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407B1 -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9407B1 KR101319407B1 KR1020130059062A KR20130059062A KR101319407B1 KR 101319407 B1 KR101319407 B1 KR 101319407B1 KR 1020130059062 A KR1020130059062 A KR 1020130059062A KR 20130059062 A KR20130059062 A KR 20130059062A KR 101319407 B1 KR101319407 B1 KR 1013194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reshing
- main body
- unit
- soybean
- be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2—Stripper beaters after the threshing dr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작물을 투입하여 부산물을 배출하고 콩을 수집하는 콩탈곡기에 있어서: 투입구(11)와 반대면에 배출구(12)(13)를 지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드럼(31)과 선별망(35)을 지니는 탈곡부(30); 상기 탈곡부(30)의 하방향에 흔들체(51)와 송풍팬(57)(58)을 지니는 선별부(50); 및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궤도(61)로 지지하고, 엔진(63)에 의한 유압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주행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콩 작물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과량 투입 등에 의한 걸림 현상을 해소하고, 탈리된 껍질이 작업자 방향으로 비산하여 먼지 흡입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크 착용의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ean threshing machine for discharging by-products and collecting soybeans by inputting soybean crops: a main body (10) having outlets (12, 13)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let (11); Threshing unit (30) having a drum (31) and a sorting network (35) inside the main body (10); A sorting unit 50 having a rocking body 51 and a blowing fan 57, 58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threshing unit 30; And a traveling part 60 supported by the track 61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providing a propulsion force by the hydraulic force by the engine 63.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threshing the soybean crop, the jam phenomenon caused by excessive input or the like is temporarily eliminated, and the detached shell scatters toward the worker,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a mask for blocking dust inhal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주식 콩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립구동의 주행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콩작물을 파쇄하고 콩과 부산물을 선별하는 자주식 콩탈곡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propelled soybean thre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propelled soybean threshing machine for crushing soybean crops and selecting soybeans and by-products based on a driving method of independent driving.
국내 콩 시장규모는 약 1조 5천억원 정도이고 2020년까지 2조 2천억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도되고 있으며, 정부의 제7차 농업기계화 기본계획과 맞물려서 콩탈곡기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국내에 20여개 업체에서 70여종의 콩탈곡기가 판매되는 가운데 일본 얀마 등의 기업에서 자주식 탈곡기 등의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다만, 어느 콩탈곡기에 있어서나 콩과 껍질을 분리하는 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The domestic soybean market size is estimated to be about 1.5 trillion won, and it is reported to expand to 2.2 trillion won by 2020. The demand for soybean mill is expected to increase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seventh basic plan for agricultural mechanization. Currently, about 70 kinds of bean threshers are sold by 20 companies in Korea, and new products such as self-propelled thresher are being released by companies such as Yanmar, Japan. However, in any bean threshing machine, maintain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separating the beans and the ski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roblem.
이와 관련하여 참고할 수 있는 선행기술 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4000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7529호 등이 알려져 있다.As prior art documents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is regar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414000,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57529 and the like are known.
전자의 선행 기술문헌에 의하면, 본체 상부의 탈곡실에 탈곡드럼을 설치하고, 탈곡실 하부에 다공선별판을 설치하여 선별된 콩을 배출하고, 콩깍지는 송풍기를 이용해 배출하는 콩 탈곡기에 있어서, 콩줄기투입부 일측면에는 돌출가이드를 일체로 형성하고, 다공선별판의 상면 일측에는 호형으로 된 걸림판을 결합하며, 낙하부 일측에는 갈퀴형으로 된 걸림대를 부설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탈곡실 측벽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고, 탈곡된 콩이 콩대와 함께 버려지거나 이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한다.According to the former prior art document, a threshing drum is installed in the threshing chamber at the top of the main body, a perforated separator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hreshing chamber, and the selected beans are discharged, and the soybean pod is discharged using a blower. Protruding guide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m input part, an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separation plate is coupled to an arc-shaped locking plate, and a rake-shaped locking ba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op part.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intercalating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threshing chamber, and the threshing beans ar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iscarding of the bean grains or the inclusion of the foreign substances.
