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3664B1 - safety fence - Google Patents

safety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664B1
KR101813664B1 KR1020170038329A KR20170038329A KR101813664B1 KR 101813664 B1 KR101813664 B1 KR 101813664B1 KR 1020170038329 A KR1020170038329 A KR 1020170038329A KR 20170038329 A KR20170038329 A KR 20170038329A KR 101813664 B1 KR101813664 B1 KR 10181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building
driving means
platform
wat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환길
Original Assignee
노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환길 filed Critical 노환길
Priority to KR102017003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6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66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47Storey high safety barrier hung from the facade and sliding up from level to level as work prog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따르면, 상기 펜스본체(B)가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이 구비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21)이 구비된 승강대(20)와, 내외측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단은 상기 힌지브라켓(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의 외측단에 힌지결합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이 연결된 방진케이스(40)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아암(30)은 외측단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브라켓(21)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펜스본체(B)를 상승시킬 때는 상기 방진케이스(40)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20)를 고정하면 상기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다.
따라서,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종래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와 달리,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with a new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dust from leaking out.
According to the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nce body (B)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A)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and includes the fixing means (D) and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A plurality of pivotal arms 30 which ar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ward and outward and which have inner ends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as to be vertically pivotable, (40)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driving means (C) is hinged to the outer end of the building (30) and has a tight contact part (41) , And the pivot arm (30) is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pivot arm (30) can be pivoted up and down within a horizontal angular range in a state inclined downward, The fence main body B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ustproof case 4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When the platform 20 is fixed using the fixing means D, So as to prevent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work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in which the fence body B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s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Description

건축공사용 안전펜스{safety fence}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safety fence}

본 발명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with a new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dust from leaking out.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을 시공할 때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여러 층의 슬라브를 시공하고, 상기 슬라브에 벽면을 시공하고 있다.Generally, when a high-rise building is constructed, a plurality of slabs ar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wall surface is formed on the slab.

한편, 이와 같이, 슬라브에 벽면을 시공할 때는 건축물의 외벽면이 개방되어 있음으로,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all surface is applied to the slab,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s opened, so that the operator can not only fall down, but also dust Lt; / RTI >

따라서, 이와 같이 슬라브에 벽면을 시공할 때는, 건축물의 외벽에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측을 막음으로써,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Therefore, when the wall is constructed in such a slab,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block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reby preventing an operator from falling or dus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도 1은 이러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건축물(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되어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C)과,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으로 구성된다.FIG. 1 shows an example of such a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The safety fence includes a guide rail A extending vertically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 a fence (B), elevation driving means (C) connected to the fence body (B)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ence body (B) And fixing means (D) for fixing the fence body (B) so as not to move up and down.

이때, 상기 건축물(1)에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여러층의 슬라브(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은 상기 슬라브(2)의 외측면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building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abs 2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rail A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lab 2.

상기 승강구동수단(C)은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승강시키는 일반적인 윈치를 이용한다.The lifting and driving means C uses a general winch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and driving means C by winding or unwinding a wire connected to the fence body B.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펜스본체(B)를 벽면을 시공하는 층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을 막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벽면을 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fence body B is lifted up to a layer for constructing the wall surface by using the elevation drive means C, and the fence body B is fixed so as not to be lifted or lowered by using the fixing means D, By installing the wall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B cover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or the dus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이러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은 등록실용신안 20-0200917호나, 등록특허 10-026064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such a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is described in detail in a number of prior documents, including Registration No. 20-0200917 or Registration No. 10-0260648,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런데, 이러한 안전펜스는 상기 펜스본체(B)가 가이드레일(A)을 따라 원활히 승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The safety fence is provided so that the fence body B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in order to allow the fence body B to be smoothly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rail A. [

