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095B1 - Powe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f - Google Patents
Powe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1095B1 KR102191095B1 KR1020150187504A KR20150187504A KR102191095B1 KR 102191095 B1 KR102191095 B1 KR 102191095B1 KR 1020150187504 A KR1020150187504 A KR 1020150187504A KR 20150187504 A KR20150187504 A KR 20150187504A KR 102191095 B1 KR102191095 B1 KR 1021910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ing substrate
- power semiconductor
- semiconductor device
- electrode layer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1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2
- 241000272168 Laridae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0—Mountings or securing means for detachabl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 fixed by friction, plugs or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2—Metallic substrates having insulating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03—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characterised by the die pad
- H01L23/4951—Chip-on-leads or leads-on-chip techniques, i.e. inner lead fingers being used as die p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방열특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전력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모듈은, 전력모듈은, 하부 전극층, 절연층 및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절연기판; 및 절연기판의 상부에 절연기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실장되는 전력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전력반도체층;을 포함한다. A power module with improved reliability due to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he pow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a lower electrod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And a power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mounted on the insulating substrate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특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전력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odu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module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reli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최근 전력변환을 위한 전력반도체(Power semi-conductor) 또는 파워 디바이스(Power Device), 예를 들면,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및 IPM(intelligent power module) 등의 전력반도체 모듈에서 장기간 사용시 열팽창계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의 차이로 인한 모듈손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power semiconductor modules such as power semi-conductor or power device for recent power conversion, for example, IGBT (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and IPM (intelligent power module) A problem has been raised about module damage due to the difference in (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전력반도체 모듈은 기판상에 전력반도체 소자가 실장되는데, 각 층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기판의 휨(warpage)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 층간의 접합계면에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power semiconductor module,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is mounted on a substrate, and warpage of the substrate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each layer, and accordingly, cracks occur at the junction interface between each layer.
전력반도체모듈의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가전이나 전기자동차 분야에서의 주요 동작특성은 온/오프 동작을 반복한다는 점인데, 소모전력량이 크고 개별부품이 큰 편이기 때문에 기존 저전력반도체 모듈에 비해 이러한 온도변화가 중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The main operating characteristic in home appliances and electric vehicles, where the range of use of power semiconductor modules is expanding, is that the on/off operation is repeated. This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low-power semiconductor modules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is large and the individual parts are large. Change is emerging as an important factor.
특히, 대전력반도체 모듈의 경우 발열량이 많아 방열기판을 DBC(Direct Bonded Copper) 기판에 접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방열기판과도 열팽창계수차이가 있어 접합계면에서의 균열(crack)이나 박리(delamination)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전력반도체소자와 기판의 경우 접합계면의 면적이 크지 않으나 기판과 방열기판의 접합계면은 그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 소자의 출력효율 및 접합 신뢰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igh-power semiconductor module, it is common to bond a heat-dissipating substrate to a DBC (Direct Bonded Copper) substrate because of its high calorific value. delamination) may additionally occur. In the case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ubstrate, the area of the bonding interface is not large, but the area of the bonding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radiating substrate is relatively large, which may further deteriorate the output efficiency and bonding reliability of th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특성이 우수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전력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module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reli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은, 하부 전극층, 절연층 및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절연기판; 및 절연기판의 상부에 절연기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실장되는 전력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전력반도체층;을 포함한다. A pow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a lower electrod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And a power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mounted on the insulating substrate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전력반도체소자는 걸 윙 칩 캐리어(gull wing chip carrier)를 이용하여 절연기판과 이격되어 실장될 수 있다.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can be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by using a gull wing chip carrier.
절연기판은 전력반도체 소자의 하부영역이 관통되어 제거될 수 있다.The insulating substrate may be removed by passing through the lower region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절연기판은 전력반도체 소자의 하부에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substrate may have a cavity formed under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부 전극층, 절연층 및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절연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절연기판의 상부에 절연기판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력반도체 소자를 실장하여 전력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모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n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a lower electrod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And forming a power semiconductor layer by mounting a power semiconductor element on the insulating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모듈의 전력반도체소자를 DBC 기판과 소정간격 이격하여 실장하여 접합계면에 가해지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열팽창계수 차이에 따른 접합계면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ower module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BC substrate to minimize the heat applied to the junction interface, thereby causing cracking of the junction interfa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an be prevented.
