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647B1 -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art and the woven pap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art and the woven p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5647B1 KR101055647B1 KR1020100101444A KR20100101444A KR101055647B1 KR 101055647 B1 KR101055647 B1 KR 101055647B1 KR 1020100101444 A KR1020100101444 A KR 1020100101444A KR 20100101444 A KR20100101444 A KR 20100101444A KR 101055647 B1 KR101055647 B1 KR 101055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weft
- weaving
- woven
- base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10B2503/062—Fitted bed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겹으로 제직된 직물지의 제조시 별도의 자수 공정 없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직물지의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상부경사와 상부위사를 교차시켜 상부 바탕면을 제직하고, 하부경사와 하부위사를 교차시켜 하부 바탕면을 제직하는 단계와; 상부 바탕면과 하부 바탕면을 한 겹으로 제직되도록 상부경사 또는 상부위사를 하부위사 또는 하부경사와 교차시켜 무늬를 형성하는 겹조직부를 제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겹조직부의 무늬는 제직하는 단계는 상부경사를 하부위사와 교차시키고, 하부경사를 상부위사와 교차시켜 테두리를 제직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위사를 하부경사와 교차시키고, 하부위사를 상부경사와 교차시켜 무늬면을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ortion that can form a pattern without a separate embroidery process when the fabric of the woven fabric woven in two layers can be shortened, and the fabric paper,
Weaving the upper base surface by intersecting the upper slope and the upper weft, and weaving the lower base surface by intersecting the lower slope and the lower weft; Weaving a layer of tissue forming a pattern by crossing the upper inclination or the upper weft with the lower weft or the lower inclination so as to weave the upper base surface and the lower base surface in one layer;
The weaving of the pattern of the layered tissue may include: weaving an edge by crossing the upper slope with the lower weft and intersecting the lower slope with the upper weft; Cross weaving the upper weft and the lower weft and the upper weft to cross the weaving patterned surface;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Description
본 발명은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겹으로 제직되는 직물지의 제조시 별도의 자수 공정 없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직물지의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ortion and to a woven pap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manufacturing a woven fabric paper woven in two layers can form a pattern without a separate embroidery process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oven pap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art and a woven paper thereof.
일반적으로 직물지는 자수사를 이용하여 자수무늬를 형성하거나, 날염 또는 직물지나 장식재를 부착함으로써 무늬를 형성하여 직물지의 장식효과를 증대시킨 뒤, 옷감이나, 침구류, 커튼 등의 원단으로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textile paper is used to form embroidery patterns using embroidery yarns, or by printing or attaching textile papers or decorative materials to increase the decorative effect of textile papers, and then used as fabrics, beddings, and curtains. .
아울러 상기와 같은 직물지는 용도에 따라 홑겹으로 된 단일 직물이나 두장의 원단을 붙여 연결시켜 놓은 듯한, 이중직 또는 삼중직 등 다양한 형태의 원단도 선보이고 있다.In addition, the fabric paper as described above is also showing a variety of fabrics, such as double or triple weave, which seems to be connected by attaching a single fabric or two pieces of fabric in a single layer.
한편, 침구류나 커튼 등은 두 장의 원단으로 구성되되, 앞면과 뒷면 모두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bedding and curtains are composed of two pieces of fabric, both the front and the back may be formed to have a beautiful appearance.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두 종류의 직물을 맞대어 연결시켜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연결을 위해 재봉을할 때 두 종류의 직물을 겹쳐놓은 상태에서 자수를 놓아 무늬 등을 형성하여 장식효과를 향상시키기도 하였다.To this end, in the related art, it was common to connect two types of fabrics together, and when sewing for connection, embroidery patterns were formed by embroidering the two types of fabrics overlapped, thereby improving a decorative effect.
