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420B1 - Production process of pellet extrusion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and a pellet produced therefrom - Google Patents
Production process of pellet extrusion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and a pellet produced therefr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2420B1 KR102172420B1 KR1020190044533A KR20190044533A KR102172420B1 KR 102172420 B1 KR102172420 B1 KR 102172420B1 KR 1020190044533 A KR1020190044533 A KR 1020190044533A KR 20190044533 A KR20190044533 A KR 20190044533A KR 102172420 B1 KR102172420 B1 KR 1021724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ystallinity
- strand
- pellet
- resin
- manufacturing proc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55—Conveyors for extrud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29B2009/165—Crystallizing gran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 가공용 수지 혼합물인 펠렛의 압출제조공정 및 이에 제조된 펠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정화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펠렛 제조를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 준비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S20);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 및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 및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를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이 제공된다. 따라서, 스트렌드의 길이, 시간, 속도 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결정화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of a pellet, which is a resin mixture for melt processing, and a pellet produc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gree of crystallinity. Preparing raw materials for pellet production (S10); Mixing step (S20) of mixing the prepared raw materials; Injecting 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nto an extruder and melt-mixing the extrusion step (S30); A cooling step (S40)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by controll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ferring the extruded strand of the resin; And there is provided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including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including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fter the cooling step and selecting according to size (S50). Therefore, it provides an effect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crystallinity by easily adjusting the length, time, and speed of the str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 및 이에 제조된 펠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플라스틱 수지의 펠렛 제조 시, 압출 공정의 냉각 단계에서 스트렌드의 길이, 속도 등을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and to the pellets produc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when manufacturing pellets of various plastic resins, extruded by controll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s in the cooling step of the extrusion process. It relates to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resin.
플라스틱 수지는 가공이 용이하고 인장강도, 탄성률, 내열성, 및 내충격성 등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차부품, 헬멧, 전기기기 부품, 방적기계 부품, 완구류, 또는 파이프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플라스틱 고분자 수지를 컴파운딩하여 이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사출 및 성형 등으로 제공되고 있다. Plastic resins are easy to process and have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elastic modulus, heat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so they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utomobile parts, helmets, electric equipment parts, spinning machine parts, toys, or pipes. Therefore, various plastic polymer resins are compounded and provided by injection and molding using an extruder.
플라스틱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펠렛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는 일반적으로 원료를 투입하는 호퍼와, 호퍼로 투입된 원료를 용융하고, 스크류를 통하여 용융물을 혼합하여 압출하고 스트랜드(strand) 형태 등으로 성형하는 압출헤드와 이를 통해 토출되는 압출물을 냉각하는 것으로 제조된다. 또한, 냉각된 압출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커터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general, an extruder for manufacturing pellets using a plastic polymer resin includes a hopper that feeds raw materials, an extrusion head that melts the raw materials introduced through the hopper, mixes and extrudes the melt through a screw, and molds it into a strand shape, etc. It is manufactured by cooling the extrudate discharged through this. In addition, it comprises a cutter device for cutting the cooled extrudate to a certain size.
한편, 이러한 플라스틱 고분자 수지를 이용한 펠렛의 제조는 상기 전술한여러가지 공정단계에 있어서, 특히 압출 이후 냉각단계에서 빠르게 냉각시킴으로써 펠렛의 최외곽층(outermost layer)을 신속하게 고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냉각 단계의 장치는 짧게는 10 m 에서 20 m까지 설비시설을 설치해야 함으로 설치 면적에 대한 생산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Meanwhile, in the manufacture of pellets using such a plastic polymer resin, it is important to rapidly solidify the outermost layer of the pellets by rapidly cooling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 process steps, especially in the cooling step after extrusion. Neverthel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efficiency for the installation area is deteriorated because the equipment in the cooling stage has to be installed from 10 m to 20 m.
또한, 광범위한 플라스틱 고분자 수지의 원재료가 가공 공정에 적합하지 않은 특성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좁은 용융점 범위, 느린 열전도 및 결정화 등으로 인한 가공에 필요한 충분한 냉각 능력의 부족, 배합(blending) 공정에서 액체의 낮은 혼화성(miscibility), 혼합(mixing) 및 배합(blending)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raw materials for a wide range of plastic polymer resins may have properties that are not suitable for processing. For example, lack of sufficient cooling capacity for processing due to narrow melting point range, slow heat conduction and crystallization, low miscibility of liquids in the blending process, mixing and blending, etc. Can be lifted.
