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83B1 -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using control of repeating play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using control of repeating 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9383B1 KR101339383B1 KR1020110101813A KR20110101813A KR101339383B1 KR 101339383 B1 KR101339383 B1 KR 101339383B1 KR 1020110101813 A KR1020110101813 A KR 1020110101813A KR 20110101813 A KR20110101813 A KR 20110101813A KR 101339383 B1 KR101339383 B1 KR 101339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playback
- icon
- learning
- rep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학습 단말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 학습 단말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타임라인상에 이루어지는 구간 선택 동작에 응답하여 재생 반복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드래그 제스처가 발생하면, 드래그 완료 지점에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반복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of an electronic learning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electronic learning terminal may include obtaining a reproduction repeating section in response to a section selecting operation on a timeline; Generating a repetitive playback request icon at a drag completion point when a drag gesture is generated for the playback repeating section by a user; And when the icon for the repetitive reproduction request is selected by the user, performing the repetitive reproduction for the repetition repetition interv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학습 단말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재생에서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 학습 단말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of an electronic learning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learning contents of an electronic learning terminal for solving a problem in which a learning efficiency of a learner decreases according to unnecessary manipulation of a user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tion. It is about a method.
전통적인 학습 교재의 제공 및 학습에 대한 지도는 오프라인 상에서,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과 PC등의 단말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 상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지도 또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이른바 전자학습이 서비스되고 있다. The provision of traditional teaching aids and instruction on learning were typically performed by people, offline. 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terminals such as PCs, learning has been performed online, and so-called electronic learning services are also provided online.
이와 같은 전자 학습 장치의 경우, 종래에는 주로 데스크 탑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근래에 전자 기기 및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형 장치로 구현되고 있다. 휴대형 전자 학습 장치의 경우, 사용자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소형화된 터치 스크린을 데이터 입출력 장치로 채택하고 있다. In the case of such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it is main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sktop, but as electronic devi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they have been implemented as portable devices. In th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learning device, a miniaturized touch screen is mainly used as a data input / output device to secure user portability.
한편, 휴대형 전자 학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는 영화 콘텐츠와 같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가 아니라,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수행하면서 정보 제공 방식 또는 사용자의 학습 단계를 조정해나가야 하는 콘텐츠이므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필요로 하는 특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e-learning device is not content for providing information unilaterally, such as movie content, but content that needs to be adjusted in the manner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or the learning level of the user while interacting with the user.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requires two-way communication.
이에 휴대형 전자 학습 장치의 경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학습 콘텐츠 뿐 만 아니라 쌍방향 인터렉션을 위한 메뉴, 버튼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나, 소형화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메뉴, 버튼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ase, the portabl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needs to additionally provide menus and buttons for interactive interaction as well as learning contents through the touch screen,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menus and button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a miniaturized touch screen are limited. .
그 결과, 종래의 휴대형 전자 학습 장치의 경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쌍방향 인터렉션을 위한 메뉴, 버튼 등을 한 모두 보여줄 수가 없어 내부적으로 숨겨놓고, 사용자의 메뉴 검색 및 선택 동작을 통해서만 이를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arning device cannot show all menus and buttons for two-way interaction through a touch screen, so that they are hidden internally and can only be checked and selected through the user's menu search and selection operation. Doing.
따라서, 종래의 휴대형 전자 학습 장치의 경우, 콘텐츠 재생에서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learner is lowered according to unnecessary manipulation of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ti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콘텐츠 재생에서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는 전자학습용 전자 학습 단말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of an electronic learning terminal for electronic learning that can minimize user manipulation for controlling the same in content reprodu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학습 단말의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타임라인상에 이루어지는 구간 선택 동작에 응답하여 재생 반복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드래그 제스처가 발생하면, 드래그 완료 지점에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반복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electronic learning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a reproduction repeating section in response to the section selection operation on the timeline; ; Generating a repetitive playback request icon at a drag completion point when a drag gesture is generated for the playback repeating section by a user; And when the icon for the repetitive reproduction request is selected by the user, performing the repetitive reproduction for the repetition repetition interval.
상기 재생 반복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타임라인상에서 멀티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 멀티 터치 지점을 재생 반복 구간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cquiring of the playback repetition section may include acquiring a multi-touch point as a playback repetition section when the user performs multi-touch on the timeline.
