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5753B1 -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53B1
KR101605753B1 KR1020140190328A KR20140190328A KR101605753B1 KR 101605753 B1 KR101605753 B1 KR 101605753B1 KR 1020140190328 A KR1020140190328 A KR 1020140190328A KR 20140190328 A KR20140190328 A KR 20140190328A KR 101605753 B1 KR101605753 B1 KR 10160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frame
falling
falling object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태환
김덕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9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5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낙하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낙하물이 발생하는 설비의 주변에 낙하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낙하물이 용기로 이송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용기로 낙하물을 유도하는 유도부 및 몸체부에 연결되어 몸체부를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용기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낙하물을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낙코크스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낙코크스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이동 프레임을 코크스 팬의 상부에 배치시키거나 상부로부터 벗어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코크스 팬으로 낙하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닝 설비로부터 발생된 낙코크스를 코크스 팬으로 이송함에 용이하지 않아 낙코크스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수고를 경갑해줄 수 있어, 작업자에게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것을 억제하고, 이로 인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코크스를 신속하게 코크스 팬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낙코크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에 의한 환경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ing apparatus for a drop material, comprising: a body part which is provided to receive a falling object around a facility where a falling object is generated and forms a moving path so that the falling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And a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guiding part and the body part for guiding the body part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or make the body part move away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the falling article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a desired position.
That is, the falling frame can be transferred to the coke pan by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alling coke and disposing the moving frame in which the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falling cok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or deviating from the upper part.
Therefore, it is not easy to transfer the raked coke generated from the coke oven door cleaning facility to the coke pa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of manually handling the latex coke by the operator, thereby restraining the burden on the worker from being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 delay.
Further, the petroleum coke can be quickly transferred to the coke pa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ust or the like generated in the processing of the petroleum coke can be suppressed.

Figure R1020140190328
Figure R1020140190328

Description

낙하물 처리장치{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0001] Falling object process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낙하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를 처리하는 용기의 부착물 제거시 발생하는 낙하물을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낙하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l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ll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transferring falling objects generated when a deposit attached to a container for treating a raw material is removed to a desired position.

일반적으로 고로 내에서 열원, 환원제 등의 역할과 함께 통기성 확보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에서 석탄을 건류하여 제조한다.Generally, the coke used as a means of ensuring ventilation in addition to the role of a heat source, a reducing agent, and the like in a blast furnace is produced by carbonizing coal in a coke oven.

코크스 오븐의 상부에는 장입차가 주행 가능하여 설치되어 석탄을 코크스 오븐의 내부로 장입시키며, 코크스 오븐 일측에는 건류가 완료된 적열 코크스를 코크스 오븐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기가 설치되고, 코크스 오븐 타측에는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는 적열 코크스를 수납하여 이송하는 트랜스퍼카가 배치되며, 트랜스퍼카 하부에는 소화차가 배치된다.An extrud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ke oven to allow coal to be introduced into the coke oven, and an extruder for discharging the gelled coke to the outside of the coke oven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ke oven. An extruder A transfer car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extruded glow-in coke is disposed, and a fire extinguisher is disposed under the transfer car.

코크스 오븐 공정에서의 건류가 완료되면 코크스 오븐의 도어를 개방한 후에 압출기의 램을 코크스 오븐 내측으로 이동시켜 적열 코크스가 트랜스퍼카 측으로 배출되어 소화차에 적재되도록 한다. 이어서, 적열 코크스가 적재된 소화차는 소화탑으로 이동하고, 소화탑에서 분사되는 소화수에 의해 적열 코크스가 소화된다.After the coke oven door is opened, the ram of the extruder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coke oven so that the red coke is discharged to the transfer car side and loaded on the fire extinguisher. Then, the digested car loaded with the glowing coke moves to the digestion tower, and the gypsum coke is digested by the digested water sprayed from the digestion tower.

이와 같은 코크스 오븐에서의 석탄 건류 과정이 이루어질 때 수반되는 화학반응에 의해 탄화실 내부에서는 카본 및 타르가 생성되게 되는데, 생성된 카본과 타르는 도어의 내화물 연와 표면에 생성 부착된다. 이에, 도어의 장착 시에 도어 프레임과 도어 실링부재 간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탄화실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아 코크스 건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Carbon and tar are generated in the carbonaceous chamber by the chemical reaction accompanied by the coal carbonization process in the coke oven, and the carbon and tar are generated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fractory of the door. Accordingly, when the door is mounted, the adhesion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door sealing member is lowered, and the airtightness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is not maintained.

이에, 종래에는 코크스 오븐 설비에 도어 클리너(Door Cleaner)를 설치하여 탄화실 도어를 탈착할 때 도어 클리너에 구비된 다수의 스크래퍼(Scrapper)를 이용하여 도어의 연와에 부착된 카본과 타르를 스크래핑하여 탈거하였다. Conventionally, a door cleaner is installed in a coke oven facility, and a plurality of scrapers provided on a door cleaner are used to scrape off carbon and tar adhered to the door opening of a door when the carcass door is detached. It was removed.

그러나, 탈거된 카본과 타르(이하, 처리물)를 별도로 수거하여 이동시키는 장치가 없어 처리물을 수거하는 용기나 차량 등으로 배출시키는 코크스 호퍼로 처리물을 이송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코크스 오븐 설비의 주위에 처리물이 쌓이게 되어 대기중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이 야기한다. However, since there is no device for collecting and moving the separated carbon and ta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eated material) separately, it is not easy to transfer the treated material to the coke hopper which is discharged into a container for collection of treated water or a vehicle, Environmental pollution is caused because the treated water accumulates around it and is directly exposed to the atmosphere.

또한, 처리물을 코크스 호퍼로 배출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코크스 팬에 쌓여있는 처리물을 코크스 호퍼로 긁어내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하가 초래되어 인명피해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worker uses the coke hopper to scrape off the treated material accumulated in the coke pan manually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into the coke hopper, the load of the worker may be increased and the damage may be caused to the person.

그리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처리물 이송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코크스 오븐으로부터의 열기가 작업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코크스 오븐 설비의 작동을 불가피하게 중단하고 처리물의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worker manually carries out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processed water, the operation of the coke oven facility must be inevitably interrupted and the treated water must be treated, since the heat from the coke oven must not be harmful to the operator.

