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46137B1 -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 Google Patents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137B1
KR102146137B1 KR1020190028493A KR20190028493A KR102146137B1 KR 102146137 B1 KR102146137 B1 KR 102146137B1 KR 1020190028493 A KR1020190028493 A KR 1020190028493A KR 20190028493 A KR20190028493 A KR 20190028493A KR 102146137 B1 KR102146137 B1 KR 102146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obot cleaner
cleaner
cleaning
rob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4277A (en
Inventor
김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음인터네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음인터네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음인터네셔날
Publication of KR2020008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3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G05D3/14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 G05D3/18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an analogue comparing device delivering a series of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로봇 청소기가 개시된다. 본 로봇 청소기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회전 부재 및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청소 주행 패턴에 따라 제1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1 주행 단계 및 제1 측면의 반대 방향인 제2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2 주행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주행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robot cleaner is disclosed.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 drive unit that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and rotates arou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xe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o provide a moving force source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A first driving step in which the cleaner for wet cleaning determines a cleaning driving patter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members and the robot cleaner, which can be fixed respectively, and rotates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and travels forwar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leaning driving patter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travel while sequentially repeating the second driving step of rotating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driving forward.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Robot vacuum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capable of performing wet cleaning while autonomously driv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산업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장치가 자동화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하거나, 피 청소면의 이물질을 닦아냄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로 활용되고 있다.Various devices are being autom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As is well known, a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the area to be cleaned by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while driving itself in the area to be cleaned without the user's operation, or by wip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It is being utilized.

일반적으로,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전기 등과 같은 동력원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such a robot cleaner may include a vacuum cleaner that performs cleaning using suction power using a power source such as electricity.

이와 같은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고착된 이물질이나 찌든때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로봇 청소기에 걸레가 부착되어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가 대두되고 있다.A robot cleaner including such a vacuum cleaner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remove foreign substances or dirt stuck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recently, a robot cleaner that can perform wet cleaning by attaching a mop to the robot cleaner has emerged. .

그러나,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를 이용한 습식 청소 방식은 기존의 진공 청소용 로봇 청소기의 하부에 걸레 등을 부착하는 단순한 방식에 불과하여 이물질 제거 효과가 낮고, 효율적인 습식 청소가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wet cleaning method using a general robot cleaner is only a simple method of attaching a mop or the lik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for vacuum cleaning, and thus has a low effect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efficient wet cleaning cannot be performed.

특히,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의 습식 청소 방식의 경우 기존의 흡입식 진공 청소기용 이동 방식과 장애물에 대한 회피 방식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주행하므로 피청소면에 산재된 먼지 등은 제거하더라도 피청소면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wet cleaning method of a general robot cleaner, the movement method for the suction type vacuum cleaner and the avoidance method for obstacles are used as they are, so even if the dust scatter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removed, foreign matters adher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remov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easily removed.

또한,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의 걸레 부착 구조의 경우, 걸레면에 의해 지면과의 마찰력이 높아진 상태가 되어 바퀴가 이동하기 위한 별도의 추진력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op attachment structure of a general robot cleaner,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is increased by the mop surface, so that a separate propulsion force for moving the wheel is required, and thus battery consumption increases.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 20-0481332호가 제안되었는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회전 부재;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보호하는 범퍼; 및 상기 범퍼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1332 has been proposed 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as shown in FIG.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First and second rotation members each rotatably moving around a first rotation axis and a second rotation axi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o provide a moving force source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and fixable cleaners for wet cleaning, respectively; A bumper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to protect the main body from external impacts;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umper.

그러나, 2개의 회전부재를 이용하여서는 일측 회전축이 슬림되는 경우 직진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바닥이 닦이지 못하는 구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using two rotating members, whe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is slim,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ction where the floor cannot be wiped occurs because straightness cannot be secured.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회전 부재의 회전력 자체를 로봇 청소기의 이동력원으로 이용하고, 회전 부재에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고정 가능하도록 하되, 제 3 회전부재를 부가 설치하여 회전부재의 슬림현상이 이를 보정함으로써, 습식 청소를 직진하면서 주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necessit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rotating force of a pair of rotating members as a moving force source of a robot cleaner, and to fix a cleaner for wet cleaning to the rotating member, 3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running while moving straight through wet clean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rotating member to correct the slimness of the rotat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패턴으로 청소 주행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erform cleaning and driving in a specific patter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제3 회전 부재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청소 주행 패턴에 따라 제1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1 주행 단계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인 제2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2 주행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주행하도록 상기 제1, 제2, 제3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장치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1000)과; 상기 먼지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cleaners for wet cleaning are fix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moving force source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by rotat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xe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A rotating member; A first driving step of determining a cleaning driving pattern of the robot cleaner, rotating in a first lateral direction and driving forwar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leaning driving pattern, and rotating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driving forwar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members to travel while sequentially repeating the second driving step; A dust measuring means (1000) installed in the device to measure dust and output an alarm signal if it is above a stand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signal output unit 200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ust measuring unit and outputs an alarm signal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dust measuring unit.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발생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열발생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dust measuring means is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 for emitting infrared rays, and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nd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nd introduces dus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eceived amount. Infrared receiving means (B) for determining the value, and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C)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 is less than a set value ), including;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 include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shape memory spring and the fixing part;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bu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hape memory spring and forcibly expands the shape memory spring through heat generation to move the concave lens group to the left, thereby allowing infrared rays to pass through the lens with a low depression angle to output infrared rays. A heat generating means for inducing the force to increase;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bu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ape memory spring to transfer cooling heat to force the shape memory spring to contract to move the concave lens group to the right, thereby allowing the lens with a high depression angle and infrared rays to pass.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inducing an infrared output to be forcibly lowere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means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rols to increase the infrared output by operating the heat generating means when there is a lot of dust, and operates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lower the infrared output when there is little dus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composition.

또한, 상기 본체에 이온수 공급수단(210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2100)은,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수전류에 부착하여 물의 이온에너지를 상승시키기 위해, 배관에 구비되며, 수전 밸브를 열면 수압에 의해 이동자석이 이동하여 리드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켜 전자기장이 발생하도록 전원 스위칭회로를 구비한 리드스위치 작동수단과; 배관을 통해 물이 통과되고, 코일이 감기는 보빈(Bobbin)과;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전류를 흘리면 자속을 발생하고, 전자 유도나 전자력의 작용을 촉진시키는 코일(Coil)과; 코일(Coil)에 연결되며, 전자기장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면서 반파직류를 만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diode)와; 코일(Coil)에 연결되며, 교류(AC) 전기를 공급해 주는 전원과 전기회로를 개폐시키는 리드스위치와; 상기 배관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온수를 고르게 섞는 역할을 하는 믹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ion water supply means 2100, and the ion water supply means 2100 is provided in a pipe to increase the ion energy of water by attaching a device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to a water current. A reed switch operating means having a power switching circuit so that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selectively switching the reed switch by moving the moving magnet by hydraulic pressure when the valve is opened; A bobbin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rough a pipe and a coil is wound; A coil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generating magnetic flux when current flows, and promot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or an action of an electromagnetic force; At least one diode connected to the coil and generating half-wave DC current while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 reed switch connected to a coil and opening and closing an electric circuit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C electricit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xing unit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pipe and serves to evenly mix the ionized water.

또한, 상기 믹싱수단은, 가장자리에 홀이 형성되어 배관을 통과하는 물이 가장자리홀을 통해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칸막이와, 상기 제 1 칸막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제 1 칸막이를 통과한 물이 중앙홀을 통해 통과하면서 이온수가 섞이도록 유도하는 제 2 칸막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칸막이와 제 2 칸막이가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mixing means is provided with a first partition having a hole formed at the edge to induce water passing through the pipe to pass through the edge hole, and the first partition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but having a hole formed in the center. A second partition is provided to induce ion water to be mixed whil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rtition passes through the central hole,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are arranged.

