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400B1 - Remote control system for sensing the weight by current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system for sensing the weight by curr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4400B1 KR101964400B1 KR1020160065079A KR20160065079A KR101964400B1 KR 101964400 B1 KR101964400 B1 KR 101964400B1 KR 1020160065079 A KR1020160065079 A KR 1020160065079A KR 20160065079 A KR20160065079 A KR 20160065079A KR 101964400 B1 KR101964400 B1 KR 101964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value
- crane
- current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방향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에 의해 승 하강되는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값을 생성하는 전류값생성부, 상기 전류값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류값과 하나 이상의 전류값과 하나 이상의 무게값이 각각 매칭되어 저장된 전류값테이블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값을 갖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류값에 매칭된 무게값을 검출하는 무게값검출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이동신호를 통해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무게값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무게값을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이동신호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는 크레인제어장치; 및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부터 무게값을 수신하고 이동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이동신호를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게값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출력부, 및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이동신호를 생성하는 이동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 crane for moving a weight,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an output curr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a weight of a weight lifted by the crane; A current valu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urrent value by comparing the current value generated by the current value generator with one or more current values and one or more weight values, A moving part for moving a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through a mov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and a weight value detector for detecting a weight value matched to the detected current value,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value to the controller and receiving a movement signal from the controller Lane controll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weight value from the cran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mov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signal generation unit to the crane control uni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weight value received from the crane control unit to the display, And a movemen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mov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 movement dire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전류값을 통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컨트롤러에 표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동함과 동시에 중량물의 무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n electric curr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n electric curr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weight through a current value changed according to a weight of a weight connected to a cra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urrent for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allowing a weight of a heavy object to be detected while moving a crane.
최근 대형화, 고층화되고 있는 건설 프로젝트에 따라 건설 양중 기계의 효율적인 사용이 건설 프로젝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Due to recent large-scale and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s, the efficient use of construction equipmen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struction projects.
현재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자재는 주로 크레인을 통해 운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크레인 등록대수는 2002년에 5,500 여대에서 2005년 6,646여대로 집계되고 있으며, 현재 빠른 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이다.Most of the materials used in the construction site are mainly transported by crane. As a result, the number of registered crane in Korea has increased from 5,500 in 2002 to 6,646 in 2005.
그러나 건설 자재의 크기가 커지고 중량이 무거워지면서 양중 작업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However, as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increases and the weight becomes heavy,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heavy work is increasing.
또한, 건설 현장 공정의 50% 가량에 사용되는 타워 크레인의 경우 그동안 "비자주식 장비"라는 이유로 건설 기계가 아닌 유해·위험 기계로 분류되어 설치할 때만 노동부에 안전 검사를 받고 설치 이후에는 관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Also, in case of tower crane used for 50% of construction site process, it is classified as hazardous and dangerous machine, not construction machine because of "visa stock equipment" It is true.
따라서, 최근 타워 크레인을 건설 기계로 등록한다는 내용의 '건설 기계 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곧 시행할 방침임에 따라 크레인 안전 운행에 관한 중요성과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Therefore,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truction Machinery Management Act', which states that the tower crane should be registered as a construction machine, will be implemented soon, so that the importance and concern about the safe operation of the crane are getting higher.
한편, 기존 크레인 시스템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에 매달린 중량물의 중량에 따라 출력 전압을 변경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과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어 로드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한 다음, 상기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전압을 중량물의 중량 수치로 변환 연산하고, 상기 변환 연산된 중량 수치를 무선 통신을 통해 과부하 수신기로 전달하는 과부하 송신기, 상기 과부하 송신기로부터 전달된 중량물의 중량 수치를 표시하는 과부하 수신기, 크레인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크레인에 부가 설치된 전동 모터를 구동시켜 중량물을 이동시키거나 중량물을 승·하강시키는 리모콘 수신기, 및 RF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리모콘 수신기에 중량물을 동·서·남·북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 송신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conventional crane system, a load cell that changes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weight of a weight hanging from a crane, and a load cell connected to the load cell by a wire cable to convert a voltage output from the load cell into a digital value, An overload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converted voltage into a weight value of the weight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weight value to the overload rece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 overload receiver for displaying the weight value of the weight delivered from the overload transmitter,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moving a heavy object or raising and lowering a heavy object by driving an electric motor provided to the crane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control signal in a state where the object is fixed to any part of the crane, Moving in the east, west, south, north direction, , And composed of a remote contro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W-descending direction.
