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8491B1 -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 Google Patents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491B1
KR101578491B1 KR1020140135770A KR20140135770A KR101578491B1 KR 101578491 B1 KR101578491 B1 KR 101578491B1 KR 1020140135770 A KR1020140135770 A KR 1020140135770A KR 20140135770 A KR20140135770 A KR 20140135770A KR 101578491 B1 KR101578491 B1 KR 10157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efecation
base
discharge
li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김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환 filed Critical 김일환
Priority to KR102014013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4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9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 전방개구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배변이 놓여지도록 모래를 포함하는 리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하면서 배변을 상기 리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공간의 일측에 절곡되어 마련된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의 일측에 마련되어 분리된 배변을 상기 분리망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도어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배출도어를 구비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망이 상기 챔버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배출도어에서 배변이 자중에 의하여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챔버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측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배변의 자중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배변을 처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litter containing sand so that a front opening is formed at a front side and a defecation is placed inside a lower side, A cha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paration net and having a discharge door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door opening for discharging the separated defecation from the separation network; And a chamber disposed behind the chambe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chamber, wherein when the separation net is located above the chamber, the chamber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efecation from the chamber by its own weight, And the upper side is incli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Thus, defecation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using the weight of the defecation.

Description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챔버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자중에 의해 챔버로부터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in which the chamber is inclined and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excretion i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by its own weight.

취미 생활 또는 생활의 반려용으로 집에서 키우는 반려동물에는 개, 고양이, 뱀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하에서는 반려동물의 하나인 고양이에 대하여 편의상 일예를 들어 설명을 하도록 한다. There are various kinds of companion animals that can be raised at home for hobbies or life, such as dogs, cats and snakes. In the following, we will give an example for the cat, one of the companion animals, for convenience.

고양이는 고양이과의 포유류를 지칭하며, 고양이는 인간의 심리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애완견과 같이 실내에서 애완용으로 많이 사육되고 있다.A cat refers to a mammal of a feline, and a cat is raised many times as a pet such as a pet dog in order to stabilize a human psychology.

이러한, 고양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주의을 필요로 하는데, 피부병, 귀 진드기, 허피스 등과 같은 질병은 물론이고, 고양이의 생활습관에 따라 고양이를 길들이는 것도 그 중 하나이다.These cats need a lot of attention in order to raise cats, as well as diseases such as skin diseases, ear mites, and herpes, and it is one of them to tame cats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cats.

예컨대, 야행성으로 주로 낮보다는 밤에 생활하는 특성은 물론이고, 고양이를 키우는 주인과의 유대관계를 높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숙지하여만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은 물론이고 고양이 또한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원활하게 실내에서 함께 생활할 수 있다.For example, not only are the nocturnal characters living mainly at night, but also know how to increase their ties with the owner of cats, as well as those who raise cats, as well as cats do not need unnecessary stress, You can live together indoors.

특히, 고양이는 사용하는 화장실이 불결한 경우나 원활 배변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개, 일정한 장소에 고양이 화장실을 설치한 후 고양이 화장실의 내부에 고양이가 사용할 수 있는 모래를 채워 넣어 고양이가 배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install a cat toilet in a certain place and then use the cat in the inside of the cat toilet,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because the cat may suffer severe stress when the toilet used is unclean or can not be smoothly defecated. It is common to fill cats with sand so that cats can defecate.

이렇게 반려동물의 배변 처리장치와 관련된 장치나 설비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1932호(2010. 11. 19)와 미국 등록공보 제6,463,881호 (2002.10.15) 등에 개시되어 있습니다.Devices and facilities related to the defecation apparatus of the pet animal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21932 (Nov. 19, 2010) and US Registration No. 6,463,881 (Oct. 15, 2002).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배변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처리하지만 배변의 무게나 자중을 이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사용이 불편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defecation is manually or automatically handled, but the weight or weight of the defecation can not be used. Therefor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tructure is somewhat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목적은, 배변의 자중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use by using the weight of defec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배변을 접촉하지 않고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the odor without the user touching the defe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배변을 처리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reducing defects while reducing cost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변의 악취를 예방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malodors from defe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 동물의 배변을 처리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있어서, 전방에 전방개구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배변이 놓여지도록 모래를 포함하는 리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하면서 배변을 상기 리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공간의 일측에 절곡되어 마련된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의 일측에 마련되어 분리된 배변을 상기 분리망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도어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배출도어를 구비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망이 상기 챔버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배출도어에서 배변이 자중에 의하여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챔버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측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챔버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배출도어가 폐쇄되어 상기 분리망에 배변이 지지되는 폐쇄위치에서 상기 분리망 내지 상기 챔버로부터 배변이 배출되는 배출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위치에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배출도어를 하측부터 점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배출위치에서 배변이 배출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배출도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for treating defecation of companion animals, compris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litter containing sand so that a front opening is formed in front and a defecation is placed in the lower side; A separation n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ace so as to be capable of separating a defecation from the litter and a discharge do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net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door opening for discharging the separated defecation from the separation net, Wow; And a chamber disposed behind the chambe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chamber, wherein when the separation net is located above the chamber, the chamber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efecation from the chamber by its own weight, Wherein the discharge door is closed at a closed position in which the discharge door is closed and the defecation is supported in the separation network as the chamber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door guide provided on the base for moving the discharge door to a discharging position and gradually opening the discharge door from a lower position at a position close to the discharge position so as to discharge the discharge from the discharge position Achieved by the companion animal bowel treatment device All.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전방개구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리터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platform further includes a platform disposed at the front opening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panion animal to defecate with the litter.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챔버에 대응하여 경사진 영역으로 마련된 경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배출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챔버 후방으로 개방되어 연장된 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may further include a swash plate provided in an incli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mber, and the swash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hute extended to open rearward of the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sition.

