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156B1 - Potable auido apparatus for saving power and method saving power thereof - Google Patents
Potable auido apparatus for saving power and method saving power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7156B1 KR102077156B1 KR1020140040112A KR20140040112A KR102077156B1 KR 102077156 B1 KR102077156 B1 KR 102077156B1 KR 1020140040112 A KR1020140040112 A KR 1020140040112A KR 20140040112 A KR20140040112 A KR 20140040112A KR 102077156 B1 KR102077156 B1 KR 1020771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 signal
- amplifier
- outputting
- signa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밸런스 오디오 케이블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밸런스 방식으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 포트, 언밸런스 방식으로 접지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포트, 디지털 음원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밸런스 방식에 대응하는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컨버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부,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제2 증폭부, 제1 증폭부에서 인가되는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분기하여 밸런스 포트 및 제2 증폭부로 전달하는 스위치부 및 밸런스 포트 및 이어폰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제1 및 제2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We unveil balanced audio cables for portable audio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anced port for outputting a 4-pole analog signal in a balanced manner, an earphone port for outputting a ground signal and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al sound source, and receiving the received digital signal.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4-polar analog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balanced method,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4-polar analog signals, and converting 4-polar analog signals into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to the earphone port. Determine whether or not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witch unit,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for outputting the second amplifying unit and the four-pole analog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amplifying unit to the balanced port and the second amplify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activating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ccording to the resul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오디오 기기 및 이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런스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udio device and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audio device capable of balanced output.
사용자들의 고음질 음악 감상 요구에 대응하여 오디오 시스템의 고품질 음원 재생 성능은 계속 발전해 왔다. 기존의 오디오 시스템에서 고품질 음원 재생 성능은 주로 대형 오디오 시스템에서만 제공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의해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성능 또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휴대용 오디오 기기들은 기본적으로 사용자들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저전력을 소비하고 소형으로 구현되어야 한다는 제약을 갖는다. 따라서 휴대용 오디오 기기들은 대부분 이어폰(Earphone)이나 헤드셋(Headset)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며, 스피커(Speaker)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는 별도의 장치로 구분되는 경우가 많다.In response to users' demands for listening to high quality music, the performance of high quality sound reproduction of audio system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 traditional audio systems, high-quality sound reproduction could only be provided in large audio systems. However, due to advances in technology, the performance of portable audio devices has also been dramatically improved. Portable audio devices are basically limited to low power consumption and small size so that users can listen to music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herefore, portable audio devices are mostly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listening to music using earphones or headsets, and sound output devices such as speakers are often classified into separate devices.
한편 기존의 휴대용 오디오 기기는 기본적으로 언밸런스(Unbalanced)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포트만을 구비하였으나, 최근에는 밸런스(Balanced)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포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밸런스 방식은 노이즈의 영향을 크게 받는 언밸런스 방식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신호 전송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ortable audio device basically has only a port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but recently, a port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balanced manner is often additionally provided. The balanced method is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the unbalanced method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noise.
휴대용 오디오 기기가 언밸런스 방식의 포트뿐만 아니라 밸런스 방식 포트를 함께 구비하는 것은 밸런스 방식이 언밸런스 방식에 비해 진보된 신호 전송 방식이지만, 신호를 전송 받는 이어폰이나 헤드셋은 현재까지 대부분 언밸런스 방식만을 지원하므로, 밸런스 방식을 지원하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는 범용성을 위해 2가지 방식에 대한 포트를 모두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o unbalanced ports as well as unbalanced ports, portable audio devices have balanced signals as compared to unbalanced ones, but most earphones and headsets that receive signals only support unbalanced methods. Portable audio devices that support the scheme generally have ports for both schemes for versatility.
하지만 밸런스 방식과 언밸런스 방식에서 전송하는 신호가 서로 상이하므로, 2가지 방식을 모두 제공하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는 2개의 포트로 각각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실제 사용자는 2개 중 하나의 포트에만, 이어폰이나 헤드셋과 같은 음향 출력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불필요하게 신호를 증폭하여 전력이 낭비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signals transmitted in the balanced and unbalanced metho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ortable audio devices providing both methods amplify and output the signals through two ports. However, the actual user connects to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n earphone or a headset only to one of two ports, and thus amplifies the signal unnecessarily, thereby wasting power.
