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4639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639B1
KR101224639B1 KR1020060040126A KR20060040126A KR101224639B1 KR 101224639 B1 KR101224639 B1 KR 101224639B1 KR 1020060040126 A KR1020060040126 A KR 1020060040126A KR 20060040126 A KR20060040126 A KR 20060040126A KR 101224639 B1 KR101224639 B1 KR 101224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function
standby mode
playing
mode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7517A (en
Inventor
정종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639B1/en
Publication of KR2007010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63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악 재생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음악파일 재생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해당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최소화 선택에 따라, 대기모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음악 재생기능의 사용시 디스플레이 점유는 최소화하면서 음악파일정보 및 재생상태정보 등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reproducing function and a method of reproducing a music,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graphic interface for reproducing the music file and reproducing the corresponding music fil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a music reproducing function; And displaying a standby mode screen and displaying a playing state of the music file in one region of the standby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minimizing the graphical interface.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music file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status information while minimizing the display occupation when using the music reproduction function.

Description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록도,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 재생방법의 흐름도,2 is a flowchart of a music reprodu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방법 실행 시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표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3 to 5 illustrate screen display state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executing a music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SYMBOLS

1 : RF모듈 3 : 디스플레이부 1: RF Module 3: Display

5 : 사용자입력부 7 : 오디오신호 처리부 5: user input unit 7: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0 : 제어부 12 : 멀티미디어 재생부10 control unit 12 multimedia playback unit

14 : 음악파일 저장부 20, 40 : 대기모드화면14: music file storage unit 20, 40: standby mode screen

22, 42 : 시간정보창 24, 44 : 메뉴창 22, 42: Time window 24, 44: Menu window

30 : 재생모드화면 32 : 재생중인 파일제목30: Play mode screen 32: File title being played

34 : 재생상태 표시창 36 : 설정메뉴34: Playback Status Display 36: Setup Menu

46 : 아이콘46: icon

본 발명은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reproducing function and a music reproducing method thereof.

최근에는 디지털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개발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향유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는 MP3, WMA, ASF 등 다양한 형식의 음악파일을 전용 코덱 칩이나,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통해 재생하여 오디오사운드를 제공한다.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function of playing a digital sound source file has been developed, and has been well received by consumers who want to enjoy various multimedia servic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back function provides audio sound by playing music files of various formats such as MP3, WMA, and ASF through a dedicated codec chip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악 재생기능을 선택하면, 음악 재생을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어 음악 재생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음악 재생 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재생/정지/다음곡/이전곡/볼륨조절/옵션 등의 컨트롤메뉴와, 재생중인 음악의 제목, 볼륨표시 아이콘, 음악파일 재생상태 아이콘 등이 표시되며, 음악의 강약이나 리듬에 연동하여 음악 재생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소정의 동영상이 함께 표시되기도 한다.When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edicated software for playing music is executed to provide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checking and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state.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when playing music displays control menus such as play / stop / next song / previous song / volume control / options, the title of the music being played, the volume display icon, and the music file play status icon. A predetermined video may be displayed together to visually display the music playing state in association with strength and weakness.

그런데, 음악 재생기능은 그 특성상 장시간 사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해야 하는 다른 기능의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이에,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는 유지하면서 그래픽 인터페 이스만 숨길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정보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없고 음악 재생기능의 조작 시 다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since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used for a long time due to its characteristics, when the graphic interface is continuously displayed,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use of other functions that require the use of the display unit. Therefore, in the case where only the graphic interface can be hidden while maintaining the playing state of the music file, it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information or state of the playing music file and to display the graphic interface again when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operated.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음악 재생기능의 사용시 디스플레이 점유는 최소화하면서 음악파일정보 및 재생상태정보 등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고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제어기능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minimize the display occupancy when using the music playback function to enable the confirmation of music file information and playback status information, and to facilitate the use of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music playbac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reproduction function and a music reproduction method thereo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 재생방법은, 사용자의 음악 재생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음악파일 재생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해당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최소화 선택에 따라, 대기모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producing a music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graphic interface for reproducing the music file and playing the music fil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a music playing function; And displaying a standby mode screen and displaying a playing state of the music file in one region of the standby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minimizing the graphical interface.

여기서, 사용자 입력신호가 입력된 경우 기 저장된 음악 재생기능 제어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음악파일 재생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아닌 경우 해당 입력신호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reproduction function based on previously stored music reproduction function control key setting information when a user input signal is input; Controlling the music file playing state when the user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function, and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when the user input signal is no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그리고,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상기 음악 재생기능의 실행 여부에 따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ing of the music file on the standby mode screen may include displaying an icon according to whether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executed on the standby mode screen.

