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927B1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building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9927B1 KR101219927B1 KR1020100129295A KR20100129295A KR101219927B1 KR 101219927 B1 KR101219927 B1 KR 101219927B1 KR 1020100129295 A KR1020100129295 A KR 1020100129295A KR 20100129295 A KR20100129295 A KR 20100129295A KR 101219927 B1 KR101219927 B1 KR 1012199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transfer
- support frame
- concrete wall
- building
- transfer b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과 그 일측단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의 상호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열전달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건축물 외부의 철재 지지프레임을 통해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됨으로써, 건축물의 내부 단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a building, comprising: a concrete wall forming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wall and one side end thereof includes a support frame fixed and coupled by a coupling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crete wall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mutual heat transfer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crete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reby blocking the transfer of hea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el support frame outside the building,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internal insulation of the buil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단열재가 설치된 건축물에서 콘크리트 벽체와 이 콘크리트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철재 지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실내외 온도편차가 클 경우에도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우수하도록 한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concrete wall and a steel support frame installed outside of the concrete wall in a building in which external insulation is installed, even when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eviations are large. It relates to a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a building to have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최근에는 단열성능 향상으로 냉난방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건축물의 시공이 장려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벽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단열효과를 높이고 있다.In recent years, by increasing the heating and cooling efficiency by improv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is being encouraged, accordingly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on effect by install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on the wall.
건축물의 단열공법으로는 내단열, 중단열, 외단열공법이 있는데, 내단열공법은 단열재의 단절로 인해 열교 발생을 초래하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가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조에 발맞추어 건물에너지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초공사 후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건물 에너지성능을 향상시키고 열교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외단열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Insulation methods of buildings include insulation, breakdown, and external insulation methods, which induce thermal bridges due to the breakage of insulation materials.In recent years, building energy performance is in line with the trend of low carbon green growth in the country.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hermal insulation method to improve the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and to prevent thermal bridges by installing thermal insul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wall after the foundation work, a lot of trends are being applied.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벽체 외면에 외단열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10) 외면에 외단열재(30)가 설치되어 있다.FIG. 1 is a 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 conventional building wall outer surface in which an outer insulation material is installed, and as shown, an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0) 내면에 설치된 내단열재(20)로서, 외단열재(30)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외단열재(30)의 설치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한편, 최근의 건축물들은 옥상녹화공간이나 위층의 발코니 등과 같이 지상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공중에 별도로 구조물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구조물은 콘크리트 벽체(10)의 외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되는 철재 지지프레임(40)에 의해 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cent buildings may form a separate structure in the air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uch as a rooftop recording space or a balcony of the upper floor, such a structure is fixed and coup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wall (10) The support force is secured by the
즉, 콘크리트 벽(10)체의 외면에 대하여 철재 지지프레임(40)의 일측단을 결합수단(50)에 의해 고정,결합시켜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이 지지프레임(40)의 상부를 별도의 구조물로서 형성하게 된다.
That is, by fixing and engaging one end of the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0) 외면에 외단열재(30)가 설치된 경우, 부득이하게 지지프레임(40)의 일측단이 외단열재(30)를 관통되도록 한 후, 결합수단(5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 외면에 대하여 고정,결합시킬 수밖에 없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outer
즉, 콘크리트 벽체(10)와 철재 지지프레임(40)이 직접 접촉되도록 하여 고정,결합시킬 수밖에 없었는바, 열전달계수가 높은 철재 지지프레임(40)의 열이 그대로 콘크리트 벽체(10)에 전달되는 등, 단열효과가 저하되어 외단열재(30) 설치에 따른 효과가 경감되었다.That is, the
예컨대, 동절기에 실내난방을 실시할 경우, 실외의 온도는 낮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되는데, 철재 지지프레임(40)은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차가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여 이를 콘크리트 벽체(10)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차가운 외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반대로 실내의 따뜻한 공기는 콘크리트 벽체(10)를 통해 열전도율이 높은 철재 지지프레임(40)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실내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indoor heating is performed in winter, the outdoor temperature is low and the indoor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The
또한, 하절기에 실내냉방을 실시할 경우에는, 실외의 온도가 높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데, 철재 지지프레임(40)은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더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여 이를 콘크리트 벽체(10)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더운 외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반대로 실내의 차가운 공기는 콘크리트 벽체(10)를 통해 열전도율이 높은 철재 지지프레임(30)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실내의 단열성능이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indoor cooling is performed in the summer,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and the indoor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The
즉, 상기와 같이 철재 지지프레임(40)이 콘크리트 벽체(10)와 직접 접촉될 경우,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체 외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이 열전달 차단부재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열성능이 매우 향상되도록 한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eventing the support frame installed outside the wall of the building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crete wall by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the heat transfer of the building so that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very improv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locking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는, 건축물의 외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벽과 그 일측단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의 상호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열전달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concrete wall form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 outer wall of the concrete wall and one end thereof includes a support frame fixed and coupled by a coupling means,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crete wall to block mutual heat transfer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crete wall; It further comprises.
