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94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8943B1 KR101198943B1 KR1020110025570A KR20110025570A KR101198943B1 KR 101198943 B1 KR101198943 B1 KR 101198943B1 KR 1020110025570 A KR1020110025570 A KR 1020110025570A KR 20110025570 A KR20110025570 A KR 20110025570A KR 101198943 B1 KR101198943 B1 KR 101198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information
- terminal
- providing
- providing ser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 a terminal, the method of requesting the registration of a keyword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and transmitt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formation about the found content by periodically searching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in a broadcas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of interest.
최근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구비된 단말이 상용화됨에 따라, 상기 단말을 통해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등의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졌다. 예컨대 상기 방송 서비스는 단말이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단말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장르의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Recently, as a terminal equipped with various applications is commercialized, it is possible to use a broadcast service such as a video on demand (VOD) service through the terminal. For example, in the broadcast service, a terminal accesses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various networks, and the terminal can download and play various genres of contents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이러한 단말은 하드디스크, RAM (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에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를 녹화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녹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Such a terminal has a recording function for recording various content data in a storage such as a hard disk,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flash memory, and then playing and watching the content at a desired time. It may be provided.
한편 단말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예약 녹화 정보를 검색 및 참조하여,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화 등의 컨텐츠를 특정 시간에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아 시청 또는 예약 녹화 하는 등의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searches for and reserves the reservation recording information arbitrarily set by the user, and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such as automatically downloading and watching or reserved recording of content such as a movie provided by an arbitrary content providing server at a specific time. .
그러나, 사용자가 예약 녹화를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단말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컨텐츠 정보들을 일일이 검색한 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 지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However, in order to set the related information for reservation recording, the user has to go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of selecting and specifying a desired content after searching a lot of cont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by using the terminal.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아직 서비스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검색에 의해 조회되지 않으므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요청이나 예약 녹화의 설정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if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is not yet service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t is not inquired by the user's search. Therefore, the request for service provision or the scheduled recording of the content cannot be made. There is no solution yet.
아울러 일반적으로 예약 녹화를 설정하는 것은 한정된 공간에서 TV 또는 모니터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공간적 제약이 있다.
In addition, generally, reservation recording is set in a limited space through a TV, a monitor,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컨텐츠 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receiving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that can receive information on a desired content without a user search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 서버에 존재하지 않지만 이후에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었을 시,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단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컨텐츠 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but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enerated later, the user can receiv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rough the terminal and a system for the sam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컨텐츠를 단말과 컨텐츠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녹화할 수 있는 컨텐츠 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receiving method and a system for receiving and recording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nytime, anywher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컨텐츠를 단말과 컨텐츠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예약 수신/녹화할 수 있는 컨텐츠 수신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receiving method and system for allowing a user to reserve / record a desired content anytime, anywhere through at least one of a terminal and a content receiv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하는 장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과정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in a terminal includes requesting a content providing server to register a keyword associated with a content to be provided,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un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es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The transmitting may include identifying a device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and transmitt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result of the checking.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이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키워드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발생 및 갱신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였을 경우, 상기 확인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송신해야 하는 타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Contents providing method in 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a keyword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o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registering the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ed keyword When one of the generation and update of the content is confirmed,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content to the terminal, receiving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from the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providing request Process of providing content,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s information on the searched content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ing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and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is to a targe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hould transmit the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information about.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서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하는 장치를 확인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keyword related to content to be provided, receiving information 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providing the content.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a server,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s information on the searched content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ing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information on a result of confirming a device to receive the content. And transmitting a request message for providing th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이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등록 요청된 키워드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발생 및 갱신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였을 경우, 상기 확인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송신해야 하는 타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a keyword related to content to be provided by a terminal from the terminal, registers the requested keyword, and registers the requested keywor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content to the terminal when receiving the occurrence or update, and receiving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from the terminal, and then provid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s information on the searched content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ing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and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is to a targe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hould transmit the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information abou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단 한번의 검색어 입력만으로 추가적인 검색 작업이 없이도 이후에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desired content later without additional search by only inputting a single search word for desired content.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 서버에 존재하지 않지만 이후에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었을 시,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단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but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enerated later, the us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the terminal.