또한,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제목, 재생목록, 볼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ing of the music file on the idle mode screen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title, a playlist, and volume information of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idle mode screen. It is possible to.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와; 음악파일의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음악 재생기능 실행 선택에 따라 해당 음악파일이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악파일 재생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최소화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기모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A user input unit; A multimedia player for playing music files; When the music file fun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music file is controlled to be played through the multimedia player, a graphic interface for playing the music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graphic interface minimization menu is selected.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 standby mode screen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a playback state of the music file on one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신호가 입력된 경우, 기 저장된 음악 재생기능 제어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음악파일 재생상태 를 제어하고,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아닌 경우 해당 입력신호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when the user inpu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reproduction function based on previously stored music reproduction function control key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user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 function, the music file play state may be controlled, and when the user input signal is no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상기 음악 재생기능의 실행 여부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con according to whether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executed on the standby mode scree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제목, 재생목록, 볼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a title, a playlist, and volume information of a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standby mode scree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reproducing function and a music reproduc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통신단말기는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RF모듈(1)과,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7)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5)와, 데이터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와, 음악파일이 저장되는 음악파일 저장부(14)와,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부(12)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악파일 저장부(14)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멀티미디어 재생부(12)를 통해 재생하는 한편 대기모드화면의 일부 영역에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입력부(5)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이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음악재생기능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RF module 1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7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input and output through a speaker SPK and a microphone MIC. And a user input unit 5 for user input, a display unit 3 for data display, a music file storage unit 14 for storing music files, and a multimedia player 12 for playing music files.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music file stored in the music file storage unit 14 is played through the multimedia player 12, while the play state of the music file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standby mode screen, and the user input unit 5 And a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one of a music play function and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control is for music play function control.

음악파일 저장부(14)에는 이동통신단말기 자체적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음악파일이 저장된다. 이러한 음악파일은 MP3, WMA, ASF 등의 다양한 파일형식을 가질 수 있다. The music file storage unit 14 stores music files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or downloaded by the user. Such music files may have various file formats such as MP3, WMA, and ASF.

멀티미디어 재생부(12)는 다양한 파일 포맷을 갖는 음악파일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음악파일의 파일 형식에 따라 아날로그데이터로 디코딩하여 오디오신호 처리부(7)로 출력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재생부(12)는 MP3, OGG 등의 음악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칩(chip)의 형태로 구비되며,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The multimedia player 12 is a component for processing music files having various file formats. The multimedia player 12 decodes the analog data according to the file format of the music file and outputs the analog data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7. The multimedia player 1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chip including a codec for processing data of a music file format such as MP3 or OGG, and may also be provided as a software module.

오디오신호 처리부(7)는 멀티미디어 재생부(12)로부터 아날로그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오디오신호로 증폭 처리하여 출력한다. The audio signal processor 7 receives analog data from the multimedia player 12 and amplifies the audio signal into audible audio signal.

제어부(10)는 멀티미디어 재생부(12)를 제어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하고 사용자입력 대기모드에서 표시되는 대기모드화면의 소정 영역에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정보 및 재생상태를 표시한다.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ultimedia player 12 to play the music file, and displays information and a playback state of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displayed in the user input standby mode.

또한, 제어부(10)는 음악 재생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대기모드에서 사용자입력부(5)를 통해 소정의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사용자입력 설정정보에 따라 해당 입력이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사용자입력이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일 경우 제어부(10)는 해당 기능을 제어하고, 사용자입력이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것이 아닐 경우 해당 입력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5 in the standby mode in which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executed,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input is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function according to preset user input setting information. Check whether or not. As a result, when the user input is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back func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corresponding function. When the user input is not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back func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

이러한 제어부(10)의 제어과정을 도 2의 흐름도 및 도 3 내지 도 5의 화면표 시 상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and the screen display state diagrams of FIGS. 3 to 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 재생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각 단계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sic reprodu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according to each step.

사용자 입력 대기모드 상태일 경우 디스플레이부(3)에는 대기모드화면이 표시된다(S10). 여기서, 대기모드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사진, 동영상 등이 표시되는 대기모드화면(20)과, 날짜 및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창(22)과, 메뉴창(2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5)의 숫자키 혹은 메뉴키 등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해당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다. When the user input is in the standby mode, the display unit 3 displays the standby mode screen (S10). Here, the standby mode screen, as shown in Figure 3, the standby mode screen 20, the image, photo, video, etc. set by the user is displayed, the time information window 22 to display the date and time, and the menu window It consists of 24. When the numeric key or the menu key of the user input unit 5 is selected in such a standby mode, the controller 10 displays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on the display unit 3.

