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97863B1 -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863B1
KR101297863B1 KR1020130080836A KR20130080836A KR101297863B1 KR 101297863 B1 KR101297863 B1 KR 101297863B1 KR 1020130080836 A KR1020130080836 A KR 1020130080836A KR 20130080836 A KR20130080836 A KR 20130080836A KR 101297863 B1 KR101297863 B1 KR 10129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nformation
terminal
location
chi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동길
이준하
Original Assignee
이준하
강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하, 강동길 filed Critical 이준하
Priority to KR102013008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8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863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태그단말에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며, GPS기반 맵주소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아동을 관리하거나 미아상태의 아동을 발견한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유도하고, GPS기반 맵주소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아동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및 실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종방지시스템은,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의 조형물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휴대하거나, 카드형태의 조형물 또는 리더기 형태의 태그인식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 비치되며,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수행을 통해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에 포함된 관제센터의 URL 주소에 해당되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위치정보공유버튼을 선택하여 클릭시 아동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태그단말;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태그정보를 아동, 아동의 담당교사 또는 아동의 보호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수행에 따라 상기 태그단말로부터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 고유의 태그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보호자단말로 대응정보를 전송하는 관제센터; 및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수신되는 대응정보를 수신하여 아동의 위치를 파악하며, 아동이 미아상태에 있을 경우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아동의 미아발생 상태정보를 입력하여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보호자단말로 이루어지는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위치정보사용이 설정완료되거나 이미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도록 안내하는 위치정보사용확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performing the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including the unique tag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is set to the tag terminal If not, the guide guides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GPS-based map address transmission is impossible,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tag terminal transmits the map address to manage the child or find a child who is mis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nd a missing method capable of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which induces a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of a terminal and grasps a child's location even when GPS-based map address transmission is impossible.
Missing preven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hild is carried in the state mounted on the sculpture in the form of necklace, card or bracelet, or the child in the state mounted on the tag recognition device in the form of card or reader NFC tag or QR code that is stored in the kindergarten, school or academy belonging to, including the unique tag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By performing the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of the control center included in the NFC tag or QR code is displayed, and when the user click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button, the child's current location is real-time. Tag terminal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is stored and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the teacher of the child or the guardian of the child, and the NFC tag or QR code is unique from the tag terminal according to the tag performance with the NFC tag or the QR code. A control center for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tag information of and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guardian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guardian terminal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hild, and when the child is in a lost state, driving the mounted application to input the child's lost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In the missing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heck, the control center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performing the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but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of the tag terminal is If it is not set, th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sett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is completed or already set, the consent button for the location sharing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confirmation section is provided.

Description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및 실종방지방법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및 실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태그단말에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며, GPS기반 맵주소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아동을 관리하거나 미아상태의 아동을 발견한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유도하고, GPS기반 맵주소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아동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및 실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ssing prevention system and a missing method capable of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hecking through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an NFC tag or QR code including a unique tag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a control center. Check whether or not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terminal performing the tag with, but if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is not set in the tag terminal guides the sett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if the GPS-based map address transmission is not possible the tag terminal By transmitting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that receives the radio wave of the radio st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that manages the child or finds the child who is missing, and even if the GPS-based map address transmission is impossible. Missing prevention system that enables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through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understood and It relates to the kind of way.