그러나 이와 같이 두 종류의 직물에 자수무늬를 형성하는 것은 직물의 제직후 별도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제조시간이 증대되며, 두 종류의 직물을 맞대어 형성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직물이 틀어지는 경우 직물이 구겨지고 자수무늬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forming embroidery patterns on the two types of fabrics is performed by a separate process after weaving the fabrics, which is cumbersome, increases manufacturing time, and in the process of forming two kinds of fabrics together, If warped, the fabric was wrinkled and the embroidery pattern had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자수무늬가 형성된 두 겹의 직물지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자수 형성시 직물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려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wo-ply fabric paper with the embroidery pattern,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the fabric when forming the embroidery, and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 paper having a layered structure to enable the formation of a beautiful pattern, and to provide the fabric paper For the purpose of
또한, 본 발명은 무늬가 테두리와 무늬면으로 구성되어 보다 다양한 형태로의 무늬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pattern representation in a variety of forms is composed of the pattern and the bord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항균효과를 갖는 직물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extile paper having an antimicrobial effect.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상부 직물 및 하부직물로 구성되는 직물로 이루어진 바탕면을 갖되, 무늬는 한겹으로 형성되는 겹조직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를 제공한다.It has a base surface consisting of a fabric consisting of an upper fabric and a lower fabric, the pattern provides a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ayered tissue formed in one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겹조직부는 상부 직물의 상부경사와 하부 직물의 하부위사의 상호교차 및 하부직물의 하부경사와 상부 직물의 상부 위사의 상호 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테두리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lywood portion is formed by weaving the intersection of the upper weft of the upper fabric and the lower weft of the lower fabric and the intersection of the lower inclination of the lower fabric and the upper weft of the upper fabric;
상부직물의 상부위사와 하부직물의 하부경사의 상호교차 및, 하부직물의 하부위사가 상부직물의 상부 경사의 상호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무늬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 weft of the upper weave and the lower weave of the lower fabric of the upper fabric, and the lower weft of the lower fabric of the upper fabric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ttern surface formed by weaving the cross.
또한, 본 발명은 상부경사와 상부위사를 교차시켜 상부 바탕면을 제직하고, 하부경사와 하부위사를 교차시켜 하부 바탕면을 제직하는 단계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weaving the upper base surface by crossing the upper slope and the upper weft, and weaving the lower base surface by crossing the lower slope and the lower weft;
상부 바탕면과 하부 바탕면을 한 겹으로 제직되도록 상부경사 또는 상부위사를 하부위사 또는 하부경사와 교차시켜 무늬를 형성하는 겹조직부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Weaving a layer of tissue forming a pattern by crossing the upper inclination or the upper weft with the lower weft or the lower inclination so as to weave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surface in one layer.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또한, 상기 겹조직부의 무늬는 제직하는 단계는 상부경사를 하부위사와 교차시키고, 하부경사를 상부위사와 교차시켜 테두리를 제직하는 단계와;In addition, the step of weaving the pattern of the layered tissue weaving step of weaving the rim by intersecting the upper slope with the lower weft, and the lower slope with the upper weft;
상기 상부위사를 하부경사와 교차시키고, 하부위사를 상부경사와 교차시켜 무늬면을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weaving the pattern surface by intersecting the upper weft with the lower inclination and intersecting the lower weft with the upper inclination.
또한, 상기 겹조직부와 겹조직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황토분말, 숯분말, 또는 은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성 물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illing at least one antimicrobial material selected from ocher powder, charcoal powder, or silver nanoparticles in the space portion formed between the ply tissue part and the ply tissue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직물지는 직물지의 제직과 동시에 무늬가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자수공정없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고, 종래 두 겹의 직물이 겹쳐진 상태에서 자수무늬를 형성함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으며, 경사 및 위사의 종류 및 색상의 선정만으로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겹조직부를 통해 무늬를 형성하므로 직물지의 앞면과 뒷면에 모두 무늬 패턴이 형성될 수 있어 커튼이나, 이불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woven fabric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oven fabric having the layered tiss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without patterning because the pattern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weaving the woven fabric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Conventional problems can be solved by forming embroidery patterns in a state where two layers of fabrics are overlapped, and can be formed to have various patterns and colors only by selecting the types and colors of warp yarns and wefts. Because the pattern is formed through the pattern pattern can be formed on both the front and back of the fabric paper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curtains, duvets and the like.
