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8763B1 -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763B1
KR101438763B1 KR1020100065927A KR20100065927A KR101438763B1 KR 101438763 B1 KR101438763 B1 KR 101438763B1 KR 1020100065927 A KR1020100065927 A KR 1020100065927A KR 20100065927 A KR20100065927 A KR 20100065927A KR 101438763 B1 KR101438763 B1 KR 10143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hysical
active mode
physical link
ave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648A (ko
Inventor
변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08,466 priority Critical patent/US8837308B2/en
Publication of KR2011004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7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cting on aggregated flow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기반 통신방식에 관한 것으로, 링크 그룹 통신을 할 때, 전송되는 트래픽의 양에 따라서 그룹 내의 적절한 개수의 링크만을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여 트래픽 전송에 이용하고, 나머지 링크는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하여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링크그룹 통신에서의 효율적인 전력절감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Efficient Link Group-base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기반 통신방식에 관한 것으로, 통신 시스템이 개별 링크 대역폭 이상의 논리적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링크를 논리적으로 묶어서 통신하는 링크그룹 통신방식에서 전력 절감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라우터 및 서버 등은 하나의 링크 속도 이상의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물리링크를 하나의 링크 그룹으로 묶어서 논리적으로 하나의 링크인 것처럼 동작시키는 링크 그룹 기반의 통신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더넷에서는 표준에 따른 링크 애그리게이션(Ling Aggregation) 방법으로 다수의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묶어서 수 기가비트 대역폭의 논리적 링크를 만들어 사용한다. 이더넷 이외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POS(Packet Over Sonet) 등에서도 논리적 링크 그룹 생성을 통해 높은 대역의 논리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링크 그룹을 형성하면, 해당 링크 그룹으로 향하는 트래픽을 모든 멤버 링크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개별 링크 대역폭 이상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트래픽 양이 적을 경우에도 모든 링크를 사용하여야 되어 시스템 자원 또는 전력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링크 그룹 통신을 할 때, 전송하고자 하는 트래픽의 양에 따라서 그룹 내의 적절한 개수의 링크만을 이용(액티브 모드)하고, 나머지 링크는 유휴상태로 설정(전력절감 모드)하여, 트래픽을 액티브 모드로 동작하는 링크들을 통해서만 전송하고, 전력절감 모드의 나머지 링크들은 링크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만 사용하도록 하여, 링크그룹 통신에서 링크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링크그룹 통신장치는 인접노드와 다수의 물리링크로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다수의 물리링크를 하나의 링크그룹으로 구성하고, 링크그룹 내의 각각의 물리링크에 대해 패킷 전송여부를 설정하는 링크그룹 관리부, 링크그룹 내의 패킷이 전송되도록 설정된 물리링크를 통해 패킷을 분산하여 전송하는 트래픽 분배부 및 링크그룹 내의 패킷이 전송되도록 설정된 물리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평균 트래픽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평균 트래픽량을 링크그룹 관리부에 전송하는 링크상태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물리링크는 동일한 전송속도를 갖는 링크들만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전송속도를 갖는 링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그룹 관리부는 링크그룹 내의 각각의 물리링크에 대해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소정의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링크그룹 관리부는 링크상태 감시부에서 전송받은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하나의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하거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분배부는 링크그룹 관리부에서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한 경우,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된 물리링크에 할당된 트래픽을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분배부는 링크그룹 관리부에서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 경우, 액티브 모드로 기설정된 물리링크에 할당된 트래픽 중의 일부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분배부에서 분산된 패킷이 각각의 물리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물리링크의 앞단에 위치하여 상기 패킷을 임시저장하는 링크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크상태 감시부는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와 연결된 링크 버퍼의 평균 저장길이를 산출하여 물리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평균 트래픽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저장길이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와 연결된 링크버퍼들의 길이 평균을 계산하고, 계산된 길이 평균을 일정 길이의 시간 윈도우 구간의 동작 평균을 계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링크그룹 통신방법은 인접노드와 다수의 물리링크로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다수의 물리링크를 하나의 링크그룹으로 구성하는 단계, 링크그룹 내의 각각의 물리링크에 대해 트래픽량에 따라 소정의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들을 통해 패킷을 분산하여 전송하는 