가정,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서 소풍 또는 체험학습 등을 통해 아동들이 야외에서 학습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등의 이유로, 실종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The likelihood of missing children is increasing due to the fact that children spend more time studying outdoors at home, kindergarten, school or academy through picnics or hands-on learning.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1-0064140호 (공개일자: 2011. 06. 15.)의 경우, 아동에게 단말을 소지시키도록 하고, 광대역 정보 네트워크망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아동을 보호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실시간 위치 추적을 지속적으로 하는 관계로 배터리 소모 및 통신비가 과다한 문제가 있다. 즉, 모니터링에 필요한 에너지의 소모가 과다하게 되어,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아동이 미아상태로 있을 때 찾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4140 (published date: June 15, 2011), a child is required to have a terminal and is continuously protected through a broadband information network. However, the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battery consumption and communication cost are excessive due to continuous real-time location tracking.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when the child is in a lost state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is discharged due to excessive consumption of energy required for monitoring.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04417호 (등록일자: 2010. 12. 21.) 는 아동이 휴대하는 무선단말과 보호자가 휴대하는 무선단말이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한 상태에서 수신 전계 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안전거리 이탈로 간주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에도 네트워크 유지를 위해 배터리의 소모가 지나치게 많아질 우려가 있어, 배터리 방전 등 유사시 대응이 불가능하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04417 (Registration Date: Dec. 21, 2010) indicates that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wireless terminal carried by the child and the wireless terminal carried by the guardian form a wireless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warning signal considering the deviation of safety distance. 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above technology, there is a concern that the battery consumption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to maintain the network, and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battery discharge, it is impossible to cope with the problem,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84545호 (등록일자: 2011. 11. 11.) 의 경우, 정보가 저장된 2차원바코드를 제2단말기가 스캔하는 경우, 아동 또는 노약자의 신상정보 또는 보호자의 연락처가 상기 제2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2차원바코드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제1단말기가 바코드 정보처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모두 2차원바코드를 읽어 들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2차원 바코드를 스캔한 제2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뿐, 보호자에게 아동의 위치를 직접 알릴 수 없어 아동 또는 노약자를 애타게 찾는 보호자 입장에서는 타인의 연락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입력 정보에 따라 아동 또는 노약자의 신상이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 아동 유기 등 범죄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84545 (Registration Date: 11/11/2011), when the second terminal scans a two-dimensional bar code in which information is store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hild or the elderly or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nd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However,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has a hassle that the first terminal needs to access the bar cod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pu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order to input the information in the 2D bar cod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loaded with the application. In addition, the technology only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terminal scanning a two-dimensional bar code, and can not inform the guardian of the child's location directly, so the guardian who finds the child or the elderly vulnerable to wait for the contact of others There is. In addition, the technology is vulnerable to crimes such as child abandonment because the image of the child or the elderly is inevitably exposed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후 등록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5337호(등록일자: 2013. 04. 04.) 및 제10-1281832호(등록일자: 2013. 06. 27)는 NFC태그와 태그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미아상태에 있는 아동 또는 애완견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배터리 소모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태그단말에 의한 위치공유 동의신호가 관제센터에 수신된 후에야 비로소 아동의 신상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0-125337 (Registration Date: April 04, 2013) and 10-1281832 (Registration Date: June 27, 2013), which are registered after being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re NFC tag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of the child or pet dog in the lost stat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tag terminal, and problems due to battery consump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signal by the tag terminal to the control center Only after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hild is displaye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rimes against the child.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13-0051660호(출원일자: 2013. 05. 08.)는 아동이 미아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아동의 보호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제센터의 URL에 접속하여 아동의 미아발생 상태정보를 등록하고, 보호자단말에는 맵주소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후 보호자가 맵주소를 클릭하여 아동의 현재위치가 지도상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현재 아동 또는 동물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pplication No. 10-2013-0051660 filed by the applicant (filed date: 05. 08. 2013), if the child is found to be in a lost state, the guardian of the child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control center Register the child's lost child status by accessing the URL, and send the map address to the guardian's terminal so that the guardian clicks the map address so that the child's current location appears on the map.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check the location directly on the map.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아동이 소지한 NFC태그 또는 QR코드를 태그하는 제1태그단말 또는 제2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된 상태에서만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제1태그단말 또는 제2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아동의 위치추적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들은 GPS기반 맵주소를 기반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아동을 발견한 위치가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장소 또는 위치인 경우 보호자단말로 아동의 위치가 전송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techniques are only possible when the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 terminal or the second tag terminal tagging the NFC tag or QR code carried by the chil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 terminal or the second tag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cation of the child can not be tracked if the use is not set. In addition, the above techniques are performed based on a GPS-based map address, and when a location where a child is found is a place or a location that cannot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cation of the child is not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

KR 2011-0064140 A 2011. 06. 15.KR 2011-0064140 A 2011. 06. 15. KR 10-1004417 B1 2010. 12. 21.KR 10-1004417 B1 2010. 12. 21. KR 10-1084545 B1 2011. 11. 11.KR 10-1084545 B1 11/11/2011 KR 10-1253337 B1 2013. 04. 04.KR 10-1253337 B1 2013. 04. 04. KR 10-1281832 B1 2013. 06. 27.KR 10-1281832 B1 2013. 06. 2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태그단말들에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치정보사용을 안내하며, GPS기반 맵주소 전송의 가능여부에 따라 보호자단말로 GPS기반 맵주소 또는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유도함과 함께 아동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및 실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heck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to perform the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and located in the tag terminal When the use of information is not set,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s guided,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GPS-based map address or tag terminal's map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GPS-based map address transmis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ssing prevention system and a missing method capable of identifying the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which induces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and grasps the location of the child in real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종방지시스템은,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의 조형물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휴대하거나, 카드형태의 조형물 또는 리더기 형태의 태그인식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 비치되며,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수행을 통해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에 포함된 관제센터의 URL 주소에 해당되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위치정보공유버튼을 선택하여 클릭시 아동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태그단말;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태그정보를 아동, 아동의 담당교사 또는 아동의 보호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수행에 따라 상기 태그단말로부터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 고유의 태그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보호자단말로 대응정보를 전송하는 관제센터; 및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수신되는 대응정보를 수신하여 아동의 위치를 파악하며, 아동이 미아상태에 있을 경우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아동의 미아발생 상태정보를 입력하여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보호자단말로 이루어지는 실종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위치정보사용이 설정완료되거나 이미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도록 안내하는 위치정보사용확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issing preven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hild is carried in the state mounted on the sculpture in the form of necklace, card or bracelet, or the child in the state mounted on the tag recognition device in the form of card or reader NFC tag or QR code that is stored in the kindergarten, school or academy belonging to, including the unique tag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By performing the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of the control center included in the NFC tag or QR code is displayed, and when the user click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button, the child's current location is real-time. Tag terminal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is stored and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the teacher of the child or the guardian of the child, and the NFC tag or QR code is unique from the tag terminal according to the tag performance with the NFC tag or the QR code. A control center for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tag information of and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guardian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guardian terminal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hild, and when the child is in a lost state, driving the mounted application to input the child's lost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In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the control center checks whether or not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terminal for performing a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of the tag terminal is not set, the tag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confirmation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for guiding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and to select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is completed or already s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관제센터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태그단말의 위치를 GPS를 기반으로 전송가능한 경우 해당 GPS기반 맵주소를 생성하되, GPS기반 맵주소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를 생성하는 맵주소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location of the tag terminal performing the NFC tag or QR code and tag based on the GPS, but generates a corresponding GPS-based map address, if the generation of the GPS-based map address is impossible ta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p address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 방법은,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의 조형물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휴대하거나, 카드 형태의 조형물 또는 리더기 형태의 태그인식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 비치되며,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단말 사이의 태그를 통한 정보인식이 이루어지는 단계(S10);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S20);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도록 안내하는 정보가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30);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는 단계(S40);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와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 및 정보데이터가 관제센터로 수집되는 단계(S50);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가 GPS기반 맵주소로 전송가능한지 판단되는 단계(S60); GPS기반 맵주소로 전송이 가능한 경우 해당 GPS기반 맵주소가 보호자단말로 전송되는 단계(S70); 및 보호자단말에 상기 태그단말이 위치한 장소가 맵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is carried in the state mounted on the necklace, card or bracelet-shaped sculptures, the kindergarten to which the child belongs in the state mounted on the card-shaped sculpture or reader-type tag recogni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school or academy, the step of performing information recognition through a tag between the tag or the terminal and the NFC tag or QR code containing a unique tag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S10); Confirm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of the tag terminal is set (S20); When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s set,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for guiding selection of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S30); Selecting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S40); If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is selected, the step of collecting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and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data of the tag terminal to the control center (S50);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tag terminal which performs the NFC tag or the QR code and the tag can be transmitted to a GPS-based map address (S60); If the GPS-based map address can be transmitted to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PS-based map address to the parent terminal (S70); And a step (S80) in which the place where the tag terminal is located in the guardian terminal is displayed as a map.

