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8031B1 -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31B1
KR101908031B1 KR1020180095787A KR20180095787A KR101908031B1 KR 101908031 B1 KR101908031 B1 KR 101908031B1 KR 1020180095787 A KR1020180095787 A KR 1020180095787A KR 20180095787 A KR20180095787 A KR 20180095787A KR 101908031 B1 KR101908031 B1 KR 10190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jig
discharge machining
locking block
electric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호
이영욱
송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락
Priority to KR102018009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26Apparatus for moving or positioning electrode relatively to workpiece; Mounting of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축을 따라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캠의 위치에 따라 락킹블럭을 이동시켜 전극 및 전극 고정용 지그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방전가공용 전극을 빠르고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가공용 전극을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의 정확한 위치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방전가공용 전극과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의 결합을 위해 나사결합방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흑연전극과 같이 단단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진 방전가공용 전극을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의 정확한 위치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A ZIG OF ELECTRODE FOR ELECTIC DISCHARGE AND NC}
본 발명은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축을 따라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캠의 위치에 따라 락킹블럭을 이동시켜 전극 및 전극 고정용 지그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방전가공용 전극을 빠르고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방전가공은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킬 때 생기는 물리적, 기계적 작용을 이용하여 목적물을 특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방전가공은 정밀금형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마무리가공수단으로서, 방전가공을 통해 금형제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NC가공은 수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가공으로서, 컴퓨터를 써서 가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어 수치 제어 공작기에 의해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밀가공방법을 말한다.
방전가공을 위해서는 방전가공용 전극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전가공용 전극을 방전가공을 위한 형상으로 먼저 NC가공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게 되며, 이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된 전극을 방전가공장치에 장착한 후 방전가공을 행하게 된다. 즉, 방전가공을 위해서는 먼저, 방전가공용 전극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여야 하며, 이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된 전극을 방전가공장치에 장착하여 방전가공을 하여야 한다.
이때 방전가공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므로, 방전가공용 전극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NC가공장치용 지그에 장착할 때에는 정확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전극을 NC가공장치용 지그의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가공된 전극을 이용하여 방전가공장치에서 방전가공을 할 때에도 전극이 방전가공용 지그의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NC가공장치용 지그와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에 방전가공용 전극을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그결합체에 방전가공용 전극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그결합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의 방전가공용 전극(12)은 공구(11)에 의해 지그결합체(10)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그결합체(10)를 NC가공장치용 지그 또는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구(11)를 이용하여 지그결합체(10) 상부에 방전가공용 전극(12)을 고정시키면, 방전가공용 전극(12)을 NC가공장치용 지그 또는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지그결합체(10)를 이용하면,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방전가공용 전극(12)을 NC가공장치용 지그에 고정하는 작업과, 방전가공을 위하여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 방전가공용 전극(12)을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에 고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방전가공용 전극(12)은 일면에 중심홈(13)이 형성되고, 중심홈(13) 주위에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홈(14)이 형성되고, 중심홈(13)의 내측면에 걸림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지그결합체(10)는 몸체(20), 상하이동부재(40), 구동부(50), 고정부재(70), 상부캡(80), 하부캡(85)을 포함한다.
몸체(20)에는 NC가공장치용 지그 또는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에 결합고정되기 위한 고정홀(21), 수직단면상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 중공홀(24), 측면 일측에 중공홀(24)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홀(25), 측면의 다른 일측에 제1측면홀(25)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홀(26), 돌출부(22) 주위에 소정간격 형성되는 밀착부(27), 고정핀(28)이 삽입결합되는 삽입홀(29)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22)는 전극(12)의 중심홈(13)이 삽입되는 구성이고, 밀착부(27)는 전극(12)이 몸체(20) 상부에 고정된 경우에 전극(12)의 일면이 밀착되는 구성이고, 고정핀(28)은 전극(12)의 고정홈(14)이 삽입되는 구성이다.
