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770B1 - On-site construction method of feed road structure for online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On-site construction method of feed road structure for online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7770B1 KR101087770B1 KR1020090134968A KR20090134968A KR101087770B1 KR 101087770 B1 KR101087770 B1 KR 101087770B1 KR 1020090134968 A KR1020090134968 A KR 1020090134968A KR 20090134968 A KR20090134968 A KR 20090134968A KR 101087770 B1 KR101087770 B1 KR 1010877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road
- assembly
- feed
- electric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3—Arrangements for curing paving; Devices for applying curing means; Devices for laying prefabricated underlay, e.g. sheets, membranes; Protecting paving under construction or while curing, e.g. use of 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도로에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급전레일 구조물을 현장에서 시공하는 방법으로, 줄눈 거푸집을 이용하여 열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페라이트 코어와 케이블용 파이프의 배치 위치를 보장하는 도로 매설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feed rail structure of an on-line electric vehicle on an existing road in a field, and using a joint formwork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hermal expansion, and to install a road buried structure to ensure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ferrite core and cable pipes It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장에서 급전레일 구조물을 타설함에 있어서, 기존 도로를 절개한 후, 특정한 모양의 홈을 포함하는 나무소재의 줄눈 거푸집을 배치하는 단계, 공통선용 파이프 조립체를 거치하여 정렬하는 단계, 코어 조립체를 거치하여 정렬하는 단계, 전력선용 파이프 조립체를 거치하여 정렬하는 단계, 줄눈 거푸집으로 거치된 내부 구성품들을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빈 공간을 제거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placing the feed rail structure in the field, after cutting the existing road, arranging the joint formwork of the wooden material including a groove of a specific shape, the step of aligning through the pipe assembly for common lines, Aligning by mounting the core assembly, Aligning by mounting the power line pipe assembly, Fixing the internal components mounted with joint formwork, Placing concrete and curing by removing the empty space.
전기자동차, 급전레일 Electric Vehicles, Power Rails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존의 아스팔트 도로를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로 개조하기 위한 급전레일 구조물의 현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사세하게는 줄눈 거푸집을 이용하여 페라이트 코어와 전력선을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를 정렬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현장에서 급전레일 구조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 구조물의 현장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eld construction method of a feed rail structure for converting an existing asphalt road into a feed road for an online electric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rrange a pipe for inserting a ferrite core and a power line using a joint form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e construction method of a power feeding road structure for an online electric vehicle that can easily form a power supply rail structure in a site by placing concrete.
공해방지 및 석유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서, 전기만으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와 전기 및 내연기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개발되었다.As an alternative to preventing pollution and reducing dependence on petroleum energy, electric vehicles driven only by electricity and hybrid vehicles using electric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플러그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마련된 전원공급장치와 장시간 동안 접속하고 있어야 하고, 1회의 충전만으로 운행할 수 있는 거리가 매우 제한적 이라는 단점이 있다. However, electric vehicles and (plug-in) hybrid vehicles developed to date have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for a long time by using a plug or the like to charge a battery, and there is a long distance to operate with only one charge.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limited.
때문에, 최근에는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대안으로서 자기유도방식의 전기자동차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self-induction electric vehicle has emerged again as an alternative to electric vehicles using batteries.
자기유도방식의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도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급전도로(또는 급전레일)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페라이트 코어들과 급전선이 포함된 급전레일 구조물이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차량 하중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져야 하며, 구조물이 열팽창으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응력집중을 완충시킬 수 있어야 한다. A self-induction electric vehicle requires a feeding road to supply electricity. In order to serve as a feed road (or feed rail), a feed rail structure including ferrite cores and feed lines should be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ground, which must be durable against vehicle loads, and the structure is thermally expanded due to thermal expansion. It should be possible to cushion the stress concentration so as not to break.
