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251B1 - Convenien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window glass of car - Google Patents
Convenien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window glass of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4251B1 KR101844251B1 KR1020160168513A KR20160168513A KR101844251B1 KR 101844251 B1 KR101844251 B1 KR 101844251B1 KR 1020160168513 A KR1020160168513 A KR 1020160168513A KR 20160168513 A KR20160168513 A KR 20160168513A KR 101844251 B1 KR101844251 B1 KR 101844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panel
- window glass
- switch module
- panel switch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B60K2350/103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46—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윈도 글라스에 조작을 위한 터치 스위치를 마련하고, 차량 외부 또는 내부에서 터치 스위치의 조작으로 편의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 스마트키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및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접촉을 인식하고, 터치 인식 값에 따라 제어 대상인 편의장치를 판별하여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여,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을 구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in which a touch switch for operation is provided in a window glass and a convenience device can be conveniently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a touch switch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vehicle. A touch panel switch module installed in the installed window glass for sensing a user operation; A smart ke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smart key; And a main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ouch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when the smart key is detected by the smart key detection unit and for discriminating and controlling the convenience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ouch recognition value, Convenience device control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 글라스(window glass)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도 글라스에 조작을 위한 터치 스위치를 마련하고, 차량 외부 또는 내부에서 터치 스위치의 조작으로 차량의 다양한 편의장치 기기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위해 많은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편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many convenience devices for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se convenience devices is configured.
예컨대, 도어에 설치되는 윈도 글라스, 실내 온도조절을 위한 공조장치, 답답한 차내 환경 개선을 위한 선루프, 주행 중의 안전을 위한 아웃사이드 미러 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 및 편의장치가 마련되어 있다.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safety and convenience devices such as a window glass installed on the door, an air conditioner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 sunroof for improving the in-vehicle environment, and an outside mirror for safety during traveling.
마련된 안전 및 편의장치는 이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작 스위치는 차량의 전면에 위치하거나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선과 손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 스위치 조작에 따라 편의장치가 동작한다.The safety and convenience devi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operation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The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at a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or at a position where a driver and a passenger can easily operate their eyes and hands, The convenience device operates accordingly.
차량의 편의장치 제어를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6>에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controlling convenience devices of a vehicle are disclosed in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윈도 글래스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를 각각 구비하고, 차량 내측과 외측을 구분하여 터치 동작을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동작에 의해 윈도 글래스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윈도우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을 터치하면 발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동작부,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윈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윈도 터치 스크린 스위치를 구현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윈도 개폐버튼을 일일이 찾을 필요 없이 터치스크린패널의 임의의 위치에서 드래그로 인한 행위로 윈도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window is opened and closed by the action of dragging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without searching the window opening / closing button one by one, it can be conveniently used.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설정된 세기의 무선 통신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 발광부와 대향되어 설치되며, 발광부에서 출력된 무선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연결하는 수광부,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연결하는 채널의 차단이 감지되면 윈도우 개방 혹은 폐쇄의 요구로 판정하고, 채널을 연결하는 신호의 세기로부터 터치 위치를 인식하여 터치된 위치로 윈도우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윈도우의 개폐를 실행하는 모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output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connecting the channels, If it is detected that the channel connecting the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is blocked, it is determined that the window is required to be opened or closed, and the window is moved so that the end of the window is positioned at the touched position by recognizing the touch position from the intensity of the signal connecting the channel And a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s of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이러한 구성을 통해, 터치(Touch) 혹은 제스처(Gesture)를 인식하여 윈도우 개폐를 제공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a touch or a gesture is recognized to provide window opening and closing.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유리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리 도어 외측의 특정 위치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특정 번호를 인식하고 이를 통하여 유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도어용 비접촉식 전자 개폐장치를 제공한다.The conventional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detects a user's body contacting a specific position outside the glass door, and recognizes a specific number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glass door A non-contact type electronic switching device for a glass door is provided.
또한, <특허문헌 5>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낮은 압력으로 접촉함으로써 충분한 검출 각도를 획득하고,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개구부와 투입 조작을 탐지하는 도어 손잡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5 provides a door handle device that acquires a sufficient detection angle by contacting with a low pressure and detects an opening and a closing operation using a piezo sensor.