또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태그단말에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단말로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30')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is not set in the tag terminal in step S20,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S30 ') of displaying information gu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to the tag terminal.

또한, 상기 S60단계에서 GPS기반 맵주소의 전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가 전송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자단말에는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수신 기지국의 주소에 대응되는 맵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it is impossible to transmit the GPS-based map address, the method includes a step (S70 ') of transmitting a map address of a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tag terminal, wherein the guardian terminal includes the tag. The map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the radio wave reception base station of the terminal is displayed.

본 발명에 의하면,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함으로써 아동의 발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of a tag terminal that performs a tag with an NFC tag or a QR code is not set,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is guided to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so that children can be easily found. Can b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태그단말에 의해 GPS기반 맵주소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아동의 위치에 대한 실시간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GPS terminal can not transmit the GPS-based map address, since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tag terminal can be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hild in real time. have.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실종방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센터를 나타내는 블록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실종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서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서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된 상태에서 태그단말에 나타나는 위치공유 동의버튼 선택을 안내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단말의 사용자가 위치공유 동의버튼을 선택하였을 때 보호자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서 도 6의 맵주소가 보호자에 의해 클릭되었을 때 보호자단말에 아동의 위치가 지도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 8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서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conventionally use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method performed by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creen for guiding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guiding selection of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appearing at a tag terminal in a state of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xt message displayed on the parent terminal when the user of the ta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hild's position is displayed on a guardian terminal when a map address of FIG. 6 is clicked by a guardian in a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to 8c is a view showing in order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동이 미아 또는 실종상황에 처하는 경우를 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애완견을 포함한 동물이 실종상태에 처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mainly be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child is missing or missing situation, but it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animal including the dog is missing.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실종방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센터를 나타내는 블록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실종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for explaining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method performed by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chart.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제센터(100), 보호자단말(300) 및 태그단말(400, 500)이 상호 연결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유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되, 특별히 무선통신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이동상태에 있는 아동의 실종방지에 유용하게 적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자단말은 관제센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보호자단말이 관제센터에 보호자로 등록되는 경우, 보호자모드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보호자단말에 전송되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단말 중에는 아동의 담당교사 등으로 관제센터에 등록되는 태그단말이 있을 수 있다. 아동의 담당교사 등의 태그단말로 관제센터에 등록되는 경우, 담당교사모드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태그단말에 탑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enter 100, the guardian terminal 300 and the tag terminals 400, 500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200. The network enabl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but specifically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network can be usefully applied to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children in a mobile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ian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center. That is, when the guardian terminal is registered as a guardian in the control center,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mode may be transmitted and mounted in the guardian terminal. In addition, the tag terminal may be a tag terminal registered in the control center as a teacher of the child. When a tag terminal such as a teacher in charge of a child is registered in the control center,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eacher teacher mode may be mounted on the tag terminal.