한국 등록특허 제1290961호(등록일 2013.07.23)에는 하나의 음악 재생을 마친 후 새로운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사이의 무음 구간을 이용하여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음악을 계속 재생시킬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여 다음 곡의 재생 여부에 따라 시스템 동작 여부를 제어하여 배터리 소모 전력을 줄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음악 재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결정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복수개의 포트를 구비하는 오디오 기기에 대한 기술과는 무관하다.Korean Patent No. 1290961 (Registration Date 2013.07.23) confirms to the user whether to continue playing music 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alarm sound using a silent section between playing a new music file after finishing playing one music. There is disclosed a technology for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whether to play the next song, but this is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the user to play music, the technology for an audio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orts and Is irrelevant.
본 발명의 목적은 언밸런스 포트와 밸런스 포트 중 단자가 삽입되는 하나의 포트로만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audio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to only one port into which an unbalanced port and a balanced port are inser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audio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기기는 밸런스 방식으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 포트; 언밸런스 방식으로 접지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포트; 디지털 음원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밸런스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컨버터;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부;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제2 증폭부; 상기 제1 증폭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제2 증폭부로 전달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balance port for outputting a 4-polar analog signal in a balanced manner; An earphone port for outputting a ground signal and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A DA converter which receives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al sound source,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signal into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balance scheme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our-polar analog signal; A second amplifier converting the 4-polar analog signal into the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earphone port; A switch unit for branching the 4-polar analog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amplifier unit and transferring the analog signal to the balance port and the second amplifier uni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and activating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nclud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삽입되면, 상기 제1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and when the at least one port is inserted, activates the first amplifi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제2 증폭부를 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activate the second amplifying unit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2 증폭부로와 상기 밸런스 포트로 중 하나로 선택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unit selectively transmits the 4-polar analog signal to one of the second amplifier and the balance port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of the controller. It is done.
상기 제1 증폭부는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는 2개의 제1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mplifying unit may include two first amplifiers each amplifying two signals paired with each other among the four polar analog signals.
상기 제2 증폭부는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를 인가받고, 인가된 2개씩의 신호들의 차를 증폭하여, 2개의 상기 음원 신호를 상기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2개의 제2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amplifier receives two signals paired with each other among the four polar analog signals, amplif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and outputs the two sound source signals to the earphone po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amplifiers.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은 밸런스 방식으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밸런스 포트, 언밸런스 방식으로 접지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포트, DA 컨버터, 제1 증폭부, 스위치부, 제2 증폭부 및 제어부; 를 구비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에 있어서, 상기 DA 컨버터가 디지털 음원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밸런스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삽입되면, 상기 제1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제1 증폭부가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증폭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제2 증폭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 삽입되면, 상기 제2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증폭부가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audio device in which a balanced port outputs a 4-pole analog signal in a balanced manner, and a ground signal and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An earphone port, a DA converter, a first amplifier, a switch, a second amplifier, and a controller;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audio device comprising: receiving, by the DA converter,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al sound source, converting the received digital signal into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balance scheme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step;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terminal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and activating the first amplifier if at least one port is inserted;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4-polar analog signal by the activated first amplifier; Branching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amplifier by the switch unit and transferring the analog signal to the balance port and the second amplifier;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and activating the second amplifier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And converting, by the second amplifier,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into the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earphone port. It includes.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may include amplifying and outputting two signals paired with each other among the quadrupole analog signals.
상기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단계는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를 인가받는단계; 및 인가된 상기 2개씩의 신호들의 차를 증폭하여, 2개의 상기 음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ting to the earphone port may include receiving two signals, which are paired with each other, among four analog signals; And ampl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applied to generate two sound source signals.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부의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2 증폭부로와 상기 밸런스 포트로 중 하나로 선택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tting may include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4-polar analog signal to the second amplifier and the balance port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of the controller of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따라서, 본 발명의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 및 이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은 밸런스 포트와 언밸런스 포트 중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 단자를 삽입한 포트를 인지하고, 단자가 삽입된 포트로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포트로는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절감한다. 그러므로, 배터리로 구동되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사용 시간을 증가 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ortable audio device and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lanced port and the unbalanced port to recognize the port in which the user inserted the terminal to use the earphone, only the port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t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and does not output the signal to the remaining port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fore, the usage time of the battery powered portable audio device can be increased.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다.
도2 는 언밸런스 방식에서의 음원 신호와 밸런스 방식에서의 음원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다.
도3 은 밸런스 방식의 노이즈 제거 방법을 나타낸다.
도4 는 도1 의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5 는 도1 의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1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for comparing a sound source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with a sound source signal in a balanced manner.
Fig. 3 shows a noise removing method of the balance method.
4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of FIG.
FIG. 5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group",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n combination.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고, 도2 는 도1 의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of FIG.