또한, 상기 믹싱수단은, 하부에 홀을 형성하여 오픈된 제 3 칸막이와, 상부에 홀을 형성하여 오픈된 제 4 칸막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칸막이와 제 4 칸막이를 순차적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mixing means includes a third partition opened by forming a hole in the lower portion, and a fourth partition opened by forming a hole in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s are sequentially arrang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또한, 청소기를 구동하면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 및 제 3 회전부재에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 본체의 전후진 또는 일정각도로 이동 준비를 하는 단계와;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의 작동에 따라 청소기 본체의 전후진 또는 일정각도 이동하면서 청소를 하는 단계와;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의 작동에 따라 청소기 본체가 움직일때 비직진성으로 요동치면서 움직이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직진성이 확인되면 제 3 회전부재를 구동하여 청소기 본체의 방향성을 보정함으로서 청소기 본체의 직진성을 유지시키는 단계와;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제3 회전 부재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청소 주행 패턴에 따라 제1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1 주행 단계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인 제2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2 주행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주행하도록 상기 제1, 제2, 제3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와; 상기 청소 로봇의 모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모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청소 로봇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좌측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 로봇의 모션 명령에 의해 생성된 상기 좌측 구동모터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제1엔코더와; 상기 우측 구동모터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 로봇의 모션 명령에 의해 생성된 상기 우측 구동모터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제2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Further, when the cleaner is driv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rotary member, the second rotary member, and the third rotary member to prepare the cleaner body to move forward or backward or at a predetermined angle; Cleaning the cleaner body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or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members; Checking whether the cleaner body moves while oscillating non-linearly when the cleaner body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members; If non-linearity is confirmed in the step, driving the third rotating member to correct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to maintain the straightness of the cleaner body; And outputting an alarm sound if the dust exceeds the standard; Main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cleaners for wet cleaning are fix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moving force source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by rotat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xe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A rotating member; A first driving step of determining a cleaning driving pattern of the robot cleaner, rotating in a first lateral direction and driving forwar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leaning driving pattern, and rotating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driving forwar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members to travel while sequentially repeating the second driving step; An alarm signal output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output an alarm sound when the dust exceeds the standar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A position sensor that measures a position of the cleaning robot moving according to the input motion command; A first encoder installed on the left driving motor to measure a movement amount of the left driving motor generated by a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encoder installed on the right driving motor to measure a movement amount of the right driving motor generated by a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엔코더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이동한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위치센서의 센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이동한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계산된 상기 청소 로봇의 각도와 상기 측정된 상기 청소 로봇의 각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청소 로봇의 비직진성을 파악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moving angle of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measures the moving angle of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and the calcul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linearity of the cleaning robot is determin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of the cleaning robot and the measured angle of the cleaning robo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엔코더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이동한 제1 및 제2엔코더 변화량(A1, A2)을 계산하고, 상기 위치센서의 센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이동한 위치 변화량(B)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및 제2엔코더 변화량(A1, A2)과 상기 계산된 위치센서의 기울기 값의 변화량(B)을 이용하여 청소로봇의 비직진성을 파악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first and second encoder changes (A1, A2) moved by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and the cleaning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Calculate the position change amount (B) moved by the robot, and use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encoder change amount (A1, A2) and the calculated change amount (B) of the inclination value of the position sensor to the non-linearity of the cleaning robot It is characterized by grasping.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상기 청소 로봇의 각도와 상기 측정된 상기 청소 로봇의 각도 차이를 일정 시간 동안 검출하여 상기 청소 로봇의 비직선성을 파악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angle of the cleaning robot and the measured angle of the cleaning robo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determine nonlinearity of the cleaning robo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엔코더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제1시간(t1) 동안 이동한 제1 및 제2엔코더 변화량(A1t1, A2t1)을 계산하고, 상기 위치센서의 센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이동한 위치값의 변화량(B)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및 제2엔코더 변화량(A1t1, A2t1)과 상기 계산된 위치값의 변화량(B)을 이용하여 상기 청소 로봇의 비직선성을 파악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first and second encoder changes (A1t1, A2t1) that the cleaning robot moved during the first time (t1)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and the position sensor Calculate the change amount (B) of the position value moved by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of, and use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encoder change amounts (A1t1, A2t1) and the calculated change amount (B) of the position value. Thu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linearity of the cleaning robot is determin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로봇이 비직진성이면, 제 3 구동로봇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직진성을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leaning robot is non-linear, the third driving robot is drive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induce linearity.

또한,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청소기 가동시 향기를 외부로 발산하는 향기도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향기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상기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1120)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모터(1130)와; 상기 회전모터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상응하여 회전하되, 저면이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모터축(1131)과; 상기 회전모터의 하단에 위치되며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되는 상하구동 실린더(1140)와; 상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부에 위치하되 중심축상에 위치되고,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에 접면되면서 기계적으로 접촉되며,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하는 회전축(1141)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하 구동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면서 약물을 공급하는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일측은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시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는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include a fragrance application device for emitting fragrance to the outside when the cleaner is operated; The fragrance application device 1100 includes a housing 1110; A battery 112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10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charge electricity and then supply electricity to the device; A rotary motor (1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and convert it into a mechanical rotary motion; A motor shaft (1131) install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rotary motor to rotate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motor, but having a bottom surface in a waveform shape and continuously rotating in a curved waveform shape; A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motor and flowing while moving up and down by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motor into a reciprocating vertical motion; It is located above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but is located on the central axis, and is mechanically contac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motor shaft 1131 of the rotary motor 1130, and is coupled with the motor shaft 1131 of the rotary motor 1130. And a rotation shaft 1141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while repeating the separation.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one side is fixed to the locking jaw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locking jaw of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to maintain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An elastic spring 1150 for supporting elevating and descending to enable it to be; I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 and down drive cylinder 1140, is generally cylindrical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drug passage holes 1161 installed on the bottom, and supplies drugs while flow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 and down drive cylinder. A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One side is coupled to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1110, and the up and down driving cylinder and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are temporarily fixe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housing to temporarily fix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mporary fixing means (1180) for a scent drug applicator that prevents from falling down by the action of gravity.

또한, 상기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의 결합홀 및 약물 도포기의 결합홀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용 후크(1181)와; 상기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연결편(1182)과; 상기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상기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지지용 스프링(1184)과; 상기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이는 슬라이딩 유동편(1185)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푸시버튼(1186)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scent drug applicator temporary fixing means 1180 is made of a sharp wedge shape at the end and is forcibly fit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up and down driving cylinder and the coupling hole of the drug applicator, so that the scent drug applicator of the up and down driving cylinder A locking hook 1181 for maintaining a stat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A connecting piece 1182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ok for hook 1181 in a diagonal direction and guides the hook for hook 1181 to mov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a rotational motion; A hinge for supporting rotation (1183)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1182) and the hook (1181) for supporting the connecting piece to rotat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1182 and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to push the connecting piece outward so that the hook for locking 1181 flows counterclockwise to keep the drug applicator connected to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 When the connecting piece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nd compressed in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direction, the hook for locking 1181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and the drug applicator 1160, and the drug applicator 1160 is a vertical driving cylinder. A support spring 1184 for guiding it to be removed from the 1140; A sliding flow piece (1185)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iece (1182) and moving at the same time when the hook (1181) and the connecting piece (1182)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ertical flow of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It is slidably coupled with the sliding fluid piece 1185 to suppor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ing fluid piece 1185, and when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is replaced, the connecting piece 1182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As the connection piece 1182 rotates around the hinge pin 1183 for rotation support by pressing, the hook for hook 1181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and the drug applicator 1160, and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 button (1186) to induce removal from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는 한 쌍의 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이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습식 청소를 수행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robot cleaner may travel while performing wet cleaning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a pair of rotating members as a moving force source.

도 1은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어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물통 설치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이온수 공급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칸막이 제 1 실시예도.
도 17은 본 발명의 칸막이 제 2 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
도 19는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
도 24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robot cleaner.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dust measuring means and the alarm signal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an infrared receiving means constituting the dust meas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measuring dust using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dust measuring means having a shape memory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ond embodiment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shape memory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cave le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bu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onceptual diagram of ion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tary motor and a vertical drive cylinder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otary motor and the vertical drive cylinder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block diagram of a temporary fixing means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nother angular configuration of the temporary fixing means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le for passing a chemical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are for a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describ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mplemented below is already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below and omitte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already used in the past will be easily understood, and the configurations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elem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will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used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key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cor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only.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lis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se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se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a conceptual perspective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codes, etc. are understood to represent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clearly depicted and that can be represented substantially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Should be.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a processor or functional block represented by a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the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licit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interpreted exclusively by referring to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mplicitly include (ROM),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commonly used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components expressed a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 all types of software including,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or firmware/microcode that perform the above functions.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methods of performing a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 and is combined with suitable circuitry for executing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 Since the invention defined by these claims is combined with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enumerated means and combined with the manner required by the claims,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the above functions are equivalent to those conceived from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robot clean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dust measuring means and the alarm signal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an infrared receiving means constituting the dust meas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measuring dust using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9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dust measuring means having a shape memory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10 is a second embodiment having a heat generating means,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shape memory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cave le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블록도.12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어 순서도.13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물통 설치 개념도.Figure 1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bu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이온수 공급 개념도.15 is a conceptual diagram of ion wat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칸막이 제 1 실시예도.Figure 16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칸막이 제 2 실시예도.Figure 17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분해 사시도.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 단면도 및 요부 단면도.Figure 1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Figure 2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구성도.2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tary motor and a vertical drive cylinder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회전모터 및 상하 구동 실린더 요부 확대도.Figure 22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otary motor and the vertical drive cylinder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구성도.23 is a block diagram of a temporary fixing means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향기 약액 도포장치의 임시고정수단 다른 각도 구성도.Figure 24 is another angular configuration of the temporary fixing means of the perfum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약액 통과용 홀 구성도로서,2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le for passing a chem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100)는 구조적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본체(10)를 보호하는 범퍼(20), 범퍼(2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130), 본체(10)에 설치되어 로봇 청소기(100)를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50), 상기 구동부(150)에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는 제1 회전 부재(110), 제2 회전 부재(120)와, 본체(10)의 내부 설치된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o 5, the robot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10 that structurally forms the exterior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is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 from external impact. A bumper 20 that protects 10, a sensing unit 130 that detects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umper 20,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o supply power to drive the robot cleaner 100 (15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rotation member 110, a second rotation member 12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rotate by being coupled to the driving unit 150. have.

이러한, 로봇 청소기(100)는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210,220)를 이용하여 습식 청소를 수행하며 주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습식 청소는 클리너(210,220)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을 닦는 청소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른 걸레 등을 이용한 청소, 액체에 젖은 걸레 등을 이용한 청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driven while performing wet cleaning using the cleaners 210 and 220 for wet cleaning. Here, the wet cleaning may refer to cleaning in which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wiped using the cleaners 210 and 22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leaning using a dry mop or a mop wet with a liquid.