급전레일 구조물은 차량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하며, 내부에 페라이트 코어를 가지고 있으며,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도록 덕트 공간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형상의 급전레일은 모듈 형태로 프리캐스팅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feed rail structure should be of sufficient thickness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vehicle, have ferrite cores inside, and contain duct space for cables to pass through. The feed rail of this shape can be produced by precasting in the form of a module.
그러나 차량의 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한 급전레일 모듈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므로, 운반이 어렵고 이를 이용한 현장 시공도 용이하지 않다.However, since the feed rail modul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vehicle has a considerable weight,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nd the si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is not easy.
따라서, 급전레일을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eed rail directly on sit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 매설용 급전레일 구조물의 현장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by the above need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te construction method of a feed rail structure for embedding a feed rail for an online electric vehicl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iel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면,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급전도로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현장에서 일정길이 단위로 분할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 구조물의 현장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feed road for an onlin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feed road divi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unit in the field On-site construction method of electric power feeding road for online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품은 케이블을 위한 파이프 조립체 및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component comprises a pipe assembly and a ferrite core assembly for the cab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정길이 단위의 급전도로 구조물의 시공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by the feed of a certain length unit is preferably made using a formwork.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푸집은 일정길이 단위를 구획하는 한 쌍의 제1거푸집과 상기 한 쌍의 제1거푸집의 각각 바깥쪽에 보강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거푸집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the formwork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first formwork partitioning a predetermined length unit and a pair of second formwork reinforcement installed on each outside of the pair of first formwork.
아울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푸집은 일정길이 단위의 급전도로 구조물의 길이방향 열팽창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formwork is preferably made of a wood material so as to alleviate the longitudinal thermal expansion of the structure by a feed of a predetermined length unit.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를 시공 하는 방법으로서, a) 기존 도로를 일정깊이로 절개하는 단계; b) 절개된 부분에 일정길이 단위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c) 거푸집에 의해 일정길이 단위로 구획된 부분에 급전도로의 공통선 및 전력선용 파이프 조립체와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를 설치하는 단계; d) 거푸집에 의해 일정길이 단위로 구획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 구조물의 현장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eed road for an online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cutting an existing road to a predetermined depth; b) installing the formwork in a predetermined length unit in the cut-out portion; c) installing a pipe line and a ferrite core assembly for common lines and power lines of a feedway in a portion divided by a unit by a length; There is provided a sit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road for the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tep of curing by pouring concrete in a portion partitioned by a certain length unit by a form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는 일정길이 단위로 시공된 급전도로 구조물의 길이방향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을 2겹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step b) is to install two or more layers of buffer material formed of a buffer material so as to absorb the longitudinal thermal expansion of the structure as a feed constructed in a predetermined length uni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는 급전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갖는 격자형태인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the ferrite core assembly is in the form of a lattic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eed roa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상기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의 간격과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ㄴ자 형태의 가이드를 상기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의 양 측면에 더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between step c) and step d), further installing a letter-shaped guide on both sides of the ferrite core assembly so that the spacing and height of the ferrite core assembly can be kept constant. It is good to carr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개된 도로 또는 절개된 지면에 설치되어 일정길이 단위의 급전도로 구조물의 시공을 가능케 하는 거푸집 조립체로서, 급전도로의 공통선용 파이프 조립체와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를 위한 홈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거푸집과; 상기 제1거푸집의 일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급전도로의 공통선용 파이프 조립체와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를 위한 홈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거푸집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급전도로 구조물용 거푸집 조립체가 제공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ively achieve, at the same time, the formwork assembly to be installed on the cut road or cut ground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the feed of a certain length unit, the pipe assembly and ferrite for the common line of the feed road A first formwork in which grooves for the core assembly extend upwardly from below; A power supply for an on-line electric vehicle, which is install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formwork, and comprises a second formwork extending from top to bottom, wherein the common line pipe assembly and the ferrite core assembly are provided in the feedway. Formwork assemblies for road structures ar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은, 거푸집들의 위치 고정 및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표면 위로 수평하게 연장된 돌출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first formwork and the second formwork may each include protrusions extending horizontally above the ground surface to facilitate positioning and alignment of the formwork.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개된 도로 또는 절개된 지면에 설치되어 일정길이 단위(이하 단위 모듈이라고 함)의 급전도로 구조물의 시공을 가능케 하는 파이프 조립체로서, 제1단위 모듈에 설치되는 제1파이프; 상기 제2단위 모듈과 이웃한 제2단위 모듈에 설치되는 제2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일 측 끝 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링과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밀폐 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는 상기 커플링 내측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도로 구조물용 파이프 조립체가 제공된다.In an embodiment, the pipe assembly may be installed on a cut road or cut ground to enabl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by feeding a predetermined length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nit module). A first pipe installed in the unit module; A second pipe installed in the second unit module adjacent to the second unit module; Couplings receiving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nd a sealing ring installed inside the coupling and closing a gap between the coupl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wherei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formed inside the coupling. There is provided a pipe assembly for a structure as a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t intervals.