또한, 상기 슈트에 결합되어 배변을 수용하도록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변을 버리는 배변 포장백;을 포함하며, 상기 슈트 주위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챔버 사이를 밀폐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aling part provided around the chute and provided on the base so as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chamber; and a sealing part provided on the base so as to seal between the base and the chamber, .

또한,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driving unit supported on the base and rotatable about the chamber with respect to the base.

또한, 상기 리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단속적으로 상기 리터로 분무 가능하게 마련된 탈취방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eodorization direction part that is intermittently sprayable with the litter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in the litter.

본 발명에 따르면, 배변의 자중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하고,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배변을 접촉하지 않고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using the weight of defecation and can be used, and the user can minimize the odor without touching the defe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자동으로 배변을 처리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변의 악취를 예방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cost while automatically handling the defecation and preventing odor of the defe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구동부가 챔버를 구도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배출도어의 단면도 및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전방의 챔버를 분해한 상태의 베이스의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및 챔버를 제외한 베이스 평면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iving unit forms a chamber,
4A to 4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ischarge door and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process,
5 is a front view of the bas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hamber is disassembled;
6A to 6C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e plan view excluding the chamber,
8 is a side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Quo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 RTI ID = 0.0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100, 이하에서 배변 처리장치라 함)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구동부가 챔버를 구도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배출도어의 단면도 및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5는 전방의 챔버를 분해한 상태의 베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및 챔버를 제외한 베이스 평면도이고,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riving unit forms a chamber,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bas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hamber is disassembled, and Figs. 6A to 6C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S. 7A and 7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e plan view except for the chamber, and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비스듬한 방향을 'X' 축선 방향으로, 'X'축선 방향에 수직으로 전방 상측에서 후방 하측으로 비스듬한 방향을 'Z' 축선 방향으로, 'X-Z' 평면에 수직방향을 'Y' 축선 방향으로 각각 정한다.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blique direction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is referred to as the 'X' axis direction, the oblique direction from the upper front side to the rear lower side perpendicularly to the 'X'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Z' plane is defined as the 'Y' axis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장치(100)는, 반려 동물의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하기는 위한 것으로, 전방(Z 축선의 음(-)의 방향)에 전방개구(131)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배변이 놓여지도록 모래를 포함하는 리터(135)를 수용하는 공간(미도시, 단면이 타원형의 부분 절단 형상)을 형성하고, 회전하면서 배변을 상기 리터(135)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공간의 일측에 절곡되어 마련된 분리망(137)과, 상기 분리망(137)의 일측에 마련되어 분리된 배변을 분리망(137)으로부터 배출시키도록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배출도어(133)를 구비한 챔버(130)와; 상기 챔버(130)의 후방(Z 축선의 양(+)의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110);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망(137)이 상기 챔버(130)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배출도어(133)에서 상기 배변이 자중에 의하여 상기 챔버(130)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챔버(130)는 상기 베이스(110)에 대하여 상측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the defecation of a companion animal and includes a front opening 131 formed forward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 axis) (Not shown in the figure, an elliptical part cut shape in cross section) for accommodating the litter 135 containing sand so as to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space 135, A chamber 13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paration network 137 and having a discharge door 133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discharge the separated defecation from the separation network 137; And a base 110 rotatably supporting the chamber 130 by being disposed rearward (in the positive Z direction of the chamber 130) of the chamber 130, The chamber 1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base 110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130 is slanted rearward so that the defecation of the chamber 130 i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130 by its own weight in the discharge door 133 desirable.

