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585B1 - Electric Pole Removal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ic Pole Remova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0585B1 KR101370585B1 KR1020120085373A KR20120085373A KR101370585B1 KR 101370585 B1 KR101370585 B1 KR 101370585B1 KR 1020120085373 A KR1020120085373 A KR 1020120085373A KR 20120085373 A KR20120085373 A KR 20120085373A KR 101370585 B1 KR101370585 B1 KR 1013705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e
- fixing member
- bolt
- support members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8—Arrangements for demolition tower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0—Side-supporting means therefor, e.g. using guy rop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이용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 등에서, 작업자가 자키(Jockey)를 이용하여, 전주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의 전주 제거 장치로서, 전선 또는 통신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전주가 옆으로 쓰러지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전주의 하단 부분이 매립된 땅이나 콘크리트 등을 일정 깊이 이상 파내지 않아도 되므로, 전주 철거 작업에 많은 인력과 장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electric pole removing device of a simple structure for allowing a worker to safely and easily dismantle electric poles using a jockey in a narrow place where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or the like cannot be used. Alternatively,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communication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that the pole falls to the side in advance. Also, since the lower part of the pole does not need to be excavated more than a certain depth, the land or concrete where the lower part of the pole is buried is removed. It can effectively prevent a lot of manpower and a long time is requir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크레인(Crane)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전주(Electric Pole)를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주 철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ole demolition apparatus for enabling the electric pole to be easily dismantled using human power without using, for example, a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일반적으로 전주(電柱)는, 전선이나 통신선을 늘여 매기 위하여 세운 기둥으로서, 전선주, 전신주, 전봇대 등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지기도 하는 데, 이하에서는 이들을 통칭하여 ‘전주’라고 한다. In general, electric poles are poles that are erected to extend electric wires or communication lines, and are often referred to as electric wire poles, telephone poles, and poles.
한편, 상기 전주는, 재질에 따라 콘크리트주, 철주, 목주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전주의 높이는, 설치 장소 및 용도 등에 따라 약 5 내지 10m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e, depending on the material can be divided into concrete pole, iron pole, wooden pole, etc., the height of the pol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such as about 5 to 10m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use.
또한, 상기 전주는, 예를 들어, 약 50m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는 데, 이 또한 설치 장소 등에 따라 인접된 전주들 간의 이격 간격이 임의로 달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es, for example, may be spaced apart at intervals of about 50m, for example, the spacing interval between adjacent poles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it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전주는, 통상적으로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이용하여 철거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철거하고자 하는 전주의 설치 장소 등이 협소하여,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 사람의 힘, 즉 인력(人力)을 동원하여 수작업으로 전주를 철거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ol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to be demolished using a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for example,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pole to be removed, such as narrow, do not use a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If not, the jeonju is manually dismantled by mobilizing man's power, that is, manpower.
예를 들어,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인력으로 전주를 직접 철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가서 전선이나 통신선을 절단하는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전선 또는 통신선에 의해, 전주에 작용하던 장력 등이 순간적으로 없어지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전주가 옆으로 쓰러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directly dismantle poles by manpower without using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a worker first goes up the pole and cuts a wire or a communication line. Since the tension acting on the pole disappears instantaneously, as shown in FIG. 1, a safety accident occurs when the pole falls sideways while the worker is suspended.