후자의 선행기술 문헌에 의하면, 예취 작물을 수망과 급동으로 탈곡하는 탈곡 장치, 요동 선별반, 1번 컨베이어 및 1번 양곡통, 2번 컨베이어 및 2번 환원 기구로 이루어지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2번 환원 기구는 2번 환원 양곡통과 2번 리턴 반송통을 갖고; 상기 수망에 대향한 상기 2번 리턴 반송통의 전단측에 형성하고, 상기 수망과 상기 방출구 사이에 비산하는 양곡물을 확산시키는 확산 기구를 배치한다. 이에 따라, 요동 선별반의 선별 처리 능력을 향상하면서, 요동 선별반의 선별 손실을 저감하는 효과를 기대한다.According to the latter prior art document, a threshing apparatus for threshing harvested crops into a net and a barrel, in a combine consisting of a rocking shaker, a conveyor No. 1 and a grain bin, a conveyor No. 2 and a reducing mechanism No. 2 above The reduction mechanism has a number 2 reduction grain barrel and a number 2 return carrier; It is formed in the front end side of the said 2nd return conveyance container facing the said water net, and the diffusion mechanism which distributes the grain grains scattered between the said water net and the said discharge port is arrange | positioned. According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screening loss of the rocking screening panel is expected while improving the screening capability of the rocking screening panel.
그러나, 전자의 문헌에 의한 콩 탈곡기는 주행을 위한 구성을 구비하지 않아 이동성이 미흡하고, 후자의 문헌에 의한 콤바인은 지나치게 복잡하여 콩 작물에 한정하기에 비경제적이다. 상기 어느 경우에나 콩 작물이 다량으로 투입되는 경우 걸림이 발생하여 작동이 중단되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뿐더러 주변에 먼지가 다량으로 비산되어 작업자가 필히 마스크를 써야 하는 불편이 초래된다.However, the bean thre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ormer literature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for traveling, and the mobility is insufficient, and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latter literature is too complicated to be limited to soybean crops. In any case, when a large amount of soybean crops is introduced, a jam occurs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or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and a large amount of dust is scattered around, resulting in inconvenience that a worker must wear a mask.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콩 작물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과량 투입 등에 의한 걸림 현상을 해소하여 작업 지연과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자주식 콩탈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that prevents work delay and safety accidents by temporarily eliminating jams caused by excessive input in the process of threshing soybean crops.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콩 작물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탈리된 껍질이 작업자 방향으로 비산하여 먼지 흡입을 차단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불편을 방지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iscomfort of wearing a mask to block the dust inhaled by scattering peeled in the direction of the worker in the process of crushing soybean cro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콩 작물을 투입하여 부산물을 배출하고 콩을 수집하는 콩탈곡기에 있어서: 투입구와 반대면에 배출구를 지니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드럼과 선별망을 지니는 탈곡부; 상기 탈곡부의 하방향에 흔들체와 송풍팬을 지니는 선별부;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궤도로 지지하고, 엔진에 의한 유압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주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커버 상에 콩 작물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한 이송판을 구비하며, 선별부는 콩 알곡을 상승 이송시켜 수집하도록 송풍팬을 지닌 수집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an threshing machine for discharging the by-product by collecting the soybean crop and collecting the soybean: a main body having an outle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let; A threshing unit having a drum and a sorting net in the main body; A sorting unit having a shaker and a blowing fan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threshing unit; And a traveling part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track and providing propulsion force by hydraulic force by an engine, wherein the main body has an angle-adjustable conveying plate on the cover to adjust a conveying speed of the soybean crop. It is provided, the sor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llecting duct having a blowing fan to collect by transporting the grains of beans.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투입구는 탈곡부의 일측에 편재되도록 형성되고, 바이트를 구비하여 콩 작물을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ubiquitous on one side of the thresh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ybean crops are introduced with a bit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탈곡부의 드럼은 나선 상으로 배치되는 타격치의 말단 영역에 압송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m of the thresh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essure feed in the distal region of the striking teeth arranged in the spiral.
