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07727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727B1
KR101007727B1 KR1020080062838A KR20080062838A KR101007727B1 KR 101007727 B1 KR101007727 B1 KR 101007727B1 KR 1020080062838 A KR1020080062838 A KR 1020080062838A KR 20080062838 A KR20080062838 A KR 20080062838A KR 101007727 B1 KR101007727 B1 KR 10100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utton
switch
key input
plat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804A (ko
Inventor
송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8006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7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7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전면에 터치버튼이 배치된 키입력판과, 상기 키입력판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키입력판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작동감을 발생하는 스위치판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된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버튼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 위주였으나, 근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지 통화하기 위함이 아니라,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상파 방송 시청과 음악 및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재생,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지도 검색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형 액정화면을 갖고, 단말기 본체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키패드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슬라이드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일반적인 슬라이드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본체에는 숫자 키패드들가 배치되고, 슬라이더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더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메뉴키, 조작키 등과 같은 매뉴얼 키패드들이 설치되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전면 상부 3/4의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하고 하부 1/4의 공간에는 메뉴버튼, 인터넷버튼, 통화버튼, 종료버튼 등과 같은 메뉴버튼으로 이루어진 매뉴얼 키패드들이 장착되는 것이었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및 슬림화되어 작고 얇게 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는 메인보드를 얇게 하거나, 배터리팩을 얇게 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얇게 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단말기 본체 또는 슬라이더에 구비된 버튼을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터치버튼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가 있다. 종래의 스위치가 하측에 구비된 버튼은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므로, 두께를 얇게 하기 어려웠으나, 터치버튼은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두께를 얇게 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터치버튼은 미세한 접촉에 의해서도 동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버튼이 눌렸는지 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진동장치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터치버튼을 누를 때 마다 진동이 발생하게 하여 터치버튼이 눌려졌음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전력소모를 증가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이 시작되고 종료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진동이 완료되기도 전에 사용자가 터치버튼을 누르고 재차 터치버튼을 누르는 경우, 진동되는 속도가 사용자가 터치버튼을 조작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터치버튼을 누르는 경우, 사용자 가 누르기를 원하는 터치버튼뿐만 아니라, 인접한 터치버튼이 눌러져서 오동작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버튼이 눌리면 동작감을 발생시키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와, 전면에 터치버튼이 배치된 키입력판과, 상기 키입력판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키입력판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작동감을 발생하는 스위치판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된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터치버튼을 조작할 때마다, 작동감이 발생되게 하여 터치센서가 눌렸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II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 본체(110)와, 슬라이더(120)를 구비한다.
단말기 본체(110)에는 사용자들이 숫자를 입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는 배터리팩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20)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120)는 키입력판(121)과, 스위치판(123)을 구비한다. 키입력판(121)은 전면에 터치버튼(122)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버튼(122)은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터치센서는 일예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러져서 발생되는 미세한 압력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측정하여 소정의 영역이 터치되었음을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접촉되어 변화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소정의 영역이 터치되었음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상기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터치버튼(122)은 설정된 여러 가지 명령을 실행하는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들은 각각 구획되어 있지 않고,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터치센서는 각각의 버튼들을 구분하는 구분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다. 즉,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버튼(122)의 외면은 일체로 형성되고, 터치버튼(122)의 소정의 영역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의 어느 영역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알 수 있도록 글자나 기호가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 버튼의 표면에 "통화"라는 글자를 인쇄할 수 있고, 메뉴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메뉴 버튼의 표면에 "메뉴"라는 글자를 인쇄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터치버튼(122)을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터치버튼(122)의 하측에 "통화" 또는 "메뉴" 등의 글자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외부의 긁힘에 의해 인쇄된 글자가 지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터치버튼(122)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전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이란, 통화버튼, 종료버튼, 취소버튼 및 인터넷버튼 등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0)의 전면에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외면과 상기 터치버튼(122)의 외면이 일체화되게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상기 터치버튼(122)이 키입력판(122)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후술할 회전 힌지(125)를 설명하기 위해 슬라이더(120)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분리한 것이다.
스위치판(123)은 상기 키입력판(121)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키입력판(121)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작동감을 발생한다. 상기 스위치판(123)은 키입력판(121)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위치판(123)은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스위치판(123) 은 키입력판(121)과 단말기 본체(110)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판(123)의 후면에는 미도시된 슬라이드 힌지가 배치된다.
여기서, 작동감이란, 사용자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버튼이 일정 깊이 눌려지면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이 눌려졌음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기 위해 키입력판(121)의 터치버튼(122)을 누른다. 상기 키입력판(121)과 상기 스위치판(123)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키입력판(121)이 스위치판(123)을 누르게 되고, 상기 스위치판(123)은 작동감을 발생한다.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판(123)의 작동감을 감지하고 터치버튼(122)이 눌러졌음을 인식한다.
종래의 터치버튼(122)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이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었으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을 조작할 때마다, 상기 스위치판(123)에서 작동감이 발생되게 하여 터치센서가 눌렸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20)는 이동 수단(1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125)은 상기 스위치판(123)과 상기 키입력판(121)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하여,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을 누르면 상기 스위치판(123)과 상기 키입력 판(121)이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 수단(125)의 일예로, 상기 이동 수단(125)은 회전 힌지(125)일 수 있다.
상기 회전 힌지(125)는 상기 스위치판(123)과 상기 키입력판(12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판(123)과 상기 키입력판(121)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 힌지(125)가 슬라이더(120) 내에 배치되는 위치는 슬라이더(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터치버튼(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0)에서 터치버튼(122)과 최대한 멀리 떨어진 위치인 상기 슬라이더(120)의 끝부분에 회전 힌지(125)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터치버튼(122)을 누름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서로 용이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회전 힌지(125)의 일예로, 상기 키입력판(121)에 회전축(126)을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판(123)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용 지지대(128)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회전부재(127)가 상기 회전축(1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고, 고정용 지지대(128)의 고정홀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회전 힌지(125)에 의해 상기 키입력판(121)이 상기 스위치판(123)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힌지(125) 내에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여, 키입력판(121)과 스위치판(123) 사이가 서로 가까워 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는, 상기 키입력판(121)과 상기 스위치판(123)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판(123)은 스위치(1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 치(124)는,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을 누르면 상기 키입력판(121)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된다. 상기 스위치(124)는 미도시된 몸체와, 눌림부재를 구비하고, 눌림부재가 가압되면서 몸체로 일정 거리 움직이게 되고, 몸체 내부의 구비된 접점들이 서로 접촉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스위치가 눌러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124)의 일예로, 상기 스위치(124)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124)일 수 있다. 상기 택트 스위치(124)는 일정 크기의 외력이 작용할 때 마다 소정의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택트 스위치(124)는 상기 키입력판(121)과 상기 스위치판(123)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키입력판(121)의 터치버튼(122)이 일정 크기의 이상의 힘에 의해 눌러지면 동작된다. 이를 위해 택트 스위치(124)는 상기 키입력판(121)의 터치버튼(12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상기 터치버튼(122)에 눌려진 힘이 눌림 택트 스위치(124)로 최대한 많이 전달되게 하여 택트 스위치(124)을 더욱 정확하게 동작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택트 스위치(124)는,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을 누르는 속도가 빠르더라도, 상기 터치버튼(122)이 눌러질 때마다 지연없이 바로 반응하므로,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을 눌러졌음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 본체(110) 및 슬라이더(120)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버튼(122)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택트 스위치(124)는 상기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버튼(122)이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택트 스위치(124)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택트 스위치(124)는 상기 처리부로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터치버튼(122)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택트 스위치(124)가 눌러지는 경우에만 상기 터치버튼(122)이 동작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버튼(122)에서 통화버튼을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누르면, 택트 스위치(124)도 눌러져서 통화버튼에 해당되는 입력 신호를 처리부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버튼(122)에 일정 크기 이하의 힘을 가하여, 상기 택트 스위치(124)가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터치버튼(122)이 동작되지 않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손가락에 통화 종료 버튼이 일정 크기 이하의 힘으로 눌러지면, 택트 스위치(124)는 눌러지지 않게 되고, 통화 종료 버튼에 해당되는 입력 신호를 처리부로 전달하지 않아 사용자가 계속 통화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동작 방법은 터치버튼(122)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II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동통신 단말기 110..단말기 본체
120..슬라이더 121..키입력판
122..터치버튼 123..스위치판
124..스위치 125..회전 힌지