즉, 도 2에서 수직선인 'L1'과 경사판(113)에서 연장된 경사선 'I'와의 각도인 'α'(알파) 만큼 경사져 있으며 이 각도는 약 20-50 정도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챔버(130)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기호 'EL'은 챔버(130)의 회전 중심 축선이다.In other words, it is inclined by 'alpha' (alpha), which is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line 'L1' and the inclined line 'I' extended from the swash plate 113 in FIG. 2, The size of the chamber 130, and the like. Here, the symbol 'EL' is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chamber 130.

또한, 배변 처리장치(100)는, 상기 챔버(130)가 상기 베이스(110)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출도어(133)는 상기 배출도어(133)가 폐쇄되어 상기 분리망(137)에 배변이 지지되는 폐쇄위치(도 4b 참조)에서 배변이 상기 분리망(137) 내지 상기 챔버(13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위치(도 4d 참조)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위치에 근접된 위치에 상기 배출도어(133)를 상기 배출위치로 점진적으로 안내하는 배출도어 가이드(11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hamber 13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the discharge door 133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closes the discharge door 133 and discharges the defecation (See Fig. 4D) from which the defecation is released from the separation net 137 or the chamber 130, and at a position close to the discharge position, And a discharge door guide 119 for gradually guiding the discharge port 133 to the discharge position.

또한, 배변 처리장치(100)는 상기 전방개구(131)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리터(135)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 플랫폼(1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latform 180 disposed in the front opening 131 and capable of supporting a companion animal to defecate with the litter 135.

또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챔버(130)에 대응하여 경사진 영역으로 마련된 경사판(113)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113)은 상기 배출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챔버 후방으로 개방되어 연장된 슈트(11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110 includes a swash plate 113 provided in an incline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hamber 130. The swash plate 113 is opened to the rear of the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sition, (115): < / RTI >

또한, 배변 처리장치(100)는, 상기 슈트(115)에 결합되어 배변을 수용하도록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변을 버리는 배변 포장백(190);을 포함하며, 상기 슈트(115) 주위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챔버(130) 사이를 밀폐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10)에 마련된 밀봉부(도 5의 부분확대도 113a, 113b 참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defecation packing bag 190 coupled to the chute 115 to seal the defecation to receive the defecation and to dispose of the defecation, And a sealing portion (see the partial enlarged views 113a and 113b in FIG. 5) provided on the base 110 so as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base 110 and the chamber 130.

또한, 배변 처리장치(100)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preferably includes a driving unit 150 supported on the bas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또한, 배변 처리장치(100)는, 상기 리터(135)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단속적으로 상기 리터(135)로 분무 가능하게 마련된 탈취방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deodorization direction part (not shown) provided so as to be intermittently sprayable with the litter 135 in order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in the litter 135 .

베이스(110)는 후방에 배치되어 챔버(130)를 지지하고, 회전을 위한 구동부(150) 등을 지지하며, 배출되는 배변을 수용할 수 있는 배변 포장백(190)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무, 합성수지를 포함한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base 110 is preferably disposed rearward to receive the defecated packaging bag 190 that supports the chamber 130, supports the driving unit 150 for rotation and the like and is capable of accommodating discharged defecation, Wood, and synthetic resi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115) 전방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홈(113a)에 고무 등과 같은 실링부재(113b)를 결합하여 배변 포장백(190)에 수용된 배변의 냄새가 슈트(115)를 통해 챔버(130)와 베이스(110) 사이의 틈새 사이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을 시킬 수 있어 배변에서 발생되는 냄새, 악취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슈트(115)는 배출도어(133)에서 배출되는 배변을 배변 포장백(190)으로 안내하고 배변 포장백(190)을 고무 등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슈트봉(115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a sealing member 113b such as rubber is coupled to a sealing groove 113a formed along the rim of the chute 115 in front of the chute 115 so that the smell of the defecation contained in the pouch packaging bag 190 is transferred to the chute 115. [ It can be sealed so as not to be discharged through a gap between the chamber 130 and the base 110 through the opening 130, thereby preventing the smell and odor generated in the defecation. The chute 115 preferably includes a chute rod 115a that guides the defecatio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oor 133 to the defecation packaging bag 190 and fixes the defecation packaging bag 190 with rubber or the like.

또한, 베이스(110)에 대하여 챔버(130)가 회전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베이스(110)에 대하여 챔버(1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에 롤러(117)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117)는 챔버(130)의 후방 판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것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롤러(117)의 수량은 챔버(130)의 크기, 무게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두 개가 중심선에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측에 하나가 중심선에 배치되어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oller 117 is coupled to the base 110 so that the chamber 13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when the chamber 13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 The rollers 117 can be selected from a variety of known rollers that can rotat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rear plate surface of the chamber 13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number of rollers 117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weight, and the like of the chamber 130. However, as shown in FIG. 5, two of the rollers 117 are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centerline, Is preferable.