삭제delet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행부는 엔진의 구동력을 유압모터를 통해 궤도에 전달하고, 전환기어를 통해 탈곡부와 선별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to the track through the hydraulic mo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threshing unit and the selection unit through the switching gea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콩 작물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과량 투입 등에 의한 걸림 현상을 해소하고, 탈리된 껍질이 작업자 방향으로 비산하여 먼지 흡입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크 착용의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threshing soybean crops, the effect of temporarily eliminating the jamming caused by excessive input, etc., and the detached skin is scattered toward the worker,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a mask to block the inhalation of dust.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탈곡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탈곡기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콩탈곡기의 드럼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콩탈곡기의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ean threshing machine as a w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bean thre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ross sec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drum of the bean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bean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콩 작물을 투입하여 부산물을 배출하고 콩을 수집하는 콩탈곡기에 관련된다. 부산물은 콩 작물에서 수집 대상의 콩 알곡을 제외한 줄기, 잎, 콩깍지 등을 통칭한다. 콩탈곡기에 있어서 콩 작물에서 정선된 콩을 수확하는 기능의 신뢰성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콩탈곡기에 주행 기능을 부여하지만 예취 기능은 배제하여 보급가격을 낮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ybean threshing machine that inputs soybean crops to discharge by-products and collect soybeans. By-products are stem, leaf, and pods except for soybeans collected from soybean crops. In soybean threshers, the reliability of harvesting of soybeans from soybean crops is important. The present invention imparts a running function to the soybean threshing machine but lowers the supply price by excluding the mowing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투입구(11)와 반대면에 배출구(12)(13)를 지니는 구조이다. 투입구(11)는 투입대(24)를 통하여 콩 작물을 유입하는 부분이고, 상부배출구(12)는 줄기와 같은 큰 부산물이 배출되는 부분이고, 하부배출구(13)는 콩깍지와 같은 작은 부산물이 배출되는 부분이다. 정선된 콩은 수집구(15)를 통하여 배출된다. 투입대(24)는 주행시 상측으로 접고 작업시 펼칠 수 있는 회동 구조로 설치한다. 투입구(11)와 수집구(15)는 본체(10)의 일면에 배치하여 작업자의 동선 축소로 편의성을 향상하고, 배출구(12)(13)는 본체(10)의 반대측 타면에 배치하여 작업자 측으로 부산물의 비산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한다.The
한편, 본체(10)의 상측으로 커버(21)가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탈곡부(30)의 드럼(31)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10)의 측면에서 수집구(15)의 하방향으로 자루받침대(17)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는 탈곡부(30)의 일측에 편재되도록 형성되고, 바이트(26)를 구비하여 콩 작물을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입구(11)와 투입대(24)는 공히 탈곡부(3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50%를 초과하지 않는 길이로 일측에 편재된다. 즉, 투입구(11)를 통하여 탈곡부(30)의 상류측으로 투입된 콩 작물이 하류측으로 이동하면서 탈곡 작동이 수행된다. 투입구(11) 상에 설치되는 바이트(26)는 원통상에 다수의 막대형 돌기를 구비한 것으로, 작업자가 콩 작물을 억지로 밀어 넣지 않아도 회전하면서 콩 작물을 흡인하여 편의성과 함께 안전성을 도모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드럼(31)과 선별망(35)을 지니는 탈곡부(30)가 구비된다. 