사용자가 음악 재생기능을 선택에 하면 제어부(10)는 음악 재생을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음악 재생기능 사용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S12),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소정 음악파일의 재생을 선택한다(S14). 음악 재생기능이 실행된 경우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음악 재생기능 사용을 위해 제공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것으로서, 음악의 강약이나 박자의 변화에 따라 소정 동영상이 재생모드화면(30)으로 제공되고, 재생모드화면(30)의 일 영역에는 현재 재생중인 파일제목(32)이 표시된다. 또한, 볼륨 아이콘, 재생시간, 파일선택상태 등의 음악파일 재생상태가 재생상태 표시창(34)에 표시되고, 음악 재생기능 제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소화"메뉴, 음악파일의 재생을 일시정지하기 위한 "일시정지"메뉴, 음악파일 재생기능의 환경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메뉴가 설정메뉴(36)로 제공된 다. 이에, 사용자는 설정메뉴(36) 중 "최소화"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music playback function, the controller 10 executes the dedicated software for music playback to display a graphic interface for using the music playback function (S12), through which the user selects playback of a predetermined music file. (S14). When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executed, the graphic interface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4. FIG. 4 illustrates a graphic interface provided for using a music playback function, and a predetermined video is provided on the play mode screen 30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trength and the beat of the music, and in one region of the play mode screen 30. The file title 32 currently being played is displayed. In addition, a music file playing state such as a volume icon, a playing time, a file selection state, etc. is displayed on the play state display window 34, and a "minimize" menu for minimizing a graphic interface for providing a music playing function, and playback of a music file is performed. A "pause" menu for pausing and an "option" menu f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are provided as the setting menu 36. Accordingly, the user can minimize the display occupation space of the graphic interface by selecting the "minimize" menu of the setting menu 36.

사용자가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최소화"를 선택하면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음악 재생기능의 동작상태가 표시된다(S16).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악 재생기능이 실행되는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사진, 동영상 등이 표시되는 대기모드화면(40)과 날짜 및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정보창(42)과, 메뉴창(44)이 표시되며, 대기모드화면(40)의 소정 영역에는 음악 재생기능의 실행 여부를 표시하는 아이콘(46)과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제목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기모드화면(40) 상에서 음악 재생기능의 실행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대기모드화면(40)에는 현재 재생중인 음악의 볼륨정보나 재생리스트 정보 등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If the user selects "minimize" of the graphical interface, the operation state of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S16).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n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in which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executed. In this cas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is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unit 3 includes a standby mode screen 40 for displaying an image, a picture, a video, etc. set by a user, a time information window 42 for displaying a date and time, and a menu window ( 44), an icon 46 indicating whether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executed and a title of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ar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40. Therefore,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execution state of the music playback function on the standby mode screen 40. On the other hand, the standby mode screen 40 may further display the volume information, playlist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music currently being played.

음악이 재생되는 대기모드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입력부(5)를 통해 입력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8), 입력신호가 입력된 경우 기 저장된 음악 재생기능 제어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가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음악 재생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키는 사용자입력부(5)를 구성하는 키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음악 재생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키로 설정된 키의 설정정보는 제어부(10)에 등록된다. 이러한 키 설정과정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 설계시 설정될 수 있으며, 소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음악 재생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키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제 어부(10)는 통상적인 대기모드에서는 사용자입력부(5)를 통한 입력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음악이 재생되는 대기모드에서는 등록된 키 설정정보에 따라 사용자입력부(5)를 통한 사용자입력을 처리한다.In the standby mode in which music is played,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5 (S18), and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 based on previously stored music play function control key setting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back function (S20). The key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function may be set to any one of the keys constituting the user input unit 5,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key set as the key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registered in the controller 10. The key setting process may be set when the system is design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may set a key for directly controlling a music playing function through a predetermined menu.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5 in the normal standby mode, and the user input unit 5 according to the registered key setting information in the standby mode in which music is played. Process user input through).

이에, 제어부(10)의 판단결과, 입력신호가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 경우, 현재 실행중인 음악 재생기능을 제어한다(S24). 예컨대, 키/기능음의 볼륨이나 벨소리 볼륨을 조절하는 사이드키가 음악 재생기능의 볼륨제어 키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이드키의 업/다운 입력에 따라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한편, 이러한 변경내용을 대기모드화면(40)의 소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ntroller 10, when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reproduction function, the music reproduction function currently executed is controlled (S24). For example, when the side key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key / function sound or the ring tone volume is set to the volume control key of the music playback func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usic being played according to the up / down input of the side key selected by the user. While controlling the output volume of the display, these changes can be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40.