NFC태그 또는 QR코드(600)는 아동이 소지하거나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 등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는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 등으로 만들어진 조형물에 탑재하는 식으로 아동이 소지할 수 있거나, 카드 형태의 조형물 또는 리더기 형태의 태그인식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 등에 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는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조형물에 탑재되어 가방, 신발 등에도 부착될 수 있다.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에는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와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의 태그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NFC tag or QR code 600 may be provided to a kindergarten, school or academy belonging to the child, or belonging to the child, the NFC tag or QR code is mounted on a sculpture made of a necklace, card or bracelet form, etc. The child may be carried, or mounted on a tag recognition device in the form of a card or a reader, and stored in a kindergarten, a school, or a school to which the child belongs. In addition, the NFC tag or QR code is mounted on a sculpture made in the form of a sticker may be attached to bags, shoes and the like. In the NFC tag or QR code, the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and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may be stored.

아동의 신상정보 등 더 많은 정보가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에 저장될 수 있으나, 아동의 신상정보가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설정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실제 아동이 실종되는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NFC태그와 QR코드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NFC태그와 QR코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형물에 탑재하거나, 또는 상기 NFC태그와 QR코드를 모두 조형물에 탑재한 후 태그단말과의 비접촉통신 또는 상기 태그단말에 의해 정보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More information such as child'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NFC tag or QR code, bu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indiscriminately, and the setting may be simplified, so that the actual child may be missing quickly. Make the response possi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FC tag and the QR code can be used together or selectively. That is, either the NFC tag and the QR code is selected and mounted on the sculpture, or both the NFC tag and the QR code are mounted on the sculpture, and then contact recognition with a tag terminal or information recognition is performed by the tag terminal.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0cm 이내의 근접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기술의 하나로서, 13.56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이다.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wireless data within a short distance of 10 cm and is a contact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It is a next genera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high security and low price because of its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QR코드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에 각종 정보를 수용하는 2차원 형태의 인식코드로서,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정보만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코드는 숫자 7,089자, 문자(ASCII) 4,296자, 이진(8비트) 2,953바이트 또는 한자 1,817자까지 정보저장이 가능하며, 또한 복원력, 인식속도 및 인식률이 1차원 바코드보다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1차원 바코드가 주로 계산, 재고관리 또는 상품확인 등에 사용됨에 비해 QR코드는 사진, 동영상, 홈페이지 링크 등의 정보를 탑재하여 마케팅, 홍보 또는 PR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The QR code is a two-dimensional recognition code that accommodat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a black and white lattice pattern. A conventional one-dimensional barcode can store only about 20 characters of numeric information, whereas a QR code is 7,089 characters and letters (ASCII). Information can be stored up to 4,296 characters, binary (8-bit) 2,953 bytes or 1,817 Chinese characters. Also, resilience, recognition speed and recognition rate are superior to 1D barcodes. Due to these advantages, QR codes are used as marketing, public relations, or PR means by mounting information such as photographs, videos, website links, etc., while one-dimensional barcodes are mainly used for calculation, inventory management, or product identifica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 NFC태그 및/또는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기기를 태그단말(400, 500)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태그단말은 GPS 기능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아동의 위치가 상기 GPS를 기반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NFC tag and / or QR code may be used as a tag terminal 400 or 500, and the tag terminal has a GPS function built therei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hild is the GPS. To be identified based on

NFC태그 또는 QR코드가 탑재된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의 조형물을 아동 또는 아동의 보호자가 구입하는 경우, 관제센터는 상기 조형물을 구입한 아동 또는 아동의 보호자로부터, 아동의 신상정보, 아동이 통학하는 유치원, 학원 또는 학교의 관련 정보 및 아동의 보호자의 신상정보 등을 제공받게 된다. 조형물에 탑재되는 각 NFC태그 또는 QR코드마다 식별번호 등 다른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구별되는 고유의 태그정보가 있게 되는데,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가 해당 아동, 아동의 담당교사 및 보호자의 신상정보와 매칭된 상태에서 관제센터에 저장되게 된다. 아동의 보호자는 본 발명에서 보호자단말(300)의 사용자가 될 수 있다.
When a child or guardian of a child purchases a necklace, card, or bracelet in the form of an NFC tag or QR code, the control center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ild'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child from the child or guardian of the child. You will be provided with relevant information of the kindergarten, academy or school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guardian of the child. Each NFC tag or QR code mounted on the sculpture has unique tag information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NFC tags or QR codes, such as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corresponds to the child, the child's teacher, and It is stored in the control center while match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guardian. The guardian of the child may be a user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센터를 나타내는 블록도면이다. 본 발명의 관제센터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정보인식부(130), 태그데이터DB(140), 태그데이터 출력부(150), 위치정보사용확인부(160), 위치정보수집부(170), 맵주소생성부(180) 및 맵출력부(190)로 이루어진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unit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30, tag data DB 140, tag data output unit 150, location information use confirmation unit 160,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The unit 170, the map address generation unit 180 and the map output unit 190.

