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075B1 - Interior molding and interior molding set and interior tile fixing method - Google Patents
Interior molding and interior molding set and interior tile fix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1075B1 KR101311075B1 KR1020130023837A KR20130023837A KR101311075B1 KR 101311075 B1 KR101311075 B1 KR 101311075B1 KR 1020130023837 A KR1020130023837 A KR 1020130023837A KR 20130023837 A KR20130023837 A KR 20130023837A KR 101311075 B1 KR101311075 B1 KR 101311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ing material
- interior
- finish
- protrusion
- mol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in cor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e.g. at the cor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3—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for simultaneously securing panel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몰딩재의 부착부에 볼트, 피스 등의 체결부재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 확보를 위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지지부와 마감부는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부착부와는 별도로 분리형성하여, 부착부로만 구성된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와, 마감부와 지지부로 구성되는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로 인테리어용 몰딩재를 형성하여,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과정에서 설치면에 상기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를 먼저 고정한 후 그 상부에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설치하고 마무리작업으로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를 제 2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접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측면에서 끼워넣으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워넣는 방식을 탈피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molding material, a set thereof,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n interior plate-shaped finishing material using the same. A protrusion is formed to secure an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piece at an attachment portion of the molding material. The finishing part is formed integrally and separately formed from the attachment part, thereby forming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with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consisting only of the attachment part and the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 consisting of the finish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the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 is first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n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d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 by finishing. By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can be installed while inserting from the side of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W relates to the prior art for the interior from the upper part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by breaking into a system fitted to the lower molding material and that the set and method for installing interior finish plate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몰딩재 설치를 위한 볼트, 피스, 타카(tacker), 스테이플(staple) 등의 체결부재 설치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과정에서 인테리어용 몰딩재 및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a set thereof and a method for installing interior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install a fastening member such as bolts, pieces, tackers, staples,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a set thereof,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n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using the same, which secures space and allows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to be fixed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
가정, 사무실, 매장 등의 실내 인테리어 과정에서 벽면 혹은 천정에 유리, 칼라유리, 거울, 타일 등의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지지하면서 외관을 향상시키도록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가장자리에는 몰딩재가 설치된다.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interior plate finishes such as glass, color glass, mirrors, tiles, etc. to the wall or ceiling in the interior process of homes, offices, stores, etc., to improve the appearance while supporting the interior plate finishes Molding materials are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plate finish.
이러한 몰딩재는 통상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 혹은 천정과 접하는 부착부(10), 상기 부착부(10)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되는 지지부(20), 상기 지지부(20)의 종단에 부착부(10)와 수평하도록 돌출되어 장식의 효과를 갖는 마감부(30)로 구성되어, 부착부(10)와 지지부(20) 및 마감부(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단부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such a molding material usually has an
그리고, 상기에서 부착부(10)는 천정 혹은 벽면과의 접착을 위하여 마감부(30)에 비하여 폭이 길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몰딩재를 '+'모양으로 배치하고자 할 경우, 즉 '┃'모양의 몰딩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모양의 몰딩재를 배치할 경우에는 부착부(10)의 치수가 마감부(30)의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마감부(30)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할 경우 교차부위에서 부착부(10)가 서로 겹쳐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몰딩재의 설치높이가 달라짐으로서 외관이 저해되는 원인이 되었다.When the molding material is to be arranged in a '+' shape, that is, when the '━' shape molding material is arrang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 shape molding material, the size of the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딩재의 부착부(10) 및 지지부(20)를 부착부(100) 치수만큼 절단하여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절단작업에서 1mm내외의 치수를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절단으로 인한 작업능률 저하도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worker cuts the
또한, 상기한 몰딩재를 천정에 설치할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지지력 확보를 위하여 몰딩재 부착부(10)에 피스(40)를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하고 있으나, 이 경우 피스가 돌출됨으로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50)의 삽입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삽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mold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s shown in FIG. 3, the molding material is fixed to the ceiling by using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58633호에 체결볼트, 피스 등의 설치공간을 확보하면서 교차부위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테리어용 몰딩재를 등록하였으며, 이외에도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20-0455262 및 20-0456674에서 다양한 인테리어용 몰딩재에 대하여 등록하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ed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secting part while secur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fastening bolts, pieces, etc.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8633,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 The various interior moldings were registered in 0455262 and 20-0456674.