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117B1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5117B1 KR101375117B1 KR1020070052138A KR20070052138A KR101375117B1 KR 101375117 B1 KR101375117 B1 KR 101375117B1 KR 1020070052138 A KR1020070052138 A KR 1020070052138A KR 20070052138 A KR20070052138 A KR 20070052138A KR 101375117 B1 KR101375117 B1 KR 1013751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plate
- air conditioning
- conditioning case
- thin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Manufacturing or assemb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도어의 실링을 위해 메시형태로 형성된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 보다 돌출되게 박판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박판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공조케이스측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식에 의한 냄새를 방지함과 아울러 중량을 줄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전체 제조비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mbine the thin plate member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plate to the side of the door plate formed in the mesh form for sea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bring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hin plate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air-conditioning cas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an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preventing the odor due to mold fungus due to the use of the thin plate member. It is about a door.
이에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3)과, 상기 회전축(123)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122)와,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 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폐쇄시 상기 돌출된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 접촉하는 박판부재(1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fo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rotatably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a specific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Rotating shaft 123 is installed to be possible, the plate 122 is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123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is coupled to cover the side of the plate 122, the edge portion of the plate 122 It is formed to protrude in an outward direction than the end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dge portion is made of a thin plate member 124 in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side when the passage is closed.
공조장치, 도어, 박판부재, 필름 Air Conditioning Device, Door, Thin Plate Member, Film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도 2는 도 1에서 온도조절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in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적용된 차량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which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oses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박판부재를 플레이트의 측면에 접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n plate member is bonded to the side of the plate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플레이트의 측면을 테이퍼지게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of the plate is formed tapered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FIG. 9 closes a flow path in an air conditioning cas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 내는 부분 단면도이다.FIG.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FIG. 11 closes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100: air conditioner 101: evaporator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102: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벤트111: air inlet 112: defrost vent
113: 페이스벤트 114,115: 플로어벤트113: Face vent 114,115: Floor vent
116: 가이드벽116: guide wall
120a: 온도조절도어 120b: 모드도어120a: temperature control door 120b: mode door
121: 도어 122: 플레이트121: door 122: plate
122a: 돌출부 122b: 스톱퍼122a:
123: 회전축 124: 박판부재123: rotating shaft 124: thin plate member
124a: 결합공 124b: 걸림부124a:
125: 후크 125a: 걸림턱125:
125b: 경사면 125b: slope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도어의 실링을 위해 메시형태로 형성된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 보다 돌출되게 박판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박판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공조케이스측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식에 의한 냄새를 방지함과 아울러 중량을 줄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전체 제조비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mbine the thin plate member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plate to the side of the door plate formed in the mesh form for sea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bring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hin plate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air-conditioning cas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an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preventing the odor due to mold fungus due to the use of the thin plate member. It is about a door.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an automobile interior which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front and rear view of the driver by removing the casting which is to be cooled or heated in the summer or winter season, or in case of rain or windshield during rainy or winter season Such an air conditioner is usually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and a cooling device at the same time, and selectively introduces outside air or indoor air, and then the air is heated or cooled to blow air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three-piece type in which the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d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of the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categorized into a semi-center type in which a fan unit is installed as a separat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e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 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shows the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리되어 있다.Further, the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5b)(16b)과, 상기 회전축(15b)(16b)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5a)(16a)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모드도어(16) 중에는 상기 회전축(16b)의 양측면에 플레이트(16a)를 형성한 센터 피봇 도어도 사용될 수 있다.The
이러한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각 벤트(12a~12d)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The
아울러,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5a)(16a)의 가장자리에 실(SEAL)부재(15c)(16c)가 부착되어 각 도어(15)(16)들이 해당 유로를 폐쇄할때 상기 실부재(15c)(16c)가 공조케이스(10)의 벽면측에 밀착되면서 실링성을 향상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 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According to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ximum cooling mode is activated, the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Also, when the maximum heating mode is activated, the
한편,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믹싱챔버(MC)에 대하여 상기 냉풍유로(P1) 및 상기 온풍유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ling mode other than the maximum cooling mode, that is, 1/2 cooling mode is operated, the
그러나,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는 실링성 향상을 위해 실부재(15c)(16c)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실부재(15c)(16c)에 곰팡이균이 서식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또한, 상기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에 부착되는 실부재(15c)(16c)의 가격이 비싸고,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많이 걸려 제조비가 상승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the price of the
