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01852B1 -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 Google Patents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852B1
KR102001852B1 KR1020170079552A KR20170079552A KR102001852B1 KR 102001852 B1 KR102001852 B1 KR 102001852B1 KR 1020170079552 A KR1020170079552 A KR 1020170079552A KR 20170079552 A KR20170079552 A KR 20170079552A KR 102001852 B1 KR102001852 B1 KR 10200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image
processor
alveolar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0488A (en
Inventor
이정화
허경용
최훈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852B1/en
Publication of KR2019000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85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구강 내를 관찰하는 거울을 갖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으로, 거울 내부에 배치되어 구강 내를 촬영하여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구강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거울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인젝션;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구강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송신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가상 이미지로 상기 구강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ral monitoring alveo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having a mirror for observing the oral cavity, disposed in the mirror is a camera for acquiring the oral image by shooting in the oral cavity;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cquired oral image; An air injection for injecting air to the mirror sid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camera to provide an oral monitoring function,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oral image to the head mounted display, the virtual image on the head mounted display. 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oral cavity image.

Description

구강 모니터링 치경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Oral Monitoring Alveolar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본 발명은 구강 모니터링 치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강을 손쉽고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ral monitoring alveola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monitoring alveolar that can easily and precisely observe a user's mouth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환자의 입 안을 들여다보며 환자의 구강상태 및 충치 등을 확인하며 환자의 치아 치료를 수행하고, 이때 치아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환자가 입을 편안하게 벌린 상태에서 입 안 구석구석까지 세밀히 검사하기 위하여 치과용 치경이 개발되었다.In general, the dentist examines the patient's mouth, checks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tooth decay, and performs the dental treatment of the patient.At this time, the device is a device that checks the teeth from the comfort of the patient to every corner of the mouth. Dental alveolar was developed to.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치경은 치과의사 또는 제 3 자에 의한 사용을 통해 환자의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환자 등이 스스로 자가 진단을 할 경우 치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ental alveolar is configured to check the dental state of the patient through the use of a dentist or a third part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determine the state of the tooth when the patient is self-diagnosing itself.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은(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69794호), 치경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치경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 장치에서 모니터링하는 치아 모니터링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치아 모니터링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볼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치경에 반사되는 이미지와 동시에 관찰할 수 없으며, 이는 자가 치아 검사를 위함으로 제 3 자가 타인의 구강을 좀더 손쉽게 관찰하기 위한 기술과는 거리가 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rior Ar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9794) proposed a dental monitoring apparatus for installing a camera on an alveolar and monitoring an image taken from an alveolar with an external device. However, the tooth monitoring device of Prior Art 1 cannot be observed at the same time as the image reflected on the actual alveolar by allowing the captured image to be viewed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This is far from a technique for easy observation.

KR 10-2012-0069794 AKR 10-2012-0069794 A

본 발명은 타인의 구강을 손쉽고 정밀하게 관찰하도록 보조하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oral monitoring alveolar to assist in easily and precisely observing the oral cavity of others.

자세히, 본 발명은, 구강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타인의 구강을 손쉽고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detai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monitoring alveolar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nd precisely observe the oral cavity of another person by photographing the oral cavity and analyz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구강 내를 관찰하는 거울을 갖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으로, 거울 내부에 배치되어 구강 내를 촬영하여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구강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거울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인젝션;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구강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송신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가상 이미지로 상기 구강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ral monitoring alveo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having a mirror for observing the oral cavity, disposed in the mirror is a camera for acquiring the oral image by shooting in the oral cavity;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cquired oral image; An air injection for injecting air to the mirror sid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camera to provide an oral monitoring function,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oral image to the head mounted display, the virtual image on the head mounted display. 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oral cavity image.

이때, 글래스와, 상기 글래스에 상기 구강 영상을 수신하여 가상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강 영상을 상기 글래스의 일측 모서리의 분할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d mounted display including a glass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oral image on the glass and display the virtual image on the glass,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oral image in a divided area of one corner of the glass. Can be.