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인테리어용 몰딩재는 실내나 설치면적이 크지 않은 실외에서 작업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실외 벽면 또는 설치 면적이 넓은 곳에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작업위치가 높고 위험하여 인테리어용 몰딩재 및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종래 인테리어용 몰딩재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양측부를 마감 및 고정하는 마감부가 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반드시 타일을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마감부 사이로 위에서 아래로 끼워넣어야만 작업이 되었으므로 상하 작업구간이 긴 외벽 등에서는 사실상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interior molding material is useful for working indoors or outdoors where the installation area is not large. However,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outdoor wall or the installation area in a large area, the working position is high and dangerous, so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interior use Not only is it difficult to fix the plate finish, conventional interior moldings have a finish formed integrally with the attachment to finish and fix both sides of the interior plate finish so that the tiles must be placed from top to bottom between the finishes of the interior molding. Since the work has to be inserted into the work,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work is practically impossible in the outer wall, such as the long vertical work se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몰딩재의 부착부에 볼트, 피스 등의 체결부재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 확보를 위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지지부와 마감부는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부착부와는 별도로 분리형성하여, 부착부로만 구성된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와, 마감부와 지지부로 구성되는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로 인테리어용 몰딩재를 형성하여,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과정에서 설치면에 상기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를 먼저 고정한 후 그 상부에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설치하고 마무리작업으로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를 제 2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접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측면에서 끼워넣으면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워넣는 방식을 탈피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form a protrusion to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bolts, pieces, etc. in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molding material, the support and the finish is formed integrally, but apart from the attachment portion Separately formed, forming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with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consisting only of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 consisting of the finishing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the above-mentioned By fixing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first and then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on the upper part, and installing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 by finishing work,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of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is It is possible to install by inserting from the side, so that the conventional way of insert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a set thereof and a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for interior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설치면과 접하는 부착부(이하 부착부 A라 함)와 상기 부착부 A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피스, 타카, 스테이플을 포함하는 체결부재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이하 돌출부 A라 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몰딩재 A와, 상기 설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이하 지지부 B1이라 함)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돌출된 마감부(이하 마감부 B1이라 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몰딩재 A와 결합하는 몰딩재 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에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ttachmen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tachment portion A)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for interior and protrud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A bolts, pieces, taka, staples A molding member A including a protru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trusion A)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otrusion height of a fastening member including a suppor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ort portion B1)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A molding member B including a finishing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nishing portion B1) protruding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plate B1 to cover the end of the interior plate-shaped finishing material and coupled to the molding material A; In the molding material for interior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에서 몰딩재 B의 지지부 B1 하부에는 상기 몰딩재 A의 부착부 A와 수평하게 반대방향으로 다른 부착부(이하 부착부 B1이라 함)가 더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 B1의 지지부 B1측에는 체결부재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른 돌출부(이하 돌출부 B1이라 함)를 더 형성한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B1 of the molding material B, another attachmen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tachment portion B1) is further formed in a horizontally opposite direction to the attachment portion A of the molding material A, and on the support portion B1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B1, Another protru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trusion B1) is further formed to accommodate the height of protrusion.
그리고, 상기 몰딩재 A 및 몰딩재 B의 접합부에는 몰딩재 B가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걸림수단 A,B가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ngaging means A and B for suppressing the movement of the molding material B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re formed at the joint portions of the molding material A and the molding material B, respectively.
또한, 상기 몰딩재 A 및 몰딩재 B의 접합부 모서리에는 실리콘, 본드를 포함한 접착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corners of the joints of the molding material A and the molding material B,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adhesive including the silicon and the bond.
상기 인테리어용 몰딩재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설치 높이를 다르게 하도록 지지부 B1의 치수를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두께와 돌출부의 돌출치수를 합한 치수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몰딩재A 또는 B의 마감부 B1 하부로부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두께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두께와 돌출부의 돌출높이를 합한 위치에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받치기 위한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몰딩재 B의 받침부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부착부 B1상부로부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두께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두께와 돌출부의 돌출높이를 합한 위치에 마감부 B3가 형성된다.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may have a dimension of the support B1 high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interior plate-shaped finish material and the protrusion dimension of the protrusion so as to vary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interior plate-shaped finish material, wherein the molding material A or B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from the bottom of the finishing part B1 or the sum of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and the thickness of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and the support of the molding material B.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nishing portion B3 is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ttachment portion B1 or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상기에서 받침부는 받침편과 상기 받침편의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돌출부 상부면과 마감부 B1 하부면 사이의 간격이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두께가 되도록 구성된다.Wherein the base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base and the bas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nishing portion B1 is the thickness of the plate-like finish for the interior.
또한, 상기 인테리어용 몰딩재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4각기둥의 양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몰딩재 B의 지지부 B1 하종단에 지지부 B1과 같은 방향으로 다른 부착부 B2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부착부 B2에는 상기 부착부 A와 수평으로 지지부 B2 및 마감부 B2를 수직으로 더 형성한다.In addition,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is formed to extend the other attachment portion B2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pport portion B1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B1 of the molding member B to install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on both sides of the quadrilateral pillar and the attachment portion B2 The support portion B2 and the finish portion B2 are further vertically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portion A.
한편, 상기한 부착부A 또는 B1 또는 B2에는 피스설치용 홈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iece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attachment portion A or B1 or B2.