그리고, 입력신호가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0)는 해당 입력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을 제어한다(S2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signal is no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reproduction func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S2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악 재생기능 제공 시 대기모드화면의 소정 영역에 음악파일정보 및 재생상태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음악 재생기능 사용에 따른 디스플레이 점유는 최소화하면서 재생상태의 확인은 용이하게 하는 한편, 사용자입력부 중 소정 키를 음악 재생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해 사용하도록 할당함으로써 음악이 재생되는 대기모드에서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제어기능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music file information and playback stat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when providing a music playback function, thereby minimizing display occupanc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usic playback function. On the other hand, by assigning a predetermined key of the user input unit to be used to control the music play function when the music play function is being executed, the control function related to music play can be easily used in the standby mode in which the music is played. .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은, 음악 재생기능 제공 시 대기모드화면의 소정 영역에 음악파일정보 및 재생상태정보를 표시하고, 키입력부 중 소정 키를 음악 재생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해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music reproducing function and the music reprodu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 music file information and reproducing stat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when the music reproducing function is provided, The key is set to use the music playback function when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running.

이에 따라, 음악 재생기능의 사용시 디스플레이 점유는 최소화하면서 음악파일정보 및 재생상태정보 등의 확인을 가능하게 하고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제어기능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using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usic file information and the playback state information while minimizing the display occupancy and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music playback can be easily used.

Claims (8)

음악 재생기능이 선택됨에 따라,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단계와;Displaying a graphic interface for playing a music file and playing the music file as a music playing function is selected; 상기 사용자의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최소화 선택에 따라, 대기모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 재생방법.And displaying a standby mode screen and displaying a playback state of the music file in one region of the standby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minimizing the graphical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 입력신호가 입력된 경우 기 저장된 음악 재생기능 제어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reproduction function based on previously stored music reproduction function control key setting information when a user input signal is input;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음악파일 재생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아닌 경우 해당 입력신호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 재생방법.Controlling the music file playing state when the user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function, and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when the user input signal is no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ing function. Music reproduc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displaying of the music file playing state on one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may include: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상기 음악 재생기능의 실행 여부에 따른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 재생방법.And displaying an icon according to whether the music playing function is executed on the standby mode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displaying of the music file playing state on one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may include: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제목, 재생목록, 볼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악 재생방법.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title, a playlist, and volume information of a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standby mode screen.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사용자 입력부와;A user input unit; 음악파일의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부와;A multimedia player for playing music files;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음악 재생기능 실행 선택에 따라 해당 음악파일이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악파일 재생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최소화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기모드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대기모드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악파일의 재생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When the music file fun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music file is controlled to be played through the multimedia player, a graphic interface for playing the music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graphic interface minimization menu is selected.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 standby mode screen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a playback state of the music file on one area of the standby mode screen.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신호가 입력된 경우, 기 저장된 음악 재생기능 제어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인 경우 상기 음악파일 재생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음악 재생기능 제어를 위한 신호가 아닌 경우 해당 입력신호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When a user inpu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nput signal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 function based on previously stored music play function control key setting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signal for controlling a music play function, the music file play state is controlled, and if it is no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sic play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Mobile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상기 음악 재생기능의 실행 여부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back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display the ic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usic playback function on the standby mode screen.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대기모드화면에 현재 재생중인 음악파일의 제목, 재생목록, 볼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t least one of a title, a playlist, and volume information of a music file currently being played on the standby mode screen.
KR1020060040126A 2006-05-03 2006-05-0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224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126A KR101224639B1 (en) 2006-05-03 2006-05-0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126A KR101224639B1 (en) 2006-05-03 2006-05-0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517A KR20070107517A (en) 2007-11-07
KR101224639B1 true KR101224639B1 (en) 2013-01-22

Family

ID=3906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1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4639B1 (en) 2006-05-03 2006-05-0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63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186A (en) * 1999-08-12 2001-03-05 윤종용 Digital audio data playback status displaying device of mobile phone and thereof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186A (en) * 1999-08-12 2001-03-05 윤종용 Digital audio data playback status displaying device of mobile phone and thereof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517A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035B2 (en) Screen chang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US8278546B2 (en) Mobile terminal having jog di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702451B2 (en) In-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for in-vehicle device, and control program
KR20090043753A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tasking control of terminal device with touch screen
KR101130519B1 (en) Media portion selection system and method
KR201100401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on a portable terminal
KR201100121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on a portable terminal
KR100783113B1 (en) How to save music file in mobile terminal
KR101393714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thereof
KR10122463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sic player function and music playing method thereof
JP2004178558A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504336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117312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ultimedia player and mutimedia playing method thereof
KR1013849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of file using priority
US842304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volume thereof
KR101306116B1 (en) Method for displaying of music information in terminal
WO20060520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KR20070120359A (en) Sound wave siz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10877719B2 (en) Audio device, audio system
WO2014002675A1 (en) Content playback device, content playback system, program, and content playback method
JP6484066B2 (en) Audio equipment
JP2007134970A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448247B1 (en) Soun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JP201319112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terminal apparatus
KR20070041221A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ultimedia 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11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