또한, 전선이나 통신선이 절단된 상태에서, 전주를 철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전주의 하단 부분이 매립된 땅이나 콘크리트 등을 일정 깊이 이상 파낸 후, 옆으로 쓰러뜨려야만 하기 때문에, 전주 철거에 많은 인력과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demolish electric poles in the state where electric wires or communication lines are cut, a lot of manpower is needed for demolishing electric poles because the worker has to dig over the ground or concre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electric poles is buried more than a certain depth, and then knock them down.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이용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 등에서, 작업자가 자키(Jockey)를 이용하여, 전주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의 전주 제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a narrow place where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etc., using a jockey (Jockey), the removal of the electric pole of a simple structure for allowing the electric pole to be safely and easily dismantled It is for providing a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철거 장치는, 전주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된 전주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Electrode demol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so that the pole does not fall sideways; And a transfer part for lifting the fixed pole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주의 하단으로부터 적어도 2m 이상 높이의 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다수의 지지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the fix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xing member for wrapping and fixing a portion of the height of at least 2m from the lower end of the pole,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for supporting the fixing member on the ground,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원통 형상의 커버링으로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ylindrical covering by the coupling of the bolt and nut,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he coupling of the bolt and nut, is symmetrically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Features,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주를 감싸되, 수직 방향으로 전주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갖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과의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wrapped around the electric pole, has a fluidity to move the p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ide of the fixing member, a bolt hole for fastening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 중 적어도 2 개의 인접된 지지부재들 사이에는, 벌어짐 방지를 위한 걸림 쇠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between at least two adjacent support member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for preventing the gap is installed,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 쇠가 안착되는 걸림 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걸림 턱 역할을 하기 위해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a side of the fixing member, the locking jaw to which the latch is seated is integrally formed, or a bolt hole into which the bolt is inserted to serve as the locking jaw is formed.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전주의 하단으로부터 적어도 1m 이하 높이의 부분을 감싸 밀착하기 위한 밀착부재로서,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원형 띠의 커버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is a close contact member for wrapping close to the portion of the height of at least 1m or less from the lower end of the p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y the covering of the circular band by the coupling of the bolt and nut,
또한, 상기 밀착부재의 측면에는, 자키에 의해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을 전달 받아 전주를 들어올리기 위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ide of the contac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for lifting the electric pole by receiving the force applied vertically by the jockey is formed integrally.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이용할 수 없는 협소한 장소 등에서, 작업자가 자키(Jockey)를 이용하여, 전주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전선 또는 통신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전주가 옆으로 쓰러지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전주의 하단 부분이 매립된 땅이나 콘크리트 등을 일정 깊이 이상 파내지 않아도 되므로, 전주 철거 작업에 많은 인력과 장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a narrow place where a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etc. can not be used, the operator can use the jockey (Jockey) to safely and easily dismantle the electric pole, cutting the wire or communication line In the process of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fall of Jeonju from the side. In addition, since the lower part of Jeonju does not have to dig up the land or concrete buried in a certain depth or more, The long tim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1은 전주가 옆으로 쓰러지는 안전사고 발생 사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철거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에 대한 구성 부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철거 장치가 설치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들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들 사이에 걸림 쇠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부재에 대한 구성 부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철거 장치에 의해 전주가 수직으로 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 safety accident occurrence case in which Jeonju falls sideways,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pole demol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omponents for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le pole demolishing apparatus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Figure 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tch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components for the contact mem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ole is vertically pulled out by the pol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철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pole demol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본 발명은,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철거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자키(Jockey)를 사용하여, 전주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의 전주 철거 장치이다. 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e dismantling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for allowing a worker to safely and easily dismantle electric poles without using a large demolition equipment such as a cra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철거 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전주(100)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00)와, 상기 고정된 전주(10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이송부(300)로 구분될 수 있다. 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pole dismant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한편,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전주(10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예를 들어, 5m 내지 10m 높이를 갖는 전주의 경우, 전주의 하단으로 부터 적어도 2m 이상 높이의 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를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시키는 다수의 지지부재들(21~26)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는, 반 원통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조립 부품(20a,20b)으로 구성되어, 4 개의 볼트와 너트들(VN1~VN4)의 결합에 의해 원통 형상의 커버링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또한,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전주(100)를 감싸되, 수직 방향으로 전주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갖으며, 상기 고정부재(200)의 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21~26)과의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Hole1, Hole3)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의 좌측 측면에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재들(21,22,23)이, 하나의 볼트와 너트(VN5)에 의해 일괄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우측 측면에는, 제4 내지 제6 지지부재들(24,25,26)이, 하나의 볼트와 너트(VN6)에 의해 일괄 체결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on the left side of the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4 지지부재(21,24)의 종단부와, 제2 및 제5 지지부재(22,25)의 종단부, 그리고 제3 및 제6 지지부재(23,26)의 종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볼트와 너트(VN5,VN6)에 의해 일괄 체결될 수 있는 각기 다른 고유의 형상으로 연결 고리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20)의 좌측 측면에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재들(21,22,23)이, 하나의 볼트와 너트(VN5)에 의해 일괄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우측 측면에는, 제4 내지 제6 지지부재들(24,25,26)이, 하나의 볼트와 너트(VN6)에 의해 일괄 체결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20)는,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펼쳐 있는 각 3 개의 지지부재들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를 받게 되므로, 상기 전주(100)가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 중 적어도 2 개의 인접된 지지부재들 사이에는, 벌어짐 방지를 위한 걸림 쇠가 형성되어 있는 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지지부재들(22,23) 사이에는, 바깥 방향으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쇠(60)가 펼쳐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at least two adjacent support member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 latch for preventing the gap is 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the second and third Between the supporting
또한, 상기 고정부재(20)의 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부재들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 구멍(Hole1,Hole3) 이외에도, 상기 걸림 쇠(60)가 안착되는 걸림 턱(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걸림 턱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 구멍(Hole2,Hole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bolt holes (Hole1, Hole3) for fasten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he locking jaw (50) on which the latch (60) is seate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fixing member (20), Bolt holes (Hole2 and Hole4) may be formed to insert the bolts to replace the locking jaw.