그리고, 상기 부착부A 또는 B1 또는 B2가 설치되는 않은 몰딩재 B는, 마감부 B1이 몰딩재 A측으로 형성되며 지지부 B1의 하종단에 몰딩재 A측으로 하부 마감부 B가 더 돌출형성된다.
And, in the molding material B is not provided with the attachment portion A or B1 or B2, the finishing portion B1 is formed to the molding material A side, and the lower finishing portion B further protrudes to the molding material A side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B1.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설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C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C의 일측으로 돌출된 마감부 C와, 상기 지지부 C의 하측 종단에 설치면과 접하면서 마감부 C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착부 C 및, 상기 부착부 C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체결부재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와; 상기 몰딩재 A 및 B의 결합으로 구성된 제 2 인테리어용 몰딩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세트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ortion C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finishing portion C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C to cover the end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and the installation surface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C and A contact portion C which protrud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nishing portion C while being in contact, and a protrusion C which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C to accommodat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of the fastening member including the bolt or the piece. Molding material for one interior; And a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molding materials A and B.
그리고, 상기 인테리어용 몰딩재 세트는, 설치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D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D의 양측으로 돌출된 마감부 D와, 상기 지지부 D의 하측 종단에 설치면과 접하면서 마감부 D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착부 D 및, 상기 부착부 D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체결부재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 1 및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3인테리어용 몰딩재를 더 포함한다.
And,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set, the support portion D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finishing portion D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D to cover the end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D It comprises an attachment portion D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nish portion D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and a protrusion D formed on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D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fastening member including the bolt or the piece.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interior molding material which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 1 인테리어용 몰딩재를 설치면 일측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1과정과, 상기 몰딩재 A를 인테리어용 타일 마감재의 간격에 맞도록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설치하는 2과정과, 상기 2과정을 수행 후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제 1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상기 몰딩재 A 사이에 설치하는 3과정과, 3과정을 수행 후 상기 몰딩재 A와 접하도록 몰딩재 B를 설치하는 4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방법에 있다.Yet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process of installing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using a fasten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molding material A is installed using the fastening member to fit the interval of the interior tile finish. 2 steps of installing on the surface, and 3 steps of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between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the molding material A after performing the 2 process, and after contacting the molding material A after performing the 3 process There is a method for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comprising the four steps of installing the molding material B.
상기한 4과정의 수행전에 수용홈으로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한다.An adhesive such as silicon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groove before performing the above four steps.
또한, 상기한 제 3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수직으로 여러장 설치할 경우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설치 후 상기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와 몰딩재 A 사이에 상기 제 3인테리어용 몰딩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더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third proces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er between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the molding material A between the molding for the third interior Do mor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ash.
또한, 상기한 제 1 내지 4과정 수행 후 상기 제 4과정의 몰딩재 B와 이격된 위치에 새로운 몰딩재 A를 인테리어용 타일 마감재의 간격에 맞도록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면에 설치하는 5과정과, 상기 5과정을 수행 후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몰딩재 B와 몰딩재 A 사이에 설치하는 6과정과, 6과정을 수행 후 상기 몰딩재 A와 접하도록 다른 몰딩재 B를 접착제 도포 후 설치하는 7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 5 내지 7과정은 1회 또는 다수회 반복하여 구성되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방법에 있다.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first to fourth process step 5 to install a new molding material A on the installation surface using a fastening member to fit the interval of the interior tile finishing materia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olding material B of the fourth process And, after performing the above 5 process 6 to install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between the molding material B and the molding material A, and after performing the 6 process to install the other molding material B to contact the molding material A after the adhesive coating The seventh process, and the fifth to seventh process is in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installation method is configured by repeating once or multiple times.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과정에서 설치면에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일측단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와 지지부로 구성되는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와 인테이러용 판형 마감재의 타측 단무 하부에 배치되는 부착부로만 구성된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를 이격시켜 배치한 후,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일측단부가 상기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마감부하부로 삽입?로고 설치함으로서, 인테리어용 몰딩재 및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용이하게 고정하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외벽 등에도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surface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for the interior of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consisting of a finishing portion and a support for closing one end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radish of the plate-like finisher for the interior After arranging the second interior molding material consisting of only the mounting portion to be disposed, and then, one side end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finishing load portion of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the logo is installed, thereby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and interior It is possible to install while fixing the plate-shaped finish easily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plate-like finish for the interior, such as the outer wall.
또한, 몰딩재를 교차배치하는 과정에서 몰딩재를 절단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몰딩재가 교차되지 않게 되므로 마감재의 상부면이 균일하여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천정 작업시 피스작업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므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삽입과정에 피스가 장애물이 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olding material does not need to be cut in the process of cross-positioning the molding material, not only is the work convenient, but also the molding material does not cros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is uniform,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piece work during the ceiling work. Since the space is provided for the piece is not an obstacle in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따라서, 실내/외 벽면 등에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firmly install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on the interior / exterior walls.