구동부(15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회전 부재(110)와 결합하는 제1 구동부(151),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회전 부재(120)와 결합하는 제2 구동부(152), 제3 회전부재(130)와 결합하는 제 3 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0)는 모터, 기어 어셈블리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5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member 110, and the first driving unit 151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0. A second driving unit 152 and a third driving unit 153 coupled to the third rotating member 130 may be included. Here, the driving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motor and a gear assembly.

제1 회전 부재(110)는 제1 구동부(151)에 결합되어 제1 구동부(151)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에 의한 제1 회전 축(31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1 전달 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청소를 위한 제1 클리너(210)가 고정 가능한 제1 고정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is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unit 151 to transmit power by the first driving unit 151, and a first transmission that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310 by the power It may include a member 111. In addition, the first cleaner 210 for wet cleaning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112 that can be fixed.

그리고, 제2 회전 부재(120)는 제2 구동부(152)에 결합되어 제2 구동부(152)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에 의한 제2 회전 축(32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전달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청소를 위한 제2 클리너(220)가 고정 가능한 제2 고정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152 to transmit power by the second driving unit 152, and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on shaft 320 by the power. It may include 2 transmission member 121. In addition, the second cleaner 220 for wet cleaning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122 that can be fixed.

그리고, 제3 회전 부재(130)는 제3 구동부(153)에 결합되어 제2 구동부(153)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에 의한 제3 회전 축(330)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3 전달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청소를 위한 제3 클리너(230)가 고정 가능한 제3 고정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rotation member 130 is coupled to the third driving unit 153 to transmit power by the second driving unit 153, and rotate around the third rotation shaft 330 by the power. It may include a 3 transmission member 131. In addition, the third cleaner 230 for wet cleaning may include a third fixing member 132 that can be fixed.

여기서, 제1 전달 부재(111) 및 제2 전달 부재(112)의 하단 영역은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피청소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달 부재(111) 및 제2 전달 부재(112)는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피청소면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Here, when the lower regions of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1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12 are coupled to the body 10, they may be implement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1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12 are coupled to the body 10, they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y do not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또한, 제1 고정 부재(112)와 제2 고정 부재(122) 및 제 3고정부재(132)는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피청소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예를 들어,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습식 청소를 위한 제1 클리너(210)와 제2 클리너(220) 및 제 3 클리너(2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fixing member 112, the second fixing member 122, and the third fixing member 132 are coupled to the body 10, so that they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It may be implemented to protrude, and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cleaner 210, the second cleaner 220, and the third cleaner 230 for wet cleaning may be fixed.

제1 클리너(210)와 제2 클리너(220) 및 제 3 클리너(230)는 회전 운동을 통해 바닥면의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극세사 천, 걸레, 부직포, 브러시 등과 같이, 다양한 피청소면을 닦을 수 있는 천과 같은 섬유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클리너(210)와 제2 클리너(220) 및 제 3 클리너(230)의 형태는 도 1과 같이 원형일 수 있으나, 형태에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cleaner 210, the second cleaner 220, and the third cleaner 230 are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ixed on the floor through a rotational motion, such as microfiber cloth, mop, nonwoven fabric, brush, etc. It can be made of a fibrous material such as a cloth that can wipe the cleaning surface. In addition, the first cleaner 210, the second cleaner 220, and the third cleaner 230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without limitation in shape.

그리고, 제1, 제2, 제 3 클리너(210, 220, 230)의 고정은 제1 고정 부재(112)와 제2 고정 부재(122) 및 제 3 고정부재(132)에 덮어씌우는 방법이나, 별도의 부착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리너(210)와 제2 클리너(220) 및 제 3 클리너(230)는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제1 고정 부재(112)와 제2 고정 부재(122) 및 제 2 고정부재(132)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And, the fixing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leaners 210, 220, 230 is a method of covering the first fixing member 112, the second fixing member 122, and the third fixing member 132, It can be carried out using a method using a separate attachment means. For example, the first cleaner 210, the second cleaner 220, and the third cleaner 230 are made of Velcro tape, etc., for the first fixing member 112, the second fixing member 122,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 132) can be fix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와 제2 회전 부재(120) 및 제 3 회전부재(1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1 클리너(210)와 제2 클리너(220) 및 제 3 클리너(230)가 회전함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마찰을 통해 바닥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피청소면과의 마찰력이 생성되면 그 마찰력은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cleaner 210 and the first cleaner 210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and the third rotation member 130. As the second cleaner 220 and the third cleaner 230 rotat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loor may be removed through friction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addition, when a friction force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generated, the friction force may be used as a moving force source of the robot cleaner 10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가 회전함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마찰력이 각각 발생하고, 그 합력이 작용하는 크기 및 방향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속도 및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rotate, frictional force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generated, respectively, and the resultant force is The moving speed and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cting size and direction.

특히, 구동부(151,152,153)의 동력에 의한 제1, 제2, 제 3 회전 부재(110,120,130) 각각의 제1 회전축(310), 제2 회전축(320), 제3회전축(330)은 로봇 청소기(100)의 수직 방향 축에 대응되는 중심축(3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제3 회전 부재(110,120,13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제2, 제3 회전 부재(110,120,130)의 영역 중 중심축(300)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영역은 중심축(300)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영역 보다 피청소면에 강하게 밀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members 110, 120, and 130 driven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s 151, 152, and 153 respectively have a first rotation shaft 310, a second rotation shaft 320, and a third rotation shaft 330. It may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300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axis of ). In this ca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members 110, 120, and 130 may be inclined downwardly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That is, an area located far from the central axis 300 among the area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members 110, 120, and 130 may more closely adher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an an area located closer to the central axis 300.

여기서, 중심축(300)은 로봇 청소기(100)의 피청소면에 대한 수직 방향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00)가 청소 작업 중에 X, Y 축에 의하여 형성되는 X-Y 평면을 주행하여 청소한다고 가정할 때, 중심축(300)은 로봇 청소기(100)의 피청소면에 대한 수직 방향 축인 Z축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central axis 300 may mean a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obot cleaner 100 travels and cleans the XY plane formed by the X and Y axes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the central axis 300 is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of the robot cleaner 100 It can mean the Z axis, which is an axi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감지부(130), 통신부(140), 제1 회전 부재(110)와 제2 회전 부재(120) 및 제 3 회전부재(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입력부(180),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robot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first rotating member 110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120, and a third rotating unit. A driving unit 150 for driving the member 130, a storage unit 160, a control unit 170, an input unit 180, an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감지부(130)는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30)는 범퍼(2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송하는 외부 충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충격 감지부는 접촉 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130 may detect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70. Here, 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n external shock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bumper 20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70. The external impact detec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contact sensor or an optical sensor.

통신부(140)는 로봇 청소기(100)와 다른 무선 단말 사이 또는 로봇 청소기(100)와 다른 무선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의 무선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another wireless terminal or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a network in which another wireless terminal is locat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communicate with a wireless terminal as a remote control device, and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this purpose.

로봇 청소기(100)는 이와 같은 통신부(140)로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 상태 또는 동작 방식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를 제어하는 단말로는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00)와 통신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리모컨(원격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may control an operation state or an operation method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40. Terminals that control the robot cleaner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a personal computer, and a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100.

구동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를 회전 운동시키기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0)는 제1 구동부(151) 및 제2 구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 및/또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may supply power to rotate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Here, 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151 and a second driving unit 152, and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motor and/or a gear assembly.

한편,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7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6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magnetic disks and optical disks.

입력부(180)는 로봇 청소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80)는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8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manipulating the robot cleaner 100.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8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robot cleaner 100.

여기서, 입력부(1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nput unit 18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electro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출력부(185)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및 알람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85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o, and the lik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put unit 185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module, and an alarm unit.

디스플레이부는 로봇 청소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가 청소 중인 경우 청소 모드와 관련된 청소 시간, 청소 방법, 청소 영역 등을 표시하는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robot cleaner 100.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is cleaning,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dicating a cleaning time related to a cleaning mode, a cleaning method, and a cleaning area may be displayed.

전원 공급부(190)는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로봇 청소기(100)의 구성하는 각 기능부들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9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robot cleaner 100.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functional uni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and when the remaining power is insufficient,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charged by receiving a charging current. Her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mplemented as a rechargeable battery.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로봇 청소기(100)가 특정 진행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so that the robot cleaner 100 travels in a specific direction. .

일 예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면, 로봇 청소기(1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는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이 회전하는 속도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rotate at the same speed in the same direction, the robot cleaner 100 may perform a rotational motion in place. The robot cleaner 100 may rotate in place according to the speed at which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rotat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 부재(110) 및 제2 회전 부재(120)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0)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상대적으로 반대편에 위치한 일단 및 타단이, 피청소면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게 된다. 즉, 제1 회전 부재(110)의 회전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제1 회전 부재(110) 반대편에 위치한 일단이 이동하는 방향과, 제2 회전 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로봇 청소기(100)의 제2 회전 부재(120)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이 이동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rotate at the same speed in the same direction,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ody 10 of the robot cleaner 100, respectively, The directions in which the located one end and the other end mov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10 causes the movement of one end located opposite the first rotating member 110 of the robot cleaner 10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0. As a result, directions in which the other ends of the robot cleaner 100 located opposite the second rotating member 120 mov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re opposite to each other.

