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422B1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2422B1 KR100962422B1 KR1020080067434A KR20080067434A KR100962422B1 KR 100962422 B1 KR100962422 B1 KR 100962422B1 KR 1020080067434 A KR1020080067434 A KR 1020080067434A KR 20080067434 A KR20080067434 A KR 20080067434A KR 100962422 B1 KR100962422 B1 KR 1009624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butylene terephthalate
- clay
- screw extruder
- twin screw
- continuous tw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0% | 0.5 | 1 | 1.5 | 2 | 5 | 7 | 10 | 12 | 15 | |
| 굴곡강도(㎏/㎝2) | 750 | 769 | 826 | 827 | 827 | 784 | 782 | 774 | 774 | 760 |
| 굴곡탄성율(㎏/㎝2) | 24500 | 25189 | 25472 | 26040 | 26136 | 25584 | 27118 | 30126 | 32049 | 33709 |
| 인장강도(㎏/㎝2) | 490 | 520 | 524 | 517 | 517 | 460 | 441 | 443 | 442 | 411 |
| 연신율(%) | 3.5 | 8.1 | 5.8 | 5.3 | 5.2 | 5.2 | 4.4 | 3.7 | 3 | 2.7 |
| 충격강도(㎏·㎝/㎝) | 2.5 | 3.4 | 3.5 | 3.4 | 3.4 | 3.4 | 3.5 | 3.4 | 3.3 | 3.2 |
| 열변형온도(℃) | 65 | 123 | 134 | 140 | 141 | 132 | 117 | 104 | 113 | 105 |
| 시편 | 피크 위치(2θ) | 면적% | 기본 간격(basal spacing)(001) | 분산(dispersion) |
| 일반 점토(general clay) | 7.521 | 100 | 1.216㎚ | - |
| 0.5% | 피크 없음(no peak) | - | - | 완전 박리(total exfoliation) |
| 1.0% | 피크 없음 | - | - | 완전 박리 |
| 1.5% | 피크 없음 | - | - | 박리됨(exfoliated) |
| 2.0% | 피크 없음 | - | - | 박리됨 |
| 5.0% | 피크 없음 | - | - | 박리되고 인터칼레이트됨(exfoliated and intercalated) |
| 7.0% | 3.34 | 100 | 2.64㎚ | 박리되고 인터칼레이트됨 |
| 10.0% | 3.63 | 27.2 | 2.42㎚ | 박리되고 인터칼레이트됨 |
| 15.0% | 2.72 | 100 | 2.72㎚ | 대부분 인터칼레이트됨(mostly intercalated) |
| 특성 | 유리섬유의 함량(중량%) | |||
| 0 | 10 | 15 | 20 | |
| 굴곡강도(㎏/㎝2) | 827 | 834 | 910 | 890 |
| 굴곡탄성율(㎏/㎝2) | 26040 | 30954 | 44059 | 50554 |
| 인장강도(㎏/㎝2) | 517 | 425 | 475 | 460 |
| 연신율(%) | 5.3 | 2.3 | 2.2 | 2 |
| 충격강도(㎏·㎝/㎝) | 3.4 | 3.3 | 3.4 | 3.3 |
| 열변형온도(℃) | 140 | 197 | 210 | 207 |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1.5 | 4.25 | 5.85 | 8.5 | 10.2 | 12.75 | |
| 굴곡강도(㎏/㎝2) | 1011 | 1140 | 743 | 703 | 692 | 658 |
| 굴곡탄성율(㎏/㎝2) | 53117 | 70780 | 80116 | 90903 | 97317 | 10211 |
| 인장강도(㎏/㎝2) | 636 | 647 | 479 | 471 | 471 | 482 |
| 연신율(%) | 1.5 | 1.7 | 1.4 | 1.2 | 1.1 | 1 |
| 충격강도(㎏·㎝/㎝) | 3 | 2.8 | 2.5 | 2.5 | 2.5 | 2.5 |
| 열변형온도(℃) | 217 | 219 | 206 | 203 | 204 | 199 |
| 특성 | 유리섬유의 함량(중량%) | |||
| 0 | 10 | 15 | 20 | |
| 굴곡강도(㎏/㎝2) | 802 | 950 | 1011 | 1062 |
| 굴곡탄성율(㎏/㎝2) | 23966 | 58821 | 53117 | 78451 |
| 인장강도(㎏/㎝2) | 465 | 619 | 636 | 699 |
| 연신율(%) | 2 | 1.9 | 1.5 | 1.4 |
| 충격강도(㎏·㎝/㎝) | 3.4 | 3.2 | 3.1 | 2.9 |
| 열변형온도(℃) | 152 | 207 | 217 | 215 |
| 표면저항(Ω·㎝) | 8.E+07 | 3.E+06 | 3.E+05 | 2.E+05 |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1.5 | 3.4 | 6.8 | |
| 굴곡강도(㎏/㎝2) | 1011 | 1132 | 835 |
| 굴곡탄성율(㎏/㎝2) | 53117 | 92372 | 86058 |
| 인장강도(㎏/㎝2) | 636 | 680 | 545 |
| 연신율(%) | 1.5 | 1.5 | 1.5 |
| 충격강도(㎏·㎝/㎝) | 3 | 2.9 | 2.6 |
| 열변형온도(℃) | 217 | 217 | 207 |
| 표면저항(Ω·㎝) | 8.E+05 | 6.E+05 | 1.E+05 |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1.5 | 3.4 | 6.8 | |
| 굴곡강도(㎏/㎝2) | 1211 | 1280 | 1312 |
| 굴곡탄성율(㎏/㎝2) | 54217 | 67453 | 88342 |
| 인장강도(㎏/㎝2) | 645 | 594 | 554 |
| 연신율(%) | 1.3 | 1.3 | 1.3 |
| 충격강도(㎏·㎝/㎝) | 2.7 | 2.7 | 2.6 |
| 열변형온도(℃) | 219 | 217 | 210 |
| 표면저항(Ω·㎝) | 8.E+01 | 6.E+01 | 6.E+01 |
| 특성 | 유리섬유의 함량(중량%) | |||
| 0 | 10 | 15 | 20 | |
| 굴곡강도(㎏/㎝2) | 733 | 863 | 864 | 862 |
| 굴곡탄성율(㎏/㎝2) | 24148 | 61466 | 70159 | 54371 |
| 인장강도(㎏/㎝2) | 490 | 523 | 548 | 574 |
| 연신율(%) | 2 | 1.2 | 1.2 | 1 |
| 충격강도(㎏·㎝/㎝) | 2.7 | 1.6 | 1.9 | 3.3 |
| 열변형온도(℃) | 169 | 196 | 206 | 211 |
| 표면저항(Ω·㎝) | 8.E+02 | 5.E+02 | 3.E+01 | 2.E+01 |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1.5 | 3.7 | 7.9 | |
| 굴곡강도(㎏/㎝2) | 864 | 882 | 757 |
| 굴곡탄성율(㎏/㎝2) | 70159 | 99225 | 82262 |
| 인장강도(㎏/㎝2) | 548 | 553 | 530 |
| 연신율(%) | 1.2 | 1 | 0.6 |
| 충격강도(㎏·㎝/㎝) | 1.9 | 1.9 | 1.9 |
| 열변형온도(℃) | 206 | 211 | 205 |
| 표면저항(Ω·㎝) | 3.E+01 | 5.E+01 | 2.E+01 |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1.5 | 3.7 | 7.9 | |
| 굴곡강도(㎏/㎝2) | 880 | 860 | 792 |
| 굴곡탄성율(㎏/㎝2) | 74159 | 89225 | 83462 |
| 인장강도(㎏/㎝2) | 556 | 567 | 540 |
| 연신율(%) | 1.1 | 1 | 0.6 |
| 충격강도(㎏·㎝/㎝) | 1.8 | 1.8 | 1.8 |
| 열변형온도(℃) | 206 | 211 | 205 |
| 표면저항(Ω·㎝) | 8.E+00 | 8.E+00 | 6.E+00 |