도 1은 종래의 몰딩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몰딩재 교차설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몰딩재 천정 설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몰딩재 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몰딩재 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몰딩재 A 및 몰딩재 B의 결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 내지 도 18은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인테리어용 몰딩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lding material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lding material cross installation examp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lding material ceiling installation example.
4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lding material A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lding material B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6 are views showing a bonding example of the molding material A and the molding material B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18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19 to 20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using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용 몰딩재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200)과 접하는 부착부(이하 부착부 A라 함)(310)와 상기 부착부 A(3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체결부재(400)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이하 돌출부 A라 함)(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몰딩재 A(300a)(300b)(300c)와; 상기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이하 지지부 B1이라 함)(5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510)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돌출된 마감부(이하 마감부 B1이라 함)(5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와 결합하는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몰딩재 A 및 B에는 몰딩재 B의 수직방향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걸림수단 A,B가 구비된다.
Interior mo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tachment portion A) 310 and the attachment portion A (310) in contact with the
이하 상기 몰딩재A 및 B를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molding materials A and 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 My 1실시예Example 1
제 1실시예는 설치면의 몰딩재 A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first embodiment shows an example of the molding material A of the installation surfa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몰딩재 A(300a)는 설치면(200)과 접하는 부착부 A(310)와, 상기 부착부 A(3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체결부재(400)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A(320) 및, 상기 돌출부 A(320)의 상부 종단에 몰딩재 B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0)와, 상기 연장부(330)에 하부로 돌출된 보강부(340)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330)와 보강부(340)가 걸림수단 A의 역할을 하게 되고, 몰딩재 B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부 A(320)와 연장부(300) 및 보강부(340)에 의하여 수용홈(350)이 형성된다.The molding material A (300a) is a protruding height of the attachment portion A (310) in contact with the
그리고, 상기 부착부 A(310)에는 체결수단(400)으로 피스 사용 시 피스의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홈(312)이 다수개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제 My 2실시예2 Example
제 2실시예의 몰딩재 A(300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몰딩재 A(300a)에 비하여 부착부 A(310)의 치수가 길게 형성된 것으로, 이는 설치면(200)이 모서리일 경우 피스 등의 체결수단(40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설치면(200)이 깨지는 등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로부터 충분히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체결수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길이를 길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통상 건물벽면의 모서리부분은 울퉁불퉁하거나 한쪽이 튀어나오는 등 정확하게 수직선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모서리를 커버하기 위하여 부착부 A의 치수를 길게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5, the
제 My 3실시예3 Example
제 3실시예의 몰딩재 A(300c)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설치면(200)으로부터 일정간격 띄워서 설치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상기 몰딩재 A(300c)는 설치면(200)과 접하는 부착부 A(310)와, 상기 부착부 A(3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체결부재(400)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A(320) 및, 상기 돌출부 A(320)의 상부 종단에 몰딩재 B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0)와, 상기 연장부(330)에 하부로 돌출된 보강부(340), 상기 연장부(330)의 보강부(340)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직확장부(342), 상기 수직확장부(342)의 종단에 형성되는 받침부(360)로 구성된다.The molding material A (300c) is a protruding height of the attachment portion A (310) in contact with the
상기에서 받침부(360)는 수직확장부(342)의 측부로 연장형성되는 받침편(362)과 받침편(362)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3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연장부(330)와 보강부(340)가 걸림수단 A의 역할을 하게 되고, 몰딩재 B와 결합하여 상기 돌출부 A(320)와 연장부(300) 및 보강부(340)에 의하여 수용홈(350)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 A(310)에는 체결수단(400)으로 피스 사용 시 피스의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홈(312)이 다수개 형성된다.The
제 My 4실시예4 Examples
제 4실시예의 몰딩재 B(500a)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설치과정에서 설치면(200)에 가장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몰딩재 B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실시예의 몰딩재A(300a)(300b)와 결합될 수 있으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상기 몰딩재 B(500a)는 상기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B1(5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510)의 일측 즉 몰딩재 A(300a)(300b)(300c) 방향으로 돌출된 마감부 B1(520),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종단에 몰딩재 A(300a)(300b)(300c)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 마감부 B(530) 및, 상기 하부 마감부 B(530)의 상부에 상기 몰딩재 A의 걸림수단 A와 맞물리는 걸림수단 B가 더 돌출형성된다.The molding material B (500a) is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B1 (510), that is, molding material A (to cover the end portion of the