또한, <특허문헌 6>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터치 리셉터블을 가지는 차량 윈도를 구비하며, 터치 명령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여 차량 액세서리를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6 has a vehicle window having a touch receptor, and detects a touch event of a touch command to control a vehicle accessor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의 편의장치 제어 방식은 차량 내부에서만 제어할 수 있게 구현되므로, 차량 외부에서는 차량 내부의 안전 및 편의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general comfort devic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so as to be controllable only within the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safety and comfort device inside the vehicle outside the vehicle.
이로 인해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후 선루프 개방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차량을 록킹 했다고 가정하면, 운전자는 다시 도어를 오픈하고 차량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선루프를 닫고, 다시 도어를 닫은 후 차량을 잠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f the driver locks the vehicle without recognizing the sunroof opening after the driver gets off the vehicle, the driver opens the door again and closes the sunroof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with power applied to the vehicl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vehicle must be locked after the door is closed again.
또한, 일반적인 차량의 편의장치 제어방식은 운전 중 차량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 제어 시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조작 스위치를 찾아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데, 이때 운전자는 차량 전방의 시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손의 감각에 의지하여 스위치를 인지하고, 스위치를 조작하여 윈도 글라스를 개방 또는 닫도록 조작하게 되므로,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운전 집중력 저하로 인해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vehicle comfort device control method, when a window glass is installed on a vehicle door during operation, a switch is operated by looking for an operation switch installed on a door trim. At this time, There is a fear that malfunction may occur and an accident may be caused due to a decrease in driving concentration, since the switch is recognized by the sensation and the switch is operated to open or close the window glass.
또한, 터치 패널을 이용한 터치 방식으로 윈도 글라스를 제어하는 종래 기술들은 전부 윈도 글라스를 제어하는 기술 구성에 한정되어 있으며, 차량에 설치된 다른 편의 장치는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the window glass by the touch method using the touch panel are all limited to the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window glass, and other convenience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not be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의 안전 및 편의장치 제어 방식과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윈도 글라스에 조작을 위한 터치 스위치를 마련하고, 차량 외부 또는 내부에서 터치 스위치의 조작으로 편의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switch for operating a window glas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that can conveniently control a convenience apparatus by operation of a switc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하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각종 편의장치를 내부 또는 외부에서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that allows a driver and a passenger to freely control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apparatuses of the vehicle, .
여기에 더하여 윈도 글라스의 승하강 장치를 제어할 경우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윈도 글라스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직관적 제어감을 높여주어 사용상 감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when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of the window glass, or by directly touching the window glass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intuitive control feeling to enhance the sensibility in u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제1 실시 예는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 스마트키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접촉을 인식하고, 터치 인식 값에 따라 제어 대상인 편의장치를 판별하여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first embodiment of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uch panel switch installed in a window glass installed on a door of a vehicle, module; A smart ke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smart key; And a main controller for recognizing the touch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when the smart key is detected by the smart key detector and discriminating and controlling the convenience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ouch recognition value.
상기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상기 윈도 글라스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상기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상기 윈도 글라스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embedded in the window glass.
상기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상기 윈도 글라스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install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window glass.
상기에서 메인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이 조작되어도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 unit does not perform a control operation even i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operated while the smart key is not detected by the smart key detection unit.
상기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상기 윈도 글라스의 차량 실내측 일부 표면을 제거 안착면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at the vehicle interior side and forming a seating surface.
상기에서 메인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의 스마트키 검출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터치를 인식하여 제어 대상을 판별하여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that receives a smart key detection signal of the smart key detection unit, recognizes a touch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determines a control target, and controls an object to be controlled .
상기에서 메인 제어부는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윈도 글라스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윈도 글라스 제어모듈;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선루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선루프 제어모듈;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모듈;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엔진 스타트 및 스탑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스타트/스탑 제어모듈;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테일 게이트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테일 게이트 제어모듈;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과 연동하여, 램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램프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 window glass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window glass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 sunroof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sunroof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n out-side mirror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n out-side mirror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n engine start / stop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n engine start and stop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 tailgate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tailgate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nd a lamp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lamp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제2 실시 예는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 스마트키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접촉을 인식하고, 터치 인식 값에 따라 제어 대상인 편의장치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와 테일 게이트 및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체제어모듈(BCM);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SKM);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선루프 개폐를 제어하는 선루프 유닛;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윈도의 개폐를 제어하는 파워 윈도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econd embodiment of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uch panel switch installed in a window glass installed on a door of a vehicle, module; A smart ke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smart key; A main controller for recognizing a touch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when the smart key is detected by the smart key detector and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discriminating a convenience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touch recognition value; A body control module (BCM)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in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can communication to control driving of an outside mirror, a tailgate, and a lamp; A smart key module (SKM)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via can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engine starting; A sunroof unit for controlling the sunroof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main control unit; And a power window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main control unit.