또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강 영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head mounted display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size of the divided area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for enlarging or reducing a partial area of the oral cavity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강 영상 내에서 구강 트러블에 대한 오브젝트를 검출하면, 상기 오브젝트를 기초로 구강 트러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 트러블 정보를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며,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강 트러블 정보를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detects an object for oral trouble in the oral cavity image, the processor acquires oral trouble information based on the object, transmits the oral trouble information to the head mounted display, and the head mounted display The oral troubl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강 영상의 탁도를 산출하고, 상기 탁도가 소정의 값 이하이면 상기 에어 인젝션을 동작시켜 상기 거울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calculate the turbidity of the oral cavity image, and when the turbidit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operate the air injection to remove moisture from the mirro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치열을 따라 촬영된 복수의 구강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구강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구강 영상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generate a panoramic oral image by synthesizing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and transmit the generated oral image to the head mounted display when receiving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taken along the teeth through the camera unit. Can b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에서 각각 치아와 잇몸 사이의 경계를 추출하여 수직에서의 합성 기준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에서 치아와 치아 사이의 경계를 구강 영상들 간 수평에서의 합성 기준으로 결정하여 상기 합성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extracts a boundary between a tooth and a gum from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respectively, and determines the boundary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may be synthesized based on the synthesis criteria by determining the synthesis criteria.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서 치아의 내측면, 상면 및 외측면을 촬영한 구강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을 통해 상기 치아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implement a 3D model of the tooth through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when the camera receives an oral image of the inside, the top, and the outside of the tooth.

또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LED의 순차 구동시키고, 상기 LED가 순차적으로 구동함에 따라서 촬영한 구강 영상을 기초로 포토메트릭스 스테레오(Photometric Stereo) 방식으로 상기 치아에 대한 3D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the processor may sequentially drive the LEDs, and the photometric stereo (based on the oral image taken as the LEDs are sequentially driven). Photometric Stereo) can implement a 3D model for the tooth.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를 관찰하는 거울을 갖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에서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거울에 배치된 카메라를 제어하여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구강 영상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구강 영상을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for providing an oral monitoring function in an oral monitoring alveolar having a mirror for observing an oral cavity, the method comprising: photographing an oral image by controlling a camera disposed in the mirror; Transmitting the oral cavity image to a head mounted display; And displaying the oral cavity image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on the head mounted display.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거울을 통해 구강 내측을 관찰하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구강 내측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므로써, 사용자는 상기 구강 모니터링 치경을 이용하여 타인의 구강을 손쉽고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Oral monitoring alveo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le assisting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rough the mirror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nd outputs the image taken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the user can use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to Easy and precise monitor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구강 모니터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바라본 시야에서 증강현실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향으로 촬영방향을 변경하며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8b는 도 8a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생성한 구강 파노라마 영상을 나타낸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향으로 촬영방향을 변경하며 구강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9b는 도 9a에서 촬영한 구강 영상을 2차원 구강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이고, 도 9c는 도 9a에서 촬영한 구강 영상을 3차원 구강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 이미지이다.
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oral monitoring alveola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monitoring alveola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sense of sensing the movement of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oral monitoring image is displayed in a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displayed in a field of view viewed through a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oral cavity image is taken by changing the shooting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llustrates the oral panorama image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image taken in FIG. 8A.
9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oral cavity image is taken while chang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n image displaying the oral cavity image captured in FIG. 9A as a 2D oral cavity image. 9C is an image of the oral image taken in FIG. 9A as a 3D oral imag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ing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거울을 통해 구강 내측을 관찰하도록 보조함과 동시에 구강 내측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타인의 구강을 손쉽고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Oral monito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sists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rough a mirror, and 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nd outputs the image taken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precisely monitor the oral cavity of others Can help.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내부 구성에 대해 먼저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카메라(150), 센서부(160), 프로세서(170), 에어 인젝션(180) 및 조명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구강 모니터링 치경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memory 140, a camera 150, a sensor unit 160, and a processor 170. ), The air injection 180 and the lighting unit 190 may be included.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and thus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통신부(120)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하며 구강 영상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하고 표시하므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촬영된 구강 영상을 분석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서의 데이터 처리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프로세서(170)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포함된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서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프로세서(170)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서도 일부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는 실시예 또한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understood as directly including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since the oral cavity communicates wireless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transmits and displays the oral image to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Data processing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displaying the taken oral image is processed by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processor 170 and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of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Although the processor 170 of the monitoring alveolar performs data processing, an embodiment in which some data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is also possible.

다시 내부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again,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for sensing a user's input.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실행 입력이나,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각종 기능에 대한 설정, 실행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detect an execution input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a setting, execution input, etc. for various functions of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예를 들어 (optical sensor) 등),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 센서(touch sensor),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gesture input unit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a user gesture, a touch input unit (for example, a touch sensor, a touch key, and a push) for detecting a touch. And at least one of a microphone for sensing a voice key) and a voice input, to detect a user input.