본 발명은 현장에서 내부에 배치의 제약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모듈 단위로 타설하여 시공함으로써 프리캐스트된 중량물을 위치에 맞게 정렬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easy to align the precast we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by placing a concrete structure in the unit of the concrete structure that requires the constraint of placement in the field.
또한 본 발명은 급전레일을 모듈단위로 시공하므로 사후에 모듈단위의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odule can be repair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eed rail in the module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모듈 사이에는 나무재질의 줄눈 거푸집이 설치되므로, 길이방향의 열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eed rai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joint formwork of the wood material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thermal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that refer to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am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meaning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구성 상태도를 나타내기 위한 배치가 완료상태의 거푸집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거치용 줄눈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파이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고정용 줄눈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1공정인 도로 절개부 시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2공정인 거치용 거푸집 시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3공정 중 하나인 공통선용 파이프 조립체 시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3공정 중 다른 하나인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 시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3공정 중 또 다른 하나인 전력선용 파이프 조립체 시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 레일 구조물의 제4공정 중 하나인 고정용 거푸집 시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4공정 중 다른 하나인 거푸집 고정용 클립 시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6공정인 콘크리트 타설 시공도이다.Figure 1 is a formwork configuration of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to show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wer supply rai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for explaining the mounting formwork for the mounting of the power supply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ipe assembly of a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ferrite core assembly of a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joint formwork for fixing the power supply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oad cut construction which is a first process of the power supply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eed rai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is a mounting formwork for construction, Figure 8 is a common line pipe assembly construction of one of the third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errite core assembly which is another one of the third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power line pipe assembly which is another one of the third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ourth form of the fastening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fixed formwork construction diagram, Figure 12 is another one of the fourth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formwork fixed clip construction diagram, Figure 13 6 is a concrete construction drawing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ixth process.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현장에서 급전레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7 ~ 도 13에 순차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 도로의 절개 단계; 2) 거치용 거푸집 설치 단계; 3)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와 파이프 조립체 설치단계; 4) 고정용 거푸집 설치 단계; 5) 2)~4) 단계를 도로 절개 구간 전체에 대해 반복하는 단계; 및 6)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feed rail in the field, as shown sequentially in Figures 7 to 13, 1) cutting the road; 2) mounting formwork for mounting; 3) installing the ferrite core assembly and the pipe assembly; 4) installation of fixing formwork; 5) repeating steps 2) to 4) for the entire road cutout section; And 6) concrete pouring step.
