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572B1 - Audio device with DSP Controller Module by touch screen and using method - Google Patents
Audio device with DSP Controller Module by touch screen and us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8572B1 KR101858572B1 KR1020170045176A KR20170045176A KR101858572B1 KR 101858572 B1 KR101858572 B1 KR 101858572B1 KR 1020170045176 A KR1020170045176 A KR 1020170045176A KR 20170045176 A KR20170045176 A KR 20170045176A KR 101858572 B1 KR101858572 B1 KR 1018585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ode
- channel
- controller module
- dsp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0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각종 음향조절장치를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DSP 컨트롤러 모듈의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간단히 터치 동작시켜 음향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손쉽게 음향조절장치를 사용 환경에 따라 자유롭고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Various sound control devices can be operated by simply touching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on the touch screen of the DSP controller module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so that not only a sound professional but also general users can easily and freely adjust the soun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capable of provid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음향조절장치의 설정을 DSP 컨트롤러 모듈의 터치스크린 상의 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간단히 터치 동작시켜 음향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도 손쉽게 상기 음향 조절장치의 음향 조절을 사용 환경에 따라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device including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oustic device including a DSP controller module,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controller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hich include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screen operation so that not only a sound expert but also a general user can easily and freely adjust the sound control of the sound controller .
일반적으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는 디지털 연산에 의해 신호 처리를 하는 하나의 IC(Integrated Circuit) 칩으로 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아키텍쳐를 대폭적으로 개량하여 고속 연산성과 컴팩트를 추구한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기본 조작은 필터링(Filtering), 프리어 변환, 상관 함수의 산출, 부호화, 변복조, 미분, 적분, 적응 신호 처리이다. 또한, DSP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합성, 음성 인식, 음성 부호화, 음성 압축, 중고속 모뎀, 에코 캔슬러(Echo Canceller)등의 기능이 음성 및 통신 시스템에서 채용되고 있다.In general,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is a microprocessor consisting of one integrated circuit (IC) chip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by digital arithmetic. The architecture of the multipurpose microprocessor is greatly improved and a dedicated microprocessor Processor. The basic operations are filtering, free-space transformation, calculation of correlation functions, coding, modulation and demodulation, differentiation, integration, and adaptive signal processing. In addition, functions of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encoding, speech compression, medium speed modem, and echo canceller provided by DSP are employed in voice and communication systems.
도 1은 종래의 앰프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공연장 등에서 사용되는 최소한의 음향 시설은 튜너, 씨디플레이어(1), 다수의 마이크(2) 등으로 구별될 수 있는 음원, 채널 별로 최대 볼륨 등을 제한하는 컴프/리미터(Comp/Limiter)(4), 이퀄라이저(5), 앰프(6), 다수의 스피커(7)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mplifier. A minimum sound facility used in a performance hall or the like is a sound source that can be distinguished by a tuner, a
이러한 음향기기(10)들은 다수의 음향 장치들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면에 수많은 온/오프 스위치, LED, 노브 등을 구비하고 있고, 배면에 오디오 입출력 단자, 비디오 입출력 단자, 제어신호 입출력 단자, 디지털 신호 단자, 컴퓨터 인터페이스 단자 등 수많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의 공연장인 경우에는 수 많은 음향기기(10)들 사이에 거미줄과 같은 복잡한 배선(9)을 형성하게 된다. These
그러나, 이러한 앰프의 구성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앰프에는 상당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는 다양한 음향조절장치들이 배선을 통해 연결되고 이들을 조절하는 것도 전문가가 아니면 배선 연결부터 음향조절장치의 사용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such an amplifi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other words, it is a very complicated and difficult way to use the sound control device from the wiring connection to the conventional amplifier if various sound control devices having considerable size and weight are connected through the wiring and it is not an expert to control them.
또한, 상기 음향조절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PC를 연결한 후에 추가로 각각의 전용 프로그램을 상기 PC에 설치한 후에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조절이 가능하다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sound control devic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ound control devices by using a mouse after connecting separate PCs and then installing each dedicated program in the PC and then executing the dedicated program .