또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2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자세히, 통신부(120)는, 촬영한 구강 영상이나 구강 정보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표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mmunicator 120 may transmit the captured oral image or the oral cavity information to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and display it on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또한, 통신부(12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송신한 구강 정보에 대한 피드백이나 제어신호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or 120 may receive feedback or control signals for oral cavi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이러한 통신부(120)는, 하기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에 따라 구축된 네트워크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following communication scheme (for exampl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 A wireless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network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WiBro (Wireless Broadband) 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한,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 receive a wireless sig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 Local area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Fi- 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technologies.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안경(glasses) 타입의 글라스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빛을 투과하는 글라스(G)와, 글라스(G)에 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안경과 같이 글라스(G)를 통해 외부를 관찰시킴과 동시에 글라스(G)에 표시되는 가상 이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증강현실(AR)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glasses type glass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virtual image on glass G and glass G that transmit light.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210. 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while observing the outside through the glass (G) like the glasses, and outputs a virtual image displayed on the glass (G), the augmented reality (AR) to the user Can provide.

자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얼굴(머리)에 착용가능한 안경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글래스 프레임과, 글래스 프레임 양측 단부를 형성하고 사용자의 귀에 접촉하게 되는 지지부와, 빛을 투과하는 글라스(G)와, 글라스(G)에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3, the head mounted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formed in the form of glasses wearable on a user's face (head), and includes a glass frame forming a main body, and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glass frame. It may include a suppo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ar, glass (G) for transmitting light,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a virtual image on the glass (G).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안경으로서 보다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사용자의 얼굴에서 코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양쪽 눈 앞에 위치하는 안경알이 글래스 프레임에 더 결합될 수 있다. The head mounted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for supporting the nose area at the user's face for more robust support as the glasses, although not shown, eyeglasses positioned in front of both eyes of the user are further coupled to the glass frame. Can be.

사용자는 이러한 구조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착용하면, 글라스(G)를 통해 외부를 관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에 따라서 글라스(G)에 표시되는 다양한 이미지, 텍스트 등의 멀티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having such a structure, the user can observe the outside through the glass G,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enjoy multimedia such as various images and texts displayed on the glass G according to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have.

한편,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30 that receives data or transmits a signal processed or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to the outside.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30)는, 유/무선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제외한 단말기 디스플레이로 구강 정보나 구강 영상을 송출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terface unit 130 may control to transmit and display the oral cavity information or the oral cavity image to the terminal display except for the head mounted display 200 by wire / wireless.

자세히,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30)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140)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강 모니터링 치경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3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the interface unit 130 may serve as a passage with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Th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140 card card,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port) for connecting,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in response to an externa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30,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may be performed.

또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may include a memory 140 that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자세히, 메모리(140)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In detail, the memory 14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data for operating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and instructions.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구강 모니터링 치경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70)에 의하여 상기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0 and installed on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and may be driven by the processor 17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또한, 실시예에서 메모리(140)는, 이전 모니터링하였던 사람의 구강 정보, 구강 영상을 저장해두어 추후 증강현실 구현시 이전 저장했던 정보를 추가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the memory 140 may store oral information and oral image of a person who has been previously monitored to displa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when augmented reality is implemented later as an additional image.

또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고, 메모리(14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140 may be hardware, and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and the like, and the memory 140 store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40 on the Internet. It may also be web storage.

또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구강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150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자세히, 실시예에서, 카메라(150)는, 치경 주변 또는 치경 내부에 배치되어 치경이 빛을 반사하는 방향(예컨대, 치경 거울면의 법선 방향) 측을 촬영할 수 있다. In detail, in an embodiment, the camera 150 may be disposed around the alveolar or inside the alveolar to photograph a side in which the alveolar reflects light (eg, a normal direction of the alveolar mirror plane).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150)는, 치경의 거울부(M) 중앙에 배치되어 치경이 반사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촬영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치경의 촬영방향을 인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camera 15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mirror portion M of the alveolar and photographs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lveolar reflects, so that the user intuitively recognizes the direction of the alveolar. Can be arranged.

