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62B1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9462B1 KR101479462B1 KR20140083975A KR20140083975A KR101479462B1 KR 101479462 B1 KR101479462 B1 KR 101479462B1 KR 20140083975 A KR20140083975 A KR 20140083975A KR 20140083975 A KR20140083975 A KR 20140083975A KR 101479462 B1 KR101479462 B1 KR 101479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rainwater
- inflow
- filter
- filt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부에 잔류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유입되는 우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유입된 우수로부터 유류 및 이물질을 분리하며, 강우 후에는 내부의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구획벽에 의해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구획되는 처리조와, 우수가 상기 처리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우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며, 적어도 측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부유물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단부는 상기 유입부보다 낮은 곳에 위치됨으로써 우수와 유류가 비중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는 유수분리부와, 상기 구획벽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타공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한 상기 유수분리부의 타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상기 구획벽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제2공간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침전되는 협잡물의 침전공간을 제공하는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침전된 협잡물의 재부상을 방지하는 경사벽을 포함하는 재부상방지부와, 상기 제2공간의 저면과 구획벽 사이 또는 상기 제2공간의 저면과 수직벽 사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부와, 상기 제2공간의 저면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와,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하측에 구비되어 잔류수를 이동시키는 잔류수제거부 및 상기 제2공간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를 통과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필터부는,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어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필터와, 상기 필터를 탈착시키기 위한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필터를 통과하는 우수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차폐하는 차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ount of stormwater flowing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stormwater remaining in the interior, to separate oil and foreign matter from the stormwater stormwater, and to reduce th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 / RTI >
The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tment tank divided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by a partition wall, an inflow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space so that rainwater can flow into the treatment tank, A water level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inflow section and configured to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by means of buoyancy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ain in the treatment tank and to block inflow of stormwater and a water level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unit, And an end of the first space is loca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at of the inle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oil water separator located in the second spac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il separator, And a partition wall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pace and through which the infiltrated rainwater passes, a contaminant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guided to the partition wall side, and a sedimentation space And an inclined wall which is bent toward the guide por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to prevent re-rising of the precipitated contaminants, and an inclined wall which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nd the partition wall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a bottom surface and a vertical wall of the second space is rounded to form a vortex in an inflowing storm; A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 residual water remover disposed below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for moving residual water;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an end of the multi-stage filter unit for discharging the stor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to the outside, wherein the multi-stage filter unit includes a pair of filt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lter frame for detaching the filt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ilters is provided with a shielding plate for shielding the upper half or lower half so that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pair of filters can be filtered while moving up and down .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시키며, 필요에 따라 내부의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thereof, purifying the incoming rainwater, And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명확한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쓰레기 매립장,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불특정, 불명확,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구분된다.Generally, pollutants are generated from point pollutants discharged from clear point sources such as domestic sewage,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and pollutants such as agricultural land, pasture, forest, construction site, mine, landfill, The point of discharge is classified as non-point pollution, which is unspecific, unclear, and is emitted from a wide range of non-point sources.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수집이 쉽고, 계절 및 날씨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므로 대부분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정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In the case of point pollutants, it is easy to collect, and since the influence of season and weather is relatively small,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amount of pollutants generated throughout the year. Therefore, most purification facilities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are installed.
반면에, 비점오염물질은 희석 및 확산 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고, 강우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심하여 예측이 곤란하며, 수집이 어렵고 처리효율이 일정치 않아서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리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non-point pollutants are diluted and diffused into a wide area,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because of a serious change in emissions due to natural factors such as rainfall, difficult to collect,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에는,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 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월류되는 오수, 하수와 빗물의 혼합수 등이 포함된다.Such non-point pollutants include: fertilizers and pesticides which are not absorbed by the crops and remain in the agricultural land, livestock feces grazed on grassland, untreated livestock wastewater discharged from livestock farming, air pollutants mixed with rainwater, Sewage overflows exceeding the designed amount during rainfall, mixed water and rainwater.