이 경우,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는 방수 및 방청 처리된 강화목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reinforcement of the waterproof and rust-proof reinforcement wood, rubber material,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는 제1결합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와 상기 콘크리트 벽체는 제2결합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and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are fixed and coupled by a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and the concrete wall are preferably fixed and coupled by a second coupling member.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wall,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한편,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벽에 외단열재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단 및 열전달 차단부재는 상기 외단열재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wall, in this case, on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is preferably fixed and coupled to the concrete wall through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체 외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이 열전달 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단열성능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installed outside the wall of the building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crete wall by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the effect that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very improved Is provided.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벽체 외면에 외단열재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insula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ntional building wall.
Figure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showing a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in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10) 외벽에 외단열재(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외단열재(30)를 지지프레임(40)의 일측단이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체(10)의 외벽과 결합수단(110,120)에 의해 고정,결합된다.As shown, the outer
이때, 지지프레임(40)은 철재인 것이 적용되며, 콘크리트 벽체(10)와 직접 맞닿게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지 않고,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고정,결합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즉, 콘크리트 벽체(10)의 외벽과 철재 지지프레임(40)의 일측단에는 일정두께의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개재되어 콘크리트 벽체(10)와 철재 지지프레임(40)의 접촉을 차단시키게 된다.That is, a heat
여기서, 열전달 차단부재(100)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고 방수 및 방청처리된 강화목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강화목재를 대신하여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의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heat
콘크리트 벽체(10)와 지지프레임(40)의 일측단에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개재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벽체(10)와 지지프레임(40)은 하나의 결합수단이 열전달 차단부재(100)를 관통하여 고정,결합되지 않고, 각각의 결합수단(110,120)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heat
즉,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일측은 제1결합부재(110)에 의해 지지프레임(40) 측에 고정,결합되고, 열전달 차단부재(100)의 타측은 제2결합부재(12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 측에 고정,결합되어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heat
또한, 제1결합부재(110)는 지지프레임(40)과 열전달 차단부재(100)를 고정,결합시키되 콘크리트 벽체(10)와는 접촉하지 않고, 제2결합부재(120)는 열전달 차단부재(100)와 콘크리트 벽체(10)를 고정,결합시키되 지지프레임(40)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40)과 콘크리트 벽체(10)를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하나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시키지 않고, 각각 제1결합부재(110)와 제2결합부재(120)에 의해 구분되게 고정,결합시킴에 따라 지지프레임(40)과 콘크리트 벽체(10)와의 열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차단됨으로써, 건축물의 실내외 온도편차가 크더라도 단열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As such, the
예컨대, 동절기에 실내난방을 실시할 경우, 실외의 온도는 낮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되는데, 이때 철재 지지프레임(40)이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차가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더라도 제1결합부재(110)가 콘크리트 벽체(10)와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그 냉기가 제1결합부재(110) 및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콘크리트 벽체(1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실내의 공기는 차가운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또한 제2결합부재(120)가 지지프레임(40)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실내의 따뜻한 공기는 제2결합부재(120) 및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열전달이 차단되어 열전도율이 높은 철재 지지프레임(40)으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실내의 온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음으로써, 실내의 단열성능이 유지된다.For example, when indoor heating is performed in winter, the outdoor temperature is low and the indoor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At this time, even if the
반대로, 하절기에 실내냉방을 실시할 경우에는, 실외의 온도가 높고 실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데, 이때 철재 지지프레임(40)은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외의 더운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흡수하더라도 제1결합부재(110)가 콘크리트 벽체(10)와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그 열기가 제1결합부재(110) 및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실내의 공기는 더운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또한 제2결합부재(120)가 지지프레임(40)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실내의 차가운 공기가 제2결합부재(120) 및 열전달 차단부재(100)에 의해 열전달이 차단되어 열전도율이 높은 철재 지지프레임(40)으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실내의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므로 실내의 단열성능이 유지된다.On the contrary, when indoor cooling is performed in the summer,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and the indoor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In this case, the
이와 같이, 철재 지지프레임(40)가 콘크리트 벽체(10)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 사이에 열전달 차단부재(100)가 설치됨으로써, 건축물의 단열성능이 향상되게 된다.As such, the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0) 외면에 외단열재(30)가 설치된 경우를 특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0) 외면에 외단열재(3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또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10) 내면에 내단열재만 설치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차단구조를 적용하여 동일한 작용효과를 거둘 수도 있을 것이다.