따라서, 플라스틱 고분자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혼화성, 결정화도 등의 물성을 가공 공정에서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Therefore, in manufacturing a plastic polymer resin, research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iscibility and crystallinity in the processing process is ongoing.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57647호는 펠렛 제조 공정에서 원료물질의 열성전단성 및 유동성성분의 세밀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자세하게는 다이 플레이트에 앞서 냉각 압출기의 상류에 위치하는 용융냉각기 및 필요한 경우 냉각 압출기의 하류에 위치하는 2차 용융냉각기를 부가하여 좁은 용융점 범위의 고분자 원료물질, 조성물, 분산체 또는 용액의 열, 전단, 및 유동 특성을 조절하여, 펠렛화하기 어려운 원료 물질의 물성을 제어하여 펠렛을 제공하는 것을 개시한다. 다만, 열성, 전단성 및 유동성에 대한 세밀한 조절이 가능함은 언급하지만, 결정도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에서 다소 한계가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57647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that enable fine control of the thermal shear properties and fluidity components of raw materials in a pellet manufacturing process. In detail, prior to the die plate, a melt cooler located upstream of the cooling extruder and, if necessary, a secondary melt cooler located downstream of the cooling extruder, are added to heat and shear a polymer raw material, composition, dispersion or solution with a narrow melting point range. , And by controlling the flow characteristics, it discloses to provide a pellet by controll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raw material that is difficult to pelletize. However, although it is mentioned that it is possible to fine-tune the heat, shear and fluidity,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re is no mention of crystallinity.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57647호는 가열공정을 수반하지 않고 고분자 펠렛을 결정화하기 위한 수중 펠렛제조 및 연속하는 결정형 고분자의 건조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펠렛 또는 과립의 결정화가 스스로 개시되도록, 수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그들의 각 공중합체를 펠렛화시키고 연속해서 건조시키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원하는 결정도를 나타내는 펠렛과 과립을 생산이 가능한 것을 제공한다. 다만, 이에 대하여 압출하는 공정 이후 압출된 가닥을 수류 중에서 펠렛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에서 수중 펠렛 제조에 한정되는 것에 한계가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57647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underwater pellets for crystallizing polymer pellets without involving a heating process and drying continuous crystalline polymers.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lletizing and continuously drying polyester, polyamide, polycarbonate,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each of their copolymers in water so that crystallization of pellets or granules is initiated by itself. And, accordingly, it provides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pellets and granules showing the desired crystallinity. However, there is a limit to being limited to underwater pellet manufacturing in that it includes a process of cutting the extruded strand into pellets in water after the extruding process.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고분자 수지들의 원재료를 배합하여 압출하여 냉각단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물성이 제어 가능한 공정을 제공하고, 특히,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의 압출 공정을 제안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olving the above problem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ocess in which raw materials of polymer resins are mixed and extruded to more efficiently control physical properties in the cooling step, and in particular, to propose a process for extruding pellets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 제조공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의 제조공정에서, 혼합 단계의 혼합 시 펠렛 조성물 컴파운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최적의 비율로 배합된 컴파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e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und blended in an optimum ratio by uniformly mixing the pellet composition compound during mixing in the mixing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단계에서 스트렌드의 길이, 시간, 속도 등을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결정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crystallization rate by easily adjusting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by adjusting the length, time, and speed of the strand in the cooling step.
또한, 상기의 압출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결정화도가 조절된 펠렛은 사출 공정 시 성형 가공성을 개선시키며,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llets with controlled crystallinity produced through the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are intended to improve molding processability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and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re is provided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펠렛 제조를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 준비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S20);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와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 및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paring raw materials for pellet production (S10); Mixing step (S20) of mixing the prepared raw materials; Injecting 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nto an extruder and melt-mixing the extrusion step (S30); A cooling step (S40)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by controll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ferring the extruded strand of the resin; And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including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fter the cooling step (S50) and selecting each size (S50).