이와 같은 비점오염물질이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강우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들어는 경우 수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원인이 된다.When such non-point pollutants remain on the surface, rainwater flows into public water bodies such as rivers, inland waters, and lake waters along with rainwater, which pollutes the water quality and destroys the ecosystem.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수질오염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42% ~ 69%이며, 향후 몇 년 내에는 65% ~ 8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질관리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해서 비점오염원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Currently, nonpoint pollution sources account for 42% ~ 69% of total water pollution in Korea, and it is expected to reach 65 ~ 80% within the next few years. Therefore, non-point source management is becoming more important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ecosystem protection.
이러한 비점오염원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정화처리하여 정화된 우수만을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방안이 종래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등록특허 10-1353039)"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lated to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a method of purifying the initial pollutant containing the nonpoint pollutant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pollutant to the river is disclosed in a conventional "Non-point Pollutant Disposal Apparatus (Patent No. 10-1353039)" Are specifically known.
이러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부(2)의 상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1 격판(30)과, 제1 격판(30)과 대향하는 유입구(10) 하측에 형성되면서 하단이 상향 절곡된 제2 격판(40) 및 침전부(2)의 하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단이 하향 절곡된 제3 격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침전부 (2)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에 와류를 형성하여 침전물과 부유물을 더욱 능률적으로 분리하고, 우수 내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제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includes a
하지만, 이러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양을 조절할 수 없어서 폭우가 내리거나, 지속적으로 비가 내리게 되면 하우징(1) 외부로 배출되는 우수의 양보다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게 되어 결국 더 이상 우수가 유입되지 못해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유입된 우수가 역류하게 된다.However, the apparatus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can not control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또한, 하우징(1) 내부가 우수에 의해 가득 참에 따라 하우징(1) 내부에서 구역별로 분리되었던 쓰레기, 토사와 같은 이물질들이 유입구(10), 배출구(20), 필터(60, 70) 등에 대량 유입되어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강우가 끝난 후에도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foreign matter such as trash and gravel, which have bee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inside of the
게다가,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0)의 위치가 바닥으로부터 높은 곳에 있어서 우수의 유입이 끝난 후에도 바닥으로부터 배출구의 높이까지 우수가 채워진 상태로 잔류하기 때문에 쉽게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이렇게 하우징(1) 내부에 잔류하는 우수는 비점오염물질에 의해 더욱 빨리 부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패가 필터(60, 70)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악취와 각종 해충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추후에 외부로 배출시 하천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The stain remaining in th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잔류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유입되는 우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고, 유입된 우수로부터 유류 및 이물질을 분리하며, 강우 후에는 내부의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stormwater flowing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stormwater remaining inside, separating oil and foreign matter from the stormwater, Which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non-point pollutant to the outs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구획벽에 의해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구획되는 처리조와, 우수가 상기 처리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우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며, 적어도 측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부유물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단부는 상기 유입부보다 낮은 곳에 위치됨으로써 우수와 유류가 비중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는 유수분리부와, 상기 구획벽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타공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한 상기 유수분리부의 타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상기 구획벽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제2공간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침전되는 협잡물의 침전공간을 제공하는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침전된 협잡물의 재부상을 방지하는 경사벽을 포함하는 재부상방지부와, 상기 제2공간의 저면과 구획벽 사이 또는 상기 제2공간의 저면과 수직벽 사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부와, 상기 제2공간의 저면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와,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하측에 구비되어 잔류수를 이동시키는 잔류수제거부 및 상기 제2공간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를 통과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필터부는,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어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필터와, 상기 필터를 탈착시키기 위한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필터를 통과하는 우수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차폐하는 차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comprising: a treatment tank divided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by a partition wall;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inflow unit and configured to block the inflow of the stormwater by moving up and down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inwater in the treatment tank and a water level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unit, A collecting part formed in a perforated network and collecting suspended solids flowing through the inflow part; and a flow path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the first space with the second space, and the end part located in the first space is connected to the inflow part An oil water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rainwater and the oil by the specific gravity by being positioned at a low position and a perforated network formed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partition wall, A guid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oil water separating portion and passing the introduced storm and guiding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storm to the partition wall side and the guide portion formed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 re-injury prevention part including a vertical wall for providing a settling space of the contaminant to be precipitated and an inclined wall bent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toward the guide part to prevent re-rising of the settled contaminant,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a bottom surface of the space and the partition wall or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nd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walls is rounded to form a vortex in the inflowing rain, A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torm; and a multi-stage filter unit provided below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end portion and discharging the stor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to the outside, wherein the multi-stage filter un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ilters includes a pair of filters composed of a perforated network and a filter fram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filter, Or a shielding plate for shielding the lower half.