상기 재생 반복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타임라인상에서 드래그 제스처를 취하면, 드래그 발생 구간을 재생 반복 구간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cquiring of the playback repeating section may include acquiring a drag generation section as a playback repeating section when the user takes a drag gesture on the timeline.
상기 반복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 이상 또는 기설정된 횟수이상 터치되는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에 매핑된 재생 반복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peating play may include selecting an icon for a repeat play request touched by a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repeating a play repeat section mapped to the selected repeat play request ic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아이콘 위치 정보, 상기 재생 반복 구간의 식별번호, 재생 반복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enerating of the icon for the repeat playback request may include mapping and storing at least one of icon posi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layback repeat section, and start and end time points of the playback repeat section to the icon for the repeat play request. It feature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뉴 탐색 및 선택 동작 없이 현재의 터치 화면상에서 손가락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만을 수행하여 반복 재생 구간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상에 배치되는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 자신이 설정한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아이콘의 터치 동작을 통해 학습 콘텐츠의 반복 재생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해준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set a repeat playback section by performing a finger touch operation and a drag operation on a current touch screen without a menu search and selection oper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icons disposed on the content display area, information on the playback repeating section set by the user can be grasped at a glance, and the user can request the repeated playback of the learning content by touching the icon.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간단한 터치 동작만을 수행하여 재생 반복 구간을 설정하고, 이의 재생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erforms only a simple touch operation to set the play repetition section and request the play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전자 학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북 마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화면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그 부착 이벤트의 발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 마킹 선택 이벤트의 발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북 마킹 플래그 이동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 마킹 플래그의 아이콘 형태 가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a 및 도9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반복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반복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재생 속도 및 방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재생 속도 및 방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에 따른 메뉴 제공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capable of playing back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ok marking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configuration example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flag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generation method of a book marking selection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moving a book marking fl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 form of an icon of a book marking fl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repetitiv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repetitiv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production speed and direction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production speed and direction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FIG. 13A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nu providing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providing result according to a menu providing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전자학습 인터페이스 기술의 문제, 즉,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콘텐츠 재생에서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콘텐츠 재생 중 미리 복수 개의 선택 메뉴들을 디스플레이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콘텐츠 재생을 멈춘다.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learning interface technology, that is,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learner may be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user to control it in the content playback in real time, in advance during content playback A plurality of selection menus are displayed and displayed, and content playback is stopped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전자 학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capable of playing back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학습 장치(100)는 휴대전화,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든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10), 학습 콘텐츠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콘텐츠 재생부(120), 학습 콘텐츠를 저장 및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이하, DB)(130), 학습 콘텐츠 재생을 이용한 사용자 학습을 위한 쌍방향 인터렉션을 수행하는 인터렉션 제어부(140), 및 쌍방향 인터렉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북 마킹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사용자가 보다 간단하고 손쉽게 북 마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ook marking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tended to support a user to perform a book marking operation more simply and easily.
먼저,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학습 콘텐츠가 선택 및 재생 요청되면, 전자 학습 장치(100)는 콘텐츠 DB(130)에서 해당 학습 콘텐츠를 읽어와 터치 스크린(110)를 통해 재생하기 시작한다(S10). First, when a specific learning content is selected and played back by the user, the
이때, 터치 스크린(1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콘텐츠(210) 뿐 만 아니라 학습 콘텐츠의 현재 재생 위치를 알려주는 타임라인(220), 학습 콘텐츠(210)의 재생, 역재생 및 속도 조절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또는 아이콘)(231, 232), 전자 학습에 필요한 각종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또는 아이콘)(240) 등이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학습 콘텐츠(210)뿐 만 아니라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231, 232, 240)도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함께 디스플레이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을 터치하여 각종 이벤트를 발생하면(S11), 전자 학습 장치(특히,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이에 응답하여 이벤트의 종류를 분석한다(S12). In this state, when the user touches the
만약, S12의 분석 결과, 사용자에 의해 플래그 부착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면(S13),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플래그 부착 이벤트에 대응되는 북 마킹 플래그를 플래그 부착 요청 지점에 타임라인 위치에 북 마킹 플래그를 부착한다(S14). If, as a result of analysis of S12, a flagging event is generated by the user (S13), the
S12의 분석 결과,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 마킹 플래그가 선택되는 플래그 선택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면(S15),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콘텐츠 재생부(120)를 호출하여 해당 북 마킹 플래그가 부착된 지점으로 콘텐츠 재생 위치를 점핑한다 (S1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12, if a flag selection event occurs in which a specific book marking flag is selected by the user (S15), the
반면, 사용자에 의해 특정 북 마킹 플래그가 편집 요청되는 플래그 편집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면(S17),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도4에서와 같이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편집 및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251)와 키 패드(251)를 통해 편집 및 입력된 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창(252)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한다(S18). On the other hand, if a flag editing event occurs in which a specific book marking flag is requested to be edited by the user (S17), the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편집 및 입력이 완료되면, 해당 내용을 북 마킹 플래그에 매핑하여 차후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19).