상기 펠렛 제조를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에서 원재료는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100 중량부, 열안정제 0.05 내지 1 중량부, 충전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In the step (S10) of preparing the raw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pellet, the raw material includes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0.05 to 1 part by weight of a heat stabilizer, 5 to 5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또한, 상기 혼합하는 단계(S20)은 혼합기 내에서 리본 블렌더 (Ribbon Blender), V형 블렌더 및 헨셀믹서(Henchel Mixer)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혼합 속도는 50 내지 1000 rpm이고, 혼합 시간은 1분 내지 20분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ixing step (S20)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ibbon blender, a V-type blender, and a Henchel Mixer in a mixer, the mixing speed is 50 to 1000 rpm, the mixing time is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for minutes to 20 minutes.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에서, 혼합한 수지는 곧바로 압출기에 투입하고, 충전제는 혼합 단계 없이 압출기에 직접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s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melt-mixed, and in the extrusion step (S30), the mixed resin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and the fille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without the mixing step.
상기 혼합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계(S30)에서 압출기 내부는 150 내지 300℃이고, 스크류의 속도는 50 내지 800 rpm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공된다. In the step (S30) of putting the mixed resin into an extruder, melt mixing, and extruding, the inside of the extruder is 150 to 300°C, and the speed of the screw is 50 to 800 rp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 및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에서, 냉각은 5 내지 50 ℃의 냉각수조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oling step (S40),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ferring the extruded resin strand. , The coo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in a cooling water bath of 5 to 50 ℃.
또한,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가 5 내지 15m이고, 스트렌드 하부에 제 1롤러를 위치하며, 스트렌드의 이송 경사각이 25 내지 60° 인 구간을 적어도 1 구간 이상 포함하여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렌드는 이동 순방향에서 역행하여 제 2롤러를 감은 후 다시 이동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스트렌드는 이동 순방향에서 역행하여 제 2롤러를 감은 후 다시 이동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에서는 롤러에 벨트체인을 연결하여 수동으로 스트렌드의 이동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trand is 5 to 15 m, the first roller is positioned under the strand, and includes at least one s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transfer inclination angle of the strand is 25 to 60° and proceeds in the forward direction. . The strand includes a section in which the second roller is rolled backward in a moving forward direction and then proceeds in a moving forward direction again. In this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trand movement can be manually adjusted by connecting the belt chain to the roller in the section in which the strand moves backward in the moving forward direction, winds the second roller, and then proceeds in the moving forward direction again.
또한, 상기 스트렌드의 이동 속도는 0.5 내지 3m/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speed of the strand is characterized in that 0.5 to 3m/sec.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에서 토출된 펠렛을 진동 바이브레이터 및 그물망을 이용하여 분리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그물망의 메쉬는 3 내지 7mm인 것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5mm인 것을 제공한다 After the cooling step, the pellets discharged in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nd sorting by size (S50) are separated and sorted using a vibration vibrator and a mesh. In this case, the mesh of the net is provided to be 3 to 7mm, preferably 5m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물망의 메쉬 이하의 크기로 그물망을 통과하여 분리 선별된 펠렛은 패커호퍼로 이송되어 자동포장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llets separated and sorted by passing through the mesh to a size smaller than the mesh of the mesh are transferred to a packer hopper and automatically packaged (S60); the crystallinity control further comprises: A possible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 따른 압출제조공정으로 제조된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이 제공되며, 이 경우, 원기둥, 구형, 타원 구상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llet capable of adjusting the degree of crystallinity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above is provided, and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a cylinder, a sphere, and an elliptical sphere is provid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 제조공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의 제조공정에서, 혼합 단계의 혼합 시, 펠렛 조성물 컴파운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최적의 비율로 배합된 컴파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e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ixing in the mixing step, there is an effect of uniformly mixing the pellet composition compound to provide a compound blended in an optimum rati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 및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가 제공하여, 결정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ling step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by adjust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porting the strand of the extruded resin, thereby controlling the crystallization rat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따라서, 상기의 압출제조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펠렛은 사출 공정 시 성형 가공성을 개선시키며,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pellets produced through the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improve molding processability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and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순서에서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하는 단계(S40)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pellet extrusion process capable of adjusting crystallin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step (S40) capable of adjusting crystallinity in a process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include','have','consists of' and the like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only' is used. In the case of express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singular, it includes the case of including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하부에,'~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two parts is described as'upper,' upper,' lower, and As long as'direct' is not used,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between the two parts.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a temporal predecessor relationship is described such as'after','following','after after','before', etc.,'right' or ' It may also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direct' is used.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In addition,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X-axis direction','Y-axis direction', and'Z-axis dire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a geometrical relationship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vertical, an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may mean having a wider direction.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at least one'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i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but also the second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ellet extrusion process capable of adjusting crystallin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순서에서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하는 단계(S40)를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ooling step (S40) capable of adjusting crystallinity in a process sequ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펠렛 제조를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 준비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S20);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와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 및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을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the step of preparing raw materials for pellet production (S10); Mixing step (S20) of mixing the prepared raw materials; Injecting 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nto an extruder and melt-mixing the extrusion step (S30); A cooling step (S40)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by controll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ferring the extruded strand of the resin; And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including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fter the cooling step (S50) and selecting each size (S50).