For reference,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r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콘크리트 벽체 30 : 외단열재
40 : 지지프레임 100 : 열전달 차단부재
110 : 제1결합부재 120 : 제2결합부재10: concrete wall 30: outer insulation
40: support frame 100: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110: first coupling member 120: second coupling member
Claims (5)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과 그 일측단이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콘크리트 벽체의 상호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열전달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의 일측은 제1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 측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의 타측은 제2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벽체 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와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열전달 차단부재는 방수 및 방청 처리된 강화목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
Concrete walls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support frame to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wall and one end thereof are fixed and coupled by a coupling means; And
And a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crete wall to block mutual heat transfer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crete wall.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is fix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side by a first coupling member, the other side of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is fixed and coupled to the concrete wall side by a second coupling member,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wall,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is a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waterproof and anti-rust reinforced wood, rubber,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벽에 외단열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단 및 열전달 차단부재는 상기 외단열재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열전달 차단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wall, one side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is a heat transfer block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and coupled to the concrete wall through the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29295A KR101219927B1 (en) | 2010-12-16 | 2010-12-16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29295A KR101219927B1 (en) | 2010-12-16 | 2010-12-16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building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7738A KR20120067738A (en) | 2012-06-26 |
| KR101219927B1 true KR101219927B1 (en) | 2013-01-09 |
Family
ID=4668667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292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9927B1 (en) | 2010-12-16 | 2010-12-16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build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1992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15298B1 (en) | 2022-10-21 | 2023-12-1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eat bridge prevention typed high load 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 of concrete wall with improved adhesion abilit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107396A (en) * | 1997-10-03 | 1999-04-20 | Tamaki Shoji:Kk | Housing execution method and frame of light weight metal |
| KR200200343Y1 (en) * | 2000-05-04 | 2000-10-16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 Device for banking up gap between window and wall |
| KR20100009281A (en) * | 2008-07-18 | 2010-01-27 | 롯데건설 주식회사 | The structure of system window having two heat insulating layer and bar |
| JP2010037741A (en) * | 2008-08-01 | 2010-02-18 | Asahi Kasei Homes Co | Heat-insulating airtight structure of exterior wall |
-
2010
- 2010-12-16 KR KR1020100129295A patent/KR1012199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1107396A (en) * | 1997-10-03 | 1999-04-20 | Tamaki Shoji:Kk | Housing execution method and frame of light weight metal |
| KR200200343Y1 (en) * | 2000-05-04 | 2000-10-16 |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 Device for banking up gap between window and wall |
| KR20100009281A (en) * | 2008-07-18 | 2010-01-27 | 롯데건설 주식회사 | The structure of system window having two heat insulating layer and bar |
| JP2010037741A (en) * | 2008-08-01 | 2010-02-18 | Asahi Kasei Homes Co | Heat-insulating airtight structure of exterior wall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15298B1 (en) | 2022-10-21 | 2023-12-1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eat bridge prevention typed high load exterior insulation finish system of concrete wall with improved adhesion abilit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67738A (en) | 2012-06-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82458B1 (en) | Windows and doors of building | |
| WO2009006343A1 (en) | Structural wall panel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interior climates | |
| KR200480225Y1 (en) | Joining members for connecting external panel improved heat-blocking ability and connecting structure of external panel using the same | |
| KR101219849B1 (en)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windows and doors of building | |
| KR101219927B1 (en)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building | |
| KR101654126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ondol flooring of building and apartment house | |
| CN110593436A (en) | A light wooden structure capillary wall | |
| KR101219912B1 (en)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building | |
| CN104633808A (en) | Heating and cooling dualpurpose floor heating module | |
| WO2013031764A1 (en) | Exterior heat insulation cover panel | |
| KR101056538B1 (en) | Heat storage sheet, heat storage roof structure, heat storage outer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 KR20120061462A (en) | Structure for shut off of heat transfer in windows and doors of building | |
| KR102487022B1 (en) | Anti-condensation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s exterior wall | |
| CN205637369U (en) | Roofing insulation construction | |
| JP2007070893A (en) | Steel house | |
| CN207405889U (en) | Suitable for the deformation joint of roof structure of Passive low-energy building | |
| KR101477248B1 (en) | Simple House of wall panel | |
| KR200479335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external finish materials using the joining members for connecting external finish materials improved heat-blocking ability | |
| CN110029744A (en) | Building exterior wall heat preserving system | |
| CN215166797U (en) | Prefabricated sandwich heat preservation wall of construction | |
| JP2001020403A (en) | Heat storage type footing and structure of building having the same | |
| KR102648752B1 (en) | Exterior wall insu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 |
| CN101476355A (en) | External wall structure of energy-saving machine room or base st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CN211776081U (en) | Assembled shockproof building structure | |
| CN214785451U (en) | A shading structure for the top floor of a residen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1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