고정부재(70)는 돌출부(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12)의 중심홈(13)이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고정부재(70)에는 돌출부(22)에 삽입되도록 중공홀(71)이 구비되며, 돌출부(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이동부재(40)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비되며, 하강하는 경우에 돌출부(22)에 의해 벌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틈(72)이 구비되며, 틈(72)의 끝단에는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한 홈부(73)가 구비되며, 외측면에는 다수의 리브(7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방전가공용 전극(12)은 중심홈(13)이 고정부재(7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이동부재(40)의 하강에 의해 고정부재(70)가 벌어지면, 고정부재(7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74)가 전극(12)의 중심홈(13)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하이동부재(40)의 상부(상하이동부재(40)가 중공홀(24)에 삽입된 경우에 돌출부(22) 위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걸림턱(41)이 구비되고, 고정부재(70)의 상부에는 걸림턱(41)에 걸림되는 걸림홈(7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고정부재(70)는 상하이동부재(40)의 상하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이동될 수 있다.
상부캡(80)은 상하이동부재(40) 상부에 결합하여 상하이동부재(40)와 고정부재(7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하이동부재(40)가 하강하는 경우에 고정부재(70)를 압착한다. 따라서, 고정부재(70)는 상하이동부재(40)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부캡(80)에 의해 압착되면서 돌출부(22)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벌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가진 지그는 전극과의 고정을 위해 수동고정 레버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레버에는 수동고정 레버와 유압, 공압 방식의 자동레버가 적용될 수 있다.
전극의 고정을 위해서는 레버의 회전에 따라 걸림부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구성부품이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조립상 또는 지속적인 가공공정에 사용되는 동안 내부의 구성의 위치가 변형되는 경우에는 정밀하고 견고한 고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4-0104870 A KR 10-2016-0001012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평행한 평면 위에서 회전하는 회전캠의 표면에 돌출부와 요입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형성하고, 조절레버의 위치에 따라 돌출부 또는 요입부가 락킹블럭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전극과 지그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락킹블럭과 회전캠이 접촉하는 면에 직선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전극과 지그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전캠의 외측 표면이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하고, 회전캠의 아래쪽에 위쪽으로 탄성을 발생하는 스프링을 내장하여 회전캠이 위쪽으로 올라오면서 락킹블럭을 지속적으로 바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NC가공이나 방전가공용 전극(12)의 고정을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푸는 지그로서, 하부플레이트(10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2)의 위쪽에 고정용볼트(106)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커버(10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2) 또는 상기 상부커버(104)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조절레버(108)와; 상기 상부커버(104)에 설치되며, 측면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럭(110)과;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관통공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을 따라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락킹블럭(114)과;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레버(108)의 움직임에 따라 지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캠(116);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캠(116)의 측면에는 돌출부(116a)와 요입부(116b)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6a)가 상기 락킹블럭(114)과 접촉하면서 상기 락킹블럭(114)을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며, 상기 락킹블럭(114)은 상기 회전캠(116)에 의해 밀려난 상태에서 상기 방전가공용 전극(12)의 중심홈(13)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1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116a)와 상기 락킹블럭(114)이 서로 접촉하는 면에는 일정 길이만큼 직선구간이 형성되어 서로 평면끼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쪽 표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용핀(112);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극(12)이 상기 지그에 고정될 때, 상기 고정용핀(112)은 상기 전극(12)의 아래쪽 표면에 형성된 핀고정구(14)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캠(116)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캠(116)을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118);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회전캠(116)에서 상기 락킹블럭(114)과 만나는 면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경사면(116c)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6c)이 상기 스프링(118)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락킹블럭(114)을 바깥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가공용 전극을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의 정확한 위치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방전가공용 전극과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의 결합을 위해 나사결합방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흑연전극과 같이 단단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진 방전가공용 전극을 방전가공장치용 지그의 정확한 위치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그결합체에 방전가공용 전극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그결합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전극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지그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과 9는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접촉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회전캠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회전캠의 평면 구조와 측면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4는 조절레버가 풀림 상태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조절레버가 잠김 상태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직선구간을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회전캠의 아래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걸림홈의 안쪽면과 락킹블럭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캠이 상승하면서 락킹블럭을 바깥쪽으로 밀어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이하, '지그'라 함)를 설명한다.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전극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지그(100)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NC가공이나 방전가공에 사용되는 전극(12)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방전가공용 전극(12)은 지그(10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공장치에 결합된다. 지그(100)는 일측면으로 노츨된 조절레버(108)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방전가공용 전극(12)과의 결합이 잠기거나 풀리게 된다.