또한, 전력반도체소자 실장시 방열특성이 우수한 재질의 칩 캐리어부를 이용하여 전력모듈 전체의 방열특성이 우수해져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is mounted, a chip carrier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is used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power module, thereby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칩 캐리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캐리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칩 캐리어부를 이용하여 전력반도체소자를 실장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캐리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칩 캐리어부를 이용하여 전력반도체소자를 실장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전력모듈에서 절연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절연기판에 칩 캐리어부를 이용하여 전력반도체소자를 실장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ip carrier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ip carri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of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chip carrier unit of FIG. 3.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ip carri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of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chip carrier unit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sulating substrate in the power module according to FIG. 8, and FIG. 10 is a chip carrier part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re may be elements having a specific pattern o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distinction, so even if they have a specific pattern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illustrated elements. It is not limited to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칩 캐리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100)은, 하부 전극층(121), 절연층(122) 및 상부 전극층(123)을 포함하는 절연기판(120); 및 절연기판(120)의 상부에 절연기판(12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실장되는 전력반도체소자(130)를 포함하는 전력반도체층;을 포함한다. 또한, 절연기판(120)의 하부에는 전체 전력모듈의 방열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열기판(1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ip carrier part of FIG. 1. The
절연기판(120)은 하부 전극층(121), 절연층(122), 및 상부 전극층(123)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층(123)은 상부에 실장될 전력반도체소자(13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극층으로서, 전도성높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층(121)은 전력모듈(100)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층으로서 전도성 높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절연층(122)은 세라믹 물질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나(Al2O3),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또는 베릴륨 옥사이드(Be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에폭시 등의 수지를 기초로 하는 일반 PCB기판과는 달리 이러한 세라믹 물질을 포함하는 기판의 경우 고온 및 고전류에 적합하기 때문에 세라믹 물질을 사용한다. The
본 발명에 다른 전력모듈(100)은 절연기판(120) 상에 전력반도체소자(130)를 실장할 때, 직접 실장하지 않고 절연기판(120)과 소정간격 이격하여 실장한다. 전력반도체소자(130)는 Si, SiC, GaN, 또는 다이아몬드 등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전력반도체소자(130)는 절연기판(120)의 금속 및 세라믹 물질과 열팽창계수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약 전력반도체소자(130)가 절연기판(120)에 직접 접촉되면서 실장된다면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전력반도체소자(130)와 절연기판(120) 사이의 접합계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즉, 전력반도체소자(130)에서 발생된 열이 절연기판(120)으로 전달되면 절연기판(120)은 휨현상이 발생되고 휨현상에 의한 응력이 접합계면에 전달되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대전력 반소체 소자의 경우 발생하는 열이 많이 온도차이가 더욱 심화되어 전력모듈(100)이 손상될 확률이 더 커진다. When th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모듈(100)에서는 전력반도체소자(130)가 절연기판(120)에 직접 실장되지 않고 칩 캐리어부(140)에 실장된 후 칩 캐리어부(140)가 절연기판(120)상에 부착되어 간접적으로 실장된다. 칩 캐리어부(140)는 전력반도체소자(130)가 절연기판(12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공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된다. However, in the
칩 캐리어부(140)는 도 2에서와 같이 전력반도체소자(130)가 실장될 수 있는 안착부(141) 및 안착부(141)에 위치한 전력반도체소자(130)를 절연기판(120)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수평적으로 연장된 이격부(142)를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의 칩 캐리어부(140)는 소위 걸 윙 칩 캐리어(gull wing chip carrier)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안착부와 수평적으로 연장된 리드선을 포함하는 형태의 칩 캐리어부를 걸 윙 칩 캐리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The
칩 캐리어부(140)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구리, 알루미늄, 또는 니켈 등의 금속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력반도체소자(130) 자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전력반도체소자(130)가 절연기판(12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 절연기판(120) 측으로 열을 전달하지 않고, 칩 캐리어부(140)를 통해 상하부로 열을 배출할 수 있어 전력모듈(100)의 전체적인 방열특성이 우수해진다. The
방열기판(110)은 절연기판(1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전력반도체소자(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전력반도체소자(130)에서 열이 발생하면, 이러한 열이 방열기판(110)과 절연기판(120) 사이의 접합계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반도체소자(130)에서 발생된 열이 절연기판(12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방열기판(110)과의 접합계면에도 미치는 영향아 작아진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캐리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칩 캐리어부를 이용하여 전력반도체소자를 실장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칩 캐리어부(240)는 안착부(241)를 사이에 두고, 수평적으로 양 측면으로 이격부(2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격부(242)는 말단에 고정부(243)를 더 형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칩 캐리어부(140)의 이격부(142)와의 차이점으로는 도 3의 칩 캐리어부(240)는 안착부(241) 양측으로 연장된 이격부(242)에 안착부의 위치와 비슷한 높이에 고정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ip carri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of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chip carrier unit of FIG. 3. The