따라서, 로봇 청소기(100)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합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면서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회전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ultant force of frictional forces acting on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ct as a rotational force for the robot cleaner 100.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제1 회전 부재(110)와 제2 회전 부재(120)가 서로 상이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몸체(10)를 기준으로 제1 회전 부재(110)의 마찰력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일단이 이동하는 방향은 제2 회전 부재(110)의 마찰력에 의해 피청소면에 대하여 타단이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100)는 특정 방향으로의 직진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first rotat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120 to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t the same speed.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one end moves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friction force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110 based on the body 10 of the robot cleaner 100 is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friction force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110 It may be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moves.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100 may perform a straight traveling in a specific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은 장치의 내부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주변에 미세먼지가 기준이상임을 알린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measuring means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device to detect dust through the dust measuring means, and when dust above a standard is detected, it is output through an automatic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to notify that fine dust is above the standard. .

즉, 장치의 주변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미세먼지의 제거를 유도하거나 외부로 탈출을 유도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surrounding dust of the device is more than the standard, an alarm signal is output to induce the removal of fine dust or escape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ust measuring mean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so as to face an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 for emitting infrared rays, and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nd receives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eceived amount. Infrared receiving means (B) for determining the inflow of dust, and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 is less than a set value It includes (C).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Further,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 receives the infrared transmission control signal from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C), determines the infrared transmission amount, and outputs the changed infrared transmission amount.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esult value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 is transmitted to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C),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C) predicts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based on the data of the infrared receiving unit (B), and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infrared transmission means (A), the amount of infrared transmission is adjusted to induce output.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reads the light quantity data output from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and based on this, the light quantity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mean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sensitivity control is automatically kept constant. It is designed to be able to measure by maintaining it in a sensitivity state.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nfrared receiver (B) is weak,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C)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high,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A) for more precise dust measurement. And, if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C) is too much, the state without contamination or precise measurement becomes difficult, so that 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That i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transmitted in an appropriate state. Only then can the amount of infrared rays measur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ecome accurate, so that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can be more accurately predicted. Accordingly, the dust amount data measured by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a dust measurement result with high reliability.

본 발명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1)과;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ave lens group (1) in which a plurality of concave lenses are mounted to limit the output of infrared rays;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An infrared transmission element (2) that is close to the concave lens group and outputs infrared rays;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3)과;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cave lens group to allow the concave lens group to flow to control the infrared output, but if the ambient temperature is high according to the amount of temperature change, the concave lens group is moved to the left so that infrared rays pass through the lens with a low depression angle. A shape memory spring (3) which controls the output to increase and controls the infrared output to decrease by allowing the concave lens group to flow to the right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low so that infrared rays pass through the lens having a high depression angle;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It comprises a fixing part 4 located at the right end of the shape memory spring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shape memory spring.

그리고, 상기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5)과;And, a housing (5)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and the fixing portion;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6)과;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bu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hape memory spring and forcibly expands the shape memory spring through heat generation to move the concave lens group to the left, thereby allowing infrared rays to pass through the lens with a low depression angle to output infrared rays. A heat generating means (6) for inducing the force to increase;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3)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7)와;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bu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ape memory spring (3) to transfer cooling heat to force the shape memory spring (3) to contract to move the concave lens group to the right. A thermoelectric element 7 for inducing an infrared output to be forcibly lowered by allowing the infrared rays to pass through;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 transmission control unit (8)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means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rols to increase the infrared output by operating the heating means when there is a lot of dust, and operates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lower the infrared output when there is little dust. It consists of including.

그리고, 상기 고정부(4)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홀(5a, 5b 5c)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는 고정부(4)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자석(9)을 삽입 결합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5a, 5b 5c are formed in the rim of the housing in which the fixing part 4 is located, and a magnet 9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4 is inserted into the hole. Done.

즉, 고정부(4)는 금속으로 구성하며, 자석(9)을 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임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낮은 지역은 자석을 중앙홀(5b) 또는 왼쪽홀(5a)에 위치시켜 세팅하고, 기온이 높은 지역은 자석(9)을 중앙홀(5b) 또는 오른쪽(5c)에 위치시켜 세팅한다.That is, the fixing part 4 is made of metal, and the fixing part is temporarily fixed by inserting the magnet 9 into the hole. Accordingly, in areas with low temperature, the magnet is placed in the central hall (5b) or the left hole (5a), and in areas with high temperature, the magnet (9) is placed in the central hole (5b) or the right (5c). do.

그러면 최초 송신소자(2) 위치가 오목렌즈군(1)의 중앙에 위치되고, 이후 온도변화에 따라서 적절히 팽창과 수축을 하여 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loca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element 2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cave lens group 1, and then expands and contract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s,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dust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본 발명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송신소자(2)의 출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는바, 형상기억 스프링(3)이 기본 온도로 세팅되어 있으며, 이후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송신소자의 광을 줄여서 출력시키고,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줄어들면서 송신소자(2)의 광을 낮추어서 출력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transmitting element 2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mperature. The shape memory spring 3 is set to a basic temperature, and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shape memory spring increases, The light is output by reducing the light, and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shape memory spring 3 decreases and the light of the transmitting element 2 is lowered to output.

즉, 먼지는 기체속에 분포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움직임이 활발해져서 송신소자(2)의 출력을 낮추었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채크할 수 있으며, 온도가 낮아지면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에 송신소자(2)의 출력을 높였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체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dust is distributed in the gas, the movement becomes active when the temperature rises, so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ore precise dust concentration than when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device 2 is lowered, and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movement becomes dull. You can check the dust concentration more precisely than when the output of 2) is increas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온도변화를 반영하여 오목렌즈군(1)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cave lens group 1 to flow to reflect the temperature change so that the dust concentration can be more accurately identified.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Looking at the actual operation, first, light of the transmitting element is outputted through the third concave lens 1c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ncave lens group 1 basically.

그리고,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An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ises, the shape memory spring expands so that the second concave lens 1b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concave lens 1c, and the second concave lens 1b has a lower depression angle than the third concave lens 1c. Accordingly, the light output of the transmission device 2 is lowered and output is performed. An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decreases, the shape memory spring 3 contracts and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concave lens 1c, and at the same time, the fourth concave lens 1d having a higher depression angle than the third concave lens 1c is transmitted. It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element 2, and accordingly, the light output of the transmission element 2 is increased to outpu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온도에 반응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이 자동으로 팽창과 수축을 함으로서 먼지의 움직임에 따른 광량 변화를 촉진하여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보다 더 정확한 경보출력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memory spring 3 automatically expands and contracts in response to the ambient temperature, thereby promot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ust, so that a more precise dust concentration can be identified, and a more accurate alarm output. This is done.

한편, 본 발명은 먼지 농도에 따라 송신 제어부(8)가 강제로 오목렌즈군(1)을 움직여서 가장 정확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온도 변화가 없더라도 먼지의 농도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량을 조절하여 정확한 먼지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8 forcibly moves the concave lens group 1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to determine the most accurate dust concentration. Even if there is no temperature change, the amount of light of the transmitting eleme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It was adjusted so that the exact concentration of dust could be determined.

즉,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8)에서 이를 인지하여 발열수단(6) 및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heating means 6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7 by recognizing the dust measurement controller C when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facilitate the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Thus, the most appropriate infrared transmission was made.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송신소자(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2) 위치로 움직이면서 송신소자의 출력광이 제 2 오목렌즈를 통해 출력된다.First, the infrared light is basically output through the third concave lens 1c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oncave lens group 1, and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output by a little reduc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8 is used as the heating means 6 ) To generate heat so that the shape memory spring expands, and the transmission element (2) is fixed accordingly, so the concave lens group (1) moves, but the second concave lens (1c)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concave lens (1c). As the lens 1b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element 2, the output light of the transmitting element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cave lens.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1 오목렌즈(1a)가 송신소자(2)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가열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1 오목렌즈(1a)를 통해 출력한다. And, whe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frared light more and output i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8 activates the heating means 6 to generate more heat so that the shape memory spring 3 expands more, and accordingly, the concave lens group 1 ) Is moved, but the first concave lens 1a is heated to move to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element 2, so that the light of the transmitting element 2 is output through the first concave lens 1a.

