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709B1 - Vegetation block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with stepped sidewalls, Method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using the same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Vegetation block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with stepped sidewalls, Method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using the same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8709B1 KR101028709B1 KR1020080070529A KR20080070529A KR101028709B1 KR 101028709 B1 KR101028709 B1 KR 101028709B1 KR 1020080070529 A KR1020080070529 A KR 1020080070529A KR 20080070529 A KR20080070529 A KR 20080070529A KR 101028709 B1 KR101028709 B1 KR 1010287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stepped
- stacking
- vegetation block
- side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 그 식생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축조된 식생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방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전면부와 측면지지부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저면지지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쓰레받기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측면지지부는 식생블록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계단형 측면지지부로 형성된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위로 적층 할수록 후방으로 점점 밀려(set back) 계단형을 갖도록 하는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축조된 식생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vegetation block,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is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both rear sides of the front part. The side support portion, and the bottom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at the bottom is composed of a trapped form, wherein the side support portion is one or both sides of the vegetation block is a stepped form of stepped side support It is a vegetation block with sidewall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that has a stepped shape as the layer is stacked upward by stacking up using such vegetation blocks,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계단형, 식생블록, 시공, 옹벽, 영롱쌓기, 경사도, 징검다리 Stepped, Vegetation Block, Construction, Retaining Wall, Stacking, Slope, Stepping Brid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 공간과 흙 채움 공간이 넓은 쓰레받기 형태의 중공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셋백(set-back) 길이만큼 떨어뜨려 영롱(징검다리) 쌓기를 하는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 이를 이용한 셋백 영롱 쌓기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축조된 식생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to be stacked by a set-back length by using a hollow vegetation block of a wide dustpan type with a wide vegetation space and earth filling space, stacking (young ste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acking setbacks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method.
종래 국·내외의 콘크리트 식생블록은 중공형태의 흙 채움 공간을 가짐으로써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제조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종래 블록은 흙 채움 공간에 채워진 흙과 원 지반의 뒤 채움 흙이 연결되지 않아 단절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과 영양분이 쉽게 고갈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Conventionally, domestic and foreign concrete vegetation blocks have been manufactured to plant plants by having hollow soil filling spaces, but such conventional blocks are not connected to soil filled in soil filling spaces and back filling soils of original ground. By disconnection, there was a problem of easily depleting water and nutrients necessary for plant growth.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흙 채움 공간의 극대화와 블록 내에 채워 진 흙과 뒤 채움 흙과의 연결을 기하기 위하여 쓰레받기 형태의 중공 사각블록을 제조하고, 아울러 블록 쌓기 옹벽에 장식적으로 구멍을 만들어 쌓는 방법인 영롱(징검다리) 쌓기 공법을 채택하여 서로 대치하고 있는 블록들의 측판을 지지대로 하여 상층블록을 올려놓을 정도로 이격시켜 놓은 부분에 흙 채움이 되어 흙 채움량의 극대화를 기하고 뒤 채움 흙과 연결되도록 하여 식생 식물에 공급되는 수분과 영양분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hollow rectangular blocks in the form of dust traps are manufactured to maximize the soil filling space and to connect the soil filled in the block with the back filling soil. Adopting the Youngrong (Jingum Bridge) stacking method, which is the method of making and stacking, it supports the side plates of the blocks facing each other as a support and fills the spaces separated enough to place the upper blocks to maximize the amount of soil filling and back filling. By connecting with the soil to prevent the depletion of water and nutrients supplied to vegetation plants.
그러나, 이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동일 높이의 블록을 징검다리 형태로 쌓기 때문에 상층부와 하층부 블록 사이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넓은 공간을 통해 뒤 채움 흙이 전방으로 흘러 쉽게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a block having the same height is stacked in the form of a stepping bridge, a wid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and the backfilling soil flows forward through such a large space and is easily lost. there was.