상기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상기 윈도 글라스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윈도 글라스에 내장되며, 상기 윈도 글라스의 표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윈도 글라스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or may be installed in the window glass, an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window glass, respectively, whe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아울러 상기 윈도 글라스 표면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스마트키가 검출될 경우 각각의 제어부가 야간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라이팅 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may be configured so that each control unit can be lit to easily identify the night when a smart key is detected.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잠금 상태 유지 시에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서 차량의 각종 편의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와 탑승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nvenience devices of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is in the locked stat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the occup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터치 패널을 직접 접촉하여 직관적으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보다 만족감 있는 스위치 제어를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satisfactory switch control can be achieved by intuitively operating the switch by directly touching the touch panel by the driver or the passenger.
아울러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에 표시되는 각각의 작동스위치 아이콘이 스마트키가 인지될 경우 라이팅 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each operation switch icon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can be lit when the smart key is recogniz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을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스위치 아이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ienc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ience device control using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witch icon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 1>≪ Example 1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제1 실시 예는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 스마트키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20),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20)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접촉을 인식하고, 터치 인식 값에 따라 제어 대상인 편의장치를 판별하여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0)를 포함한다.A first embodiment of a convenienc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uch
여기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상기 윈도 글라스(1)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uch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상기 윈도 글라스(1) 표면 전부 또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특정위치에 설치되거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uch
이때,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이 윈도 글라스(1) 제작시 윈도 글라스와 글라스로 각각 분리된 형태로 제작하고, 그 사이에 터치 패널스위치 모듈(10)을 내삽하여 윈도 글라스(1)을 제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uch
또한,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상기 윈도 글라스(1)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윈도 글라스(1)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야 차량 외부나 차량 내부에서 편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The touch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과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uch
이러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야간에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 소재 및 라이팅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아울러 야간 식별 라이팅 기능이 추가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운전자 및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라이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uch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20)는 무선으로 스마트키를 검출한다. 예컨대, 스마트키가 감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면 스마트키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30)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감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스마트키 비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30)에 전송한다. 스마트키 검출부(20)와 메인 제어부(30)는 캔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20)에 의해 스마트키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터치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스마트키 비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이 조작되어도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mart key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smart
이렇게 스마트키의 검출 여부에 따라 터치 신호 인식 또는 비 인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허가받지 않은 타인이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동작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touch signal recognition or non-recognition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mart key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that is caused by an unauthorized person operating the touch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20)의 스마트키 검출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터치를 인식하여 제어 대상을 판별하여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윈도 글라스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윈도 글라스 제어모듈(32),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선루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선루프 제어모듈(33),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모듈(34),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엔진 스타트(start) 및 스탑(stop)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엔진 스타트/스탑 제어모듈(35),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테일 게이트(tail gate)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테일 게이트 제어모듈(36),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램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램프 제어모듈(37)을 포함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the window glas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먼저, 차량의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차량 외부나 내부에서 차량에 장착된 편의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1)에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설치한다. 