좀더 자세히, 치경은, 막대 형상을 갖는 손잡이부와, 헤드(head, H)에 배치된 거울부(M), 그리고 헤드와 손잡이부(M)를 연결하는 넥(neck, N)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울부(M)의 중앙에는 카메라(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150)의 상의 중앙 거울부(M)는 타 거울부(M)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높아 카메라(150)의 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lveolar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having a rod shape, a mirror portion M disposed on the head H, and a neck portion N connecting the head and the handle portion M to each other. have. The camera 15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irror portion M, and the central mirror portion M of the image of the camera 150 may have a relatively high light transmittance as compared to the other mirror portion M regions. ) Can assist the shooting.

예를 들어, 거울부(M)는, 유리와 유리 하면 상에 배치된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리의 중앙부에만 반사층이 형성되지 않거나 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광 투과율을 낮출 수 있다. For example, the mirror portion M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disposed on the glas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lass, and the reflective layer may not be formed only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lass, or may be formed relatively thinner than other regions to lower the light transmittance. .

이러한 카메라(15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amera 15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e camera 150 may proces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rocess the still image or the moving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fer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170.

또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may include a sensor unit 16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예를 들어, 센서부(16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손잡이부(M)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ravity sensor (G-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sensor. Including a sensor of the handle (M) can detect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자세히, 실시예에서, 센서부(160)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손잡이부(M)에 배치되어 손잡이부(M)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정보는 이후 구강 영상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In detail, 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160 may be disposed on the handle portion M of the oral cavity monitoring alveolar to detect a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M,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may then be analyzed in the oral image. Can be utilized.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손잡이부(M)에 배치된 센서부(160)로부터 손잡이부(M)의 상하좌우전후 움직임 정보(X, Y, Z)를 획득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M)의 움직임 정보를 치경 헤드의 움직임 정보(X', Y', Z')로 변환하여, 치경 헤드에 위치한 카메라(150)에서 촬영된 구강 영상을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the processor 170 obtains up, down, left, right, and forward movement information (X, Y, Z) of the handle part M from the sensor part 160 disposed in the handle part M. FIG. In additi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handle portion M may be converted into movement information (X ', Y', Z ') of the alveolar head and used to analyze the oral image taken by the camera 150 located in the alveolar head. have.

또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치경의 거울부(M)에 공기를 출사하는 에어 인젝션(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jection 180 that emits air to the mirror portion M of the alveolar.

자세히, 실시예에서, 에어 인젝션(180)은, 거울부(M)를 향해 공기를 출력하여 거울부(M)에 이물을 제거함으로써, 거울부(M)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고 카메라(150)의 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air injection 180 outputs air toward the mirror portion M to remove foreign matters from the mirror portion M, thereby improving the reflectance of the mirror portion M, and Can assist with shooting.

이러한 에어 인젝션(180)은, 손잡이부(M)나 넥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 출력 홀을 거울부(M)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The air injection 180 may be disposed on the handle portion M or the neck portion, and the air output hole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mirror portion M. FIG.

예컨대, 손잡이부(M)와 넥부 사이에 거울면을 바라보는 절곡면이 배치되고, 절곡면에 에어 인젝션(180)의 공기 출력 홀이 형성되어, 에어 인젝션(180)은 거울부(M) 측으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 bent surface facing the mirror surface is disposed between the handle portion M and the neck portion, and an air output hole of the air injection 180 is formed in the bent surface, such that the air injection 180 is toward the mirror portion M side. It can release air.

또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은, 구강 내부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unit 190 that emits light into the oral cavity.

실시예에서, 조명부(190)는, LED 조명으로 거울부(M)의 상면 법선방향 측으로 광을 방출하여 카메라(150)의 구강 내부 촬영을 도울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190 may emit light toward the upper surface normal direction of the mirror unit M with the LED lighting to help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amera 150.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거울부(M)를 둘러싸는 헤드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의 조명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헤드의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4개의 조명부(190)가 배치되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190 may be disposed along a circumference of a head surrounding the mirror unit M. Referring to FIG. In more detail, four lighting units 190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ead to irradiate light.

이때, 프로세서(170)는, 4개의 조명부(19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동작한 조명부(190)에 따라 촬영된 구강 영상을 통해 구강 내부 환경을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LED의 순차 구동 및 LED 구동에 동기하여 촬영함으로써, 포토메트릭스 스테레오(Photometric Stereo) 방식으로 구강 환경의 3D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may operate the four lighting units 190 sequentially, and may implement the oral cavity environment as a 3D image through the oral images photographed by the sequentially operating lighting unit 190. That is, the processor 170 may implement a 3D model of the oral environment in a photometric stereo manner by photographing synchronously driving the LED and driving the LED.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processor 17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and micro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controller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an electrical unit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프로세서(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the processor 1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The processor 17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40.