또한 식생 공간 확보를 위해 상층블록을 셋백(set-back) 시켜 쌓아야 하지만 셋백(set-back)량이 시공자의 숙련 여부에 따라 서로 달라 시공 전면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으며, 그리드와 연결이 고려되지 않아 높은 옹벽이나 상재하중이 걸리는 보강토 옹벽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o secure vegetation space, the upper block must be set-backed to be stacked, but the set-back amou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contracto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for reinforcement earth retaining wall that is subjected to high retaining wall or floor load.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층 블록 측 판의 뒷부분 높이를 앞 부분보다 낮게 하여, 상층 블록을 높이가 낮은 하층 블록의 측 판 뒷부분에 놓이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하층 블록의 측 판 앞 부분의 길이만큼 셋백(set-back)시켜 상층 블록이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영롱(징검다리) 쌓기 시 하층 블록의 상부 면과 상층 블록의 저부면이 동일 높이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상,하 블록 간의 공간을 없애 식생블록에 채워넣은 흙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ly lowers the rear height of the lower block side plate than the front portion, so that the upper block is placed behind the side plate of the lower lower block, so that the length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lock is naturally By stacking the upper blocks by stacking them up,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locks are placed at the same height during stacking, thus eliminating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locks. To prevent the loss of dirt,
하층 블록의 측 판 앞 부분의 길이만큼 셋백(set-back)시켜 상층 블록을 밀착하여 적층 함으로써 시공자의 작업 숙련도에 관계없이 셋백(set-back) 길이가 동일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고, By setting back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block as much as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lock, and stacking the upper block closely, the set-back length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contractor.
또한 축조된 식생옹벽의 양측 최외곽에 배치되는 식생블록 1단의 높이와 내부에 적층되는 식생블록 2단의 높이가 동일하여 시공시 높이를 편리하게 맞출 수 있는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 이를 이용한 셋백(set-back) 영롱(징검다리) 쌓기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축조된 식생옹벽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first stage of the vegetation block disposed on both outermost sides of the constructed vegetation retaining wall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econd stage of the vegetation block stacked inside, the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that can easily match the height during construction, th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using the set-back stacking metho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 그 식생블록을 이용한 셋백(set-back) 영롱(징검다리) 쌓기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축조된 식생옹벽을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a method for stacking the set-back ronglong (ginger leg) using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in a technical configuration do.
상기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은 본체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방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전면부와 측면지지부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저면지지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쓰레받기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측면지지부는 식생블록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높낮이 차이에 따른 계단형태를 갖는 계단형 측면지지부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는 높낮이에 따라 구분되는 전단부와 후단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단부는 전단부 높이의 1/2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getation block having the stepped side wall has a shape of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side support parts formed on both rear sides of the front part, and bottom support parts supporting the front part and the side support part from the bottom are integrally formed. The side support portion is formed as a stepped side support portion having one or both of the vegetation blocks having a step shape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and the stepped side support portion is divided into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which are divided according to height. The rea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atio of 1/2 the height of the front end.
그리고, 상기 셋백(set-back) 영롱(징검다리) 쌓기 시공방법은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가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고, 그 형성 위치가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식생블록을 일정 간격을 두어 양측에 배치하고, 양쪽 모두가 계단형 측면지지부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식생블록들을 상기 먼저 배치된 식생블록들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어 동일선상에 징검다리 형태로 배치하는 제1단계(S10)와,In addition, in the set-back zero-long stacking method, the stepped side support is formed on either side, and two vegetation blocks having different formation positions are arranged on both sides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step (S10) of arrang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blocks, each of which has a stepped side support portion, in the form of a stepping bridge on the same lin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reviously placed vegetation blocks;
