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835B1 - Intubation tube having self cleaning property - Google Patents
Intubation tube having self cleaning proper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5835B1 KR102215835B1 KR1020180137263A KR20180137263A KR102215835B1 KR 102215835 B1 KR102215835 B1 KR 102215835B1 KR 1020180137263 A KR1020180137263 A KR 1020180137263A KR 20180137263 A KR20180137263 A KR 20180137263A KR 102215835 B1 KR102215835 B1 KR 102215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breathing
- control valve
- channel
- tub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6—Multi-lumen tracheal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75—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도삽관튜브에 관한 것으로, 자기청소기능을 가지는 기도삽관튜브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경계벽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호흡유로와 흡입유로를 가지는 튜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유로를 통해 환자의 들숨 및 날숨의 기체 흐름이 발생하고, 상기 흡입유로는 외부의 흡입장치와 연결되어 환자의 가래를 상기 튜브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경계벽에는 상기 호흡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를 연통하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way intubation tube, in the airway intubation tube having a self-cleaning function, comprising a tube body having a breathing channel and a suction channel that is elongated and positioned with a boundary wall therebetween, and through the breathing channel Gas flow of the patient's inhalation and exhalation occurs, and the suction passag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uction device to discharge the patient's sputum to the outside of the tube body, and a passage communicating the breathing passage and the suction passage on the boundary wall The ball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청소기능을 가지는 기도삽관튜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way intubation tube having a self-cleaning function.
기도삽관튜브는 산소, 의약물 등이 통과하는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데 사용된다. 의식을 잃은 응급 환자의 경우 자가 호흡이 어려우므로 기도삽관튜브를 삽입하여 호흡을 보조하게 된다. The airway intubation tube is used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 through which oxygen and medicines pass. In the case of unconscious emergency patients, self-breathing is difficult, so an airway intubation tube is inserted to assist breathing.
기도삽관튜브는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가요성 튜브의 형태로 형성된다. 기도삽관튜브의 하단부에는 벌룬이 위치한다. 기도삽관이 이루어진 후, 기관의 내층(interior lining)과 기밀이 유지되도록, 즉 식도 내 이물질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벌룬을 일정크기로 팽창시킨다.The airway intubation tube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tub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patient's airway. A balloon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way intubation tube. After the airway intubation is made, the balloon is inflated to a certain siz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irtightness with the interior lining of the trachea, that is,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esophagus from entering the lungs.
이러한 기도삽관튜브는 환자의 가래 등에 의해서 오염되기 때문에 석션튜브 등을 이용하여 수시로 청소를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Since these airway intubation tubes are contaminated by patient phlegm, etc., there is a problem that cleaning must be performed frequently using a suction tube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청소기능을 가지는 기도삽관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way intubation tube having a self-cleaning func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청소기능을 가지는 기도삽관튜브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경계벽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호흡유로와 흡입유로를 가지는 튜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유로를 통해 환자의 들숨 및 날숨의 기체 흐름이 발생하고, 상기 흡입유로는 외부의 흡입장치와 연결되어 환자의 가래를 상기 튜브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경계벽에는 상기 호흡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를 연통하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way intubation tube having a self-cleaning function, including a tube body having a breathing channel and an inhalation channel that is elongated and positioned with a boundary wall therebetween, and the patient's inhalation and inhalation through the breathing channel A gas flow of exhalation occurs, and the suction passag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uction device to discharge the patient's sputum to the outside of the tube body,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the breathing passage and the suction passage is formed on the boundary wall. Achieved by
상기 튜브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호흡유로에서의 기체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통과공의 연통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connected to the tub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communication degree of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gas flow direction in the breathing passag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호흡유로에서 들숨이 발생할 때보다 날숨이 발생할 때 상기 통과공을 더 많이 연통시킬 수 있다.The control valve may communicate more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exhalation occurs than when inhalation occurs in the breathing passag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흡입유로의 유로단면을 부분적으로 막고 있으며, 상기 호흡유로에서 들숨이 발생할 때보다 날숨이 발생할 때 상기 유로단면을 더 많이 막고 있을 수 있다.The control valve partially blocks the flow path cross section of the suction path, and may block the flow path cross section more when exhalation occurs than when inhalation occurs in the breathing path.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호흡유로 내에 위치하는 제1부분; 및 상기 흡입유로 내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a first portion located in the breathing passage; And a second portion located in the suction passage.
상기 조절밸브는 판상이며, 상기 제1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2부분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The control valve has a plate shape, and an area of the first portion may be larger than an area of the second portion.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흡입유로의 흡입방향에 마주하는 면이 180도보다 작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may have a surface facing the suction direction of the suction passage and may be disposed smaller than 180 degrees.