도1 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10)의 외형 중 특히 포트를 구성을 도시하였으며,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10)는 이어폰 포트(EP), 밸런스 이어폰 포트(BP) 및 전원 포트(PP)를 구비한다.FIG. 1 illustrates a port configuration amo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이어폰 포트(EP)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용 오디오 장치(10)가 대부분 지원하는 모노(Mono) 또는 스테레오(Stereo) 이어폰이나 헤드셋의 단자가 연결되는 포트로서 언밸런스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포트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어폰이 헤드셋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arphone port EP is a port to which a terminal of a mono or stereo earphone or a headset that most of the
휴대용 오디오 장치(10)의 이어폰 포트(EP)에는 일반적으로 3.5 φ 또는 2.5 φ 직경을 가지는 2극 내지 4극 단자 이어폰 단자가 삽입된다. 2극 단자를 갖는 이어폰은 모노 이어폰으로 하나의 음원 신호(S)와 접지 신호(GND)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원 신호(S)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3극 단자를 갖는 이어폰은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대한 2개의 음원 신호(SL, SR)와 접지 신호(GND)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양측 귀에 서로 다른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4극 단자를 갖는 이어폰은 3극 단자 이어폰의 신호에 마이크나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가 추가되는 구조를 갖는다. 드물게 노이즈 캔슬링을 위해 5극 단자를 갖는 이어폰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어폰 단자의 극성 수에 따른 각 신호의 배치는 현재 표준(Standard)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각 제조 업체별로 서로 상이하다.In the earphone port EP of the
그리고 휴대용 오디오 장치(10)에서 이어폰 포트(EP)는 지정된 이어폰의 단자에 대응하여 포트의 극성 수와 각 신호의 배치가 결정된다. 즉 포트와 이어폰의 극성 수가 매치되어야 정상적으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어폰들은 극성의 수와 무관하게 음원 신호를 수신하여 소리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접지 신호(GND)가 반드시 포함된다. 이는 일반적인 이어폰이 접지 신호(GND)와 하나의 음원 신호(S, SL, SR)의 변화를 이용하여 소리 신호를 재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하나의 음원 신호를 파지티브(+) 음원 신호라 한다.I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 신호인 접지 신호(GND)와 파지티브(+) 음원 신호(S, SL, SR)를 전송하는 방식을 언밸런스 방식이라 하며,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다. 언밸런스 방식은 전송 거리에 따른 노이즈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1~1.5m 이내의 거리에서 이용되는 신호 전송 방식이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ground signal GND and the positive (+) sound source signals S, SL, and SR, which are reference signals, is called an unbalanced method and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The unbalanced method is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at is typically used within a distance of 1 ~ 1.5m because of the large influence of noise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distance.
한편 밸런스 포트(BP)는 밸런스 방식으로 고음질의 음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밸런스드 아마추어 (Balanced Armature : 이하 BA) 이어폰의 단자가 삽입되는 포트이다. BA 이어폰은 밸런스 방식을 사용하는 이어폰으로서, 밸런스 방식은 노이즈의 영향을 크게 받는 언밸런스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신호 전송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 balanced port BP is a port into which a terminal of a balanced armature earphone (BA) is inserted to transmit a high-quality sound signal in a balanced manner. The BA earphone is a balanced earphone. The balanced earphone is a signal transmission scheme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the unbalanced scheme,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noise.
도1 에서는 밸런스 포트(BP)와 이어폰 포트(EP)가 동일한 크기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밸런스 포트(BP)와 이어폰 포트(EP)가 동일한 크기로 구현되면, 사용자의 실수 또는 착오로 인해 단자를 잘못된 포트로 삽입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밸런스 포트(BP)와 이어폰 포트(EP)의 크기를 서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밸런스 포트(BP)는 직경 2.5 φ로 구현되고, 이어폰 포트(EP)는 직경 3.5 φ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밸런스 포트(BP)와 이어폰 포트(EP)의 크기가 서로 다르면, 사용자가 착오로 각 단자를 잘못된 포트에 삽입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In FIG. 1, the balance port BP and the earphone port EP are shown to be the same size. However, if the balance port BP and the earphone port EP are implemented in the same size, the terminal may be inserted into the wrong port due to a user's mistake or error.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sizes of the balance port BP and the earphone port EP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balance port BP may be implemented with a diameter of 2.5 φ, and the earphone port EP may be implemented with a diameter of 3.5 φ. If the size of the balance port BP and the earphone port EP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ossibility of a user incorrectly inserting each terminal into the wrong port can be greatly reduced.
도2 는 언밸런스 방식에서의 음원 신호와 밸런스 방식에서의 음원 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일예를 나타내고, 도3 은 밸런스 방식의 노이즈 제거 방법을 나타낸다.2 shows an example for comparing a sound source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with a sound source signal in a balanced manner, and FIG. 3 shows a noise removal method of a balanced manner.