When the editing and input of the text or image is completed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mapped to the book marking flag so that the user can provide it when necessary later (S19).
참고로, 본 발명의 플래그 부착 이벤트, 플래그 선택 이벤트, 플래그 편집 이벤트의 발생 방식은 장치 구동 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 또는 변경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 method of generating a flagging event, a flag selection event, and a flag editing e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or changed according to a device driving environment or a user's request.
예를 들어, 플래그 부착 이벤트의 경우, 도5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된 북 마킹 부착 요청용 버튼(240)을 터치하거나, 도5의 (b)에서와 같이 타임라인(220)의 특정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lag attachment event, as shown in (a) of FIG. 5, the user touches the
플래그 선택 이벤트의 경우, 도6의 (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북 마킹 플래그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또는 기설정된 횟수 이상 터치함으로써, 또는 도6의 (b)에서와 같이 북마크 목록(250)을 활성화한 후, 이를 통해 하나의 북 마킹 플래그를 선택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flag selection event, as shown in (a) of FIG. 6, the user touches the book marking flag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as shown in (b) of FIG. 6, to activate the
플래그 편집 이벤트의 경우, 북 마킹 플래그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또는 기설정된 횟수 이상 터치함으로써, 또는 북마크 목록(250)을 통해 하나의 북 마킹 플래그를 선택한 후, 북 마킹 플래그 편집 요청용 버튼(240)을 터치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flag editing event, by touching the book marking flag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selecting one book marking flag through the
다만, 상기에서 설명된 플래그 부착 동작에 따르면, 타임라인(220)상에 부착된 북 마킹 플래그가 서로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여러 개의 북 마킹 플래그를 타임라인상에 인접 부착하는 경우, 서로 겹쳐지는 북 마킹 플래그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북 마킹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거나, 사용자가 겹쳐져 부착된 북 마킹 플래그 중 자신이 원하는 북 마킹 플래그만을 정확하게 선택하기가 어려운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flag attach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a phenomenon in which the book marking flags attached on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플래그 이동 과정을 추가로 수행하여, 북 마킹 플래그가 타임 라인(220)이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북 마킹 플래그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타임라인이 미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까지 확대시켜 줌으로써, 북 마킹 플래그끼리 서로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g moving process is additionally performed, so that the book marking flag can be distributed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display area. That is, by expanding the display area of the book marking flag to the display area where the timeline is not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ok marking flags from overlapping each other.
즉, 사용자가 타임라인(220)에 부착된 북 마킹 플래그를 하나 선택한 후 타임라인(220)이 미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플래그 이동 이벤트를 발생하면(S20),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드래그 시작 지점, 드래그 종료 지점 등을 고려하여 플래그 이동 목표 지점을 파악하고(S21), 플래그 이동 목표 지점으로 북 마킹 플래그를 이동시켜준다(S22). That is, when a user selects a book marking flag attached to the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북 마킹 플래그 이동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7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북 마킹 플래그 이동 이벤트에 따라 타임라인(220)상에 부착된 북 마킹 플래그(b1~b4) 중 일부(b3, b4)가 타임라인(220)을 벗어나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 분산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 book marking flag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a book marking flag b1 to b4 attached to a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북 마킹 플래그(b3, b4)의 원래 부착 지점과 이동 완료 지점간을 실선 또는 직선을 통해 지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된 북 마킹 플래그(b3, b4)의 원래 부착 지점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북 마킹 플래그의 원래 부착 지점을 알려주기 위한 방법은 실선 또는 직선 표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al attaching point of the book marking flags b3 and b4 and the movement completion point are indicated by a solid line or a straight line, whereby the original mark of the book marking flags b3 and b4 moved to the content display area by the user. Make it easy to identify attachment points. Of course, the method for notifying the original attachment point of the book marking flag is not limited to the solid line or the straight line display method, and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플래그 이동 이벤트의 발생 방식도 장치 구동 환경,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라인(220)에 부착된 북 마킹 플래그를 기설정된 시간 터치하거나, 기설정된 횟수 이상 터치하여 해당 북 마킹 플래그를 선택하고, 이를 터치 유지하면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방식, 북마크 목록(250)을 활성화하여 이를 통해 하나의 북 마킹 플래그를 선택한 후, 이를 터치 유지하면서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generation method of the flag movement e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device driving environment or a user's request. For example, a method of touching a book marking flag attached to the
더하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동의하에 북 마킹 플래그의 아이콘 형태(예를 들어, 아이콘 색상, 아이콘 모양 등)를 임의로 가변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북 마킹 플래그의 아이콘 형태를 임의로 가변해줌으로써, 차후 사용자가 북 마킹 플래그의 디스플레이 방식만을 이용하여 북 마킹 플래그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may arbitrarily change the icon type (eg, icon color, icon shape, etc.) of the book marking flag at the request or consent of the user. That is, the user may arbitrarily change the icon type of the book marking flag,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general information on the book marking flag using only the display method of the book marking flag.