통신부(120)는 태그단말 또는 보호자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통신부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통신하여 획득된 태그단말의 위치정보데이터 및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태그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위치정보사용이 태그단말에 설정되지 않은 경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데이터가 수신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사용을 안내하는 정보를 태그단말로 전송하거나 태그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정보사용 설정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공유 동의버튼 선택 정보가 태그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태그단말로부터 수신된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태그정보와 위치공유 버튼 선택정보를 바탕으로 보호자단말로 아동의 현재위치 맵주소를 전송하고, 보호자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맵주소가 클릭되는 경우 해당 클릭신호를 수신한 후 맵이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지도정보를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th a tag terminal or a guardian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of the tag terminal obtained by communicatin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the location of the tag terminal when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s not set in the tag terminal Information data will not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ag terminal or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signal selected by the user of the tag terminal is transmitt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so that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sel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ag terminal. In addition,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received from the tag terminal and the location sharing button selection information, the child's current location map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and if the map address is clicked by the user of the guardian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signal, map information is transmitted so that the map is output and displayed.

정보인식부(13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태그단말로부터 수신된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를 인식하거나, 상기 태그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데이터를 인식한다.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received from the tag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recognizes location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tag terminal.

태그데이터DB(140)는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를 아동, 아동의 담당교사 또는 보호자단말의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Tag data DB 140 stores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child's teacher or guardian terminal.

태그데이터출력부(150)는 상기 정보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태그데이터를 출력한다.The tag data output unit 150 outputs tag data corresponding to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the QR code recogniz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위치정보사용확인부(160)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여부를 확인한다. 태그단말이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태그단말에는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에 포함되어 있던 관제센터의 URL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태그단말에 위치정보사용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도 5와 같이 위치공유 동의를 안내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상기 태그단말에 위치정보사용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화면이 우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위치정보사용 설정 안내에 따라 태그단말의 사용자가 도 4 하단의 '예'를 선택하는 경우, 도 8a 내지 도 8c의 순서에 따라 위치정보사용을 선택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8a ~ 8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서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태그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자발적으로 위치정보사용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4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안내화면 디스플레이 후 설정안내에 따라 위치정보사용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의 하단 '설정'을 클릭하게 되면 도 8b의 화면이 나타나며, 도 8b에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을 클릭하게 되면 도 8c의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도 8c에서 '위치정보사용'을 선택하게 되면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이 완료되게 된다.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된 후 도 5의 위치공유 동의여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후 태그단말의 위치데이터가 수집되게 되며 또한 태그된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태그정보가 관제센터로 수집되게 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checking unit 160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performing the NFC tag or the QR code and the tag. When the tag terminal carries out the tag with the NFC tag or the QR code, the tag terminal displays a mobil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included in the NFC tag or the QR code. If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in the tag terminal, a screen for guiding the consent of location sharing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5, but if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s not selected in the tag terminal, use loc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 The screen guiding the setting may be displayed first. When the user of the tag terminal selects 'yes' at the bottom of FIG. 4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guide, a process of selecting location information usage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FIGS. 8A to 8C. 8a to 8c are views show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in sequence in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may be voluntarily set by the user of the tag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guide of FIG. After the display of the screen, the setting of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etting guide. Clicking 'Settings' at the bottom of FIG. 8A brings up the screen of FIG. 8B, and clicking 'Privacy and Security' in FIG. 8B brings up the screen of FIG. 8C. When selecting 'Use Location Information' in FIG. 8C,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is completed. After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s set, whether to agree to share the location of FIG. 5 may be selected. Then, location data of the tag terminal is collected and tag information of the tagged NFC tag or QR code is collected to the control center.

위치정보수집부(170)는 상기 태그단말에 의한 위치공유 동의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확인한다.When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signal is received by the tag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70 collects and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terminal.

맵주소생성부(180)는 GPS기반 맵주소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즉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태그단말에 내장된 GPS인식용 칩이 읽어 기지국에 전송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에 대한 GPS 맵주소를 읽어들인 후 보호자단말로 문자메시지형태로 전송하되, GPS위성이 미치지 못하는 장소에 위치하는 등으로 인해 상기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태그단말이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LBS)의 맵주소를 생성하여 보호자단말로 전송한다. 즉, 태그단말이 GPS위성신호가 미치지 못하는 장소에서 아동이 소지한 NFC태그 또는 QR코드를 태그하는 경우, 태그단말이 해당 위치를 기지국에 전송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태그단말로부터 GPS위치정보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맵주소생성부는 태그단말의 통신전파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를 생성하여 보호자단말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단말의 사용자가 위치공유 동의버튼을 선택하였을 때 보호자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메시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호자단말에는 1차적으로 GPS기반 맵주소가 문자메시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태그단말이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태그단말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가 문자메시지로 보호자단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문자메시지에는 GPS기반 맵주소인지 또는 태그단말의 전파를 송수신하는 근거리의 기지국 맵주소인지를 알려주는 문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자메시지의 전송과 함께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맵주소의 클릭을 유도하는 안내음성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GPS address generation unit 180 can generate a GPS-based map address, that is, when the GPS recognition chip embedded in the tag terminal can read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GPS satellite to the base st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terminal After reading the GPS map address for and sending it as a text message to the guardian terminal, but the situation where the tag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sent by the GPS satellite due to being located in a place not reachable by the GPS satellite. A map address of a base station (LBS) that receives radio waves of a tag termi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That is, when the tag terminal tags the NFC tag or QR code carried by the child in a place where the GPS satellite signal does not reach, the tag terminal may not transmi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base station. If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data is not received from the tag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the map address generation unit generates a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mmunication propagation of the tag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guardian terminal.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text message displayed on a guardian terminal when a user of a tag terminal selects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In the guardian terminal, a GPS-based map address is primarily a text message. If the tag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GPS satellites,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radio waves of the tag terminal may be displayed in the guardian terminal as a text message. If necessary, the text message may include a text indicating whether it is a GPS-based map address or a base station map address of a short-range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of a ta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message is included in the text message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text message. A guide voice for inducing a click of a map address may be output together.