또, 상기 기존 크레인에는 과부하 송신기와의 유선 통신을 통해 과부하 송신기에 의해 연산 된 중량물의 중량을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가 부가 장착될 수 있다.Also, the existing crane can be additionally equipped with an external display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calculated by the overload transmitter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overload transmitter.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크레인 시스템은 작업자가 리모콘 송신기를 이용하여 크레인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크레인에 매달린 중량물의 중량을 파악할 수 없어 크레인 운전자와 리모콘 송신기를 소지한 작업자간에 무전기를 통해 상호 교신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rane system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operator can not grasp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hanging on the crane while moving the crane using the remote control transmitter, so that the worker having the crane operator and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te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communicate.
또한, 기존의 크레인 시스템은 외부 디스플레이와 과부하 송신기 사이를 유선 케이블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설치시 작업자가 크레인에 올라타 배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자칫 배선 작업 중 높은 크레인으로부터 낙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rane system needs to connect the wired cable between the external display and the overload transmitter, it is troublesome for the operator to perform the wiring work by climbing the crane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system. .
또, 크레인에 별개로 나누어진 외부 디스플레이와 리모콘 수신기, 과부하 송신기, 및 과부하 수신기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작업 인력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rane needs to be equipped with an external display, a remote control receiver, an overload transmitter, and an overload receiver, which are divided into separate units, there is a problem that a workforce and a working time may be increased.
또한, 기존에는 2.4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였으나, 2.4Ghz 대역에서는 WiFi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많은 WiFi기기 간의 혼신 우려가 있고 통달거리가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2.4Ghz frequency was used in the past, WiFi is used in the 2.4Ghz band, so that there is a fear of interference between a large number of WiFi devices and a disadvantage that the distance is not sufficient.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전류값을 통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컨트롤러에 표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동함과 동시에 중량물의 무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ne, which measures a weight through a current value changed according to a weight of a weight connected to a cran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urrent for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making it possible to grasp the weight of a heavy object while moving the weigh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트롤러와 크레인제어장치간의 통신을 400Mhz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달거리가 LOS 300m이상이고, 99%의 신뢰율 달성이 가능한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urrent capable of achieving a reliability rate of 99% or more with a communication distance of LOS 300 m or more becaus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crane control device uses the 400 MHz band It is for this reas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중량체를 들지 않게끔 제한을 걸고, 무게에 따라 이동속도를 달리하여 보다 안전하게 중량체를 이송시키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urrent that transfers a weight more safely by limiting the weight so as not to exceed a preset weight and moving at a different speed depending on the weight to b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방향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에 의해 승 하강되는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값을 생성하는 전류값생성부, 상기 전류값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류값과 하나 이상의 전류값과 하나 이상의 무게값이 각각 매칭되어 저장된 전류값테이블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값을 갖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류값에 매칭된 무게값을 검출하는 무게값검출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이동신호를 통해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무게값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무게값을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이동신호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는 크레인제어장치; 및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부터 무게값을 수신하고 이동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이동신호를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제2통신부,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무게값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출력부, 및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이동신호를 생성하는 이동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irection of a crane for moving a weight,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nd a current value table for comparing the current value generated by the current value generator with one or more current values and one or more weight values respectively stored and stored, A moving part for moving a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through a mov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and a weight value detector for detecting a weight value matching the detected current value,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controller. Crane control apparatus;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weight value from the cran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movement signal generated by the movement signal generation unit to the crane control uni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weight value received from the crane control unit to the display, And a movemen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movemen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 movement direction inputted through the input device.