상기 제1단계에서 배치된 식생블록들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의 전단부 길이 만큼 후방으로 셋백(set-back)하고, 후단부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서로 다른 식생블록에 걸쳐 징검다리 형태로 적층되도록, 양쪽 모두가 계단형 측면지지부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식생블록들을 쌓는 제2단계(S20)와,Set-back backward by the length of the front end of the stepped side support formed on one or both of the vegetation blocks arranged in the first step, and the rear end is supported on the other vegetation blocks. A second step (S20) of stacking a plurality of vegetation blocks each having a stepped side support so as to be stacked in the shape of a stepping bridge;
상기 제2단계에서 적층된 식생블록들 위로 계단형 측면지지부의 전단부 길이 만큼 후방으로 셋백(set-back)하여, 후단부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서로 다른 식생블록에 걸쳐 징검다리 형태로 적층되도록, 상기 제1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식생블록들을 적층하는 제3단계(S30)와,Set-back back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of the stepped side support over the vegetation blocks stacked in the second step, so that the rear end is stacked in the form of a stepping bridge over different vegetation blocks on the basis of the support. A third step S30 of stacking vegetation block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step,
상기 제1단계에서 제3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식생옹벽이 축조되는 것으로, 상기 제2단계의 식생블록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의 후단부의 높이는 제1단계의 식생블록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의 전단부와 동일하고, 상기 제3단계의 식생블록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의 후단부의 높이는 제2단계의 식생블록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의 전단부와 동일하다. 또한, 이와 같이 축조된 식생옹벽은 테라스형 식생면적을 가지며, 전단부의 길이와 후단부의 높이 변화로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third step from the first step, and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stepped side support formed at the rear of the vegetation block of the second step is formed behind the vegetation block of the first step. It is the same as the front end of the stepped side support, and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stepped side support formed at the rear of the vegetation block in the third stage is the front end of the stepped side support formed at the rear of the vegetation block in the second stage. Is the same as In additio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thus constructed has a terrace vegetation area,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lope by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front end and the height of the rear en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 및 그 식생블록을 이용한 셋백(set-back) 영롱쌓기 시공방법은 상층블록의 계단형 측면지지부의 후단부의 높이가 하층블록의 높이와 동일하여 흙의 유실방지와 셋백(set-back)량이 일정한 정밀시공이 가능하고, 축조된 식생옹벽의 양측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식생블록 1단의 높이와 내부에 적층되는 식생블록 2단의 높이가 동일하여 시공시 높이를 맞추는데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t-back zero stack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vegetation block,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stepped side support of the upper block is the height of the lower block As the same as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soil and precise construction with a constant set-back amount, and the height of the first stage of vegetation block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built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tage of vegetation blocks stacked inside. The same is convenient to match the height during construction.
그리고, 위로 적층될수록 후방으로 밀리도록 하여 계단형으로 축조하는 셋백(set-back) 영롱(징검다리) 쌓기 공법을 통해 넓은 식생공간 및 흙 채움 공간 확보가 가능하고, 쓰레받기 형으로 후방이 개방되어 있는 식생블록을 사용함으로써, 식생블록 내에 채워지는 흙과 식생블록 외부의 흙이 단절됨이 없이 연결되어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이 고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 생장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고, 식생블록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식생옹벽 외부의 원 지반에 활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공 후 기간이 경과 할수록 식생옹벽과 원지반이 일체식으로 견고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그리드로 연결 시공하여 식생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으 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vegetation space and a soil-filling space through a set-back zeroing (jogging leg) stacking method, which is built up in a stepped manner to be pushed backwards as it is stacked up, and the rear is opened as a dust trap type. By using the vegetation block, the soil filled in the vegetation block and the soil outside the vegetation block are connected without being disconnected to prevent depletion of nutrients necessary for the plant, thus providing the optimal conditions for plant growth, and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block. Since the root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oots of the vegetation retained on the raw ground outside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the ground become integrally solid as the post-construction period elapse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reinforcement soil retaining wall that can be planted by connecting with grid.
본 발명은 계단형 측벽을 갖는 식생블록과 이를 이용한 셋백(set-back) 영롱(징검다리) 쌓기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축조된 식생옹벽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5의 도면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a set-back zero-long stack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drawings of FIGS. 1 to 15. Let's look at it more specifically.