맵출력부(190)는 상기 맵주소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GPS맵주소 또는 기지국의 맵주소가 표시된 지도를 생성하고, 보호자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맵주소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에 지도가 출력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7은 맵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도가 보호자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The map output unit 190 generates a map in which the GPS map address generated by the map address generation unit or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is displayed, and when the map address i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guardian terminal, the map is output to the guardian terminal. To be displayed. 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ap output through the map output unit is displayed on the parental terminal.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부, 정보인식부, 태그데이터DB, 태그데이터출력부, 위치정보사용확인부, 위치정보수집부, 맵주소생성부 및 맵출력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e tag data DB, the tag data output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confirmation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e map address generation unit, and the map output unit.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통해 수행되는 실종방지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종방지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실종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면이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the configura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issing prevention method performed by the missing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서는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의 조형물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휴대하거나, 카드 형태의 조형물 또는 리더기 형태의 태그인식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 비치되며,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단말 사이의 태그를 통한 정보인식이 이루어지게 된다(S10).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is carried in a state in which a necklace, a card, or a bracelet-shaped sculpture is mounted, or is mounted in a card-shaped sculpture or a reader in a tag recognition apparatus, and is stored in a kindergarten, school, or academy to which the child belong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made through a tag between the NFC tag or the QR code and the tag terminal, which includes the unique tag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S10).

태그결과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여부를 확인하게 되고(S20), 확인결과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도록 안내하는 정보가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S30). 이때, 상기 태그단말에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단말로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30'). 관제센터의 위치정보사용확인부(160)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경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위치정보사용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도 4와 같이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화면이 태그단말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위치정보사용 설정이 완료되거나 이미 위치정보사용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 도 5와 같이 위치공유 동의를 안내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도록 한다.The tag result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is set (S20),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is set as a result of the check, information for guiding selection of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S30). . In this cas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is not set in the tag terminal, information guiding the sett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to the tag terminal may be displayed (S30 ').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confirmation unit 160 of the control center checks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setting of the tag terminal is performed when performing an NFC tag or a QR code and a tag.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is not made, as shown in FIG. 4, a screen for gu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is displayed as a tag terminal,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is completed or the location information setting is already set, the location shar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5. The screen for guiding consent is displayed so that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is selected.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태그정보와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 및 정보데이터가 관제센터로 수집되게 된다(S50). 수집된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후 정보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되게 되고, 인식된 태그정보에 매칭되는 아동 및/또는 아동의 보호자 정보가 태그데이터DB(140)로부터 추출되게 된다. 또한 수집된 태그단말의 위치정보 데이터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후 위치정보수집부(170)를 통해 확인되게 된다.If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is selected,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and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data of the tag terminal are collected to the control center (S50). The collected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then recognized by th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30, the child matching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 or guardian information of the child is extracted from the tag data DB 140. In addition, the collected position information data of the tag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then confirm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70.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와 태그단말의 위치 및 정보데이터가 관제센터로 수집된 후에는,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가 GPS기반 맵주소로 전송가능한지 판단된다(S60). 제어부(110)는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태그단말에 내장된 GPS인식용 칩이 읽어 기지국에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After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and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data of the tag terminal are collected by the control center,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ag terminal that carries the NFC tag or QR code and the tag can be transmitted to the GPS-based map address. It is determined (S60).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GPS recognition chip embedded in the tag terminal can read the posi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GPS satellite and transmit it to the base station.

판단결과, GPS기반 맵주소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GPS기반 맵주소가 문자메시지형태로 보호자단말로 전송되며(S70), 태그단말이 GPS위성이 미치지 못하는 장소에 위치하는 등으로 GPS기반 맵주소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근접 기지국(LBS)의 맵주소가 문자메시지형태로 보호자단말로 전송된다(S70'). 맵주소생성부(170)는 GPS기반 맵주소의 전송이 가능한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에 대한 GPS 맵주소를 보호자단말로 전송하되, GPS기반 맵주소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를 전송한다. 맵주소 전송시 필요에 따라 맵주소의 클릭을 유도하는 안내메시지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맵주소의 클릭 확률을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GPS-based map address can be transmitted, the GPS-based map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S70), and the tag terminal is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GPS satellites cannot reach. If transmission is impossible, the map address of the near base station (LBS) used for call or data communication of the tag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S70 '). The map address generation unit 170 transmits the GPS map address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terminal to the guardian terminal when the GPS-based map addres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s the radio wave of the tag terminal when the GPS-based map address transmission is impossible. Transmit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When the map address is transmitted, a guide message for inducing the click of the map address may be output as voice, thereby increasing the click probability of the map address.