또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수의 북 마킹 플래그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로 북 마킹 플래그의 아이콘 형태를 달리 설정해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same manner, a plurality of book marking flags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one group, and the icon shape of the book marking flag may be differently set for each group.
도9a 및 도9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반복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멀티 터치 동작을 이용한 재생 반복 구간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9A and 9B illustrate a method of controlling a repeat play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method of setting a play repeat section using a multi-touch operation.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학습 장치(특히,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학습 콘텐츠를 재생 도중에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타임라인(220)의 두 지점을 멀티 터치하면(S30), 멀티 터치 지점을 재생 반복 구간으로 선택한다(S31). 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40) may multi-touch two points on the
그리고 사용자가 재생 반복 구간을 선택하고, 이를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면(S32),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드래그 완료 지점에 현재 선택된 재생 반복 구간의 반복 재생을 요청하는 아이콘(icon)을 생성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해준다(S33). 이때, 아이콘(icon)에는 아이콘 위치 정보, 재생 반복 구간의 식별번호, 재생 반복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될 것이다. When the user selects a playback repeat section and drags it to the content display area (S32), the
이후, 사용자가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icon)을 선택(또는 터치)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면(S34),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반복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해당 아이콘(icon)에 매핑된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반복 재생한다(S35, S36). Subsequently, when a selection event occurs in which the user selects (or touches) an icon displayed in the content display area (S34), the
이때,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의 선택은 플래그의 선택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또는 기설정된 횟수 이상 터치함으로써, 또는 아이콘 목록을 활성화한 후, 이를 통해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the icon for repetitive playback request is generated by the user touching the icon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similarly to selecting a flag, or by activating the icon list and selecting one icon through this. Could be.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반복 재생 제어 방법을 멀티 터치 동작이 아닌 싱글 터치 동작을 통해서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titiv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single touch operation instead of a multi touch operation.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반복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싱글 터치 동작을 이용한 재생 반복 구간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A and 10B illustrate a method of controlling repetitive reproduction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method of setting a repetition repetition interval using a single touch operation.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학습 장치(특히,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학습 콘텐츠를 재생 도중에 사용자가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타임라인(220)의 일부 구역을 드래그하면(S40), 드래그 발생 구간을 재생 반복 구간으로 선택한다(S41).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control unit 140) when a user drags a portion of the
그리고 사용자가 재생 반복 구간을 선택하고, 이를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드래그하면(S42),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드래그 완료 지점에 현재 선택된 재생 반복 구간의 반복 재생을 요청하는 아이콘(icon)을 생성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해준다(S43). If the user selects a playback repeat section and drags it to the content display area (S42), the
이후, 사용자가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icon)을 선택(또는 터치)하면(S44),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반복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해당 아이콘(icon)에 매핑된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반복 재생해준다(S45, S46).