따라서, 결과적으로 코크스 오븐 설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어 최종적으로는 코크스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As a resul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coke oven facility deteriorate, which ultimately rai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ke.

KRKR 2013-00748672013-0074867 A1A1 KRKR 2013-01238502013-0123850 A1A1 KRKR 2014-00815892014-0081589 A1A1

본 발명은 낙하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송시켜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낙하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lling apparatus which can stably operate a facility by quickly and easily transferring falling objects.

본 발명은 대기 오염 및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낙하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ll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air pollution and a worker's load.

본 발명은 공정 설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가시켜 공정 최종물의 제조 단가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treating fallen objects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process facility and prevent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cess end produ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 장치는 낙하물이 발생하는 설비의 주변에 상기 낙하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낙하물이 용기로 이송되도록 상기 낙하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로 상기 낙하물을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상기 용기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fall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provided to accommodate the falling body around a facility where a falling body is generated and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falling body so that the falling body is transferred to the vessel, An induction part provided in the container for guiding the falling object to the container; And a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to allow the body part to cover the top of the container or make it move away from the top of the container.

상기 몸체부는 바닥면 및 일방향으로의 측면들로 형성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으로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낙하물 받이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xed frame formed of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in one direction, a movable fram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n one direction being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a falling object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in the one direction to form a plan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유도부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부재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유도부재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du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induction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ement path, and induction member conveyance means for forming a closed loop along the movement path at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have.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타방향으로 상기 낙하물 받이를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낙하물 받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도부재의 일단은 상기 낙하물 받이의 상면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The guide memb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fallowers in the other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guide member disposed on the fallowers can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allowers.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이동경로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영역과, 상기 전단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낙하물이 상기 용기로 배출되는 배출 영역 및 상기 전단 영역과 상기 배출 영역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중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moving frame comprises a front end reg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movement path and a discharge reg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front end region and in which the falling matter is discharged to the container and a discharge region for interconnecting the front end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And may include an intermediate region.

상기 유도부재 이송수단이 상기 전단영역 및 상기 배출영역에 상호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를 따라 순환하는 체인을 포함할 때, 상기 배출영역에 장착되는 롤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방향으로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낙하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guide member transfer means comprises a pair of ro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end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and a chain circulating along the roller,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falling material is discharged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discharge port.

상기 전단 영역 및 상기 배출 영역은 상기 중간 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 영역은 상기 전단 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end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may b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termediate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ront end region.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바를 포함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 및 상기 이동바와 상기 구동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including a moving bar reciprocally movable in the moving direction, a driver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and providing power to the moving bar,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actuator.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유도부에는 상기 유도부 이송수단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부가 연결될 수 있다. The body and the guid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tension portion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guide portion transfer means.

상기 설비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클리닝수단 이고, 상기 낙하물은 코크스 오븐 도어에서 제거된 코크스일 수 있다. The facility is a means of cleaning the coke oven door, and the drop may be coke removed from the coke oven do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에 따르면, 원료를 처리하는 설비의 유지보수시 발생하는 낙하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부착된 코크스의 처리시 발생하는 낙코크스를 코크스 팬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착 코크스 처리 후 쌓여있는 낙코크스가 코크스 오븐 주위에 쌓여있다가 코크스팬으로 이송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treating fallen obj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ing objects occurring at the time of maintenance of equipment for treating a raw material can be quickly and easily transferred to a desired position and process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transfer the rake coke produced in the processing of the coke attached to the door of the coke oven to the coke pan.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prevent the accumulated coke oven cake accumulated after the coke oven treatment from being deposited around the coke oven and being conveyed to the coke oven.

즉,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부착된 코크스를 받는 낙하물 받이와, 이를 코크스 팬으로 유도하는 유도부재가 이동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이동 프레임은 코크스 팬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벗어나며 배치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코크스 팬의 작동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코크스 팬으로 낙하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That is, a drop receiver receiving the coke attached to the door of the coke oven and an induction member for guiding the coke to the coke fan are installed in the moving fram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and the moving frame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So that the falling object can be transferred to the coke pan without aff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ke pan.

이에,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닝 설비로부터 발생된 낙코크스를 코크스 팬으로 이송함에 용이하지 않아 낙코크스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수고를 경갑해줄 수 있어, 작업자에게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것을 억제하고, 이로 인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not easy to transfer the raked coke generated from the coke oven door cleaning facility to the coke pa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of manually handling the latex coke by the operator, thereby restraining the burden on the worker from being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 delay.

또한, 낙코크스를 신속하게 코크스 팬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낙코크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에 의한 환경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the petroleum coke can be quickly transferred to the coke pa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ust or the like generated in the processing of the petroleum coke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가 설치된 코크스 오븐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낙하물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낙하물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낙하물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ke oven facility equipped with a fa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falling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lling apparatus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a falling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processing a falling object using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fall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elem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carried out in various ways.