그리고, 베이스(110)의 경사판(113)에는 종동축이 관통하여 챔버(130)와 접촉할 수 있는 종동축 관통홀(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ave plate 113 of the base 11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lave shaft through hole 116 through which the slave shaft passes and which can contact the chamber 130.

배출도어 가이드(119)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도어(133)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안내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슈트(115)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110)에 대하여 챔버(130)가 정회전하는 과정에서 배출도어(133)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도어(133)가 슈트(115)의 좌우 테두리측(도 4b의 P1 참조)에 위치한 경우 배출도어(133)는 배출도어 가이드(119)에 의하여 개방이 억제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챔버(130)가 점점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좌우측의 단부에서 좌우측의 가운데 영역(도 4b의 P2 참조)에 위치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배출도어(133)와 배출도어 가이드(119)의 간격만큼 배출도어(133)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챔버(130)가 점점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좌우측의 단부에서 좌우측의 중앙 영역(도 4b의 P2 참조)에 위치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배출도어(133)와 배출도어 가이드(119)의 간격만큼 배출도어(133)가 최대한 열리게 된다.4A to 4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door guide 119 is provided in a bent shape so as to be guided to the chute 115 so as to be guid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4B, the discharge door 133 is moved to the right and left edge sides of the chute 115 (see P1 in FIG. 4B) The discharge door 133 can be kept closed by being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discharge door guide 119. [ 4C where the chamber 130 is gradually rotated forward or backward and is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middle regions (see P2 in FIG. 4B) at the left and right ends, the exit door 133 and the exit door guide 119 The discharge door 133 is opened by an interval. 4D where the chamber 130 is gradually rotated forward or backward and located at the right and left central regions (see P2 in FIG. 4B) at the left and right ends, the discharge door 133 and the discharge door guide 119 So that the discharge door 133 is opened as much as possible.

즉, 배출도어 가이드(119)는 슈트(115)의 공간에 배치되어 배출도어(133)가 최대한 열릴 수 있도록 중앙으로 갈수록(P1에서 P2를 거쳐 P3로) 점점 후방으로 절곡된 형태이다. 이러한 배출도어 가이드(119)에 의하여 배출도어(133)가 안정적으로 챔버(130)와 베이스(11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That is, the discharge door guide 119 is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chute 115 and is gradually bent rearward toward the center (from P1 to P2 to P3) so that the discharge door 133 can be opened as far as possible. The discharge door 133 can be stably opened and closed between the chamber 130 and the base 110 by the discharge door guide 119.

다른 한편, 배출도어(133)는 경사판(113)에 접촉하여 경사판(113)이 배출도어(133)를 챔버(130)측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배출도어(133)의 두께가 구비되어 있어 슈트(115) 이외의 영역에서는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door 133 is provided with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door 133 so as to rotate in a state of contacting the swash plate 113 and the swash plate 113 pressing the discharge door 133 toward the chamber 13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at all times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115.

챔버(130)는 반려동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전방에 개방된 전방개구(131)를 구비하고, 분리망(137)과 인접한 위치에 분리망(137)으로 분리된 배변을 챔버(130)로부터 후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도어(133)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개구(131)에는 반려동물이 위치하여 리터(135)를 향하여 배변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플랫폼(180)이 위치할 수 있다.The chamber 130 is provided with a front opening 131 opened frontward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be positioned and a defecation separated by the separation net 137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paration net 137 from the chamber 130 And a discharge door 133 capable of discharging the discharge gas. A platform 180 may be located in the front opening 131 to allow the companion animal to be positioned and defecate toward the litter 135.

배출도어(133)는 폐쇄위치에서는 챔버(130)의 판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배출위치에서는 챔버(130)의 판면으로부터 힌지(133a)를 중심으로 전술한 배출도어 가이드(119)를 따라 개방되면서 분리망(137)에 의해 분리 포집된 배변을 챔버(130) 밖으로 배출하여 슈트(115)를 거쳐 배변 포장백(190)에 배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charge door 133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plate surface of the chamber 130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open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chamber 130 at the discharge position around the hinge 133a along the aforementioned discharge door guide 119 And discharges the defecation collected and separated by the separation net 137 out of the chamber 130 so as to receive the defecation in the defecation packaging bag 190 via the chute 115.

배출도어(133)의 힌지(133a)에는 배출도어(133)를 개방위치로 향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hinge 133a of the discharge door 133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not shown) including a spring for urging the discharge door 133 toward the open position.