단계,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들을 통해 전송되는 평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하나의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하거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저장길이가 기설정된 최소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 중에서 최소 임계치와 상기 평균 저장길이의 차이에 따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할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소정의 물리링크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물리링크에 할당된 트래픽을 물리링크 이외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하는 단계 및 선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저장길이가 기설정된 최대 임계치보다 큰 경우, 링크그룹 내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 중에서 최대 임계치와 평균 저장길이의 차이에 따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소정의 물리링크를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액티브 모드로 기설정된 물리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트래픽 중의 일부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이 물리링크를 다수개 묶어서 링크그룹을 만들고, 하나의 고대역폭 링크그룹을 운용하는 링크그룹 통신방식에 있어서, 링크그룹으로 향하는 트래픽의 양에 따라서 전송에 사용되는 링크 수를 조절하고 나머지 링크는 유휴상태로 바꾸어 저전력 상태로 둠에 따라 링크그룹 통신에서의 효율적인 전력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링크그룹 내의 링크들의 트래픽 전송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통신시스템 전체적인 링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그룹 통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그룹 통신방법을 나타낸 기본흐름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그룹 통신방법을 나타낸 세부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통신시스템이라 함은 다수의 물리적 링크를 갖고 패킷을 전송단위로 하는 시스템으로서 그 예는 서버, 스위치, 라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링크라고 함은 물리적인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그 예는 이더넷, PON(Passive Optical Network) 인터페이스, POS(Packet Over Sonet), Wireless Lan, CDMA, GSM 등으로 일반적인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시스템은 링크그룹 관리부(100), 트래픽 분배부(110), 링크상태 감시부(120), 링크버퍼(1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물리링크, 물리링크에 연동된 링크버퍼(130), 링크버퍼(130)의 길이를 모니터링하는 링크상태 감시부(120), 패킷 트래픽을 출력 링크로 보내주는 트래픽 분배부(110), 링크그룹을 설정하고 멤버를 관리하는 링크그룹 관리부(100)를 포함한다.
링크그룹 관리부(100)는 인접 시스템과의 고대역폭 통신채널이 필요할 경우, 적정 개수의 물리링크를 하나의 링크그룹으로 설정하고, 개별 링크의 모드를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한 시스템 내에 링크 그룹은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으며, 링크그룹 관리기가 이를 링크그룹별로 관리할 수 있다.
링크그룹 내의 링크는 패킷전송 가능 여부에 따라 액티브 모드와 전력절감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링크가 액티브 모드라 함은, 트래픽이 해당 링크를 통해 링크의 설정된 전송속도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10Mbps, 100Mbps, 1Gbps의 다중 속도 모드를 지원하는 이더넷과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서의 액티브 모드는 세가지 속도 모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링크가 전력절감 모드라고 함은 링크가 패킷을 전송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즉 유휴상태에 있음을 말한다.
전력절감모드는 링크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현 방법에 따라 다양한 수준이 가능하며, 한 예로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는 연결된 대상 통신시스템과 링크 연결상태 유지를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만 공급할 수도 있다.
링크 버퍼(130)는 물리 링크를 통해 전송될 패킷이 머무르는 저장공간을 의미한다.
트래픽 분배부(110)는 각 링크그룹으로 향하는 패킷 트래픽을 링크 그룹내의 물리링크들에게 적절히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래픽 분배부(110)를 구현하는 한 예로, 패킷의 헤더정보를 해싱(hashing)해서 해싱 결과에 따라 링크 별로 할당하여 동일 플로우에 속한 패킷들이 같은 링크그룹의 물리링크를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의 다양한 분배 방법이 가능하며, 상기 설명된 분배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링크상태 감시부(120)는 링크버퍼(130)의 길이를 모니터링하여, 각 링크그룹별로 일정 시간 구간에서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링크에 연결된 링크버퍼의 평균길이를 계산하여 이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링크그룹별 평균 링크버퍼 길이를 구하는 한 예는 단위 시간마다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링크버퍼들 길이의 평균을 내고, 이를 일정 길이의 시간 윈도우 동안의 동작 평균(moving average)을 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링크상태 모니터링 방법 이외의 다양한 계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그룹 통신방법을 나태난 기본 흐름도이다.
우선, 인접노드와 다수의 물리링크로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인접노드와 연결된 다수의 물리링크로 하나의 링크그룹으로 구성한다(200).
구성된 링크그룹 내의 각각의 물리링크에 대해 전송할 트래픽량에 따라 소정의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한다(210).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들을 통해 패킷을 분산하여 전송한다(220).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들을 통해 전송되는 평균 트래픽량을 측정하고(230), 측정된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하나의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하거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설정한다(240).