(제1단계: 도로의 절개, 도 6 참조)(Step 1: Cut the road, see Figure 6)
먼저, 급전도로를 설치할 부분의 도로를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절개한다. 급전도로 또는 급전레일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와 전력선 및 각종 케이블을 위한 파이프 조립체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도로면(200)을 절개하여 절개부(202)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급전도로는 급전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야 하므로, 기존도로면(200)의 절개 시에는 이러한 부분들을 고려하여 충분한 깊이로 도로면 또는 지면을 절개하거나 또는 파내는 것이 좋다.First, the road of the portion where the feed road is to be cut is cut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In order to form a feed road or a feed rail, a ferrite core assembly, a pipe assembly for power lines, and various cables must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6, the existing
또한, 기존도로면(200)의 절개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차향 하부에 부착된 집전장치와 마주볼 수 있도록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주행에 사용될 차선의 중앙을 파내어야 하며, 절개 폭은 집전장치의 폭에 상응하도록 하되 페라이트 코어의 폭보다 조금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cision of the existing
한편, 기존도로가 없는 곳에 콘크리트 포장을 새롭게 시공할 때에는 줄눈 거푸집의 폭을 시공하고자 하는 도로의 폭에 맞게 수정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onstructing concrete pavement where there is no existing road, the width of the joint formwork can be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road to be constructed in a similar way.
(제2단계: 고정용 거푸집의 설치, 도 7 참조)(Step 2: Installation of the fixing formwork, see FIG. 7)
기존도로면(200)을 절개하여 절개부(202)가 형성되면, 일정길이 단위로 거치용 (줄눈) 거푸집(10)을 설치한다. 여기서 제2단계는 구간별로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거치용 거푸집(10)은 일정길이 단위를 구획하는 구간의 양끝에 각각 1장씩(총 2장) 설치된다. When the
한편, 거치용 거푸집(10)은 설치의 용이성과 급전도로용 구성물의 용이한 배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용 돌출부(12)와 공통선 파이프용 거치 홈(14)과 코어 조립체용 거치 홈(16)과 전력선 파이프용 거치 홈(18)을 구비한다. 정렬용 돌출부(12)는 거치용 거푸집(10)의 양 측면에서 도로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된 정렬용 돌출부(12)는 대체로 귀 모양으로 미 절개된 기존도로면(200)에 안착되어, 거치용 거푸집(10)이 넘어지거나 삐뚤어지지 않도록 거치용 거푸집(10)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거치용 거푸집(10)과 기존도로면(20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구실을 한다. 공통선 파이프용 거치 홈(14)은 거치용 거푸집(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코어 조립체용 거치 홈(16)은 이 공통선 파이프용 거치 홈(14)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전력선 파이프용 거치 홈(18)은 공통선 파이프용 거치 홈(14)과 코어 조립체용 거치 홈(16)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거치 홈들(14, 16, 18)을 해당 구성물들(공통선 파이프, 코어 조립체, 전력선 파이프)이 거치용 거푸집(10)의 위쪽으로부터 얹어질 수 있도록, 거치용 거푸집(10)에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참고로, 거치 홈들 중에서 전기자동차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은 공통선 파이프용 거치 홈(14)이 (하방으로) 가장 길게 연장 형성되고, 전기자동차에 영향을 주는 코어 조립체와 전력선 파이프용 거치 홈들(14, 18)은 급전도로 표면으로부터 비교적 근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비교적 짧게 연장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센서신호선 등을 레인구조에 함께 포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센서신호선이 삽입될 추가적인 파이프를 레일구조에 포함시켜야 하며, 거치용 거푸집(10)과 고정용 거푸집(60)에 이를 위한 거치 홈을 추가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센서신호선을 공통선 파이프에 함께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include the sensor signal line and the like in the rain structure, the additional pipe to be inserted into the sensor signal line should be included in the rail structure, the
(제3단계: 급전도로 구성물의 설치, 도 8 ~ 도 10 참조)(Step 3: Installation of the feeder road components, see FIGS. 8 to 10)
거치용 거푸집(10)의 설치가 끝나면, 급전도로의 구성물들(공통선 파이프,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 전력선 파이프)을 도 8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설치한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mounting