먼저, 상기 시공방법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기의 '좌측'과 '우측'은 시공자가 식생블록(1)의 전면부(10)와 마주하고 있을 때 시공자의 입장을 기준으로 한다.First, for clarity of the construction method, the following 'left' and 'right' ar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ntractor when the contractor is facing the
도 1은 식생블록(1)의 우측에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블록(1)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체의 전면부(10)와, 그 전면부(10)의 후방 좌측으로 측면지지부(20), 후방 우측으로 계단형 측면지지부(20')와, 상기 전면부(10), 측면지지부(20),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저면지지부(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쓰레받기 형태를 갖는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20')는 높이에 따라 구분되는 전단부(201)와 후단부(20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The stepped
상기 후단부(202)는 전단부(211) 높이의 1/2 비율을 갖는 것으로, 좀더 구체적인 예로서 전단부(201)와 후단부(202)의 높이 비율은 상기 1/2 비율을 만족하는 조건 하에서 100mm:50mm~1,000mm:500mm의 범위 내로 한다.The
그리고, 이와 같은 전단부(211)와 후단부(202)의 차이로 인해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2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계단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211 and the
도 2는 도 1의 식생블록(1)의 평면도를 보이는 것으로, 가로의 폭과 세로의 길이가 각각 폭(L2) 100mm ~ 1,000mm, 길이(L3) 100mm ~ 2,000mm인 사각형상이며, 그 두께(L4)는 10mm ~ 200mm이다.FIG. 2 shows a plan view of the
전면부(10)의 후방으로 좌측에는 측면지지부(20), 우측에는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0), 측면지지부(20),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저면지지부(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left side of the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20')는 전단부(201)와 후단부(202)로 구분되는 것으로, 상기 전단부(201)의 길이(L5)는 30mm ~ 1,000mm로서, 이는 계단형으로 식생옹벽을 축조할 때 적층되는 식생블록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셋백(set-back) 길이에 해당한다.The stepped side support 20 'is divided into a
도 3은 도 1의 식생블록(1) 우측면도로서,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우측에서 바라볼 때 계단형상임을 알 수 있다.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상기 식생블록(1)의 높이(L1)는 100mm ~ 1,000mm이고, 길이(L3)는 100mm ~ 2,000mm이며,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20')의 전단부(201)의 길이(L5)는 30mm ~ 1,000mm이다.The height L1 of the
그리고,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20')의 전단부(201) 높이(h1)와 후단부(202) 높이(h2)의 비율은 후단부(202)의 높이가 전단부(201) 높이의 1/2 비율임을 만족하는 조건 하에서 100mm:50mm~1,000mm:500mm의 범위 내로 한다.In addition, the ratio of the height h1 of the
도 4는 식생블록(1)의 양측으로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블록(1)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체의 전면부(10)와, 그 전면부(10)의 후방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20')와, 상기 전면부(10),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저면지지부(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쓰레받기 형태를 갖는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20')는 높이에 따라 구분되는 전단부(201)와 후단부(20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후단부(202)는 전단부(211) 높이의 1/2 비율을 갖는다. The stepped side support 20 'is composed of a
즉, 상기 도 1의 식생블록(1)은 우측에만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 4의 식생블록(1)은 양측 모두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도 1의 식생블록(1)과 도 4의 식생블록(1)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식생블록(1)의 평면도를 보이는 것으로, 도 2에서와는 달리 전면부(10)의 후방으로 양측에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10)와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저면지지 부(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식생블록(1) 우측면도로서,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우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계단형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FIG. 5 is a plan view of the
도 7은 식생블록(1)의 좌측에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식생블록(1)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 1의 식생블록(1)과 비교하였을 때 계단형 측면지지부(20')의 형성위치가 좌측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도 1의 식생블록(1)과 도 7의 식생블록(1)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그리고, 상기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식생블록(1)의 평면도인 도 8과 좌측면도인 도 9 또한, 도 1의 식생블록(1)에 대해 계단형 측면지지부(20')의 형성 위치가 우측이 아닌 좌측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8 and 9 which are plan views of the
이하, 앞서 언급한 식생블록(1)을 이용한 셋백 영롱(징검다리) 쌓기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셋백 영롱(징검다리) 쌓기 시공방법의 각 단계별 축조과정을 보이고 있으며, 도 14는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완성된 식생옹벽(100)의 우측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식생옹벽(100)의 좌측을 보이고 있는 사시도이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cking setback using the vegetation block (1) mentioned above. 10 to 13 show the construction process for each step of the stacking construction method setback Youngrong (Jingum Bridge),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ight side of the