상기 펠렛 제조를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에서 원재료는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100 중량부, 열안정제 0.05 내지 1 중량부, 충전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가 제공된다.In the step (S10) of preparing the raw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pellet, the raw material is provided with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0.05 to 1 part by weight of a heat stabilizer, 5 to 5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and 0.1 to 5 parts by weight of an additive.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범용 수지로 널리 사용되는 올레핀계 수지로서, 섬유, 로프, 필름, 각종 생활용품, 산업자재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이유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자체의 독성이 없고, 물리적 성질도 우수하며 가공성도 좋기 때문이다. 또한 비중이 0.9 내지 0.92 g/cm3로 범용 플라스틱 중 가장 가볍고 투명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펠렛을 제조하기 위한 기본수지로 폴리플로필렌이 50 내지 100중량부 제공된다. The polypropylene is an olefin-based resin that is widely used as a general-purpose resin, and has a wide variety of uses, such as being used as a material such as fiber, rope, film, various household goods, and industrial materials. The reason why polypropylene resin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s that it has no toxicity,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has good processability compared to other plastics. In addition, the specific gravity of 0.9 to 0.92 g / cm 3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e lightest and most transparent plastics. Accordingly, 50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propylene is provided as a base resin for producing the pe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열안정제는 포스파이트계(phosphite)계 열안정제가 제공될 수 있으며, 포스파이트계 열안정제로 디페닐 이소옥틸 포스파이트(Diphenyl isooctyl phosphite), 디스테아릴 펜타에릴 디포스파이트(Distearyl pentaeryl diphosphite) 등을 제공할 수 있다. 0.01 내지 1 중량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0.01 미만의 경우 열안정성이 나타나지 않고, 1.0 초과하는 경우 열안정성 향상에 대한 기여도가 낮으며,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The heat stabilizer may be a phosphite based heat stabilizer, and as a phosphite based heat stabilizer, diphenyl isooctyl phosphite, distearyl pentaeryl diphosphite Etc. can be provided. 0.01 to 1 part by weight may be provided, and if it is less than 0.01, the thermal stability does not appear, and if it exceeds 1.0, the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thermal stability is low,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상기 충전제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무기 섬유, 무기 섬유에 금속을 코팅한 것, 운모, 유리 구슬, 티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카본 블랙 등의 무기물, 철, 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합금 및 이들의 산화물의 섬유,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와 탄소 섬유가 제공될 수 있다. 충전제는 20 내지 50 중량부가 제공되며, 20 미만인 경우 충진제로서의 역할이 미비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필러들 간의 충돌로 인한 파쇄 때문에 강도 향상 및 성형 시 어려움이 있다.The fillers include inorganic fibers such as glass fibers and carbon fibers, those coated with metal on inorganic fibers, mica, glass beads,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potassium titanate, magnesium carbonate, and carbon black, and metals such as iron, copper, zinc, and aluminum. Or alloys, and fibers and powders of these oxides. Preferably, glass fibers and carbon fibers may be provided. The filler is provided in an amount of 20 to 50 parts by weight, and when it is less than 20, its role as a filler is insufficient, and when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re is difficulty in improving strength and molding due to crushing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fille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원재료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상기 활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및 난연재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원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는 자동차 내, 외장용 부품 및 전기, 전자 제품의 부품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활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등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material may further contain an additive. As an additive, the lubricant, antioxidant, ultraviolet stabilizer, and flame retardant may be provided. In other words, the polymer resin prepared by mixing the raw materials can be used as interior and exterior parts of automobiles and parts of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and additives such as lubricants, antioxidants, ultraviolet stabilizers, and flame retardants that are commonly used are added. It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제는 폴리에틸렌계의 저분자량 왁스, 몬탄계 왁스 등이 사용 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로는 힌더드페놀과 포스파이트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는 힌더드아민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난연제로는 통상으로 알려져 있는 브롬계 난연제는 물론이고 인계 난연제로 사용되는 RDP(Resorcinol Diphosphate), TPP(Triphenyl phosphate), BDP 등의 인계 난연제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bricant may be a polyethylene-based low molecular weight wax, a Montan wax, or the like, and a hindered phenol and a phosphite compound may be provided as the antioxidant. In addition, a hindered amine and a benzotriazole compound may be provided as the ultraviolet stabilizer, and as the flame retardant, RDP (Resorcinol Diphosphate) and TPP (Triphenyl phosphate), which are used as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s as well as bromine-based flame retardants, are commonly known. ), a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 such as BDP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하는 단계(S20)은 혼합기 내에서 리본 블렌더 (Ribbon Blender), V형 블렌더 및 헨셀믹서(Henchel Mixer)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 경우, 혼합 속도는 500 내지 1,000 rpm 제공되고, 혼합 시간은 1분 내지 20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속도 및 시간에서 혼합이 진행하여, 고분자 조성물의 원재료들이 적절하게 예비 혼합하여 전체 수지에 골고루 분산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포가 되도록 압출기로 제공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step (S20) comprises mixing in a mixer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ibbon blender, a V-type blender, and a Henchel Mixer. to provide. In this case, the mixing speed is provided at 500 to 1,000 rpm, and the mixing ti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for 1 minute to 20 minutes. Mixing proceeds at the above speed and time, and the raw materials of the polymer composition are appropriately premixed and distributed evenly in the entire resin, so that it can be provided with an extruder so that the overall distribution is unifor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에서, 혼합한 수지는 곧바로 압출기에 투입하고, 충전제는 혼합 단계 없이 압출기에 직접 투입하는 것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s introduced into an extruder, melt-mixed, and in the extrusion step (S30), the mixed resin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and the fille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without the mixing step. Provide what you put 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합하여 압출하는 단계(S30)에서 압출기 내부는 150 내지 300℃이고, 스크류의 속도는 50 내지 800 rpm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이 제공된다. 또한, 용융 공정에서 투입하게 되는 각종 원료 물질에 따라서 공정 조건을 최적화시켜 공정을 진행이 가능하다. 압출기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축압출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S30) of melt-mixing and extruding the mixed resin into an extruder, the inside of the extruder is 150 to 300°C, and the speed of the screw is 50 to 800 rpm. There is provided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crystallin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process by optimizing process conditions according to various raw materials introduced in the melting process. The extru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twin screw extruder is preferably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 및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에서, 냉각은 5 내지 50 ℃의 냉각수조에서 진행되는 것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oling step (S40),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ferring the extruded resin strand. , The cooling is provided to proceed in a cooling water bath of 5 to 50 ℃.
또한,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가 5 내지 15m이고, 스트렌드 하부에 제 1롤러를 위치하며, 스트렌드의 이송 경사각이 25 내지 60°인 구간을 적어도 1 구간 이상 포함하여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랜드가 이송 경사각 없이 직진하여 냉각시키는 것에 비하여, 경사각을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 냉각수조에 의한 냉각 단계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면적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화도가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이송 경사각이 25 미만이거나 60을 초과하면, 결정화도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미비하게 되므로, 25 내지 60의 범위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trand is 5 to 15 m, the first roller is positioned under the strand, and includes at least one s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section in which the transfer inclination angle of the strand is 25 to 60° and proceeds in the forward direction. . Compared to cooling the strand by going straight without a feed inclination angle, proceeding including the inclination angle may extend the time of the cooling step by the cooling water tank and increase the area. Accordingly, 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egree of crystallinity. When the conveying inclination angle is less than 25 or exceeds 60, a bar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crystallinity is insufficient, and thus a range of 25 to 60 is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렌드는 이동 순방향에서 역행하여 제 2롤러를 감은 후 다시 이동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보다 스트렌드의 이동 면적을 더 넓고 냉각 시간을 증가시켜 결정화 속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의 압출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렌드가 이동방향에서 역행하여 제 2롤러를 감은 후 다시 이동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렌드가 총 진행하는 길이는 5m 내지 50m가 제공된다. 따라서, 냉각단계에서 스트렌드의 이동 길이를 조절하여, 수지에 따라서 결정화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결정화도를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nd includes a section that moves backward in a moving forward direction, winds the second roller, and then proceeds in a moving forward direction agai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llet extrusion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zation rate by increasing the moving area of the strand and increasing the cooling time tha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 section in which the strand moves backward in the moving direction, winds the second roller, and then proceeds in the moving forward direc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ly, the total length of the strand is 5 to 50 m is provi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crystallinity by adjusting the moving length of the strand in the cooling step,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rystallization rate depending on the res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 스트렌드는 이동 순방향에서 역행하여 제 2롤러를 감은 후 다시 이동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에서는 롤러에 벨트체인을 연결하여 수동으로 스트렌드 이동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트렌드의 이동 길이, 면적은 롤러에 연결된 체인 벨트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임의적으로 필요에 따라 그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스트렌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공정의 편의성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strand is manually adjusted by connecting the belt chain to the roller in the section in which the strand moves backward in the moving forward direction, winds the second roller, and then proceeds in the moving forward direction again. It is characterized by this possible. Referring to Figure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length and area of the strand can be manually arbitrarily adjusted as necessary using a chain belt connected to a roller. Therefore, convenience of the process is provid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and as necessary.