나아가,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음향조절장치들의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앰프를 통한 음향조절장치들의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가가 아니면 실질적으로 일반인은 사용하기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outdoor use, it is very difficult to store and transport these sound control devices, and in the case where fine adjustment of the sound control devices through the amplifier is required according to various use environments, There was a problem.
결국, 이러한 문제점이 생방송 도중이거나 라이브 공연 도중에 발생할 경우에는 음향이 갑자기 나오지 않는 등 공연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전문가 인력이 순간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As a result, when such a problem occurs during a live broadcast or during a live performance,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deteriorates due to a sudden loss of sound, and it is difficult for many experts to be input momentarily to solve the problem.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오디오 앰프 전면에는 볼륨, 음색 및 각종 음향효과를 조절하는 다이얼, 버튼, 스위치 등의 음향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기성 앰프의 음향조절장치들은 이미 제조 시부터 개수, 위치, 효과 정도 등이 결정되어 있고 그것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어 보다 폭넓고 섬세한 앰프 조정에 불편과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in front of an audio amplifier, sound adjustment devices such as dials, buttons, and switches for adjusting volume, tone, and various sound effects are provided. However, The number, location, and degree of effectiveness of the amplifier have been determined and can not be changed by the user.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앰프 및 각종 음향조절장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DSP 컨트롤러 모듈의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장착하여 다이얼, 버튼, 스위치 등의 각종 음향조절장치를 터치스크린 상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표현하여 사용자가 그 그래픽을 손가락이나 터치 펜으로 움직여 음향조절장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장 출고 시에 기 설정된 음향조절장치의 미세한 변경 및 조절도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앰프의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touch screen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DSP controller module so as to adjust the amplifier and various sound control devices, and various sound control devices such as dials, buttons, ),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sound adjusting device by moving the graphic with a finger or a touch pen, and furthermore,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the amplifier including the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finely changing and adjusting the sound adjusting device preset at the factory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하는 DSP 컨트롤러 모듈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음향조절장치의 조절을 구현하여 터치스크린의 조작만으로 각종 음향조절장치의 음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conducted in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As a resul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developed a sound control apparatus using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through the touch screen formed on a DSP controller module including a touch screen function, And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screen operation that can easily adjust the sound of various sound control devices by only operating the touch screen.
또한,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는 출고 시에 기 설정된 음향조절장치들의 기본값(default)도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acoustic apparatus including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controller including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touch-screen capable of changing and adjusting defaults of predetermined sound controllers at the time of ship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기존의 앰프에 간단히 DSP 컨트롤러 모듈을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범용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ound device including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n be applied to a DSP capable of being applied to a general purpose by simply mounting a DSP controller module in a conventional amplifier A controller modu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oustic device including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touch-
다채널 앰프 장치; 및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And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를 제어하는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고,And a DSP controll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는,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includes:
하기 채널선택부에서 선택된 채널의 레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A volum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level of a channel selected by the following channel selecting unit;
하기 채널선택부에서 선택된 채널의 증폭신호를 압축하여 오디오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축소시키는 컴프레서; 및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amplified signal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channel selection unit to reduce the dynamic range of the audio signal; And
하기 채널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의 주파수를 세부적으로 보정하는 등화기(equalizer);를 포함하고,And an equalizer for finely correcting the frequency of the signal selected by the channel selection unit,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은,The DSP controller module includes: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신호변환부;A signal converter including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ppli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상기 신호변환부의 AD 변환기에서 디지털화된 다채널 입력신호 중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거나, 상기 신호변환부의 DA 변환기로 아날로그화된 출력 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a signal to be controlled among the multi-channel input signals digitized in the A / D converter of the signal converter, or selecting a channel of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of the signal converter;
다채널 앰프 장치의 전체 설정을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verall setting of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A user interface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operation; And
제어하고자 하는 설정 값과 제어 결과값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screen display unit for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set value and the control result value to be control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SP controller module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r integrally with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여기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와 TDMA 방식 또는 CDMA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DSP controller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by a TDMA method or a CDMA meth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압력 방식으로 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isplay unit can be configured to be touchable by a capacitive or pressure meth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상기 화면 표시부에는 볼륨 모드, 등화기 모드, 컴프레서 모드, 리미터 모드, 딜레이 모드, 크로스오버 모드, 설정 모드 및 프리셋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isplay uni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volume mode, an equalizer mode, a compressor mode, a limiter mode, a delay mode, a crossover mode,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의 일면에는 선택된 상기 볼륨 모드, 등화기 모드, 컴프레서 모드, 리미터 모드, 딜레이 모드, 크로스오버 모드, 설정 모드 및 프리셋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세부적으로 조절하는 미세조절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a fine adjustment button unit for fine-tuning at least one of the volume mode, the equalizer mode, the compressor mode, the limiter mode, the delay mode, the crossover mode, the setting mode, .