도 10은 식생옹벽의 최하부를 구성하는 층을 보이는 것으로서, 도 1의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식생블록(1)과 도 7의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식생블록(1)을 각각 좌측과 우측에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FIG. 10 shows a layer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wherein the
상기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된 식생블록(1)들 사이로, 도 4의 계단형 측면지지부(20')가 양측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식생블록(1)을 일정 간격을 두어 상기 좌·우측에 배치된 식생블록(1)들과 동일선상에 징검다리 형태로 배치하며, 그 배치 간격(L6)은 100mm ~ 1,000mm를 유지한다.Between the vegetation blocks 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도 11은 도 10의 식생블록 층 위로 새로운 식생블록 층이 적층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도 4의 측면지지부(20')가 양측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식생블록(1) 만을 이용하여 적층하며, 적층시에는 도 10의 식생블록 층 위, 후방으로 일정하게 떨어진 지점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적층한다.FIG. 11 illustrates that a new vegetation block layer is stacked on the vegetation block layer of FIG. 10. The
상기 후방으로 일정하게 떨어진 지점은 도 3, 도 6 또는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식생블록(1)의 전단부(201)의 길이(L5) 만큼 떨어진 후단부(202)를 지칭하는 것이다.The point regularly spaced rearward refers to the
즉 서로 이웃하고 있는 식생블록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20')의 전단부(201) 길이(L5) 만큼 후방으로 셋백(set-back)하고, 후단부(202)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징검다리 쌓기 방식으로 서로 이웃하고 있는 식생블록 모두에 걸치도록 적층 한다.That is, the
도 12에서는 도 11의 적층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며, 다만 적층을 위한 식생블록의 선택 및 배치순서에 있어서 도 10에서와 동일하게 적용한다.In FIG. 12, the lamination method of FIG. 11 is applied as it is, except that the vegetation block for lamination is selected and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0.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의 조업 과정을 반복하여 축조된 식생옹벽(100)의 일례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5층, 측면에서 바라볼 때 3층의 구조를 보인다. 이와 같이 정면과 측면의 층 수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도 1, 도 4 및 도 7의 식생블록(1)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형 측면지지부(20')에 의한 것으로, 이는 식생옹벽(100)의 좌·우측으로 가장 바깥쪽에 적층된 도 1 및 도 7의 식생블록(1)은 우측, 좌측으로 일측만이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갖는 반면, 식생옹벽(100) 내부에 적층된 도 4의 식생블록(1)은 양측 모두 계단형 측면지지부(20')를 갖기 때문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즉, 상기 계단형 측면지지부(20')는 후단부(202)가 전단부(201) 높이의 1/2을 유지함으로써, 식생옹벽(100)의 양측으로 가장 바깥쪽에 적층된 식생블록(1) 측벽의 높이는 내부에 축조된 식생블록(1) 측벽 높이의 2배가 되기 때문이다.That is, the stepped side support 20 'is a vegetation block (1) stacked on the outermost to both sides of the
그리고, 상기 식생옹벽(100)은 테라스형 식생면적을 갖는 것으로, 수직높이와 수평높이의 비율이 1:0.1 ~ 1:1.5의 경사도를 갖는다.In addition, the
도 14 및 도 15는 축조된 식생옹벽(100)의 실제 사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식생블록이 위로 적층될수록 후방으로 점점 밀려(set back) 쌓게 됨으로써, 식생블 록 전면부의 후방으로 전단부 길이 2배 만큼의 식생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그 공간은 모래 또는 흙으로 채워 식생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14 and 15 show the actual picture of the constructed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right sid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right sid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우측면도.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with a stepped right sid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side wal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우측면도.6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having both side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ped.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left side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vegetation block having a stepped left side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좌측 측벽이 계단형인 식생블록을 도시한 좌측면도.9 is a left side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with a stepped left sid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10도는 본 발명의 셋백(set-back) 영롱(징검다리) 쌓기에 따른 최하층을 보인 사시도.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st layer according to the set-back (long legs) st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1도는 도 10의 최하층 위로 적층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state on the lowermost layer of FIG. 10.
제 12도는 도 11의 층 위로 적층 상태를 보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aminated state on the layer of FIG.
제 13도는 본 발명의 셋백(set-back) 영롱(징검다리) 쌓기에 따른 식생옹벽을 보인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set-back (long legs) stac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4도는 도 13의 식생옹벽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인 우측방향의 실제 사진.14 is a real picture of the right direc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of FIG.