상기 차폐판은, 상기 필터의 상반부를 차폐하는 상부차폐판과, 하반부를 차폐하는 하부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필터 중 어느 하나에는 상부차폐판이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하부차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ielding plate includes an upper shielding plate for shielding the upper half of the filter and a lower shielding plate for shielding the lower half, wherein one of the filters is provided with an upper shielding plat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lower shielding plate .
상기 한 쌍의 필터 사이에는 여과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lter medium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lters.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크기에 따라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크기가 다른 메쉬를 가지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is provided with a filter having meshes of different sizes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storm can be filtered according to the size.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입부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유수분리부는 상기 유입부와 토출부의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por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inlet portion, and the oil water separator is positioned between the inlet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유입되는 우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폭우 및 지속강우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pe with heavy rainfall and continuous rainfall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ount of incoming rainfall.
둘째, 본 발명은 우수에 포함된 유류, 협잡물 및 침전물을 여러 단계에 걸쳐 정교하게 분리하므로 정화효과가 뛰어나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urification effect by finely separating oil, contaminants and sediments contained in rainwater through various stages.
셋째, 본 발명은 우수의 과도한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장치 내부에 유입된 우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xcessive inflow of rainwater, thereby preventing reverse flow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넷째, 본 발명은 강우 후에 잔류수가 발생되지 않아 잔류수에 의한 내부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nternal pollution due to residual water since no residual water is generated after rainfall.
다섯째, 본 발명은 우수의 성상에 따라 복수 개의 여과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정화효과가 뛰어나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using a plurality of filter medi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orm, and thus has excellent purification effect.
여섯째, 본 발명은 협잡물 및 침전물이 재부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화효과를 극대화시킨다.Sixth,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purifying effect by preventing the reflux of the impurities and sediments.
일곱째, 본 발명은 협잡물 및 침전물이 필터와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킨다.Seventh,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contact of the contaminants and sediments with the filter, thereby increasing the lifetime of the filter.
도 1은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10-1353039에 기재된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가 작동중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apparatu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353039,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background art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onstitution which have already been described.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초기우수시 발생되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 입자성 고형물, 협잡물, 유류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하천변이나 바다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화하는 장치이다.The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urifying pollutants such as soil, particulate solid matter, impurities, oil, etc. contained in rainwater generated at the time of initial storm to prevent them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rivers or the se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초기우수는 강우량이 5mm 이하인 경우를 뜻하며, 강우량이 5mm를 초과하게 되면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때, 강우량에 대한 기준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initial storm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ase where the rainfall amount is 5 mm or less, and when the rainfall