2017138973A (ja) * | 2017-01-18 | 2017-08-10 | 株式会社コロプラ | 仮想空間の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70105905A (ko) * | 2016-03-11 | 2017-09-20 |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 가상현실 콘텐츠 분석 방법 및 장치 |
| KR20180005528A (ko) * | 2016-07-06 | 2018-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 KR101855863B1 (ko) | 2017-10-18 | 2018-05-09 | (주)이노시뮬레이션 | 멀미를 방지하는 실시간 시뮬레이션 시스템 |
-
2019
- 2019-04-29 KR KR1020190049492A patent/KR10222405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16155A (ja) | 2001-01-12 | 2002-08-02 | Namco Ltd |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 JP2017138973A (ja) * | 2017-01-18 | 2017-08-10 | 株式会社コロプラ | 仮想空間の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14921A (ko) | 2020-10-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241088B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user interaction within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scene using head mounted display | |
| US10229541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navigation within virtual reality space using head mounted display | |
| US11195320B2 (en) | Feed-forward collision avoidance for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s | |
| JP6058184B1 (ja) |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 US10740971B2 (en) | Augmented reality field of view object follower | |
| JP5996814B1 (ja) | 仮想空間の画像を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に提供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 US10726765B2 (en) | Using tracking of display device to control image display | |
| TWI669635B (zh) | 用於顯示彈幕的方法、裝置以及非揮發性電腦可讀儲存介質 | |
| JP5483761B2 (ja) | 映像出力装置、立体映像観察デバイス、映像提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出力方法 | |
| JP6097377B1 (ja) | 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 JP6276434B1 (ja) | 仮想空間における移動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 |
| US2019022104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ensing of real object position, trajectory, or attitude to enable user interaction with a virtual object | |
| US20190114841A1 (en) |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 |
| Peterson |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Definitions | |
| WO2017056892A1 (ja) |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 |
| JPWO2019225354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 KR102224057B1 (ko) |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
| WO2024064909A2 (en)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lignment of a wearable device | |
| KR102286517B1 (ko) | 컨트롤러 입력에 따른 회전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 |
| JP2018124989A (ja) | 仮想空間における移動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 | |
| JP6613099B2 (ja) | 仮想現実空間を立体的に表示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
| KR102286518B1 (ko) | 컨트롤러 입력에 따른 화면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 |
| JP2017097918A (ja) | 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 JP2019101943A (ja) |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 |
| JP2017142769A (ja) | 仮想空間の画像を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に提供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