도2 에서 (a)는 언밸런스 방식을 나타내고, (b)는 밸런스 방식을 나타낸다. 도2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대부분의 이어폰에 사용되는 언밸런스 방식은 기준 신호로서 접지 신호(GND)와 파지티브(+) 음원 신호만을 전송한다. 그러나 (b)에 도시된 밸런스 방식은 파지티브(+) 음원 신호와 기준 신호인 접지 신호(GND)뿐만 아니라 파지티브(+) 음원 신호에 대해 역상 신호인 네거티브(-) 음원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방식이다.In FIG. 2, (a) shows an unbalanced scheme, and (b) shows a balanced scheme. As shown in (a) of FIG. 2, the unbalanced scheme used in most existing earphones transmits only the ground signal GND and the positive (+) sound source signal as reference signals. However, the balance method shown in (b) transmits not only the positive (+) source signal and the ground signal (GND), which is a reference signal, but also the negative (-) source signal, which is a reverse phase signal, to the positive (+) source signal. That's the way.
이렇게 파지티브(+) 음원 신호와 네거티브(-) 음원 신호를 한 쌍으로 전송하는 밸런스 방식에서는 신호 전송 시에 노이즈가 유입되면, 유입된 노이즈는 파지티브(+) 음원 신호와 네거티브(-) 음원 신호에 공통적으로 반영되게 된다. 따라서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방식의 신호를 수신한 장치가 파지티브(+) 음원 신호에서 네거티브(-) 음원 신호를 차감하면, 두 음원 신호에 공통으로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고, 신호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노이즈에 강인한 음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balanced method, in which a positive (+) sound source signal and a negative (-) sound source signal are transmitted in pairs, when noise is introduced during signal transmission, the introduced noise is positive (+) sound source signal and negative (-) sound source. It is reflected in the signal in common. 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apparatus receiving the balanced signal subtracts the negative (−) sound signal from the positive (+) sound source signal, the noise signal commonly included in the two sound source signals is removed, and the signal Can increase the size. That is, the sound source signal that is robust against noise can be transmitted.
BA 이어폰은 밸런스 방식을 사용하지만, 접지 신호(GND)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BA 이어폰이 신호 레벨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이 파지티브(+) 음원 신호와 네거티브(-) 음원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음향을 재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하는 BA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라이트 네거티브 음원 신호(R-), 라이트 파지티브 음원 신호(R+), 레프트 파지티브 음원 신호(L+) 및 레프트 네거티브 음원 신호(L-)의 4극성으로 구성된다.BA earphones are balanced but do not require a ground signal (GND). This is because the BA earphone reproduces soun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sound source signal and the negative sound source signal without having to match the signal level. Therefore, BA earphones that reproduce stereo sound are generally quadrupoles of the light negative sound source signal (R-), the light positive sound source signal (R +), the left positive sound source signal (L +), and the left negative sound source signal (L-). It is composed.
그리고 밸런스 포트(BP)는 BA 이어폰의 단자에 대응하는 4극성으로 구성된다.And the balance port BP is comprised with four polaritie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of BA earphone.
전원 포트(PP)는 파워 케이블이 삽입되어 휴대용 오디오 기기(10)에 공급할 전력을 수신한다. 전원 포트(PP)의 형태 또한 삽입될 파워 케이블의 단자 형태에 대응하여 구성되며, 마이크로 USB 포트가 현재 많이 쓰이는 단자이다.The power port PP receives a power to insert the power cable to supply the
도4 는 도1 의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audio device of FIG.