지그(100)는 아래쪽의 하부플레이트(102)와 위쪽의 상부커버(104)가 몸체를 이룬다. 하부플레이트(102)와 상부커버(104) 사이의 내부 공간에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하부플레이트(102)와 상부커버(104)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부플레이트(102)와 상부커버(104)는 고정용볼트(106)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조절레버(108)는 몸체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하부플레이트(102) 또는 상부커버(104)에는 조절레버(108)가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레버(108)가 지면에 대해서 평행인 평면 위에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조절레버(108) 노출홈은 지면에 대해서 평행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부커버(104)의 위쪽으로는 방전가공용 전극(12)을 파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노출된다.
방전가공용 전극(12)은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아랫부분에 중심홈(13)이 형성되어 지그(100)의 상부 구조물이 삽입된다. 지그(100)의 내부에는 회전축이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회전축이 중심홈(1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방전가공용 전극(12)이 가공 공정에서 흔들리지 않게 된다.
방전가공용 전극(12)의 아랫부분 표면에는 몇 개의 핀고정구(14)가 형성된다. 핀고정구(14)에는 지그(100)에 형성된 핀이 삽입되면서 방전가공용 전극(12)이 지그(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해준다.
중심홈(13)의 내부 측면에는 걸림홈(15)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걸림홈(15)은 지그(100)에 설치된 고정수단이 삽입되면서 지그(100)와 방전가공용 전극(12)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걸림홈(15)은 내벽의 안쪽으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단면은 원형이나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걸림홈(15)의 아랫 부분이 돌출되도록 턱을 형성하여 지그(100)와 방전가공용 전극(12)이 작업 도중에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지그(100)의 상세 구조와 결합수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지그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과 9는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접촉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회전캠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회전캠의 평면 구조와 측면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지그(100)의 상부에는 가이드블럭(110)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가이드블럭(110)은 상부커버(104)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데, 가이드블럭(110)의 측면으로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부에 락킹블럭(114)이 설치된다. 락킹블럭(114)은 가이드블럭(110)의 관통공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가이드블럭(110)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방전가공용 전극(12)의 중심홈(13)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력을 높여준다.
가이드블럭(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락킹블럭(114)의 수와 같으며, 락킹블럭(114)이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커버(104)의 위쪽 표면에서 가이드블럭(110)의 주변에는 몇 개의 고정용핀(112)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고정용핀(112)은 방전가공용 전극(12)의 표면에 형성된 핀고정구(14)에 삽입된다. 고정용핀(112)과 핀고정구(14)는 크기와 형상, 위치가 서로 대응되어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고정용핀(112)으로 인해 방전가공용 전극(12)이 지그(100)에 대해서 헛돌거나 회전하지 않게 된다.
가이드블럭(110)의 내부 아래쪽에는 회전캠(116)이 설치되는데, 회전캠(116)의 상부 측면에 락킹블럭(114)이 접촉하게 된다.