먼저, 거치 홈이 가장 길게 형성된 공통선 파이프(22)가 해당 거치 홈(14)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다음으로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가 해당 거치 홈(16)에 설치되고, 다음으로 전력선 파이프(28)가 해당 거치 홈(18)에 설치된다.First, the
여기서 공통선 파이프(22)와 전력선 파이프(28)는 한 쌍의 거치용 거푸집(10)에 의해 구획되는 일정길이 단위(또는 모듈 단위라고 함)로 준비된다. 그리고, 이들 파이프들(22, 28)을 포함하는 파이프 조립체들(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구역의 파이프들(22, 28)과 연결될 수 있도록 커플링(24)을 각각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조립체들(20)은 파이프들(22, 28)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의 커플링(24)과 커플링(24)의 내측에 설치되는 오링(26)을 포함한다. Here, the
각각의 파이프 조립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24)의 내부에서 동일 종류의 파이프들(22, 28)을 연결한다. 여기서, 오링(26)은 커플링(24)과 파이프들(22, 28)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어 커플링(24)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실을 한다. 중요한 사항은 대부분의 파이프들(22, 28)이 열팽창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팽창/ 수축하는 점을 감안하여, 커플링(24) 내에서 그 끝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다.Each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는 모듈단위에 맞도록 준비되며, 페라이트 코어(42)와 수직 가이드(44)와 수평 가이드(46)를 포함한다. 페라이트 코어(42)는 대체로 옆으로 누운 E자 형태(듀얼 타입의 경우)를 취하며, 절개부(2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들(44, 46)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페라이트 코어(42)의 양 측면에 접착 고정되어, 페라이트 코어들(42)의 간격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실을 한다. 여기서, 수직 가이드(44)와 수평 가이드(4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서로 다른 거푸집들(10, 60)에 각각 거치된다. 즉, 수직 가이드(44)가 선행하는 모듈의 거치용 거푸집(10)과 고정용 거푸집(60)에 거치된다면, 수평 가이드(46)는 후행하는 모듈의 거치용 거푸집(10)과 고정용 거푸집(60)에 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거푸집들(10, 60)에 의해 구획되는 (앞쪽 모듈과 뒤쪽 모듈의) 페라이트 코어들(42)을 비교적 간섭 없이 연결한다. The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의 설치가 끝나면, 전력선 파이프(28)를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설치한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제4단계: 고정용 거푸집의 설치, 도 11 참조)(Step 4: Installation of the fixing formwork, see FIG. 11)
급전도로용 구성물의 설치가 끝나면, 고정용 거푸집(60)을 설치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eed road construction is finished, the fixed
고정용 거푸집(60)은 거치용 거푸집(10)에 맞대어 끼움으로써 고정되며, 각각의 구성물들(파이프 조립체들(20)과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을 고정 및 정렬하는 구실을 한다. 고정용 거푸집(60)과 거치용 거푸집(10)의 결합은 ∩형상의 거푸집 고정용 클립(70)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12 참조).The fixing
한편, 고정용 거푸집(60)은 설치의 용이성과 급전도로용 구성물의 용이한 배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용 돌출부(62)와 공통선 파이프용 고정 홈(64)과 코어 조립체용 고정 홈(66)과 전력선 파이프용 고정 홈(68)을 구비한다. 정렬용 돌출부(62)는 고정용 거푸집(60)의 양 측면에서 도로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된 정렬용 돌출부(62)는 대체로 귀 모양으로 미 절개된 기존도로면(200)에 안착되어, 고정용 거푸집(60)이 넘어지거나 삐뚤어지지 않도록 고정용 거푸집(60)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고정용 거푸집(60)과 기존도로면(20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구실을 한다. 공통선 파이프용 고정 홈(64)은 고정용 거푸집(6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코어 조립체용 고정 홈(66)은 이 공통선 파이프용 고정 홈(64)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전력선 파이프용 고정 홈(68)은 공통선 파이프용 고정 홈(64)과 코어 조립체용 고정 홈(66)의 사이에 각각 형성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 홈들(64, 66, 68)을 해당 구성물들(공통선 파이프, 코어 조립체, 전력선 파이프)이 고정용 거푸집(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거치용 거푸집(10)의 홈들(14, 16, 18)과 반대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제5단계: 제2단계 ~ 제4단계의 반복 수행)(Step 5: Repeat steps 2 through 4)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해 일정길이의 급전도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모듈이 완성되면, 이웃한 부분의 모듈들을 제2단계 ~ 제4단계를 반복수행하여 차례대로 제작한다.When one module forming a feed road of a certain length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steps, modules of neighboring parts are repeatedly produced by performing steps 2 to 4 in turn.