따라서,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을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고, 펜스본체(B)와 건축물(1)의 사이에 틈이 발생됨으로, 상기 벽면을 시공할 때 발생되는 분진이 건축물(1)과 펜스본체(B)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Therefore, since the fence body B can not completely seal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ence body B and the building 1, Which is generated between the fence main body 1 and the fence main body B, to the outsid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with a new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dust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되어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C)과,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을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펜스본체(B)는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이 구비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21)이 구비된 승강대(20)와, 내외측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단은 상기 힌지브라켓(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의 외측단에 힌지결합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이 연결된 방진케이스(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아암(30)은 외측단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브라켓(21)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방진케이스(40)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방진케이스(40)가 상측으로 상승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30)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도록 하여, 방진케이스(40)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rail A extending vert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and a fence main body B (C) which is connected to the fence body (B) and raises and lowers the fence body (B) And a fixing means (D) for fixing the main body (B) so that the main body (B) is not lifted or lowe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ence body (B)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 (20) having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mutually up and down direction, and a bar extending inwardly and outwardly. The hinge bracket (21) A plurality of pivoting arms 30 coupled to the pivoting arm 30, And a dustproof case 40 connected to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so as to be protruded forward by a tightly fitting portion 41 which is hinged to an outer end of the building 1 and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 The pivoting arm 30 is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pivoting arm 30 can be pivoted up and down within a horizontal angle range with the outer end thereof inclined downward, The dustproof case 40 is lifted upward so that the rotation arm 30 is rotated to be horizontal so that the dustproof case 4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ilding 1, The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대(20)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된 작업발판(23)이 구비되고, 상기 작업발판(23)에는 내외측으로 회동시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연장판(24)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발판(23)이 건축물(1)의 슬라브(2)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도록 상기 펜스본체(B)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연장판(24)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펴면, 상기 연장판(24)의 선단부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올려져 작업발판(23)과 슬라브(2)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form 20 is provided with a work footrest 23 that allows the worker to stand up and work, and the work footrest 23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The height of the fence body B is adjusted by using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so that the footrest 23 is elevated to the same height as the slab 2 of the building 1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plate 24 is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foot 23 and the slab 2,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대(20)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6)와, 상기 연장판(24)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27)과,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에는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51)와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수단(52)이 구비되고,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스위치(5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가 있거나 상기 연장판(24)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보수단(52)을 구동시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 operator, comprising: a human body sensor 26 provided on the platform 20 for detecting a worker on the work footstep 23; And control means (50) for receiving signals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6) and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27)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The control means 50 is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5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and an alarm means 5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by the control means 50, When the control switch 51 is oper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ans C, the control means 50 receives the signals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6 an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27, If there is a worker climbing on the work table 23 or if the extension plate 24 is turned inward and is expanded And the alarm means (52) can be driven to output an alarm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is stopp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대(20)에 구비되어 승강대(20)와 함께 승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하도록 된 급수설비(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설비(60)는 선단부에 소방호스나 급수관 등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대(20)의 일측에 고정된 어댑터(61)와, 상기 어댑터(61)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호스(62)와, 상기 연결호스(62)에 구비되어 상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가압하여 상기 어댑터(61)로 공급하는 급수펌프(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water supply facility (60) provided in the platform (20) and elevated together with the platform (20)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high pressure water, (60) comprises an adapter (61) fixed to one side of the platform (20)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 fire hose or a water supply pipe to the tip end, a connection hose (62) connecting the adapter (61) And a water supply pump (63) provided in the connection hose (62) for supplying tap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to the adapter (61).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따르면, 상기 펜스본체(B)가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이 구비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21)이 구비된 승강대(20)와, 내외측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단은 상기 힌지브라켓(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의 외측단에 힌지결합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이 연결된 방진케이스(40)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아암(30)은 외측단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브라켓(21)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펜스본체(B)를 상승시킬 때는 상기 방진케이스(40)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20)를 고정하면 상기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다.According to the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nce body (B)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A)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and includes the fixing means (D) and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A plurality of pivotal arms 30 which ar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wardly and outwardly and whose inner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in a vertical direction, (40)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driving means (C) is hinged to the outer end of the building (30) and has a tight contact part (41) , And the pivot arm (30) is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pivot arm (30) can be pivoted up and down within a horizontal angular range in a state inclined downward, The fence main body B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ustproof case 4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When the platform 20 is fixed using the fixing means D, So as to prevent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work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따라서,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종래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와 달리,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in which the fence body B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s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도 1은 종래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따른 방진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회로구성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proof case according to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되어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C)과,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2 to 7 illustrate a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fence includes a guide rail A extending vert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C) connected to the fence body (B) and elevating and lowering the fence body (B), and a guide rails And fixing means D for fixing the fence body B so as not to be raised or lowered.