또한, 겹조직부가 각각의 경사 및 위사의 교차 위치 변경만으로 테두리와 무늬면으로 구성되어 입체적이면서도 보다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layered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border and the pattern surface only by changing the cross position of each of the inclined and weft has an effect that can be three-dimensional and more diverse pattern formation.
또한, 항균성 물질로 인하여 직물지를 통해 제조된 제품의 항균기능이 발산되어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due to the antimicrobial material, the antimicrobial function of the product produced through the woven paper is divergent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huma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상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
도 2는 도 1의 직물지의 하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
도 3은 도 1의 직물지의 측면을 보인 사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
도 5는 도 1의 직물지의 겹조직부에서 테두리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직물내의 겹조직부에서 무늬면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the upper fabric of the woven fabric having a layered tiss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the lower fabric of the textile pap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ide of the fabric paper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main portion of FI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ormation of the rim in the layered tissue portion of the fabric paper of Figure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ormation of the pattern surface in the layered tissue in the fabric of Figure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상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직물지의 하부직물의 표면을 보인 사진이며, 도 3은 도 1의 직물지의 측면을 보인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직물지의 겹조직부에서 테두리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the upper fabric of the woven fabric having a layered tiss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the lower fabric of the woven fabric of Figure 1, Figure 3 is a woven fabric of Figure 1 It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ide, and FIG. 4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main part of FIG.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rim in the layered tissue portion of the fabric paper of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는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로 구성되는 직물로 이루어진 바탕면(10a)(20a)을 갖되, 무늬는 한겹으로 형성되는 겹조직부(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ven paper having the layered tissue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oven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이때 상기 바탕면(10a)(20a)은 전체 직물지의 배경이 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은 각각 별도로 직조되어 서로 분리된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base surface (10a, 20a) is a part of the background of the entire fabric paper,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직물(10)의 상부 바탕면(10a)은 상부 경사(11) 및 상부 위사(12)의 상호 교차를 통해 제직되며, 상기 하부 직물(20)의 하부 바탕면(20a)은 하부 경사(21) 및 하부 위사(22)의 상호 교차를 통해 제직되는 것으로 별도의 경사 및 위사에 의해 각각 제직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따라서 상기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은 각각을 이루고 있는 위사 또는 경사의 색상에 따라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이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아울러 상기 겹조직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겹의 직물을 이루는 각각의 상,하부 경사 또는 상,하부의 위사가 서로 바뀌어 교차되어 한 겹의 직물로서 제직되어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모양이 형성될 수 도 있고, 이 밖에도 나타내고자 하는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이때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겹조직부(30)는 테두리(31)와 무늬면(32)이 서로다른 방법으로 경사 또는 위사가 바뀌어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more specifically,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31)는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의 상호교차되어 제직되는 동시에 하부 직물(20)의 하부 경사(21)는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의 상호교차로 제직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도 6은 도 1의 직물내의 겹조직부에서 무늬면의 형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늬면(32)은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경사(21)의 상호 교차로 제직되고, 동시에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가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의 상호 교차로 제직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pattern surface in the layered tissue part of the fabric of FIG. 1. FIG. As shown here, the
즉, 상기와 같이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을 이루는 각각의 위사 또는 경사가 서로 바뀌어 직물의 제직이 이루어짐에 따라 무늬 부분이 한 겹으로 형성된 겹조직부(30)로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as the weft or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이때 상기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을 이루는 각각의 경사 또는 위사를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직물지는 겹조직부(30)는 한겹으로 형성되고,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는 공간부(4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by appropriately using the respective warp or weft forming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는 위사 또는 경사의 교차로 인해 상부 직물(10)의 외면과 하부 직물(20)의 외면 모두에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앞, 뒤의 구분없이 사용할 수 도 있고, 이에 따라 커튼이나 이불 등으로 제작하여 이용하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Fabric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the front and back because the pattern can be formed on both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겹조직부(30)를 갖는 직물지는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0)에 항균성 물질이 더 충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oven fabric having the
여기서 상기 항균성 물질로는 황토분말이나 숯분말, 또는 은 나노 입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항균성 물질이 충진된 본 발명의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는 미려함은 물론 항균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인체에 이로운 영향을 준다.