또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컨텐츠를 단말과 컨텐츠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재생/녹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play / record desired content anytime, anywher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컨텐츠 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제공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그널링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그널링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그널링 동작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ceiving method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tent providing operation in 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ing operation for providing content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ing operation for providing content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ing operation for providing content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specific details app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Will do.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컨텐츠(contents)'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모든 형식의 제작물로서, 음원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등의 다양한 형식이 가능하다. 예로서, 영화, 드라마, TV 프로그램, UCC (User Contents Creation), TV 광고, VOD (Video on Demand) 등의 동영상 컨텐츠나 음악, 어학 교육자료, AOD (Audio on Demand), 오디오 광고 등의 음원 컨텐츠 등을 모두 지칭하는 용어이다.The term 'contents' used below is a production of all formats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and various formats such as sound source contents and video contents are possible. For example, video content such as movies, dramas, TV programs, User Contents Creation (UCC), TV commercials, VOD (Video on Demand), or audio content such as music,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AOD (Audio on Demand), and audio commercials. It is a term referring to all of th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110), 단말(130) 및 컨텐츠 수신 장치(150)를 포함한다.The content providing system basically includes a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방송사의 방송용 서버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에서 운영하는 웹 서버 등의 다양한 형식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단말 또는 컨텐츠 수신 장치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한다.The
단말(13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이동 단말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컨텐츠 제공 요청과 같은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독자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하는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단말(13)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로서,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통신 기능을 구비한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130)은 역방향 채널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키 워드 등으로 이루어진 식별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키 워드 등으로 이루어진 식별 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추축하고, 상기 추출한 컨텐츠 정보를 순방향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130)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일 예로 상기 역방향 채널은 무선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용 또는 공통 또는 공유 채널로써, RACH (Random Access CHannel), CPCH (Common Packet CHannel)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방향 채널은 무선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기 위한 전용 또는 공통 또는 공유 채널로써, 전용 채널의 경우에 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를 구성하는 DP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등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verse channel may be a dedicated, common or shared channel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a random access channel (RACH), a common packet channel (CPCH), or the like. The forward channel may be a dedicated, common or shared channel for receiving data from a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a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DPDCH) constituting a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in the case of a dedicated channel. .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상기 단말(130)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나 상기 단말(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동성이 적은 부가적인 컨텐츠 재생용 장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독자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용 TV, PC 모니터, PDA, PMP와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The
단말(130)을 이용해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는 컨텐츠 수신 장치(150)가 구비하는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통하여 동일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A user who is watching content using the
이를 위해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상호 간의 통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 일 예로써 WiFi,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채용으로 인해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장치(150)는 원하는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한다.First, an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단말(130)로부터 키워드 등록 요청(또는 요청 메시지)을 수신하여 상기 요청에 포함된 키워드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상기 키워드는 상기 단말(130)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의 이름 (예를 들어 프로그램명)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컨텐츠가 속하는 장르(genre)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 등록 요청은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상호 연결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상호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130)에 의해 전송된 키워드 등록 요청은 무선 망에서 지원하는 무선 채널을 통해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되며, 상기 기지국은 유선 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상기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등록 요청을 전달한다.The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등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발생(즉,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새로운 컨텐츠를 등록하는 경우)되거나 갱신되었을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130)로 송신한다.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ed keyword is generated (that is, when the
이를 위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타이머를 구동하여 주기적으로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o this end, the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식별자, 컨텐츠의 제공 시간, 컨텐츠의 이용 금액, 및 컨텐츠 제공처 (제작자 또는 배급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컨텐츠와 관련된 기타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선호도, 랭킹, 이용료 할인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may include an identifier of the content, a time for providing the content, a use amount of the content, and a content provider (producer or distributor),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for example, user preferences). , Ranking, discount rate information, etc.).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단말(130)로 송신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13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또는 요청 메시지)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게 제공한다. When the
한편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 의해 상기 단말(130)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와 상기 단말(130) 간의 통신 경로가 우선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by the
상기 키워드 요청을 위해 이미 설정된 연결이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연결에서 무선 망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채널의 할당만이 요구될 것이다.If there is already a connection established for the keyword request, only the allocation of a radio channe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 the wireless network will be required.