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or touches) an icon displayed in the content display area (S44),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메뉴 탐색 및 선택 동작 없이 현재의 터치 화면상에서 손가락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만을 수행하여 반복 재생 구간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콘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상에 배치되는 아이콘(icon)을 통해 사용자 자신이 설정한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아이콘(icon)의 터치(또는 선택) 동작을 통해 학습 콘텐츠의 반복 재생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set the repeat playback section by performing only a finger touch operation and a drag operation on the current touch screen without a menu search and selection operation.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playback repeating section set by the user can be identified at a glance through an icon disposed on the content display area, and repetition of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a touch (or selection) operation of the icon. You can request to play.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대부분의 전자 학습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간단화를 위해 터치 스크린상에 재생 또는 일시 정지 버튼, 정지 버튼, 역방향 재생 버튼, 순방향 재생 버튼 등과 같은 최소 개수의 버튼만을 디스플레이해준다. 그 결과, 사용자가 종래의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 재생 속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메뉴에 들어가 콘텐츠 재생 속도 제어 메뉴를 수동으로 검색 및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Most e-learning devices with a touch screen display only a minimum number of buttons on the touch screen, such as a play or pause button, a stop button, a reverse play button, a forward play button, and the like, to simplify the display. As a result, when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 content playback speed us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enter a separate menu and manually search and select the content playback speed control menu.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메뉴 검색 및 선택 동작 없이,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만을 수행하여 콘텐츠 재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speed by performing only a touch operation on a touch screen without a separate menu search and selection operation.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재생 속도 및 방향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yback speed and direction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 학습 장치는 학습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용자가 역방향 및 순방향 재생 버튼(231, 232)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S50).While playing the learning content, the electronic learning device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the user performs a touch on the reverse and forward play
이때, 재생 제어 버튼(231, 232)에 대한 터치 감지 영역은 재생 제어 버튼(231, 232)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한정될 수도 있으나, 이는 필요한 경우 재생 제어 버튼(231, 232)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섹션 영역으로 확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area for the
만약, 사용자가 순방향 또는 역방향 재생 제어 버튼(231, 232)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면,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가 발생한 버튼이 무엇인지 추가 확인한 후(S51, S54), 사용자의 터치 시간, 터치 수행 속도, 터치 발생 횟수, 터치 영역의 크기, 드래그 속도, 또는 드래그 반복 횟수를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정도를 분석한다(S52, S55). If the user performs a touch on the forward or reverse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사용자 터치가 발생한 버튼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을 재생하되, 터치 정도를 기준으로 콘텐츠 재생 속도를 결정해준다(S53, S56). The
예를 들어, 터치 시간이 길어질수록 학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주거나, 터치 수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학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주거나, 터치 발생 횟수가 많아질수록 학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주거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터치된 영역의 크기가 커질수록 학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주거나, 드래그 속도가 빨라질수록 학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주거나, 드래그 반복 횟수가 많아질수록 학습 콘텐츠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줄 수 있다. For example, as the touch time increases, the playback speed of the learning content increases, or as the touch performance speed increases, the playback speed of the learning content increases, or as the number of touch occurrences increases, the playback speed of the learning content increases. Or the larger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at least one finger is touched increases the playback speed of the learning content, or the faster the dragging speed increases the playback speed of the learning content, or the more the number of drag repetitions increases the size of the learning content. Can increase playback speed.
즉, 사용자는 재생 제어 버튼(231, 232)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터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콘텐츠 재생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user selects one of the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12에서와 같이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재생 속도 및 방향 제어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역방향 재생 버튼, 순방향 재생 버튼을 하나의 버튼(이하, 통합 제어 버튼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으로 줄여 줄 수도 있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by performing the playback speed and direc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the reverse playback button and the forward playback button are referred to as one butt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grated control button). It can also be reduced.
도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재생 속도 및 방향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production speed and direction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 학습 장치는 학습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통합 제어 버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S60).The electronic learning device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to perform a touch on the integrated control button while playing the learning content (S60).
만약, 사용자가 통합 제어 버튼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면,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터치 시간, 터치 수행 속도, 터치 발생 횟수, 터치 영역의 크기, 드래그 속도, 또는 드래그 반복 횟수와 같은 터치 발생 패턴을 분석한다(S61). If the user performs a touch on the integrated control button, the
그리고 터치 발생 패턴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기준 조건과 비교한다(S62). 이때, 기준 조건은 터치 발생 패턴 판단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발생 패턴 판단 기준이 터치 시간인 경우에는 터치 기준 시간이, 터치 수행 속도인 경우에는 터치 기준 속도, 터치 발생 횟수인 경우에는 터치 기준 횟수, 터치 영역의 크기인 경우에는 터치 기준 크기, 드래그 속도인 경우에는 드래그 기준 속도, 드래그 반복 횟수인 경우에는 드래그 기준 횟수가 각각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ouch generation pattern analysis result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condition (S62). In this case, the reference condi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touch generation pattern determination criteria. For example, if the touch occurrence pattern determination criterion is touch time, the touch reference time is touch touch speed, if touch execution speed is touch touch speed, touch count is count when touch occurs, touch size is touch size. In the case of the drag speed, the drag reference speed may be applied, and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drag repetitions, the drag reference number may be applied.