따라서, 화면 표시부를 통한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가 조절한 후에 상기 미세 조절 버튼부를 통해 보다 미세한 조정이 가능한다.Therefore, after the user adjusts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fine adjust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fine adjustment button un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셋 모드는 기 설정된 기본 값(default)을 조절하는 모드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한 정보가 상기 프리셋 모드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mode may be a mode for adjusting a predetermined default value, and in some cases information arbitrarily set by the user may b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reset mode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에는 외부 장치의 연결을 위한 체결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SP controll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for connecting an external device.
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음향 장치에 외부 마이크 또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음향 장치는 상기 외부 마이크 또는 스피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y one of an external microphone or a speaker in the above-described acoustic apparatus. Optionally, the acoustic devic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rnal microphone or speaker.
한편, 본 발명은, (a) DSP 컨트롤러 모듈의 신호변환부를 통해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단계;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converting an analog signal applied through a signal conversion unit of a DSP controller module to digital;
(b) 채널선택부에 의해 상기 디지털화된 다채널 입력신호 중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 단계; (b) a channel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signal to be controlled among the digitized multi-channel input signals by a channel selection unit;
(c) 선택된 상기 신호들이 화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및(c) displaying the selected signals through a screen display; And
(d) 상기 채널의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d)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channel to analog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신호들은 시각화되어 사용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nd a DSP controller module for visualizing the signal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and adjusting the signals through a user touch screen method.
여기서,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조절되는 신호들은 볼륨, 등화기, 컴프레서, 리미터, 딜레이, 크로스오버, 설정 및 프리셋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signals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a volume, an equalizer, a compressor, a limiter, a delay, a crossover, a setting, and a prese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조절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리셋 모드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adjusted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may b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preset mode by the us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는 DSP 컨트롤러 모듈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음향조절장치를 구현하여 터치스크린의 조작만으로 각종 음향조절장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und device including the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sound control device with th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through the touch screen on the DSP controller module, The regulator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는 출고 시에 기 설정된 음향조절장치들의 기본값(default)까지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ound device including the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touch-sc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ffects that can be changed and adjusted to a default value of the sound controllers set at the facto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는 기존의 앰프에 간단히 DSP 컨트롤러 모듈을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범용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coustic device including the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touch-sc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lly applied by simply installing a DSP controller module in an existing amplifier,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reducing the cost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앰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ampl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3 are photographs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uld be constru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for appropriately expres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DSP 컨트롤러 모듈(100)의 사시도, 정면도 및 배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2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DSP 컨트롤러 모듈(100)은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채널 아날로그 입력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조정부(110), 화면 표시부(200), 외부 장치와 체결을 고려하여 형성되어 있는 체결 고정부(101) 및 신호 출력 모드를 조절하는 미세조절 버튼부(121)를 포함하고, 배면에 형성된 AC 전원 입력부(130), 프로그램 입력부(140), 다채널 아날로그 출력 신호부(150), 앰프와 연결되는 AMP 출력부(160) 및 4개의 다채널 아날로그 입력 신호부(1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2 to 4, the
