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71B1 - Redox flow battery with enhanced operation efficiency - Google Patents
Redox flow battery with enhanced operation efficie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9771B1 KR101609771B1 KR1020150117885A KR20150117885A KR101609771B1 KR 101609771 B1 KR101609771 B1 KR 101609771B1 KR 1020150117885 A KR1020150117885 A KR 1020150117885A KR 20150117885 A KR20150117885 A KR 20150117885A KR 101609771 B1 KR101609771 B1 KR 1016097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stack
- anode
- cathode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014 ion exchange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467 poly(styrenesulfonates)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60002796 polystyrene sulfon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970 polystyrene sulf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020 cross-linked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03 cross-linked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53 poly(phenylenevin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767 polyanili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128 polypyrro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123 polythioph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20001665 Poly-4-vinylphenol Polymers 0.000 claims 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WUCFAJNVTZRLE-UHFFFAOYSA-N 7-thiabicyclo[2.2.1]hepta-1,3,5-triene Chemical compound C1=C(S2)C=CC2=C1 XWUCFAJNVTZR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6 acid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SFWRNGVRCDJHI-UHFFFAOYSA-N alpha-acetylene Natural products C#C HSFWRNGVRCDJ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7 polyace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5 re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53 sulphate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 H01M2/40—
-
- H01M8/244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02E60/528—
Landscapes
- Fuel Cell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영효율 향상된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dox flow cell having improved operating efficiency.
현재 대부분의 에너지를 화석연료로부터 얻고 있으나, 이러한 화석연료의 사용은 대기오염, 산성비 및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이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Currently, most of the energy is obtained from fossil fuels, but the use of such fossil fuels has serious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such as air pollution, acid rain and global warming, and there is a problem of low energy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use of fossil fuels,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최근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국내외적으로 성숙단계에 접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재생에너지의 특성상 시간 및 날씨 등의 환경영향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이 크게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발생된 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의 보급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며, 이러한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레독스 흐름전지(Redox flow batter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lthough the recent renewable energy market has reached maturity in Korea and abro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energy generated du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such as time and weather changes great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Energy Storage System, ESS), which is a large-capacity energy storage system, is in great deman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dox flow battery.
레독스 흐름전지는 충전 및 방전시 양극과 음극이 모두 전해액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생산 및 개발이 용이하며, 전해액 저장조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에너지 저장 용량으로 축소 또는 확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redox flow battery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produced and developed since both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maintained in an electrolyte stat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can be reduced or enlarged to a desired energy storage capacity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electrolyte reservoir.
레독스 흐름전지는 충전과 방전시 양극과 음극 전해질의 활물질로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며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충방전을 수행하는 2차전지로서 이산화탄소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매우 친환경적이며, 전해질은 스택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인 탱크에 보관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장소의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The redox flow cell uses the same material as the active material of the anode and cathode electrolyt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t is a secondary battery that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no carbon dioxide is generated at all. And it is stored in a tank which is a separated separate space,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place is limited.
일반적으로 레독스 흐름전지는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셀을 적층한 스택, 전해질을 보관하는 탱크 및 전해질 탱크에서 스택으로 전해질을 공급하는 펌프로 구성되며, 스택은 이온 교환막, 양극 및 음극 전극 및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셀이 다수개가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In general, redox flow cells consist of stacks of cells where electrochemical reactions take place, tanks for storing electrolytes, and pumps for supplying electrolytes to the stack in an electrolyte tank. The stack consists of an ion exchange membrane, an anode and a cathode, and a fram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stacked.
스택은 레독스 흐름전지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서, 스택 내부는 양극과 음극 전해질이 전자를 교환하여 충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플로우 프레임은 전해질의 이동통로 역할 뿐만 아니라 전극이 실제적으로 전기화학 반응을 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stac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that make up the redox flow cell, and the inside of the stack is designed to perform charging and discharging by exchanging electrons between the anode and cathode electrolyte. Further, the flow frame not only serves as a moving path of the electrolyte, but also serves as a place where the electrode actually performs an electrochemical reaction.