이하, 이와 같은 유닛들로 구성된 구강 모니터링 치경이 동작하여 각종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various oral monitoring functions by operating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composed of such uni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가 치경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를 관찰할 때, 치경의 카메라(150)가 동작하여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S101)First, when the user observes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rough the alveolar, the camera 150 of the alveolar may operate to photograph the oral cavity. (S101)

자세히, 실시예의 카메라(150)는 치경의 거울부(M) 중앙에 배치되어 거울부(M)의 반사 이미지와 동일한 방향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카메라(150)의 촬영방향을 인지하며 구강 내 관찰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amera 150 of the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mirror portion M of the alveolar to capture an imag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flection image of the mirror portion M, so that the user intuitively recognizes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150. And the area to be observed in the oral cavity can be taken.

이때, 조명부(190)는, 치경 카메라(150)의 촬영방향에 조명을 조사하여, 카메라(150)의 촬영을 보조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촬영된 구강 영상의 밝기를 판단하여 조명부(190)의 세기를 결정하여, 결정된 조명부(190) 세기에 따라서 조명부(190) 출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ighting unit 190 may assist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150 by irradiating illumination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alveolar camera 150. The processor 170 may determine the intensity of the lighting unit 190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f the captured oral image, and control the output amount of the lighting unit 19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intensity of the lighting unit 190.

구강을 촬영하여 구강 영상을 획득하면, 통신부(120)는, 상기 구강 영상을 송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oral cavity is photographed to obtain an oral image, the communicator 120 may control the oral cavity image to be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a display.

자세히, 디스플레이는, 구강 영상을 글라스(G)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글라스(G)를 통해 치경으로 구강 내를 관찰함과 동시에 글라스(G)에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구강 영상을 통해서 더욱 정밀하게 사용자의 구강을 관찰할 수 있다. (S102)In detail, the display displays the oral image on a portion of the glass G so that the user observes the oral cavity with the alveolar through the glass G and at the same time the oral image is displayed on the portion of the glass G. The mouth of the user can be observed more precisely. (S102)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는, 글라스(G)의 일측 모서리 측 영역 일부를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구강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구강 내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may divide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corner side of the glass G and display an oral image in the divided region to assist the user in accurately monitoring the oral cavity. .

이때,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구강 영상 표시 영역의 크기를 확대/축소하거나, 구강 영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축소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손쉽게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play may provide an interface function for easily monitoring a desired area by providing a function of enlarging / reducing the size of the oral image display area or enlarging / reducing a partial area of the oral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can do.

한편, 프로세서(170)는, 촬영된 구강 영상을 분석하여 구강 트러블을 검출할 수 있다. (S103)Meanwhile,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oral trouble by analyzing the captured oral image. (S103)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 저장된 구강 트러블들(예컨대, 충치, 구내염, 치아 수복제)의 특징을 저장하고, 구강 영상 내에 저장된 특징을 갖는 오브젝트가 검출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구강 트러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70 may store features of the stored oral troubles (eg, tooth decay, stomatitis, or dental restor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and if an object having the stored features is detected in the oral cavity image, the processor 170 may analyze the object. Oral troubl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좀더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한 후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하여,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cessor 170 may separate the background and the foreground by performing segmentation and clustering after performing image preprocessing. Thereafter,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the object from the foreground separated by the image segment. Next, the processor 170 may classify and verify the separated object. For example, processor 170, identification using neural network, support vector machine (SVM), identification by AdaBoost using Haar-like features, or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HOG), etc. Can be used.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획득한 구강 트러블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놓칠 수 있는 구강 트러블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S104)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transmit the acquired oral trouble information to the displa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oral trouble that the user may miss. (S104)

자세히, 디스플레이는, 해당 구강 트러블 오브젝트에 매칭되도록 구강 트러블 정보를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구강 트러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isplay may display the oral trouble information to the user by displaying the oral trouble information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so as to match the corresponding oral trouble object.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충치에 대한 구강 트러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는, 해당 충치를 하이라이트하며 충치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로 표시한 증강현실 이미지를 글래스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구강 트러블 정보를 알려주는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when receiving oral trouble information about tooth decay, the display may display an augmented reality image on the glass that highlights the tooth decay and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tooth decay on the glass, thereby providing the oral cavity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al monitoring function that informs trouble information.