DSP 컨트롤러 모듈(100)는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고 다시 아날로그로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는 집적회로이다.The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0)와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40)를 포함하는 신호변환부(10), 신호변환부(10)의 AD 변환기(30)에서 디지털화된 다채널 입력신호 중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거나, 신호변환부(10)의 DA 변환기(40)로 아날로그화된 출력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20), 채널선택부(20)에서 선택된 채널의 레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11), 다채널 앰프 장치의 전체 설정을 제어하는 메인 MCU(50)과 DSP MCU(60)을 포함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0) 및 제어하고자 하는 설정값과 제어 결과값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re are shown a
상기 제어부는 다채널 앰프 제어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메인 MCU(50)과 DSP MCU(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Micro Processor Unit)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구체적으로, 메인 MCU(50)는 입력되는 신호들을 제어하고 DSP MCU(60)는 메인 MCU(50)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게 된다. 즉, 메인 MCU(50)는 화면 표시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90)를 통해 입력 받아 채널선택부(20) 및 신호변환부(10)를 통해 출력하고, DSP MCU(60)는 각각의 설정 값들을 사용자가 화면 표시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으로 변경 및 조절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신호변환부(10)는 DSP 컨트롤러 모듈(100)에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0)와 제어 처리된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40)를 포함하며, 하나의 예로 DSP 컨트롤러 모듈(100)이 파워 앰프에 관한 것일 때 신호변환부(10)로 입력되는 신호는 프리 앰프(Pre-amplifier)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이다. 프리 앰프는 소스 기기에서 신호를 받아서 들으려는 소스를 선택하고 볼륨을 조절한 후 파워앰프의 입력 레벨에 맞게 신호를 출력하는 기기이다.The
채널선택부(20)는 신호변환부(10)에서 디지털화된 4개의 다채널 입력신호 중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다채널 앰프 혹은 멀티채널 앰프 방식에서, 채널이란 앰프에 연결할 수 있는 단자(스피커)의 개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청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대역 마다 앰프를 사용하여 각각의 대역 마다 전용의 스피커를 울리는 방식을 말한다. 주파수 대역을 몇 개로 분할 하느냐에 따라서 2웨이, 3웨이 방식 등이라 하고, 프리 앰프의 출력을 분할기(멀티 앰프 디바이더)로 필요한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전용의 파워 앰프로 증폭해서 스피커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혼변조 일그러짐이 경감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상기 볼률조절부에는 핑크 노이즈 발생부(70)가 포함되어 있어서, 장비가 설치된 청취 환경에서 별도의 입력 신호 없이 스피커의 출력 소리를 확인하여 설정 값이 환경에 적합한지를 시험할 수 있다.The ball noise control unit includes a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 터치패드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0)는 간소화된 아이콘(ICON)과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간편하게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고 출력을 동시에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0)는 마이크, 물리적 센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사용자인터페이스부(90)와 화면 표시부(200)는 원하는 설정 값의 화면을 터치하여 변경할 수 있는 터치패널 형태로 통합되어 구현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권장된다.It is recommended for the user's convenience that the
이러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구체적인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DSP controller modu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DSP 컨트롤러 모듈(100)의 사용자 인터페이부의 전면 화면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진이 나타나 있고,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DSP 컨트롤러 모듈(100)의 전면 화면 표시부의 각 구성 화면들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5 is a photograph showing a front screen display unit of a user interface unit of the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DSP 컨트롤러 모듈(100)의 화면 표시부(200)는 DSP 컨트롤러 모듈(100)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메뉴와 제어 결과값을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또한, 화면 표시부(200)는 특정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본 발명에 따르면, DSP 컨트롤러 모듈(100)의 화면 표시부(200)는 8개의 메뉴를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화면 표시부(200)에 표시되는 조절 바를 간단히 터치 방식으로 조절하여 소망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사용자는 화면 표시부(200)의 화면을 터치 및 드레그(drag)하여 간단히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뉴(모드) 선택 후에 미세 조절 버튼부(121)을 조절하여 섬세한 설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creen of the
먼저, 볼륨조절 모드(201)은 채널 선택부(20)에서 선택된 4개 채널의 레벨을 조절한다. 각 채널마다 소망하는 크기로 조절이 가능하다.First, the
컴프레서 모드(202)는 채널선택부(20)에서 선택된 채널의 신호 증폭을 적게 하거나 큰 소리를 압축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축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손이나 펜을 사용하여 간단한 터치 또는 드레그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다.The
여기서, 설정한 최대 레벨(스레숄드 레벨) 이하의 신호에 대해서는 아무런 효과도 없지만, 입력 신호 레벨이 그것을 넘으면 증폭률을 감소시켜 출력이 커지는 것을 막는다. 스레숄드 레벨 이상의 신호를 어떤 비율로 억제하는가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레이셔(Ratio)로 표시하여 설정한다. 이것을 최대로 했을 때의 출력 레벨은 결코 스레숄드(Threshold) 레벨 이상을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Here, there is no effect on the signal of the set maximum level (threshold level) or less, but when the input signal level exceeds this level, the amplification factor is reduced to prevent the output from becoming large. The rate at which the signal above the threshold level is suppressed is generally indicated by the Ratio. The output level when this is maximized is set so that it never exceeds the threshold level.