이때, 상기 건축물(1)에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여러층의 슬라브(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은 상기 슬라브(2)의 외측면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building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abs 2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rail A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lab 2.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C)은 상기 건축물(1)의 옥상에 설치되며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된 윈치를 이용한다.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uses a winch connected to the fence body B on the roof of the building 1.

상기 윈치는 권취드럼(11)과, 상기 권취드럼(11)에 연결되어 권취드럼(11)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권취드럼(11)에 권취된 와이어(13)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13)는 선단부가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2)로 권취드럼(11)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와이어(13)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펜스본체(B)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The winch includes a winding drum 11, a driving motor 12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11 to rotate the winding drum 11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wire 13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11 And the distal end of the wire 13 is connected to the fence main body B so that the winding drum 11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drive motor 12 to wind or unwind the wire 13, Can be moved up and dow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펜스본체(B)는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이 구비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21)이 구비된 승강대(20)와, 내외측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단은 상기 힌지브라켓(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의 외측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와이어(13)가 연결된 방진케이스(40)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nce main body B includes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21 which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plurality of pivotal arms 30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as to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pivotal arms 30; And a dust-proof case 40 hinged to an outer end of the hing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wire 13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상기 승강대(2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The platform 20 is composed of a metal frame having high strength and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A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회동아암(3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외측단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브라켓(21)에 결합된다.The pivoting arm 30 is formed of a metal bar having high strength. The pivoting arm 30 is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that the pivoting arm 30 can be pivoted up and down within a horizontal angle range, do.

이를 위해, 상기 힌지브라켓(21)에는 상기 회동아암(3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2)가 구비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승되면 상기 회동아암(30)이 상기 스토퍼(22)에 걸려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For this purpose, the hinge bracket 21 is provided with a stopper 22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pivot arm 30, and when the pivot arm 30 is lifted to be horizontal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pivot arm (30) is caught by the stopper (22) and is no longer raised.

상기 방진케이스(40)는 사각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회동아암(30)의 외측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보조힌지브라켓(43)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1)가 전방으로 돌출된다.The dustproof case 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nel shape and an auxiliary hinge bracket 43 hinged to an outer end of the pivot arm 30 so as to be vertically pivotable is vertically spac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And a tight fitting portion 4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is protruded forwar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30)이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방진케이스(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즉,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쪽으로 전진되며, 회동아암(30)이 상측으로 회동되면 방진케이스(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즉,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서 멀어지도록 후퇴된다.2, when the pivot arm 30 is pivoted downward, the dust-proof case 40 advances toward the inside, that is,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1, The dustproof case 40 is retracted away from the outer side of the building 1,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밀착부(41)에는 상기 가이드레일(A)이 삽입되는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41)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A)이 개구부(42)에 삽입됨으로써, 밀착부(41)와 가이드레일(A)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 opening 42 into which the guide rail A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lose contact portion 41. When the close contact portion 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42 so as to prevent mutual interference of the contact portion 41 and the guide rail A. [

이러한 방진케이스(40)는 금속프레임의 외부에 방풍시트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ustproof case 40 may be constructed by coupling a windshield sheet to the outside of the metal frame.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20)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와이어(13)를 풀어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진케이스(4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회동아암(30)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방진케이스(40)가 전진되면서 둘레부에 형성된 밀착부(41)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2, when the wire 13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is loosened in a state in which the platform 20 is fixed so as not to be elevated or lowered using the fixing means D, The case 4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pivoting arm 30 is pivoted downward so that the tightening part 41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case 1 as the dust-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와이어(13)를 감아 올리면, 상기 방진케이스(40)가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회동아암(30)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방진케이스(40)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5, when the wire 13 is wound up by driving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the dust case 40 is pulled upward so that the pivot arm 30 is pivoted upward The dustproof case 4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그리고, 상기 회동아암(30)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면, 상기 회동아암(30)은 상기 힌지브라켓(21)의 스토퍼(22)에 걸려 더 이상 상측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When the pivoting arm 30 is rotated to be horizontal, the pivoting arm 30 is caught by the stopper 22 of the hinge bracket 21 and can not be pivoted upward any more.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D)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구동시켜 방진케이스(40)를 더욱 상측으로 당기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진케이스(40)와 함께 승강대(20)가 함께 상승된다.6, when the fixing device D is released and the elevation drive means C is driven to pull the dustproof case 40 further upward, The platform 20 is lifted together.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케이스(40)와 승강대(20)가 원하는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정지시키고, 상기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승강대(20)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와이어(13)를 풀어내면, 상기 승강대(20)는 하강되지 않고, 상기 방진케이스(40)만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7, the elevation drive means C is st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dustproof case 40 and the platform 20 are lifted to a desired height, When the wire 13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is loosened after fixing the elevator 20 so as not to be elevated or lowered, the platform 20 is not lowered but only the dustproof case 4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1).