여기서, 장치 또는 구성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Herei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evice or compon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Quot ;, "left," " right, "" lateral," and the like) used herein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does not indicate or imply that it should simply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means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는 처리물이 발생하는 설비의 주변에 구비되어 처리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낙하물 처리장치를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부착된 코크스를 처리하는 도어 클리너로부터 처리되는 낙코크스를 코크스팬으로 이송시키데 적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설비는 코크스 오븐 도어의 클리너이며, 낙하물은 낙코크스이다. The apparatus for treating fallen obj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a facility where the treated water is generated, thereby quickly and easily treating the treated water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following examples, an example in which the fallow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conveying a rake coke treated from a door cleaner for treating a coke attached to a door of a coke oven to a coke oven is described. In other words, the facility is a cleaner of the coke oven door, and the fallen article is a drop coke.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가 설치된 코크스 오븐 설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낙하물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낙하물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낙하물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Hereinafter, a fa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1 is a view showing a coke oven facility equipped with a fa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a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falling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lling apparatus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a falling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processing a falling object using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fall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400)의 설명에 앞서, 석탄을 건류하여 코크스로 제조하는 코크스 오븐 설비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400 for treating a fall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ke oven facility for producing coal as a coke ov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코크스 오븐 설비는 원료탄인 석탄을 건류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의 탄화실로 구성된 코크스 오븐(100)과, 코크스 오븐(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코크스 오븐(100) 내부로 석탄을 장입하는 장입차(200), 코크스 오븐(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류가 완료된 적열 코크스를 압출하는 압출기(300)를 포함한다. 또한,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110)와 근접한 위치에는 도어(110)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도어 클리너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장치(400)는 도어 클리너(D·C)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어 클리너(D·C)로 처리되어 낙하되는 낙코크스를 받아 코크스팬(C·F)의 작동범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코크스팬(C·F)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The coke oven facility includes a coke oven 1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rbonized chambers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space for carburizing coal as raw coal and a coke oven 100 installed at an upper part of the coke oven 100 to charge coal into the coke oven 100 And an extruder 3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ke oven 100 to extrude the glow-plugged coke. A door cleaner for removing deposits adhered to the door 110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door 110 of the coke oven 100. The fall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cleaner D · C and receives the dropped coke processed by the door cleaner D · C, F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coke pan (C · F) in a state in which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ng range of the coke oven (F).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낙하물 처리장치(400)는 낙코크스가 발생하는 도어 클리너(D·C)의 주변에 낙코크스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낙하물이 코크스팬(C·F)으로 이송되도록 낙코크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몸체부(410)와, 몸체부(410) 내부에 구비되며, 코크스팬(C·F)으로 낙코크스를 유도하는 유도부(430) 및 몸체부(410)에 연결되어 몸체부(410)를 코크스팬(C·F)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코크스팬(C·F)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450)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부(410) 및 유도부(430)에는 유도부(430)의 구성 중 일부 구성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부(47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2 to 4, the falling apparatus 400 is provided to receive a drop coke at the periphery of the door cleaner D · C where the drop coke is generated, and the drop is transferred to the coke pan C · F The induction part 430 and the body part 410 which are provided in the body part 410 and guide the rakish coke by the coke pan C · F are provided on the body part 410, And a driving unit 450 that connects the body part 410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C · F or to move the body part 410 to move away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C · F. The body portion 410 and the guide portion 4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ension portion 470 for maintaining a tension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portion 430.

즉, 낙하물 처리장치(400)는 도어 클리너(D·C)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코크스팬(C·F)이 배치되는 곳으로 도어 클리너(D·C)에 의해 처리되는 낙코크스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코크스팬(C·F)이 작동할 때 움직이는 영역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코크스팬(C·F)이 낙하물을 수용할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코크스팬(C·F)의 상부를 커버하며, 코크스팬(C·F)으로의 낙코크스의 이동이 완료된 후 코크스팬(C·F)이 후속 처리를 위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코크스팬(C·F)의 상부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falling object processing apparatus 400 is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the coke pan C · F is dispos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oor cleaner D · C is disposed to a position where the drop coke processed by the door cleaner D · C is conveyed And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C · F)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coke pan (C · F) is arranged to receive the falling objec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ing area when the coke pan F when the coke pan C · F is disposed at a position for subsequent processing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drop coke to the coke pan C · F, .

이하에서는, 코크스팬(C·F)이 낙코크스를 수용할 위치는 수직상태로 배치된 코크스팬(C·F)이 기울어져 상부가 개방된 수평상태로 배치된 경우이며, 코크스팬(C·F)이 후속 처리를 위한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는 본래의 위치, 즉,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진 각도가 다시 복원됨으로써 수직상태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osition at which the coke pan C · F accommodates the dropped coke is a case where the coke pan C · F arranged in a vertical state is inclined and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ed, F are arranged at positions for subsequent processing, the angles of inclination in the state of being arranged in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restored again, so that the state of being arranged in the vertical state will be described.

코크스팬(C·F)은 코크스 오븐(100)설비에서 건식소화설비로 이송되는 코크스를 제외한 낙코크스를 호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퍼는 압출기(30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코크스 오븐(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호퍼는 낙코크스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상부로 유입되는 낙코크스를 그 하부에 구비되는 낙코크스 처리 수단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도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코크스팬(C·F)은 낙코크스가 발생하는 시점, 예컨대, 석탄의 건류가 완료되고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110)가 개방될 때나, 도어(110)에 부착된 카본을 제거하기 위해 도어 클리너(D·C)를 이용한 도어(110)의 클리닝 시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대기한 상태에서 틸팅되어 평면이 지면과 나란해지도록, 즉,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낙코크스를 1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준비 배치된다. The coke pan C · F is for delivering the knocked coke except for the coke to th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n the coke oven 100. The hopper is connected to the extruder 300 and fixed to the coke oven 100 . At this time, the hopper is opened to open the upper part so as to allow the falling coke to flow,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so as to discharge the falling coke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ke processing unit. Here, the coke pan C · F is used to remove the carbon adhered to the door 110 when the raked coke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the coal is completely dried and the door 110 of the coke oven 100 is opened, When the door 110 is cleaned using the door cleaner D · C, the door is eleva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ilted in a waiting state so that the plane is aligned with the ground, that is, horizontally, Ready for deployment.

몸체부(410)는 코크스팬(C·F)에 근접 배치되며, 내부에 낙코크스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도어 클리너(D·C)로부터 떨어지는 낙코크스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형상을 나타낸다. 즉, 몸체부(410)는 수평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코크스팬(C·F)의 준비 배치 상태에서 코크스팬(C·F)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벗어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410)는 바닥면 및 일방향으로의 측면들로 형성된 고정 프레임(4110)과,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방향으로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고정 프레임(4110)의 측면에 연결되는 이동 프레임(4130) 및 고정 프레임(4110)의 바닥면과 평행하는 평면을 형성하며, 일방향으로의 이동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낙하물 받이(4150)를 포함한다. The body portion 410 is disposed close to the coke pan C · F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akecoque is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collect the drop coke falling from the door cleaner D · C . That is, the body portion 410 can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by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vering 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ke pan C · F in the prepared arrangement state of the coke pan C · F. The body 410 includes a fixed frame 4110 formed in a bottom surface and one side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ide in one direction extends in the other direction crossing the one direction, A moving frame 4130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xed frame 4110 and a falling object 4150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oving frame in one direction forming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10.