Wherein the antimicrobial material may be preferably used ocher powder, charcoal powder, silver nanoparticles, etc., the woven paper having the layered tissu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lled with such antimicrobial material can be beautiful as well as to exhibit an antibacterial effect Has a beneficial effect on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we will look for a method for producing a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먼저, 상부 직물(10) 및 하부 직물(20)의 제직을 통해 상부 바탕면(10a) 및 하부 바탕면(20a)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 바탕면(10a)과 하부 바탕면(20a)은 각각 별도의 경사 및 위사로 제직되는 것으로, 상부 경사(11)와 상부 위사(12)를 서로 교차시켜 상부 바탕면(10a)을 제직하고, 하부 경사(21)와 하부 위사(22)를 서로 교차시켜 하부 바탕면(20a)을 제직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 바탕면(10a) 및 하부 바탕면(20a)을 형성하다가 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 바탕면(10a)과 하부 바탕면(20a)이 한 겹으로 제직되도록 상부 경사(11) 또는 상부 위사(12)를 각각 하부 위사(22) 또는 하부 경사(21)와 교차시켜 무늬를 형성하는 겹조직부(30)를 제직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겹조직부(30)를 형성하면 상부 바탕면(10a)의 상부 경사(11) 또는 상부 위사(12)가 하부 바탕면(20a)의 하부 위사(22) 또는 하부 경사(21)와 교차 결합되어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이 연결되기 때문에 겹조직부가 한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경사 또는 위사의 위치 변경 및 색상차이를 통해 무늬가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직도되는 과정에서 바로 무늬가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두겹의 직물을 겹쳐놓은 상태에서 별도의 자수처리를 함에 따라 직물이 틀어지고, 그로 인해 자수무늬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When the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겹조직부(30)의 무늬가 테두리(31)와 무늬면(32)으로 형성되되, 테두리(31)와 무늬면(32)이 입체적인 형태를 갖도록 하여 보다 미려한 무늬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more preferably, the pattern of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겹조직부(30)의 무늬를 제직하는 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사(11)를 하부 위사(22)와 교차시키고, 하부 경사(21)를 상부 위사(12)와 교차시켜 테두리(31)를 제직하는 단계를 거친다. To this end, the step of weaving the pattern of the
이와 같이 상부 바탕면(10a)의 상부 경사(11)와 하부 바탕면의 하부 경사(21)가 교차되는 위치를 바뀐상태로 제직하게 되면, 상부 직물(10)과 하부 직물(20)이 서로 연결되어 한 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테두리(31)의 제직이 이루어지면, 하부 바탕면(20a)을 이루는 하부 경사(21)와 상부 바탕면(10a)을 이루는 상부 위사(12)에 따라 테두리(31)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테두리(31)의 색상차이를 통해 테두리의 표현이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And when weaving of the
아울러 하부 경사(21)를 상부 위사(12)와 교차시키면, 상부 바탕면(10a)의 외면측으로 하부 경사(21)가 돌출되게 제직될 수 있고, 하부 위사(22)와 상부 경사(11)의 교차시에도 상부 경사(11)가 상부 바탕면(10a) 측으로 돌출되게 제직될 수 있어 입체감이 있는 테두리(31)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ower inclined 21 crosses the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위사(12)를 하부 경사(21)와 교차시키고, 하부 위사(22)를 상부 경사(11)와 교차시키는 무늬면(32)을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무늬면(3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attern is formed by weaving a
상기 무늬면(32)은 테두리(31)의 내부를 채우는 부분으로, 무늬면(32)의 표면이 상부 경사(11)와 하부 위사(22)의 상호교차에 의해 제직되므로 상기 무늬면(32)의 색상은 상부 경사(11)와 하부 위사(22)의 색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늬면(32)은 테두리(31)와 달리 하부 바탕면(20a)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직물지는 겹조직부의 형성으로 테두리는 다른면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입체적인 형태를 갖음은 물론, 별도의 자수공정 없이도 각각의 원사들의 교차위치 변경을 통하여 직물 제조시 한겹으로 이루어진 무늬가 형성될 수 있어 제조공정이 단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사의 재질이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무늬면 및 테두리 형성이 가능하므로 보다 다양한 무늬의 표현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fabric paper formed as described above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as the edg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by forming a layer of tissue, as well as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as a single layer when manufacturing the fabric by changing the interposition of each yarn without a separate embroidery process The formed pattern can be forme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and various kinds of patterned surfaces and borders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r color of each yarn, so that a variety of patterns can be expressed.