따라서, 작업의 진행에 따라 상기 펜스본체(B)를 점차 상승시킴으로서, 건축물(1)에 벽면을 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ence body B can be gradually rais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work, so that the wall surface can be constructed on the building 1.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따르면, 상기 펜스본체(B)가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이 구비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21)이 구비된 승강대(20)와, 내외측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단은 상기 힌지브라켓(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의 외측단에 힌지결합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이 연결된 방진케이스(40)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아암(30)은 외측단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브라켓(21)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펜스본체(B)를 상승시킬 때는 상기 방진케이스(40)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대(20)를 고정하면 상기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작업중에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다.According to the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fence body B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A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21 A plurality of pivotal arms 30 which ar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wardly and outwardly and whose inner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in a vertical direction, (40) hinged to an outer end of the building (1) and hinged to an outer end of the building (1), and a tight fitting part (41) And the pivotal arm 30 is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pivotal arm 30 can be pivoted up and down within a horizontal angle range in a state where the outer end is inclined downward, To the fence body (B The dustproof case 4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When the platform 20 is fixed using the fixing means D, So as to prevent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work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따라서,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종래의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와 달리,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in which the fence body B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s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승강대(20)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된 작업발판(23)이 구비되고, 상기 작업발판(23)에는 내외측으로 회동시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연장판(24)이 구비된다.8 and 9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20 is provided with a pedestal 23 which can be lifted up by an operator, And the extension plate 24 is folded or unfolded.

상기 작업발판(23)은 내외측으로 일정한 넓이를 갖으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면에 올라설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펜스본체(B)를 상승시켰을 때, 상기 건축물(1)의 슬라브(2)의 상면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The work footrest 23 has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worker can be raised on the upper face. When the fence body B is raised, Of the slab 2 of FIG.

상기 연장판(24)은 상기 작업발판(23)과 같은 면적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후단부가 상기 작업발판(23)의 전단부에 경첩(25)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펴면, 선단부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올려져, 작업발판(23)과 슬라브(2) 사이의 틈을 막도록 구성된다.The extension plate 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anel having the same area as the operation footrest 23 and has a rea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footrest 23 by a hinge 25, The front end portion is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 so as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foot 23 and the slab 2. [

그리고, 상기 승강대(20)에는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가 있는 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6)와, 상기 연장판(24)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27)이 구비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에는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연결된다.The pedestal 20 is provided with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6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worker climbing on the work footrest 23 and an open / close detecting means 27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extension plate 24 And a control means 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driving means C is connected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6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ans 27.

상기 인체감지센서(26)는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를 감지하여 작업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으로,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human body sensor 26 detects a worker on the work footrest 23 and outputs a signal when a motion of the worker is sensed. Various kinds of object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do.

상기 개폐감지수단(27)은 상기 작업발판(23)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이 구비된 푸쉬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연장판(24)이 상기 작업발판(23)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외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연장판(24)이 상기 푸쉬버튼을 가압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open / close detecting means 27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pedestal 23 and uses a push switch having a push button protruding upward. The extension plate 24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edal 23 The extension plate 24 presses the pushbutton and outputs a signal when the pushbutton is pivoted outward so as to overlap the upper surface.