하지만 별도의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새로운 연결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해당 단말(130)을 호출함으로써, 상기 해당 단말(130)이 위치하는 기지국까지의 유선 망 구간에 상응하는 연결과, 상기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130)까지의 무선 망 구간에 상응하는 연결을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무선 망 구간이 3G 등의 무선 기간 망인 경우, 상기 무산 망 구간에 상응하는 연결을 위해서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데이터 채널의 할당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However, if a separate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connection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 this case,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가 제공할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었음을 단말(130)로 통보하고, 상기 단말(130)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이어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13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한 키워드 등록 요청(또는 요청 메시지)을 송신하고, 이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상기 키워드 등록 요청과 관련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The terminal 130 transmits a keyword registration request (or request message)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provided by the user to the
이때, 상기 단말(130)은 해당 컨텐츠를 직접 수신할지,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를 통해 수신할지, 또는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 모두를 통해 수신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다. 예컨대 상기 확인 과정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동작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규칙(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는 단말을 통해서만 해당 컨텐츠를 수신함)을 만족하는지에 대한 판단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은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장치가 상기 단말(130)인지,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인지, 아니면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 모두 인지를 식별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130 check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rectly received or received through the
상기 확인의 결과, 상기 단말(130)이 해당 컨텐츠를 직접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30)은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녹화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130)은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전달할 수도 있다.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terminal 130 directly receives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terminal 13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상기 확인의 결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가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과 별도로, 상기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상기 확인의 결과, 상기 단말(130) 및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 모두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과 별도로, 상기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30)이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동작과 상기 단말(130)이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received through both the terminal 130 and the
이어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of the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상기 단말(130)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녹화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컨텐츠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ceiving opera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1단계에서 단말(13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한 키워드의 등록을 요청하고, 203단계에서 상기 요청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In
205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컨텐츠를 수신할 장치를 확인하고, 207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해당 컨텐츠 제공의 요청(또는 요청 메시지)을 컨텐츠 제공 서버(110)에게 송신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은 상기 확인된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만약, 상기 20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단말(130)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한다면(A), 209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녹화한다.If it is determined in
한편, 상기 20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컨텐츠 수신 장치(150)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한다면(B), 211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녹화하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in
다른 한편, 상기 205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 모두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한다면(C), 213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상기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가 해당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21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녹화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컨텐츠 제공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operation in 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1단계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단말(130)로부터 키워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303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키워드를 등록한다.In
305단계에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발생되었는지 또는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계속해서 확인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타이머를 구비하여 미리 결정된 주기마다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하여 등록된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In
만약,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다면,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130)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I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generated or upda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7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terminal 130.