이에 터치 발생 패턴 분석 결과와 기준 조건과의 비교 결과, 터치 발생 패턴 분석 결과가 기준 조건을 초과하는 경우에는(S63), 기준 조건 초과량에 비례되도록 순방향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 준다(S64). 반면, 터치 발생 패턴 분석 결과가 기준 조건에 미달하는 경우에는(S65), 기준 조건 미달량에 비례되도록 역방향 재생 속도를 증가시켜 주고(S66),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준다(S67). Whe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ouch generation pattern analysis result and the reference condition and the touch generation pattern analysis result exceeds the reference condition (S63), the forward playback speed is increased to be proportional to the amount exceeding the reference condition (S64).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ult of the touch generation pattern analysis does not meet the reference condition (S65), the reverse playback speed is increased to be proportional to the reference condition failure rate (S66), and in the same case, the current playback speed is maintained as it is. (S67).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표1에서와 같이 사용자 터치 시간과 터치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초과 또는 미달 여부를 판단하고, 초과량 또는 미달량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 속도뿐 만 아니라 재생 방향까지 동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able 1, the user's touch time and the touch reference time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over or under, and according to the over or under amount, the content can be controlled not only at the playback speed but also in the playback direction. Could be.
(현재 재생 속도 = V)Play speed
(Current playback speed = V)
한편, 학습 콘텐츠의 경우, 영화 콘텐츠와 같이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가 아니라,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수행하면서 정보 제공 방식 또는 사용자의 학습 단계를 조정해나가야 하는 콘텐츠이므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필요로 하며, 보다 효과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학습 내용에 따라 제공되는 메뉴의 종류도 능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content is not content for providing information unilaterally, such as movie content, but requires interactive communication because the content needs to adjus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or the learning level of the user while perform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For more effective two-way communication, the types of menus provi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should be able to be actively chang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자 학습 장치가 학습 내용에 따라 제공 메뉴의 종류를 능동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aximize the user's learning effect by enabling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to actively change the type of provided menu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도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3A illustrates a menu providing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전자 학습 장치에 새로운 학습 콘텐츠가 등록되면, 학습 콘텐츠를 재생 시점별로 파싱 및 분석하여 재생 시점별 학습 패턴을 파악한다(S70).First, when new learning content is registered in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the
그리고 재생 시점별 학습 패턴을 고려하여 재생 시점별 제공 메뉴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한다(S71).The provision menu for each play tim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pattern for each play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play time is stored in the memory 150 (S71).
이하, 표2는 재생 시점별 제공 메뉴 결정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패턴별로 제공 가능한 메뉴의 종류를 사전에 등록한 후, 단계 S70의 분석 결과와 표2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재생 시점별 제공 메뉴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 재생 시점의 학습 패턴이 토론 학습인 경우에는, 해당 재생 시점에서는 대화 메뉴가 활성화되도록 재생 시점별 제공 메뉴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Table 2 i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menu provided for each playback time point. Th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학습 콘텐츠를 선택 및 재생 요청하면(S72), 전자 학습 장치는 콘텐츠 재생부(120)를 통해 해당 학습 콘텐츠를 재생하면서(S73), 이와 동시에 인터렉션 제어부(140)를 통해 현재 재생 시점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할 수 있는 메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즉, 제공 메뉴 테이블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뉴의 종류를 능동적으로 변경해준다(S74).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quests to select and play the learning content (S72), the electronic learning device plays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120 (S73)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메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메뉴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user can selectively be provided with only the menus that he / she needs, so that the menu sel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에 제공된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하면(S75), 인터렉션 제어부(140)는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연결된 서비스를 제공해준다(S76).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enus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110 (S75), the
또한, 본 발명의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은 학습 콘텐츠 재생시 획득되는 북 마킹 플래그, 반복 재생 구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재생 시점별 제공 메뉴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기준으로 북 마킹 플래그에 매핑된 내용을 제공하거나, 반복 재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등의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nu providing method using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the menu provided for each play tim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book marking flag and the repetitive play section acquired when playing the learning content, and is mapped to the book marking flag based on this. An operation such as providing contents or asking the user whether to play repeatedly can be performed.