또한, 상기 크레인제어장치와 상기 컨트롤러간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은 400Mhz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the cran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r is a 400 MHz band.
또한,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는, 지면을 향해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송신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an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oward the ground to generate image data,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image data generated through the camera unit to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display.
또한,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는, 상기 제1통신부로 상기 이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게값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무게값과 수신된 이동신호를 저장하되, 상기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된 시점마다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an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weight value detected by the weight valu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d movement signal when the movement signal is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또한, 상기 무게값검출부는, 검출되는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무게값을 초과하면 작동을 정지하고, 미리 설정된 속도로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지면으로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ight value detector stops the operation when the detected weight value exceeds a preset limit weight value, and places the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at a predetermined speed on the ground.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클릭되면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클릭이 해제되면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로 전원을 유입시키는 비상정지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n emergency stop button for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crane control device when clicked, 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crane control device when the click is released.
또한, 상기 이동신호는, 상기 입력장치에 형성된 이동방향 입력버튼이 눌러지는 세기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값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압력값과 미리 저장된 압력값과 비교하고 미리 저장된 압력값에 매칭된 속도에 따라 생성되는 속도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이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상기 이동신호에 포함된 속도신호에 해당하는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ement signal may be generated by detecting a pressure value generated according to an intensity at which the movement direction input button formed on the input device is pressed, comparing the detected pressure value with a previously stored pressure value, And the moving unit moves the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speed signal included in the moving signal when the mov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전류값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무게값과 하나 이상의 속도제한값이 각각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는, 상기 무게값검출부에서 검출된 무게값에 매칭된 속도제한값을 검출하는 속도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속도신호에 해당하는 속도로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동시키되, 상기 속도가 상기 속도제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current value table stores at least one weight value and at least one speed limit value, and the crane control device includes a speed limiter for detecting a speed limit value matched to the weight value detected by the weight value detector, Wherein the moving unit moves the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speed signal so that the speed does not exceed the speed limit value.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매크로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크레인제어장치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매크로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무게값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무게값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무게값이 검출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무게값이 검출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 변경된 시점까지의 이동신호로 상기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device includes a macro button. The crane control device, when the macro button is clicked from the input device, displays the weight value detected by the weight value detection part and the weight value stored in the storage part And moves the weight with a movement signal from a time point when the weight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detected to a time point when the weight value is changed over a predetermined rang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전류값을 통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컨트롤러에 표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동함과 동시에 중량물의 무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eight is measured through the current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and the measured weight is displayed on the controller, the worker moves the cra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n electric current that improves work efficiency and prevents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러와 크레인제어장치간의 통신을 400Mhz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달거리가 LOS 300m이상이고, 99%의 신뢰율 달성이 가능한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crane control device is performed in the 400 MHz b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urrent capable of achieving a reliability rate of 99%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중량체를 들지 않게끔 제한을 걸고, 무게에 따라 이동속도를 달리하여 보다 안전하게 중량체를 이송시키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urrent that transfers a weight more safely by limiting the weight so as not to exceed a preset weight, and by varying the moving speed according to the weigh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의 버튼형 컨트롤러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의 조이스틱형 컨트롤러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의 제공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button-type controller of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joystick type controller of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providing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curr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curre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방향을 제어하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current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 crane for moving a weight.
본 발명에서의 무게검출 수단은, 기존에 사용하던 고가의 로드셀을 대체하여 로드리미터로 전류센서를 이용하여 전류값을 무게로 환산하기 때문에 보다 저렴하게 제작 가능하다.The weight detec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t a lower cost because the current value is converted into weight by using a current sensor as a load limiter instead of an expensive load cell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를 컨트롤러(200)에 표시하는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를 컨트롤러(200)에 표시하는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의 버튼형 컨트롤러(200)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를 컨트롤러(200)에 표시하는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의 조이스틱형 컨트롤러(20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를 컨트롤러(200)에 표시하는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ane direction control system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a weight connected to a crane on a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중량체의 무게를 컨트롤러(200)에 표시하는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은, 크레인제어장치(100) 및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crane direction control system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the weight on the
크레인제어장치(100)는, 전류값생성부(110), 무게값검출부(120), 이동부(130), 제1통신부(140), 저장부(150), 속도제한부(160), 카메라부(170)를 포함한다.The
전류값생성부(110)는, 크레인에 의해 승 하강되는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값을 생성한다.The current
여기서, 출력전류는, 크레인의 승강시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전동모터에 유입되는 전류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put current is a current that flows into the electric moto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when the crane is lifted or lowered.