| 특성 | 유리섬유의 함량(중량%) | |||
| 0 | 10 | 15 | 20 | |
| 굴곡강도(㎏/㎝2) | 1147 | 1160 | 1329 | 1450 |
| 굴곡탄성율(㎏/㎝2) | 76819 | 72325 | 72719 | 73250 |
| 인장강도(㎏/㎝2) | 809 | 817 | 897 | 905 |
| 연신율(%) | 1.5 | 1.3 | 1.1 | 1 |
| 충격강도(㎏·㎝/㎝) | 3.3 | 3.4 | 3.6 | 3.8 |
| 열변형온도(℃) | 213 | 212 | 214 | 216 |
| 표면저항(Ω·㎝) | 1.E+06 | 5.E+05 | 2.E+05 | 9.E+04 |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1.5 | 3.7 | 7.9 | |
| 굴곡강도(㎏/㎝2) | 1329 | 1433 | 1011 |
| 굴곡탄성율(㎏/㎝2) | 72719 | 98414 | 100862 |
| 인장강도(㎏/㎝2) | 897 | 806 | 698 |
| 연신율(%) | 1.1 | 0.7 | 0.5 |
| 충격강도(㎏·㎝/㎝) | 3.6 | 3.2 | 2.9 |
| 열변형온도(℃) | 214 | 216 | 213 |
| 표면저항(Ω·㎝) | 9.E+05 | 5.E+04 | 2.E+04 |
| 특성 | 점토의 함량(중량%) | ||
| 1.5 | 3.7 | 7.9 | |
| 굴곡강도(㎏/㎝2) | 1529 | 1435 | 1244 |
| 굴곡탄성율(㎏/㎝2) | 72719 | 98414 | 100983 |
| 인장강도(㎏/㎝2) | 935 | 912 | 880 |
| 연신율(%) | 0.8 | 0.7 | 0.4 |
| 충격강도(㎏·㎝/㎝) | 4.1 | 4 | 4 |
| 열변형온도(℃) | 219 | 219 | 215 |
| 표면저항(Ω·㎝) | 9.E+02 | 9.E+02 | 7.E+02 |
Claims (28)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에 있어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점토가 함유되어 박리된 판형의 점토 소판들이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점토 소판들은 일정 거리 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고,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어 있으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유리섬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35중량% 함유되어 있으며,ASTM D648에 따라 측정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에 있어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점토가 함유되어 박리된 판형의 점토 소판들이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점토 소판들은 일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고,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어 있으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를 0.01∼15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가지며,ASTM D648에 따라 측정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를 0.01∼15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갖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카본블랙을 0.01∼20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갖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카본섬유를 0.5∼25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갖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및 카본섬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물질을 0.01∼25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갖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99.49중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열변형 온도는 150∼22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점토를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 내에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에 전단 응력이 인가되게 하여 상기 점토가 판형의 소판으로 박리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판형의 점토 소판들을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조성물을 토출하는 단계; 및수조에서 급냉시켜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게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된 후 상기 점토가 박리되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유리섬유를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하고, 상기 유리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35중량%가 함유되게 투입하며,상기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분산시키는 단계에서는 샤프트의 직경에 대한 샤프트의 길이의 비가 20∼60 범위를 이루고 실린더와 샤프트 사이의 간격은 샤프트 직경의 1/20∼1/60 범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할 때 호퍼에 탄소나노튜브를 투입하되,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게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할 때 호퍼에 카본블랙을 투입하되,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20중량% 함유되게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된 후 상기 점토가 박리되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카본섬유를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하고,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25중량%가 함유되게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및 카본섬유 중에서 선택된 적어 도 2개 이상의 물질을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25중량% 함유되게 투입하되, 상기 탄소나노튜브 또는 상기 카본블랙은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할 때 함께 투입하고, 상기 카본 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된 후 상기 점토가 박리되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99.49중량% 