amount exceeds 5 mm, the rainwater does not flow into the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apparatus. At this time, the criteria for rainfall is for understanding purposes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의 구성도 및 작동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측의 필터프레임(720)을 제거한 후 도시하였다.FIG. 2 and FIG. 3 are views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of operation thereof, and FIG. 3 shows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는, 처리조(100), 유입부(160), 수위조절부(200), 포집부(300), 유수분리부(400), 가이드부(500), 재부상방지부(600), 와류형성부(640), 다단필터부(700), 잔류수제거부(800) 및 토출부(900)를 포함한다.2 and 3,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처리조(100)는, 초기우수시 우수가 유입되어 정화되는 곳으로, 구획벽(150)에 의해 제1공간(110) 및 제2공간(120) 즉, 크게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제1공간(110)의 일측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60)가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관을 이용하여 유입부(160)를 형성하였지만, 우수가 유입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수위조절부(200)는, 처리조(100) 내부에 있는 우수의 양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유입부(160)를 차폐하여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술한 유입부(160)에 구비된다.The water
이러한 수위조절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10)와 몸통부(220)로 형성되며, 헤드부(210)는 후술하는 포집부(300)의 상면에 위치하고 몸통부(220)는 포집부(300)의 내부 즉, 유입부(160) 끝단에 위치한다.4, the water
헤드부(210)는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성질을 가지며, 몸통부(220)에는 유입부(160)의 끝단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유입홀(2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a)와 같이 평소에는 몸통부(220)가 포집부(300) 내에 위치하여 유입부(160)의 끝단과 유입홀(230)이 동일선상에 있으며, 처리조(100) 외부의 우수가 유입구 및 유입홀(230)을 통해 처리조(100) 내부로 유입된다.The
폭우 또는 지속강우로 인해 일정량 이상의 우수가 처리조(100) 내부로 유입되어 우수의 수위가 유입부(160)의 높이를 초과하게 되면, 도 4의 (b)와 같이 수위조절부(20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며, 몸통부(220)의 유입홀(230)이 유입부(160)의 끝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If a certain amount or more of rainwater flows into the
이러한 과정에 의해 유입부(16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며, 처리조(100) 내부에서 정화처리된 우수가 후술하는 토출부(900)를 통해 배출되어 우수의 수위가 유입부(160)의 높이보다 낮아지면 수위조절부(200)가 하강되어 우수의 유입이 다시 시작된다.By this process, the flow of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포집부(300)는, 유입부(160)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이 제1공간(110) 전체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유물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것으로, 적어도 측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어 유입부(160)와 연통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포집부(300)의 내부에 유입부(160)를 위치시키고, 포집된 부유물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포집부(300)를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공간(110)의 일측에 구비하였으며, 측면은 타공망으로 형성하고 하면은 개방하였다. 또한, 포집부(300)의 측면에 타공된 홀은 부유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메쉬(Mesh : 이하에서 설명하는 메쉬는 일반적으로 '1인치 사이에 있는 그물코의 수'를 나타내며, 국가별로 기준값은 다를 수 있지만 사전적 의미는 유사하다.)를 적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가 사용중일 때에는 처리조(100) 내부에 항상 일정 수준의 우수가 유지되기 때문에, 유입부(160)를 통해 유입된 우수는 포집부(300)의 측면 및 하면을 통해 제1공간(110)으로 유입되지만, 부유물은 밀도차에 의해 침전되지 못하고 포집부(300) 내부에 부유하게 된다.When the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is in use, the uniformity of the
즉, 포집부(300) 내부로 유입되는 부유물은 우수를 따라 분산되지 못하고 포집부(300) 내에만 잔류하게 된다. 이렇게 포집된 부유물은 필요에 따라 포집부(300)를 분리하거나, 포집부(300)의 일측을 개방하여 회수할 수 있다.That is, the suspended solids flowing into the
유수분리부(400)는, 포집부(300)를 통과하여 제1공간(110)으로 유입된 우수와, 우수에 포함된 유류가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제1공간(110)과 제2공간(120)을 연통시키며, 제1공간(110)에 위치한 단부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60)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The oil water separating
즉, 제1공간(110)의 우수는 유입부(160)의 높이만큼 수위가 유지되는데, 제1공간(110)과 제2공간(120)을 연통하는 유수분리부(400)의 단부가 유입부(160)의 높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함으로써 포집부(300)를 통과한 우수는 유수분리부(400)의 유로를 통해 제2공간(120)으로 유입되며, 유류는 비중차에 의해 제2공간(12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1공간(110)의 우수 표면에 부유하게 된다.That is, the water level of the