제 15도는 도 13의 식생옹벽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인 좌측방향의 실제 사진.FIG. 15 is an actual photograph of the left direction in which plants are planted o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식생블록1: vegetation block
10 : 본체전면부10: main body front part
20 : 측면지지부20: side support
20': 계단형 측면지지부20 ': stepped side supports
30 : 저면지지부30: bottom support part
201: 전단부201: shear
202: 후단부202: rear end
100: 식생옹벽100: vegetation retaining wall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0529A KR101028709B1 (en) | 2008-07-21 | 2008-07-21 | Vegetation block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with stepped sidewalls, Method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using the same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0529A KR101028709B1 (en) | 2008-07-21 | 2008-07-21 | Vegetation block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with stepped sidewalls, Method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using the same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09755A KR20100009755A (en) | 2010-01-29 |
| KR101028709B1 true KR101028709B1 (en) | 2011-04-14 |
Family
ID=4181802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705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28709B1 (en) | 2008-07-21 | 2008-07-21 | Vegetation block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with stepped sidewalls, Method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using the same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28709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59408B1 (en) | 2024-07-02 | 2025-01-23 | (주)새길산업 | Vegetated Modular Stairs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33536A (en) * | 1994-02-23 | 1995-09-05 | Natl House Ind Co Ltd | Earth retaining block |
| JP2002121757A (en) * | 2000-10-17 | 2002-04-26 | Toei Shoko Kk |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0297571Y1 (en) * | 2002-09-16 | 2002-12-11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040046148A (en) * | 2002-11-26 | 2004-06-05 | 이근희 | Vegetation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bank protection using the block |
-
2008
- 2008-07-21 KR KR1020080070529A patent/KR1010287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33536A (en) * | 1994-02-23 | 1995-09-05 | Natl House Ind Co Ltd | Earth retaining block |
| JP2002121757A (en) * | 2000-10-17 | 2002-04-26 | Toei Shoko Kk |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0297571Y1 (en) * | 2002-09-16 | 2002-12-11 |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040046148A (en) * | 2002-11-26 | 2004-06-05 | 이근희 | Vegetation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bank protection using the block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59408B1 (en) | 2024-07-02 | 2025-01-23 | (주)새길산업 | Vegetated Modular Stair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09755A (en) | 2010-0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6759399B (en) | A kind of side slope vegetation ecological recovery system and method | |
| KR101028709B1 (en) | Vegetation block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with stepped sidewalls, Method for stacking setback lonlongs using the same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method | |
| KR100922466B1 (en) | Vegetation gab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100402843B1 (en)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
| KR101366837B1 (en) | Vegetation block and retaing wall structure using that | |
| KR100736269B1 (en) | Indented block retaining wall with continuous through hole in vertical dir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100536304B1 (en) | Vegetation revetment structures and method constructing blocktype revetment using the same | |
| KR100794221B1 (en) | Eco-friendly vegetation retaining wall | |
| JP4457384B2 (en) | Fishway construction method using a fishway block and this fishway block | |
| KR102287339B1 (en) | Multipurpose block | |
| KR10125764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green retaining wall preventing sliding of front green | |
| KR101197646B1 (en) | Structure For Reinforcing Slope Vegetation | |
| KR101204308B1 (en) | Log stone basket | |
| KR20050043552A (en) | Wall structure with gabion | |
| KR100746128B1 (en) | Canine block including vegetation spa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nine block using same | |
| KR100593181B1 (en) | Axis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 GB2412940A (en) | Retaining wall | |
| JP2003313974A (en) | Long-sized block for construction | |
| KR200235107Y1 (en) |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 |
| KR200275387Y1 (en) | Green Wall System | |
| KR101331826B1 (en) | Plantable block | |
| KR101072340B1 (en) | Revetment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100787099B1 (en) | Vegetation reinforced soil construction method and vegetation reinforced soil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is method | |
| JP2001032289A (en) | Soil dressing and lining blocks, and their execution method | |
| KR101070304B1 (en) | Vegetation Construc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8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7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4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