무게값검출부(120)는, 전류값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전류값과 하나 이상의 전류값과 하나 이상의 무게값이 각각 매칭되어 저장된 전류값테이블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값을 갖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값에 매칭된 무게값을 검출한다.The weight
여기서, 전류값 테이블은, 전동모터의 전류-로드 부하 특성곡선에서 각 전류값에 따른 중량체의 무게로 변환된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urrent value table is preferably a table converted to the weight of the weight according to each current value in the current-load characteristic curve of the electric motor.
전류-로드 부하 특성곡선은 통상의 기술자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urrent-load characteristic curve is widely used by a typical engine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무게값검출부(120)는, 검출되는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무게값을 초과하면 작동을 정지하고, 미리 설정된 속도로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지면으로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ight
즉, 제한무게값이 초과되면 크레인을 통해 중량체를 승강하는 것을 정지시키고 중량체를 지면으로 안착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That is, when the limit weight value is exceede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eight body is stopped by the crane and the weight body is placed on the ground, thereby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그리고, 전류값테이블은, 여기서, 전류값테이블은, 하나 이상의 무게값과 하나 이상의 속도제한값이 각각 매칭되어 저장된다.And, the current value table, wherein the current value table stores one or more weight values and one or more speed limit values, respectively, are matched.
이동부(13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된 이동신호를 통해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동시킨다.The moving
여기서, 이동신호는, 입력장치(240)에 형성된 이동방향 입력버튼(244)이 눌러지는 세기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값을 검출하여 검출된 압력값과 미리 저장된 압력값과 비교하고 미리 저장된 압력값에 매칭된 속도에 따라 생성되는 속도신호를 포함한다.Here, the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by detecting a pressure value genera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at which the movement
여기서, 이동?향 입력버튼(244)은, 도2와같이 버튼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3과 같이 스틱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vement
그리고, 이동부(13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이동신호가 수신되면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동신호에 포함된 속도신호에 해당하는 속도로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동시키되, 속도가 속도제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이동시킨다.When a mov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즉,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속도를 제한하여 전동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spe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body to prevent an overload from occurring in the electric motor in advance.
제1통신부(140)는, 및 무게값검출부(120)에서 검출된 무게값과 카메라부(170)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컨트롤러(200)로 송신하고, 컨트롤러(200)로부터 이동신호를 수신한다.The
여기서, 제1통신부(140)는, 카메라부(170)를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컨트롤러(200)로 송신함으로써, 컨트롤러(200) 사용자가 영상을 통해 중량체와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제1통신부(140)는 도 1 내지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계기의 형태로 크레인제어장치(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크레인제어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크레인제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고, 크레인제어장치(100)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들을 컨트롤러(200)로 송신할 수 있다면 사용 가능하다.1 to 3, the
저장부(150)는, 제1통신부(140)로 이동신호가 수신되면, 무게값검출부(120)에서 검출되는 무게값과 수신된 이동신호를 저장하되,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된 시점마다 시간을 포함하여 저장한다.The
즉, 저장부(150)를 통해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위치가 제어된 것을 백업해놓음으로써, 크레인의 동작시간, 동작이력 및 중량체에 따른 동작이력에 대한 저장이 가능하다.That i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operation histo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the operation history and the weight of the crane by backing up the position controlled by the weight of the weight through the
그리고, 크레인제어장치(100)는, 입력장치(240)로부터 매크로버튼이 클릭되면, 무게값검출부(120)에서 검출되는 무게값과 저장부(150)에 저장된 무게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무게값이 검출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무게값이 검출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 변경된 시점까지의 이동신호로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acro button is clicked from the
여기서, 중량체에 따라 반복되는 동작시퀀스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크로키를 통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sinc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repeated operat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weigh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rough the macro key.