이러한 유수분리부(400)의 일측에는 부유된 유류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유류흡착필터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A separate oil adsorption filt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가이드부(500)는, 유수분리부(400)를 통해 제2공간(120)으로 유입된 우수 중 협잡물을 제외한 우수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협잡물은 구획벽(150)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구획벽(150)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타공망으로 이루어져 제2공간(120)에 위치한 유수분리부(400)의 타단부 일측에 구비된다.The guiding
가이드부(500)에 타공된 홀은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메쉬를 적용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500)를 통과하지 못한 협잡물은 구획벽(150) 측으로 안내되어 처리조(100)의 저면으로 침전되고, 가이드부(500)를 통과한 우수는 협잡물이 대부분 걸러진 상태가 된다.The holes formed in the
또한, 유수분리부(400)를 통해 제2공간(120)으로 유입된 우수는 가이드부(500)에 의해 흐름에 저항이 발생되어 우수의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Also,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이러한 가이드부(500)의 상측에는 가이드부(500)의 상태 및 후술하는 침전공간(630)에 침전된 협잡물의 퇴적상태를 점검하는 점검부(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점검부(180)에는 별도의 점검창 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The
재부상방지부(600)는, 가이드부(500)를 따라 침전되는 협잡물이 우수의 흐름에 의해 재부상되어 지속적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2공간(12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벽(610)과, 수직벽(610)의 상단에서 가이드부(500)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경사벽(620)을 포함한다.The
구획벽(150)과 수직벽(610) 사이에는 가이드부(500)를 따라 낙하하는 협잡물이 침전되는 침전공간(630)이 형성되며, 침전된 협잡물은 수직벽(610)에 의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경사벽(620)에 의해 재부상되지 못한다.A
와류형성부(640)는, 우수의 흐름에 의해 부상되는 협잡물이 수직벽(610) 및 경사벽(620)을 넘어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침전공간(630)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와류를 형성한다.The
이를 위해, 와류형성부(640)는 제2공간(120)의 저면과 구획벽(150) 사이 또는 제2공간(120)의 저면과 수직벽(610) 사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즉, 구획벽(150)과 수직벽(610) 사이의 저면에는 와류형성부(640)가 어느 한 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와류형성부(640)에 의해 가이드부(500)를 따라 내려온 우수에는 일 방향으로 와류가 형성되며, 와류는 경사벽(620)에 의해 침전공간(630) 내부에만 형성된다.That is, the
이렇게 형성된 와류에 의해 우수의 흐름에 따라 부상되던 협잡물은 경사벽(620)을 넘지 못하게 되고 침전공간(630) 내에서만 잔류하게 된다.The thus formed vortex causes the contaminants that have float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outflow to not pass over the
다단필터부(700)는, 가이드부(500) 및 재부상방지부(600)를 통과한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협잡물을 더욱 정교하게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재부상방지부(600)와 토출부(900) 사이의 제2공간(120) 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이러한 다단필터부(700)는,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필터(710)와, 필터(710)를 탈착시키기 위한 필터프레임(720)을 포함한다.The
즉, 한 쌍의 필터(710)와 필터프레임(720)을 포함하는 다단필터부(700)는 제2공간(120)의 저면에서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That is, a plurality of the
필터(710)에 타공된 홀은 우수에 남아있는 미세한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메쉬를 적용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500)의 메쉬보다 더 큰 메쉬를 적용하는 것이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할 것이다.The holes formed in the
한 쌍의 필터(710) 사이에는 여과재(730)가 구비되어 우수의 정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우수의 성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여과재(730)를 복수 개 또는 단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A
한 쌍의 필터(7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필터(710)의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차폐하는 차폐판(7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차폐판(750)에 의해 필터(710)를 통과하는 우수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여과된다.At least one of the pair of
즉, 차폐판(750)은 필터(710)의 상반부를 차폐하는 상부차폐판(760)과, 하반부를 차폐하는 하부차폐판(770)을 포함하는데, 하나의 필터(710)에 상부차폐판(760)과 하부차폐판(770)이 모두 구비되면 우수가 통과할 수 없으므로 필터(710) 하나당 설치되는 차폐판(750)은 한 개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hielding
또한, 우수의 이동방향을 유도하여 한 쌍의 필터(710) 사이 즉, 여과재(730) 내부에서 우수가 이동하는 경로를 증가시키기 위해 한 쌍의 필터(710) 중 어느 하나에는 상부차폐판(760)을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하부차폐판(77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path through which the storm moves between the pair of
이렇게 상부차폐판(760)과 하부차폐판(770)이 하나씩 구비된 다단필터부(700)를 복수 개 이격 배치할 때는, 우수가 지속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주보는 필터(71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차폐판(75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plurality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우수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첫 번째 필터(710)에는 차폐판(750)을 구비하지 않고 두 번째 필터(710)에는 하부차폐판(770)을 구비하였으며, 그 이후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차폐판(75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차폐판(750)을 불연속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700)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하였는데, 필터(710)에 의해 필터링된 미세한 협잡물들은 서로 마주보는 다단필터부(7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침전된다.The plurality of