즉, 도 2의 이격부(142)의 높이는 안착부(141)보다 높기 때문에 절연기판(120)의 상부 전극층에 본딩층(150)을 높게 구성해야 절연기판(120)과의 이격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3의 칩 캐리어부(240)는 절연기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고정부(243)의 높이가 안착부와 유사하여 본딩층의 높이를 높이지 않거나 없어도 도 4에서와 같이 전력반도체소자(230)와 절연기판(220)의 이격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height of the
도 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캐리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칩 캐리어부를 이용하여 전력반도체소자를 실장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칩 캐리어부(340)는 안착부(341)와 안착부(341)를 사이에 두고 수평적으로 양측면으로 이격부(3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격부(342)는 말단에 고정부(343)을 더 형성하고 있다. 도 3의 칩 캐리어부(240)와의 차이점으로는 고정부(343)가 안착부(341)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343)를 상부 전극층(323)에 고정하기 위한 본딩층이 낮거나 없어도 되고, 전력반도체소자(330)가 실장될 안착부(341)의 높이가 높아 도 6에서와 같이 절연기판(320)과의 이격거리를 더욱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ip carri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of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chip carrier unit of FIG. 5.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400)에서, 방열기판(410), 하부 전극층(421), 절연층(422) 및 상부 전극층(423)을 포함하는 절연기판(420), 전력반도체소자(430), 본딩층(450) 및 칩 캐리어부(44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한 설명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도 7의 실시예에서 절연기판(420)은 전력반도체소자(430)의 하부영역이 관통되어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반도체소자(430)와 절연기판(420)과의 이격거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제거영역은 전력반도체소자(430)의 하면보다 넓은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넓지 않아도 되고, 전력반도체소자(430)와 동일한 형상일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제거영역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insulating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전력모듈에서 절연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절연기판에 칩 캐리어부를 이용하여 전력반도체소자를 실장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모듈(500)에서, 방열기판(510), 하부 전극층(521), 절연층(522) 및 상부 전극층(523)을 포함하는 절연기판(520), 전력반도체소자(530), 본딩층(550) 및 칩 캐리어부(54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한 설명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w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sulating substrate in the power module according to FIG. 8, and FIG. 10 is a chip carrier part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In the
도 8의 실시예에서 절연기판(520)에는 전력반도체소자(530)의 하부영역에 캐비티(5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절연기판(520)과 전력반도체소자(530)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절연기판 상에 상부 전극층(523) 및 절연층(522)의 일부가 제거되어 캐비티(524)가 형성되어 있고, 도 10과 같이 전력반도체소자(530)가 칩 캐리어부(540)에 실장된 채로 캐비티(524) 내부로 인입되면서 칩 캐리어부(540)의 말단은 상부 전극층(5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실장되어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8, 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부 전극층, 절연층 및 상부 전극층을 포함하는 절연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절연기판의 상부에 절연기판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력반도체 소자를 실장하여 전력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모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전력모듈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전술한 전력모듈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of forming an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a lower electrod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And forming a power semiconductor layer by mounting a power semiconductor element on the insulating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wer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power module described above,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400, 500 전력모듈
110, 410, 510 방열기판
120, 420, 520 절연기판
121, 421, 521 하부 전극층
122, 422, 522 절연층
123, 223, 323, 423, 523 상부 전극층
130, 230, 330, 430, 530 전력반도체소자
140, 240, 340, 440, 540 칩 캐리어부
141, 241, 341 안착부
142, 242, 342 이격부
150, 450, 550 본딩층
243, 343 고정부
524 캐비티100, 400, 500 power module
110, 410, 510 radiator board
120, 420, 520 insulation substrate
121, 421, 521 lower electrode layer
122, 422, 522 insulation layer
123, 223, 323, 423, 523 upper electrode layer
130, 230, 330, 430, 530 Power semiconductor device
140, 240, 340, 440, 540 chip carrier part
141, 241, 341 seat
142, 242, 342 separation
150, 450, 550 bonding layer
243, 343 fixture
524 cavity
Claims (6)
상기 절연기판의 상부에 상기 절연기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실장되는 전력반도체소자를 포함하는 전력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전력모듈로서,
상기 전력반도체소자는 전력반도체소자가 실장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위치한 전력반소체소자를 절연기판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수평적으로 연장된 이격부를 포함하는 걸 윙 칩 캐리어(gull wing chip carrier)를 이용하여 상기 절연기판과 이격되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모듈.