한편, 이러한 냉각 단계에서 스트렌드를 조절한 결정화도의 조절은 펠렛의 제조되는 수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결정화도를 향상시켜서 원하는 물성을 도출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우 결정화도를 향상시키도록 스트렌드의 이송 각도, 이송 길이, 이송 속도, 이송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결정화 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그 또한 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수지의 원재료에 종류, 성질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control of the crystallinity by adjusting the strands in this cooling step may vary depending on the resin to be produced. That is, in the case of a resin composition that derives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by improving the crystallinity, the transfer angle, transfer length, transfer speed, and transfer time of the strand can be adjusted to improve the crystallinity. It is possible, and it can be adjusted a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and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of the res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에서 토출된 펠렛을 진동 바이브레이터 및 그물망을 이용하여 분리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그물망의 메쉬는 3 내지 7mm인 것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5mm인 것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oling step, the pellets discharged in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nd sorting by size (S50) are separated and sorted using a vibration vibrator and a mesh. In this case, it is provided that the mesh of the net is 3 to 7mm, preferably 5mm.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 단계는 일차적으로 성형된 펠릿이 규격화된 크기로 제조 되었는지에 따라 일정한 입도를 갖는 펠릿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스크린망 및 진동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된 탱크로 성형된 펠릿이 공급되면 스크린망에 형성된 관통구로 규격에 적합한 펠릿은 패커호퍼로 이송되어 자동포장 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반면, 규격를 만족하지 못하는 펠릿 및 그 잔분들은 분리 배출된다. The step (S50)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fter the cooling step and sorting by size (S50) is to provide a pellet molded article having a constant particle size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molded pellet is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ize, and When pellets formed into a tank equipped with a vibrating vibrator are supplied, the pellets conforming to the standar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creen net are transferred to the packer hopper and automatically packaged. On the other hand, pellets that do not meet the specifications and their residues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물망의 메쉬,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의 크기로 그물망을 통과하여 분리선별이 가능하다.상기 그물망을 통과하여 분리 선별된 펠렛은 패커호퍼로 이송되어 자동포장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정 중량별로 배분되어 담아진 후에 포장 후 출하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of the mesh, preferably 3 to 7 mm, more preferably 5 mm or less, can be separated and sorted through the mesh. The pellets are transferred to the packer hopper and automatically packaged (S60). Therefore, it is distributed and packed by a certain weight, and then shipped after packag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펠렛 제조를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에서부터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 단계에 이르는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면서 특히 냉각 단계에서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공정으로 그에 의해 제조되는 펠릿이 성형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processes from the step of preparing raw materials for pellet production (S10) to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nd sorting by size (S50) after the cooling step are continuously performed. As it is carried out, the pellets produced thereby are molded in a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especially in the cooling ste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되는 펠릿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원기둥, 구형, 타원 구상 등이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펠릿의 크기는 형상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형 펠릿의 경우, 직경 1~10 mm이 제공될 수 있고 타원 구상 펠릿 경우, 종횡비 0.1~1.0의 타원형으로 제공이 될 수 있으며, 가로 및 세로는 1~10 mm가 제공될 수 있다. 원기둥 펠릿의 경우는 직경 1~10 mm의 범위 및 길이 1~10 mm의 범위 이내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ellets to be produc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cylinder, a sphere, an ellipse sphere, etc. are possi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ze of the pellet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hap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pherical pellet, a diameter of 1 to 10 mm may be provided, and in the case of an elliptical spherical pellet, it may be provided in an oval shape with an aspect ratio of 0.1 to 1.0, and 1 to 10 mm length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cylindrical pellets, it may be provided within the range of 1 to 10 mm in diameter and 1 to 10 mm in length.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준비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S20);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와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 및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S40)에서 스트렌드 하부에 제 1롤러가 위치하며, 스트렌드의 이송 경사각이 25 내지 60°인 구간을 적어도 1 구간 이상 포함하여 순방향으로 진행하며, 스트렌드는 이동 순방향에서 역행하여 제 2롤러를 감은 후 다시 이동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Preparing raw materials for pellet production (S10);