상기 제어수단(50)은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51)와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수단(52)이 구비된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스위치(51)를 조작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가 있거나 상기 연장판(24)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보수단(52)을 구동시켜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means 50 is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5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and an alarm means 5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by the control means 50, When the control switch 51 is oper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the signal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6 an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27 is received, The alarming means 52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rais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C is stopped when the line worker is present or when the extension plate 24 is rotated inward and detected to be expanded.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51)를 조작하였을 때,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가 없고, 상기 연장판(24)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접힌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51)를 조작하여 입력한 명령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펜스본체(B)가 승강되도록 한다.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control switch 51 and there is no worker on the work footrest 23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extension plate 24 is turned outwardly and folde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according to an instruction inputted by an operator by operating the control switch (51), so that the fence body (B) is elevated and lowered.

상기 경보수단(52)은 상기 제어수단(50)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작동되어 경광과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The alarm means (52) is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control means (5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utput light and warning sound.

또한, 상기 승강대(20)에는 승강대(20)와 함께 승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하도록 된 급수설비(6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latform 2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facility 60 which is eleva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platform 20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high-pressure water.

상기 급수설비(60)는 상기 승강대(20)의 일측에 고정된 어댑터(61)와, 상기 어댑터(61)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호스(62)와, 상기 연결호스(62)에 구비되어 상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가압하여 상기 어댑터(61)로 공급하는 급수펌프(63)로 구성된다.The water supply equipment 60 includes an adapter 61 fixed to one side of the platform 20, a connection hose 62 connecting the adapter 61 and the water pipe, And a water supply pump 63 for supplying tap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to the adapter 61.

상기 어댑터(61)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선단부에 소방호스나 급수관 등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dapter 6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 fire hose, a water supply pipe, and the like to the tip portion.

따라서, 상기 어댑터(61)에 급수관을 연결하여 벽면의 시공이나 기타 작업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작업중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기 어댑터(61)에 소방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supply pipe can be connected to the adapter 61 to supply the water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surface or other work. When a fire occurs during the operation, the fire hose can be connected to the adapter 61 to suppress the fire have.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는 상기 승강대(20)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된 작업발판(23)이 구비되고, 상기 작업발판(23)에는 내외측으로 회동시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연장판(24)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발판(23)이 건축물(1)의 슬라브(2)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도록 상기 펜스본체(B)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연장판(24)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펴면, 상기 연장판(24)의 선단부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올려져 작업발판(23)과 슬라브(2)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다.The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having the above construction is provided with a pedestal 23 on which the worker can stand and work, and the pedestal 23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The height of the fence body B is adjusted by using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so that the footrest 23 is elevated to the same height as the slab 2 of the building 1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plate 24 is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foot 23 and the slab 2, .

따라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중에 작업발판(23)과 슬라브(2)의 사이로 공구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not only can the operator's convenience be improved, but al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ol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between the work foot plate 23 and the slab 2 during work.

또한, 상기 승강대(20)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6)와, 상기 연장판(24)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27)과,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50)에는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51)와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수단(52)이 구비되고,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스위치(51)를 조작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가 있거나 상기 연장판(24)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보수단(52)을 구동시켜 경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a human body sensor 26 provided on the platform 20 for detecting a worker on the work footrest 23, an opening / closing sensor 27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extension plate 24, (50)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human body sensor (26)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27)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and the control means (50) A control switch 5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and an alarm means 52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50 are provided so that the worker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When the control switch 51 is operated to control the human body sensor 26 and the open / close sensing means 27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human body sensor 23,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turned to the inside and is opened,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is stopped And drives the alarm means 52 to output an alarm.

따라서, 상기 작업발판(23)에 작업자가 있거나 연장판(24)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펴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C)에 의해 펜스본체(B)가 승강되어, 작업자가 낙하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내측으로 회동되어 펴진 연장판(24)이 슬라브(2)에 걸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fence body B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in the state where the work footrest 23 is provided with an operator or the extension plate 24 is pivoted inward to cause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worker is dropp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nded plate 24, which is generated or pushed inward and expanded, from being damaged by the slider 2.