그리고, 적외선 광을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이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4 오목렌즈(1d)를 통해 출력된다.In addition,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increased and output is require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8 drives the thermoelectric element 7 to generate cooling heat so that the shape memory spring 3 contracts, and the concave lens group 1 moves accordingly. The fourth concave lens 1d, on which the left side of the 3 concave lens 1c is installed, is positioned on the transmission element, and accordingly, the light from the transmission element 2 is output through the fourth concave lens 1d.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5 오목렌즈(1e)가 송신소자(2) 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5 오목렌즈(1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output higher,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8 drives the thermoelectric element 7 to generate more cooling heat so that the shape memory spring 3 contracts more, and accordingly, the concave lens group 1 ) Is moved, but the fifth concave lens 1e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element 2, and accordingly, the light of the transmitting element 2 outputs light through the fifth concave lens 1e.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concave lens group is designed to vary the degree of output of infrared light according to the depression angle of the center, and the third concave lens 1c is bas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operating rod and has a depression angle of 25 degrees.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second concave lens 1b is used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output by slightly reducing the infrared light,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concave lens 1c, and has a depression angle of 15 degrees.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first concave lens 1a is used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further reduced and output, and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oncave lens 1b, and has a depression angle of 5 degrees.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fourth concave lens 1d is used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further increased to be output,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concave lens 1c, and has a depression angle of 35 degrees.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In addition, the fifth concave lens 5e is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frared light to be output, and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fourth concave lens 1d to form a depression angle of 45 degrees.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소 로봇에서 비직진성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12 is a control block diagram for determining non-linearity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소 로봇(1)은 사용자로부터 모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00)와, 청소 로봇(1)이 주행하는 청소 영역에 대한 각종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210)와, 입력부(200)의 모션 명령 및 센서부(210)의 센서 정보에 따라 청소 로봇(1)의 주행 상태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FIG. 12, the cleaning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200 that receives a motion command from a user and a sensor unit that detects various information on a cleaning area in which the cleaning robot 1 travels. 210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driving state of the cleaning robot 1 according to a motion command of the input unit 200 and sensor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210.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청소 로봇(1)의 모션 명령 또는 청소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220)에 전달하도록 본체(10)의 상부 또는 리모컨(미도시)에 다수의 버튼을 포함한다.The input unit 200 receives a motion command or a cleaning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1 from a user, and presses a plurality of butto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or a remote control (not shown) to transmit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20. Include.

센서부(210)는 사용자의 모션 명령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모터(140)의 회전량을 계산하여 이동량을 추정하는 제1 및 제2엔코더(211-1, 211-2)와, 청소 로봇(1)이 실제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212)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210 includes first and second encoders 211-1 and 211-2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movement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40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command, and the cleaning robot 1 ) Includes a position sensor 212 that measures the distance actually moved.

제1 및 제2엔코더(211-1, 211-2)는 본체(10)의 중앙부 양측에 설치된 양 구동유닛(100)의 구동모터(140)에 각각 부착되어 청소 로봇(1)의 모션 명령에 의해 생성된 회전량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청소 로봇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청소 로봇(1)의 모션 명령으로부터 역산한 이동량을 사용하는 경우 대체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211-1 and 211-2 are attached to the drive motors 140 of both drive units 1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rt of the main body 10 to respond to motion commands of the cleaning robot 1. This is to determine the amount of rotation generated by the cleaning robot and measur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based on this, and can be replaced by using the amount of movement inverted from the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1.

또한, 엔코더(211)는 청소 로봇(1)의 의도된 움직임으로 인한 위치 변화량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청소 로봇(1)의 의도된 움직임을 계산한다. 이 과정에서 청소 로봇(1)의 모션 명령에 의한 청소 로봇(1)의 거리 변화량 및 각도 변화량은 시스템 지연 보상을 위해 로우 패스 필터(Low-pass filtering;이하, 'LPF'라 한다)을 거치게되며, 엔코더(211)로부터 얻어진 거리 변화량 및 각도 변화량은 노이즈 제거를 위한 LPF을 거친다. 이렇게 얻어진 청소 로봇(1)의 거리 변화량 및 각도 변화량에서 엔코더(211) 정보로부터 얻은 값을 우선하되, 모션 명령으로부터 얻어진 청소 로봇(1)의 거리 변화량 및 각도 변화량이 엔코더(211)로부터 얻은 경우와 크게 달라질 경우 모션 명령으로부터 얻어진 청소 로봇(1)의 거리 변화량, 각도 변화량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청소 로봇(1)의 상위모션 명령으로부터 발생되어야할 청소 로봇(1)의 거리 변화량 및 각도 변화량을 생성해 낸다.In addition, the encoder 211 is for generating a position change amount due to the intended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1, and calculates the intended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1. In this process, the distance change amount and the angle change amount of the cleaning robot 1 by the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1 are subjected to low-pass filte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LPF') to compensate for the system delay. , The distance change amount and the angle change amount obtained from the encoder 211 are subjected to LPF for noise removal. The value obtained from the encoder 211 information is given priority to the distance change amount and angle change amount of the cleaning robot 1 thus obtained, but the distance change amount and the angle change amount of the cleaning robot 1 obtained from the motion command are obtained from the encoder 211. If it varies greatly, the distance change amount and the angle change amount of the cleaning robot 1 obtained from the motion command are used, and the distance change amount and the angle change amount of the cleaning robot 1 to be generated from the upper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1 are generated. Serve.

이러한 방식을 취하는 이유는 청소 로봇(1)의 상위 모션 명령에 의해 의도된 운동 변화량으로는 실제 움직임으로 나타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엔코더(211) 정보로부터 얻은 것을 신뢰하되, 미끄러짐 등으로 움직임이 제한된 경우에도 모션 명령으로부터 계산된 청소 로봇(1)의 거리 변화량 및 각도 변화량을 사용하여 의도되었던 움직임에 의한 값을 보상해주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taking this method is that the amount of motion change intended by the upper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1 is obtained from the encoder 211 information in order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actual motion, but the motion is restricted due to slipping, etc. It is to compensate for the value due to the intended movement by using the distance change amount and the angle change amount of the cleaning robot 1 calculated from the Edo motion command.

위치센서(212)는 청소 로봇(1)의 실제 움직임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옵티컬 플로우 센서의 경우에는 빛이 없는 상황이나 천장에 특징점이 거의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센서의 장착 위치로부터 옵티컬 플로우 센서로부터 읽어낸 위치 변화량을 청소 로봇(1)의 중심 좌표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이는 절대 위치를 알 수 있는 Localization 기법이나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법 등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이들로부터 추정된 위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청소 로봇(1)의 실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법으로부터 추정한 청소 로봇(1)의 실제 위치 계산값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얻어진 값의 경우도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LPF을 거친다.The position sensor 212 is for measuring the actual amount of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1, and the optical flow sensor can be used even when there is no light or when there is almost no feature point on the ceiling. The position change amount read from the optical flow sensor from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nsor is converted into the center coordinate of the cleaning robot 1 and used. This may include a case of using a location estimated from them when a localization technique that can know the absolute location or a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technique is operated. This is to use the calculated value of the actual position of the cleaning robot 1 estimated from a technique capable of measuring the actual position of the cleaning robot 1. In the case of the obtained value, LPF is also applied to remove noise.

또한, 위치센서(212)는 청소 로봇(1)의 실제 움직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며,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212 may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where the actual amount of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1 can be measured, and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또한, 제어부(220)는 입력부(200)의 모션 명령 및 센서부(210)의 센서 정보에 따라 청소 로봇(1)의 비직전성을 판단하고, 제 3 구동부를 이용하여 비직진성을 보상토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e non-directivity of the cleaning robot 1 according to the motion command of the input unit 200 and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210, and compensates the non-linearity by using the third driving unit. .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입력부(200)의 모션 명령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이동할 거리의 변화량(L1)을 추정하는 제1거리 계산부(221)와, 엔코더(211)의 측정값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이동한 거리의 변화량(L2)을 계산하는 제2거리 계산부(222)와, 위치센서(212)의 센서 정보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이동한 거리의 변화량(L3)을 계산하는 제3거리 계산부(223)와, 위치센서의 정보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이동한 각도의 변화량(G2)을 계산하는 각도 계산부(22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20 calculates the first distance calculation unit 221 that estimates the change amount L1 of the distance the cleaning robot 1 will move according to the motion command of the input unit 200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encoder 211. The second distance calculation unit 222 that calculates the change amount L2 of the distance the cleaning robot 1 has moved,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distance the cleaning robot 1 has moved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212 ( A third distance calculation unit 223 that calculates L3) and an angle calculation unit 225 that calculates a change amount G2 of the angle at which the cleaning robot 1 has moved according to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 sensor.

청소부(230)는 제어부(220)의 구동 명령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주행하는 청소 영역의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닦아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브러시를 구동시킨다.The cleaning unit 230 drives the brush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by wip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in which the cleaning robot 1 travels according to a driving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20.

저장부(240)는 청소 로봇(1)의 청소 명령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행 패턴 및 주행 경로와, 청소 로봇(1)의 주행과정에서 검출된 센서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40 stores a driving pattern and a travel path set in advance according to a cleaning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1, and sensor information detected during a driving process of the cleaning robot 1.

또한, 저장부(240)는 청소 영역의 맵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40 may store map information of the cleaning area.

이하,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nd effects of a cleaning robo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본 발명의 로봇의 주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입력부(200)를 통해 청소 로봇(1)의 모션 명령을 입력하면(300), 제어부(220)는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모션 명령을 수신하여 청소 로봇(1)이 이동할 거리의 변화량(L1)을 제1거리 계산부(221)를 통해 추정한다.Looking at the driving control method of th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a motion command of the cleaning robot 1 through the input unit 200 (300), 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the motion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0. Upon receiving, the amount of change L1 of the distance the cleaning robot 1 will move is estimated through the first distance calculation unit 221.

그리고, 제어부(220)는 모션 명령에 따라 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40)를 회전시켜 청소로봇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청소 로봇(1)이 미리 설정된 주행 패턴으로 이동하면서 바닥 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rotates the drive motors 14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 motion command so that the cleaning robot 1 rotates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forward or reverse) of the cleaning robot. It allows you to drive on the floor while moving in the set driving pattern.