락킹블럭(114)은 표면이 걸림홈(15)의 내측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락킹블럭(114)은 회전캠(116)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가이드블럭(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면서 걸림홈(15)의 내측면에 삽입된다. 락킹블럭(114)은 회전캠(116)과의 접촉으로 인해 가이드블럭(110)의 내부로 다시 들어가지 못하고 외부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걸림홈(15)의 내측면을 강하게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방전가공용 전극(12)과 지그(1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회전캠(116)은 조절레버(108)와 결합되는데, 조절레버(108)의 위치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회전캠(116)은 지면에 대해서 또는 방전가공용 전극(12)의 아래쪽 표면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캠(116)은 락킹블럭(114)의 수와 같은 돌출부(116a) 및 요입부(116b)가 형성된다. 돌출부(116a)는 그 표면이 회전캠(116)의 가운데 회전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있는 부분을 말하며, 요입부(116b)는 반대로 가운데 회전축과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부분을 말한다. 돌출부(116a)와 요입부(116b), 그리고 두 개의 부분의 사이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캠작용과 같이 위치에 따라서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락킹블럭(114)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회전캠(116)에는 네 개의 돌출부(116a)와 요입부(116b)가 교대로 배치된다.
락킹블럭(114)의 길이와 회전캠(116)의 직경은 지그(100)의 고정 또는 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절된다. 회전캠(116)이 조절레버(108)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회전하면 돌출부(116a) 또는 요입부(116b)가 락킹블럭(114)의 뒷면과 선택적으로 만나게 된다. 이로 인해 락킹블럭(114)이 가이드블럭(110)의 외부로 나가거나 다시 들어오게 되는데, 이를 통해 방전가공용 전극(12)과 지그(100)의 결합이 풀리거나 잠기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116)의 돌출부(116a)가 락킹블럭(114)의 안쪽과 만나는 상태에서는 락킹블럭(114)이 바깥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되고, 요입부(116b)가 락킹블럭(114)의 안쪽과 만나는 상태에서는 락킹블럭(114)이 안쪽으로 가장 들어온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락킹블럭(114)이 가이드블럭(110)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힘을 발생하는 수단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락킹블럭(114)이 회전캠(116)의 요입부(116b)와 만나는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가이드블럭(110)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도 11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116)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경사면(116c)이 형성된다. 즉, 아래쪽의 직경이 위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락킹블럭(114)과 만나는 부분에서는 아래쪽이 먼저 만나게 된다. 그리고 회전캠(116)의 아래쪽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는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회전캠(116)은 위쪽으로 올라가도록 하는 힘을 받는다. 회전캠(116)의 아래쪽이 직경이 더 크기 때문에 회전캠(116)이 위로 올라가면서 경사면(116c)이 아래쪽에서부터 락킹블럭(114)을 밀어낸다. 이와 같이 회전캠(116)은 조절레버(108)의 회전력과 함께 스프링으로부터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락킹블럭(114)과 더 견고하게 밀착하면서 락킹블럭(114)을 바깥으로 밀어낸다.
도 14는 조절레버가 풀림 상태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5는 조절레버가 잠김 상태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108)을 회전시켜 돌출부(116a) 또는 요입부(116b)가 락킹블럭(114)과 만나게 함으로써 락킹블럭(114)을 바깥으로 이동시키거나 안쪽으로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방전가공용 전극(12)을 지그(100)의 상부에 끼운 상태에서 조절레버(108)를 돌리면 회전캠(116)이 회전하면서 돌출부(116a)가 락킹블럭(114)과 접촉하게 된다. 조절레버(108)를 끝까지 돌리면 돌출부(116a)와 락킹블럭(114)의 중심이 직선상으로 배치되면서 락킹블럭(114)은 가장 바깥으로 밀려난다. 이 상태에서 락킹블럭(114)의 바깥쪽 표면이 걸림홈(15)의 내부에 강하게 삽입되면서 방전가공용 전극(12)이 지그(100)에 잠긴 상태가 된다.
조절레버(108)를 다시 반대로 돌리면, 돌출부(116a)와 락킹블럭(114)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락킹블럭(114)이 가이드블럭(11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방전가공용 전극(12)과 지그(100)가 풀린 상태가 된다.