상기 튜브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본체의 타단부에는 기체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공은 상기 타단부에 가까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n adapt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ube body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gas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close to the other end.
상기 통과공은, 상기 튜브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흡유로에서 상기 흡입유로로 갈수록 상기 흡입방향을 따라 높아질 수 있다.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and may increase along the suction direction from the breathing passage to the suction passage.
상기 튜브본체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은 상기 튜브본체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tube body, the boundary wall may be formed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tube body.
상기 튜브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호흡유로에서의 기체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통과공의 연통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connected to the tub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communication degree of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gas flow direction in the breathing passag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호흡유로에서 들숨이 발생할 때보다 날숨이 발생할 때 상기 통과공을 더 많이 연통시킬 수 있다.The control valve may communicate more through the through hole when exhalation occurs than when inhalation occurs in the breathing passag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공기유로에만 위치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may be located only in the air passage.
상기 튜브본체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는 벌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alloon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청소기능을 가지는 기도삽관튜브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way intubation tube having a self-cleaning function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을 따른 단면이고,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른 단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에서 조절밸브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에서 조절밸브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1 shows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II'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V-IV' of FIG. 1,
5a and 5b show the operation of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rol valve in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show 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valve in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the operation of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show the operation of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기와 간격 등이 실제와 달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an example illustrated to describ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izes and intervals may be exaggerat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in order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설명한다. An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을 따른 단면이고,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른 단면이다.1 shows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 along II-II'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 along III-III'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V-IV' of FIG. 1.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1, 기도삽관장치)는 환자의 기도 내부로 기체를 공급/배출하며 가래를 흡입하는 튜브본체(10), 튜브본체(10)의 원위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벌룬(20), 튜브본체(10)의 근위부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30) 및 벌룬(2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벌룬공기공급관(41) 및 주사 어댑터(51)를 포함한다.The airway intubation tube (1, airway intub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discharges gas into the airways of the patient and is close to the
튜브본체(10)는 환자의 기도 내부로 산소(공기)를 공급하여 환자의 호흡을 확보하며, 환자의 가래를 흡입한다. 튜브본체(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가요성 튜브의 형태로 형성된다. 튜브본체(10)는 기도 삽관이 용이하도록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와 같은 유연한 반 경질(semi-rigid)인 가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본체(10)의 단부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뾰족한 형태로 되어 있다. The
튜브본체(10)의 윈위부 단부(하단부)에는 기도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기체배출공(11, 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본체(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튜브본체(10)는 복수의 관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관은 서로 재질, 외경 및/또는 내경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기체배출공(11, 12)의 형태 및 위치도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튜브본체(10)의 근위부 단부(상단부)에는 인공호흡기, 산소공급기, 의료용 가스공급기, 마취기, 흡입장치 또는 다른 통기 장치 등이 연결되는 어댑터(30)가 연결된다. 튜브본체(10)로 공급되는 산소는 100% 산소가 아닌 혼합가스일 수 있다. 어댑터(30)는 후술할 호흡유로 및 흡입유로 각각과 외부장치와의 독립적인 연결을 위해 적절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An