여기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차량에 구비된 운전석 도어에만 설치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모든 도어에 설치할 수 있다. 차량에 구비된 모든 도어의 윈도 글라스에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장착하면,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도 차량의 편의장치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필요에 따라 차량의 모든 도어에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을 장착시키고, 운전자에 의해 지정된 도어의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만 동작시킬 수도 있다.First, a touch
차량 외부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조작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닫히고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조작은 차량 외부 또는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When operating the touch
여기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상기 윈도 글라스(1)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윈도 글라스(1)의 내부에 홈을 파서 안착면을 형성하여 내장시킬 수 있다.Here, the touch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윈도 글라스(1)의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 상기 윈도 글라스(1) 차량 실내측 내면에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윈도 글라스(1)의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차량 외부에서 작동 시 터치 패널 스위치(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정전식 작동방법에 의해 차량의 편의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ouch
또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윈도 글라스(1)의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 상기 윈도 글라스(1)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설치될수 있다. When the touch
이렇게 윈도 글라스(1)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야 차량 외부나 차량 내부에서 편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3은 윈도 글라스(1)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스위치 형상의 예시이다. 이러한 스위치 아이콘을 통해 조작자는 용이하게 제어하고자 하는 편의장치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3 is an example of a switch shape of the touch
윈도 글라스(1)에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장착한 후, 전기적으로 메인 제어부(30)와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연결한다. 여기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입력장치 역할을 하며, 스마트폰에 부착된 터치 패널과 같은 개념으로 동작을 한다. 아울러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는 구동 전원이 상시 공급된다.After the touch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장착한 상태에서, 메인 제어부(30)는 스마트키 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되는 스마트키 검출신호 또는 비 검출신호를 기초로 터치 신호의 인식 시점을 결정한다. 여기서 스마트키가 검출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가받지 않은 타인일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도용 방지나 차량의 도난 방지를 위해 터치 신호를 인식하지 않는다. 여기서 스마트키 검출신호는 전기적으로 3.3V, 스마트키 비 검출신호는 전기적으로 0V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역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 state where the touch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20)에 의해 스마트키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30)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분석하여 제어 대상을 인식한다.When the smart key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smart
도 2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 터치 신호를 인식하는 예시이다.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서 P라고 표시하는 것은 처음으로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 좌표를 나타내며, 이러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을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 아래, 좌, 우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면, 이를 기초로 제어 대상의 조작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2 is an example in which a touch signal is recognized when the touch
또한, 2점 또는 3점 이상이 터치되는 멀티 터치 기능을 적용하여, 멀티 터치 시 보조석의 윈도 제어 시작을 신호하고, 이후 상기의 운전석 제어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로 보조석 윈도를 선택 제어할 수 있다.Further, a multi-touch function in which two or more points are touched is used to signal the start of the window control of the assistant seat in multi-touch, and then the assistant seat window is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input signal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
제어 대상의 조작 상태 인식은 미리 메모리에 테이블 형태로 제어 방법을 등록해 놓음으로써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operation state recognition of the control object can be implemented simply by registering the control method in the form of a table in advance in the memory.
상기 스마트키 검출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메인 제어부(30)의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에서 터치 신호를 인식하고, 도 2의 설명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 대상을 인식하고, 동시에 제어 대상의 제어 방법을 인식한다.When a touch signal is generated in the touch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어 대상 및 제어대상의 제어 방법을 인식하면, 그에 대응하게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동하는 제어모듈에 전달한다.Upon recogniz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 object and the control object through this proces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 object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tho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to be linked.