이후 보호자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문자메시지 형태의 맵주소가 클릭되는 경우 해당 맵주소에 대응되는 맵이 디스플레이된다(S80). 맵출력부(190)는 상기 맵주소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GPS맵주소 또는 기지국의 맵주소가 표시된 지도를 생성하고, 보호자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문자메시지 형태의 맵주소가 클릭되는 경우 상기 보호자단말에 태그단말이 위치한 장소가 맵으로 디스플레이된다.
Thereafter, when the map address in the text message form is clicked by the user of the guardian terminal, a map corresponding to the map address is displayed (S80). The map output unit 190 generates a map in which the GPS map address generated by the map address generator or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is displayed, and when the map address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is clicked on by the user of the guardian terminal, the map terminal generates a map. The place where the tag terminal is located is displayed on the map.

본 발명에 의하면,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함으로써 아동의 발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태그단말에 의해 GPS기반 맵주소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아동의 위치에 대한 실시간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of a tag terminal that carries out a tag with an NFC tag or a QR code is not set, the child information can be easily found by gu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In addition, even when GPS-based map address transmission is impossible by the tag terminal, since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tag terminal may be transmitted, real-time identification of the location of the child may be easily per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아동의 실종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애완견을 포함한 동물이 실종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disappearance of a chil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when the animal, including the dog is missing.

100: 관제센터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정보인식부 140: 태그데이터DB
150: 태그데이터출력부 160: 위치정보사용확인부
170: 위치정보수집부 180: 맵주소생성부
190: 맵출력부
200: 네트워크 300: 보호자단말
400, 500: 태그단말
600: NFC태그 또는 QR코드
100: control center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140: tag data DB
150: tag data output unit 160: location information use confirmation unit
170: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80: map address generation unit
190: map output unit
200: network 300: guardian terminal
400, 500: Tag terminal
600: NFC tag or QR code

Claims (5)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의 조형물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휴대하거나, 카드 형태의 조형물 또는 리더기 형태의 태그인식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 비치되며,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수행을 통해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에 포함된 관제센터의 URL 주소에 해당되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며, 위치정보공유버튼을 선택하여 클릭시 아동의 현재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태그단말;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태그정보를 아동, 아동의 담당교사 또는 아동의 보호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수행에 따라 상기 태그단말로부터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 고유의 태그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보호자단말로 대응정보를 전송하는 관제센터; 및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수신되는 대응정보를 수신하여 아동의 위치를 파악하며, 아동이 미아상태에 있을 경우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아동의 미아발생 상태정보를 입력하여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보호자단말로 이루어지는 실종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의 태그를 수행하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위치정보사용이 설정완료되거나 이미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도록 안내하는 위치정보사용확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It can be carried by a child while mounted on a sculpture in the form of a necklace, a card or a bracelet, or stored in a kindergarten, a school or a school where the child belongs to a tag recognition device in the form of a card or a reader. NFC tag or QR code that contains the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By performing the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of the control center included in the NFC tag or QR code is displayed, and when the user click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button, the child's current location is real-time. Tag terminal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is stored and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the teacher of the child or the guardian of the child, and the NFC tag or QR code is unique from the tag terminal according to the tag performance with the NFC tag or the QR code. A control center for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tag information of and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guardian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 guardian terminal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hild, and when the child is in a lost state, driving the mounted application to input the child's lost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In the disappearance prevention system,
The control center checks whether or not to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terminal that performs the tag with the NFC tag or QR cod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of the tag terminal is not set,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Information for guiding the use setting is displayed, and if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is completed or already set, the location information use confirmation unit for guiding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is selected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Missing prevention system that enables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through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를 GPS를 기반으로 전송가능한 경우 해당 GPS기반 맵주소를 생성하되, GPS기반 맵주소의 생성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를 생성하는 맵주소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center,
If the position of the tag terminal performing the NFC tag or QR code and the tag can be transmitted based on GPS, a corresponding GPS-based map address is generated, but if it is impossible to generate a GPS-based map address,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radio wave of the tag terminal. Missing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through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p address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ap address.
목걸이, 카드 또는 팔찌 형태의 조형물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휴대하거나, 카드형태의 조형물 또는 리더기 형태의 태그인식장치에 탑재된 상태에서 아동이 소속된 유치원, 학교 또는 학원에 비치되며, 고유의 태그번호 및 관제센터의 URL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단말 사이의 태그를 통한 정보인식이 이루어지는 단계(S10);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정보사용 설정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S20);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도록 안내하는 정보가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30);
상기 태그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는 단계(S40);
위치공유 동의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NFC태그 또는 QR코드의 고유 태그정보와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 및 정보데이터가 관제센터로 수집되는 단계(S50);
상기 NFC태그 또는 QR코드와 태그를 수행하는 상기 태그단말의 위치가 GPS기반 맵주소로 전송가능한지 판단되는 단계(S60);
GPS기반 맵주소로 전송이 가능한 경우 해당 GPS기반 맵주소가 보호자단말로 전송되는 단계(S70); 및
보호자단말에 상기 태그단말이 위치한 장소가 맵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8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방법.
It can be carried by a child while it is mounted on a sculpture in the form of a necklace, a card or a bracelet, or stored in a kindergarten, a school or a school where the child belongs to a tag recognition device in the form of a card or a reader. A step of performing information recognition through a tag between the NFC tag or the QR code and the tag terminal including the number and URL address information of the control center (S10);
Confirm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of the tag terminal is set (S20);
When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s set,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for guiding selection of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S30);
Selecting a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g terminal (S40);
If the location sharing consent button is selected, the step of collecting the unique tag information of the NFC tag or QR code and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data of the tag terminal to the control center (S50);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tag terminal which performs the NFC tag or the QR code and the tag can be transmitted to a GPS-based map address (S60);
If the GPS-based map address can be transmitted to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PS-based map address to the parent terminal (S70); And
Displaying the place where the tag terminal is located in the parent terminal as a map (S80);
Missing prevention method capable of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through the use of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태그단말에 위치정보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태그단말로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안내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tep S20, if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is not set in the tag terminal, the step (S30 ') of displaying information for guiding the sett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to the tag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Missing prevention method that enables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through setting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60단계에서, GPS기반 맵주소의 전송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맵주소가 전송되는 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자단말에는 상기 태그단말의 전파수신 기지국의 주소에 대응되는 맵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step S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GPS-based map address is impossible, the map address of th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adio wave of the tag terminal is transmitted (S70 ').
The guardian terminal, a map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the radio wave receiving base station of the ta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l-time location and information confirm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usag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KR1020130080836A 2013-07-10 2013-07-10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297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36A KR101297863B1 (en) 2013-07-10 2013-07-10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36A KR101297863B1 (en) 2013-07-10 2013-07-10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863B1 true KR101297863B1 (en) 2013-08-19