상기에서 걸림수단 B는 지지부 B1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편(540)으로서, 그 상부면은 걸림수단 A를 구성하는 보강부(340)의 하종단과 1mm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몰딩재 A를 설치한 후 몰딩재 B의 걸림수단 B를 수용홈(350)내로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공차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The locking means B is a
제 My 5실시예5 Example
제 5실시예의 몰딩재 B(500b)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설치면(200)으로부터 일정간격 띄워서 설치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 3실시예의 몰딩재 A(300c)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olding material B (500b) of the fifth embodiment is to be used when installing the plate-
상기 몰딩재 B(500b)는 상기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B1(5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510)의 일측 즉 몰딩재 A(300a)(300b)(300c) 방향으로 돌출된 마감부 B1(520),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종단에 몰딩재 A(300a)(300b)(300c)와 반대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부착부 B1(550)와, 상기 부착부 B1(550)의 지지부 B1(510)측으로 체결부재(400)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돌출부 B1(560), 상기 부착부 B1(550)상부면으로부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돌출부의 돌출높이를 합한 위치에 형성되는 마감부 B3(570) 및,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부에 상기 몰딩재 A의 걸림수단 A와 맞물리는 걸림수단 B(540)가 더 돌출형성되며, 걸림수단 B(540)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The molding material B (500b) is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B1 (510), that is, molding material A (to cover the end portion of the
제 My 6실시예6 Example
제 6실시예의 몰딩재 B(500C)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설치면(200)으로부터 일정간격 띄워서 설치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또는 2실시예의 몰딩재 A(300a)(300b)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molding material B 500C of the sixth embodiment is used when the interior plate-
상기 몰딩재 B(500c)는 상기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B1(5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510)의 일측 즉 몰딩재 A(300a)(300b)(300c)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마감부 B1(520), 부착부 B1(55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돌출부 A(320) 높이를 합한 치수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마감부 B3(570), 상기 마감부 B1(520) 하부로부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돌출부의 돌출높이를 합한 위치에 형성되어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받치기 위한 받침부 B(580),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종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몰딩재 A(300a)(300b)(300c)와 반대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부착부 B1(550)과,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부에 상기 몰딩재 A의 걸림수단 A와 맞물리는 걸림수단 B(540)가 더 돌출형성되며, 걸림수단 B(540)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상기에서 상기 받침부 B(580)는 지지부 B1(510)의 측부로 연장형성되는 받침편(582)과 받침편(582)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 B3(584)로 구성되고, 상기 부착부 B1(550)은 지지부 B1(510)의 하종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받침편(582)과 부착부 B1(550)은 지지벽(58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받침편(582)에도 체결수단 안내를 위한 가이드홈(582a)이 형성된다.
The
제 My 7실시예7 Example
제 7실시예의 몰딩재 B(500d)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높이차를 두지 않고 설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면(20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몰딩재 B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몰딩재A(300a)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olding material B (500d) of the seventh embodiment is used when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
상기 몰딩재 B(500d)는 상기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B1(5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510)의 상종단에 양측으로 돌출된 마감부 B1(520),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종단에 몰딩재 A(300a)(300b)(300c) 반대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부착부 B1(550) 및, 상기 부착부 B1(55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부 B1(560)과,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부에 상기 몰딩재 A의 걸림수단 A와 맞물리는 걸림수단 B(540)가 더 돌출형성되며, 걸림수단 B(540)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The molding material B (500d) is supported on both sides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B1 (510)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제 My 8실시예8 Examples
제 8실시예의 몰딩재 B(500e)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4각 기둥()의 양면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실시예의 몰딩재A(300b)와 결합되어 사용된다.The
상기 몰딩재 B(500e)는 상기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B1(5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510)의 일측 즉 몰딩재 A(300a)(300b)(300c) 방향으로 돌출된 마감부 B1(520), 상기 지지부 B1(510)의 하종단에 몰딩재 A(300a)(300b)(300c)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부 마감부 B(530), 상기 하부 마감부 B(530)의 상부에 상기 몰딩재 A의 걸림수단 A와 맞물리는 걸림수단 B(540), 상기 지지부 B1(510) 하종단에 지지부 B1(510)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부착부 B2(592)와 돌출부 B2(594), 상기 부착부 A(310)와 수평으로 상기 부착부 B2(592)에 설치되는 지지부 B2(596) 및 마감부 B2(5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인테리어용 몰딩재들의 결합예를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An example of combining interior molding material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6.
도 12는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A(300b)와 제 8실시예에 다른 몰딩재 B(500e)의 결합예로서 설치면(200)이 사각기둥인 경우의 실시예이다.FIG. 1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unting
상기 몰딩재 A(300b)와 몰딩재 B(500e)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홈(350)에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때, 보강부(340) 및 하부 마감부 B(530)에 의하여 접착제는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된다.Adhesive, such as silicon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이와 같이 결합된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부착부 A(310)와 부착부 B1(550)으로 체결수단이 체결되고, 돌출부A(320)와 돌출부B1(560)상으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가 끼워지게 된다.