고정 프레임(4110)는 이동 프레임(4130)을 지지하여 이동 프레임(413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프레임(4110)은 이동 프레임(4130)이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413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고정 프레임(4110)의 내측면에 이동 프레임(41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 프레임(4110)에 접촉되는 이동 프레임(4130)의 외측면에는 회전 가능한 휠과 같은 부재가 장착되어, 휠이 고정 프레임(4110)의 내측면에 삽입되어 이동 프레임(4130)이 고정 프레임(4110)에 삽입된 채로 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 프레임(4110)은 이동 프레임(4130)의 타방향으로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소정 영역만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고정 프레임(4110)은 이동 프레임(4130)의 타방향으로의 전체 영역을 감쌀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구동부(450)가 고정 프레임(4110) 및 이동 프레임(4130)의 동일 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xed frame 4110 supports the movable frame 4130 to provide a guide for moving the movable frame 4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xed frame 4110 is movable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frame 4130 is supported,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frame 4130 can be inserted and mov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10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2 so that the frame 4130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a member such as a rotatable wheel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4130 which contacts the fixed frame 4110 so that the wheel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10, May be formed so as to be easily moved using the wheel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4110. [ At this time, the fixed frame 4110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only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total length of the movable frame 4130 in the other direction, And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driving unit 450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side of the fixed frame 4110 and the movable frame 4130, respectively.

이동 프레임(4130)은 고정 프레임(4110)과 연결되어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4110)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4130)은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체 폭을 기준으로 낙코크스의 이동 경로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영역(A)과, 전단 영역(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낙코크스가 코크스팬(C·F)으로 배출되는 배출 영역(C) 및 전단 영역(A)과 배출 영역(C)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중간 영역(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중간 영역(B)은 도어 클리너(D·C)로부터 떨어지는 고온의 적열 코크스, 즉, 낙코크스를 수집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배출 영역(C)은 낙하물 받이(4150)로 떨어진 낙코크스가 이동하고 코크스팬(C·F)으로 떨어지는 배출홀(E·H)이 형성되고, 유도부(430)의 유도부재 이송수단(4330)이 이동 프레임(4130)의 외측에 장착되는 영역이다. 또한, 전단 영역(A)은 배출 영역(C)을 지나간 유도부재(4310)가 다시 중간 영역(B)으로 돌아오기 위해 복귀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전단 영역(A) 및 배출 영역(C)은 상대적으로 중간 영역(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전단 영역(A) 쪽으로 낙하하는 낙코크스가 용이하게 중간 영역(B)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하고, 배출 영역(C)은 하부에 코크스팬(C·F)이 배치될 수 있도록 코크스팬(C·F)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이동 프레임(4130)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배출 영역(C)은 전단 영역(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코크스팬(C·F)의 상단과 충돌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movable frame 4130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4110 and extends in the other direction, and may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4110. The moving frame 4130 is formed at the front end region A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ement path of the rakecoque with reference to the entire width extend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front end region A, A discharge region C discharged to the coke pan C · F and an intermediate region C for connecting the front end region A and the discharge region C with each other. That is, the middle area B is a space for collecting the hot glow coke, that is, the low grade coke, falling from the door cleaner D · C. The discharging area C is formed by a discharging hole E · H through which the dropping coke transferred to the dropping tray 4150 is moved and dropped to the coke pan C · F and the guide member transporting means 4330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movable frame 4130. Fig. The front end area A is an area where the guide member 4310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area C returns to return to the middle area B again. Here, the front end region A and the discharge region C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region B,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drop coke falling toward the front end region A easily flows into the middle region B So that the moving frame 4130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coke pan C · F so that the coke pan C · F can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region C . Therefore, the discharge region C is formed to be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front end region A, and can be formed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upper end of the coke pan C · F.

낙하물 받이(4150)는 낙코크스가 낙하되어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서, 낙하물 받이(4150)는 고정 프레임(4110)의 바닥면과 평행하는 평면을 구비하여 이동 프레임(4130)의 사이로 낙코크스가 통과하여 고정 프레임(4110) 상에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낙하물 받이(4150)는 유도부(430) 구성이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유도부재(4310) 중 일단이 낙하물 받이(4150)의 상면과 접촉하여 낙하물 받이(4150) 상의 낙코크스를 긁어내거나 밀어내며 배출 영역(C)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낙하물 받이(4150)는 전단 영역(A)에서 중간 영역(B)과 근접한 일부구간과, 중간 영역(B) 및 배출 영역(C)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중간 영역(B)과 배출 영역(C)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유도부재(4310)와 접촉 배치될 수 있으나, 낙하물 받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단 영역(A), 중간 영역(B) 및 배출 영역(C)에서의 체인이 형성하는 라인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전단 영역(A)의 유도부재(4310)와도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allowing pan 4150 is provided with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10 so that the fallow cans pass through the moving frame 4130 and are fixed And serves to block falling on the frame 4110. The fallowers 4150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construction of the guide portion 430 so that one end of the guide member 4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allowers 4150 to scrape or push out the fallow cokes on the fallowers 4150, To the region (C).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fallowing object 415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intermediate region B and the discharge region C, The intermediate region B and the discharge region C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4310 disposed at the top in the discharge region B and the discharge region C, And can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guide member 4310 of the front end region A as well.