예컨대, 제어 대상이 윈도 글라스이면 윈도 글라스 제어모듈(32)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제어 대상이 선루프이면 선루프 제어모듈(33)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 대상이 아웃사이드 미러이면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모듈(34)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 대상이 엔진 시동이면 엔진 스타트/스탑 제어모듈(35)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 대상이 테일 게이트이면 테일 게이트 제어모듈(36)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 대상이 램프이면 램프 제어모듈(37)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램프는 전조등, 상향등, 미등, 실내등, 비상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각각의 램프 별로 스위치 아이콘을 마련하게 되면 각각의 램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object is a window glass,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ndow
상기 윈도 글라스 제어모듈(32)은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윈도 글라스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윈도 글라스를 구동시키는 모터(41)를 동작시켜, 윈도 글라스를 자동 제어한다. 윈도 글라스는 어느 윈도인지를 제어 대상을 통해 지정할 수 있으며, 제어 방법을 통해 내리는 것인지 올리는 것인지가 결정된다. 사용자는 단순히 해당 윈도 글라스를 선택하고(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는 터치로써 제어 대상 및 제어 방법을 입력할 수 있다.The window
또한, 선루프 제어모듈(33)은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선루프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선루프 구동부(42)를 구동시켜 선루프를 자동 제어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모듈(34)은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아웃사이드 미러(43)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동작시켜,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 제어한다.The out-side
또한, 상기 엔진 스타트/스탑 제어모듈(35)은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엔진 스타트 또는 스탑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엔진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하는 시동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엔진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ngine start /
또한, 상기 테일 게이트 제어모듈(36)은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테일 게이트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테일 게이트(45)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동작시켜, 테일 게이트를 자동 제어한다.The tail
또한, 상기 램프 제어모듈(37)은 상기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과 연동하여, 램프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램프(46)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동작시켜, 램프를 자동으로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선루프, 아웃사이드 미러, 엔진 스타트/스탑, 테일 게이트, 램프 등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윈도 글라스의 제어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control method of the sunroof, the outside mirror, the engine start / stop, the tail gate, the lamp, etc.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of the window glass.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 센서 패널이 적용된 도어 트림(2)의 예시 도이며, 도 6은 터치 센서 패널이 적용된 도어에서 윈도 제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참조부호 71은 윈도 글래스(도1의 1)를 나타내고, 72는 터치 센서 패널(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 10)을 나타내며, 73은 제어부(도 1의 메인 제어부 30)를 나타내며, 74는 가이드 레일을 나타내고, 75는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며, 76은 감지 센서를 나타내고, 77은 도어 웨더스트립을 나타내며, 78은 벨트 웨더스트립을 나타내고, 79는 글래스 런을 나타내며, 80은 상부 와이어를 나타내고, 81은 구동 모터를 나타내며, 82는 하부 와이어를 나타낸다.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윈도 글라스와 글라스 내부에 위치시켜 윈도 글라스(1)를 제작할 수 있다.The touch
그러나 이와 다른 방법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 글라스(1) 외주 연을 제외한 상태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부착할 경우, 작업자의 편의성 및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 미세한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하여 기포 등의 문제점과 작업 시 작업자에 의한 불량율을 제거할 수 있다.7, when the touch
도 8은 윈도 글라스(1) 외주 연을 제외한 상태에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부착한 경우의 도어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8 shows a structure inside the door when the touch
도 9는 상기 윈도 글라스(1)를 내린 상태에서 조작을 하는 것의 예시로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이 윈도 글라스(1) 전부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참고도이다.9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이때,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윈도 글라스(1)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과 겹쳐지는 곳까지 점착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두께 및 형상 제작방법에 따라 겹쳐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이와 같이 윈도 글라스(1) 전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운전자, 즉 사용자 의도에 따라 윈도 글라스(1)를 하강선택 시 차량의 도어 트림 내부까지 글라스(1)가 진입될 수 없도록 일정 높이(h)까지 진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touch
이렇듯 일정 높이(h) 까지만 내려간 윈도 글라스(1)는 다시 운전자 및 사용자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서 윈도 글라스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 의해 윈도 글라스(1)가 도어 일정 높이(h)까지 내려간 상태에서 다시 윈도 글라스(1)를 상부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자 및 사용자는 터치를 통하여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을 수평방향, 즉 횡 방향으로 터치 시, 윈도 글라스(1)를 상승하도록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operate the
또한,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 인식된 사용자 횡 방향 터치는 수평을 이루지 않아도 일정한 길이 방향의 횡 방향을 인식하면 이를 윈도 글라스(1)를 상승하는 명령으로 인식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lateral touch recognized by the touch
이로써 아래로 내려간 윈도 글라스(1)를 손쉽게 상부로 상승 작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
단, 차량 내부 도어 트림(미 도시)에 설치되는 물리적 파워 윈도 스위치(미도시) 작동 시에는 윈도 글라스(1)가 종래의 파워 윈도 스위치 작동과 동일하게 도어 트림 내부까지 내려가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during operation of a physical power window switch (not shown)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door trim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 글라스(1)가 도어 프레임 상부까지 닫혀진 상태에서 하부로 하강하기 위해서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조작함으로써 윈도 글라스(1)가 작동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이때, 사용자의 종 방향 조작성은 굳이 직각을 이루지 않아도 조작형태의 아래 방향으로 인식되면 이를 윈도 글라스(1)를 아래로 내린다는 신호로 검출 및 판단하여 윈도 글라스(1)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detect and determine the user's longitudinal directional operation as a signal to lower the