하지만, 종래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내부에서 흐르는 전해액의 흐름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없어 레독스 흐름 전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셀에 결함 발생시 단시간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레독스 흐름 전지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충전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edox flow cell can not observe the flow of the electrolyte flowing from the outside, it can not be confirmed in a short time when a defect occurs in each cell constituting the redox flow battery, And it takes a long time to charge the batte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redox flow battery that can compensate for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서 흐르는 전해액의 흐름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어 셀스택에 결함 발생시 단시간에 확인이 가능하여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ll stack capable of observing the flow of electrolyte flowing from the outsid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redox flow cell.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극, 이온교환막과 음극을 포함하는 셀과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반복 적층하여 형성된 스택; 상기 스택의 양극에 공급되는 양극 전해액이 저장된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상기 스택의 음극에 공급되는 음극 전해액이 저장된 음극 전해액 탱크;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stack formed by repeatedly stacking a cell including an anode,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hode, and a bipolar plate; A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tack is stored; And a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storing a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supplied to a negative electrode of the stack,
상기 스택의 최외측 일면에 위치한 셀은 일측면이 입수라인과 배관 연결되어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음극 전해액 탱크에 저장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상기 양극과 음극으로 각각 공급하고, 상기 스택에 반복 적층된 복수 개의 셀의 상기 양극 및 음극은 외부로 돌출된 투명 흐름관으로 각각 연결되어 인접하여 적층된 양극 및 음극으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각각 유통시키며, 최외측 타면에 위치한 셀은 일측면이 출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흐름관을 통해 상기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유통된 상기 양극 전해액 또는 음극 전해액을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상기 음극 전해액 탱크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한다.A cell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tack is connected to an inlet line on one side thereof to supply the anode electrolyte and the cathode electrolyte stored in the anode electrolyte tank and the cathode electrolyte tank to the anode and the cathode respectively,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plurality of cell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outwardly projecting transparent flow pipe to flow the anod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cathode electrolyte solution to the adjacent cathode and anode stacked layers, And discharging the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solution or the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solu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flow line and flowed through the flow pipe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nto the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and the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입수라인 및 상기 출수라인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최외측에 위치한 상기 셀의 양극 및 음극에 복수 개의 지점에서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line and the outlet line are respectively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lines and are coupled to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outermost cell at a plurality of point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입수라인은 유입구의 직경이 출수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inle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또한, 상기 출수라인은 출수구의 직경이 유입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utflow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outle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또한, 상기 흐름관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4-비닐페놀(P4VP), 폴리스티렌-부타디엔-블록(SBS), 폴리이미드(PI), 폴리우레탄(PU),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ABS),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나일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가교 폴리에틸렌(XLPE), 테트라오르토실리케이트(TEOS),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오펜-폴리티에닐렌비닐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low pipe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butadiene rubber (BR), 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polyurethane (PU),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propylene (PP),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styrene-butadiene block (SBS), polyimide (PI), polyurethane (PU), polyacrylonitrile (PAN), polyvinyl chloride , Polycarbonate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 / ABS),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henylene sulfide (PC), nylon, LDPE, HDPE, XLPE, tetraorthosilicate (TEOS),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polyimide, polystyrene sulphate Nate (PSS), polypyrrole, polyacetyl , Polyphenylene sulfide, poly p-phenylene vinylene, polythiophene-polythienylenevinylen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vinyl alcohol (PVA) And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또한, 상기 흐름관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low pipe is characterized by being elliptical.