한편,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물지는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 공간부(4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공간부(40)에는 황토분말이나 숯분말 또는 은나노입자 등의 항균 기능성을 갖는 항균성 물질을 충진시켜 항균효과를 갖는 직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bric paper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is formed between the
이와 같이 항균성 물질이 충진된 직물지로 제조된 베개나 커튼, 이불 등은 항균효과로 인하여 보다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줄 수 있다.As such, pillows, curtains, and duvets made of textile paper filled with antimicrobial substances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human body due to antibacterial effects.
10: 상부 직물 10a: 상부 바탕면
11: 상부 경사 12: 상부 위사
20: 하부 직물 20a: 하부 바탕면
21: 하부 경사 22: 하부 위사
30: 겹조직부 31: 테두리
32: 무늬면 40: 공간부10:
11: upper slope 12: upper weft
20:
21: lower slope 22: lower weft
30: layered tissue part 31: border
32: pattern surface 40: space part
Claims (5)
상기 겹조직부(30)는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의 상호교차 및 하부 직물(20)의 하부경사(21)와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의 상호 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테두리(31)와;
상부 직물(10)의 상부 위사(12)와 하부 직물(20)의 하부 경사(21)의 상호교차 및, 하부 직물(20)의 하부 위사(22)가 상부 직물(10)의 상부 경사(11)의 상호교차로 제직되어 형성되는 무늬면(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Has a base surface consisting of a fabric consisting of the upper fabric 10 and the lower fabric 20, the pattern is made of a layered tissue portion 30 is formed in one layer,
The plywood 30 is an intersection of the upper warp 11 of the upper fabric 10 and the lower weft 22 of the lower fabric 20 and the lower warp 21 and the upper fabric 10 of the lower fabric 20. An edge 31 formed by being woven at the intersection of the upper weft yarns 12);
Intersection of the upper weft 12 of the upper fabric 10 and the lower warp 21 of the lower fabric 20 and the lower weft 22 of the lower fabric 20 are the upper warp 11 of the upper fabric 10. Woven fabric having a layer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tterned surface 32 is formed by weaving the crossover.
상부 바탕면(10a)과 하부 바탕면(20a)이 한 겹으로 제직되도록,
상부 경사(11)를 하부위사(22)와 교차시키고, 하부 경사(21)를 상부 위사(12)와 교차시켜 테두리(31)를 제직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위사(12)를 하부 경사(21)와 교차시키고, 하부 위사(22)를 상부 경사(11)와 교차시켜 무늬면(32)을 제직하는 단계;를 통해 무늬를 형성하는 겹조직부(30)를 제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Weaving the upper base surface (10a) by crossing the upper slope (11) and the upper weft (11), and weaving the lower base surface (20a) by crossing the lower slope (21) and the lower weft (22);
The upper base surface 10a and the lower base surface 20a are woven in one layer,
Weaving the edge 31 by intersecting the upper slope 11 with the lower weft yarn 22 and intersecting the lower slope 21 with the upper weft yarn 12;
Cross weaving the pattern surface 32 by crossing the upper weft 12 and the lower inclined 21, the lower weft 22 and the upper inclined 11; Weaving step; Weaving method of manufacturing a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comprising a.