Family

ID=4922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7863B1 (en) 2013-07-10 2013-07-10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86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564A (en) 2019-01-17 2020-07-27 (주)네모 Location-based service method
CN111540161A (en) * 2020-04-16 2020-08-14 北京小神兔天网科技有限公司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method for personnel loss
KR20210006632A (en) * 2019-07-09 2021-01-1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KR20210089435A (en) * 2020-01-08 2021-07-16 윤영훈 system for providing QR code
KR102639385B1 (en) * 2022-10-12 2024-02-21 김명진 System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by using qr code printed tattoo stic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02B1 (en) 2000-06-07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 Device and method for finding missing childre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KR101253337B1 (en) 2012-12-21 2013-04-10 이준하 System for prrotection missing using location-aware
KR101254641B1 (en) 2012-06-13 2013-04-15 에이큐 주식회사 Emergency data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NC
KR101284951B1 (en) 2013-05-08 2013-07-10 이준하 Missing protection system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with real-ti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02B1 (en) 2000-06-07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 Device and method for finding missing childre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KR101254641B1 (en) 2012-06-13 2013-04-15 에이큐 주식회사 Emergency data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NC
KR101253337B1 (en) 2012-12-21 2013-04-10 이준하 System for prrotection missing using location-aware
KR101284951B1 (en) 2013-05-08 2013-07-10 이준하 Missing protection system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with real-ti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564A (en) 2019-01-17 2020-07-27 (주)네모 Location-based service method
KR20210006632A (en) * 2019-07-09 2021-01-1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KR102212639B1 (en) * 2019-07-09 2021-02-0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tracking position
KR20210089435A (en) * 2020-01-08 2021-07-16 윤영훈 system for providing QR code
KR102345747B1 (en) * 2020-01-08 2021-12-30 윤영훈 system for providing QR code
CN111540161A (en) * 2020-04-16 2020-08-14 北京小神兔天网科技有限公司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method for personnel loss
KR102639385B1 (en) * 2022-10-12 2024-02-21 김명진 System for preventing missing child by using qr code printed tattoo stic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337B1 (en) System for prrotection missing using location-aware
KR101297863B1 (en) Missing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and information with real-time through setting location information
CN106991350B (en) Data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US9959440B2 (en) Data appl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with communication mode conversion
CN1918585B (en) Detector logic and radio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ed terminal operation
CN104537401B (en) Reality augmentation system and working method based on technologies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depth of field sensor
CN107492238A (en) One kind finds article system and its method
KR101284951B1 (en) Missing protection system available for checking location with real-time
Yadav et al. Design of RFID based student attendance system with notification to parents using GSM
US97477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ng physical presence
CN1042051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ata transmission
CA2836178A1 (en) A web-based pet rescu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1281832B1 (en) System for notifying location of missing dog
JP2009245310A (en) Tag specifying apparatus, tag specifying method, and tag specifying program
GB2441930A (en) Locator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US9571783B2 (en)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bd-Elminaam Smart life saver system for alzheimer patients, down syndromes, and child missing using IoT
US20150002273A1 (en) Rfid tag blocking
KR100732332B1 (en) RFFID tag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US7675417B2 (en) Fence alarm
CN100561497C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unction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13421399B (en) Infant anti-theft system
KR20130131846A (en) Mobile device for ordering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pos system using the mobile device
CN107563240B (en) Wearable device integrated electronic tag data analysis method and system
KR20060012420A (en) Mobile terminal, related system and method therefor for RFID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8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81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