또한, 디스플레이는, 동일한 환자의 이전 구강 모니터링시 촬영하였던 구강 영상 및 구강 트러블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추후 다시 구강 모니터링하였을 때, 이전 모니터링시 저장하였던 구강 영상/구강 트러블 정보를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하여 구강 진료를 보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stores the oral image and oral trouble information taken during the previous oral monitoring of the same patient in the memory 140, and when the oral monitoring later, oral image / oral trouble information stored during the previous monitoring augmented reality It can be displayed as an image to assist in oral care.

한편, 프로세서(170)는, 시간에 따라 촬영된 구강 영상들의 탁도(또는, 선명도)를 비교하여, 소정의 탁도 이하로 구강 영상이 촬영됨을 감지할 수 있다. (S105)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turbidity (or sharpness) of the oral images photographed according to time, and detect that the oral image is captured below a predetermined turbidity. (S105)

즉, 프로세서(170)는, 습한 구강 내에서 치경의 유리에 습기가 차는 것을 구강 영상의 선명도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that the moisture of the glass of the alveolar is filled in the wet oral cavity through the change in the sharpness of the oral cavity image.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소정의 탁도 이하로 구강 영상이 촬영될 경우, 자동으로 에어 인젝션(180)을 구동시켜 치경의 유리에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모니터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S108)When the oral cavity image is captured at a predetermined turbidity or less, the processor 170 may automatically drive the air injection 180 to remove moisture from the glass of the alveolar, thereby improving the oral cavity monitoring convenience of the user. (S108)

한편, 구강 내의 전체에 대해 건강 검진을 수행할 때, 치경의 거울만으로 구강 전체 영역을 꼼꼼하게 모니터링하기 어려울 수 있다. 구강 내 전반 영역을 일거에 모니터링하는 기능으로, 치경은, 파노라마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performing a health check for the entire oral cavity, it may be difficult to meticulously monitor the entire oral area only by the mirror of the alveolar. Alveolar can provide a panoramic oral monitoring function as a function of monitoring the entire area of the mouth.

자세히, 파노라마 구강 모니터링 기능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70)는, 치경의 이동(또는, 회전)에 따라서 카메라(150) 방향을 변경하여 구강 내를 순차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S107)In detail, when the panoramic mouth monitoring function is executed, the processor 170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amera 15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r rotation) of the alveolar to sequentially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mouth. (S107)

좀더 자세히,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파노라마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실행하고, 치아 내측에서 치열을 따라 치경의 카메라(150)를 이동시키며 복수의 치아들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50)는, 하악의 최외곽 치아에서 제 1 방향(d1)으로 회전 이동하며 타측 최외곽 치아를 촬영함으로써, 하악 측 전체 치아에 대한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8A, a user may execute a panoramic oral monitoring function, move the camera 150 of the alveolar along the dentition, and photograph a plurality of teeth. For example, the camera 150 may acquire an oral image of the entire mandibular tooth by photographing the other outermost tooth while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e lowermost tooth of the mandible.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순차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구강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구강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구강 내 복수의 영역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파노라마 구강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S108)The processor 170 may synthesize a plurality of oral images photographed sequentially, generate a panoramic oral image, and display the image on a display to provide a panoramic oral image that can confirm a plurality of regions in the oral cavity at a time. (S108)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구강 영상들을 분석하여 치아와 잇몸 사이의 경계를 검출하고, 복수의 구강 영상들이 경계가 일치하도록 합성하여, 구강 영상들 간의 싱크(sink) 기준을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70 may analyze the oral images to detect a boundary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synthesize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to match the boundary, and easily determine a sink criterion between the oral images.

또한, 프로세서(170)는, 구강 영상들 간의 합성 기준 경계를 치아와 치아 사이의 경계를 통해 손쉽게 결정하고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강 영상의 2번 과 3번 어금니 사이의 경계와, 제 2 구강 영상의 제 2 구강 영상의 2번과 3번 어금니 사이의 경계가 일치하도록 제 1 구강 영상과 제 2 구강 영상을 합성하여, 구강 영상들 간 정확한 위치 기준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easily determine and synthesize the synthesis reference boundary between the oral images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the tooth and the tooth. For example, the first oral cavity image and the second oral cavity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molars 2 and 3 of the first oral cavity image coincide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molars 2 and 3 of the second oral cavity image of the second oral cavity image. By synthesizing the images, it may be possible to accurately set the position reference between the oral images.