더하여, 본 발명의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은 다수개의 메뉴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위치를 사전에 등록해두고, 이에 따라 학습 콘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통해 다수개의 제공 메뉴가 동시 제공되더라도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의 위치를 보다 손쉽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menu providing method using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the display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enus in advance, and thus controls the display positions of the menu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learning contents, there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menus through the touch screen. Even if the provided menus are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more easily predict the position of the menu that he / she wants to selec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은 모든 메뉴를 콘텐츠 재생 시점별로 가변할 수 있도록 있으나, 필요한 경우 필수 제공 메뉴들과 가변 제공 가능 메뉴들을 별도로 설정하고, 필수 제공 메뉴들은 항상 제공되도록 하되, 가변 제공 가능 메뉴들만이 콘텐츠의 재생 시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enu providing method using the e-lear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all the menus according to the content playback time, but if necessary, the required menus and the variable menus ar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essential menus are always provided. However, only the variable provisionable menus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playback time of the content.
도1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학습 장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에 따른 메뉴 제공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providing result according to a menu providing method using an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학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 콘텐츠는 재생 시점별로 서로 다른 학습 내용을 제공하므로, 학습자의 학습 패턴도 그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특징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arning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lectronic learning apparatus provides different learning contents for each playback time point, the learning pattern of the learner should also vary accordingly.
그 예로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n 시점"에서는 학습자간 토론을 통해 학습이 수행되고, "제 m 시점"에서는 학습 내용 메모 및 반복 학습 동작을 통해 학습이 수행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B, learn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 discussion between learners at an “n th time point”, and learning may be performed at a “m th time point” through learning content notes and repetitive learning operations.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 n 시점"에서는 학습자간 토론을 지원하기 위한 대화 버튼을 제공하고, "제 m 시점"에서는 학습 내용 메모 및 반복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북 마킹 설정 버튼 및 반복 재생 버튼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logue button for supporting the discussion between learners at the "nth viewpoint", and provides a bookmarking setting button and a repeat play button for supporting the learning content memo and repetitive learning at the "mth viewpoint". Do it.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학습 진행에 필요한 메뉴를 미리 알아서 제공해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학습 진행을 위한 메뉴를 별도로 검색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도록 해준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provide a menu for learning progress in advance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search for a menu for learning progress separately.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을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제 1 터치에 의해 선택된 타임라인상의 일정 구간을 재생 반복 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생 반복 구간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으로 드래그(Drag)하는 제 2 터치에 따라, 상기 드래그의 완료 지점에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 3 터치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 반복 구간에 대한 반복 재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 재생 수행 단계는,
상기 제 3 터치의 터치 시간과 기설정된 터치 기준 시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반복 재생의 재생 속도와 재생 방향를 결정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In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electronic learning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Setting a predetermined section on the timeline selected by the first touch as the reproduction repeating section;
Generating an icon for a repeat playback request at a completion point of the drag according to a second touch dragging the playback repeating section to one area of the touch screen; And
Receiving a third touch for selecting the icon for the repeat playback request, performing a repeat playback for the playback repeat section,
The repeat play step is,
And a playback speed and a playback direction of the repeated playback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touch time of the third touch and a preset touch reference time.
상기 재생 반복 구간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터치가 상기 타임라인상의 멀티 터치인 경우, 상기 멀티 터치의 두 지점을 재생 반복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reproducing repeat section setting step,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multi-touch on the timeline, setting two points of the multi-touch as a repeating playback section.
상기 재생 반복 구간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터치가 상기 타임라인상의 드래그(Drag) 터치인 경우, 상기 드래그 터치의 발생 구간을 재생 반복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reproducing repeat section setting step,
And when the first touch is a drag touch on the timeline, setting a generation period of the drag touch as a reproduction repeating period.