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도 13은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A(300b)와 제 6실시예에 다른 몰딩재 B(500c)의 결합예로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설치높이를 다르게 설치할 경우의 실시예이다.FIG. 13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stallation heights of the interior
상기 몰딩재 A(300b)와 몰딩재 B(500c)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홈(350)에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때, 보강부(340) 및 부착부 B1(550)에 의하여 접착제는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된다.Adhesive, such as silicon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이와 같이 결합된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부착부 A(310)와 부착부 B1(550)으로 체결수단이 체결되고, 돌출부A(320)와 돌출부 B3(584)상으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가 끼워지게 된다.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이때, 몰딩재 B(500c)는 걸림수단 A 및 B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molding material B (500c) is not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ocking means A and B.
그리고, 상기한 몰딩재 B(500c)의 받침편(582)상으로는 이후 다른 인테리어용 몰딩재가 체결될 수 있다.
Then, on the
도 14는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A(300c)와 제 5실시예에 다른 몰딩재 B(500b)의 결합예로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설치높이를 다르게 설치할 경우의 실시예이다.FIG. 1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interior plate-shaped
상기 몰딩재 A(300c)와 몰딩재 B(500b)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홈(350)에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때, 보강부(340) 및 부착부 B1(550)에 의하여 접착제는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된다.Adhesive, such as silicon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이와 같이 결합된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부착부 A(310)와 부착부 B1(550)으로 체결수단이 체결되고, 돌출부 A2(364)와 돌출부 B1(560)상으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가 끼워지게 된다.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이때, 몰딩재 B(500c)는 걸림수단 A 및 B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molding material B (500c) is not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ocking means A and B.
그리고, 상기한 몰딩재 A(300c)의 받침편(362) 상으로는 이후 다른 인테리어용 몰딩재가 체결될 수 있다.
Then, on the
도 15는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A(300a)와 제 7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B(500d)의 결합예이다.15 shows an example of combining the
상기 몰딩재 A(300a)와 몰딩재 B(500d)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홈(350)에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때, 보강부(340) 및 부착부 B1(550)에 의하여 접착제는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된다.Adhesive such as silicon is applied to the receiving
이와 같이 결합된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부착부 A(310)와 부착부 B1(550)으로 체결수단이 체결되고, 돌출부 A(320)와 돌출부 B1(560)상으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가 끼워지게 된다.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이때, 몰딩재 B(500a)는 걸림수단 A 및 B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lding material B (500a) is not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ocking means A and B.
도 16은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A(300b)와 제 4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B(500a)의 결합예이다.16 shows an example of combining the
상기 몰딩재 A(300b)와 몰딩재 B(500a)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수용홈(350)에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때, 보강부(340) 및 하부 마감부B(530)에 의하여 접착제는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된다.Adhesive, such as silicon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이와 같이 결합된 인테리어용 몰딩재의 부착부 A(310)로 체결수단이 체결되고, 돌출부 A(320)와 돌출부 B1(560)상으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가 끼워지게 된다.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the
이때, 몰딩재 B(500a)는 걸림수단 A 및 B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At this time, the molding material B (500a) is not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ocking means A and B.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인테리어용 몰딩재들은 다른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함께 세트로서 사용되는데, 그 예를 하기에서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used as a set together with other interior molding materials, 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인테리어용 몰딩재 세트의 일 예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C(6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C(610)의 일측으로 돌출된 마감부 C(620)와, 상기 지지부 C(610)의 하측 종단에 설치면(200)과 접하면서 마감부 C(620)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착부 C(630) 및, 상기 부착부 C(63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체결부재(400)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C(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600)와; 상기 실시예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몰딩재 A(300a)(300b)(300c) 및 B(500a)(500b)(500c)(500d)(500e)의 결합으로 구성된 도 12 내지 도 16의 제 2 인테리어용 몰딩재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D(7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D(710)의 양측으로 돌출된 마감부 D(720)와, 상기 지지부 D(710)의 하측 종단에 설치면(200)과 접하면서 마감부 D(720)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착부 D(730) 및, 상기 부착부 D(73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볼트 또는 피스를 포함하는 체결부재(400)의 돌출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돌출부 D(7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 1 및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3인테리어용 몰딩재(700)를 더 포함한다.