도4 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오디오 장치(10)에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의 구성을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4 에서 휴대용 오디오 장치(10)는 DA 컨버터(DAC)와 제1 증폭부(Amp1), 스위치부(SW), 제2 증폭부(Amp2) 및 제어부(CON)를 포함한다.In FIG.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from the
DA컨버터(DAC)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현대의 오디오 장치는 거의 대부분 디지털 음원을 소스(source) 신호로 사용하며, 디지털 음원은 이어폰이나 헤드폰 및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에 DA컨버터(DAC)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DA 컨버터(DAC)의 이전단에 디지털 음원을 저장하는 저장부, 디지털 음원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변환부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였다.The DA converter DAC receives a digital signal,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Most modern audio devices use digital sound sources as source signals, which must be converted to analog signals so that sound output devices such as earphones, headphones, and speakers can output sound. The DA converter DAC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he portable audio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digital sound source at a previous stage of the DA converter (DAC), a digital signal converter for generating a digital signal from the digital sound source, and a filter unit for removing noise. As described above, it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 발명의 DA 컨버터(DAC)는 밸런스 포트(BP)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여 라이트 네거티브 음원 신호(R-), 라이트 파지티브 음원 신호(R+), 레프트 파지티브 음원 신호(L+) 및 레프트 네거티브 음원 신호(L-)의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DA 컨버터(DAC)는 접지 신호(GND)를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 포트(BP)만을 구비하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서는 BA 이어폰이 4극성의 신호(L+, L-, R+, R-)를 수신하므로 접지 신호(GND)가 필요하지 않으나, 이어폰 포트(EP)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접지 신호(GND)는 반드시 필요하므로 DA 컨버터(DAC)가 접지 신호(GND)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 converter (DAC)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digital signal to outpu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lance port (BP), so that the light negative sound source signal R-, the light positive sound source signal R +, and the left positive Assume that a 4-pole analog signal of the sound source signal L + and the left negative sound source signal L- is output. The DA converter DAC may output the ground signal GND together with the 4-pol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In addition, in a portable audio device having only a balanced port BP, since the BA earphone receives signals of four polarities L +, L-, R +, and R-, the ground signal GND is not require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signal, the ground signal GND is absolutely necessary, so the DA converter DAC may output the ground signal GND.
일반적으로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서 DA 컨버터(DAC)는 이어폰 포트(EP)로 스테레오의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대한 2개의 음원 신호(SL, SR)와 접지 신호(GN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밸런스 포트(BP)를 구비하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서는 밸런스 포트(BP)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해야 하며, 이어폰 포트(EP)를 위한 신호(SL, SR, GND)와 밸런스 포트(BP)를 위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는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어폰 포트(EP)를 위한 DA 컨버터와 밸런스 포트(BP)를 위한 DA 컨버터(DAC)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은 소형으로 저전력을 소비해야 하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특성을 볼 때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오디오 기기(10)가 밸런스 포트(BP)를 위한 DA 컨버터(DAC)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는 밸런스 방식이 노이즈에 강하고, 밸런스 방식으로 생성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2개의 음원 신호(SL, SR)로 변환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어폰 포트(EP)를 위한 DA 컨버터만을 구비하고, DA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2개의 음원 신호(SL, SR)를 밸런스 포트(BP)에 대응하도록 변환할 수도 있다.In general, in a portable audio device, the DA converter (DAC)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two sound source signals (SL, SR) and a ground signal (GND)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o transmit stereo analog signals to the earphone port (EP). Convert to and print it out. However, in a portable audio device having a balance port BP, a four-pole analog signal must be output to the balance port BP, and the signals SL, SR, and GND for the earphone port EP and the balance port BP are used. The quadrupole analog signals (L +, L-, R +, R-) are interchangeable. Therefore, having a separate DA converter for the earphone port EP and a DA converter for the balance port BP is not suitabl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a portable audio device that requires small power consum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제어부(CON)는 이어폰 포트(EP) 및 밸런스 포트(BP) 각각에 대응하는 단자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이어폰 포트(EP) 및 밸런스 포트(BP)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면, 제1 제어 신호(C1)를 제1 증폭부(Amp1)로 전송하여 제1 증폭부(Amp1)를 활성화한다. 또한 제어부(CON)는 이어폰 포트(EP) 및 밸런스 포트(BP) 중 밸런스 포트(BP)에만 단자가 삽입되면, 제2 제어신호(C2)를 제2 증폭부(Amp2)로 전송하여, 제2 증폭부(Amp2)를 비활성화한다. 제어부(CON)는 이어폰 포트(EP) 및 밸런스 포트(BP) 각각에 단자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포트에 별도로 구비되는 물리적 스위치(미도시)나 센서(미도시)등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포트 삽입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스위치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The controller CON determines whether a termina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arphone port EP and the balance port BP is inserted, and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earphone port EP and the balance port BP, The first control signal C1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mplifier Amp1 to activate the first amplifier Amp1. In addition, when a terminal is inserted only in the balance port BP among the earphone port EP and the balance port BP, the control unit CON transmits the second control signal C2 to the second amplifying unit Amp2, thereby providing a second terminal. Deactivate the amplifier Amp2. The controller CON may determine whether a terminal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earphone port EP and the balance port BP by using a physical switch (not shown) or a sensor (not shown) separately provided in the port. Since a switch or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 is inserte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herein.