이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3 지지부재들(22,23)은, 상기 걸림 쇠(60)와 걸림 턱(50)에 의해 더 이상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고, 소정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second and third supporting
또한, 상기 고정부재(20)의 다른 측면에 체결된 제5 및 제6 지지부재들(25,26) 사이에도, 바깥 방향으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쇠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20)의 다른 측면에도, 걸림 쇠가 안착되는 걸림 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걸림 턱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fifth and
이에 따라, 상기 제5 및 제6 지지부재들(25,26)도, 상기 걸림 쇠와 걸림 턱에 의해 더 이상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고, 소정 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fth and sixth supporting
한편,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전주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하, 예를 들어, 적어도 1m 이하 높이의 부분을 감싸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으로, 제1 밀착부제(30)와 제2 밀착부재(31)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데,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재(30,31)는, 각각 2 개의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원형 띠의 커버링으로 체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0)는, 전주의 하단 부분을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감싸기 위한 커버링 형상의 제1 밀착부재(30)와 제2 밀착부재(31)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그리고, 상기 제1 밀착부재(30)의 우측면에는, 자키(400)에 의해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을 전달 받기 위한 돌기(30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밀착부재(31)의 좌측면에는, 자키(401)에 의해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을 전달 받기 위한 돌기(31c)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1 밀착부재(30)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0c) 밑과, 상기 제2 밀착부재(31)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1c) 밑에, 각각 자키(400,401)를 정확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전주(100)를 수직 방향으로 조금씩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operator has a jockey (under the
따라서, 전선 또는 통신선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전주가 옆으로 쓰러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전주의 하단 부분이 매립된 땅이나 콘크리트 등을 일정 깊이 이상 깊숙이 파내지 않고서도, 전주를 뽑을 수 있으므로, 전주 철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electric wire or communication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pole falls to the side, and the pole can be pulled out without digging deeper than a certain depth in the land or concrete buried in the lower part of the p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duce the time and manpower required for the demolition work.
참고로, 상기 지지부재들(21~26)의 종단부에는, 지면과의 접촉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판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t the end portions of the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Alteration, substitution, addition, or the like.
100 : 전주 200 : 고정부
300 : 이송부 400,401 ; 자키
20 : 고정부재 21~26 : 지지부재
30,31 : 밀착부재 50 : 걸림 턱
60 : 걸림 쇠100: pole 200: fixed part
300: feeder 400,401; Jockey
20: fixing
30,31: close contact member 50: locking jaw
60: brace
Claims (8)
상기 고정된 전주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전주의 하단 부분을 감싸기 위한 제1 및 제2 밀착 부재로 구성되고, 각 밀착 부재의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힘을 상기 밀착 부재가 감싸는 전주에 전달하고,
상기 전주에 착탈이 가능한 제1 및 제2 밀착 부재는 상기 전주의 다른 높이에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밀착 부재의 돌기는 상기 전주를 기준으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ole does not fall sideways;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veying portion for lifting the fixed p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ransfer par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s for wrapping the lower end of the pole, and a projec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each contact member to transmit the force applied to the proj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pole wrapped by the contact member ,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ntact members detachable from the pole are attached to different heights of the pole, and the proj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lose contact members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ole. Device.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주의 하단으로부터 적어도 2m 이상 높이의 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다수의 지지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part, the pole pole demoli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member for wrapping and fixing a portion of the height of at least 2m from the lower end of the pole,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fixing member on the ground.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원통 형상의 커버링으로 체결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ylindrical covering by the coupling of the bolt and nut,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by symmetrical coupling of the bolt and nut. Telephone pole demolition device.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주를 감싸되, 수직 방향으로 전주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갖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과의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member is wrapped around the electric pole, has a fluidity to move the p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ide of the fix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hole for fastening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is formed Pole demolition device.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들 중 적어도 2 개의 인접된 지지부재들 사이에는, 벌어짐 방지를 위한 걸림 쇠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Electrode dismant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for preventing the gap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two adjacent support member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 쇠가 안착되는 걸림 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걸림 턱 역할을 하기 위해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locking jaw to which the latch is seated is integrally formed, or a bolt hole into which the bolt is inserted to serve as the locking jaw is formed.