벌룬공기공급관(41)은 튜브본체(10)에 연결되어 있다. 벌룬공기공급관(41)의 일단부는 벌룬(20)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주사 어댑터(51)에 연결되어 있다.The balloon
주사 어댑터(51)는 외부의 주사기에 연결되어, 벌룬(20)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리거나 벌룬(20)의 공기를 빼서 벌룬을 원상태로 수축시킨다.The
다른 실시예에서 벌룬(20)에 공기(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공기(기체) 주입/배출 수단은 주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사기 외의 다른 공기 주입/배출 수단을 사용할 경우 주사 어댑터(51)는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for supplying air (gas) to the
튜브본체(10)는 유로벽(110)을 포함하며, 도 2와 같이 호흡유로와 흡입유로를 가지고 있다. 호흡유로와 흡입유로는 경계벽(1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The
호흡유로는 흡입유로보다 단면적이 넓게 마련되며, 호흡유로의 단면적은 흡입유로의 단면적의 2배 내지 10배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흡입유로는 기체배출공(11, 12)에 인접한 단부에서 막혀있을 수 있다.The breathing passage has a wid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halation passage,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eathing passage may be 2 to 10 tim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halation passage. Although not shown, the suction passage may be blocked at the ends adjacent to the
기체배출공(11)에 가까운 경계벽(120)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통과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통과공(121)의 위치는 튜브본체(10)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A through
통과공(121)은 경계벽(120)에 형성되어 호흡유로와 흡입유로를 연통시킨다. 제1실시예에서 통과공(121)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통과공(121)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through
통과공(121)에는 조절밸브(60)가 위치하고 있다. 조절밸브(60)는 ㄱ자 형상이며, 제1부분(61a)과 제2부분(61b)을 포함한다.The
제1부분(61a)은 호흡유로에 위치하며, 제2부분(61b)은 흡입유로에 위치한다. 조절밸브(60)는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재질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The
조절밸브(60)는 일부가 경계벽(120)에 고정(연결)되어 있으며, 환자의 들숨 및 날숨에 의해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면에는 조절밸브(60)의 경계벽(120)의 고정형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조절밸브(60)는 별도의 고정부재 이용 등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경계벽(120)에 고정될 수 있다.A part of the
제1부분(61a)과 제2부분(61b)은 도 3과 같이 흡입유로의 흡입방향에 마주하는 면이 180도 보다 작게 배치되어 있다.The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사용자(의료진 등)는 튜브본체(10)를 환자의 기도 내부로 삽입한다. 튜브본체(10)가 기도 내부에 정확하게 삽입되면, 벌룬(20)에 주사기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벌룬(20)을 팽창시킨다.The user (medical staff, etc.) inserts the
이 상태에서 튜브본체(10)를 통해 인공호흡기 또는 산소공급장치를 연결하여 환자의 기도로 산소를 공급한다. 팽창된 벌룬(20)은 기도 삽관 후 산소가 튜브본체(10) 사이로 새는 것을 막아주며, 나아가 식도나 기도 내의 이물질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외부의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흡입유로에서의 흡입을 수행한다. 흡입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간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state, a ventilator or an oxygen supply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이 상황에서 환자의 들숨 및 날숨이 교대로 발생하며 환자의 가래는 기체배출공(11, 12)을 통해 호흡유로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In this situation, the patient's inhalation and exhalation occur alternately, and the patient's phlegm enters the breathing passage through the gas exhaust holes (11, 12).
날숨일 경우에는 도 5a와 같이 호흡유로에서는 상부방향으로의 기체흐름이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부방향"은 튜브본체(10)의 길이방향에서 기체배출공(11, 12)을 향한 방향을 말한다. "상부방향"은 "하부방향"의 반대방향을 나타내며 "상부방향"을 향하는 것을 "높아진다"라고도 표현한다.In the case of exhalation, gas flows upward in the breathing passage as shown in FIG. 5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wer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from the length direction of the
상부방향의 기체흐름에 의해 조절밸브(60)의 제1부분(61a)이 상부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이에 따라 통과공(121)이 열리게 되며(연통정도가 증가), 흡입유로의 흡입흐름에 의해 호흡유로의 가래는 통과공(121)을 거쳐 흡입유로로 이동하게 된다.The
이후 들숨일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호흡유로에서는 하부방향으로의 기체흐름이 발생한다. 하부방향의 기체흐름에 의해 조절밸브(60)의 제1부분(61a)이 하부방향으로 힘을 받아 통과공(121)의 연통면적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되면, 호흡유로와 흡입유로의 연통정도가 감소하여 흡입유로의 흡입력이 증가한다. 증가된 흡입력에 의해 날숨 과정에서 흡입유로에 유입된 가래는 흡입방향으로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inhalation afterwards, gas flow in the downward direction occurs in the breathing passage as shown in FIG. 5B. The
이와 같이 조절밸브(60)는 호흡유로에서 들숨이 발생할 때보다 날숨이 발생할 때 통과공(121)을 더 많이 연통시킨다. 조절밸브(60)는 흡입유로의 유로단면을 부분적으로 막고 있는데, 공기유로에서 들숨이 발생할 때보다 날숨이 발생할 때 유로단면을 더 많이 막게 된다.In this way, the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1)를 사용하면 환자의 호흡에 따라 조절밸브(60)가 움직이면서 가래가 흡입유로로 이동하면서 셀프 세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별도의 청소없이도 기도삽관튜브(1)가 장시간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를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7B.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에서 조절밸브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에서 조절밸브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6A and 6B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rol valve in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B are the control valves in the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arrangement.