그리고, 상기 승강대(20)에는 승강대(20)와 함께 승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하도록 된 급수설비(60)가 구비됨으로, 상기 급수설비(60)를 이용하여 작업중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기 급수설비(60)를 이용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levator base 2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facility 60 that is eleva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platform 20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high pressure water. And when water is sprayed by using the water supply equipment 60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즉, 이와 같이, 건축중인 건축물(1)의 경우, 용수를 공급하거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수도시설이 구비되지 않음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화재를 진압하는 것 역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building 1 under construction, since it is not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facility for supplying water or suppressing the fire, it is very troublesome to supply the water, and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suppress the fire .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강대(20)에 급수설비(60)가 구비됨으로, 작업중에 필요한 용수를 손쉽게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기 펜스본체(B)를 화제가 발생된 층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급수설비(60)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음으로, 화재의 진압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ater supply facility 60 is provided on the platform 20,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the necessary water during the work, and when the fire is generated, And then water can be supplied by using the water supply equipment 60 to suppress the fir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re can be suppressed very easily.

20. 승강대 30. 회동아암
40. 방진케이스 50. 제어수단
60. 급수설비
20. Platform 30. Rotating arm
40. dustproof case 50. control means
60. Water supply equipment

Claims (4)

건축물(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되어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C)과,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을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펜스본체(B)는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수단(D)이 구비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힌지브라켓(21)이 구비된 승강대(20)와,
내외측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내측단은 상기 힌지브라켓(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의 외측단에 힌지결합되고 둘레면에는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1)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이 연결된 방진케이스(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아암(30)은 외측단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수평을 이루는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브라켓(21)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방진케이스(40)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방진케이스(40)가 상측으로 상승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30)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되도록 하여, 방진케이스(40)가 건축물(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A guide rail A extending vert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A fence main body B vertical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
An elevation driving means C connected to the fence main body B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ence main body B,
And a fixing means (D) provided on the fence body (B) and selectively fixed to the guide rail (A) to fix the fence body (B) so as not to move up and down,
The fence body (B)
A pedestal 20 having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21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
A plurality of pivotal arms 30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And a tight fitting part 41 hinged to the outer end of the pivot arm 30 and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1 protrudes forward, (40)
The pivoting arm 30 is coupled to the hinge bracket 2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pivoting arm 30 can be pivoted up and down within a horizontal angle range in a state where the outer end is inclined downward, When the dustproof case 40 is pulled upward, the dustproof case 40 is raised upward so that the pivotal arm 30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fence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20)에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된 작업발판(23)이 구비되고,
상기 작업발판(23)에는 내외측으로 회동시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된 연장판(24)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발판(23)이 건축물(1)의 슬라브(2)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도록 상기 펜스본체(B)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연장판(24)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펴면, 상기 연장판(24)의 선단부가 상기 슬라브(2)의 상면에 올려져 작업발판(23)과 슬라브(2)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20 is provided with a pedestal 23 that can be lifted up by a worker,
The work footrest 23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late 24 which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being pivoted inward and outward,
The height of the fence body B is adjusted by using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such that the footrest 23 is elevated to the same height as the slab 2 of the building 1,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late 24 can be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2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operation foot plate 23 and the slab 2. [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20)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6)와,
상기 연장판(24)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27)과,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에는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51)와 제어수단(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수단(52)이 구비되고,
작업자가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스위치(5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인체감지센서(26)와 개폐감지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발판(23)에 올라선 작업자가 있거나 상기 연장판(24)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C)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경보수단(52)을 구동시켜 경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3. The method of claim 2,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6 provided on the platform 20 for sensing a worker on the work footrest 23,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ans 27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extension plate 24,
Further comprising control means (50) for receiving signals from said human body sensor (26) and opening / closing means (27) 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aid elevation driving means (C)
The control means 50 is provided with a control switch 5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e means C and an alarm means 52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50,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control switch 5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the control means 50 receives signals of the human body detecting sensor 26 and the opening / closing detecting means 27 The alarm means 52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means C is stopped when there is a worker climbing on the operation footrest 23 or when the extension plate 24 is turned inward and detected to be expanded, And the alarm can be outputted to the safety fence for building constru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20)에 구비되어 승강대(20)와 함께 승강되며 급수원에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하도록 된 급수설비(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설비(60)는
선단부에 소방호스나 급수관 등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대(20)의 일측에 고정된 어댑터(61)와,
상기 어댑터(61)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호스(62)와,
상기 연결호스(62)에 구비되어 상기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가압하여 상기 어댑터(61)로 공급하는 급수펌프(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60) provided in the platform (20) and ascended and descended together with the platform (20)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to supply high - pressure water,
The water supply equipment (60)
An adapter 61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 fire hose, a water supply pipe, and the like to the front end portion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latform 20,
A connection hose 62 for connecting the adapter 61 to the water pipe,
And a water supply pump (63) provided in the connection hose (62) for supplying tap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to the adapter (61).
KR1020170038329A 2017-03-27 2017-03-27 safety fence Expired - Fee Related KR1018136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29A KR101813664B1 (en) 2017-03-27 2017-03-27 safety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29A KR101813664B1 (en) 2017-03-27 2017-03-27 safety f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664B1 true KR101813664B1 (en) 2018-01-30