유도부(430)는 낙하물 받이(4150)에 떨어지는 낙코크스를 배출 영역(C)으로 긁어내거나 밀어내어 배출홀(E·H)을 통해 코크스팬(C·F)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이동 프레임(4130)에 장착 구비되는 것으로서, 유도부(430)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부재(4310)와 이동 프레임(4130)의 내측면에서 이동 경로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유도부재 이송수단(4330)을 포함한다. 이때, 유도부재 이송수단(4330)은 일방향으로의 이동 프레임(4130)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롤러(4331)가 전단 영역(A) 및 배출 영역(C)에 각각 장착되며, 폐루프를 형성하는 체인이 이동 프레임(4130)의 일방향으로의 내측면에 근접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유도부재(4310)는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체인(4333)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4331) 중 어느 한 롤러(4331)에는 롤러(4331)를 회전시키는 회전기(4335)가 연결되어 있어, 회전기(4335)의 동력 제공에 따라 롤러(4331)가 회전하며, 회전하는 롤러(4331)를 따라 체인(4333)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함으로써 체인(4333)에 연결된 유도부재(4310) 또한 체인(4333)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유도부재(4310)는 무한궤도로 회전함에 있어서 낙하물 받이(415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를 지나갈 때에는 낙하물 받이(4150)의 상부로 낙하된 낙코크스를 긁어내거나 밀어내며 배출 영역(C) 쪽으로 이송시키며, 배출 영역(C)에 배치되는 롤러(4331)를 기준으로 낙하물 받이(4150)의 하부에 배치될 때에는 낙하물 받이(4150)의 상부에 배치될 때까지는 추가적으로 낙코크스를 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도부재(4310)는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연장 형성되는 폭은 양단이 각각 체인(4333)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의 연장 폭은 무한궤도로 형성된 체인(4333)에 달려있는 유도부재(4310)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낙하물 받이(4150)의 상면과 체인(4333) 사이의 이격거리가 유도부재(4310)의 상하방향으로의 연장 길이의 중심이 되어 유도부재(4310)가 낙하물 받이(4150)의 상면에 접촉 배치되더라도 체인(4333)이 들뜨거나 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E·H)은 유도부(430)의 한 쌍의 롤러(4331) 중 배출 영역(C)에 장착되는 롤러(4331)와 이동 프레임(4130)의 연장방향으로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홀(E·H)은 유도부재(4310)가 낙하물 받이(4150) 상에서 낙코크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최대의 거리로 낙코크스를 밀어내어 이송시킨 후 롤러(4331)를 따라 회전하며 낙하물 받이(4150)의 하부로 이동될 때에 낙코크스는 낙하물 받이(4150)의 연장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배출홀(E·H) 사이로 떨어져 코크스팬(C·F)에 담길 수 있다. The guiding portion 430 guides the moving cam frame 4130 to scrape or push the raked coke falling on the fall trap receiver 4150 into the discharge region C and discharge it to the coke pan C · F through the discharge hole E · H, The induction unit 430 includes at least one guide member 4310 spaced apart along the movement path and a closed loop along the movement path at the inner surface of the movement frame 4130, And an induction member conveying means 4330 for providing the guide member.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conveying means 43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llers 4331 for interconnecting the side faces of the moving frame 4130 in one direction to the front end region A and the discharge region C respectively, And the guide member 4310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chain 4333 provided on each of the inner sides of the moving frame 4130. [ One of the rollers 4331 of the pair of rollers 4331 is connected to a rotator 4335 for rotating the roller 4331. The roller 4331 rotates in response to the power of the rotator 4335, The chain 4333 is rotated in an endless track manner along the rotating roller 4331 so that the guide member 4310 connected to the chain 4333 is also rotated in an endless track along the chain 4333. Accordingly, the guide member 4310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fallowing object 4150 when it rotates in an endless track, and scoops or pushes down the fallowed coke to the upper part of the fallowing object 4150 when passing the upper part And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ll-trap receiver 4150 on the basis of the roller 4331 disposed in the discharge region C, the fall- May be formed without being processed.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guide member 4310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movement path may be such that both ends thereof can be connected to the chain 4333, and the extending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finit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allowing object 4150 and the chain 4333 should be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allowing object 4150 and the chain 4333 is no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4310 The chain 4333 can be formed so as not to be lifted even when the guide member 43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allowing object 4150 at the center of the extension length. Here, the discharge hole E · H is formed between the roller 4331 mounted on the discharge region C of the pair of rollers 4331 of the guide portion 430 and the inner surfa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4130 . That is, the discharge hole E · H pushes and transports the dropped coke to the maximum distance at which the guide member 4310 can move the drop coke on the fall-trap 4150, then rotates along the roller 4331, When the coke pan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ray 4150, the falling cokes are separated from the falling range of the fallowers 4150 and can be received in the coke pan C · F.

구동부(450)는 몸체부(410)를 코크스팬(C·F) 상부쪽으로 이동시켜 코크스팬(C·F)의 상부에 배출홀(E·H)이 배치되도록 하거나, 코크스팬(C·F)의 상부로부터 벗어나 배출홀(E·H)이 코크스팬(C·F)의 상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410) 중 이동 프레임(4130)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구동부(450)는 고정 프레임(4110)에서 이동 프레임(4130)을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씩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낙코크스가 이송되는 코크스팬(C·F)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 프레임(4110)과 이동 프레임(4130)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에 의해 고정 프레임(4110)을 기준으로 이동 프레임(4130)이 고정 프레임(4110)의 전단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고정 프레임(4110)의 후단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50)는 이동 프레임(4130)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이동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바(451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4510)와, 고정 프레임(4110)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이동바(4511)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4550) 및 이동바(4511)와 구동기(45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530)를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450 moves the body part 410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C · F so that the discharge hole E · H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C · F, To move the movable frame 4130 of the body portion 410 so that the discharge hole E · H is no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ke pan C · F. That is, the driving unit 450 may be provided to move the moving frame 4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xed frame 4110,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ke pan C · F to which the raked coke is fed The movable frame 4130 is mov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4110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4110 by driving the fixed frame 4110 and the movable frame 4130 by mutually connecting them, It can be moved in the rearward direction. The driving unit 450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4510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4130 and including a moving bar 4511 reciprocally movable in the moving direction, And includes a driver 4550 for providing power to the movable bar 4511 and a fixing member 4530 for fixing the movable bar 4511 and the actuator 4550.