또한,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음극 전해액 탱크는 상기 스택이 놓여지는 위치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and the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are plac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tack is placed.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는 스택 측면으로 투명 소재의 타원형 흐름관을 설치하여 셀의 양극 및 음극의 내부로 각각 유통되는 전해액의 흐름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어 레독스 흐름 전지에 결함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 레독스 흐름 전지의 안정성 및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dox flow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liptic flow tube of transparent material on the side of the stack and can observe the flow of the electrolyte flowing into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cell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redox flow ce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는 입수라인 유입구의 직경이 유출구의 직경 보다 크고, 출수라인 유출구의 직경이 유입구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전해액의 유출입 속도 증진을 통한 전해액의 빠른 충·방전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redox flow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inlet line inle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port, and the diameter of the outlet line outle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port. This leads to rapid charging / discharging of the electrolyte by increasing / ca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의 (a) 입수라인 및 (b) 출수라인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dox flow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let line and an outlet port of the (a) inlet line and (b) outflow line of the redox flow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dox flow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을 보다 쉽게 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You will know.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레독스 흐름 전지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noted that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symbols, but are substantially not identical to those of conventional redox flow cell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Furtherm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ing ",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를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는, 양극(220), 이온교환막(211)과 음극(230)을 포함하는 셀(210)과 바이폴라 플레이트(270)를 반복 적층하여 형성된 스택(200); 상기 스택(200)의 양극(220)에 공급되는 양극 전해액이 저장된 양극 전해액 탱크(300); 및 상기 스택(200)의 음극(230)에 공급되는 음극 전해액이 저장된 음극 전해액 탱크(400);를 포함하며, 1, a
상기 스택(200)의 최외측 일면에 위치한 셀(210)은 일측면이 입수라인(240, 240')과 배관 연결되어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300) 및 음극 전해액 탱크(400)에 저장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상기 양극(220)과 음극(230)으로 각각 공급하고, 상기 스택(200)에 반복 적층된 복수 개의 셀(210)의 상기 양극(220) 및 음극(230)은 외부로 돌출된 투명 흐름관(260, 260')으로 각각 연결되어 인접하여 적층된 양극(220) 및 음극(230)으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각각 유통시키며, 최외측 타면에 위치한 셀(210)은 일측면이 출수라인(250, 250')과 연결되어 상기 흐름관(260, 260')을 통해 상기 양극(220) 및 음극(230)으로 각각 유통된 상기 양극 전해액 또는 음극 전해액을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300) 및 상기 음극 전해액 탱크(40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상기 스택(200)은 이온교환막(21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양극(220) 및 음극(230)의 전극이 전해액과 반응하는 셀(210)과 바이폴라 플레이트(270)가 반복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택(200)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셀(210)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270)와 집전체(미도시)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The
상기 셀(210)은 양극(220) 및 음극(230)에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이 각각 공급되어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의 산화환원을 위한 활성 사이트를 제공하는 역할한다.The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의 산화환원 반응이 원활하도록 상기 양극(220) 및 음극(230)에는 활성사이트를 효과적으로 형성시키는 펠트전극이 사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펠트전극은 부직포, 탄소섬유 또는 탄소 페이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계열 또는 레이온(rayon) 계열로 형성된 탄소섬유 펠트전극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 felt electrode that effectively forms an active site may be used for the
상기 바이폴라플레이트(270)는 공지된 다양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전성 그라파이트 플레이트, 페놀 수지에 함침된 그라파이트 플레이트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As the
또한, 상기 집전체(미도시)는 상기 양극(220) 및 음극(230)에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전자가 움직이는 통로로서 충전시 외부로부터 전자를 받아들이거나 방전시 외부로 전자를 내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집전체(미도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 또는 황동을 사용할 수 있다.The current collector (not shown) is a passage through which electrons generated through the redox reac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move in the positive and
상기 셀(210)의 양극(220)에 공급되는 전해액과 음극(230)에 공급되는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은 산화수가 각기 다른 레독스 커플로 이루어진 전해질로 제조된 것이라면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레독스 커플은 산화/환원의 차이에 의해 여러 가지 조합을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V(3+/2+)/V(4+/5+), Fe(2+/3+)/Cr(3+/2+) 레독스 커플을 전해액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레독스 커플은 양극 전해액은 V4+/V5+ 커플을 사용하고, 음극 전해액은 V2+/V3+ 커플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olution supplied to the