Family

ID=6107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3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3664B1 (en) 2017-03-27 2017-03-27 safety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66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05B1 (en)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safety fence
KR102363380B1 (en)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safety fence
KR102363390B1 (en)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safety fence
KR102432256B1 (en) 2022-05-31 2022-08-11 김지양 H-beam fixing structure for ground lay
CN115249398A (en) * 2022-06-20 2022-10-28 深圳市万众鸿业智能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fence with anti-theft alarm function
KR102681714B1 (en) * 2023-05-15 2024-07-09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Noise protection panel for gangue foam
KR102720234B1 (en) * 2023-08-21 2024-10-22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insulating gang for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695A (en) * 2004-11-30 2006-06-15 Inaxトステム・ビルリモデリング株式会社 Curing device for building opening construction work
KR100904186B1 (en) * 2008-08-26 2009-06-22 이송복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ers with scaffolding
KR101386054B1 (en) * 2013-04-17 2014-04-16 김중영 Shielding apparatus of mold for constructionwork
JP2016211185A (en) * 2015-05-01 2016-12-15 株式会社丸高工業 Service gondol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695A (en) * 2004-11-30 2006-06-15 Inaxトステム・ビルリモデリング株式会社 Curing device for building opening construction work
KR100904186B1 (en) * 2008-08-26 2009-06-22 이송복 Safety fence for construction workers with scaffolding
KR101386054B1 (en) * 2013-04-17 2014-04-16 김중영 Shielding apparatus of mold for constructionwork
JP2016211185A (en) * 2015-05-01 2016-12-15 株式会社丸高工業 Service gondol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05B1 (en)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safety fence
KR102363380B1 (en)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safety fence
KR102363390B1 (en)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safety fence
KR102432256B1 (en) 2022-05-31 2022-08-11 김지양 H-beam fixing structure for ground lay
CN115249398A (en) * 2022-06-20 2022-10-28 深圳市万众鸿业智能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fence with anti-theft alarm function
CN115249398B (en) * 2022-06-20 2023-12-22 深圳市万众鸿业智能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fence with anti-theft alarm function
KR102681714B1 (en) * 2023-05-15 2024-07-09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Noise protection panel for gangue foam
KR102720234B1 (en) * 2023-08-21 2024-10-22 대동폼웍스 주식회사 insulating gang 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664B1 (en) safety fence
KR102151257B1 (en) fall prevention net
US20180355625A1 (en) Work gondola
US6467575B1 (en) Collapsible spiral-tube escape way
JP4796195B1 (en) Work scaffold equipment
KR102251663B1 (en) Elevator hoistway fall automatic prevention device
JP2010528806A (en) Building fire escape equipment
KR102149054B1 (en) steel fall prevention net
US4122917A (en) Fire rescue equipment
US8783419B2 (en) Low profile wheelchair lift with direct-acting hydraulic cylinders
EP1148185B1 (en) A swimming pool assembly
KR102560658B1 (en) Work boarding device
KR102288213B1 (en) Fire hydrant holder for building firefighting facilities
KR102089226B1 (en)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US11598138B2 (en) Barge lid grain door opening apparatus
KR20220125635A (en) Aerial platform boarding device
JP3955233B2 (en) Waterproof door device
KR102446293B1 (en) ladder truck ride
JP2003321983A (en) Control device for electric shutter device for construction
JP3655382B2 (en) Fire fighting robot
JP2007062862A (en) Pit ladder device
KR102666435B1 (en) ease fire fighting box
JP2001233587A (en) Controller for falling of boom of on-vehicle working machine
KR200413444Y1 (en) Electric lifter
KR102105278B1 (en)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2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22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