즉, 구동부(450)는 연결부재(4510) 중에서 이동 프레임(413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가이드프레임(4513)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서 이동바(4511)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동바(4511)가 가이드프레임(4513)의 가이드홀을 따라서 이동하는 동력은 구동기(4550)로부터 전달받는다. 이때, 가이드프레임(4513)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바(4511)와는 연동되지 않기 위해, 가이드프레임(4513)의 일단은 이동 프레임(4130)의 외측면과 고정 프레임(4110)의 외측면 사이의 단턱에 고정되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바(4511)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동기(4550)는 실린더·피스톤 구조의 장치가 사용되어 하우징(45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동축(4553)이 삽탈되며 소정 거리씩 움직이고, 이동바(4511)는 구동축(4553)의 움직이는 거리에 따라서 가이드프레임(4513)의 가이드홀을 따라 움직이는데, 구동기(4550)의 하우징(4551)은 고정 프레임(4110)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동바(4511)는 하우징(4551)에만 지지된 상태로 삽탈 이동이 가능하다. That is, the driving unit 450 is disposed so that the moving bar 4511 is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guide frame 4513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4130 in the connecting member 4510, 4511 move along the guide holes of the guide frame 4513 are received from the driver 4550. [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frame 4513 is not interlocked with the moving bar 4511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of the guide frame 4513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41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10 So that only the movement bar 4511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hole. The drive shaft 4553 is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45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movable bar 4511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stance of the drive shaft 4553 The housing 4551 of the driver 4550 is mounted on the fixed frame 4110 and the movable bar 4511 is moved in the state of being supported only by the housing 4551, It is possible.

여기서, 이동바(4511)는 가이드홀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베이스 플레이트(4511a)의 측면에 가이드홀의 상하방향으로의 직경과 동일한 평균직경을 갖는 돌출핀(4511b)이 돌출 구비되며, 돌출핀(4511b)이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511a)의 단부영역에는 가이드프레임(4513)에 접촉하여 코크스팬(C·F)으로의 이동 프레임(41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511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출핀(4511b)은 가이드홀을 통해 충분히 돌출 가능하며, 구동기(4550)의 구동축(4553)까지 연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Here, the movable bar 4511 is provided with a projecting pin 4511b having an average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4511a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movement path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And an end portion of the base plate 4511a on which the projecting pin 4511b is provided is provided with a guide frame 4513 for contacting the guide frame 4513 and restrict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frame 4130 to the coke pan C · F A stopper 4511c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ng pin 4511b can sufficiently protrude through the guide hole and have a length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553 of the driver 4550.

이와 같은 구동부(450)에는 돌출핀(4511b)과 구동축(4553)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45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4530)는 돌출핀(4511b)이 관통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가이드프레임(4513)에 접촉 가능한 제1 고정부재(4531)와 제1 고정부재(4531)의 사이공간에 삽입되어 이동경로와 동일한 방향으로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제2 고정부재(4533)를 포함한다. 이에, 제2 고정부재(4533)는 구동축(4553)에 연결되어 제1 고정부재(4531)에 연결되며, 제1 고정부재(4531)는 돌출핀(4511b)과 연결됨으로써 구동축(4553)으로부터 전달되는 이동력을 돌출핀(4511b)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핀(4511b)은 가이드홀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의 일끝에서 타끝까지 이동함으로써 이동 프레임(4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45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4530 for stably fixing the projecting pin 4511b and the driving shaft 4553. The fixing member 453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4531 and the first fixing member 4531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guide frame 4513 so that the projecting pin 4511b can penetrate therethrough, And a second fixing member 4533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path. The second fixing member 4533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4553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4531. The first fixing member 4531 is connected to the projecting pin 4511b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shaft 4553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jecting pin 4511b. Therefore, the projecting pin 4511b can move the movable frame 4130 by moving from one end of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hole to the other end.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도면에서의 구동축(4553)은 그 연장길이나 이동 폭이 적은 폭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구동축(4553)은 이송 프레임(4130)을 코크스팬 상부로 이동시켜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거나 벗어나는 것을 만족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 및 이동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drive shaft 4553 in the overall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moving in a width that is less than the extended length or movement width, the drive shaft 4553 moves the transfer frame 41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ke pan,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so as to have a length and a moving width to such an extent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구동부(450)는 몸체부(4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구동부(450)는 몸체부(410)의 외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이송 프레임(4130)과 고정 프레임(411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이송 프레임(4130)은 구동부(450)의 이동바(451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이동바(4511)가 차지하는 영역만큼만 바닥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어, 구동부(450)가 이송 프레임(4130)의 바닥면과 고정 프레임(4110)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450)가 몸체부(410)의 바닥면에 설치될 때에는 구동부(450)가 이송 프레임(4130)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측면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이송 프레임(41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unit 45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410 and may include a transfer frame 4130 and a fixed frame 4110. [ Can be interconnected.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not shown) of the transfer frame 4130 can be formed only by the area occupied by the movement bar 4511 so that the movement bar 4511 of the driving unit 450 can be mounted, And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41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frame 4110. [ When the driving unit 4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410, the driving unit 450 is not shifted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frame 4130, Can be mov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낙하물 처리 장치(400)의 몸체부(410) 및 유도부(430)에는 유도부 이송수단(4330)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부(470)가 연결될 수 있다. A tension unit 47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410 and the guide unit 430 of the falling device 400 as described above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guide unit transfer unit 4330.

즉, 텐션부(470)는 이동 프레임(4130)의 연장방향으로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장착되어 유도부(430)의 롤러(4331)의 측면에 연결됨으로써 체인(4333)의 텐션을 유지하여 체인(4333)이 늘어져 쳐짐으로써 유도부재(4310)가 낙하물 받이(4150)에 낙하된 낙코크스를 긁어내거나 밀어내기위한 힘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텐션부(470)는 롤러(4331)의 양단에 연결되어 이동 프레임(413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롤러(4331)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여 이동 프레임(4130)의 연장방향으로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연결된 텐션 프레임(4710)과, 텐션 프레임의 중앙에 연결되어 이동 프레임(4130)의 전단에 연결되는 텐션축(4730), 텐션축(4730)과 이동 프레임(413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750), 탄성부재(4750)를 커버하기위한 보호커버(4770) 및 텐션축(4730)을 텐션프레임(4710)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4770)를 포함할 있다. 이에, 탄성부재(4750)는 이동 프레임(4130)과 텐션축(4730) 사이에 배치되어 유도부(430)의 체인(4333)의 변화에 따라 수축 및 복귀됨으로써 체인(4333)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tension unit 470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4130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r 4331 of the guide unit 430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chain 4333 The chain 433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lackened so that the guide member 4310 can prevent or prevent the loss of the force for scraping or pushing fallen coke dropped on the fallowing object 4150. [ The tension unit 47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ller 4331 and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4130 and connects both ends of the roller 4331 to the side surfa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4130 A tension shaft 4730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ing frame 4130 and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tension frame, a resilient member 4730 disposed between the tension shaft 4730 and the moving frame 4130, A protective cover 4770 for covering the elastic member 4750 and a nut 4770 for fixing the tension shaft 4730 to the tension frame 4710. [ The elastic member 4750 is disposed between the moving frame 4130 and the tension shaft 4730 so that the elastic member 4750 is retracted and return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hain 4333 of the guide portion 430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chain 4333 .