디스플레이는, 도 8b와 같이, 복수의 구강 영상(P1, P2, P3, P4)을 포함하는 파노라마 구강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복수의 구강 As shown in FIG. 8B, the display displays a panoramic oral image including a plurality of oral images P1, P2, P3, and P4, so that a user may view a plurality of oral cavity at a glance.

영역(예컨대, 하악 치아 내측 전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파노라마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 panoramic oral monitoring function may be provided to assist in identifying an area (eg, the entire interior of the mandibular tooth).

한편, 특정 치아나 치아들 사이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치경은, 3차원 모델로 구강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lveolar may provide a function of monitoring the oral cavity with a three-dimensional model in order to precisely monitor the specific teeth or between the teeth.

자세히, 3차원 구강 모니터링 기능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70)는, 치경의 이동에 따라서 변경된 카메라(150) 촬영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촬영된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S109)In detail, when the 3D oral cavity monitoring function is executed, the processor 170 may acquire oral images sequentially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150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lveolar. (S109)

예를 들어,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3차원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실행하고, 치경을 이동시켜 치아의 내측면, 상면 및 외측면을 차례대로 촬영하는 방향(d2)으로 이동하며 촬영하여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A, the user executes a 3D oral monitoring function and moves the alveolar to move in the direction of photographing the inner side, the upp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tooth in order (d2), and the oral image is taken. Can be obtained.

이때, 프로세서(170)는, 4개의 조명부(19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동작한 조명부(190)에 따라 촬영된 구강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may operate the four lighting units 190 sequentially, and may acquire the oral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lighting unit 190 sequentially operated.

또한,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60)를 통해 치경의 움직임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further acquir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alveolar through the sensor unit 160.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촬영된 구강 영상을 그대로 디스플레이에 전송하여 2차원 이미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는, 치아의 상면 이미지, 치아의 내측면 이미지, 치아의 외측면 이미지를 각각 시점 이동시키면서 표시할 수 있는 2차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transmit the captured oral image to a display as it is and display it as a 2D imag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B, the display may display a two-dimensional image that can be displayed while moving the top image, the inside image of the tooth, and the outside image of the tooth, respectively.

또한,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구강 영상, 움직임 정보를 통해 해당 구강 영역을 3차원 모델로 모델링하여, 3차원 이미지로 구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S110)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model the oral cavity region as a 3D model through a plurality of oral images and motion information, and display the oral cavity image as a 3D image. (S110)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움직임 정보, LED의 순차 구동 및 LED 구동에 동기하여 촬영한 구강 영상을 기초로 포토메트릭스 스테레오(Photometric Stereo) 방식으로 구강 환경의 3D 모델 구강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170 may implement a 3D model oral image of the oral environment in a photometric stereo method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the oral image captur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ED driving and the LED driving.

그리고 구현한 3D 모델 구강 영상을 전송하여 도 9c와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함으로써, 3차원 시점 변환하며 특정 구강 영역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implemented 3D model oral image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as shown in FIG. 9C,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onitor a specific oral region by converting the 3D viewpoint.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14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140,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Particular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by way of example shows a functional connection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the actual device replaceabl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It may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0)