First, as an example of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set, as shown in FIG. 17,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인테리어용 몰딩재 세트에 의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설치예를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interior
우선, 상기 제 1 인테리어용 몰딩재(600)를 설치면(200) 일측에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1과정과, 도 12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몰딩재 A와 몰딩재B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800)를 구성하는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를 인테리어용 타일 마감재(100)의 간격에 맞도록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설치면(200)에 설치하는 2과정과, 상기 2과정을 수행 후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제 1 인테리어용 몰딩재(600)와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 사이에 설치하는 3과정과, 3과정을 수행 후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와 접하도록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800)를 구성하는 상기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를 설치하는 4과정을 수행함으로서 한장의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가 설치면에 설치된다.First, a process of installing the first
이때, 상기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수직으로 여러장 설치할 경우, 상기 제 3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설치 후 상기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600)와 몰딩재 A(300a)(300b)(300c) 사이에 상기 제 3인테리어용 몰딩재(700)를 설치하고, 다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제 1인테리어용 몰딩재(600)의 마감부 C(620)와 돌출부 C(640)사이로 끼워넣은 후 상기 제 3인테리어용 몰딩재(7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더 수행한 후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를 설치하는 제 4과정을 수행한다.At this time, when the interior plate-
상기에서 제 4과정의 수행전에 몰딩재 A(300a)(300b)(300c)와 수용홈(350)으로 접착제를 도포한다.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molding materials A (300a) (300b) 300c and the receiving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수직으로 한줄만 설치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몰딩재 B를 제 5 내지 7실시예에 따른 몰딩재 B를 사용하는 경우 계속해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열을 더 설치할 수 있게 되며, 그 예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 내지 4과정 수행 후 상기 제 4과정의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와 이격된 위치에 몰딩재 A(300a)(300b)(300c)를 인테리어용 타일 마감재(100)의 간격에 맞도록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설치면(200)에 설치하는 5과정과, 상기 5과정을 수행 후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와 몰딩재 A(300a)(300b)(300c) 사이에 설치하는 6과정과, 6과정을 수행 후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와 접하도록 다른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를 접착제 도포 후 설치하는 7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제 5 내지 7과정은 1회 또는 다수회 반복하여 다수개의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를 설치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installing only one line vertically in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if the molding member B according to the molding material B according to the fifth to seventh embodiment continues to further add a row of interior plate-like finish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lding material 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100 :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200 : 설치면
300a, 300b, 300c : 몰딩재 A 400 : 체결부재
500a, 500b, 500c, 500d, 500e : 몰딩재 B100: interior plate finish 200: mounting surface
300a, 300b, 300c: molding material A 400: fastening member
500a, 500b, 500c, 500d, 500e: molding material B
Claims (14)
상기 설치면(20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이하 지지부 B1이라 함)(510)와 상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 단부를 커버하도록 지지부 B1(510)의 일측 혹은 양측으로 돌출된 마감부(이하 마감부 B1이라 함)(5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와 결합하는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Fastening member including an attachmen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tachment portion A) 310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A (310)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100) Molding materials A (300a) (300b) (300c) configured to include a protru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trusion A) 320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otrusion height of 400;
Finishing portion protruding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B1 (510) to cover the support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ort portion B1) 51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and the end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ishing portion B1) 5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lding material B (500a) (500b) (500c) (500d) (500e) coupled with the molding material A (300a) (300b) (300c) ;
Interior mold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 때, 마감부 B1(520) 하부로부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몰딩재A 또는 몰딩재B의 소정위치에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받치기 위한 받침부(360)(580)가 형성되고,
상기 몰딩재A 또는 B의 받침부(360)(580) 반대방향으로는 상기 부착부 A(31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의 두께와 돌출부A 또는 돌출부 B1의 돌출높이를 합한 위치에 마감부 B3(5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ior molding material is projected from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B1 (510) and the mounting surface 200 of the protrusion A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B1 (510) so as to chang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material. You can make the height higher than the combined height,
At this time, for supporting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lding material A or the molding material B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from the bottom of the finishing portion B1 (520). Support portions 360 and 580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360, 580 of the molding material A or B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ortion A 310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or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Interior mold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portion B3 (570)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A or the protrusion B1.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몰딩재 A(300a)(300b)(300c) 및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의 결합으로 구성된 제 2인테리어용 몰딩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세트.Support portion C (610)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and the finish portion C 620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C (610) to cover the end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and the support portion C An attachment portion C 630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nishing portion C 620 while contacting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at the lower end of the 610,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C 630 to be bolted or A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600 including a protrusion C 640 capable of receiving a protrusion height of the fastening member 400 including a piece;