Mixing step (S20) of mixing the prepared raw materials;
Injecting 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nto the extruder and melt-mixing the extrusion step (S30);
A cooling step (S40)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by adjust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ferring the extruded resin strand; And
In the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including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fter the cooling step and sorting by size (S50);
In the cooling step (S40), the first roller is located under the strand, and the feed inclination angle of the strand is 25 to 60° and proceeds in a forward dir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section, and the strand moves back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adjusting crystallin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tion that proceeds in a moving forward direction after winding the second roller.
상기 펠렛 제조를 위한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에서 원재료는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100 중량부, 열안정제 0.05 내지 1 중량부, 충전제 5 내지 50 중량부 및 첨가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S10) of preparing the raw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pellet, the raw material is polypropylene 50 to 100 parts by weight, a heat stabilizer 0.05 to 1 parts by weight, a filler 5 to 50 parts by weight, and an additive 0.1 to 5 parts by weight.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possible.
상기 준비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S20)는 혼합기 내에서 리본 블렌더 (Ribbon Blender), V형 블렌더 및 헨셀믹서(Henchel Mixer)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혼합 속도는 50 내지 1000 rpm이고, 혼합 시간은 1분 내지 20분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
The mixing step (S20) of mixing the prepared raw materials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ribbon blender, a V-type blender, and a Henchel Mixer, and the mixing speed is 50 to 1000 rpm, and the mixing time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for 1 to 20 minutes.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에서, 혼합한 수지는 곧바로 압출기에 투입하고, 충전제는 혼합 단계 없이 압출기에 직접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s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melt-mixed, and in the extrusion step (S30), the mixed resin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and the fille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extruder without the mixing step.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한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압출 단계(S30)에서 압출기 내부는 150 내지 300℃이고, 스크류의 속도는 50 내지 80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n mixed in the mixing step is put into an extruder, melt-mixed, and the inside of the extruder is 150 to 300°C in the extrusion step (S30), and the speed of the screw is 50 to 800 rpm. fair.
상기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 및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에서, 냉각은 5 내지 50 ℃의 냉각수조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ooling step (S40) in which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ferring the extruded resin strand, cooling is performed by cooling water of 5 to 50°C.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in a bath.
상기 스트렌드는 이동 순방향에서 역행하여 제 2롤러를 감은 후 다시 이동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구간에서 롤러에 벨트체인을 연결하여, 수동으로 스트렌드가 이동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and moves backward in the moving forward direction, winds the second roller, and connects the belt chain to the roller in the section proceeding in the moving forward direction again, so that the length of the strand movement can be manually adjusted.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압출된 수지의 스트렌드를 이송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렌드의 길이 및 속도를 조절하여 압출된 수지의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냉각 단계(S40)에서 스트렌드의 이동 속도는 0.5 내지 3m/se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ooling step (S40) in which the crystallinity of the extruded resi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and speed of the strand using at least one roller while transporting the strand of the extruded resin, the moving speed of the strand is 0.5 to 3 m Pellets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characterized in that /sec.
상기 냉각 단계 이후 수지를 펠렛으로 토출하여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S50)에서 토출된 펠렛을 진동 바이브레이터 및 그물망을 이용하여 분리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cooling step, the pellets discharged in the step of discharging the resin into pellets and sorting by size (S50) are separated and sorted using a vibration vibrator and a mesh.