등화기 모드(203)는 채널선택부(20)에서 선택된 신호의 주파수를 31개의 주파수로 분리하여 각 주파수 별로 소리 크기를 조절하여 스피커 특성에 맞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크로스오버 모드(204)는 채널선택부(20)로부터 선택된 전기신호를 주파수 영역별로 분리시키는 일종의 필터(Filter)로서 2웨이 이상의 스피커에서 앰프의 소리 신호를 고역/저역 또는 고역/중역/저역으로 나누고 각 주파수 영역과 음압을 사용자가 터치 또는 드레그 방식으로 조정하여 각 유닛에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딜레이 모드(205)는 4개 채널의 지연시간을 발생시키며, 임의의 시간 값을 설정하여 소스 음에 비해 지연 값이 경과한 뒤에 출력음이 발생되도록 한다.The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딜레이 모드(205)상기 화면 상에서는 임의의 시간값을 설정하거나 거리(m)를 설정하여 출력음이 발생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거리(m)는 기 설정된 15개의 설정 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간단히 상기 15개의 설정 값을 선택하거나 보다 상세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미세 조절 버튼부(121)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따라서, 딜레이 모드(205)의 거리(m)를 간편하게 터치하여 설정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라 보다 우수한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by simply touching and setting the distance m of the
리미터 모드(206)는 채널선택부(20)에서 4개의 채널 중 선택된 채널 신호 최대 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하로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 및 회로로써, 각 채널에서의 최대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의 신호가 가해져서 음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왜곡된 신호에 의해 스피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프리셋(Pre-set) 모드(207)는 사전 설정(PI) 및 사용자 설정(UI)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사전 설정(PI)를 통해 공장 출고 시에 설정된 음향조절장치의 기본값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UI)을 통해 상기 메뉴들의 설정을 다양하게 변경 및 저장하여 다양한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Preset
마지막으로, 설정 모드(208)는 전체적인 메뉴의 설정을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원활하게 상기 메뉴들의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Lastly, the set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구체적인 작동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operation of the DSP controll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4에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DSP 컨트롤러 모듈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nd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도 14 및 도 15를 도 5 내지 도 13과 함께 참조하면, DSP 컨트롤러 모듈(100)은 메인 MCU(50)과 DSP MCU(60)를 포함하는 제어부, 핑크 노이즈 발생기(70)를 포함하는 채널선택부(20) 및 AD 변환기(30)와 DA 변환기(40)를 포함하는 신호변환부(10) 이외에 볼륨선택부(11), 컴프레서부(12), 등화기부(13), 리미터부(16), 크로스오버부(14) 및 4 채널의 딜레이부(15)가 포함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together with FIGS. 5 to 13, the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 표시부(200)을 통해 음향을 소망하는 설정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조절하게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9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메인 MCU(50) 및 DSP MCU(60)를 통해 제어된다. 14, when a user touches and adjusts the screen with a desired setting through the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9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신호는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는 설정 값들이 음향 모드인 볼륨 선택 모드(201), 컴프레서 모드(202), 등화기 모드(203), 리미터 모드(206), 크로스오버 모드(204) 및 딜레이 모드(205)를 통해 입력되어 해당 볼륨선택부(11), 컴프레서부(12), 등화기부(13), 리미터부(16), 크로스오버부(14) 및 4 채널의 딜레이부(15)에 전달되어 신호변환부(10)를 통해 변환되어 최종 출력된다.Here,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프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DSP 컨트롤러 모듈의 신호변환부(10)를 통해 인가되는 디지털로 변환되어 전송되고(S1), 채널선택부(20)에 의해 상기 디지털화된 다채널 입력신호 중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가 선택된다(S2). 이렇게 선택된 신호들은 화면 표시부(200)를 통해 표시된다(S3).As shown in FIG. 15,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amplifier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pplied through the
또, 상기 채널의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S5). 여기서, 사용자는 화면 표시부(200)를 통해 표시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S4).In addition, the signal of the channe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ed (S5). Here, the user can adjust the signals displayed on the