상기 겹조직부(30)와 겹조직부(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40)에 황토분말, 숯분말, 또는 은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성 물질을 충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조직부를 갖는 직물지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illing the at least one antimicrobial material selected from ocher powder, charcoal powder, or silver nanoparticles in the space portion 40 formed between the layered tissue portion 30 and the layered tissue portion 30 Method of producing a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01444A KR101055647B1 (en) | 2010-10-18 | 2010-10-18 |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art and the woven pa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01444A KR101055647B1 (en) | 2010-10-18 | 2010-10-18 |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art and the woven pap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55647B1 true KR101055647B1 (en) | 2011-08-10 |
Family
ID=449330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014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5647B1 (en) | 2010-10-18 | 2010-10-18 |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art and the woven pap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55647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3124623A (en) * | 1989-10-11 | 1991-05-28 | Shinko Electric Co Ltd | Diverging device of carrying path in carrying device |
| JP2000070117A (en) * | 1998-09-02 | 2000-03-07 | Toli Corp | Curtain |
| KR100592947B1 (en) * | 2005-03-30 | 2006-06-26 | 김주영 | Functional in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s and vehicles |
| US7069961B2 (en) | 1999-09-24 | 2006-07-04 | Milliken & Company | Inflatable fabrics comprising basket-woven attachment points between fabric panels |
-
2010
- 2010-10-18 KR KR1020100101444A patent/KR1010556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3124623A (en) * | 1989-10-11 | 1991-05-28 | Shinko Electric Co Ltd | Diverging device of carrying path in carrying device |
| JP2000070117A (en) * | 1998-09-02 | 2000-03-07 | Toli Corp | Curtain |
| US7069961B2 (en) | 1999-09-24 | 2006-07-04 | Milliken & Company | Inflatable fabrics comprising basket-woven attachment points between fabric panels |
| KR100592947B1 (en) * | 2005-03-30 | 2006-06-26 | 김주영 | Functional in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s and vehicl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211645541U (en) | Jacquard mesh fabric and vamp | |
| CN102181984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 card of jacquard fabric with straight stitching effect | |
| CN112971262A (en) | Sandwich-weave knitted vamp with layering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11408100B2 (en) | Terry fabric with faux dobby and methods of making terry fabric with faux dobby | |
| CN204491123U (en) | A kind of can the carving machine knitted fabric of two-sided use | |
| CN107740216B (en) | Double-faced embossed irregular pattern type multilayer terry-free towel and quilt fabric and weaving method thereof | |
| CN204728045U (en) | The three-layer network hole cloth of a kind of three-dimensional 3D | |
| KR101055647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paper having a layered tissue part and the woven paper | |
| CN105113103A (en) | Jacquard fabric manufacturing method integrating embroidering and seam quilting effects | |
| CN108823742A (en) | A kind of jacquard fabric processing technology with half three-dimensional composition wrinkle effect | |
| CN111705410A (en) | A jacquard flying thread fabric | |
| CN106917177A (en) | A kind of full light-transmission louver effect jacquard curtain fabric of expansion of one weaving shaping | |
| CN216193119U (en) | Knitted fabric with three-dimensional hollow effect | |
| CN110306275B (en) | A kind of three-dimensional concave-convex curve fabric and its weaving method | |
| CN104452018B (en) | Embossment shell fabric with light and shadow effect | |
| WO2023056760A1 (en) | Multi-bar jacquard fabric having local sandwich effect | |
| CN211005809U (en) | Three-dimensional concave-convex curve fabric | |
| CN113564789A (en) | Knitted fabric with three-dimensional hollow effe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 CN111713804A (en) | A shoe upper with multi-layer structure and shoes thereof | |
| JP2004107824A (en) | Multiple gauze woven fabric | |
| KR200389626Y1 (en) | Fabric using the pulp fibers | |
| JP2000045146A (en) | Silk cloth of bound warp backed weave, and its production | |
| CN222961678U (en) | Anti-drilling jacquard fabric with starlight style | |
| CN216473723U (en) | Woven jacquard fabric with coarse-pile embroidery effect | |
| CN210177047U (en) | Hollow flower type woven fabric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8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80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