이와 같이, 모션 명령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모터(140)의 이동량(구동모터의 이동 거리 및 이동 각도)을 엔코더(211)에서 측정하여 제어부(220)에 전달한다.In this way, the movement amount (moving distance and movement angle of the driving motor) of the driving motor 140 rotating according to the motion command is measured by the encoder 211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20.

이때에, 청소 로봇(1)이 실제 움직인 거리를 위치센서(212)에서 측정하여 제어부(220)에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distance actually moved by the cleaning robot 1 is measured by the position sensor 212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20.

따라서, 제어부(220)는 엔코더(211)의 측정값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이동한 거리의 변화량(L2)을 제2거리 계산부(222)를 통해 계산하고(310), 위치센서(212)의 센서 정보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이동한 거리의 변화량(L3)을 제3거리 계산부(223)를 통해 계산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20 calculates the change amount L2 of the distance the cleaning robot 1 has mov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encoder 211 through the second distance calculation unit 222 (310), and the position sensor (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of 212), the amount of change L3 in the distance the cleaning robot 1 has moved is calculated through the third distance calculating unit 223.

그리고, 위치센서(212)의 센서 정보를 통해 계산된 거리 변화량(L3)과 엔코더(211) 측정값에 따라 계산된 거리 변화량(L2) 및 모션 명령에 따라 추정된 거리 변화량(L1)을 비교 분석하고, 이어서, 제어부(220)는 엔코더(211)의 측정값에 따라 청소 로봇(1)이 이동한 각도의 변화량(G1)을 각도 계산부(224)를 통해 계산하여 청소로봇이 비직진성 운동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tance change amount L3 calculated through sensor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212, the distance change amount L2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encoder 211, and the distance change amount L1 estimated according to the motion command. Then, the control unit 220 calculates the change amount G1 of the angle at which the cleaning robot 1 has mov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encoder 211 through the angle calculation unit 224 so that the cleaning robot performs a non-linear motion. Find out if you are doing it.

판단결과, 비직진성 운동을 하고 있으면, 제 3 구동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움직임을 보조하여 직진성 운동을 유지시킨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non-linear movement is being performed, the third driving unit is drive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assist the movement to maintain the linear movement.

한편, 본 발명은 물통(101) 내부에 이온수 공급수단(2100)을 구비하여 이온수를 공급함으로서 세척효율을 높이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by providing the ion water supply means (2100) in the water tank 101 to supply the ionized water.

즉, 이온수는 유해물질 분해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이온수를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서 바닥면의 세척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That is, ion water is known to have excellent decomposition power of harmful substances, and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floor by using such ionized water as washing water.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은 물의 이온에너지를 상승시키기 위해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The ion water supply means is provided with the following technical configu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ion energy of water.

즉, 본 발명은 배관(2101)에 구비되며, 수전 밸브를 열면 수압에 의해 이동자석(2110)이 이동하여 리드스위치(2150)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켜 전자기장이 발생하도록 전원 스위칭회로를 구비한 이온수 공급수단(2100)이 구비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pipe 2101, and when the power receiving valve is opened, the moving magnet 2110 moves by water pressure to selectively switch the reed switch 2150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supply ionized water having a power switching circuit. Means 2100 ar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배관(2101)을 통해 물이 통과되고, 코일(2130)이 감기는 보빈(Bobbin)(212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bbin 2120 through which water passes through the pipe 2101 and the coil 2130 is woun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빈(2120)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전류를 흘리면 자속을 발생하고, 전자 유도나 전자력의 작용을 촉진시키는 코일(Coil)(213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2120, generates magnetic flux when current is passed, and a coil 2130 for promot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or an action of an electromagnetic force is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코일(Coil)(2130)에 연결되며, 전자기장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면서 반파직류를 만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diode)(217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il (Coil) (2130), an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ode (diode) 2170 for generating half-wave direct current while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코일(Coil)(2130)에 연결되며, 교류(AC) 전기를 공급해 주는 전원(2160)과 전기회로를 개폐시키는 리드스위치(2150)가 포함된 수압의 스위칭 작동에 의해 물의 이온에너지를 상승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il (Coil) 2130, the water ion by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water pressure including a power supply 2160 that supplies AC (AC) electricity and a reed switch 2150 that opens and closes the electric circuit. It provides a device that increases energy.

상기한 본원발명은 먼저, 수전제품의 밸브(도면상 미 도시함)를 열면 수압에 의하여 배관(2101) 내부에 구비된 이동자석(2110)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In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a valve (not shown in the drawing) of a power receiving product is opened, the moving magnet 2110 provided in the pipe 2101 is moved forward by water pressure.

이때 상기 이동자석(2110)이 전방으로 이동하기 전에는 리드스위치(2150)는 자장의 작용이 없기 때문에 작동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before the moving magnet 2110 moves forward, the reed switch 2150 does not operate because there is no action of the magnetic field.

즉, 수전제품의 밸브를 닫으면 탄성구(2115)의 반발력에 의하여 이동자석(2110)이 후퇴하여 리드스위치(2150)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리드스위치(2150)는 접합부위가 벌어지게 됨으로 코일(2130)에 인가되는 전원(2160)이 차단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valve of the power receiving product is closed, the moving magnet 2110 is retracted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ball 2115 and is moved away from the reed switch 2150, so that the reed switch 2150 has a joint portion open, so the coil 2130 The power 2160 applied to is cut off.

그러다가 이동자석(2110)이 상기와 같이 수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근접한 리드스위치(2150)는 자장에 의하여 상호 접촉하여 작동하게 된다.Then, when the moving magnet 2110 is moved forward by the hydraulic pressure as described above, the adjacent reed switches 2150 are operated by contacting each other by the magnetic field.

이때 수압은 이동자석(21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동자석(2110)의 구멍 또는 요홈을 통해 물을 통과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pressure moves the moving magnet 2110 forward and passes water through the hole or groove of the moving magnet 2110.

그리고 상기 이동자석(2110)의 이동에 의해서는 탄성구(2115)가 압축되고,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전방걸림턱(2102)과 후방걸림턱(2103)의 사이에서 이동자석(2110)이 이탈 없이 이동하게 된다.An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magnet 2110, the elastic ball 2115 is compressed, and the moving magnet 2110 is mov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locking jaws 2102 and 2103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Will move.

상기와 같이 리드스위치(2150)의 작동에 의해서는 전원(2160)이 코일(2130)에 인가되어 반파 자장이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by the operation of the reed switch 2150, the power 2160 is applied to the coil 2130 to generate a half-wave magnetic field.

그리고 코일(2130)에 연결된 다이오드(2170)는 전자기장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반파직류를 만들게 된다.Further, the diode 2170 connected to the coil 2130 creates a half-wave DC current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induced electromotive force.

특히 본원발명에 적용된 이동자석(2110)은 물이 압력을 유지시키면서 흐르도록 외부각형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 수는 2개 이상 다수로 구성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moving magnet 21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n outer shape so that water flows while maintaining pressure, and the number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그리고 이동자석(2110)의 보호 외피는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부식 및 외부의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shell of the moving magnet 2110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to protect it from corrosion and external substances.

아울러 본원발명은 직류 반파를 발생시키는 코일(2130)의 이상 유무와 전원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전원표시램프(219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wer display lamp 2190 for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coil 2130 generating half-wave DC and the connection of power.

더하여 본원발명은 코일(2130)에 작동표시램프(2195)를 연결하여 리드스위치(2150)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reed switch 2150 can be confirmed by connecting the operation indicator lamp 2195 to the coil 2130.

한편, 본 발명은 이온수를 고르게 섞기 위해서 칸막이를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by further installing a partition in order to evenly mix the ionized water.

즉, 본 발명은 배관의 외측에 보빈과 코일이 존재하여 상기 배관을 통과하는 물에 자력을 제공하여 이온수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바, 코일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이온수가 많이 존재하고, 코일에서 먼 부분은 이온수가 적게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bobbin and a coil exist on the outside of the pipe to provide magnetic force to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ipe to induce ion water to be formed. The closer the part to the coil, the more ion water exists, and the part far from the co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little ion water.

다시말해서 코일이 배관을 둘러싼 형태이므로 코일에 가까운 배관의 가장자리부분은 이온수가 많이 존재하나, 배관의 중심축은 이온수가 비교적 적게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il surrounds the pipe, there is a lot of ion water at the edge of the pipe close to the coil, but the central axis of the pipe has relatively little ion wat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관의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상기 칸막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물이 고르게 섞이면서 이온수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유도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 partition to be installed inside the pipe so that water is evenly mixed and ion water is evenly distribu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즉, 가장자리가 홀이 형성되어 오픈된 제 1 칸막이(2141)와 중앙이 홀이 형성되어 오픈된 제 2 칸막이(2142)를 구비하고 이들을 적당한 갯수만큼 순차 배열토록하여 물이 배관을 통과할때 제 1 칸막이(2141)의 가장자리홀을 통과하도록하고, 상기 제 1 칸막이(2141)를 통과한 물은 다시 제 2 칸막이(2142)의 중앙홀을 통과하도록하여 배관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물과 배관의 중심축에 존재하는 물이 마구마구 섞이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온수의 분포가 고르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a first partition 2141 opened with a hole formed at the edge and a second partition 2142 opened with a hole formed at the center are arranged in order to prevent water from passing through the pipe. 1 Pass through the edge hole of the partition 2141, an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partition 2141 passes through the central hole of the second partition 2142 again, so that the water existing at the edge of the pipe and the center of the pipe The water present on the shaft was made to mix wildly, and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of ionized water was kept even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이온수가 고르게 섞인 상태로 출력되기 때문에 고른 분포의 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since the ionized water is output in an evenly mixed state, the advantage of using an evenly distributed ionized water is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은 이온수를 고르게 섞기 위해서 다른 구조의 칸막이를 제공할 수 있는바, 하부에 홀을 형성하여 오픈된 제 3 칸막이(2143)와, 상부에 홀을 형성하여 오픈된 제 4 칸막이(2144)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칸막이(2143)와 제 4 칸막이(2144)를 순차적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artition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in order to evenly mix ion water, a third partition 2143 opened by forming a hole in the lower portion, and a fourth partition 2144 opened by forming a hole in the upper portion. ), and a plurality of the third partitions 2143 and the fourth partitions 2144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configured.