필터프레임(720)은 처리조(100)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단수 또는 복수 개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필터프레임(720) 사이에 필터(710)가 삽입됨으로써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필터프레임(720)에 의해 필터(710)의 탈착이 가능하므로, 필터(710)에 협잡물이 부착되어 필터링효과가 감소된다면 필요에 따라 필터(710)를 분리하여 클리닝 및 교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e or more filter frames 7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여과재(730)는 한 쌍의 필터(710)사이에 구비되므로, 필터(710)와 별개로 탈착 가능하며, 필터(710)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협잡물의 크기 순으로 필터링하여 필터링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이격되어 구비된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7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메쉬를 가지는 필터(7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filtering effect by filtering in order of size of the contaminant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즉, 재부상방지부(600)와 가까운 순서대로 가장 가까운 한 쌍의 필터(710)(한 쌍씩 묶어 동일한 메쉬를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터(710) 별로 다른 메쉬를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는 작은 메쉬를 가지고, 후단부로 갈수록 큰 메쉬를 가지도록 구비하면 우수의 흐름 방향에 따라 크기가 큰 협잡물부터 작은 협잡물 순으로 순차적으로 필터링 될 것이다.That is, a pair of
잔류수제거부(800)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통해 우수를 정화하는 과정이 완료된 후 처리조(100) 내부에 잔류하는 우수를 이동시켜 최종적으로는 처리조(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공간(110) 및 제2공간(120)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idual
제1공간(110)에 구비된 잔류수제거부(800)는 제1공간(110)에 잔류하고 있는 우수를 유수분리부(400)까지 끌어올려 제2공간(120)으로 유입시켜주며, 제2공간(120)에 구비된 잔류수제거부(800)는 제2공간(120)에 잔류하고 있는 우수를 후술하는 토출부(900)까지 끌어올려 처리조(100)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The
이러한 잔류수제거부(800)는, 모터, 펌프, 실린더, 배관 등이 적용될 수 있다.A motor, a pump, a cylinder, a pipe, and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토출부(900)는,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700)를 통과한 우수가 처리조(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공간(120)의 최후단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유로가 형성된 관을 적용할 수 있다.The
이러한 토출부(900)는 우수를 처리조(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우수의 수위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며, 높이차를 이용한 우수의 배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술한 유입부(160)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ing
또한, 상술한 유수분리부(400)는 유입부(160)의 높이와 토출부(900)의 높이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부(160)로 유입된 우수가 높이차에 의해 용이하게 유수분리부(400) 및 토출부(900)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만약, 유입부(160)와 토출부(900)의 높이를 고려하지 않고 구비한다면 우수가 흐르지 않거나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If the height of the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처리조 110 : 제1공간
120 : 제2공간 150 : 구획벽
160 : 유입부 180 : 점검부
200 : 수위조절부 300 : 포집부
400 : 유수분리부 500 : 가이드부
600 : 재부상방지부 640 : 와류형성부
700 : 다단필터부 800 : 잔류수제거부
900 : 토출부100: Treatment tank 110: First space
120: second space 150: partition wall
160: Inflow section 180: Inspection section
200: water level control unit 300:
400: Oil water separator 500: Guide part
600: Re-injury prevention part 640: Vortex formation part
700: Multi-stage filter unit 800:
900:
Claims (5)
우수가 상기 처리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우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우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위조절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며, 적어도 측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부유물을 포집하는 포집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한 단부는 상기 유입부보다 낮은 곳에 위치됨으로써 우수와 유류가 비중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는 유수분리부;
상기 구획벽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타공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한 상기 유수분리부의 타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유입되는 우수는 통과시키고,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상기 구획벽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2공간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침전되는 협잡물의 침전공간을 제공하는 수직벽과, 상기 수직벽의 상단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침전된 협잡물의 재부상을 방지하는 경사벽을 포함하는 재부상방지부;