또한, 챔버(130)의 반타원형 단면 내지 타원형 단면 일부의 형상의 오목한 하측 공간에 수용되어 배변이 챔버(130)의 판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모래를 포함하는 리터(135)로 채워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터(135)이 입자는 후술하는 분리망(137)에 형성된 망의 공간보다 적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chamber 130 be filled with a litter 135 containing sand so as to be received in the concave lower space of the shape of a semi-elliptical cross-section or a part of an elliptical cross-section of the chamber 130 so that the bowel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plate surface of the chamber 130. The particles of the litter 135 are preferably smaller than the space of the mesh formed in the separation net 137 described later.

분리망(13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130) 내측 하부에 위치한 리터(135)에서 다소 큰 덩어리 형태의 배변을 챔버(130)가 회전하면서 리터(135)로부터 배변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측에서는 리터(135)가 쌓여 있는 부분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고, 상측의 배출위치에서는 분리망(137)의 하측으로 배변이 모여 배출도어(133)를 통해 챔버(13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면서 판면에서는 다수의 공간을 형성한 망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져 망 또는 구멍을 통해서는 리터(135)가 빠져 나가고 리터(135)보다 큰 배변만을 분리망(137)에 포집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separating net 137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so that the chamber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litter 135 while the chamber 135 is rotated in a slightly larger lump form in the litter 135 located inside the chamber 13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net 137 may cover the portion where the lid 135 is piled up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net 137 may be collected at the upper discharge position so as to be discharged out of the chamber 130 through the discharge door 133. [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d 135 is allowed to escape through a net or a hole and only a defecation larger than the lid 135 can be collected in the separation net 137 .

배변 처리장치(1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자동의 경우에는 구동부(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preferably includes a driving unit 150 in the case of automatic operatio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구동부(150)는 모터와 모터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모터감속기(151)와, 모터감속기(151)에 연결되는 회전하는 구동축(153b)과, 구동축(153b)의 단부에 형성된 베밸기어(154)와, 구동축(153b)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종동축(155b)과, 구동축(153b)의 단부에 형성된 베벨기어(154)와 맞물려 직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종동축(155b)의 단부에 형성된 베벨기어(154)를 구비하고, 구동축(153b)과 종동축(155b)이 회전하도록 결합된 베어링(158) 및 구동축(153b)과 종동축(155b)을 결합하여 지지하고 상호 결합되어 모터감속기(151)와 결합되는 제1 하우징(153a)과 제2 하우징(155a)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동부(150)는 베이스(11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motor reducer 151 including a motor and a speed reducer for reduc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a rotating driving shaft 153b connected to the motor reducer 151, A driven shaft 155b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153b and a driven shaft 155b coupled to the end of the driven shaft 155b engaged with the bevel gear 154 formed at the end of the driving shaft 153b and transmitting the power at right angles, A bearing 158 having a driven bevel gear 154 and a driven shaft 153b coupled to rotate the driven shaft 155b and a drive shaft 153b and a driven shaft 155b are coupled and supported, And a first housing 153a and a second housing 155a, respectively, which are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51. The driving unit 150 is preferably supported on the base 110.

그리고, 챔버(130)가 종동축(155b)에 결합되는 것은 종동축(155b)에 형성된 암사사로 형성된 고정홈(157d)에 체결수단(157)이 결합되고 그 사이에 챔버(130)의 링체결홈(156)에 결합되는 링(157a)이 결합되어 챔버(130)를 종동축(155b)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회전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of the chamber 130 to the driven shaft 155b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 fastening means 157 to the fastening groove 157d formed by the cam follower formed on the driven shaft 155b, A ring 157a coupled to the groove 156 is engag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while firmly supporting the chamber 130 with the driven shaft 155b.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감속기(151)가 회전하여 구동축(153b)이 회전하면 90도로 맞물린 베벨기어(154)가 회전하고 종동축(155b)이 회전하면 종동축(155b)에 체결수단(157)과 링(157a)에 의하여 결합된 챔버(130)가 회전하고 이 과정에서 전술한 롤러(117)가 보다 안정적으로 챔버(1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motor reducer 151 rotates and the drive shaft 153b rotates, the bevel gear 154 rotated by 90 degrees rotates and the driven shaft 155b rotates. When the driven shaft 155b rotates, The chamber 130 coupled by the ring 157a is rotated and the roller 117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chamber 130 so that the chamber 130 can rotate more stably.

한편, 배변 처리장치(100)는 미도시되었지만 배출위치에서 배변을 배출하고 일정한 위치에서 챔버(130)의 회전이 정지하여 대기하는 위치인 스탠바이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등을 결정하는 다양한 공지의 빔센서, 자석센서, 리미트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various known beam sensor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vacuation is discharged from the evacuation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rotation of the chamber 130 stop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magnetic sensor, a limit sensor, and the like.