속도제한부(160)는, 무게값검출부(120)에서 검출된 무게값에 매칭된 속도제한값을 검출한다.The
즉, 무게값에 따라 속도를 제한하되 무게값이 상승하면 속도제한값을 낮추고 무게값이 하강하면 속도제한값을 상승시켜 크레인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speed according to the weight value, but if the weight value rises, the speed limit value is lowered, and when the weight value falls, the speed limit value rises so that the crane can operate stably.
카메라부(170)는, 지면을 향해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The
여기서, 카메라부(170)는 지면을 향해 촬영하기 때문에 컨트롤러(200) 사용자가 영상을 확인하며 중량체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since the
컨트롤러(200)는, 제2통신부(210), 출력부(220), 이동신호생성부(230), 입력장치(240)를 포함한다.The
제2통신부(210)는, 크레인제어장치(100)로부터 무게값을 수신하고 이동신호생성부(230)에서 생성된 이동신호를 크레인제어장치(100)로 송신한다.The
출력부(220)는, 크레인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무게값을 컨트롤러(20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222)에 출력한다.The
출력부(220)는, 크레인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222)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동신호생성부(230)는, 입력장치(240)를 통해 입력되는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방향에 해당하는 이동신호를 생성한다.The movement
여기서, 입력장치(240)는, 클릭되면 크레인제어장치(100)로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클릭이 해제되면 크레인제어장치(100)로 전원을 유입시키는 비상정지버튼(242)을 포함한다.The
그리고, 입력장치(240)는, 매크로버튼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컨트롤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으로 방향이 입력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으로 방향이 입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여기서, 컨트롤러(200)는, 30톤 이하의 중량체를 이송하는 컨테이너는 버튼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톤 이상의 중량체를 이송하는 컨테이너는 조이스틱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for conveying a weight of 30 tons or less is formed in a button shape, and the container for conveying a weight of 30 tons or more is formed in a joystick shape.
그리고, 크레인제어장치(100)와 컨트롤러(200)간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은 400Mhz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the
여기서, 400Mhz 대역은, 국내 전파법 규정에 따라 데이터 전송용 424Mhz 20채널과 447Mhz11채널 그리고 안전시스템용 447Mhz 25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400 MHz b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424Mhz 20 channel and 447Mhz 11 channel for data transmission and the 447Mhz 25 channel for the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domestic radio wave regulation.
본 발명에서는 400Mhz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달거리가 LOS 300m이상이고, 99%의 신뢰율 달성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400 MHz band is used,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300 m or more in LOS, and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liability rate of 99%.
또한, PLL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사용채널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LL method is us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used channel without changing the hardware.
그리고, Preamble과 4byte의 ID 그리고 Payload 암호화를 통해 타 장비와의 보안성을 가지며 상호혼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Also, the preamble and 4 byte ID and payload encryption can be used to secure the security of other devices and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mutual interferenc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의 무게를 컨트롤러(200)에 표시하는 크레인 방향 제어 시스템의 제공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providing a crane direction control system for displaying the weight of a weight connected to a crane on a
도 5를 참고하면, 우선, 크레인제어장치(10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이동신호를 수신한다(S110).Referring to Fig. 5, first, the
그 다음, 크레인제어장치(100)를 통해 중량체를 승강시킨다(S120).Then, the weight is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crane control device 100 (S120).
그 다음,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는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값을 생성한다(S130).Next, the output curr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to generate a current value (S130).
그 다음, 전류값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전류값과 미리 저장된 전류값테이블과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값을 갖는 전류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값에 매칭된 무게값을 검출한다(S150).Next, the current value generated by the current
마지막으로, 검출되는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무게값을 초과하면 작동을 정지하고, 미리 설정된 속도로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지면으로 안착시키고(S150), 검출되는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무게값 이하면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신호에 따라 중량체를 이동시킨다(S160).