제1 증폭부(Amp1)는 제어부(CON)에서 인가되는 제1 제어 신호(C1)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DA 컨버터(DAC)에서 출력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1 증폭부(Amp1)는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L+, L-), (R+, R-))을 각각 증폭하는 2개의 증폭기를 포함하고, 2개의 증폭기는 제1 제어 신호(C1)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고, 인가된 신호들을 증폭한다. 즉 제1 증폭부(Amp1)는 제1 제어 신호(C1)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므로, 이어폰 포트(EP) 및 밸런스 포트(BP)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지 않으면, 비활성화되어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즉 2개의 증폭기가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다.The first amplifier Amp1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C1 applied from the controller CON, and the 4-pol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output from the DA converter DAC. Amplify and output-). The first amplifier Amp1 receives two signals (L +, L-), (R +, and R-) paired with each other among the four polar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Two amplifiers each amplifying, the two amplifiers being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C1 and amplifying the applied signals. That is, since the first amplifier Amp1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C1, when the terminal is not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earphone port EP and the balance port BP, the first amplifier Amp1 is deactivated to consume power. I never do that. The two amplifiers are not powered.
한편 스위치부(SW)는 제1 증폭부(Amp1)에서 증폭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인가받아 밸런스 포트(BP)와 제2 증폭부(Amp2)로 분기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스위치부(SW)는 아날로그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순히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분기하여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밸런스 포트(BP)나 이어폰 포트(EP)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자가 삽입되면, 단자가 삽입된 포트에 따라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나 밸런스 포트(BP)와 제2 증폭부(Amp2) 중 하나로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위치부(SW)는 제어부(CON)에서 전송되는 스위칭 신호(SS)에 응답하여, 밸런스 포트(BP)와 제2 증폭부(Amp2) 중 하나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CON)는 밸런스 포트(BP)나 이어폰 포트(EP) 중 하나의 포트로 단자가 삽입되면, 단자가 삽입된 포트에 따라 스위칭 신호(SS)를 스위칭부(SW)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부(SW)는 스위칭 신호(SS)에 응답하여, 밸런스 포트(BP)에 단자가 삽입된 경우에 밸런스 포트(BP)로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전송하고, 이어폰 포트(EP)에 단자가 삽입된 경우에 제2 증폭기(Amp2)로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SW receives the 4-pol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er Amp1 to the balance port BP and the second amplifier Amp2. Branch and transmit. The switch unit SW may be implemented as an analog switch, and not only branches and transmits four-pol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but also a balance port BP or an earphone port ( EP)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terminal is insert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only one of the four-pole analog signals L +, L-, R +, R- or the balance port BP and the second amplifier Amp2 according to the port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It may be. At this time, the switch unit SW is one of the balance port BP and the second amplifier Amp2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S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CON, and the 4-pole analog signals L +, L-, and R +. , R-). To this end,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one of the balance port BP and the earphone port EP, the controller CON may output the switching signal SS to the switching unit SW according to the port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have. The switch unit SW transmits th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to the balance port BP when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port BP in response to the switching signal SS.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EP, th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amplifier Amp2.
제2 증폭부(Amp2)는 제2 제어 신호(C2)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DA 컨버터(DAC)에서 출력된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를 이어폰 포트(EP)에 대응하는 2개의 음원 신호(SL, SR)로 변환한다. 제2 증폭부(Amp2) 또한 제1 증폭부(Amp1)와 유사하게 2개의 증폭기를 구비하고, 2개의 증폭기 각각은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L+, L-, R+, R-)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L+, L-), (R+, R-))를 인가받아 증폭한다. 다만, 제2 증폭부(Amp2)의 2개의 증폭기는 입력된 2개씩의 신호들((L+, L-), (R+, R-))의 신호를 증폭하는 것이 아니라, 두 신호 사이의 차를 증폭하여, 2개의 음원 신호(SL, SR)를 출력한다. 제2 증폭부(Amp2) 또한 제2 제어 신호(C2)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므로, 이어폰 포트(EP)에만 단자가 삽입되지 않으면 비활성화되어 전력 소비를 절감한다.The second amplifying unit Amp2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C2 to output the quadrupol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output from the DA converter DAC to the earphone port EP. Is converted into two sound source signals SL and SR corresponding to the " The second amplifier Amp2 also has two amplifiers similar to the first amplifier Amp1, each of which has a pair of four-pole analog signals L +, L-, R +, and R-. Two signals (L +, L-) and (R +, R-) are applied and amplified. However, the two amplifiers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do not amplify the signals of the two input signals (L +, L-, and (R +, R-)), but do not ampl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It amplifies and outputs two sound source signals SL and SR. Since the second amplifier Amp2 is also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C2, if the terminal is not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EP only, the second amplifier Amp2 is inactivat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에서는 제어부(CON)가 제1 및 제2 증폭부(Amp1, Amp2) 각각으로 제1 및 제2 제어 신호(C1, C2)를 인가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CON)는 제1 및 제2 증폭부(Amp1, Amp2)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여 제1 및 제2 증폭부(Amp1, Amp2)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roller CON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C1 and C2 by apply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C1 and C2 to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mp1 and Amp2,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mp1 and Amp2 may be activated or deactivated by applying or blocking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amplifiers Amp1 and Amp2.