(제6단계: 콘크리트 타설, 도 13 참조)(Step 6: Placing Concrete, see FIG. 13)
제5단계를 통해 급전도로의 모든 구간의 모듈이 완성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페라이트 코어(42)의 옆면과 절개면 사이에 기포제거기(90)를 삽입하여 이동 및 회전시켜 저어줌으로써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 하단의 기포를 제거한다. 기포를 제거하였으면, 윗면을 평평하게 다지고 충분히 양생시켜 급전레일 구조물을 완성한다. When the module of all sections of the feed road is completed through the fifth step, the concrete is poured as shown in FIG. 13, and the
한편, 거푸집은 합판 등 나무재질로 만들어지며, 급전레일 구조물의 길이방향 팽창시 구조물의 응력이 지나치게 증가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양생 후에도 제거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급전도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각종 케이블 배선작업과 센서작업 등 작업이 필요하며, 덧씌우기를 통하여 깨끗한 도로면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rmwork is made of wood, such as plywood, and does not remove even after curing of the structure to play a role of preventing the stress of the structure from excessively increased during longitudinal expansion of the feed rail structure. In addition, in order to complete the feed road, various cable wiring work and sensor work are required, and a clean road surface can be formed by overlaying.
본 발명의 시공 공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is inven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제1단계: 도로의 중앙을 일정 폭과 일정 깊이로 파내어 절개부(202)를 형성한다.First step: The center of the road is excavated to a certain width and a predetermined depth to form the
제2단계: 절개부위에 설계된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와 파이프 조립체(20)의 길이에 맞도록 양쪽에 거치용 줄눈 거푸집(10)을 끼워서 고정한다. Second step: Fix the mounting
제3단계: 양쪽의 거치용 줄눈 거푸집에 공통선을 위한 파이프 조립체(22)와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 전력선을 위한 파이프 조립체(28)를 차례로 거치한다.Step 3: The
제4단계: 고정용 줄눈 거푸집(60)을 거치용 줄눌 거푸집(10)에 덧대어 끼워서 구성품들을 고정하고, 거푸집 고정용 클립(70)으로 두 장의 거푸집을 고정한다. Step 4: Fix the components by attaching the fixing
제5단계: 필요한 도로의 길이만큼 또는 타설할 콘크리트의 양에 맞추어 2~4공정을 반복한다.Step 5: Repeat steps 2 to 4 as needed for the length of the road or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poured.