이후, 309단계에서 상기 단말(13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311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130)과 컨텐츠 수신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로 해당 컨텐츠를 송신한다.Thereafter, when a content provid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30 in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6 각각을 통해 컨텐츠를 단말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수신 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단말과 컨텐츠 수신 장치 모두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의 시그널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ignaling operation when the content is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each of FIGS. 4 to 6, when the content is received through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nd both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are recei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단말을 통해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보이고 있다.4 illustrates signaling for receiving content through a terminal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401단계에서 단말(13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제공받고자 하는 키워드 등록을 요청한다.First, in
403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요청된 키워드를 등록하고,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을 경우, 405단계에서 상기 단말(130)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In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타이머를 구비하여 미리 결정된 주기마다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하여 등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In this case, the
407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409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컨텐츠 제공의 요청(또는 요청 메시지)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130)은 컨텐츠를 직접 수신하기 위해, 컨텐츠를 상기 단말(130)로 송신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In step 407, the terminal 130 stores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 and in
411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상기 단말(130)로 송신한다.In
413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상기 407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의 컨텐츠를 재생/녹화한다.In step 413, the terminal 130 plays / records the content from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 수신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동작을 보이고 있다.5 illustrates a signaling operation for receiving content through a content receiving device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01단계에서 단말(13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제공받고자 하는 키워드 등록을 요청한다.In
503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요청된 키워드를 등록하고,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을 경우, 50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단말(130)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In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타이머를 구비하여 미리 결정된 주기마다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하여 등록된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In this case, the
507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509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컨텐츠 제공 요청(또는 요청 메시지)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 장치(150)에서 수신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송신하여 줄 것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511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상기 507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송신한다. 이때, 509단계와 511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In step 507, the terminal 130 stores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 and in
513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상기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operation 513, the
51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송신한다.In
517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상기 513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의 컨텐츠를 재생/녹화한다.In step 517,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단말과 컨텐츠 수신 장치 모두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동작을 보이고 있다.6 illustrates a signaling operation for receiving content through both a terminal and a content receiving device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01단계에서 단말(130)은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제공받고자 하는 키워드 등록을 요청한다.In
603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요청된 키워드를 등록하고, 해당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을 경우, 605단계에서 상기 단말(130)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In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또는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타이머를 구비하여 미리 결정된 주기마다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경우, 프로그램 검색을 수행하여 등록된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가 발생되거나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he
607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509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 컨텐츠 제공 요청(또는 요청 메시지)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130)과 컨텐츠 수신 장치(150) 모두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각각 송신하여 줄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611단계에서 상기 단말(130)은 상기 607단계에서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송신한다. 이때, 609단계와 611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In
613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상기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In step 613, the
61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상기 단말(130)로 송신하고, 617단계에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로 송신한다. 이때, 615단계와 617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In step 615, the
619단계 및 621단계에서 상기 단말(130)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150)는 각각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의 컨텐츠를 재생/녹화한다.In steps 619 and 621, the terminal 130 and the
도 2 내지 도 6이 예시하는 동작 또는 신호의 흐름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목적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즉, 도 2 내지 도 6이 설명하는 동작들은 각기 장치의 제어부에서 동작하는 구성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반드시 모든 과정이 포함되어야 구현 가능함을 한정하거나, 특정 연산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되어야만 함을 한정하지 않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lowchart of the operation or signal illustrated in FIGS. 2 to 6 is not for the purpose of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ope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only illustrate a configuration that operates in the control unit of the device, and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implementation to include all processes or to perform them individually by a specific operation or algorithm. It is not limited.
앞서 설명한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컨텐츠 제공 서버, 단말, 또는 컨텐츠 수신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 단말 또는 컨텐츠 수신 장치의 구성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a memory device storing the corresponding program code to any component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terminal, or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That is, the component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terminal, or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may execut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by reading and executing the program cod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by a processor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20)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하는 장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과정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n the terminal,
Requesting to register a keyword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un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es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The transmitting process,
Identifying a device to receive the content;
And transmitting a request message for providing the content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result of the checking process.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playing and recording the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 .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n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through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content receiving apparatus.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 및 컨텐츠 수신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And at least one of playing and recording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자, 컨텐츠 제공 시간, 컨텐츠 이용 금액, 컨텐츠 제공처, 사용자 선호도, 랭킹, 이용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content identifier, the content providing time, the content usage amount, the content providing destination, user preferences, ranking, discount rate information.