그리고 유도부(430)와 구동부(450)에는 코크스팬(C·F)의 작동 상태에 따라 유도부(430)와 구동부(4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induction unit 430 and the driving unit 45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unit 430 and the driving unit 45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ke fan C · F.

즉, 제어부(미도시)는 코크스팬(C·F)이 낙코크스를 수용하기 위한 준비 위치에 배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450)를 작동시켜 이동 프레임(4130)의 배출홀(E·H)을 코크스팬(C·F)의 상부에 배치시키기 위해 구동축(4553)을 하우징(4551) 내부로 삽입시키며 이동 프레임(4130)이 코크스팬(C·F)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구동부(450)의 회전기(4335)를 작동시켜 롤러(43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유도부재(4310)가 낙하물 받이(4150) 상에 낙하된 낙코크스를 배출홀(E·H)쪽으로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ke pan C · F is disposed at the preparation position for receiving the dimple coke,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driving unit 450 so that the discharge hole E · 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ke pan C · F so that the driving frame 4553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4551 and the moving frame 4130 is moved toward the coke pan C · F, By rotating the roller 4331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actuating the rotator 4335 of the guide member 4310 to drop the dropped coke onto the fall-trap receiver 4150 toward the discharge hole E · H hav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cessing a falling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클리너(D·C)로부터 낙하되는 낙코크스는 낙하물 받이(4150) 상으로 낙하된다. 이때, 코크스팬(C·F)은 도어 클리너(D·C)에서 발생된 낙코크스를 수용하거나 다른 곳에서 발생한 낙코크스를 모아서 후속 처리 시설로 이송시키기 위한 준비 위치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의 동작은 도어 클리너(D·C)에서 낙코크스를 낙하물 받이(4150)로 낙하시키는 동안에 수행될 수도 있고, 낙하물 받이(4150)로 낙코크스가 떨어지기 전에 미리 코크스팬(C·F)이 준비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dropped coke falling from the door cleaner D 占 falls onto the fallowing object 4150. At this time, the coke pan (C · F) can be arranged in a preparation position for receiving the dropped coke generated in the door cleaner (D · C) or collecting the accumulated coke produced in another place and transferring it to the subsequent processing facility. May be performed during the dropping of the fall coke to the fallowers 4150 in the door cleaner D · C or the coke pan C · F may be moved to the ready position It may be in a deployed state.

이처럼, 코크스팬(C·F)이 준비 위치에 마련되면, 제어부는 구동부(450)의 구동기(455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며, 구동기(4550)를 이동 프레임(4130)의 배출 영역(C)을 코크스팬(C·F) 상에 배치시키기 위해서 하우징(4551)의 내부로 구동축(4553)을 보다 더 삽입시켜 구동축(4553)에 연결된 돌출핀(4511b)이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고 스토퍼(4511c)가 가이드프레임(4513)에 접촉 배치될 때까지 구동축(4553)을 이동시킨다. 이에, 구동축(4553)의 이동 거리만큼 이동 프레임(4130)이 코크스팬(C·F)쪽으로 이동하며, 배출홀(E·H)은 코크스팬(C·F)의 상에 배치된다. When the coke pan C · F is provided at the preparation posi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driver 4550 of the driver 450 and drives the driver 4550 to the discharge region C of the movement frame 4130. Thus, The drive shaft 4553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housing 4551 so that the projecting pin 4511b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553 moves along the guide hole and the stopper 4511c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frame 4513. The drive shaft 4553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ive shaft 4553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frame 4513. The moving frame 4130 is moved toward the coke pan C · F by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drive shaft 4553 and the discharge hole E · H is disposed on the coke pan C · F.

그리고, 제어부는 구동부(450)에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유도부(430)에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회전기(4335)는 롤러(4331)를 회전시키며 체인(4333)을 무한궤도로 회전시키고, 이에 유도부재(4310)가 체인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낙하물 받이(4150) 상에 낙하된 낙코크스를 긁어내거나 밀어내면서 중간 영역(B)을 지나 배출 영역(C)으로 낙코크스가 이동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riving unit 450 and also transmits the signal to the guide unit 430 so that the rotating unit 4335 rotates the roller 4331 and rotates the chain 4333 in an endless track, The member 4310 moves along the chain so that the drop coke is moved to the discharge region C through the intermediate region B while scraping or pushing down the dropped drop coke on the drop fall receiver 4150.

유도부재(4310)에 의해 배출영역(C) 쪽으로 이동한 낙코크스는 낙하물 받이(4150)의 끝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유도부재(4310)가 배출 영역(C)에 장착된 롤러(4331)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배출홀(E·H)로 밀어냄으로써 배출홀(E·H)을 통해 코크스팬(C·F) 상으로 낙하되어 이송될 수 있다. The napkin coke moved toward the discharge region C by the guide member 4310 is guided to the end of the fallowing object 4150 and the guide member 4310 is guided by the roller 4331 mounted on the discharge region C And can be transported to the coke pan C · F through the discharge hole E · H by pushing it to the discharge hole E · H.