상기에서는 접지 신호(GND)가 DA 컨버터(DAC)로부터 제1 증폭부(Amp1), 스위치부(SW) 및 제2 증폭부(Amp2)를 통해 이어폰 포트(EP)로 전달 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접지 신호(GND)는 접지 전원으로서 이어폰 포트(EP)로 곧바로 인가되어도 무방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ground signal GND is transmitted from the DA converter DAC to the earphone port EP through the first amplifier Amp1, the switch SW, and the second amplifier Amp2. The signal GND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earphone port EP as a ground power source.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을 나타낸다.5 illustrates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 를 참조하여 도5 의 휴대용 오디오 기기(10)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휴대용 오디오 기기는 사용자 명령이 인가되면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음원을 재생한다(S10). 여기서 음원은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기저장될 수도 있으며, 외부의 장치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송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음원을 재생한다는 것은 디지털 신호인 음원을 DA 컨버터(DAC)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그리고 휴대용 오디오 기기(10)의 제어부(CON)는 밸런스 포트(BP)나 이어폰 포트(EP)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로 단자가 삽입되는지 판별한다(S20). 제어부(CON)는 밸런스 포트(BP)나 이어폰 포트(EP)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로 단자가 삽입되면, 제1 제어 신호(C1)을 제1 증폭부(Amp1)로 출력하여 제1 증폭부(Amp2)를 활성화한다(S30). 그리고 이어폰 포트(EP)로 단자가 삽입되었는지 판별한다(S40). 만일 이어폰 포트(EP)로 단자가 삽입된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CON)는 제2 제어 신호(C2)를 제2 증폭부(Amp2)로 출력하여 제2 증폭부(Amp2)를 활성화한다(S50). 그리고 사용자 명령으로 종료 명령이 인가되는지 판별한다. 만일 종료 명령이 인가되지 않으면, 음원을 계속 재생한다(S10).The control unit C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언밸런스 방식으로 접지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포트;
디지털 음원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밸런스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컨버터;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증폭부;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제2 증폭부;
상기 제1 증폭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제2 증폭부로 전달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2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A balance port for outputting a 4-polar analog signal in a balanced manner;
An earphone port for outputting a ground signal and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A DA converter which receives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al sound source,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signal into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lance scheme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A first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our-polar analog signal;
A second amplifier converting the 4-polar analog signal into the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earphone port;
A switch unit for branching the 4-polar analog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amplifier unit and transferring the analog signal to the balance port and the second amplifier uni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and activating the first amplifier and the second amplifier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Portable audio device comprising a.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삽입되면, 상기 제1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and when the at least one port is inserted, activate the first amplifier.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제2 증폭부를 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activating the second amplifier.
상기 제어부의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2 증폭부와 상기 밸런스 포트 중 하나로 선택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 unit
Portable audio,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4-polar analog signal to the second amplifier and the balance por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of the controller. Device.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는 2개의 제1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And two first amplifiers each amplifying two signals paired with each other among the four polar analog signals.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을 인가받고, 인가된 2개씩의 신호들의 차를 증폭하여, 2개의 상기 음원 신호를 상기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2개의 제2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amplification unit
Two second amplifiers receiving paired signals from each of the four polar analog signals, amplify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pplied two signals, and outputting the two sound source signals to the earphone port; Portable audio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DA 컨버터가 디지털 음원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밸런스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삽입되면, 상기 제1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제1 증폭부가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증폭부에서 인가되는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제2 증폭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이어폰 포트에 상기 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제2 증폭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증폭부가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폰 포트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A balanced port for outputting a 4-polar analog signal in a balanced manner, an earphone port for outputting a ground signal and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in an unbalanced manner, a DA converter, a first amplifier, a switch, a second amplifier, and a controller; In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of a portable audio device comprising:
Receiving, by the DA converter,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al sound source, converting the received digital signal into the 4-polar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alance method and outputting the digital signal;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terminal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and activating the first amplifier if at least one port is inserted;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quadrature analog signal by the activated first amplifier;