상기 밀착 부재는 상기 전주의 하단으로부터 적어도 1m 이하 높이의 부분을 감싸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원형 띠의 커버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ct member wraps around the portion of the height of at least 1m or less from the lower end of the pole, and the electric pole dismant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by the covering of the circular band by the coupling of the bolt and nut.
상기 돌기는 자키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전달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철거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jection is demolish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force applied by the jocke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373A KR101370585B1 (en) | 2012-08-03 | 2012-08-03 | Electric Pole Remov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85373A KR101370585B1 (en) | 2012-08-03 | 2012-08-03 | Electric Pole Removal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18043A KR20140018043A (en) | 2014-02-12 |
| KR101370585B1 true KR101370585B1 (en) | 2014-03-06 |
Family
ID=5026637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853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0585B1 (en) | 2012-08-03 | 2012-08-03 | Electric Pole Removal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70585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213746A (en) * | 2014-08-25 | 2014-12-17 | 国家电网公司 | Convenient and fast transport cart for transporting buried wire pole |
| KR20250000080U (en) | 2023-07-06 | 2025-01-14 | 주식회사 남양이앤씨 | Safety guiding device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electric po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6639507A (en) * | 2015-10-28 | 2017-05-10 | 刘刚 | Portable type electric pole upright detecting and righting device special for rural electricity of electricity system |
| CN110984674B (en) * | 2019-11-27 | 2021-05-18 |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 A kind of electric pole correction device for electric power engineering construction |
| CN114909015B (en) * | 2022-05-20 | 2023-04-25 |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安县供电公司 | Device is demolishd to pole |
| KR102659949B1 (en) * | 2022-07-27 | 2024-04-24 | 한국전력공사 | Pole support devic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58613Y1 (en) | 2001-10-09 | 2001-12-29 | 주식회사 건화 이앤아이 | fixing device for prevention of electric pole slant |
-
2012
- 2012-08-03 KR KR1020120085373A patent/KR10137058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58613Y1 (en) | 2001-10-09 | 2001-12-29 | 주식회사 건화 이앤아이 | fixing device for prevention of electric pole slant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213746A (en) * | 2014-08-25 | 2014-12-17 | 国家电网公司 | Convenient and fast transport cart for transporting buried wire pole |
| KR20250000080U (en) | 2023-07-06 | 2025-01-14 | 주식회사 남양이앤씨 | Safety guiding device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electric po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18043A (en) | 2014-02-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70585B1 (en) | Electric Pole Removal Device | |
| US903835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pairing utility poles | |
| CN103470093A (en) | Concrete chimney dismantling device and dismantling method | |
| CN202500374U (en) | Multifunctional fixing support applied for telegraph pole | |
| KR20210048308A (en) | A preventing falling apparatus for power pole | |
| JP5901873B2 (en) | How to install a temporary scaffold for slopes | |
| KR101539596B1 (en) | Apparatus for changing electric pole of overhead distribution line | |
| KR200466180Y1 (en) | working scaffolding for telegraph pole | |
| CN104141392A (en) | Tool type edge protecting device for balconies and floor slabs and installing method of tool type edge protecting device | |
| KR101043559B1 (en) | Uninterrupted pole replacement method without wire guide using insulated pole and iron holder | |
| CN204212065U (en) | Bridge crossing anticollision barrier punching block erection equipment | |
| KR101114693B1 (en) |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electric pole replacing device and electric pole replacing device | |
| KR100857775B1 (en) | Pole crusher device applied to the uninterruptible cutting replacement method of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 |
| KR101188694B1 (en) | Under bracing apparatus of steel pole for telecommunication | |
| CN211285609U (en) | Self-climbing toe board grouting platform with limiting and locking device | |
| KR20110104599A (en) | Pipe fittings for building safety facilities | |
| KR200467302Y1 (en) | Safety guard rail pole | |
| KR20090089519A (en) | Gangfoam lifting device | |
| CN214615557U (en) | Horizontal entrance to a cave protective structure | |
| CN215886151U (en) | Tower crane structure | |
| KR20190074142A (en) | Apparatus for embedding pipe support | |
| KR101535054B1 (en) | Pipe stanchion for loosing prevention and ground connection | |
| JP3208865U (en) | Scaffolding for foundation work | |
| KR20140041001A (en) | Grating tread coaming device and its installing method | |
| KR20240020848A (en) | Insulation shielding device for electric po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2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22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