이러한 터치스크린 단계(S4)는 화면 표시부(200)를 통해 표시된 후라면 언제든지 조절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step S4 may be controlled at any time after being displayed through the
따라서, 사용자는 DSP 컨트롤러 모듈(100)의 화면 표시부(200)만을 이용하여 간단한 터치 또는 드레그 동작만으로 각종 음향조절장치의 음향 모드들을 조절 및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and change the sound modes of various sound control apparatuses only by a simple touch or drag operation using only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Claims (12)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를 제어하는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는,
하기 채널선택부에서 선택된 채널의 레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
하기 채널선택부에서 선택된 채널의 증폭 신호를 압축하여 오디오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축소시키는 컴프레서; 및
하기 채널선택부에서 선택된 신호의 주파수를 세부적으로 보정하는 등화기(equalizer);를 포함하고,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은,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신호변환부;
상기 신호변환부의 AD 변환기에서 디지털화된 다채널 입력신호 중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거나, 상기 신호변환부의 DA 변환기로 아날로그화된 출력신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
다채널 앰프 장치의 전체 설정을 제어하되, 입력되는 신호들을 제어하는 메인 MCU 와 상기 메인 MCU 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DSP MCU 을 포함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하고자 하는 설정값과 제어 결과값을 시각화하여 표시하고 볼륨 모드, 등화기 모드, 컴프레서 모드, 리미터 모드, 딜레이 모드, 크로스오버 모드, 설정 모드 및 프리셋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표시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의 일면에는 선택된 상기 볼륨 모드, 등화기 모드, 컴프레서 모드, 리미터 모드, 딜레이 모드, 크로스오버 모드, 설정 모드 및 프리셋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세부적으로 조절하는 미세조절 버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와 장착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And
And a DSP controll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includes:
A volum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level of a channel selected by the following channel selecting unit;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amplified signal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channel selection unit to reduce the dynamic range of the audio signal; And
And an equalizer for finely correcting the frequency of the signal selected by the channel selection unit,
The DSP controller module includes:
A signal converter including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ppli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a signal to be controlled among the multi-channel input signals digitized in the A / D converter of the signal converter, or selecting a channel of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of the signal converter;
A control unit including a main MCU for controlling the overall setting of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and controlling input signals, and a DSP MCU for controlling an output signal of the main MCU;
A user interface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operation; And
A display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olume mode, an equalizer mode, a compressor mode, a limiter mode, a delay mode, a crossover mode, a setting mode, and a preset mode by visually displaying a set value and a control result value to be controlled, ≪ / RTI >
A fine adjustment button unit for fine-tuning at least one of the volume mode, the equalizer mode, the compressor mode, the limiter mode, the delay mode, the crossover mode, the setting mode, and the preset mod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DSP controller module. And,
Wherein the DSP controller module includes the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screen independently formed so as to be mountable with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다채널 앰프 장치와 TDMA 방식 또는 CDMA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SP controller module is connected to the multi-channel amplifier device by a TDMA method or a CDMA method.