상기 레독스 커플을 포함하는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으로 구성된 레독스 흐름전지(10)는 충전시 양극(220)에서는 산화 반응이 음극(230)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전지의 기전력은 양극 전해액과 음극 전해액에 포함된 활물질인 레독스 커플의 표준전극전위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된다.The
상기 입수라인(240, 240')은 상기 셀(2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셀(210)의 일측면에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각각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스택(200)의 최외측 셀(210)의 양극(220)에 공급된 양극 전해액은 흐름관(260)을 통해 인접하는 셀(210)의 양극(220)으로 양극 전해액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스택(200)의 최외측 셀(210)의 음극(230)에 공급된 음극 전해액은 흐름관(260')을 통해 인접하는 셀(210)의 음극(230)으로 음극 전해액을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적층된 셀(210) 전체로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이때, 상기 흐름관(260)은 복수개의 셀(210)에 양극(220) 또는 음극(230)을 각각 연결할 뿐만 아니라, 스택(2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연결되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셀(210)의 내부에서 흐르는 전해액의 흐름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이 발생된 셀(210)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10)에 결함 발생시 레독스 흐름 전지(10)의 전체를 분해하여 확인할 필요없이 결함이 발생된 셀(210)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레독스 흐름 전지(10)의 안정성 및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fault occurs in the
이를 위해, 상기 흐름관(260, 260')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4-비닐페놀(P4VP), 폴리스티렌-부타디엔-블록(SBS), 폴리이미드(PI), 폴리우레탄(PU),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ABS),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나일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가교 폴리에틸렌(XLPE), 테트라오르토실리케이트(TEOS),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오펜-폴리티에닐렌비닐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PVA)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소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또한, 상기 흐름관(260, 260')은 타원형 또는 원형 등의 만곡진 상태로 복수 개의 셀(210)의 양극(220) 또는 음극(230)과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전해액의 공급시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전해액이 원활한 흐름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는 상기 입수라인(240)에 형성된 유입구(241)의 직경이 유출구(24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상기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공급시 효과를 유도해 전해액의 유입 속도 증진을 통한 전해액의 빠른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도 2(a)).The
아울러, 상기 출수라인(250)은 상기 출수라인(250)에 유출구(251)의 직경이 유입구(25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전해액 공급시 전해액의 유출수 속도를 증진시켜 빠른 방전을 유도할 수 있다(도 2(b)).Th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수라인(240, 240') 및 상기 출수라인(250, 250')은 복수개의 라인으로 분기된 형태로 상기 셀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1, the
상기와 같이 입수라인(240, 240') 및 출수라인(250, 250')이 분기된 형태로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셀(2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셀(210)의 양극(220) 및 음극(230)에 각각 공급되는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이 분기된 라인을 따라 분배됨과 동시에 빠른 속도의 전해액 공급 조건에서도 균일하게 전해액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흐름이 일부 구간에서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배됨으로써 전극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 레독스 흐름 전지(10)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는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300) 및 음극 전해액 탱크(400)는 스택(200)이 놓여지는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놓여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상기와 같이 2개의 전해액 탱크가 스택(200)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미운전시 전해액의 역류를 방지하여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10)의 운영 효율 감소를 받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wo electrolyte tanks are located higher than the
또한, 상기 스택(200)는 동일한 형태의 셀(210)을 복수 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셀(210)을 바이폴라 플레이트(270)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수직하게 적층하여 형성시킨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셀(210)을 바이폴라 플레이트(270)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수평하게 배열하여 형성시킨 형태일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스택(200)는 동일한 형태의 셀(210)이 동일 간격 및 너비로 적층 또는 배열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각각의 셀(210)을 분할 가능하기 때문에, 레독스 흐름 전지(10) 가동중 셀(210)에 결함발생시 결함이 있는 셀(210)을 신속하게 대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는 스택(200)의 측면으로 투명 소재의 타원형 흐름관(260, 260')을 설치하여 내부에 흐르는 전해액의 흐름을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어 레독스 흐름 전지(10)에 결함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 레독스 흐름 전지(10)의 안정성 및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는 입수라인(240, 240')의 구경이 출수라인(250, 250')의 구경보다 크기 때문에 전해액의 출수 속도 증진을 통한 전해액의 빠른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10)는 입수라인(240, 240')의 유입구(241) 직경이 유출구(243)의 직경 보다 크고, 출수라인(250, 250')의 유출구(251) 직경이 유입구(253)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전해액의 유출입 속도 증진을 통한 전해액의 빠른 충·방전을 유도할 수 있다.The
10 : 레독스 흐름 전지 200 : 스택
210 : 셀 211 : 이온교환막