상기 그물망의 메쉬는 3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1,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adjusting crystallin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of the net is 3 to 7mm.
상기 그물망의 메쉬 이하의 크기로 그물망을 통과하여 분리 선별된 펠렛은 패커호퍼로 이송되어 자동포장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도 조절이 가능한 펠렛 압출제조공정.The method of claim 11,
The pellets separated and sorted by passing through the mesh to a size less than the mesh of the mesh are transferred to a packer hopper and automatically packaged (S60); a pellet extrusion manufacturing process capable of adjusting crystallinity further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44533A KR102172420B1 (en) | 2019-04-16 | 2019-04-16 | Production process of pellet extrusion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and a pellet produced therefr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44533A KR102172420B1 (en) | 2019-04-16 | 2019-04-16 | Production process of pellet extrusion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and a pellet produced therefro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21675A KR20200121675A (en) | 2020-10-26 |
| KR102172420B1 true KR102172420B1 (en) | 2020-10-30 |
Family
ID=730063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44533A Active KR102172420B1 (en) | 2019-04-16 | 2019-04-16 | Production process of pellet extrusion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and a pellet produced therefro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72420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17316Y1 (en) * | 2003-03-19 | 2003-06-25 | 주식회사 서영 | The sorting system for a shooting out forming raw material of pellet |
| JP2006028362A (en) * | 2004-07-16 | 2006-02-02 | Nippon Ester Co Ltd | Production method for high polymerization degree polyester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6127698A2 (en) | 2005-05-26 | 2006-11-30 | Gala Industr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rystalline polymeric pellets and granules |
| JP2007137029A (en) * | 2005-11-22 | 2007-06-07 | Fujifilm Corp |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ic resin film |
| EP2700489B1 (en) | 2005-11-28 | 2015-05-27 | Gala Industrie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pelletization processing |
-
2019
- 2019-04-16 KR KR1020190044533A patent/KR10217242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17316Y1 (en) * | 2003-03-19 | 2003-06-25 | 주식회사 서영 | The sorting system for a shooting out forming raw material of pellet |
| JP2006028362A (en) * | 2004-07-16 | 2006-02-02 | Nippon Ester Co Ltd | Production method for high polymerization degree polyes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21675A (en) | 2020-10-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321363B (en) | Ceramic-imitated plastic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CN103789869B (en) | A kind of method utilizing PET to produce flat filament | |
| CN103360759B (en) | One kind foaming high fondant-strength polyamid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CN103113706A (en) | Lithium battery case flame-retardant material based on long-glass-fiber-reinforced polypropyle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CN102167867A (en) | Continuous 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nylon alloy chopped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CN102367312A (en) | Flame retardant low foaming polypropylen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CN102241855A (en) | Foamed material prepared from nano-calcium-carbonate-filled polypropylene/polyethylene blend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 |
| EP2631060A1 (en) | A low-pressure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film by extrusion-blowing | |
| JP6914541B2 (en) | Molding machine 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 |
| CN106967250B (en) | Composition of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 and use method thereof | |
| CN112111811A (en) | Polyborosiloxane modified fi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JP7672790B2 (en) | Mixing Equipment | |
| CN107974025B (en) | Non-filling low-shrinkage polypropylene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KR102172420B1 (en) | Production process of pellet extrusion capable of controlling crystallinity and a pellet produced therefrom | |
| JP2021080328A (en) |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 |
| CN114957978A (en) | Method for recycling fishing net nylon 6 through granulating machine and recycled fishing net nylon 6 | |
| CN106751358B (en) | Granulation method of granules for coating film, granules and application thereof | |
| CN112159588A (en) | Low-warpage 3D printing PA/PPO alloy consumab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US3984603A (en) |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ellets for preparing manufactured articles | |
| CN109880358B (en) | Low-warpage reinforced PA materia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in 3D printing | |
| CN104558784A (en) | Quickly molded polyolefin rotational molding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US20010008322A1 (en) | Thermoplastic and thermoset composite articles processes and apparatus for their preparation | |
| KR20150123370A (en) |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KR20170000307A (en) | Multi function pp filament and Products of mixture of polypropylene resin with illite | |
| AU2019205991B1 (en) | The twin-screw extrusion of long carbon fibre reinforced polylactic acid filaments for 3D print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