작업자는 방전가공이 완료된 전극을 분리하여 다음 공정에 투입하고, 새로운 방전가공용 전극(12)을 지그(100)에 결합시켜 새로운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116a)와 락킹블럭(114)의 접촉면에 직선구간을 형성하여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도 16은 락킹블럭과 회전캠의 직선구간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접촉면에 형성된 직선구간이 표시된다.
돌출부(116a)의 표면은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예외적으로 가운데에는 일정한 길이만큼 직선구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락킹블럭(114)에서 돌출부(116a)와 만나는 표면에도 예외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직선구간을 형성한다. 두 개의 직선구간은 돌출부(116a) 및 락킹블럭(114)의 표면의 가운데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선구간이 서로 맞닿으면 곡선구간에 비해 접촉하는 부분이 더 넓어진다. 두 개의 곡면이 만나는 곳은 하나의 점이 되지만, 두 개의 직선구간이 만나는 곳은 평면이 된다. 따라서 돌출부(116a)와 락킹블럭(114)의 직선구간이 서로 평면끼리 만나서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져도 돌출부(116a)와 락킹블럭(114)의 접촉이 쉽게 해제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해 방전가공용 전극(12)과 지그(100)의 결합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회전캠의 아래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8은 걸림홈의 안쪽면과 락킹블럭의 표면 사이에 공간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캠이 상승하면서 락킹블럭을 바깥쪽으로 밀어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회전캠(116)의 아래쪽에는 스프링(118)이 설치되는데, 탄성력이 상하방향으로 발휘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11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캠(116)은 위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방전가공용 전극(12)을 지그(10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락킹블럭(114)의 표면과 전극(12)의 걸림홈(15)의 안쪽면이 밀착이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밀착이 된 상태에서 락킹블럭(114)이 전극(12)을 강하게 바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결합력이 최대가 된다.
그런데 전극(12)이나 락킹블럭(114)의 가공시에 정밀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치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5)의 안쪽면과 락킹블럭(114)의 표면 사이에 유격(D)이 발생할 수 있다. 유격이 생기면 전극(12)과 지그(100)의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가공 작업 중에 전극(12)이 흔들리거나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에 오류가 생기고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세한 유격 등 치수의 오류로 생기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캠(116)이 락킹블럭(114)을 최대한 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프링(118)의 탄성력에 의해 락킹블럭(114)이 끝까지 밀려나가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회전캠(116) 하부의 스프링(118)은 회전캠(116)을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발생한다. 이로 인해 회전캠(116)은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회전캠(116)에서 락킹블럭(114)과 만나는 면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경사면(116c)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116c)은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락킹블럭(114)을 바깥으로 밀어내게 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블럭(114)이 걸림홈(15)의 안쪽면과 닿을 때까지 이동한다. 이로 인해서 락킹블럭(114)이 전극(12)과 최대한 밀착되면서 결합력이 최대로 커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 : 방전가공용 전극 13 : 중심홈
14 : 핀고정구 15 : 걸림홈
100 : 지그 102 : 하부플레이트
104 : 상부커버 106 : 고정용볼트
108 : 조절레버 110 : 가이드블럭
112 : 고정용핀 114 : 락킹블럭
116 : 회전캠 118 : 스프링

Claims (4)

  1. NC가공이나 방전가공용 전극(12)의 고정을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푸는 지그로서,
    하부플레이트(10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2)의 위쪽에 고정용볼트(106)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커버(104)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02) 또는 상기 상부커버(104)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조절레버(108)와;
    상기 상부커버(104)에 설치되며, 측면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블럭(110)과;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관통공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을 따라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복수의 락킹블럭(114)과;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레버(108)의 움직임에 따라 지면에 대해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캠(116)과;