220 : 양극 230 : 음극
240 : 입수라인 250 : 출수라인
260 : 흐름관 270 : 바이폴라 플레이트
300 : 양극 전해액 탱크 400 : 음극 전해액 탱크10: redox flow battery 200: stack
210: cell 211: ion exchange membrane
220: anode 230: cathode
240: incoming line 250: outgoing line
260: flow tube 270: bipolar plate
300: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400: negative electrode tank
Claims (7)
상기 스택의 양극에 공급되는 양극 전해액이 저장된 양극 전해액 탱크;
상기 스택의 음극에 공급되는 음극 전해액이 저장된 음극 전해액 탱크;
상기 스택의 최외측 일면에 위치한 셀에 배관 연결되어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음극 전해액 탱크에 각각 저장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최외측 일면에 위치한 셀의 양극과 음극으로 각각 공급하는 입수라인;
상기 스택의 최외측 타면에 위치한 셀에 배관 연결되어 투명 흐름관을 통해 최외측 타면에 위치한 셀의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유통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상기 음극 전해액 탱크로 각각 배출하는 출수라인; 및
상기 스택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택의 복수 개의 셀에 각각 포함된 양극 및 음극을 동일한 극끼리 서로 연결하여 인접하는 양극 및 음극으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각각 순차적으로 유통시킴으로써 상기 스택의 최외측 일면에 위치한 셀에 각각 공급된 상기 양극 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을 상기 스택의 최외측 타면에 위치한 셀로 각각 유통시키는 투명 흐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라인 및 출수라인은 각각 복수 개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상기 스택의 최외측에 위치한 셀의 양극 및 음극과 복수 개의 지점에서 각각 결합되며,
상기 입수라인은 유입구의 직경이 유출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출수라인은 유출구의 직경이 유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전해액의 유출입 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A stack in which a cell including an anode,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a cathode and a bipolar plate are repeatedly stacked;
A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tack is stored;
A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storing a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supplied to a negative electrode of the stack;
An inlet line connected to a cell located on an outermost surface of the stack to supply the anode electrolyte and the cathode electrolyte stored in the anode electrolyte tank and the cathode electrolyte tank to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cell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The anod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cathode electrolyte solution, which are piped to the cell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tack and flowed through the transparent flow pipe to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cell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respectively, are supplied to the anode electrolyte tank and the cathode electrolyte tank An outflow line; And
The anode and the cathod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cells of the stack protruding out of the stac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ame poles so that the anode electrolyte and the cathode electrolyte are sequentially flowed to the adjacent anode and cathode, And a transparent flow tube for pas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ic solutions supplied respectively to the cells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tack to cells located on the other outermost surface of the stack,
Wherein the input line and the outgoing line are respectively branched into a plurality of lines and are coupled to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cell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stack at a plurality of points,
Wherein the inlet line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let, and the outlet line has a diamete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inlet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e can be increased.
상기 투명 흐름관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4-비닐페놀(P4VP), 폴리스티렌-부타디엔-블록(SBS), 폴리이미드(PI), 폴리우레탄(PU),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ABS),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나일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가교 폴리에틸렌(XLPE), 테트라오르토실리케이트(TEOS),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오펜-폴리티에닐렌비닐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arent flow pipe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butadiene rubber (BR), 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polyurethane (PU),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 4-vinylphenol (P4VP) Butadiene block (SBS), polyimide (PI), polyurethane (PU), polyacrylonitrile (PAN), polyvinyl chloride (PVC), polypropylene (PP),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carbonate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C / ABS),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phenylene sulfide (PPS) (PC), nylon, LDPE, HDPE, XLPE, tetraorthosilicate (TEOS), polyaniline, polythiophene, polyethylene dioxythiophene (PEDOT), polyimide, polystyrene sulfonate (PSS), polypyrrole, polyacetyl , Polyphenylene sulfide, poly p-phenylene vinylene, polythiophene-polythienylenevinylen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vinyl alcohol (PVA) Wherein the redox flow cell is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dox flow cells.