조절밸브(6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The
도 6a에 표시한 조절밸브(60)는 제1부분(61a)의 길이(d1)가 제2부분(61b)의 길이(d2)의 1.5 배 이상이며, 구체적으로는 1.5배 내지 5배일 수 있다.In the
제1부분(61a)의 길이가 길고 면적이 넓기 때문에 들숨 및 날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 조절밸브(60)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Since the length of the
도 6b에 표시한 조절밸브(60)는 제1부분(61a)과 제2부분(61b)이 타원형이다. 이외에도 제1부분(61a)과 제2부분(61b)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제1부분(61a)과 제2부분(61b)이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1부분(61a)은 통과공(121)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또 다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부분(61a)이 통과공(121)보다 길이 및/또는 폭이 크게 마련되어, 환자의 호흡에 관계없이 항상 호흡유로에 위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통과공(121) 및 이에 따른 조절밸브(60)의 배치는 도 7a 및 도 7b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조절밸브(60)만을 나타내었다.Arrangement of the through
도 7a와 같이 조절밸브(6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래배출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절밸브(60)는 도 7b와 같이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b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통과공(121)도 조절밸브(60)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A, the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설명한다.An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유로 내부에 호흡유로가 위치하며, 흡입유로는 호흡유로를 감싸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대로 호흡유로가 흡입유로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흡입유로가 서로 이격된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 breathing channel is located inside the suction channel, and the suction channel surrounds the breathing channel. In another embodiment, on the contrary, the breathing channel may surround the inhalation channel.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suction passages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설명한다. 도 9는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An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9 shows a part corresponding to FIG. 3.
제3실시예에서 통과공(121)은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으며, 경계벽(120)은 튜브본체(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마련되어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through
통과공(121)은 공기유로에서 흡입유로로 갈수록 상부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The through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10과 같이 흡입유로의 흡입흐름 및 경사진 통과공(121)에 의해 호흡유로의 가래는 흡입유로로 이동하여 외부로 제거된다. 즉, 제3실시예에서는 흡입유로에 흡입흐름이 가해지면 가래가 지속적으로 외부로 제거되는 것이다.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9. As shown in FIG. 10, the phlegm of the breathing channel is moved to the suction channel and removed to the outside by the suction flow of the suction channel and the inclined through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도삽관튜브를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An airway intubation tub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11 shows a part corresponding to FIG. 10.
제4실시예에서 통과공(121)은 제3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through
통과공(121)에는 조절밸브(60)가 위치하고 있으며, 조절밸브(60)는 호흡유로 측에만 위치하고 있으며, 조절밸브(60)의 상단부는 경계벽(120)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The
도 12a와 같이 날숨에서는 조절밸브(60)가 통과공(121)을 열어(연통정도 증가) 호흡유로의 가래가 흡입유로로 이동한다. 도 12b와 같이 들숨에서는 조절밸브(60)가 통과공(121)을 막고 있어서(연통정도 감소) 흡입유로의 흡입능이 증가한다.In exhalation as shown in FIG. 12A, th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by various modifications therefrom,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경계벽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호흡유로와 흡입유로를 가지는 튜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유로를 통해 환자의 들숨 및 날숨의 기체 흐름이 발생하고,
상기 흡입유로는 외부의 흡입장치와 연결되어 환자의 가래를 상기 튜브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경계벽에는 상기 호흡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를 연통하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호흡유로에서의 기체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통과공의 연통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호흡유로에서 들숨이 발생할 때보다 날숨이 발생할 때 상기 통과공을 더 많이 연통시키며,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호흡유로 내에 위치하는 제1부분; 및
상기 흡입유로 내에 위치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기도삽관튜브.In the airway intubation tube having a self-cleaning function,
It includes a tube body that is elongated and has a breathing channel and a suction channel positioned across the boundary wall,
The gas flow of the patient's inhalation and exhalation occurs through the breathing channel,
The suction passag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uction device to discharge the patient's sputum to the outside of the tube body,
The boundary wall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the breathing channel and the suction channel,
It is connected to the tube body,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communication degree of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gas flow direction in the breathing passage,
The control valve,
The through hole communicates more when exhalation occurs than when inhalation occurs in the breathing channel,
The control valve,
A first portion located in the breathing passage; And
Airway intubation tube comprising a second portion located in the suction passage.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흡입유로의 유로단면을 부분적으로 막고 있으며,
상기 호흡유로에서 들숨이 발생할 때보다 날숨이 발생할 때 상기 유로단면을 더 많이 막고 있는 기도삽관튜브.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valve,
It partially blocks the flow path cross section of the suction flow path,
An airway intubation tube that blocks mo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hannel when exhalation occurs than when inhalation occurs in the breathing channel.
상기 조절밸브는 판상이며,
상기 제1부분의 면적이 상기 제2부분의 면적보다 큰 기도삽관튜브.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valve is plate-shaped,
An airway intubation tube in which the area of the first par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part.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흡입유로의 흡입방향에 마주하는 면이 180도보다 작게 배치되어 있는 기도삽관튜브.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s an airway intubation tube having a surface facing the suction direction of the suction flow path smaller than 180 degrees.