이에 따라 제 3 칸막이(2143)를 물이 지나갈때 하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물이 지나가고 상기 제 3 칸막이(2143)를 통과한 물은 제 4 칸막이(2144)의 상부홀을 통해 지나간다.Accordingly, when water passes through the third partition 2143, water passes through the hole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partition 2143 passes through the upper hole of the fourth partition 2144.

이때, 상기 배관의 외부에는 코일이 감겨있어서 자력을 제공하며, 상기 코일로부터 제공된 자력에 의해서 배관 내부에 이온수가 생성되고, 생성된 이온수는 칸막이를 통과하는 물이 고르게 섞이면서 이온수가 고르게 섞인 상태로 출력된다.At this time, a coil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pipe to provide magnetic force, and ion water is generated inside the pipe by the magnetic force provided from the coil, and the generated ion water is output in a state wher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is evenly mixed and the ionized water is evenly mixed. do.

따라서, 사용자는 이온수가 고르게 섞인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can use water evenly mixed with ionized water.

한편, 본 발명은 향기 도포수단을 더 부가하는바, 장치가 움직이면 청소공간에 향기가 발산되어 은은한 향이 지속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dds a fragrance application means, so that when the device is moved, the fragrance is emitted to the cleaning space so that a subtle fragrance is maintained.

향기 약액 도포장치(1100)는 하우징(1110)과, 배터리(1120)와, 회전모터(1130)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과, 향기 약물 도포기(1160)와, 약액 저장수단(1170)과, 도포기 임시고정수단(1180)으로 이루어진다.The fragrance chemical application device 1100 includes a housing 1110, a battery 1120, a rotation motor 1130, an up and down drive cylinder 1140, an elastic spring 1150 for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and a fragrance drug applicator. It consists of (1160), a chemical liquid storage means (1170), and an applicator temporary fixing means (1180).

상기 하우징(11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The housing 1110 has a space therein, and is formed by embedding various devices. That is, the housing is configured by bonding two cases with one side open to each other, and various devices are installed in a space por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onding the cases. Such a housing is generally of a structure similar to the means having a space therein.

상기 배터리(1120)는 하우징(1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The battery 112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10 and serves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device after charging electricity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battery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o receive electricity, and temporarily stores the supplied power to supply electricity to various devices that require power.

상기 회전모터(1130)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축을 자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축(1131)은 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굴곡진 파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이다. 즉, 상기 회전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모터축의 저면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는 형태이다.The rotary motor 1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and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and converts it into a mechanical rotational motion to freely rotate the motor shaft. At this time, the motor shaft 1131 has a shape in which a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 waveform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curved waveform shape continuously rotates. That is, the rotary motor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tor shaft is formed in a curved waveform to rotate.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상기 회전모터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회전모터의 회전을 왕복 수직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유동된다. 이때,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은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파형형태로 이루어져 회전모터의 모터축의 파형과 상호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승하강 동작을 한다. 즉, 상하 구동 실린더는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모터의 모터축과 동일하게 회전축이 굴곡진 파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회전모터가 회전하면 상하 구동 실린더는 승하강 동작을 하게 된다.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but is moved while moving up and down by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motor into a reciprocating vertical mo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1141 of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has an upper surface in a shape of a waveform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oves up and down while repeating mutual coupling and separation with the waveform of the motor shaft of the rotary motor. In other words,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rved waveform in the same way as the motor shaft of the rotating motor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otor, and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moves up and down when the rotating motor rotates Will do.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1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탄발지지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은 상하 구동 실린더(11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회전모터(130)가 회전시에 회전모터의 모터축(1131)의 파형과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회전축(1141)의 파형이 엇걸리면서 상하 구동 실린더가 하강하고, 엇걸림이 끝난후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1150)에 의해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상승하면서 회전축(1141)의 파형과 회전모터(1130)의 모터축(1131)의 파형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 실린더(1140)는 회전모터(1130)에 근접하고 이격되는 것이 반복되어 회전모터(1130)를 중심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elastic spring 1150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but one side is fixed to the locking jaw inside the housing 111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locking jaw of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can maintain the lifting operation. That is, since the elastic spring 1150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supports the elasticity of continuously pushing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upward, the waveform of the motor shaft 1131 of the rotary motor and the The vertical drive cylinder descends as the waveforms of the rotation shaft 1141 of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are staggered, and after the staggering is over,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rises by the elastic spring 1150 for lifting and lowering support. The waveform of 1141 and the waveform of the motor shaft 1131 of the rotary motor 1130 are in close contact. Accordingly,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is repeatedly close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rotary motor 1130, so that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continuously moves vertically around the rotary motor 1130.

상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몸체 실린더 형상이고 저면에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향기 약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내부에 저장되는 향기 약물을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하며, 이때 향기 약물 도포기(1160)는 상하 구동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작동시에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타격되어 관성의 법칙에 따라 외부로 약물을 출력하게 된다.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has a body cylinder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scent drug passage holes 1161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up and down driving cylinder 1140, and supplies a scent drug Plays a role. That is,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allows the scent drug stored therein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cent drug passage hole 1161, in which case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Therefore, when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is operated up and down,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is hit to output the drug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law of inertia.

상기 향기 약액 저장수단(1170)은 내부에 향기 약물을 수납한 상태이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삽입설치되어 향기 약물 도포기(1160)의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향기 약액 저장수단(1170)은 약물을 저정한 상태이며, 하부가 오픈된 형태로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며,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구동시에 향기 약액 저장수단의 향기 약물이 외부로 출력되게 된다. 실제로 향기 약물 통과용 홀(1161)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구동 실린더(1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The scent drug storage means 1170 is a state in which the scent drug is housed therein, and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to be output through the scent drug passage hole 1161 of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 That is, the fragrance chemical storage means 1170 is in a state in which the drug is stored, and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in an open form, and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chemical storage means when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is driven. The drug is output to the outside. In fact, since the scent drug passage hole 1161 is formed finely, it is not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upper and lower driving cylinders 1140 are not operated.

상기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1180)은 일측은 향기 약물 도포기(116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1110)의 일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110)을 기준으로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동시에 임시 고정하여 상하 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승하강으로 유동하면서도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막으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할 경우 버튼을 눌러서 하우징을 기준으로 향기 약물 도포기의 고정을 해제시켜 향기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탈거되도록 한다. 즉, 향기 약물 도포기 임시 고정수단은 상하 구동 실린더 및 향기 약물 도포기를 임시로 고정하여 동작시에 향기 약물 도포기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향기 약물 도포기 내부에 존재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한 다음에는 버튼을 눌러 향기 약물 도포기를 해제후 향기 약액 저장수단을 재수납시키도록 유도한다. The scent drug applicator temporary fixing means 118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1110, and a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based on the housing 1110 and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is temporarily fixe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up and down driving cylinder 1140 and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from falling down due to gravity while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flows up and down. And, when replacing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by pressing a button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based on the housing so that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and removed to the bottom. That is, the scent drug applicator temporary fixing means prevents the scent drug applicator from being removed during operation by temporarily fixing the up and down driving cylinders and the scent drug applicator, and after all the drugs present in the scent drug applicator are used, the button After releasing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by pressing, the fragrance chemical storage means is induced to re-store.

상기 임시고정수단(1180)은 걸림용 후크(1181)와, 연결편(1182)과, 회전 지지용 힌지(1183)와, 지지용 스프링(1184)과,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푸시버튼(1186)으로 이루어진다.The temporary fixing means 1180 includes a hook for locking 1181, a connecting piece 1182, a hinge for rotation support 1183, a spring for support 1184, a sliding piece 1185, and a push button 1186).

상기 걸림용 후크(1181)는 끝단이 날카로운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결합홀(1140a) 및 약물 도포기(1160)의 결합홀(1160a)을 통해 강제 끼움 결합되어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내주연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The hook for hook 1181 is formed in a wedge shape with a sharp end and is forcibly fit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140a of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and the coupling hole 1160a of the drug applicator 1160 to apply fragrance drugs. The machine 1160 maintains a state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상기 연결편(1182)은 걸림용 후크(1181)에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한다.The connecting piece 118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cking hook 1181 in a diagonal direction, and induces the locking hook 1181 to mov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a rotational motion.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1183)는 연결편(1182)과 걸림용 후크(1181)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편이 회전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The rotation support hinge 1183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1182 and the hook 1181 for locking, and serves as a central axis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ece is rotated.