Claims (5)

  1. 삭제
  2. 단말기 본체; 및
    전면에 터치버튼이 배치된 키입력판과, 상기 키입력판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기 키입력판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작동감을 발생하는 스위치판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된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스위치판과 상기 키입력판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하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판은,
    상기 키입력판의 터치버튼의 후면에 배치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및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버튼의 입력 신호를 전 달받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버튼이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처리부로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버튼은,
    설정된 명령을 실행하는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들은 각각 구획(區劃)되어 있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80062838A 2008-06-30 2008-06-30 이동통신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38A KR101007727B1 (ko) 2008-06-30 2008-06-30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38A KR101007727B1 (ko) 2008-06-30 2008-06-30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04A KR20100002804A (ko) 2010-01-07
KR101007727B1 true KR101007727B1 (ko) 2011-01-13

Family

ID=4181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7727B1 (ko) 2008-06-30 2008-06-30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7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89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정보단말기용 입력키의 스위칭 장치
KR100746395B1 (ko) 2006-05-08 2007-08-0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의한 데드스페이스에적용 가능한 키 구조
KR100786157B1 (ko) * 2006-10-23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KR20080056962A (ko) * 2006-12-19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89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정보단말기용 입력키의 스위칭 장치
KR100746395B1 (ko) 2006-05-08 2007-08-0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의한 데드스페이스에적용 가능한 키 구조
KR100786157B1 (ko) * 2006-10-23 200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KR20080056962A (ko) * 2006-12-19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튼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04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914B1 (ko) 휴대 단말 장치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CN101431563B (zh) 移动终端
JP5694757B2 (ja) 携帯電子機器
US20070132740A1 (en) Tactile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onic contents
US8125355B2 (en) Qwerty-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1076582A (ja) 電子機器
JP4799655B2 (ja) 小型機器
TW200928896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90103185A (ko) 이동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KR1010077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1087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US1006139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JP2010035020A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028697A (ko) 필름커버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버튼구조
US200900312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iewing media content
JP4837143B1 (ja) 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KR1006527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KR100840016B1 (ko)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키패드 플레이트
JP2011204544A (ja) キーパッド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10079422A (ko) 모션 센서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171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다기능 조작부
JP2011154782A (ja) キースイッチ及び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1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1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