상기 화면 표시부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압력 방식으로 터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display unit is capable of being touched by a capacitive or pressure method.
상기 프리셋 모드는 기 설정된 기본 값(default)을 조절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et mode is a mode for adjusting a preset default value.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에는 외부 장치의 연결을 위한 체결 고정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SP controller module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and fixing part for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The sound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7 to 8 includes any one of an external microphone or a speaker. Device.
(b) 채널선택부에 의해 디지털화된 다채널 입력신호 중 제어하고자 하는 신호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 단계;
(c) 선택된 상기 신호들이 화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채널의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신호들은 시각화되어 사용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의 제어방법.
(a) converting an analog signal applied through a signal conversion unit of the DSP controller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7 to 8 to digital;
(b) a channel selecting step of selecting a signal to be controlled among the multi-channel input signals digitized by the channel selecting unit;
(c) displaying the selected signals through a screen display; And
(d)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channel to analog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And the DSP controller module capable of visualizing the signal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and being capable of being adjusted by a user's touch screen method.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조절되는 신호들은 볼륨, 등화기, 컴프레서, 리미터, 딜레이, 크로스오버, 설정 및 프리셋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gnals controlled by the screen display unit are at least one of a volume, an equalizer, a compressor, a limiter, a delay, a crossover, a setting, and a preset mode. Way.
상기 화면 표시부를 통해 조절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프리셋 모드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가능한 상기 DSP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의 제어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information controlled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is stored in the preset mode by a us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45176A KR101858572B1 (en) | 2017-04-07 | 2017-04-07 | Audio device with DSP Controller Module by touch screen and us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45176A KR101858572B1 (en) | 2017-04-07 | 2017-04-07 | Audio device with DSP Controller Module by touch screen and using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58572B1 true KR101858572B1 (en) | 2018-05-16 |
Family
ID=624518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4517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8572B1 (en) | 2017-04-07 | 2017-04-07 | Audio device with DSP Controller Module by touch screen and us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58572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58199B1 (en) * | 2015-05-19 | 2015-10-08 | 주식회사 케빅 | Digital sound mixing apparatus having control function through GUI |
-
2017
- 2017-04-07 KR KR1020170045176A patent/KR10185857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58199B1 (en) * | 2015-05-19 | 2015-10-08 | 주식회사 케빅 | Digital sound mixing apparatus having control function through GUI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531338B2 (en) |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 JP4792156B2 (en) | Voice control system with microphone array | |
| CN1898988B (en) | sound output device | |
| JP2012090092A (en) | Acousti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
| EP4052482A1 (en) | Microphone with adjustable signal processing | |
| CN106713794B (en) | Method for adjusting audio balance and audio system for providing balance adjustment | |
| US9646586B2 (en) | Analog mixer apparatus | |
| KR101558199B1 (en) | Digital sound mixing apparatus having control function through GUI | |
| US8452427B2 (en) | Signal path using general-purpose computer for audio processing and audio-driven graphics | |
| US8503696B2 (en) | Equalizer interface for electronic apparatus | |
| JP2010154389A (en) | Band dividing apparatus | |
| WO2011148624A1 (en) | Volume amplitude limiting device | |
| US10483931B2 (en) | Audio device, speaker devic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 |
| KR101858572B1 (en) | Audio device with DSP Controller Module by touch screen and using method | |
| KR101721406B1 (en) | Adaptive Sound Fiel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
| JP7474559B2 (en) | Audio device, speaker devic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 |
| JP5957964B2 (en) | Sound processing apparatus and sound processing method | |
| KR101518068B1 (en) | Audio device | |
| CN222170014U (en) | Subwoofer Room Corrector | |
| JP2019016851A (en) | Voice processing apparatus, voic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KR200372482Y1 (en) | Mp3 phone charger | |
| JP2019179944A (en) | Voice changeover device | |
| JP6878137B2 (en) | Audio processor,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CN119835570A (en) | Bass speaker room corrector | |
| JP2009206819A (en) | Sound signal processor,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sound signal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medium, display device, and rack for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5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