Branching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applied by the first amplifying unit to the balance port and the second amplifying unit;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and activating the second amplifier if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port; And
Converting, by the second amplifier, the quadrupole analog signal into the at least one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earphone port;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audio device comprising a.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4-polar analog signal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two paired signals of the four polar analog signals, respectively.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 중 서로 쌍을 이루는 2개씩의 신호들을 인가받는 단계; 및
상기 인가된 상기 2개씩의 신호들의 차를 증폭하여, 2개의 상기 음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utputting to the earphone port
Receiving two signals paired with each other among the four polar analog signals; And
Ampl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pplied two signals to generate two sound source signals;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audio device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의 상기 밸런스 포트 및 상기 이어폰 포트에 단자가 삽입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4극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2 증폭부와 상기 밸런스 포트 중 하나로 선택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전력 소비 절감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aid delivering step
The switch unit selectively transmits the 4-polar analog signal to one of the second amplifier and the balance port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balance port and the earphone port of the controller. How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audio devic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40112A KR102077156B1 (en) | 2014-04-03 | 2014-04-03 | Potable auido apparatus for saving power and method saving power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40112A KR102077156B1 (en) | 2014-04-03 | 2014-04-03 | Potable auido apparatus for saving power and method saving power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15309A KR20150115309A (en) | 2015-10-14 |
| KR102077156B1 true KR102077156B1 (en) | 2020-02-13 |
Family
ID=543574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40112A Active KR102077156B1 (en) | 2014-04-03 | 2014-04-03 | Potable auido apparatus for saving power and method saving power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7715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6103005B2 (en) | 2015-09-01 | 2017-03-29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Music player |
| KR101725761B1 (en) * | 2016-06-28 | 2017-04-11 | 래드손(주) | Audio equipment and audio output port |
| JP6184625B2 (en) * | 2017-01-18 | 2017-08-23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Music player |
| KR102419141B1 (en) | 2021-04-16 | 2022-07-07 | (주)드림어스컴퍼니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Based on Hybrid |
| KR102388628B1 (en) * | 2021-05-21 | 2022-05-04 | (주)큐델릭스 | Audio apparatus for multi-output mode using digital crossover and audio system |
| KR102486450B1 (en) * | 2021-08-30 | 2023-01-06 | (주)드림어스컴퍼니 |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Sourc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3005291A (en) | 2011-06-17 | 2013-01-07 | Teac Corp | Balance/unbalance signal output circuit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78677B1 (en) * | 1996-08-26 | 1999-05-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utomatic adjusting circuit for audio-balance input level |
| KR101064979B1 (en) * | 2009-07-08 | 2011-09-15 | (주)심스뮤직 | Audio signal interface device |
| KR20130113571A (en) * | 2012-04-06 | 2013-10-16 | 전성훈 | Hybrid audio setting valu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
-
2014
- 2014-04-03 KR KR1020140040112A patent/KR1020771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3005291A (en) | 2011-06-17 | 2013-01-07 | Teac Corp | Balance/unbalance signal output circui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15309A (en) | 2015-10-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50215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 |
| KR102077156B1 (en) | Potable auido apparatus for saving power and method saving power thereof | |
| US779231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nabling subwoofer channel audio based on detection of subwoofer device | |
| US9002026B2 (en) | Headphone with speaker function | |
| TWI539830B (en) |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 |
| CN113411703B (en) | Audio playing method, earphone box, wireless earphone and earphone suite | |
| JP4569414B2 (en) | Audio output device | |
| JP5804274B2 (en) | Speaker system | |
| CN112511954A (en) | Stereo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 |
| JP2006157597A (en) | Sound equipment | |
| JP4915466B2 (en) | Audio output device | |
| CN213880236U (en) | Sound effect conversion device | |
| KR20150113552A (en) | Balanced audio cable for potable auido apparatus | |
| KR20020065404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amp output using a automatic load detecting in audio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 |
| KR200404811Y1 (en) | Car audio system and external amplifier having aux-input port | |
| KR920002607Y1 (en) | Multi-speaker headphone | |
| KR200295631Y1 (en) | earphone device | |
| KR200233581Y1 (en) | Portable multi-channel amplifier | |
| KR100551378B1 (en) | Digital receiver of optical disc player for headphone output | |
| KR20020064118A (en) | Ear phone capable of hearing at the same time | |
| KR100551381B1 (en) | Wireless Digital Receiver in Optical Disc Player for Headphone Output | |
| JP2003070099A (en) | Sound reproduction device | |
| KR19990017080U (en) | Earphone with microphone | |
| US20100114343A1 (en) | Audio processing system | |
| KR20060098847A (en) | Mobile terminal capable of multiple sound outpu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0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