제6단계: 구성품을 고정한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포제거기(90)를 이용하여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의 하단에 생길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고 상단 표면을 평평하게 다진다.Step 6: Place the concrete between the molds to which the component is fixed, and use the
제7단계: 타설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구조체를 완성한다.Step 7: Curing the poured concrete to complete the structure.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현장에서 내부에 배치의 제약이 요구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모듈 단위로 타설하여 시공함으로써 프리캐스트된 중량물을 위치에 맞게 정렬해야 하는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듈단위로 시공 하므로 사후에 모듈단위의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각 모듈 사이에는 거푸집을 삽입하여 길이방향의 열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해야 하는데, 거푸집은 합판 등의 나무재질을 사용한 판재로 도로 절개부의 길이방향으로 모듈을 분할할 뿐만 아니라 모듈 간의 열팽창을 완충하는 줄눈의 역할을 한다. 또한, 줄눈용 거푸집은 도로면을 기준으로 내부 구성품들이 설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자리를 잡아주고 콘크리트 타설시 구성품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줄눈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구성품들의 배치가 완료된 구역은 하나의 급전레일 구조모듈을 위한 거푸집이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overcomes the difficulty of aligning the precast weights to locations by placing concrete structures that are required to be place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in modular uni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odule can be repaired after the construction because it is installed in the module unit. Inserting the formwork between each module to prevent breakage due to longitudinal thermal expansion. The formwork is a plate made of wood such as plywood, which not only divides the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ad cut, but also cushions the thermal expansion between the modules. Plays a role. In addition, the joint formwork positions the internal components so that they can be placed in the desig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and serves to fix the components when placing concrete. The area in which components are laid out using joint formwork becomes formwork for one feed rail structure modul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Various change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구성 상태도를 나타내기 위한 배치가 완료상태의 거푸집 구성도이고,1 is a form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to show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wer supply rai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거치용 줄눈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joint formwork for mounting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파이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ipe assembly of a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의 구성도이고,4 is a block diagram of a ferrite core assembly of a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고정용 줄눈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joint formwork for fixing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1공정인 도로 절개부 시공도이고,Figure 6 is a road cut construction of the first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2공정인 거치용 거푸집 시공도이고,Figure 7 is a mounting formwork for mounting the second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3공정 중 하나인 공통선용 파이프 조립체 시공도이고,8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common line pipe assembly which is one of the third processe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3공정 중 다른 하나인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 시공도이고,9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ferrite core assembly, which is another one of the third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3공정 중 또 다른 하나인 전력 선용 파이프 조립체 시공도이고,10 is a construction diagram of a power line pipe assembly which is another one of the third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4공정 중 하나인 고정용 거푸집 시공도이고,Figure 11 is a fixed formwork construction diagram of one of the fourth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4공정 중 다른 하나인 거푸집 고정용 클립 시공도이고,12 is a construction diagram for fixing the formwork, which is another one of the fourth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급전레일 구조물의 제6공정인 콘크리트 타설 시공도이다.13 is a concrete construction drawing of the sixth process of the feed rai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200 기존도로200 existing roads
202 기존도로의 절개부202 Incision of existing road
10 거치용 (줄눈) 거푸집10 Mounting (joint) formwork
12 도로면 정렬용 돌출부12 Protrusions for road face alignment
14 공통선 파이프용 거치 홈14 Mounting grooves for common line pipes
16 코어 조립체용 거치 홈Mounting groove for 16 core assembly
18 전력선 파이프용 거치 홈18 Mounting grooves for power line pipes
20 파이프 조립체20 pipe assemblies
22 공통선 파이프22 common line pipe
24 파이프용 커플링Coupling for 24 pipe
26 오링26 O-Ring
28 전력선 파이프28 power line pipe
40 페라이트 코어 조립체40 ferrite core assembly
42 페라이트 코어42 ferrite core
44 수직 가이드44 Vertical Guide
46 수평 가이드46 Horizontal Guide
60 고정용 (줄눈) 거푸집60 fastening (joint) formwork
62 도로면 정렬용 돌출부62 Road protrusion alignment
64 공통선 파이프용 고정 홈64 Fastening groove for common line pipe
66 코어 조립체용 고정 홈Fixing groove for 66 core assembly
68 전력선 파이프용 고정 홈68 Fixing groove for power line pipe
70 거푸집 고정용 클립70 form fastening clips