그리고, 배변 처리장치(100)는 구동부(15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제어부(1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베이스(110)의 하측 공간에 위치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preferably includes a control unit 160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like. Preferably, the controller 160 includes a selection switch (not shown) that is loc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base 110 and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반려동물이 플랫폼(180)에서 배변을 하여 리터(135)의 상측에 놓인 경우 자동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챔버(130)는 스탠바이 위치에서(도 5의 첫째 그림 참조) 모터감속기(151)가 회전하여 분리망(137)이 리터(135)를 통과하면서 리터(135)의 상측에 있는 배변을 포집하고(도 5의 두째 그림 참조) 리터(135)는 망 또는 구멍으로 다시 하측의 리터(135)측으로 분리되고 챔버(130)가 점점 회전하여 배출도어(133)가 개방위치에 도달하면 포집된 배변은 분리망(137)의 하측으로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고 배출도어(133)는 탄성부재의 힘 또는 자중에 의하여 배출도어 가이드(119)를 따라 점점 개방되어 슈트(115)를 통해 배변 포장백(190)에 떨어져 쌓이게 된다. 그리고, 챔버(130)가 점점 회전하여 배출도어 가이드(119)를 따라 점점 닫히고 스탠바이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부가 감지를 하여 챔버(130)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defecates the companion animal on the platform 180 and lies on the upper side of the litter 135, the user activates the automatic switch. 5), the motor 130 is rotated so that the separation net 137 passes through the lid 135 and collects the defeca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lid 135. At this time, (See the second figure in FIG. 5), the litter 135 is separated from the lower luer 135 side by the net or the hole, and when the chamber 130 is gradually rotated and the discharge door 133 reaches the open position, The discharge door 133 is gradually opened along the discharge door guide 119 due to the force or the self weight of the elastic member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hute 115 to the defecation packaging bag 190 ). When the chamber 130 gradually rotates and gradually closes along the discharge door guide 119 and reaches the standby position, the sensor unit senses the rotation of the chamber 130 and stops the rotation of the chamber 130.

이 과정에서 챔버(130)의 회전에 따라 리터(135)가 챔버(130) 내측 벽면을 따라 회전방향으로 다소 높게 쌓이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 운전시 일정한 범위만큼 역회전 하였다가 다시 정회전하여 스탠바이 위치에서 멈추도록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운전을 시운전을 통해 셋팅을 할 수 있도록 매뉴얼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litter 135 from accumulating somewhat highe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hamber 13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hamber 130 in this process, The control may be stopped. It is desirable to explain in detail the manual so that this operation can be set through commissioning.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변의 자중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하고,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배변을 접촉하지 않고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using the weight of the defecation, can be used, and the user can minimize the odor without touching the defe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have.

또한, 자동으로 배변을 처리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변의 악취를 예방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cost while automatically handling the defecation and preventing odor of the defeca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장치(200)로 전술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 대신에 수동으로 챔버(1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대로 참조번호를 하였으며 종동축은 그대로이고 구동축(253b) 부분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길게 연장되어 베이스(1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손잡이(253d)와 연결되어 있다.FIGS. 7A and 7B are illustrations showing that the chamber 130 can be manually operated in place of the electrically driven driving unit described above with the defec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and the subordinate axis remains as it is, and the drive shaft 253b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bas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253d.

이에, 사용자는 사용시 손잡이(253d)를 작동하면 베벨기어에 의하여 직각으로 힘을 전달받아 챔버(130)가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동부(250)는 베이스(1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handle 253d is operated, the user can receive the force at a right angle by the bevel gear, and the chamber 130 can be rotated.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unit 250 is firmly fixed to the base 11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장치(300)로 수동으로 챔버(1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달리 챔버(130)의 외측을 잡고 구동을 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구동부(350)는 베이스(110)의 경사판(113)에 지지되어 챔버(130)가 베이스(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에 지지된 베어링(358)과 체결수단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355)와 너트(355)와 베어링(358) 사이에 결합된 와셔(35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챔버(130)의 외주면을 손으로 회전시키면 롤러(117)와 베어링(358)에 의하여 베이스(110)에 대하여 챔버(13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리터(135)에 놓여 있는 배변을 분리망(137)이 수집 내지 포집하여 챔버(13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8 is a structure capable of manually operating the chamber 130 with the defeca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350 is supported by the swash plate 113 of the base 110 so that the chamber 13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A bearing 358 supported on the base 110 and a nut 355 threadedly engaged with the fastening means and a washer 353 coupled between the nut 355 and the bearing 358.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130 by hand, the chamber 13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by the roller 117 and the bearing 358. Through this rotation, the defecation laid on the litter 135 as described above can be collected or collected by the separation net 137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130.

