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228B1 - 직벽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직벽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0228B1 KR101920228B1 KR1020180037164A KR20180037164A KR101920228B1 KR 101920228 B1 KR101920228 B1 KR 101920228B1 KR 1020180037164 A KR1020180037164 A KR 1020180037164A KR 20180037164 A KR20180037164 A KR 20180037164A KR 101920228 B1 KR101920228 B1 KR 101920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lower wall
- anchor
- expandable
- pi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종래 프리캐스트 직벽형 기초의 시공도,
도 1c는 종래 합성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기초의 시공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직벽형 옹벽의 구성사시도 및 시공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직벽형 옹벽의 종방향 연결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직벽형 옹벽의 시공순서도이다.
120: 벽체일체화철근 121: 블록중공삽입부
122: 수평부 123: 수직철근
124: 나선철근 130: 확장형하부벽체
130a: 벽체하단부 130b: 수직벽체부
131: 지반앵커 132: 블럭아웃부
133: 고정너트 140: 파일삽입중공부
150: 충진재 160: L형 상부벽체
160a: 전면수직벽체 160b: 저판부
161: 고정앵커 162: 앵커하우징
163: 고정너트
200: 종방향연결장치 210: 오목홈
220: 연결박스체 230: 연결근
Claims (10)
- 파일삽입중공부(140)가 내부에 형성된 벽체하단부(130a)와 벽체하단부 상부의 수직벽체부(13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반에 고정 세팅되는 확장형하부벽체(130);
상기 파일삽입중공부(140)에 두부가 삽입되어 지반에 시공된 파일(110);
상기 파일 두부가 파일삽입중공부 내부에서 높이를 조정하면서 확장형하부벽체와 파일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벽체일체화철근(120); 및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상면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L형 상부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일체화철근(120)은 H형 강재인 파일의 복부에 수직 삽입되어 하방 형성되도록 하되 복부 상면에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볼록중공삽입부(121); 상기 볼록중공삽입부(121)의 양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파일(110)의 복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양 수평부(122); 상기 양 수평부(122)에 상방으로 연장 세팅된 수직철근(123); 및 상기 파일(110)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직철근(123)을 감아 형성된 나선철근(124);을 포함하는 직벽형 옹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하단부(130a)는 저면 하부를 블록아웃시켜 형성된 블럭아웃부(132)를 이용하여 린콘크리트(C)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반앵커(131)가 상기 블럭아웃부(132)로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한 후, 지반앵커(131)를 린콘크리트 상면에 고정너트(133)로 체결시켜 확장형하부벽체(130)가 파일(110)과 일체화되기 전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는 직벽형 옹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하부벽체는 종방향으로 종방향연결장치(200)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종방향연결장치(200)는 확장형하부벽체(130)가 서로 접하는 측면에 형성된 오목홈(210)이 서로 접하면서 형성된 연결공간(S); 상기 오목홈(210)에 충격에 의하여 개구가 가능하도록 매립되어 일면이 노출된 연결박스체(220); 상기 연결박스체(220) 내부에 인력으로 벤딩가능하도록 절곡 내장된 연결근(230);을 포함하는 직벽형 옹벽.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하부벽체(130) 제작, 운반 및 시공 시에는 연결박스체(220)와 오목홈(210)에 의하여 달리 외부에 노출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하면서, 확장형하부벽체(130)가 서로 접하도록 고정 세팅된 이후에는 연결박스체(220)를 충격을 가하여 연결박스체(220)가 개구되면, 내부의 연결근(230)이 노출되도록 하여 연결근(230)이 수평으로 오목홈(210)에 펼쳐지면서 연결근(230)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후, 상기 연통된 오목홈(210) 내부에 그라우팅재를 충진시켜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종방향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벽형 옹벽.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형 상부벽체(160)는 전면수직벽체(160a)와 전면수직벽체(160a) 해면 하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저판부(160b)로 구성되며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철근콘크리트 부재로서, 상기 L형 상부벽체(160)와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수직벽체부(130b)는 서로 강결되어 상,하 연결되도록 하는 직벽형 옹벽.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L형 상부벽체(160)와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수직벽체부(130b)는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수직벽체부(130b) 상면에는 내부로부터 연장되는 나사봉 형태의 고정앵커(161)가 형성되도록 하여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앵커(161)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전면수직벽체(160a)의 하부에는 앵커하우징(162)이 사각박스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앵커(161)가 L형 상부벽체(160)의 앵커하우징(162) 내부로 상방 연장 되면 앵커하우징 외부로부터 수평으로 고정앵커(161)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평와셔가 고정앵커(161)를 관통하도록 세팅하고, 상기 수평와셔를 고정앵커(161)에 체결시키는 고정너트(163)를 체결시키고, 상기 앵커하우징(162)을 충진재를 이용하여 마감하게 되면 최종 L형 상부벽체(160)과 확장형하부벽체(130)는 서로 강결되도록 하는 직벽형 옹벽. - (a) 파일삽입중공부(140) 내부에서 높이를 조정하면서 확장형하부벽체(130)와 파일(110)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벽체일체화철근(120)이 두부에 형성된 파일(110)을 지반에 시공하는 단계;
(b) 파일삽입중공부(140)가 내부에 형성된 벽체하단부(130a)와 벽체하단부 상부의 수직벽체부(13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반에 고정 세팅되는 확장형하부벽체(130)를 인양하여 상기 파일삽입중공부(140)에 벽체일체화철근(120)이 일체로 형성된 파일(110) 두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확장형하부벽체(130)가 지반(G)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확장형하부벽체(130)를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