도 11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종 방향 조작에 따라 윈도 글라스(1)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사용자의 종 방향 조작에 따라 윈도 글라스(1)가 다사 상승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13은 2점 또는 4점 포인트 인식 시 윈도 글라스(1) 2개소 또는 4개소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 운전자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방법을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의 동작 예시이다.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touch
예를 들어, 원을 그리거나 도형을 그려서 윈도 글라스(1)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실시 예2>≪ Example 2 >
첨부한 도면 도 4는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의 제2 실시 예로서,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 스마트키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20),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20)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의 접촉을 인식하고, 터치 인식 값에 따라 제어 대상인 편의장치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제어부(60), 상기 메인 제어부(6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캔(can)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와 테일 게이트 및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체제어모듈(BCM)(51), 상기 메인 제어부(6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SKM)(52), 상기 메인 제어부(6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선루프 개폐를 제어하는 선루프 유닛(53), 상기 메인 제어부(6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윈도의 개폐를 제어하는 파워 윈도 제어유닛(54)을 포함한다.4 is a second embodiment of a convenience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The touch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상기 윈도 글라스(1)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윈도 글라스(1)에 내장되며, 상기 윈도 글라스(1)의 표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윈도 글라스(1)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uch
이렇게 구성되는 제2 실시 예를 제1 실시 예와 대비하여 보면, 제1 실시 예에서는 메인 제어부(30)에서 차량의 편의장치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제2실시 예는 메인 제어부(60)에서 제어 대상의 판별과 제어 방법에 대한 제어신호만을 해당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에 전달한다.In contrast to the first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the
제2 실시 예의 메인 제어부(60)는 도 1에서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만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It is understood that the
예컨대, 스마트키 검출신호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메인 제어부(60)의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31)에서 터치 신호를 인식하여 제어 대상 및 제어 방법을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a touch signal is generated in the touch
이어, 제어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연동하는 제어모듈에 전달한다.Nex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d objec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to be linked.
예컨대, 제어 대상이 윈도 글라스이면 파워 윈도 제어유닛(54)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제어 대상이 선루프이면 선루프 유닛(53)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 대상이 아웃사이드 미러 또는 테일 게이트 또는 램프이면 차체제어모듈(BCM)(51)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제어 대상이 엔진 시동이면 스마트키 모듈(52)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object is a window glass,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wer
상기 파워 윈도 제어유닛(54)은 상기 메인 제어부(60)와 연동하여, 윈도 글라스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윈도 글라스를 구동시키는 모터(41)를 동작시켜, 윈도 글라스를 자동 제어한다. 윈도 글라스는 어느 윈도인지를 제어 대상을 통해 지정할 수 있으며, 제어 방법을 통해 내리는 것인지 올리는 것인지가 결정된다. 사용자는 단순히 해당 윈도 글라스를 선택하고(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는 터치로써 제어 대상 및 제어 방법을 입력할 수 있다.The power
또한, 선루프 유닛(53)은 상기 메인 제어부(60)와 연동하여, 선루프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선루프 구동부(42)를 구동시켜 선루프를 자동 제어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차체제어모듈(51)은 상기 메인 제어부(60)와 연동하여,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아웃사이드 미러(43)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동작시켜,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 제어한다. 아울러 테일 게이트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테일 게이트(45)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동작시켜, 테일 게이트를 자동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램프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램프(46)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동작시켜, 램프를 자동으로 제어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여기서 메인 제어부(60)와 차체제어모듈(51) 간에는 캔 버스를 통해 캔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Here, data i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아울러 스마트키 모듈(52)은 엔진 스타트 또는 스탑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엔진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하는 시동부(44)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엔진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키 모듈(52) 및 메인 제어부(60)도 캔 버스를 통해 캔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engine start or stop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smart
여기서 선루프, 아웃사이드 미러, 엔진 스타트/스탑, 테일 게이트, 램프 등의 제어 방법은 전술한 윈도 글라스의 제어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control method of the sunroof, the outside mirror, the engine start / stop, the tail gate, the lamp, etc.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of the window glass.
특히, 본 발명의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10)은 종래 도어 윈도 글라스(10)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도어트림(미도시)에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particular, the touch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본 발명은 차량에서 도어를 잠그고 차량 외부 또는 차량 내부에서 편리하게 편의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ique for locking a door in a vehicle and conveniently controlling the comfort device outside the vehicle or inside the vehicle.