이 경우, 측정된 평균 트래픽량이 현재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들의 수용용량과 비교하여 패킷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 부족한 경우에는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설정 전환하고, 패킷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 과대한 경우에는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 전환하게 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그룹 통신방법을 나타난 세부 흐름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도 1의 링크그룹 통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단계별 동작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링크그룹 관리부(100)는 사용자의 설정 혹은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의한 지시등을 통해 N개의 링크를 링크 그룹으로 설정한다(300). 링크그룹 설정은 N개의 물리링크로 서로 연결된 두 시스템에서 모두 이루어져야 하며, 이 단계에서 링크그룹 생성에 대한 시그널링에 의한 협상을 통해, 혹은 관리자의 설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N개의 링크로 구성된 링크그룹 생성시 적정 개수 k(1≤k≤N)개의 링크를 알고리즘 혹은 설정(트래픽량 예측 등)에 의해 선정하여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링크는 유휴상태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한다(310).
링크그룹 내의 특정 물리링크의 모드를 설정할 경우 물리링크에 연결된 상대 시스템도 동일한 모드로 해당 물리링크를 설정해야 하며, 이에 대한 구현은 양 시스템간 상호통신에 의한 협상, 혹은 외부 제어서버를 통한 설정 등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
트래픽 분배부(110)는 각 링크그룹으로 향하는 트래픽을 적절한 방식을 통해서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로만 분산해서 보낸다(320).
이때, 링크상태 감시부(120)는 주기적으로 링크그룹 별로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버퍼의 평균 길이를 계산한다(330).
링크상태 감시부(120)는 링크그룹 별로 두 개의 임계치(threshold), 즉 정상 임계치(idle_threshold)와 분주 임계치(busy_threshold)를 관리하며 통상적으로 분주 임계치(busy_threshold)가 정상 임계치(idle_threshold)보다 크다. 계산한 평균버퍼길이가 정상 임계치(idle_threshold)보다 작거나(340), 혹은 분주 임계치(busy_threshold)보다 클 경우(350) 이를 링크그룹 관리부(100)에 통지한다.
링크그룹 관리부(100)는 평균 링크버퍼 길이가 정상 임계치(idle_threshold)보다 작다고 통보받을 경우, 링크그룹으로 흐르는 트래픽 양이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 수에 비해 적다고 판단하고, 액티브모드 물리링크 중에서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할 링크를 적정 개수 선정하고, 이를 트래픽 분배부(110)에 통지한다(341).
트래픽 분배부(110)는 액티브 모드에서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될 물리링크를 통해 흐르던 패킷 트래픽을 남아 있는 다른 액티브모드 물리링크로 재분배한 후에 이를 링크그룹 관리부(100)에 알린다(342).
링크그룹 관리부(100)는 트래픽 분배가 끝났음을 통지받으면, 선정된 액티브 모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한다(343). 링크그룹 내의 특정 링크의 모드를 설정할 경우 링크에 연결된 상대 시스템도 같은 모드로 해당 링크를 설정해야 하며, 이에 대한 구현은 양 시스템간 상호통신에 의한 협상, 혹은 외부 제어서버를 통한 설정 등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
링크그룹 관리부(100)는 평균 링크버퍼 길이가 분주 임계치(busy_threshold)보다 크다고 통보받을 경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모드 물리링크가 트래픽에 비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링크그룹 내의 전력절감 모드 물리링크 중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링크를 적정 개수 선정하고(351), 선정된 전력절감 모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이를 트래픽 분배부(110)에 통지한다(352).
이 단계에서 트래픽 분배부(110)는 새로 액티브모드 물리링크로 전환된 링크로 기존 액티브 링크로 전달되던 트래픽을 재분배한다(353).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링크그룹 관리부
110 트래픽 분배부
120 링크상태 감시부
130 링크버퍼

Claims (14)

  1. 인접노드와 다수의 물리링크로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전송속도를 갖는 링크들로 구성되는 다수의 물리링크를 하나의 링크그룹으로 구성하고, 상기 링크그룹 내의 각각의 물리링크에 대해 패킷 전송 여부를 설정하되, 상기 링크그룹 내의 각각의 물리링크에 대해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소정의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하는 링크그룹 관리부;
    상기 링크그룹 내의 패킷이 전송되도록 설정된 물리링크를 통해 상기 패킷을 분산하여 전송하는 트래픽 분배부;
    상기 트래픽 분배부에서 분산된 패킷이 각각의 물리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상기 물리링크의 앞단에 위치하여 상기 패킷을 임시저장하는 링크 버퍼; 및
    상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와 연결된 링크 버퍼의 평균 저장길이를 산출하여 상기 물리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평균 트래픽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평균 트래픽량을 상기 링크그룹 관리부에 전송하는 링크상태 감시부;를 포함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그룹 관리부는
    상기 링크상태 감시부에서 전송받은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하나의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하거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링크그룹 관리부에서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한 경우, 상기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된 물리링크에 할당된 트래픽을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분배부는
    상기 링크그룹 관리부에서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한 경우, 액티브 모드로 기설정된 물리링크에 할당된 트래픽 중의 일부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저장길이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와 연결된 링크버퍼들의 길이 평균을 계산하고, 계산된 길이 평균을 일정 길이의 시간 윈도우 구간의 동작 평균을 계산하여 산출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10. 삭제