함유되게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는 240∼2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190∼24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240∼25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삭제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에 있어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점토가 함유되어 박리된 판형의 점토 소판들이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점토 소판들은 일정 거리 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고,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어 있으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카본블랙을 0.01∼20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가지며,ASTM D648에 따라 측정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카본섬유를 0.5∼25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갖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에 있어서,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점토가 함유되어 박리된 판형의 점토 소판들이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점토 소판들은 일정 거리 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고,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어 있으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카본섬유를 0.5∼25중량% 함유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은 10-2∼1012 Ω·㎝ 범위의 표면 저항을 가지며,ASTM D648에 따라 측정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점토를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 내에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에 전단 응력이 인가되게 하여 상기 점토가 판형의 소판으로 박리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판형의 점토 소판들을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조성물을 토출하는 단계; 및수조에서 급냉시켜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게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할 때 호퍼에 탄소나노튜브를 투입하되,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게 투입하며,상기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분산시키는 단계에서는 샤프트의 직경에 대한 샤프트의 길이의 비가 20∼60 범위를 이루고 실린더와 샤프트 사이의 간격은 샤프트 직경의 1/20∼1/60 범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할 때 호퍼에 카본블랙을 투입하되,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20중량% 함유되게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된 후 상기 점토가 박리되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카본섬유를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하고,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25중량%가 함유되게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점토를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 내에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에 전단 응력이 인가되게 하여 상기 점토가 판형의 소판으로 박리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판형의 점토 소판들을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조성물을 토출하는 단계; 및수조에서 급냉시켜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게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할 때 호퍼에 카본블랙을 투입하되,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20중량% 함유되게 투입하며,상기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분산시키는 단계에서는 샤프트의 직경에 대한 샤프트의 길이의 비가 20∼60 범위를 이루고 실린더와 샤프트 사이의 간격은 샤프트 직경의 1/20∼1/60 범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된 후 상기 점토가 박리되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카본섬유를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하고,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25중량%가 함유되게 투입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점토를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 내에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의 샤프트들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린더 내에서 용융 및 압축된 혼합물에 전단 응력이 인가되게 하여 상기 점토가 판형의 소판으로 박리되고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내에 판형의 점토 소판들을 불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단계;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연속식 2축 압출기에서 조성물을 토출하는 단계; 및수조에서 급냉시켜 열변형온도가 적어도 150℃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점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15중량% 함유되게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하며,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점토가 상기 연속식 2축 압출기에 투입되어 용융된 후 상기 점토가 박리되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분산되는 과정의 조성물에 카본섬유를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하고, 상기 