An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a lower electrod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And
A power module comprising a; a power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power semiconductor element mounted o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is a gull wing chip carrier including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power semiconductor element can be mounted, and a spacer extending horizontally to separate the power semiconductor element located in the seating portion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mounted.
상기 절연기판은 상기 전력반도체 소자의 하부영역이 관통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module, wherein the insulating substrate is removed through a lower region o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상기 절연기판은 상기 전력반도체 소자의 하부에 캐비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module, wherein the insulating substrate has a cavity formed under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상기 절연기판의 상부에 상기 절연기판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력반도체 소자를 실장하여 전력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모듈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력반도체소자는 전력반도체소자가 실장될 수 있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위치한 전력반소체소자를 절연기판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수평적으로 연장된 이격부를 포함하는 걸 윙 칩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절연기판과 이격되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모듈 제조방법. Forming an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a lower electrod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And
A powe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mounting a power semiconductor element on the insulating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power semiconductor layer;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includes a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can be mounted and a spacer extending horizontally to separate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 located in the mounting portion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yer, the power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substra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504A KR102191095B1 (en) | 2015-12-28 | 2015-12-28 | Powe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504A KR102191095B1 (en) | 2015-12-28 | 2015-12-28 | Powe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7541A KR20170077541A (en) | 2017-07-06 |
| KR102191095B1 true KR102191095B1 (en) | 2020-12-15 |
Family
ID=593540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7504A Active KR102191095B1 (en) | 2015-12-28 | 2015-12-28 | Powe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91095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87453B1 (en) * | 2007-02-21 | 2009-03-10 |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 SMD Type Ceramic Disc Capacitors |
| US8472193B2 (en) * | 2008-07-04 | 2013-06-25 |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 Semiconductor device |
| JP4941594B2 (en) * | 2009-01-29 | 2012-05-3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Ceramic electronic components |
| KR20150048459A (en) * | 2013-10-28 | 2015-05-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Power Module Package |
-
2015
- 2015-12-28 KR KR1020150187504A patent/KR10219109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7541A (en) | 2017-07-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324726B2 (en) | Semiconductor device, electrode member and electrode member fabrication method | |
| US9171773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 EP3771084A1 (en) | Double-sided cooling type powe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 US8569890B2 (en) | Power semiconductor device module | |
| US9728484B2 (en) | Power modul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US20170338189A1 (en) | Insulated circuit board, power module and power unit | |
| JP6862896B2 (en) |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 |
| CN106415833B (en) | Power semiconductor modules and power components | |
| KR20130139011A (en) | Direct bonded copper substrate and power semiconductor module | |
| JP2013219267A (en) | Power module | |
| US20150237718A1 (en) | Power semiconductor device | |
| JP6139329B2 (en) | Ceramic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 |
| KR101237566B1 (en) | Power module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20180019180A1 (en) | Semiconductor module and power converter | |
| US9443784B2 (en) |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plate-shaped insulating members having different thickness | |
| CN207381382U (en) | Electric power electronic module and power electric component package substrate | |
| JP2015090965A (en) | Semiconductor device | |
| JP2016004941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module | |
| KR102405276B1 (en) |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JP2012209470A (en) |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 |
| KR102191095B1 (en) | Powe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f | |
| JP2007227762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the same | |
| JP5619232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member | |
| JP2017135144A (en) | Semiconductor module | |
| CN106252307B (en) | semiconductor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