    상기 회전캠(116)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캠(116)을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스프링(118);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캠(116)의 측면에는 돌출부(116a)와 요입부(116b)가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6a)가 상기 락킹블럭(114)과 접촉하면서 상기 락킹블럭(114)을 상기 가이드블럭(110)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며,
    상기 락킹블럭(114)은 상기 회전캠(116)에 의해 밀려난 상태에서 상기 방전가공용 전극(12)의 중심홈(13)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15)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캠(116)에서 상기 락킹블럭(114)과 만나는 면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경사면(116c)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6c)이 상기 스프링(118)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락킹블럭(114)을 바깥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6a)와 상기 락킹블럭(114)이 서로 접촉하는 면에는 일정 길이만큼 직선구간이 형성되어 서로 평면끼리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위쪽 표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용핀(112);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극(12)이 상기 지그에 고정될 때, 상기 고정용핀(112)은 상기 전극(12)의 아래쪽 표면에 형성된 핀고정구(14)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4. 삭제
KR1020180095787A 2018-08-17 2018-08-17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Expired - Fee Related KR10190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87A KR101908031B1 (ko) 2018-08-17 2018-08-17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87A KR101908031B1 (ko) 2018-08-17 2018-08-17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031B1 true KR101908031B1 (ko) 2018-10-15

Family

ID=6386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8031B1 (ko) 2018-08-17 2018-08-17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6313A (zh) * 2020-02-24 2020-06-02 石家庄格力电器小家电有限公司 治具切换工装及机器人
CN118617368A (zh) * 2024-07-02 2024-09-10 响水县环宇轴承座制造有限公司 一种轴承座夹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32B1 (ko) * 2013-05-22 2013-11-29 오재준 마모없고 결착력이 우수한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KR101848912B1 (ko) * 2017-03-30 2018-05-24 주식회사 오토락 가공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32B1 (ko) * 2013-05-22 2013-11-29 오재준 마모없고 결착력이 우수한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KR101848912B1 (ko) * 2017-03-30 2018-05-24 주식회사 오토락 가공물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6313A (zh) * 2020-02-24 2020-06-02 石家庄格力电器小家电有限公司 治具切换工装及机器人
CN118617368A (zh) * 2024-07-02 2024-09-10 响水县环宇轴承座制造有限公司 一种轴承座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09416B2 (ja) 位置決め用保持装置
KR101908031B1 (ko) Nc가공 및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을 위한 지그
EP0485365B1 (en) Device for mounting an electrospark machining electrode
US4763906A (en) System for the rapid change of clamping jaws on a machine tool
KR20220143729A (ko) 피가공물을 홀딩하는 디바이스들 및 관련 방법들
JP2003529449A (ja) リテーナ内において楔体により着脱可能状態でロック可能なパンチ及び型ブッシュ
TWI633951B (zh) 具有可更換刀座的刀架及刀座
US4881727A (en) Clamping mechanism
JP2023545186A (ja) ワークピース保持装置用フィンガー
KR102026224B1 (ko) 공작기계용 더블 그립형 워크홀더장치
US7475466B2 (en) Alignment of body and frame of vehicle
US20030146556A1 (en) Interchangeable locating pin assembly for locating manufactured parts
KR101053371B1 (ko) Ecm 가공장치
JP7398795B2 (ja) クランプ中心可変バイス
KR20170069223A (ko) 기계가공 공구를 위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카트리지와 시스템 및 그러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CN215847039U (zh) 纵树型榫头叶片用夹具
US12383998B2 (en) Steady rest with predictable micron-sized adjustment
EP3599054A1 (en) Easy clamp
EP0096669B1 (en) Milling cutter
USRE34777E (en) Tool ring, a method of making it, and a holding tool for use in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US4045039A (en) Adjustable clamping jaw for chucks
SU1484453A1 (ru) Расточной патрон
CN114160897B (zh) 一种加工倾斜结构的电火花夹具及其倾角调整方法
SU1750852A1 (ru) Резьбовый токарный резец
US4534421A (en) Too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0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