아울러, 상기 실부재(15c)(16c)를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5)(16)의 플레이트(15a)(16a)가 일정두께로 되어 있어 중량이 무겁고, 중량에 의한 재료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ttach th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도어의 실링을 위해 메시형태로 형성된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 보다 돌출되게 박판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박판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공조케이스측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식에 의한 냄새를 방지함과 아울러 중량을 줄여 재료비를 절감하고 전체 제조비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mbine the thin plate member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plate to the side of the door plate formed in the mesh form for sea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thin plate member By contacting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ide, the use of the thin plate member to prevent the smell caused by the fungal bacteria, an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door to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overall manufacturing cost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특정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 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폐쇄시 상기 돌출된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공조케이스측에 접촉하는 박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door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a specific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 rotating shaft, a plate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w path, and coupled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plate, wherein an edge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an end of the plate so that the protrusion protrudes when the flow path is clo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ortion is made of a thin plate member in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sid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peated explanations of the same structure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적용된 차량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박판부재를 플레이트의 측면에 접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서 플레이트의 측면을 테이퍼지게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도어가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oses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pered side of the plate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Figure 9 is closed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oor of Figure 11 closes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먼저, 본 발명의 특징부인 도어(121)는 센터 마운팅 타입, 세미-센터 타입, 쓰리피스 타입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여기서는 세미-센터 타입 공조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상기 세미-센터 타입 차량용 공조장치(100)를 간략히 설명하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유로상에는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 조케이스(110) 내부의 유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Briefly describing the semi-center type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미도시)와 외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가 차례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air outlet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4)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5)로 분리되어 있다.The floor vents 114 and 115 are separated into a
한편,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유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115)의 사이에는 가이드벽(116)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Meanwhile, a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유로상에는 다수의 도어(121)들이 설치되어 특정 유로, 즉, 상기 냉풍유로(P1), 온풍유로(P2), 각 벤트(112~115)를 향하는 유로 등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도어(121)로는,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20a)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각 벤트의 상류 유로상에 설치된 모드 도어(120b)로 구분된다.The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와 모드도어(120b)들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와 상기 각 벤트(112~115)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Meanwhile, the
이하, 상기 도어(121)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상기 도어(12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23)과, 상기 회전축(123)에 형성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레이트(122)와,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 보다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의 폐쇄시 상기 돌출된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 접촉하는 박판부재(124)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 박판부재(124)의 크기가 상기 플레이트(122) 보다 크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박판부재(124)를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박판부재(124)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 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That is, the size of the
이때, 상기 회전축(123)이 형성된 플레이트(122)의 단부측으로는 상기 박판부재(124)의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edge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플레이트(122)와 상기 박판부재(124)는 각각 사각형태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박판부재(124)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박판 필름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박판 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곰팡이 균이 서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마찰계수가 적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벽면측에 밀착되었다가 이격될때 붙지않고 잘 떨어지기 때문에 소음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도어(121)들 중 모드도어(120b)와 같이 일측면에만 실링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122)의 일측면에만 상기 박판부재(124)가 결합되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와 같이 양측면 모두 실링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 상기 박판부재(124)가 각각 분리되어 결합된다.In addition, when sealing is required on only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도어(121)의 중량을 감소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22)는 메시(MESH)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122)는 상기 박판부재(124)를 결합하기 위한 골격만 구성하면 되기 때문에 중량을 최대한 감소할 수 있는 메시형태(격자형태)로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플레이트(122)가 메시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은 상기 박판부재(124)에 의해 덮혀지기 때문에 상기 메시형태의 플레이트(122)를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At this time, even if the
그리고, 상기 박판부재(124)를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에 걸림턱(125a)을 갖는 복수개의 후 크(12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박판부재(124)에는 상기 후크(125)에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합공(124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coupling the
또한, 상기 박판부재(124)의 결합공(124a)에는 상기 후크(125)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후에는 상기 후크(125)의 걸림턱(125a)에 걸릴수 있도록 양측을 각각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걸림부(124b)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박판부재(124)의 결합공(124a)이 상기 플레이트(122)의 후크(125)에 결합된 상태일때, 상기 걸림부(124b)의 단부가 상기 후크(125)의 걸림턱(125a) 하측면에 밀착되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후크(125)의 하단에는 경사면(125b)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상기 박판부재(124)를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도 8과 같이 상기 박판부재(124)를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에 접착하는 것이다. 물론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융착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for coupling the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2)에는 상기 박판부재(124)와의 결합시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돌출부(12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박판부재(124)를 상기 플레이트(122)에 접착할 때 접착제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23)측 상기 돌출부(122a)의 일단부를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23)과 인접해 있는 상기 박판부재(124)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122)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정한 탄력을 갖게 된다. 물론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 보다 돌출된 상기 박판부재(124)의 가장자리 부분도 모두 일정한 탄력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박판부재(124)와 상기 회전축(123) 사이의 공기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박판부재(124)의 일단부를 상기 회전축(123)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8과 같이 상기 박판부재(124)의 일단부를 상기 회전축(123)에 접착시키거나, 또는 상기 회전축(123)에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박판부재(124)의 일단부를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air leakage between the