  11. 인접노드와 다수의 물리링크로 연결되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전송속도를 갖는 링크들로 구성되는 다수의 물리링크를 하나의 링크그룹으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링크그룹 내의 각각의 물리링크에 대해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소정의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물리링크는 패킷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들을 통해 상기 패킷을 분산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와 연결된 링크 버퍼의 평균 저장길이를 산출하여 상기 물리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평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평균 트래픽량에 따라 하나의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하거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링크그룹 통신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저장길이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와 연결된 링크버퍼들의 길이 평균을 계산하고, 계산된 길이 평균을 일정 길이의 시간 윈도우 구간의 동작 평균을 계산하여 산출하는 링크그룹 통신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저장길이가 기설정된 최소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링크그룹 내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 중에서 상기 최소 임계치와 상기 평균 저장길이의 차이에 따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할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소정의 물리링크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물리링크에 할당된 트래픽을 상기 물리링크 이외의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물리링크를 전력절감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링크그룹 통신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저장길이가 기설정된 최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링크그룹 내의 전력절감 모드로 설정된 물리링크 중에서 상기 최대 임계치와 상기 평균 저장길이의 차이에 따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할 소정의 물리링크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물리링크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액티브 모드로 기설정된 물리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트래픽 중의 일부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 물리링크에 재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링크그룹 통신방법.
KR1020100065927A 2009-11-04 2010-07-08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3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8,466 US8837308B2 (en) 2009-11-04 2010-10-20 Power efficient link group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079 2009-11-04
KR20090106079 2009-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648A KR20110049648A (ko) 2011-05-12
KR101438763B1 true KR101438763B1 (ko) 2014-09-05

Family

ID=4436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9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8763B1 (ko) 2009-11-04 2010-07-08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501B1 (ko) 2012-10-19 2020-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사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멀티패스 통신장치 및 이의 에너지 사용 효율 향상을 위한 트래픽 분배방법
CN105323840B (zh) * 2014-07-29 2020-01-31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功率配置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3452A1 (en) * 2003-05-06 2004-11-11 Santos Jose Renato Process for detecting network congestion
US20080304519A1 (en) * 2007-06-06 2008-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ethernet power savings on link aggregated grou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3452A1 (en) * 2003-05-06 2004-11-11 Santos Jose Renato Process for detecting network congestion
US20080304519A1 (en) * 2007-06-06 2008-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ethernet power savings on link aggregated grou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648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7308B2 (en) Power efficient link group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95315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power and performance optimized server interconnects
US93423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gestion management in a fibre channel network
US8326149B2 (e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in which different optical network units transmit at different rates
JP5404936B2 (ja) 通信装置
CN104836751B (zh) 基于频谱感知的单路径业务分割-合并的光网络频谱分配方法
CN102970225A (zh) 基于多优先级业务的IP over WDM网络能量感知路由方法
JP2011078039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9381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to support low-power mode in passive optical network (PON)
EP10658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s between nodes in a bi-directional ring network
US20080219289A1 (en) 10GBase-T link speed arbitration for 30m transceivers
Li et al. Energy-efficient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EPON networks with sleep mode ONUs
JP5357819B2 (ja) データ伝送装置
US92233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reduction in network
KR101438763B1 (ko) 전력을 절감하는 링크그룹 통신장치 및 방법
EP2579654A1 (en) Control of energy efficiency above PMD interface
JP5169296B2 (ja) 通信装置、帯域制御通信方法、帯域制御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690141B2 (ja) 光加入者線端局装置および下り帯域制御方法
WO2011083564A1 (ja) Ponシステム、加入者側装置、局側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1309867B1 (ko) 광가입자망
KR101915403B1 (ko) Hmc 컨트롤 장치 및 hmc 컨트롤 장치의 전력 관리 방법
JP2011166268A (ja) パケット転送装置
US8873959B2 (en) 802.3av compliant method using small timescale bandwidth assignment for increased ONU downstream energy efficiency
Chen et al. Deep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policy for power efficient dynamic subcarrier assignment in OFDMA-PONs
Shagdar et al. ONU-driven Energy-saving Method in an EPON by Implementing Look-ahead MPCP-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9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