(d) 상기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상면에 L형 상부벽체를 연결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L형 상부벽체를 적층시켜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벽체일체화철근(120)은 H형 강재인 파일의 복부에 수직 삽입되어 하방 형성되도록 하되 복부 상면에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볼록중공삽입부(121); 상기 볼록중공삽입부(121)의 양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파일(110)의 복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양 수평부(122); 상기 양 수평부(122)에 상방으로 연장 세팅된 수직철근(123); 및 상기 파일(110)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직철근(123)을 감아 형성된 나선철근(124);을 포함하여, 충진재(150)를 파일삽입중공부(140) 내부공간으로 충진시켜 벽체일체화철근이 형성된 파일(110)과 확장형하부벽체(130)를 서로 일체화키는 직벽형 옹벽 시공방법. - 삭제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확장형하부벽체(130)는 종방향으로 종방향연결장치(200)를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종방향연결장치(200)는 확장형하부벽체(130)가 서로 접하는 측면에 형성된 오목홈(210)이 서로 접하면서 형성된 연결공간(S); 상기 오목홈(210)에 충격에 의하여 개구가 가능하도록 매립되어 일면이 노출된 연결박스체(220); 상기 연결박스체(220) 내부에 인력으로 벤딩가능하도록 절곡 내장된 연결근(230);을 포함하도록 하는 직벽형 옹벽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상면에 L형 상부벽체의 연결설치와
(e) 단계의 L형 상부벽체를 적층시켜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는
나사봉 형태의 고정앵커(161)가 형성되도록 하여 확장형하부벽체(130)의 상면 또는 L형 상부벽체 상면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앵커(161)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전면수직벽체(160a)의 하부에는 앵커하우징(162)이 사각박스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앵커(161)가 L형 상부벽체(160)의 앵커하우징(162) 내부로 상방 연장 되면 앵커하우징 외부로부터 수평으로 고정앵커(161)에 끼워져 설치되는 수평와셔가 고정앵커(161)를 관통하도록 세팅하고, 상기 수평와셔를 고정앵커(161)에 체결시키는 고정너트(163)를 체결시키고, 상기 앵커하우징(162)을 충진재를 이용하여 마감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직벽형 옹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37164A KR101920228B1 (ko) | 2018-03-30 | 2018-03-30 | 직벽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37164A KR101920228B1 (ko) | 2018-03-30 | 2018-03-30 | 직벽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20228B1 true KR101920228B1 (ko) | 2018-11-21 |
Family
ID=646028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37164A Active KR101920228B1 (ko) | 2018-03-30 | 2018-03-30 | 직벽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20228B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42987A (ko) * | 2020-05-19 | 2021-11-26 | (주)덕산지에스 | H파일 접합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52171B1 (ko) * | 2015-01-22 | 2015-09-10 | 동아이엔지(주) | 자립식선반벽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77783B1 (ko) * | 2017-02-23 | 2017-09-13 |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높이조절형 방음벽 기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2018
- 2018-03-30 KR KR1020180037164A patent/KR10192022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52171B1 (ko) * | 2015-01-22 | 2015-09-10 | 동아이엔지(주) | 자립식선반벽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777783B1 (ko) * | 2017-02-23 | 2017-09-13 |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 높이조절형 방음벽 기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142987A (ko) * | 2020-05-19 | 2021-11-26 | (주)덕산지에스 | H파일 접합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
| KR102351360B1 (ko) * | 2020-05-19 | 2022-01-14 | (주)덕산지에스 | H파일 접합 구조물을 이용한 옹벽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599384B2 (ja) |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 US5878544A (en) | Stabilizing system for concrete poured walls within foam block forms | |
| KR101439314B1 (ko) |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 |
| KR102391702B1 (ko) |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 |
| JP2007291707A (ja) |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 KR101130167B1 (ko) | 지주와 파일을 일체화시킨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 |
| KR101373674B1 (ko) |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 JP2008231799A (ja) | 免震構造 | |
| KR101552171B1 (ko) | 자립식선반벽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 KR20070115547A (ko) |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지하층의 탑-다운 시공방법 | |
| JP5309378B2 (ja) | 自立式土留擁壁 | |
| KR101920228B1 (ko) | 직벽형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 KR102560550B1 (ko) |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 |
| JP2000265484A (ja) |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 JP2000265458A (ja) |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床版連結構造 | |
| KR101222172B1 (ko) | 배근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c.i.p. 공법 | |
| KR20080059951A (ko) |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 |
| KR20120048134A (ko) |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 KR102482690B1 (ko) |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 |
| JP6977688B2 (ja) | 堤体および堤体用プレキャストフーチング | |
| KR101372223B1 (ko) |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 KR20180131042A (ko) | 말뚝 및 그 시공방법 | |
| KR102062534B1 (ko) | 옹벽블록의 그리드 결속구조물 | |
| KR20190143420A (ko) | 보강조립체의 중공 설치에 의한 phc 말뚝의 보강구조 및 이를 구비한 phc 말뚝과 그 시공방법 | |
| JP2009091899A (ja) | 杭頭補強部材とそれを用いた杭頭補強構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