이러한 수동 구조는 자동 구조보다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사용자가 별도로 배변을 접촉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저렴한 비용으로 반자동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Such a manual structure is simpler than the automatic structure and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user can separate the defecation without contacting the defecation separately, so that the same effect as the semi-automatic can be obtained economically at a low cost.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배변 처리장치 110 : 베이스
113 : 경사판 113a : 실링홈
113b : 실링부재 115 : 슈트
115a : 슈트봉 116 : 종동축 관통홀
117 : 롤러 119 : 배출도어 가이드
130 : 챔버 131 : 전방개구
133 : 배출도어 133a : 힌지
133b : 도어개구 135 : 리터
137 : 분리망
150 : 구동부 151 : 모터감속기
153a : 제1하우징 153b : 구동축
154 : 베벨기어 155a : 제2하우징
155b : 종동축 156 : 링체결홈
157 : 체결수단 157a : 링
157d : 고정홈 158 : 베어링
160 : 제어부
180 : 플랫폼 190 : 배변 포장백
100: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110: base
113: swash plate 113a: sealing groove
113b: sealing member 115: chute
115a: Chute rod 116: Slave coaxial through hole
117: Roller 119: Exit door guide
130: chamber 131: front opening
133: Exit door 133a: Hinge
133b: door opening 135: liter
137: Separation Network
150: driving unit 151: motor speed reducer
153a: first housing 153b:
154: bevel gear 155a: second housing
155b: a follower shaft 156: a ring fastening groove
157: fastening means 157a: ring
157d: Fixing groove 158: Bearing
160:
180: Platform 190:

Claims (7)

반려 동물의 배변을 처리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에 있어서,
전방에 전방개구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배변이 놓여지도록 모래를 포함하는 리터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하면서 배변을 상기 리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상기 공간의 일측에 절곡되어 마련된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의 일측에 마련되어 분리된 배변을 상기 분리망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도어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배출도어를 구비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망이 상기 챔버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배출도어에서 배변이 자중에 의하여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챔버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측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챔버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배출도어가 폐쇄되어 상기 분리망에 배변이 지지되는 폐쇄위치에서 상기 분리망 내지 상기 챔버로부터 배변이 배출되는 배출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위치에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배출도어를 하측부터 점진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배출위치에서 배변이 배출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배출도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for treating defecation of a companion animal,
A separation net formed with a front opening formed at a front side thereof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a litter containing sand so that a defecation is placed inside the lower side and being bent at one side of the space so as to be able to separate the defecation from the litter while rotating, A cha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paration net and having a discharge door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door opening for discharging the separated defecation from the separation net;
And a base disposed rearward of the chamber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chamber,
Wherein the chamber is incli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so that defecation of the discharge door i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by self weight when the separation net is located above the chamber,
As the chamber rotates relative to the base, the outlet door is moved to a discharge position from which the defecation is discharged from the separation network or chamber at a closed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door is closed and the defecation is supported in the separ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door guide provided on the base for gradually opening the discharge door from a lower position at a position close to the discharge position and discharging the discharge from the discharge pos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개구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리터로 배변을 할 수 있도록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atform disposed at the front opening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companion animal to defecate by the l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챔버에 대응하여 경사진 영역으로 마련된 경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배출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챔버 후방으로 개방되어 연장된 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has a swash plate provided in an incline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hamber,
Wherein the swash plate further includes a chute extending to open rearward of the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에 결합되어 배변을 수용하도록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변을 버리는 배변 포장백;을 포함하며,
상기 슈트 주위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챔버 사이를 밀폐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defecated packaging bag which is coupled to the chute and is hermetically coupled to receive the defecation to discard the defecation,
And a sealing portion provided around the chute and provided on the base so as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chamber.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챔버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riving unit supported on the base and rotatable about the chamber with respect to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단속적으로 상기 리터로 분무 가능하게 마련된 탈취방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odorization direction part which is intermittently sprayable with the litter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in the litter.
KR1020140135770A 2014-10-08 2014-10-08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1578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70A KR101578491B1 (en) 2014-10-08 2014-10-08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70A KR101578491B1 (en) 2014-10-08 2014-10-08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491B1 true KR101578491B1 (en) 2015-12-18