상기 제2공간의 저면과 구획벽 사이 또는 상기 제2공간의 저면과 수직벽 사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부;
상기 제2공간의 저면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하측에 구비되어 잔류수를 이동시키는 잔류수제거부; 및
상기 제2공간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를 통과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필터부는,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어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타공망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필터와, 상기 필터를 탈착시키기 위한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필터를 통과하는 우수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상반부 또는 하반부를 차폐하는 차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A treatment tank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 inflow part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space so that the storm can be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tank;
A water level adjusting unit provided in the inflow section to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by moving up and down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inwater in the treatment tank;
A collect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rt and having at least a side surface formed as a perforated network for collecting suspended solids flowing through the inflow part;
Wherein the first space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end located in the first space is located lower than the inlet so that the rainwater and the oil are separated by the specific gravity;
A guide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oil water separating portion located in the second space, the guide portion passing the inflowing outflow and guiding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to the partition wall side;
A vertical wall protruding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to provide a settling space of a contaminant settled along the guide portion; and a second wall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toward the guide portion to prevent re- A re-injury prevention portion including an inclined wall;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of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nd a partition wall or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nd a vertical wall is rounded to form a vortex in the inflowing rainwater;
A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torm;
A remaining space provided below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o move the remaining water; And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second spatial end to discharge the stor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to the outside,
Wherein the multi-stage filter unit includes a pair of filters disposed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filter frame for detaching the filt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ilters is provided with a shielding plate for shielding the upper half or lower half so that the storm that passes through the pair of filters can be filtered while moving up and down.
상기 차폐판은, 상기 필터의 상반부를 차폐하는 상부차폐판과, 하반부를 차폐하는 하부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필터 중 어느 하나에는 상부차폐판이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하부차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eld plate includes an upper shield plate shielding the upper half of the filter and a lower shield plate shielding the lower half,
Wherein one of the pair of filters is provided with an upper shielding plate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lower shielding plate.
상기 한 쌍의 필터 사이에는 여과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medium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lters.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크기에 따라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다단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크기가 다른 메쉬를 가지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ulti-stage filter units is provided with a filter having meshes of different sizes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storm can be filtered according to the sizes thereof.