탈곡부(30)의 드럼(31)은 본체(10) 상에서 상측으로 배치되고, 선별망(35)은 드럼(31)의 하측으로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선별망(35)은 콩이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는 크기의 다공을 구비한다. 선별망(36)의 말단에는 턱을 형성하여 콩이 이탈하지 않고 모두 걸러지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탈곡부(30)의 드럼(31)은 나선 상으로 배치되는 타격치(32)의 말단 영역에 압송치(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격치(32)는 선재를 U자형으로 절곡한 형태이고, 압송치(33)는 판재를 사각형으로 절단한 형태이다. 나선의 형성하는 경로상에 배치되는 타격치(32)는 투입된 콩 작물을 탈곡하면서 상류에서 하류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격치(32)의 하류측에 일렬로 설치되는 압송치(33)는 줄기와 같은 큰 부산물을 일차적으로 가압하여 상부배출구(12)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구조의 탈곡부(30)는 콩 작물을 이송하면서 충분한 시간에 걸쳐 타격하므로 탈곡률이 높고 탈곡 부하도 경감할 수 있다.The threshing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10)는 커버(21) 상에 콩 작물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한 이송판(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판(42)은 "ㄱ"자 단면의 판재로 형성되고 고정핀(44)을 개재하여 커버(21)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송판(42)의 회동핀(46)은 커버(21) 상에 형성되는 호형홈(22)을 통하여 외부의 노브(45)와 연결된다. 노브(45)는 나선 결합으로 연결되어 회동핀(46)의 이동을 단속한다. 이송판(42)은 2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무난하지만 콩탈곡기의 규격에 따라서는 3개소 이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호형홈(22)으로 부산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커버(21)와 노브(45) 사이에 별도의 판재를 개재하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따라, 노브(45)를 풀거나 잠그면서 이송판(42)의 경사각과 타격치(32)가 형성하는 나선각을 상대적으로 변화시키면 이송 저항의 변동으로 이송속도가 조절된다. 즉, 경사각과 나선각이 일치하면 콩 작물의 이송속도가 증가되고 상대적인 각도 편차가 증가할수록 콩 작물의 이송속도가 저하된다. 콩 작물의 종류, 건조상태 등의 조건에 대응하여 이송판(42)의 각도를 다르게 설정한다.Accordingly,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한편, 선별망(35)에서 투입구(11)와 반대측의 내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유도판(37)을 인접하게 설치하여 콩과 부산물이 이탈되지 않고 하방향의 선별망(35)에 신속하게 낙하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orting network (35) on the opposite side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탈곡부(30)의 하방향에 흔들체(51)와 송풍팬(57)(58)을 지니는 선별부(50)가 구비된다. 흔들체(51)는 선별망(35)의 하측으로 캠축에 의하여 요동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낙하된 콩과 부산물을 분리한다. 흔들체(51)의 하단에는 벨트컨베이어(53)와 송풍팬(57)이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부산물을 벨트컨베이어(53)와 하부배출구(13) 방향으로 배출한다. 벨트컨베이어(53)는 하부배출구(13)를 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출되지 않은 부산물을 이송하여 하부배출구(13)로 배출한다. 벨트컨베이어(53)의 하단에는 이송스크류(54)가 설치되어 낙하된 콩을 일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송스크류(54)의 하류단에는 송풍팬(58)을 지닌 수집덕트(55)가 설치되어 콩 알곡을 상승 이송시켜 수집구(15)로 보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rting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부(60)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궤도(61)로 지지하고, 엔진(63)에 의한 유압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궤도(61)는 아스팔트나 농로의 주행이 원활하도록 내모마성 고무를 사용한다. 유압력은 엔진(63)에 직결되는 유압펌프(64)에 의하여 발생되고 콩 탈곡기의 주행을 위한 추진력으로 활용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주행부(60)는 엔진(63)의 구동력을 유압모터(65)를 통해 궤도(61)에 전달하고, 전환기어(66)를 통해 탈곡부(30)와 선별부(5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모터(65)는 각각의 궤도(61)의 구동부에 설치되고, 유압밸브를 개재하여 유압펌프(64)에 연결된다. 조작레버(68)에 연결되는 유압밸브에 의한 유압모터(65)의 정역구동으로 전후진 주행을 수행한다. 엔진(63)의 출력축과 전환기어(66)는 벨트로 연결한다. 