10: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 20: 스마트키 검출부
30, 60: 메인 제어부 31: 터치인식 및 제어모듈
32: 윈도 글라스 제어모듈 33: 선루프 제어모듈
34: 아웃사이드 미러 제어모듈 35: 엔진 스타트/스탑 제어모듈
36: 테일 게이트 제어모듈 37: 램프 제어모듈
51: 차체제어모듈(BCM) 52: 스마트키 모듈(SKM)
53: 선루프 유닛(S/Roof unit)
54: 파워 윈도 제어유닛(P/W Control Unit)10: Touch panel switch module 20: Smart key detector
30, 60: main control unit 31: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32: Window glass control module 33: Sunroof control module
34: Outside mirror control module 35: Engine start / stop control module
36: Tail gate control module 37: Lamp control module
51: Body Control Module (BCM) 52: Smart Key Module (SKM)
53: S / Roof unit
54: Power Window Control Unit (P / W Control Unit)
Claims (14)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
스마트키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및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접촉을 인식하고, 터치 인식 값에 따라 제어 대상인 편의장치를 판별하여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차량에 구비된 모든 도어의 윈도 글라스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지정된 도어의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만 선택적으로 동작되며,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야간에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 소재 및 라이팅 기능이 부가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운전자 및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라이팅 기능을 활성화하며,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편의장치 선택을 위한 스위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
A system for conveniently controlling a convenience device by mounting a touch panel on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 touch panel switch module installed in a window glass installed on a door of the vehicle, for sensing a user operation;
A smart ke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smart key; And
And a main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touch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when the smart key is detected by the smart key detection unit and for discriminating and controlling the convenience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ouch recognition value,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mounted on a window glass of all door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selectively operated only by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of the door designated by the driv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provided with a luminous material and a lighting function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at night. The main control unit activates the lighting function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when the driver and the user hold the smart key,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ncludes a switch icon for selecting a convenience device.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installed on a surface of the window glass.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embedded in the window glass.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installed only on one or both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ow glass.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does not perform a control operation even i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operated while the smart key is not detected by the smart key detection unit. system.
The main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for receiving a smart key detection signal of the smart key detection unit and recognizing a touch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to identify a control object and controlling the object to be controlled A comfort control system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12]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comprises: a window glass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window glass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 sunroof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sunroof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n out-side mirror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n out-side mirror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n engine start / stop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n engine start and stop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A tailgate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tailgate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Further comprising a lamp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lamp control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touch recognition and control module.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윈도 글라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
스마트키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마트키 검출부;
상기 스마트키 검출부에 의해 스마트키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접촉을 인식하고, 터치 인식 값에 따라 제어 대상인 편의장치를 판별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와 테일 게이트 및 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체제어모듈(BCM);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모듈(SKM);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선루프 개폐를 제어하는 선루프 유닛; 및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윈도의 개폐를 제어하는 파워 윈도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차량에 구비된 모든 도어의 윈도 글라스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지정된 도어의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만 선택적으로 동작되며,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야간에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 소재 및 라이팅 기능이 부가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운전자 및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의 라이팅 기능을 활성화하며,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편의장치 선택을 위한 스위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
A system for mounting a touch panel serving as a switch in a window glass of a vehicle and controlling the comfort device,
A touch panel switch module installed in a window glass installed on a door of the vehicle, for sensing a user operation;
A smart ke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smart key;
A main controller for recognizing a touch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when the smart key is detected by the smart key detector and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discriminating a convenience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touch recognition value;
A body control module (BCM)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in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can communication to control driving of an outside mirror, a tailgate, and a lamp;
A smart key module (SKM)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control unit via can communication and controlling engine starting;
A sunroof unit for controlling the sunroof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main control unit; And
And a power window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window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main control unit,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mounted on a window glass of all door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selectively operated only by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of the door designated by the driv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provided with a luminous material and a lighting function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at night. The main control unit activates the lighting function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when the driver and the user hold the smart key,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ncludes a switch icon for selecting a convenience device.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installed on a surface of the window glass, or is embedded between the window glass and the glass, and whe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indow glass, Wherein the window glass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상기 터치 패널 스위치 모듈은 미세한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하여 기포 발생을 억제하고, 작업자에 의한 불량률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 글라스를 이용한 편의장치 제어시스템.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according to claim 1 or 8,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mounted on all portions except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ow glass,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forms fine grooves or holes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bubbles and to eliminate a defect rate by an operator.