상기 튜브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튜브본체의 타단부에는 기체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과공은 상기 타단부에 가까이 형성되어 있는 기도삽관튜브.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apt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ube body,
A gas exhaust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The through hole is an airway intubation tube formed close to the other end.
상기 튜브본체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는 벌룬을 더 포함하는 기도삽관튜브. The method of claim 1,
Airway intubation tube further comprising a balloon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37263A KR102215835B1 (en) | 2018-11-09 | 2018-11-09 | Intubation tube having self cleaning proper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37263A KR102215835B1 (en) | 2018-11-09 | 2018-11-09 | Intubation tube having self cleaning propert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53856A KR20200053856A (en) | 2020-05-19 |
| KR102215835B1 true KR102215835B1 (en) | 2021-02-16 |
Family
ID=709131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37263A Active KR102215835B1 (en) | 2018-11-09 | 2018-11-09 | Intubation tube having self cleaning propert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583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139137A1 (en) | 2020-12-23 | 2022-06-30 | 오혁근 | Sputum container for tracheostomy pati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3996B1 (en) * | 2021-06-15 | 2022-03-15 | 장준영 | Suction tip for cleaning intubation tub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511297A (en) | 2003-11-17 | 2007-05-10 | ネクター セラピューティクス | Introducing aerosol into the ventilator circuit |
| JP2012530556A (en) | 2009-06-19 | 2012-12-06 | アドバンスド サーキュレートリ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Positive /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system and intrathoracic pressure adjustment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05149A (en) * | 1995-03-17 | 1997-02-25 |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ir flow within an intubated patient |
| ZA954682B (en) * | 1995-06-07 | 1996-01-29 | Raw Robert M | Endotracheal tube |
| KR100868781B1 (en) | 2007-08-02 | 2008-11-17 | 유중석 | Airway intubation system |
| CN104703646B (en) * | 2012-09-26 | 2016-11-23 | Ulvac机工株式会社 | The operational approach of sputum aspirator, artificial respiration and sputum aspirator |
-
2018
- 2018-11-09 KR KR1020180137263A patent/KR1022158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511297A (en) | 2003-11-17 | 2007-05-10 | ネクター セラピューティクス | Introducing aerosol into the ventilator circuit |
| JP2012530556A (en) | 2009-06-19 | 2012-12-06 | アドバンスド サーキュレートリ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Positive / 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system and intrathoracic pressure adjustment method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139137A1 (en) | 2020-12-23 | 2022-06-30 | 오혁근 | Sputum container for tracheostomy patien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53856A (en) | 2020-05-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10386949A1 (en) | Secretion clearing patient airway management system | |
| EP1814620B1 (en) | Secretion clearing ventilation catheter and airway management system | |
| US8978657B2 (en) | Dual-lumen tracheal tube with shaped lumen divider | |
| KR101808053B1 (en) | Subglottic suctioning system | |
| EP0112668B1 (en) | Endotracheal tube assembly | |
| EP2440275B1 (en) | Endotracheal tube with dedicated evacuation port | |
| US20160136374A1 (en) | Tracheal tube positioning devices and methods | |
| US10596338B2 (en) | Tracheal tube and suction device | |
| RU2556520C2 (en) | Development of breathing appliance | |
| US9446213B2 (en) | Tracheal tube | |
| US9579475B2 (en) | Tracheal tube | |
| KR20070006829A (en) | Airway device for laryngeal therapy | |
| US20150209536A1 (en) | Endotracheal tube with dual port subglottic secretion suctioning | |
| BRPI0409320B1 (en) | LANGUAGE MASK AND METHOD FOR YOUR MANUFACTURING | |
| US6651664B1 (en) | Tracheal tube with bulged cuff | |
| US10682480B2 (en) | Shaped evaluation port for a multi-lumen tracheal tube | |
| WO2012017213A1 (en) | A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 |
| US20030131853A1 (en) | Oro-pharyngeal airway and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method therefor | |
| KR102215835B1 (en) | Intubation tube having self cleaning property | |
| KR102563113B1 (en) | Endotracheal intubation tube | |
| US20110265798A1 (en) | Medical device tube having spaced lumens and an associated ported adapter | |
| US20010013345A1 (en) | Transpharyngeal tube | |
| KR101875027B1 (en) | Endotracheal tube having flexible cuff | |
| KR102215855B1 (en) | Intubation tube | |
| US12097325B2 (en) | Systems and devices for preventing occlusion of a suction line resident in a medical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