Finally, when the detected weigh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limit weight value,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is seated on the ground at a preset speed (S150). If the detected weight valu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limit weight value And moves the we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received from the face controller 200 (S16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크레인제어장치 110: 전류값생성부
120: 무게값검출부 130: 이동부
140: 제1통신부 150: 저장부
160: 속도제한부 170: 카메라부
200: 컨트롤러 210: 제2통신부
220: 출력부 222: 디스플레이
230: 이동신호생성부 240: 입력장치
242: 비상정지버튼 244: 이동방향 입력버튼100: crane controller 110: current value generator
120: weight value detection unit 130:
140: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160: speed limiting unit 170: camera unit
200: controller 210: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220: output section 222: display
230: Moving signal generator 240: Input device
242: Emergency stop button 244: Move direction input button
Claims (9)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이동신호에 수신하고, 상기 이동신호에 대응하여 크레인에 연결된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크레인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제어장치는,
상기 중량체의 무게에 따른 출력전류를 측정하여 전류값을 생성하는 전류값 생성부;
전동모터의 전류-로드 부하 특성곡선에서 각 전류값에 따른 중량체의 무게값이 정의된 전류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전류값에 따른 상기 중량체의 무게값을 검출하는 무게값 검출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이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무게값을 송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무게값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무게값과, 수신한 이동신호를 저장하되, 상기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 변화된 시점마다 저장하여 상기 크레인의 동작시간 및 동작이력과, 중량체에 따른 동작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신호에 따라 상기 크레인을 제어하여 상기 중량체를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지면을 촬영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제어장치는,
상기 매크로 버튼의 눌림이 발생하고, 현재 이동중인 중량체와 일치하는 무게값을 갖는 중량체의 동작이력이 상기 저장부에서 검출되면, 검출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 변경된 시점까지 현재 이동중인 중량체를 이동시키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movement signal including a movement direction input through an input device including a macro button and a velocity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sure value corresponding to a pressing intensity of the input device; And
And a crane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the mov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moving a weight connected to the crane in response to the moving signal,
The crane control device includes:
A current value generator for measuring an output curren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to generate a current value;
A weight value detector for detecting a weight value of the weight according to the current value by referring to a current value table in which a weight value of the weight is defined according to each current value in a current-load characteristic curve of the electric motor;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weight value to the controller;
Storing a weight value detected by the weight value detector and a received movement signal, storing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history of the crane and the operation history corresponding to the weight, by storing the received movement signal every time the weight value is changed over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
A moving part for controlling the crane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to move the weight up or down; And
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ground and generating image data output through a display included in the controller,
The crane control device includes:
When the macro button is pressed and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weight having the weight value coinciding with the weight currently being moved is detected by the storage unit,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moving current.
상기 크레인제어장치와 상기 컨트롤러간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은 400Mhz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the cran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r is a 400 MHz band.
검출되는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제한 무게값을 초과하면 작동을 정지하고, 미리 설정된 속도로 상기 중량체를 지면으로 안착시키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eight value detector comprises:
A weight detecting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current for stopping the operation when the detected weight value exceeds a preset limit weight value and for seating the weight on the ground at a preset speed.
클릭되면 상기 크레인 제어장치로 유입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클릭이 해제되면 상기 크레인 제어장치로 전원을 유입시키는 비상정지버튼
을 포함하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click is canceled, the emergency stop button for turning on the power to the crane control device,
A weight detectio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current.