상기 지지용 스프링(1184)은 연결편(1182)과 상하구동 실린더(1140)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편을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용 후크(118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유동되어 약물 도포기가 상하구동 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며, 외부의 힘에 의해서 연결편이 눌러져서 상하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압착되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한다.The support spring 1184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1182 and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to push the connecting piece outward so that the locking hook 1181 flows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drug applicator is coupled to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It functions to maintain the state, and when the connecting piece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nd compressed in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direction, the hook for locking (1181) is separated from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and the scent drug applicator (1160). Induces the applicator 1160 to be removed from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은 연결편(1182)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하구동 실린더(1140)의 상하 유동에 따라 걸림용 후크(1181) 및 연결편(1182)이 상하로 움직일때 동시에 움직인다.The sliding flow piece 1185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iece 1182 and moves simultaneously when the hook for locking 1181 and the connecting piece 1182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flow of the up and down driving cylinder 1140.

상기 푸시버튼(1186)은 상기 슬라이딩 유동편(1185)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동편(1185)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며, 향기 약물 도포기(1160)를 교체시에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방향으로 푸시하여 연결편(1182)을 누름으로서 연결편(1182)이 회전지지용 힌지핀(11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용 후크(1181)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 및 향기 약물 도포기(1160)로부터 분리되면서 향기 약물 도포기(1160)가 상하구동 실린더(1140)로부터 탈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The push button (1186) is slidingly coupled with the sliding flow piece (1185) to suppor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ing flow piece (1185), and when replacing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in the vertical drive cylinder (1140) direction By pushing and pressing the connecting piece 1182, the connecting piece 1182 rotates around the hinge pin 1183 for rotation support, so that the hook for locking 1181 is moved up and down from the cylinder 1140 and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As it is separated, it serves to induce the fragrance drug applicator 1160 to be removed from the vertical driving cylinder 1140.

100: 로봇 청소기 10: 본체
20 : 범퍼 110: 제1 회전 부재
120: 제2 회전 부재 130: 감지부
140: 통신부 150: 구동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180: 입력부 185: 출력부
190 : 전원 공급부
100: robot vacuum cleaner 10: main body
20 bumper 110 first rotating member
120: second rotation member 130: sensing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driving unit
160: storage unit 170: control unit
180: input unit 185: output unit
190: power supply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로봇 청소기를 구동하면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 및 제 3 회전부재에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 본체의 전후진 또는 일정각도로 이동 준비를 하는 단계와;
제 1 회전부재 및 제 2 회전부재의 작동에 따라 청소기 본체의 전후진 또는 일정각도 이동하면서 청소를 하는 단계와;
제 1 회전부재와 제 2 회전부재의 작동에 따라 청소기 본체가 움직일때 비직진성으로 요동치면서 움직이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직진성이 확인되면 제 3 회전부재를 구동하여 청소기 본체의 방향성을 보정함으로서 청소기 본체의 직진성을 유지시키는 단계와;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고, 습식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각각 고정 가능한 제1, 제2, 제3 회전 부재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주행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청소 주행 패턴에 따라 제1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1 주행 단계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인 제2 측면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진 주행하는 제2 주행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주행하도록 상기 제1, 제2, 제3 회전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모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모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모션 명령에 의해 생성된 제 1구동부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제1엔코더와;
상기 제2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모션 명령에 의해 생성된 제 2구동부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제2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엔코더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한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위치센서의 센서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한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계산된 상기 로봇 청소기의 각도와 상기 측정된 상기 로봇 청소기의 각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움직임의 비직진성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
When the robot cleaner is driv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rotation member, the second rotation member, and the third rotation member to prepare the cleaner body to move forward or backward or at a predetermined angle;
Cleaning the cleaner body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or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members;
Checking whether the cleaner body moves while oscillating non-linearly when the cleaner body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members;
If non-linearity is confirmed in the step, driving the third rotating member to correct the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to maintain the straightness of the cleaner body;
And outputting an alarm sound if the dust exceeds the standard;

Main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al movements are rotated arou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al axes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to provide a moving force source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and the cleaners for wet cleaning can be fixed respectively. 2, a third rotation member;
A first driving step of determining a cleaning driving pattern of the robot cleaner, rotating in a first lateral direction and driving forwar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leaning driving pattern, and rotating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driving forwar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rota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members to travel while sequentially repeating the second driving step;
An alarm signal output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o output an alarm sound when the dust exceeds the standar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motion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A position sensor that measures a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that moves according to the input motion command;
A first encoder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ng member to measure a movement amount of the first driving unit generated by a motion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A second encoder installed on the second rotating member to measure a movement amount of the second driving unit generated by a motion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The control unit,
Calculate the angle at which the robot cleaner moves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measure the angle at which the robot cleaner moves according to sensor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and measure the calculated angle of the robot cleaner And a non-linearity of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by using the measured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and the robot clea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엔코더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제1시간(t1) 동안 이동한 제1 및 제2엔코더 변화량(A1t1, A2t1)을 계산하고, 상기 위치센서의 센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 로봇이 이동한 위치값의 변화량(B)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및 제2엔코더 변화량(A1t1, A2t1)과 상기 계산된 위치값의 변화량(B)을 이용하여 상기 청소 로봇 움직임의 비직선성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Calculate the first and second encoder changes (A1t1, A2t1) that the cleaning robot moved during the first time (t1)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encoders, and accor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position sensor, the Calculate the change amount (B) of the position value that the cleaning robot moved, and use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encoder change amount (A1t1, A2t1) and the calculated change amount (B) of the position value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robot.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the non-linear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28493A 2019-01-02 2019-03-13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Expired - Fee Related KR1021461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0157 2019-01-02
KR1020190000157 2019-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277A KR20200084277A (en) 2020-07-10
KR102146137B1 true KR102146137B1 (en) 2020-08-20

Family

ID=7160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2146137B1 (en) 2019-01-02 2019-03-13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1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0862B (en) * 2021-05-28 2022-03-22 中国矿业大学 A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 detection of air particles based on Raman spectroscopy
CN116122208B (en) * 2023-02-21 2023-10-13 天津工大智行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ion system of sweeper by utilizing high-temperature steam
CN117451186B (en) * 2023-12-21 2024-03-01 常州潞城传感器有限公司 Integrated monochromatic infrared thermometer
CN118313535B (en) * 2024-06-06 2024-08-13 欣鸿昌科技(深圳)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cleaning platfor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882A (en) * 2001-08-28 2003-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0548894B1 (en) 2003-07-29 2006-02-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with direction function
US20070186958A1 (en) 2006-02-10 2007-08-16 Tennant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sparged cleaning liquid onboard a mobile surface cleaner
KR101578887B1 (en) * 2014-09-05 2015-12-21 에브리봇 주식회사 Wet cleaning apparatus,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85896A (en) * 2017-12-21 2018-06-22 罗积川 Cleaner and its controlling of path thereof
KR101982836B1 (en) 2018-04-23 2019-07-01 주식회사 오이코스 Apparatus for skin ca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282A (en) * 1996-08-27 1998-03-03 Sharp Corp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10078935A (en) * 2001-05-22 2001-08-22 조은진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with spray apparatus and its perfume spray method
KR20030066870A (en) * 2002-02-05 2003-08-14 주식회사 동양과학 Change valve for ion water producer
KR100497622B1 (en) * 2002-07-25 2005-07-01 김주하 Wet mop cleaner
KR20060032333A (en) * 2004-10-12 2006-04-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Slip detection device of robot cleaner and slip detection method using same
KR101119118B1 (en) * 2009-12-18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iltering device
KR20160015926A (en) * 2014-08-01 2016-02-15 신정호 Fruit tree growth management system using ionic water combined with electromagnetic fiel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882A (en) * 2001-08-28 2003-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0548894B1 (en) 2003-07-29 2006-02-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with direction function
US20070186958A1 (en) 2006-02-10 2007-08-16 Tennant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sparged cleaning liquid onboard a mobile surface cleaner
KR101578887B1 (en) * 2014-09-05 2015-12-21 에브리봇 주식회사 Wet cleaning apparatus,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85896A (en) * 2017-12-21 2018-06-22 罗积川 Cleaner and its controlling of path thereof
KR101982836B1 (en) 2018-04-23 2019-07-01 주식회사 오이코스 Apparatus for skin c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277A (en) 2020-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137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EP3437537B1 (en) Autonomous floor cleaning system
CN110623606B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83536B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leaning robot charging system
EP3185096B1 (en) A charging pile,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the charging pile, and an autonomous cleaning device
CN109124489B (en) System with at least two cleaning devices
US10244916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leaning thereof
KR101772084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137837B2 (en) Operation method of housework device capable of running independently
KR101974870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CN110495821A (en) A cleaning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Biswas et al. The 1,000-km challenge: Insights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CN110507253A (en) A cleaning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CN111714027A (en) autonomous cleaner
CN117122247A (en) Intelligent cleaning equipment
KR101640408B1 (en) Cleaner
KR102146135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2146136B1 (en) A robot clean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100876691B1 (en) Vacuum cleaner char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9419455A (en) Ground processing equipment with motor-driven floor treatment element
CN210931181U (en) Cleaning robot
JP7134075B2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CN117368889A (en) Work area detection device, cleaning robot, and work area detection method
CN117990143A (en) Self-propelled robot and sensor dirt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14601373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robot, cleaning robo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8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