또한, 상기 도어(121)의 회전에 의한 상기 유로의 폐쇄시 상기 박판부재(124)의 가장자리 부분만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 밀착되면서 유로를 폐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122)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 걸려 더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에는 스톱퍼(122b)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flow path is closed by the rotation of the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을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 상기 후크(125) 또는 접착에 의해 결합된 상기 박판부재(124)도 각각 일정각도 경사지게 되면서 일단부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both sides of the
이처럼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 결합된 한 쌍의 박판부재(124)의 일단부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박판부재(124)의 사이로 바람이 들어가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one end of the pair of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을 모두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2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both sides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나타내는 사사도로써, 상기에 서는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 각각 평판형태의 박판부재(124)를 결합하였지만, 도 11에서는 상기 박판부재(124)를 "U"자 형태로 밴딩하여 그 양단부를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한 것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the flat plate-like
이때, 결합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것과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combining method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상기 박판부재(124)에서 "U"자 형태로 밴딩된 부분도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 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portion bent in the "U" shape of the
또한, 상기 도어(121)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유로 폐쇄시, 상기 "U"자 형태로 밴딩된 부분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실링을 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low path i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기로 바뀌게 된다.First, the air blown by the blower not shown is changed to cold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된 냉기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의 냉,온풍유로(P1)(P2) 개도 조절에 따라 상기 냉풍통로(P1)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상기 온풍통로(P2)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온기로 바뀌게 된다.The cold ai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계속해서, 상기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를 선택적으로 통과한 냉기 또는 온기는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20b)에 의해 개도가 조절된 상기 벤트(112~115)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cold air or the warm air that has selectively passed through the cold air flow passage P1 and the hot air flow passage P2 is driven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가 냉풍유로(P1) 또는 온풍유로(P2)를 폐쇄하거나, 또한 상기 모드도어(120b)가 각 벤트(112~115)를 향하는 유로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 보다 돌출된 상기 박판부재(124)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벽면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 설치된 도어(121)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냉풍유로(P1)나 온풍유로(P2) 또는 각 벤트(112~115)를 향하는 유로를 폐쇄할 때, 상기 플레이트(122)의 단부 보다 돌출된 상기 박판부재(124)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유로의 둘레 공조케이스(110)측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실링을 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121)는 상기 회전축(123)의 일측에만 플레이트(122)가 형성된 타입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123)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플레이트(122)가 형성된 센터 피봇 도어 타입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121)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20a)나 모드도어(120b) 또는 내,외기 전환도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유로를 개폐하는 도어의 실링을 위해 메시형태로 형성된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에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 보다 돌출되게 박판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유로의 폐쇄시 상기 박판부재의 돌출된 부분이 공조케이스측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판부재 사용으로 인해 곰팡이 균 서 식에 의한 냄새를 방지함과 아울러 중량을 줄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전체 제조비도 절감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n plate member is coupled to protrude more than the end of the plate on the side of the door plate formed in the mesh form for sea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thin plate member when closing the flow path By allowing the protruding portion to contact the air conditioning case side, the use of the thin plate member prevents the smell caused by the fungal bacteria form, and also reduces the weight to reduce the material cost and overall manufacturing cos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52138A KR101375117B1 (en) | 2007-05-29 | 2007-05-29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 PCT/KR2008/002786 WO2008147065A1 (en) | 2007-05-29 | 2008-05-19 | Door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s |
| US12/593,427 US9108488B2 (en) | 2007-05-29 | 2008-05-19 | Door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s |
| CN2008800176660A CN101678735B (en) | 2007-05-29 | 2008-05-19 | Doors for vehicle air conditio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52138A KR101375117B1 (en) | 2007-05-29 | 2007-05-29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104808A KR20080104808A (en) | 2008-12-03 |
| KR101375117B1 true KR101375117B1 (en) | 2014-03-17 |
Family
ID=403663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521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5117B1 (en) | 2007-05-29 | 2007-05-29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75117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236132A (en) * | 1997-02-26 | 1998-09-08 | Denso Corp | Door device for air passage |
| JP2000229513A (en) * | 1999-02-12 | 2000-08-22 | Denso Corp | Passa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2007
- 2007-05-29 KR KR1020070052138A patent/KR1013751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236132A (en) * | 1997-02-26 | 1998-09-08 | Denso Corp | Door device for air passage |
| JP2000229513A (en) * | 1999-02-12 | 2000-08-22 | Denso Corp | Passage opening and clos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104808A (en) | 2008-12-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108488B2 (en) | Door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s | |
| US8840452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US9180751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US9381788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US8544533B2 (en) |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 |
| KR10146726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20170038686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US20090093207A1 (en)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
| KR101319437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20110119333A (en) | Car air conditioner | |
| KR101375117B1 (en)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
| KR101200271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20120018418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1375115B1 (en)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
| KR101492150B1 (en) | Doors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s | |
| KR101529217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
| KR101375118B1 (en)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
| KR101450632B1 (en) | Doors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s | |
| KR20090064821A (en) | Door for vehicle air conditioner | |
| KR20090115243A (en) | Door for car air conditioner | |
| KR101578098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0821304B1 (en)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 KR10173791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1997616B1 (en) | Doo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 |
| KR101578096B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3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