코크스팬(C·F)으로 낙코크스의 이송이 완료되면, 코크스팬(C·F)은 낙코크스를 최종 처리하기 위한 시설로 전달하기 위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데, 이때 이동 프레임(4130)이 코크스팬(C·F)의 이동 영역을 막고 있는 상태에 배치되어 있음으로, 하우징(4551) 내부로 삽입된 구동축(4553)을 다시 밖으로 움직이게 하여 스토퍼(4511c)가 가이드 플레이트(4513)로부터 접촉되지 않고 돌출핀(4511b)이 코크스팬(C·F)과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 이동 프레임(4130)을 코크스팬(C·F)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코크스팬(C·F)의 상부로부터 이동 프레임(4130)이 벗어나게 되며 코크스팬(C·F)은 본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transfer of the raked coke to the coke pan C · F is completed, the coke pan C · F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for delivery to the facility for final processing of the latex coke, The stopper 4511c is not in contact with the guide plate 4513 since the drive shaft 4553 inserted into the housing 4551 is moved out again so that the stopper 4511c is not in contact with the guide plate 4513 So that the projecting pin 4511b moves to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ke pan C · F to move the moving frame 413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ke pan C · F.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4130 is releas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ke pan C · F, and the coke pan C · F can perform the operation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400 : 낙하물 처리 장치 410 : 몸체부
4110 : 고정 프레임 4130 : 이동 프레임
4150 : 낙하물 받이 430 : 유도부
4310 : 유도부재 4330 : 유도부 이송수단
450 : 구동부 470 : 텐션부
400: falling apparatus 410:
4110: fixed frame 4130: movable frame
4150: fall trap 430: guide part
4310: guide member 4330: guiding member conveying means
450: driving part 470: tension part

Claims (10)

낙하물이 발생하는 설비의 주변에 상기 낙하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낙하물이 용기로 이송되도록 상기 낙하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바닥면 및 일방향으로의 측면들로 형성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으로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일방향으로의 이동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낙하물 받이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로 상기 낙하물을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고정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전단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 프레임의 후단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상기 용기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낙하물 처리 장치.
A stationary fram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falling object in a periphery of a facility where the falling object is generated and form a moving path of the falling object so that the falling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the stationary frame being formed of a bottom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n one direction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a plane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 body portion including a fall-back receiver mounted on the body;
An induction par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guiding the falling object to the container; And
The movable frame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and the movable frame so that the movable frame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or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And a drive unit that is configured to cover or move awa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낙하물이 발생하는 설비의 주변에 상기 낙하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낙하물이 용기로 이송되도록 상기 낙하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로 상기 낙하물을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상기 용기의 상부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부재;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며,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유도부재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낙하물 처리 장치.
A body for accommodating the falling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facility where the falling object is generated and forming a moving path of the falling object so that the falling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container;
An induction part provided in the body part and guiding the falling object to the container; And
And a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to allow the body part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or make it move away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The guide portion
At least one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ement path; And
And an induction member conveying means for forming a closed loop along the movement path at the inner side of the moving frame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nd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바닥면 및 일방향으로의 측면들로 형성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일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낙하물 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으로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portion
A fixed frame formed of a bottom surface and side surfaces in one direction; And
And a drop receiver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in one direction, forming a plan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moving frame extends in the other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n the one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xed frame.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부재;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유도부재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At least one guide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ement path; And
And guiding member transfer means for forming a closed loop along the movement path at the inner side of the moving frame, and providing rotating power.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상기 타방향으로 상기 낙하물 받이를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낙하물 받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도부재의 일단은 상기 낙하물 받이의 상면에 접촉 배치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guide member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fallowers in the other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guide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allowing subjec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allowing subject.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이동경로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 영역과;
상기 전단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낙하물이 상기 용기로 배출되는 배출 영역; 및
상기 전단 영역과 상기 배출 영역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중간 영역;을 포함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moving frame includes:
A front end region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movement path;
A discharge region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region, the discharge region being discharged to the vessel; And
And an intermediate region for interconnecting the front end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 이송수단이 상기 전단영역 및 상기 배출영역에 상호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를 따라 순환하는 체인을 포함할 때,
상기 배출영역에 장착되는 롤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방향으로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낙하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uide member conveying means includes a pair of ro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end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and a chain circulating along the roller,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falling material is discharged is formed between the roller mounted on the discharge area and the side surface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전단 영역 및 상기 배출 영역은 상기 중간 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 영역은 상기 전단 영역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ront end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are disposed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region, and the discharge reg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ront end region.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유도부에는 상기 유도부 이송수단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부;가 연결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And a tension part for holding the tension of the guide part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the guide par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이동바를 포함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 및
상기 이동바와 상기 구동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낙하물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including a movable bar reciprocally movable in the one direction;
A driver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nd providing power to the movable bar; An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moving bar and the driver.
KR1020140190328A 2014-12-26 2014-12-26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ctive KR1016057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28A KR101605753B1 (en) 2014-12-26 2014-12-26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28A KR101605753B1 (en) 2014-12-26 2014-12-26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753B1 true KR101605753B1 (en) 2016-03-23

Family

ID=5564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328A Active KR101605753B1 (en) 2014-12-26 2014-12-26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5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83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breaking up a fresh and hot coke charge in a receiving trough
EP2408877B1 (en) Flat push coke wet quenching apparatus and process
KR20080108118A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ke
US8590695B2 (en) Techniques for the conveyance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
KR101605753B1 (en)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KR101590988B1 (en) Fall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CA1176202A (en) Coke oven battery bench cleaning apparatus
KR10119795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adhesive coal
KR101870706B1 (en) Apparatus for removing object
KR101842703B1 (en) Coke spillage chain conveyor
JP6607096B2 (en) Coke conveying method and conveying device
CN112758705B (en) Residual coal collecting device
KR20030053571A (en) Suction apparatus for dropping substance of coke furnace railroad
EP1221855A1 (en) Charg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bakery products into and from an oven
KR20130006200A (en) An apparatus for treating the coal attached on a chute
CN117663765A (en) Auxiliary material baking equipment for steelmaking
KR200282932Y1 (en) Ram platform cleaner
KR101875146B1 (en) Object processing Apparatus
KR200224058Y1 (en) Tar and carbon treatment apparatus of carbonization chamber door
KR20130000404A (en) Method for collecting residual coke from non-recovery and heat-recovery coke ovens
KR10170731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fallen coal of for coke oven
JPS5929629B2 (en) Smokeless treatment method for fallen coke
SU1765159A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coke from machine side of coke-oven battery
KR101495432B1 (en) Chute assembly for door cleaner with functio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of retainer
KR20150076017A (en) Apparatus for removing fallen ore of for cok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