구강 내를 관찰하는 거울을 갖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에 있어서,
거울 내부에 배치되어 구강 내를 촬영하여 구강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된 구강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거울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인젝션; 및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구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구강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송신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가상 이미지로 상기 구강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글래스와, 상기 글래스에 상기 구강 영상을 수신하여 가상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강 영상을 상기 글래스의 일측 모서리의 분할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분할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구강 영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강 영상 내에서 구강 트러블에 대한 오브젝트를 검출하면, 상기 오브젝트를 기초로 구강 트러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강 트러블 정보를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며,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상기 구강 트러블 정보를 증강현실 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강 영상의 탁도를 산출하고, 상기 탁도가 소정의 값 이하이면 상기 에어 인젝션을 동작시켜 상기 거울의 습기를 제거하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
In the oral monitoring alveolar having a mirror for observing the oral cavity,
A camera disposed inside the mirror to capture an oral cavity and acquire an oral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acquired oral image;
An air injection for injecting air to the mirror side; And
A processor which provides a mouth monitoring function by controlling the camera;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o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a head mounted display to display the oral image as a virtual image on the head mounted display,
And a head mounted display including a glass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oral image on the glass and display the oral image as a virtual image.
The display unit,
The oral cavity image is displayed on a divided area of one corner of the glass,
The head mounted display,
Enlarge or reduce the size of the divided area according to a user input;
Providing an interface for enlarging or reducing a partial region of the oral cavity imag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e processor,
When the object of the oral cavity is detected in the oral cavity image, oral trouble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 the object, and the oral troub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ead mounted display.
The head mounted display,
Display the oral trouble information as an augmented reality image,
The processor in the display unit,
The turbidity of the oral cavity image is calculated, and when the turbidit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air injection is operat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mirror.
Oral monitoring alveola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치열을 따라 촬영된 복수의 구강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구강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구강 영상을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When receiving a plurality of oral images taken along the dent through the camera,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are synthesized to generate a panoramic oral image, and to transmit the generated oral image to the head mounted display
Oral monitoring alveola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에서 각각 치아와 잇몸 사이의 경계를 추출하여 수직에서의 합성 기준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에서 치아와 치아 사이의 경계를 구강 영상들 간 수평에서의 합성 기준으로 결정하여 상기 합성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을 합성하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The boundary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is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respectively, and determined based on the synthesis criteria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the boundary between the teeth and the teeth is determined as a synthesis standard in the horizontal plane between the oral images to synthesize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according to the synthesis criteria.
Oral monitoring alveol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에서 치아의 내측면, 상면 및 외측면을 촬영한 구강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구강 영상을 통해 상기 치아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구현하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LED의 순차 구동시키고, 상기 LED가 순차적으로 구동함에 따라서 촬영한 구강 영상을 기초로 포토메트릭스 스테레오(Photometric Stereo) 방식으로 상기 치아에 대한 3D 모델을 구현하는
구강 모니터링 치경.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When the camera receives an oral image of the inner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and implements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tooth through the plurality of oral images,
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processor,
By sequentially driving the LEDs, and sequentially driving the LEDs to implement a 3D model for the tooth in a photometric stereo (Photometric Stereo) method based on the oral image taken
Oral monitoring alveola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79552A 2017-06-23 2017-06-23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Expired - Fee Related KR102001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552A KR102001852B1 (en) 2017-06-23 2017-06-23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552A KR102001852B1 (en) 2017-06-23 2017-06-23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88A KR20190000488A (en) 2019-01-03
KR102001852B1 true KR102001852B1 (en) 2019-10-01

Family

ID=6502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55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01852B1 (en) 2017-06-23 2017-06-23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8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32B1 (en) * 2019-02-27 2021-04-01 이호승 Self skin care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image
KR102236486B1 (en) * 2019-04-26 2021-04-06 주식회사 메디씽큐 A electric loup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2127B1 (en) * 2020-08-14 2022-11-30 주식회사 메디트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CN115714842B (en) * 2022-11-11 2024-05-17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AR (augmented reality) glasses-based automatic oral implantation operation record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6016A (en) * 2012-08-31 2014-03-17 Yoshida Dental Mfg Co Ltd Handpiece with built-in camera and dental treatment method using the handpiece
US20140272764A1 (en) * 2013-03-14 2014-09-18 Michael L. Miller Spatial 3d sterioscopic intraoral camera system backgroun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837B1 (en) 2010-12-21 2013-07-02 한국광기술원 Tooth monit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6016A (en) * 2012-08-31 2014-03-17 Yoshida Dental Mfg Co Ltd Handpiece with built-in camera and dental treatment method using the handpiece
US20140272764A1 (en) * 2013-03-14 2014-09-18 Michael L. Miller Spatial 3d sterioscopic intraoral camera system backgr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88A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5036B1 (en) Dental mirror with integrated camera and its applications
US11297285B2 (en) Dental and medical loupe system for lighting control, streaming, and augmented reality assisted procedures
US11317999B2 (en)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dental practitioners
KR102001852B1 (en) A tooth mirror for monitering oral
JP2018534050A (en) How to visualize tooth condition
CN110321768A (en)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filter
US20240189065A1 (en) Dental scanning
EP4242966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WO2017205294A1 (en) A dental mirror with an integrated camera,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781489B1 (en)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traoral image and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US20240268929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oral image and oral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613531B1 (en)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EP4328862A2 (en) Dental treatment simulation data generation apparatus, data generation method, and data generation program
KR20250072224A (en) 3d orofacial matching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and the method thereof
KR2025000165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3d oral model including a low-resolution region and high-resolution region
EP4511801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al and oral static and dynamic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7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