Family

ID=5508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8491B1 (en) 2014-10-08 2014-10-08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491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519B1 (en) * 2018-07-05 2018-10-23 주식회사 캣글루 Device for treating animal waste
KR101961381B1 (en) 2018-06-12 2019-07-17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KR102004482B1 (en) 2018-10-31 2019-07-26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KR102103122B1 (en) 2019-12-05 2020-04-21 이형수 Defecation device for pets
KR20200053769A (en) * 2018-11-09 2020-05-19 김소영 Smart toilet for cat
WO2020114504A1 (en) * 2018-12-07 2020-06-11 林冠华 Pet living pot
KR20200119093A (en)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Sand filter rotation device of cat's defecation device
KR102179451B1 (en) * 2019-10-25 2020-11-16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Excretion cleaner for pet
KR102294305B1 (en) 2021-02-2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Fecal separation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s
KR102294306B1 (en) 2021-03-0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method for providing pet-related social network platform equipped with pet's feces management function
KR20220122288A (en)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cat litter litter
WO2023273092A1 (en) * 2021-07-02 2023-01-05 北京猫猫狗狗科技有限公司 Separation apparatus and pet toil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066A (en) 1996-02-28 1997-09-02 Reitz; Donald D. Automatic cat litter device and method
US20050235920A1 (en) 2004-04-27 2005-10-27 David Brokaski Cat litter device
JP2009532069A (en) 2006-04-04 2009-09-10 ウォーターズ、マイケル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imal waste from lit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066A (en) 1996-02-28 1997-09-02 Reitz; Donald D. Automatic cat litter device and method
US20050235920A1 (en) 2004-04-27 2005-10-27 David Brokaski Cat litter device
JP2009532069A (en) 2006-04-04 2009-09-10 ウォーターズ、マイケル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imal waste from litter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381B1 (en) 2018-06-12 2019-07-17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WO2020009278A1 (en)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캣글루 Pet waste disposal device
KR101910519B1 (en) * 2018-07-05 2018-10-23 주식회사 캣글루 Device for treating animal waste
WO2020091144A1 (en)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Device for treating cat excrement
KR102004482B1 (en) 2018-10-31 2019-07-26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KR102200703B1 (en) 2018-11-09 2021-01-08 김소영 Smart toilet for cat
KR20200053769A (en) * 2018-11-09 2020-05-19 김소영 Smart toilet for cat
WO2020114504A1 (en) * 2018-12-07 2020-06-11 林冠华 Pet living pot
KR102269303B1 (en) * 2019-04-09 2021-06-24 양해민 Sand filter rotation device of cat's defecation device
KR20200119093A (en)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플루토전자 Sand filter rotation device of cat's defecation device
KR102395772B1 (en) 2019-04-09 2022-05-06 양해민 Automatic sand filter cat toilet with improved hygien
KR20210075963A (en) 2019-04-09 2021-06-23 양해민 Automatic sand filter cat toilet with improved hygien
KR102179451B1 (en) * 2019-10-25 2020-11-16 주식회사 골골송작곡가 Excretion cleaner for pet
KR102103122B1 (en) 2019-12-05 2020-04-21 이형수 Defecation device for pets
KR102294305B1 (en) 2021-02-2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Fecal separation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s
KR20220120422A (en)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플루토 Fecal separation apparatus that separates defecation and sand using tilt of cradle
KR20220122288A (en) 2021-02-26 2022-09-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cat litter litter
KR102294306B1 (en) 2021-03-02 2021-08-26 주식회사 플루토 method for providing pet-related social network platform equipped with pet's feces management function
KR102356839B1 (en) 2021-03-02 2022-02-08 주식회사 플루토 Defe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linked to pet-related social network platform
WO2023273092A1 (en) * 2021-07-02 2023-01-05 北京猫猫狗狗科技有限公司 Separation apparatus and pet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491B1 (en)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CN109463289B (en) pet living basin
US20200060221A1 (en) Litter Collection Device for Efficient Animal Waste Removal and Method Thereof
KR101903674B1 (en) Excretion cleaner for pet
KR101751878B1 (en) Pet automatic excretion sealed processing equipment
KR102311177B1 (en) Modular bowel excrement machine for companion animals
CN211020441U (en) Closed automatic cat litter basin
KR20100112280A (en) Pet potty
KR102303771B1 (en) excrement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CN112470951A (en) Full-automatic pet cat toilet
US10398124B2 (en) Cat litter process
US6289847B1 (en) Waste transfer device for kitty litter box
KR102103122B1 (en) Defecation device for pets
KR20190128819A (en) Apparatus for excrement of pet
KR20130103214A (en) Pet toilet
KR101910519B1 (en) Device for treating animal waste
KR101796113B1 (en) Auto disposal apparatus for pet excrements
KR101828911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pet dropping, and pet toilet including the same
US202402064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at Excrement And Smell From Cat Litter
KR20130112419A (en) Disposing apparatus for pet excrements
KR100576603B1 (en) Pet feeding and manure collection device
KR20170060295A (en) Defecation training and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KR101526247B1 (en) Pet Toilet
KR20050103112A (en) Pet feeding and feces collection device
CN210538023U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pet exc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2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2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