90 기포제거기90 Bubble Remover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34968A KR101087770B1 (en) | 2009-12-30 | 2009-12-30 | On-site construction method of feed road structure for online electric vehicle |
| US13/501,691 US20130092491A1 (en) | 2009-10-16 | 2010-10-18 | Power supply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method for forming same and magnetic field cancelation apparatus |
| PCT/KR2010/007139 WO2011046414A2 (en) | 2009-10-16 | 2010-10-18 | Power supply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method for forming same and magnetic field cancel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34968A KR101087770B1 (en) | 2009-12-30 | 2009-12-30 | On-site construction method of feed road structure for online electric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8217A KR20110078217A (en) | 2011-07-07 |
| KR101087770B1 true KR101087770B1 (en) | 2011-11-30 |
Family
ID=449177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34968A Active KR101087770B1 (en) | 2009-10-16 | 2009-12-30 | On-site construction method of feed road structure for online electric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8777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07811B1 (en) * | 2012-01-19 | 2013-09-12 | 한국과학기술원 | Power supply module for dividing line into segment |
| KR101478128B1 (en) * | 2013-11-14 | 2014-12-3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Railway vehicle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constructing method |
| KR101416801B1 (en) * | 2013-12-18 | 2014-07-09 | (주)승화프리텍 | Concrete panel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of wireless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67577A (en) | 2006-03-30 | 2007-10-11 | Mitsubishi Heavy Ind Ltd | Energy supply device and system |
| JP2009106136A (en) | 2007-10-25 | 2009-05-14 | Toyota Motor Corp | Electric vehicle an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
| JP2009303316A (en) | 2008-06-11 | 2009-12-24 | Mitsubishi Heavy Ind Ltd | Electric power receiver for vehicles |
-
2009
- 2009-12-30 KR KR1020090134968A patent/KR1010877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267577A (en) | 2006-03-30 | 2007-10-11 | Mitsubishi Heavy Ind Ltd | Energy supply device and system |
| JP2009106136A (en) | 2007-10-25 | 2009-05-14 | Toyota Motor Corp | Electric vehicle an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
| JP2009303316A (en) | 2008-06-11 | 2009-12-24 | Mitsubishi Heavy Ind Ltd | Electric power receiver for vehicl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8217A (en) | 2011-07-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30092491A1 (en) | Power supply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method for forming same and magnetic field cancelation apparatus | |
| CN104661859B (en) | Paving slab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road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 EP2722439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three-dimensional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laying concrete tracks using concrete block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 |
| KR101087770B1 (en) | On-site construction method of feed road structure for online electric vehicle | |
| KR20110041937A (en) |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protected by concrete structure | |
| KR101405468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block for railway track and method for laying railway track using concrete block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 |
| KR20190136406A (en) | Electric vehicle charger prefabricated base | |
| CN109914473B (en) | High polymer plastic assembled pipe galler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CN102926294B (en) | Novel precast slab assembled floating track bed | |
| CN114293413A (en) | High-speed magnetic suspension low-position lin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KR101301058B1 (en) | Boundary stone carrying cables | |
| KR101124572B1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dual type power supply module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 |
| KR101042948B1 (en) | Cable embedding smart floor plate module, smart road structure with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101234091B1 (en) | Method of underground railway crossing over direct installation of precast concrete slab | |
| KR101416801B1 (en) | Concrete panel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of wireless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
| JP2003064601A (en) | Road construction method and rigid floor slab used for it | |
| CN223120830U (en) | Pipeline encapsulation reinforcing structure | |
| US20250230611A1 (en) | Track | |
| KR101275624B1 (en) | Vehicle energy charging system | |
| CN114808557B (en) | Fix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ramcar anti-vage reinforcing mesh | |
| CN114439489B (en) | Subway tunnel shield machine receiving device suitable for limited spa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CN222464110U (en) | Assembled cable trench combined structure | |
| CN220246597U (en) | Temporary bridge crossing device for maintaining tunnel transverse ditch | |
| JP5872272B2 (en) | Retaining wall formation | |
| KR100847725B1 (en) | Joint structure of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