상기 반복 재생 수행 단계는,
상기 제 3 터치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 이상 또는 기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에 매핑된 재생 반복 구간을 반복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peat play step is,
And replaying a repetition repetition section mapped to the icon for repetition replay request when the icon for repetition replay request is selected by the third touch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How content is delivered.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 생성 단계는,
아이콘 위치 정보, 상기 재생 반복 구간의 식별번호, 재생 반복 구간의 시작 및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icon generation step for the repeat playback request,
And at least one of icon position information,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petition repetition section, and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start and end time point of a replay repetition section, are stored by mapping the icon for the repetition reproduction request.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은,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거나, 또는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기설정된 횟수 이상 터치하거나, 반복 재생을 활성화 및 검색하여 상기 반복 재생 요청용 아이콘을 선택하는 상기 제 3 터치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repeat playback request icon,
The third touch for touching the repeat playback request icon for a preset time or more, or for touching the repeat playback request icon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or for activating and searching for repeat playback to select the repeat playback request icon. Therefore,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e-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1813A KR101339383B1 (en) | 2011-10-06 | 2011-10-06 |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using control of repeating 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01813A KR101339383B1 (en) | 2011-10-06 | 2011-10-06 |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using control of repeating pla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37419A KR20130037419A (en) | 2013-04-16 |
| KR101339383B1 true KR101339383B1 (en) | 2014-01-02 |
Family
ID=484384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101813A Active KR101339383B1 (en) | 2011-10-06 | 2011-10-06 |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using control of repeating pla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39383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82076B1 (en) * | 2015-07-02 | 2016-12-02 | 신형기 | Method for a learning file section playback using dynamic button |
| KR20190060225A (en) | 2017-11-24 | 2019-06-03 | 최고 | Learning terminal capable of section repeat 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57557A (en) * | 2007-12-03 | 2009-06-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move play time and set play period using multi-touch |
| KR20090085777A (en) * | 2008-02-05 | 2009-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GI provision method and applied multimedia device |
-
2011
- 2011-10-06 KR KR1020110101813A patent/KR1013393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57557A (en) * | 2007-12-03 | 2009-06-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w to move play time and set play period using multi-touch |
| KR20090085777A (en) * | 2008-02-05 | 2009-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GI provision method and applied multimedia device |
Non-Patent Citations (2)
| Title |
|---|
| 재생목록 폴더, 재생속도, 멀티태스킹 지원 어학용 구간 반복 앱 "AB LAB" 리뷰.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1.02.25., [2012.12.12. 검색], 인터넷 http://blog.naver.com/brainstorm7/30103535059 * |
| 재생목록 폴더, 재생속도, 멀티태스킹 지원 어학용 구간 반복 앱 "AB LAB" 리뷰.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1.02.25., [2012.12.12. 검색], 인터넷 http://blog.naver.com/brainstorm7/30103535059*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82076B1 (en) * | 2015-07-02 | 2016-12-02 | 신형기 | Method for a learning file section playback using dynamic button |
| KR20190060225A (en) | 2017-11-24 | 2019-06-03 | 최고 | Learning terminal capable of section repeat 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37419A (en) | 2013-04-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334217B2 (en) |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
| JP7669554B2 (en) | DEVICE,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DISPLAYING, AND EDITING MEDIA ITEMS HAVING MULTIPLE DISPLAY MODES - Patent application | |
| JP7631567B2 (en) | DEVICE,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FEEDBACK DURING INTERACTION WITH INTENSITY SENSITIVE BUTTONS - Patent application | |
| JP4577428B2 (en) |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 CN101071360B (en) |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multimedia picture | |
| US983698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playback of interactions on a computing device | |
| US911298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reviewing a recorded conference | |
| US11669194B2 (en) | Navigating user interfaces with multiple navigation modes | |
| KR101299778B1 (en) |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capable of book marking | |
| US20250165139A1 (en) |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 |
| KR101339383B1 (en) |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using control of repeating play | |
| KR101299830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and direction of e-Learning contents display in e-Learning apparatus using touch | |
| KR20080055383A (en) | Electronic lecture device | |
| US11720323B2 (en) | Audio device, program, and playback control method | |
| KR20130037418A (en) | Method for providing e-learning contents of e-learning apparatus | |
| US12153786B2 (en) | Audio device, program, and playback control method | |
| JP7327153B2 (en) |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program | |
| KR102037199B1 (en)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playing application and user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130037417A (en) | Controlling process of video contents for electronic learning in user device | |
| CN120303728A (en) | Lyrics and karaoke user interface, method and system | |
| JP2006252208A (en) | Annotation application device, annotation application method and program | |
| KR20100025839A (en) | Method of prototyping mobile user interface and mobile user interface prototyping tool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of prototyping mobile user interfa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