하나 이상의 무게값과 하나 이상의 속도 제한값이 각각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크레인 제어장치는,
상기 무게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무게값에 매칭된 속도 제한값을 검출하는 속도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속도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중량체를 이동시키되, 현재 중량체가 상기 속도 제한값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전류를 이용한 무게탐지 원격제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r more weight values and one or more speed limit values are stored, respectively,
The cran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a speed limiter for detecting a speed limit value matched to the weight value detected by the weight value detector,
The mov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eight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signal and controls the current weight to move within the speed limit valu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65079A KR101964400B1 (en) | 2016-05-26 | 2016-05-26 | Remote control system for sensing the weight by curr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65079A KR101964400B1 (en) | 2016-05-26 | 2016-05-26 | Remote control system for sensing the weight by curren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33810A KR20170133810A (en) | 2017-12-06 |
| KR101964400B1 true KR101964400B1 (en) | 2019-04-17 |
Family
ID=6092250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650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4400B1 (en) | 2016-05-26 | 2016-05-26 | Remote control system for sensing the weight by curr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644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7114949B2 (en) * | 2018-03-09 | 2022-08-09 | 株式会社タダノ | work vehicle |
| JP7677056B2 (en) * | 2021-08-16 | 2025-05-15 | 株式会社タダノ | Portable remote control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24741Y1 (en) * | 2006-06-07 | 2006-08-25 |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 Explosion Proof Push Button Switch for Electric Hoist |
| JP2011105470A (en) * | 2009-11-19 | 2011-06-02 |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 Hoist |
| KR101049192B1 (en) * | 2011-02-01 | 2011-07-14 | (주)하나닉스 | Crane direction control system with built-in overload protection device using frequency of 2.4 ㎓ band |
| JP2013177230A (en) * | 2012-02-28 | 2013-09-09 | Tadano Ltd | Load detecting device of crane |
-
2016
- 2016-05-26 KR KR1020160065079A patent/KR1019644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24741Y1 (en) * | 2006-06-07 | 2006-08-25 |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 Explosion Proof Push Button Switch for Electric Hoist |
| JP2011105470A (en) * | 2009-11-19 | 2011-06-02 |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 Hoist |
| KR101049192B1 (en) * | 2011-02-01 | 2011-07-14 | (주)하나닉스 | Crane direction control system with built-in overload protection device using frequency of 2.4 ㎓ band |
| JP2013177230A (en) * | 2012-02-28 | 2013-09-09 | Tadano Ltd | Load detecting device of cra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33810A (en) | 2017-12-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274011B2 (en) | Load measurement of the load receiver of hoisting devices | |
| US20180229979A1 (en) | Arrangement of a controller and a mobile control module | |
| KR101964400B1 (en) | Remote control system for sensing the weight by current | |
| KR101049192B1 (en) | Crane direction control system with built-in overload protection device using frequency of 2.4 ㎓ band | |
| KR102126063B1 (en) |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cking an angle of a wireless camera installed at a crane boom to face a load end | |
| WO2012067820A1 (en) | Suspension work platform hoist system | |
| KR101103719B1 (en) | Tower crane unloading position target device | |
| KR101649942B1 (en) | System to control attitude of lifting loads using gyroscope effec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CN111032167A (en) | Climbing assistance speed control | |
| CN105271003A (en) | Tower crane convenient to operate | |
| CN110306623A (en) | Backhoe loade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 CN202054551U (en) | Tower crane and lifting hook leveling device thereof | |
| KR20140132602A (en) | Apparatus for managing tower crane remotely | |
| EP3050833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calibrating the load control system of a lift | |
| CN109230921B (en) | Lifting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9440799B1 (en) | Conveying apparatus | |
| CN110171775A (en) | A kind of air bag guard system based on tower crane emergency cooperative | |
| KR100860624B1 (en) | Wireless Overload Protector for Crane Hook | |
| KR20140122699A (en) |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rane using bluetooth | |
| KR101487752B1 (en) | Lift safety control system using safety helmet with vibration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212315345U (en) | Wireless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traveling crane | |
| EP3858780A1 (en) | Improved hook block | |
| KR20140032672A (en) | Hoist controling apparatus | |
| KR102421272B1 (en) | Collision protecting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using intelligent sensing technology which be able to identify human body | |
| CN108750498B (en) | Automatic control system of compression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4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