단말이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키워드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발생 및 갱신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였을 경우, 상기 확인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송신해야 하는 타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a keyword related to content to be provided by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Registering the keyword;
If one of the generation and update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ed keyword is confirme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hecked content to the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from the terminal;
Provid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request;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un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es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And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includes information on a targe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hould transmit the content.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송신해야 하는 타깃은, 상기 단말 및 컨텐츠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targe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content i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자, 컨텐츠 제공 시간, 컨텐츠 이용 금액, 컨텐츠 제공처, 사용자 선호도, 랭킹, 이용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content identifier, the content providing time, the content usage amount, the content providing destination, user preferences, ranking, discount rate information.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자 하는 장치를 확인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제공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n the termi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keyword related to content to be provided, receiving information 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clud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un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es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The control unit is a content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providing reque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device to receive the content.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을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An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at least one of playing and recording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ntent.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컨텐츠를 컨텐츠 수신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An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through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 및 컨텐츠 수신 장치를 통해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수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As a result of the checking, when the content is to be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and the content is reproduc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content. And recording at least one of recording.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자, 컨텐츠 제공 시간, 컨텐츠 이용 금액, 컨텐츠 제공처, 사용자 선호도, 랭킹, 이용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ontent identifier, the content providing time, the content usage amount, the content providing destination, user preferences, ranking, the discount fee information.
단말이 제공받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의 등록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등록 요청된 키워드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발생 및 갱신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였을 경우, 상기 확인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제공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컨텐츠의 제공 요청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송신해야 하는 타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In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a keyword related to the content to be provided from the terminal to register the requested keyword, and when any one of generation and update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ed keyword is confirmed, the confirme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information on content to the terminal, receives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content from the terminal, and then provides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provision request.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s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ound b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eriodically searches for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keyword,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omprises information on a target to which the content should be transmitted.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송신해야 하는 타깃은, 상기 단말 및 컨텐츠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The method of claim 17,
And a targe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hould transmit the content, i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nd the content receiving device.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식별자, 컨텐츠 제공 시간, 컨텐츠 이용 금액, 컨텐츠 제공처, 사용자 선호도, 랭킹, 이용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According to claim 17,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ontent identifier, the content providing time, the content usage amount, the content providing destination, user preferences, ranking, the discount fee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25570A KR101198943B1 (en) | 2011-03-22 | 2011-03-22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25570A KR101198943B1 (en) | 2011-03-22 | 2011-03-22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107818A KR20120107818A (en) | 2012-10-04 |
| KR101198943B1 true KR101198943B1 (en) | 2012-11-07 |
Family
ID=472796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25570A Active KR101198943B1 (en) | 2011-03-22 | 2011-03-22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98943B1 (en) |
-
2011
- 2011-03-22 KR KR1020110025570A patent/KR10119894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107818A (en) | 2012-10-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33670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over a network | |
| CN108352914B (en) | Media content matching and indexing | |
| US1000220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 JP577807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presenting customized channel information | |
| US20140229580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US1110909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edia content | |
| US2013029100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Media Content | |
| US8966547B2 (en) | Seaml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 |
| CN102255907B (en) |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services | |
| KR20150098655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tched multimedia video content | |
| CN109842804A (en) | Processing method and server, the computer storage medium of audio, video data | |
| CN102117458A (en) | Advertising service realiz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 JP2016165052A (en) | Terminal, server and program | |
| CN101563688A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virtual content channel structure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with location-based content | |
| KR101607649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inserted music and advertisement based on music shar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 |
| JP5527853B2 (en) |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 |
| US8549029B2 (en) | Method for generating data enabling the search for content, system, terminal, and server complements to implement the method | |
| KR10119894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 |
| KR20130082915A (en) | Server and method for dividing contents and providing divided contents, and server for managing user using record | |
| EP2670133A1 (en) | Recording apparatus, sharing,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 JP6527757B2 (en) | Viewing service system and viewing service method | |
| KR102269929B1 (en) | Method, us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deo service | |
| KR2013004748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earch pattern of user | |
| KR10138745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rlinked contents in smart tv environment | |
| KR101304249B1 (en) |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image using mobile compu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