전환기어(66)는 동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하는 기어박스로서, 전술한 탈곡부(30)와 선별부(50)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조작레버(68)를 이용하여 엔진(63)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유압모터(65)의 회전수도 증가하여 주행 속도가 증가된다.According to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작동에 있어서, 투입구(11)로 콩 작물이 투입되면 바이트(26)가 흡인하여 탈곡부(30)의 드럼(31)으로 보내고, 탈곡부(30)의 드럼(31)에서 타격치(32)에 의하여 탈곡과 이송이 수행되고, 크기가 큰 부산물이 드럼(31)의 압송치(33)에 의하여 상부배출구(12)를 통하여 1차로 배출되고, 선별망(35)을 통과한 콩과 작은 부산물은 흔들체(51) 상으로 낙하되고, 흔들체(51)의 하단에서 송풍 공기에 의하여 작은 부산물이 벨트컨베이어(53)와 하부배출구(13)와 통하여 2차로 배출되고, 흔들체(51)를 통과한 콩은 이송스크류(54)에 의하여 하류측의 수집덕트(55)로 이송되고, 수집덕트(55)의 송풍 공기에 의하여 3차적으로 정선된 콩이 수집구(15)를 통하여 자루에 담겨진다.In operation, when the soybean crop is introduced into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송풍팬(57)(58)을 사용하므로 습기가 많은 콩의 이송이 원활하므로 드럼(31)과 선별망(35) 사이에 끼는 현상을 배제하여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blowing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1: 투입구
12, 13: 배출구 15: 수집구
21: 커버 22: 호형홈
24: 투입대 26: 바이트
30: 탈곡부 31: 드럼
32: 타격치 33: 압송치
35: 선별망 37: 유도판
42: 이송판 45: 노브
50: 선별부 51: 흔들채
53: 벨트컨베이어 54: 이송스크류
55: 수집덕트 57, 58: 송풍팬
60: 주행부 61: 궤도
63: 엔진 64: 유압펌프
65: 유압모터 66: 전환기어
68: 조작레버10: main body 11: inlet
12, 13: outlet 15: collector
21: cover 22: arc groove
24: input tray 26: bytes
30: threshing part 31: drum
32: Strike 33: Pushed
35: sorting network 37: guide plate
42: transfer plate 45: knob
50: sorting unit 51: shaking
53: belt conveyor 54: transfer screw
55: collecting duct 57, 58: blowing fan
60: driving unit 61: track
63: engine 64: hydraulic pump
65: hydraulic motor 66: switching gear
68: control lever
Claims (5)
투입구(11)와 반대면에 배출구(12)(13)를 지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드럼(31)과 선별망(35)을 지니는 탈곡부(30);
상기 탈곡부(30)의 하방향에 흔들체(51)와 송풍팬(57)(58)을 지니는 선별부(50); 및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궤도(61)로 지지하고, 엔진(63)에 의한 유압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는 주행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는 커버(21) 상에 콩 작물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도록 각도 조절 가능한 이송판(42)을 구비하며,
선별부(50)는 콩 알곡을 상승 이송시켜 수집하도록 송풍팬(58)을 지닌 수집덕트(5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콩탈곡기.In soybean mills where soybean crops are fed to produce by-products and collect soybeans:
A main body 10 having outlets 12 and 13 opposite to the inlet 11;
Threshing unit (30) having a drum (31) and a sorting network (35) inside the main body (10);
A sorting unit 50 having a rocking body 51 and a blowing fan 57, 58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threshing unit 30; And
And a traveling part 60 supported by the track 6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providing a propulsion force by hydraulic force by the engine 63.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 angle-adjustable conveying plate 42 to adjust the feed rate of the soybean crop on the cover 21,
Separation unit 50 is a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llecting duct 55 having a blowing fan 58 to collect and convey the grains of the beans.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는 탈곡부(30)의 일측에 편재되도록 형성되고, 바이트(26)를 구비하여 콩 작물을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콩탈곡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11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so as to be ubiquitous on one side of the threshing unit 30, the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ybean crops are introduced with a bite 26.