카본섬유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25중량%가 함유되게 투입하며,상기 용융 및 압축시키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상방향으로 테이퍼진 압축부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평평한 일자형의 전단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토출하는 단계는 나선형 스크류 형태의 샤프트 구조로 이루어진 영역에서 이루어지며,상기 분산시키는 단계에서는 샤프트의 직경에 대한 샤프트의 길이의 비가 20∼60 범위를 이루고 실린더와 샤프트 사이의 간격은 샤프트 직경의 1/20∼1/60 범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67434A KR100962422B1 (ko) | 2008-07-11 | 2008-07-11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67434A KR100962422B1 (ko) | 2008-07-11 | 2008-07-11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07027A KR20100007027A (ko) | 2010-01-22 |
| KR100962422B1 true KR100962422B1 (ko) | 2010-06-14 |
Family
ID=4181607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67434A Active KR100962422B1 (ko) | 2008-07-11 | 2008-07-11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62422B1 (ko)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674720B2 (ja) | 1991-08-12 | 1997-11-12 |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剥離層状物質の高分子ナノ複合体の溶融加工形成法 |
| KR100478601B1 (ko) * | 2002-05-14 | 2005-03-28 | 학교법인 한양학원 | 층상점토광물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재의제조방법 |
| KR20050071164A (ko) * | 2003-12-31 | 2005-07-07 | 주식회사 효성 | 유기 층상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의제조방법 |
| JP2006328210A (ja) | 2005-05-26 | 2006-12-07 | Teijin Ltd |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
-
2008
- 2008-07-11 KR KR1020080067434A patent/KR10096242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674720B2 (ja) | 1991-08-12 | 1997-11-12 |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剥離層状物質の高分子ナノ複合体の溶融加工形成法 |
| KR100478601B1 (ko) * | 2002-05-14 | 2005-03-28 | 학교법인 한양학원 | 층상점토광물을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재의제조방법 |
| KR20050071164A (ko) * | 2003-12-31 | 2005-07-07 | 주식회사 효성 | 유기 층상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의제조방법 |
| JP2006328210A (ja) | 2005-05-26 | 2006-12-07 | Teijin Ltd |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07027A (ko) | 2010-01-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82492B1 (ko) |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 CN101835831B (zh) | 高介电常数的热塑性组合物、制备其的方法以及包含其的制品 | |
| CN101389470B (zh) | 纳米管聚合物复合材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 KR100706652B1 (ko) |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 |
| US20080171824A1 (en) | Polymers filled with highly expanded graphite | |
| KR101735819B1 (ko) | 탄소계 방열구조체용 재료, 이를 이용한 탄소계 방열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계 방열구조체 | |
| KR101106087B1 (ko) | 대전방지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대전방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
| KR20060061306A (ko) | 전기 전도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
| KR100998619B1 (ko) | 연속식 압출기 | |
| EP1864775A1 (en) | Method of producing carbon microfiber-containing resin composition | |
| JP2008528768A (ja) |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 JP2009001639A (ja) | 耐熱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 KR101024596B1 (ko) |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 KR101098430B1 (ko) |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
| KR20120109307A (ko) | 액정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 | |
| KR100945911B1 (ko) | 폴리아미드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 KR100962422B1 (ko)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 Arigbabowo et al. | Fused filament fabrication of polyamide 6 nanographene composit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applications | |
| KR20150120823A (ko) |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성 수지 조성물 | |
| JP4869615B2 (ja) | 微細炭素繊維含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 JP5216230B2 (ja) | 導電性樹脂組成物 | |
| KR20170112929A (ko) | 충격강도가 우수한 전기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 KR20130066839A (ko)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 |
| KR101071617B1 (ko) | 고분자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 KR100792782B1 (ko) |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