상기 토출부는 상기 유입부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유수분리부는 상기 유입부의 높이와 토출부의 높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ing port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inflow portion,
Wherein the oil water separator is located between the height of the inlet and the height of the outle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83975A KR101479462B1 (en) | 2014-07-04 | 2014-07-04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83975A KR101479462B1 (en) | 2014-07-04 | 2014-07-04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79462B1 true KR101479462B1 (en) | 2015-01-08 |
Family
ID=525879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400839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9462B1 (en) | 2014-07-04 | 2014-07-04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79462B1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67491B1 (en) * | 2015-07-09 | 2016-10-18 | 조창균 | A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
| KR101753855B1 (en) * | 2015-01-30 | 2017-07-03 | (주)엠큐빅 |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the function of both alarming and sensing the filter blockage using overflowing sensor |
| CN113018968A (en) * | 2019-12-06 | 2021-06-25 | 王�华 | 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sewage sedimentation tank |
| CN116201492A (en) * | 2023-01-19 | 2023-06-02 | 中铁隧道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emission auxiliary system for urban earth surface drill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
| KR102556577B1 (en) * | 2022-10-19 | 2023-07-19 | (주)젠스텍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KR102683261B1 (en) * | 2023-06-05 | 2024-07-08 | 이호건 | Washing water precision filtration treatment device with a flow rate reduction function |
| KR102795073B1 (en) * | 2025-01-10 | 2025-04-15 |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 Rapid filtration apparatus for pipe washing water treatmen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34172A (en) * | 2004-10-18 | 2006-04-21 | 안영찬 | Pollution Purification Method of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and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
| KR20070075371A (en) * | 2007-05-25 | 2007-07-18 |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Step-by-step abatement of pollutants in initial rainfall runoff |
| KR20130137963A (en) * | 2012-06-08 | 2013-12-18 | 신흥대학산학협력단 | Early rainwater exclusion apparatus |
| KR101353039B1 (en) | 2011-08-26 | 2014-01-21 | 남기윤 | Apparatus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rainwater |
-
2014
- 2014-07-04 KR KR20140083975A patent/KR1014794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60034172A (en) * | 2004-10-18 | 2006-04-21 | 안영찬 | Pollution Purification Method of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and Pollution Purification System |
| KR20070075371A (en) * | 2007-05-25 | 2007-07-18 |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Step-by-step abatement of pollutants in initial rainfall runoff |
| KR101353039B1 (en) | 2011-08-26 | 2014-01-21 | 남기윤 | Apparatus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rainwater |
| KR20130137963A (en) * | 2012-06-08 | 2013-12-18 | 신흥대학산학협력단 | Early rainwater exclusion apparatus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53855B1 (en) * | 2015-01-30 | 2017-07-03 | (주)엠큐빅 |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the function of both alarming and sensing the filter blockage using overflowing sensor |
| KR101667491B1 (en) * | 2015-07-09 | 2016-10-18 | 조창균 | A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
| CN113018968A (en) * | 2019-12-06 | 2021-06-25 | 王�华 | 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sewage sedimentation tank |
| CN113018968B (en) * | 2019-12-06 | 2022-10-28 | 王�华 | 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sewage sedimentation tank |
| KR102556577B1 (en) * | 2022-10-19 | 2023-07-19 | (주)젠스텍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CN116201492A (en) * | 2023-01-19 | 2023-06-02 | 中铁隧道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emission auxiliary system for urban earth surface drill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
| KR102683261B1 (en) * | 2023-06-05 | 2024-07-08 | 이호건 | Washing water precision filtration treatment device with a flow rate reduction function |
| KR102795073B1 (en) * | 2025-01-10 | 2025-04-15 |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 Rapid filtration apparatus for pipe washing water treat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79462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
| KR100911819B1 (en) |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Device | |
| US8496814B2 (en) |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 |
| AU2010292395B2 (en) |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 KR20100020867A (en) | Apparatus for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using slope filter | |
| KR100987316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combining oil-water separation with upward movement filtration by using filter medium movable filter and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thereby | |
| KR101249741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early stage rain water | |
| KR101003477B1 (en) | Initial excellent treatment device | |
| KR101746524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for the road and bridge | |
| KR100865253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that can control flow automatically without power | |
| KR101656664B1 (en) | Cartridge modular infiltration trench preprocessing tank,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rainwater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US20150176265A1 (en) | Filter for polluted water | |
| KR20130021598A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 |
| KR101353039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rainwater | |
| KR101327526B1 (en) | Water treatment structure | |
| KR101244122B1 (en) |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 |
| KR101334884B1 (en) | An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 |
| KR101912323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precipitation and filtering |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 KR100904287B1 (en) | Sewage Overflow Water Treatment System | |
| KR100605267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 KR20100122373A (en) | Storm water treatment apparatus | |
| KR101085199B1 (en) | Stream tributary removal and filtration systems | |
| KR101749320B1 (en) | A screen device | |
| KR101203059B1 (en)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2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3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