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364B1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Google Patents
다층 반사형 편광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4364B1 KR101354364B1 KR1020110145856A KR20110145856A KR101354364B1 KR 101354364 B1 KR101354364 B1 KR 101354364B1 KR 1020110145856 A KR1020110145856 A KR 1020110145856A KR 20110145856 A KR20110145856 A KR 20110145856A KR 101354364 B1 KR101354364 B1 KR 101354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reflective polarizer
- repeating units
- component
- thickn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DBEF)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봉상형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사형 편광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반사형 편광자에 사용되는 복굴절성 해도사에 입사한 광의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반사형 편광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반사형 편광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반사형 편광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슬릿형 압출구금의 구금분배판들의 사시도이고, 도 9는은 이들의 저면도이며, 도 10은 결합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다층 복합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다층 복합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2개의 제1 가압수단들을 포함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다층 복합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2개의 제2 가압수단들을 포함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복합류 및 스킨층의 합지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트-행거 다이의 단면도이며, 도 16은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다층 반사편광자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다층 반사편광자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다층 반사편광자를 제조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반사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
|
상대휘도(%) | 편광도(λ= 550nm) | 편광도(λ= 650nm) | ||||
| 편광도 | 투과축 투과율 | 반사축 투과율 | 편광도 | 투과축 투과율 | 반사축 투과율 | ||
| 실시예 1 | 100 | 93% | 88% | 3% | 85.3% | 88% | 7% |
| 실시예 2 | 97.2 | 89.4% | 89% | 5% | 79.8% | 89% | 10% |
| 실시예 3 | 94.2 | 85.5% | 90% | 7% | 76.5% | 90% | 12% |
| 비교예 1 | 84.8 | 73% | 89% | 14% | 66.4% | 89% | 18% |
| 비교예 2 | 92.7 | 85.3% | 88% | 7% | 76% | 88% | 12% |
Claims (28)
- 외부에서 조사되는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제2 편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면내 복굴절을 갖는 제1층 및 제1층과 교호적층된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과 제2층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굴절율이 상이하고, 상기 제1층 및 제2층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제1층과 제2층은 하나의 반복단위를 형성하며, 반복단위들은 원하는 파장의 횡파(S파)를 반사시키기 위하여 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그룹은 2개 이상이고,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반복단위들은 50개 이상이며, 상기 그룹들은 그룹과 그룹사이에 접착층 또는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며, 그룹간 반복단위들의 평균 광학적 두께가 상이하며,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반복단위들의 광학적 두께는 평균 광학적 두께 대비 30% 이내의 두께편차를 갖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 또는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 스킨층을 포함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은 종파이고, 상기 제2 편광은 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및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코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co-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카보네이트(PC) 얼로이, 폴리스타이렌(PS), 내열폴리스타이렌(PS),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우레탄(PU),폴리이미드(PI),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혼합(SAN), 에틸렌초산비닐(EVA), 폴리아미드(PA), 폴리아세탈(POM), 페놀, 에폭시(EP), 요소(UF), 멜라닌(MF), 불포화포리에스테르(UP), 실리콘(SI), 엘라스토머 및 사이크로올레핀폴리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들은 3개의 파장대역의 광을 반사하기 위하여 3개의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단위들은 4개의 파장대역의 광을 반사하기 위하여 4개의 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파장은 가시광선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반복단위들의 광학적 두께는 평균 광학적 두께 대비 20% 이내의 두께편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반복단위들의 광학적 두께는 평균 광학적 두께 대비 15% 이내의 두께편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파장대역은 450nm, 550nm 및 650nm의 파장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파장대역은 350nm, 450nm, 550nm 및 650nm의 파장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은 반복단위들의 평균 광학적 두께가 5% 이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룹들은 반복단위들의 평균 광학적 두께가 10% 이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반복단위들은 10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반복단위들은 15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굴절율의 차이는 신장된 축방향의 굴절율의 차이가 다른 축방향의 굴절율의 차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굴절율은 2개의 축 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05 이하이고, 나머지 1개의 축방향에 대한 굴절율의 차이가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복굴절 계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광학적 복굴절성을 가지며, 상기 제2층은 광학적 등방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연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형 편광자. -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4항, 제17항 내지 제22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반사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니트는 상기 반사형 편광자에서 변조된 광을 다시 반사형 편광자로 반사하는 반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 제27항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45856A KR101354364B1 (ko) | 2011-12-29 | 2011-12-29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 PCT/KR2012/011634 WO2013100663A1 (ko) | 2011-12-29 | 2012-12-27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 TW101151188A TWI510823B (zh) | 2011-12-29 | 2012-12-28 | 多層反射式偏光板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45856A KR101354364B1 (ko) | 2011-12-29 | 2011-12-29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77251A KR20130077251A (ko) | 2013-07-09 |
| KR101354364B1 true KR101354364B1 (ko) | 2014-01-23 |
Family
ID=489905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458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54364B1 (ko) | 2011-12-29 | 2011-12-29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54364B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6193B1 (ko) | 2020-12-11 | 2022-03-18 | (주)파인머티리얼즈 | 장식용 필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24933B1 (ko) * | 2024-12-31 | 2025-06-25 | 주식회사 원테이크 | 액정층을 포함하는 안티 글레어 미러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704701A (ko) * | 1992-10-29 | 1995-11-20 | 스티븐 에스. 그레이스 | 성형가능한 반사 다층제(Formable reflective multilayer body) |
| JPH1164634A (ja) * | 1997-08-19 | 1999-03-05 | Seiko Epson Corp | 偏光分離器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電子機器 |
| KR20080052616A (ko) * | 2005-08-31 | 2008-06-11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다층 반사 편광기의 제조 방법 |
-
2011
- 2011-12-29 KR KR1020110145856A patent/KR10135436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704701A (ko) * | 1992-10-29 | 1995-11-20 | 스티븐 에스. 그레이스 | 성형가능한 반사 다층제(Formable reflective multilayer body) |
| JPH1164634A (ja) * | 1997-08-19 | 1999-03-05 | Seiko Epson Corp | 偏光分離器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電子機器 |
| KR20080052616A (ko) * | 2005-08-31 | 2008-06-11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다층 반사 편광기의 제조 방법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76193B1 (ko) | 2020-12-11 | 2022-03-18 | (주)파인머티리얼즈 | 장식용 필름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77251A (ko) | 2013-07-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49109B1 (ko) |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 | |
| KR101354297B1 (ko)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
| KR101931378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930546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930545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354364B1 (ko)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
| KR101354360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315003B1 (ko) |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 |
| KR101940319B1 (ko)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
| KR101264274B1 (ko) | 폴리머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340243B1 (ko) | 폴리머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930550B1 (ko) |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 |
| KR101940322B1 (ko) | 일체형 광학필름 | |
| KR101930960B1 (ko) | 일체형 광학필름 | |
| KR101930547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354284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354373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940321B1 (ko) | 다층 반사형 편광자 | |
| KR101340107B1 (ko) |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 |
| KR101311090B1 (ko) |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 |
| KR101930551B1 (ko) |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 |
| KR101354271B1 (ko) | 폴리머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930548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101930549B1 (ko) |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 KR20140021273A (ko) | 일체형 고휘도 편광필름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1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