상기 투명 흐름관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flow tube is elliptical.
상기 양극 전해액 탱크 및 음극 전해액 탱크는 상기 스택이 놓여지는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전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and the negative electrode electrolyte tank are plac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osition where the stack is plac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7885A KR101609771B1 (en) | 2015-08-21 | 2015-08-21 | Redox flow battery with enhanced operation effici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17885A KR101609771B1 (en) | 2015-08-21 | 2015-08-21 | Redox flow battery with enhanced operation efficiency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09771B1 true KR101609771B1 (en) | 2016-04-07 |
Family
ID=557898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17885A Active KR101609771B1 (en) | 2015-08-21 | 2015-08-21 | Redox flow battery with enhanced operation efficienc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0977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39854B1 (en) * | 2019-02-01 | 2019-11-0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Redox flow battery system and redox flow battery using the sam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A2317452A1 (en) | 1998-01-28 | 1999-08-05 | Chemieco S.R.L. | Redox flow battery system and cell stack |
| US7855005B2 (en) * | 2007-02-12 | 2010-12-21 | Deeya Energy, Inc. | Apparatus and methods of determination of state of charge in a redox flow battery |
| US8632903B2 (en) * | 2011-03-25 | 2014-01-21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 Redox flow batte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2015
- 2015-08-21 KR KR1020150117885A patent/KR1016097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A2317452A1 (en) | 1998-01-28 | 1999-08-05 | Chemieco S.R.L. | Redox flow battery system and cell stack |
| US7855005B2 (en) * | 2007-02-12 | 2010-12-21 | Deeya Energy, Inc. | Apparatus and methods of determination of state of charge in a redox flow battery |
| US8632903B2 (en) * | 2011-03-25 | 2014-01-21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 Redox flow batte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39854B1 (en) * | 2019-02-01 | 2019-11-0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Redox flow battery system and redox flow battery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Daud et al. | Separators used in microbial electrochemical technologi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 |
| CN102055000B (en) | Redox flow battery and method for enabling battery to operate continuously for long time | |
| KR101394255B1 (en) | Redox flow battery and operration method of the same | |
| KR101291753B1 (en) | Manifold for reducing shunt current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 US9257710B2 (en) | Flow battery start-up and recovery management | |
| CN107710487B (en) | Bipolar plates, cell frames, cell stacks and redox flow batteries | |
| KR101335544B1 (en) | Redox flow battery | |
| CN104620432A (en) | Flow-type electrochemical cell | |
| AU2013259537A1 (en) | Vanadium Flow Cell | |
| CN102479963B (en) | Membrane module, flow battery unit and battery pile | |
| CN110447139A (en) | Redox flow batteries electrode, redox flow batteries unit and redox flow batteries | |
| KR101549945B1 (en) | Stack structure of electrochemical flow cell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 US10483568B2 (en) | Module system of redox flow battery | |
| CN201956424U (en) | Double power fluid redox cell stack structure | |
| KR101570700B1 (en) | Manifold and Redox Flow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 KR101609771B1 (en) | Redox flow battery with enhanced operation efficiency | |
| KR20170105765A (en) | Electrolyte reservoir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and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 |
| KR20180121740A (en) | Bipolar plate containing a flow module and redox flow battery comprising thereof | |
| US11769886B2 (en) | Battery cell,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 |
| ES2949794T3 (en) | Coiled redox flow battery | |
| Hosseiny et al. | Ion exchang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 |
| TW202046546A (en) | Battery cell,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 |
| KR20170003479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polymer membrane and reinforced polymer membrane manufactured by the same | |
| CN107946617A (en) | A kind of four storage tank flow battery structures and method for improving electrolyte utilization rate | |
| TW202036971A (en) | Battery cell,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