상기 탈곡부(30)의 드럼(31)은 나선 상으로 배치되는 타격치(32)의 말단 영역에 압송치(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콩탈곡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um 31 of the threshing unit 30 is a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essure feed 33 in the distal region of the striking tooth 32 arranged in a spiral.
상기 주행부(60)는 엔진(63)의 구동력을 유압모터(65)를 통해 궤도(61)에 전달하고, 전환기어(66)를 통해 탈곡부(30)와 선별부(5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콩탈곡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6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63 to the track 61 through the hydraulic motor 65, and transmits to the threshing unit 30 and the sorting unit 50 through the switching gear 66. Self-propelled bean thresher,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9062A KR101319407B1 (en) | 2013-05-24 | 2013-05-24 |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59062A KR101319407B1 (en) | 2013-05-24 | 2013-05-24 |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19407B1 true KR101319407B1 (en) | 2013-10-17 |
Family
ID=496387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59062A Active KR101319407B1 (en) | 2013-05-24 | 2013-05-24 |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1940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055911A (en) * | 2018-01-17 | 2018-05-22 | 新疆新研牧神科技有限公司 | Kuppe and cropper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55047A (en) * | 1993-12-08 | 1995-06-2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Combine threshing equipment |
| JP2002067742A (en) * | 2001-06-20 | 2002-03-08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Combine |
| KR200426544Y1 (en) * | 2006-06-27 | 2006-09-19 | 예천군 | Soybean Harvester |
| KR20120106097A (en) * | 2011-03-17 | 2012-09-26 | 권우혁 | Grain Sheller |
-
2013
- 2013-05-24 KR KR1020130059062A patent/KR1013194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55047A (en) * | 1993-12-08 | 1995-06-2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Combine threshing equipment |
| JP2002067742A (en) * | 2001-06-20 | 2002-03-08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Combine |
| KR200426544Y1 (en) * | 2006-06-27 | 2006-09-19 | 예천군 | Soybean Harvester |
| KR20120106097A (en) * | 2011-03-17 | 2012-09-26 | 권우혁 | Grain Sheller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055911A (en) * | 2018-01-17 | 2018-05-22 | 新疆新研牧神科技有限公司 | Kuppe and cropper |
| CN108055911B (en) * | 2018-01-17 | 2024-03-01 | 新疆新研牧神科技有限公司 | Kuppe and harvest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38113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condition indicative of plugging of a discharge path of an agricultural combine | |
| RU2442314C2 (en) | Spreader | |
| US7399223B2 (en) | Sieve with different louvers | |
| CN105592688B (en) | Cereal separator in combine harvester | |
| US20170099777A1 (en) | Combine with early grain extraction | |
| CN107426968B (en) | Agricultural elevator supplied by multiple cross screw conveyors | |
| EP3087825B1 (en) | Agricultural harvester auger assembly | |
| EP1220598B1 (en) | Separation unit for grain harvesting | |
| JP2008167686A (en) | Threshing structure of all-fired combine harvester | |
| KR101319407B1 (en) | Self-propelled bean threshing machine | |
| JP4488445B2 (en) | Threshing structure of all-fired combine harvester | |
| JP2016178947A5 (en) | ||
| US20220053702A1 (en) | Combine feederhouse with crop flow splitter | |
| JP5215351B2 (en) | Threshing device sorting structure | |
| JP4413187B2 (en) | Threshing device sorting structure | |
| JP2010200764A5 (en) | ||
| JP4630184B2 (en) | Combine | |
| JP5963832B2 (en) | Whole throwing type combine threshing device and whole throwing type combine harvester | |
| DE102008040116B4 (en) | Combine harvester with an endless conveyor and a baffle movable between a swath-depositing position and a chopping position | |
| JP4512707B2 (en) | Second reduction processing equipment in threshing machine | |
| JP5266973B2 (en) | Threshing device | |
| JP2004267022A (en) | Combine | |
| JP2010200762A5 (en) | ||
| JP2009005641A (en) | Threshing device | |
| JP2010200763A5 (e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5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