For the second interio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molding material A (300a) (300b) 300c and the molding material B (500a) (500b) (500c) (500d) (500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Molding material 800; Interior molding material set comprising a.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몰딩재 A(300a)(300b)(300c)를 인테리어용 타일 마감재(100)의 간격에 맞도록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설치면(200)에 설치하는 2과정과,
상기 2과정을 수행 후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100)를 제 1 인테리어용 몰딩재(600)와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 사이에 설치하는 3과정과,
3과정을 수행 후 상기 몰딩재 A(300a)(300b)(300c)와 접하도록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몰딩재 B(500a)(500b)(500c)(500d)(500e)를 설치하는 4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방법.Support portion C (610)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and the finish portion C 620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C (610) to cover the end of the interior plate-like finish 100, and the support portion C An attachment portion C 630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nishing portion C 620 while contacting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at the lower end of the 610, and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C 630 to be bolted or The fastening member 4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of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600, which includes a protrusion C 640 that can accommodat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fastening member 400 including a piece. 1 process to install using,
The molding member A (300a) (300b) (300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o the installation surface 200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400 to fit the interval of the interior tile finish (100). Two process to install,
After performing the two processes and the three-step process for installing the interior plate finishing material 100 between the first interior molding material 600 and the molding material A (300a) (300b) (300c),
Molding material B (500a) (500b) (500c) (500d) (500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so as to contact the molding material (A 300a) (300b) (300c) after performing the process Interior plate-shaped finishing material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 process of installing.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23837A KR101311075B1 (en) | 2013-03-06 | 2013-03-06 | Interior molding and interior molding set and interior tile fixing method |
| PCT/KR2014/001828 WO2014137167A1 (en) | 2013-03-06 | 2014-03-06 | Interior molding material, set therefor, and method for installing interior plate-type finishing material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23837A KR101311075B1 (en) | 2013-03-06 | 2013-03-06 | Interior molding and interior molding set and interior tile fixing metho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11075B1 true KR101311075B1 (en) | 2013-09-25 |
Family
ID=494566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238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1075B1 (en) | 2013-03-06 | 2013-03-06 | Interior molding and interior molding set and interior tile fixing method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11075B1 (en) |
| WO (1) | WO2014137167A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52524B1 (en) * | 2016-11-07 | 2018-04-26 | 김현재 | Device for fixing and supporting interior materials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55262Y1 (en) | 2010-12-24 | 2011-08-26 | 서은순 | Three-dimensional molding material for interior |
| KR20120000397A (en) * | 2010-06-25 | 2012-01-02 | (주) 제효 | Ceiling finishing moldings |
| KR200458633Y1 (en) | 2010-12-24 | 2012-03-07 | 서은순 | Molding material for interior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084325B2 (en) * | 1992-09-21 | 2000-09-04 |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 Vertical joint structure |
| CA2226995A1 (en) * | 1997-01-31 | 1998-07-31 | Premark Rwp Holdings, Inc. | Molding affixed with a divider track |
| KR100592466B1 (en) * | 2004-04-16 | 2006-06-23 | 파스템건설 주식회사 | Panel prefab underground double wall structure |
| KR20110039933A (en) * | 2009-10-13 | 2011-04-20 | 김성원 | Construction method for finishing walls using the horizontal molding for interior wall finishing and the horizontal molding |
| KR101215934B1 (en) * | 2012-04-12 | 2012-12-27 | 신일건업 주식회사 | Mould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
-
2013
- 2013-03-06 KR KR1020130023837A patent/KR1013110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3-06 WO PCT/KR2014/001828 patent/WO201413716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00397A (en) * | 2010-06-25 | 2012-01-02 | (주) 제효 | Ceiling finishing moldings |
| KR200455262Y1 (en) | 2010-12-24 | 2011-08-26 | 서은순 | Three-dimensional molding material for interior |
| KR200458633Y1 (en) | 2010-12-24 | 2012-03-07 | 서은순 | Molding material for interio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52524B1 (en) * | 2016-11-07 | 2018-04-26 | 김현재 | Device for fixing and supporting interior material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4137167A1 (en) | 2014-09-1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088413B (en) | Panel, mounting fixture and wall covering or ceiling covering for three-dimensional patterns of wall panels and ceiling panels | |
| KR101137960B1 (en) | Truss assembly | |
| KR101164727B1 (en) | Wall Structures of Building | |
| CA2666284C (en) | Caisson ceiling system | |
| JP6301587B2 (en) | Insulation panel construction structure | |
| KR100632269B1 (en) | Panel assembly for building finishing | |
| KR101311075B1 (en) | Interior molding and interior molding set and interior tile fixing method | |
| CN111032978B (en) | Installations and Wall Structure of Buildings | |
| KR200463291Y1 (en) | Ceiling of clean room | |
| KR20130071742A (en) | The panel for corner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 |
| KR100795132B1 (en) | Ceiling panels | |
| JP7329315B2 (en) | Ceiling material installation method | |
| JP2018066151A (en) | End surface mounting tool for plate materia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late material | |
| KR101363310B1 (en) | Fixing device for ceiling panel | |
| KR101068472B1 (en) | Wall panel fittings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101770393B1 (en) | clip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 |
| KR200458633Y1 (en) | Molding material for interior | |
| JPH0628593Y2 (en) | Wall decorative panel unit | |
| KR20170047087A (en) | The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 |
| JP7045132B2 (en) | Board fixtures and board construction methods | |
| JP2002256668A (en) | Eave component such as eave decorative panel | |
| JP4099809B2 (en) | Brick wall and brick wall construction method | |
| US20170067253A1 (en) | Suspended ceiling system | |
| KR101738564B1 (en) | Finishing device for metal ceiling panal | |
| KR102833921B1 (en) | Building Exterior Systems, Comprising Clay Panels and Fixtur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9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