[Claim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downward movement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h) so that the window glass can not enter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whe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window glas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Convenienc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recognized as a falling of the window glass when a predetermined touch length is recogniz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is recognized as the rise of the window glass when a certain touch length is recognized in the lateral direction A control system for a convenience device usin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Claim 10] The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recognizes that two or four points of the window glas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when two or four point touches are performed.
[Claim 10] The system of claim 10, wherein the touch panel switch module draws a circle or draws a figure to recognize the control information as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window glass, and controls the window glass.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8513A KR101844251B1 (en) | 2016-12-12 | 2016-12-12 | Convenien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window glass of car |
| PCT/KR2017/011575 WO2018110820A1 (en) | 2016-12-12 | 2017-10-19 | Convenience equipment control system using vehicle window gla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8513A KR101844251B1 (en) | 2016-12-12 | 2016-12-12 | Convenien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window glass of ca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44251B1 true KR101844251B1 (en) | 2018-04-02 |
Family
ID=619762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68513A Active KR101844251B1 (en) | 2016-12-12 | 2016-12-12 | Convenien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window glass of ca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44251B1 (en) |
| WO (1) | WO2018110820A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83665B1 (en) * | 2018-12-26 | 2019-05-29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Automatic authentication control apparatus of smart key interlocking touch panel and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TR201903823A2 (en) * | 2019-03-14 | 2019-04-22 | Muhittin Inceelgil | CONTROL OF VEHICLES THROUGH CONTROL PANELS TOUCH THE WINDOWS |
| CN113696852B (en) * | 2021-08-30 | 2022-06-03 |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 Vehicle, locking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
| CN114320078B (en) * | 2021-11-30 | 2023-07-21 | 合众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 A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 sliding touch glass lift switch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8860B1 (en) * | 2015-01-27 | 2016-07-12 |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 Touch Type Window Interworking Smart-Key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85496B1 (en) * | 2008-07-01 | 2010-10-05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vehicle using touch pad module |
| KR20130068537A (en) * | 2011-12-15 | 2013-06-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Open-close system for window and sunroof |
| KR101704066B1 (en) * | 2011-12-20 | 2017-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Windows which Can Recognize Gestures |
| KR101339251B1 (en) * | 2012-06-12 | 2013-12-09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Window open and clos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6
- 2016-12-12 KR KR1020160168513A patent/KR101844251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10-19 WO PCT/KR2017/011575 patent/WO2018110820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38860B1 (en) * | 2015-01-27 | 2016-07-12 |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 Touch Type Window Interworking Smart-Key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83665B1 (en) * | 2018-12-26 | 2019-05-29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Automatic authentication control apparatus of smart key interlocking touch panel and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8110820A1 (en) | 2018-06-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60762B2 (en) | Vehicle having an operator control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vehicle | |
| KR101844251B1 (en) | Convenien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window glass of car | |
| CN106437404B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rear door of a vehicle | |
| US12054108B2 (en) | Roof console for a vehicle | |
| CN106476723B (en) | Intuitive vehicle controls | |
| CN111002946B (en) |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 |
| US8994228B2 (en) |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feedback | |
| US8886414B2 (en) | Method for detecting an actuating motion for an actuator of a motor vehicle equipment element and actuator of a motor vehicle equipment element | |
| KR10153348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actuating a closing element of a vehicle | |
| US20150360646A1 (en) | Swipe and tap verification for entry system | |
| US8590210B2 (en) | Actuation method for an electric window lifter, and actuation unit | |
| CN102029879B (en) | The vehicle anti-pinch with variable thresholding controls and method | |
| US2015001908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hands-free operation of a power window of a vehicle | |
| GB2423808A (en) | Gesture controlle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ories | |
| KR101339251B1 (en) | Window open and clos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GB2546670A (en) | Feature control system | |
| KR101883169B1 (en) |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ouch panel window of car | |
| KR101638860B1 (en) | Touch Type Window Interworking Smart-Key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US20130091773A1 (en) | Power actuated rear gate arrangement | |
| KR102501382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window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 JP2012052302A (en) | Power window device | |
| KR101983665B1 (en) | Automatic authentication control apparatus of smart key interlocking touch panel and method thereof | |
| CA2894297A1 (en) | Swipe and tap verification for entry system | |
| US20220035496A1 (en) | User interface, vehicle having the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
| US20210094484A1 (en) | Vehicle information convey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